KR19990082282A - 브레이크 마모감지기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마모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282A
KR19990082282A KR1019980706011A KR19980706011A KR19990082282A KR 19990082282 A KR19990082282 A KR 19990082282A KR 1019980706011 A KR1019980706011 A KR 1019980706011A KR 19980706011 A KR19980706011 A KR 19980706011A KR 19990082282 A KR19990082282 A KR 19990082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movement
lead screw
pinion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드류 존 워드
이안 더글라스 풀리
마틴 비셀
데니스 존 맥캔
Original Assignee
안네트 제랄드 아서
루카스 인더스트리즈 퍼블릭 리미티드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네트 제랄드 아서, 루카스 인더스트리즈 퍼블릭 리미티드 컴퍼니 filed Critical 안네트 제랄드 아서
Priority claimed from PCT/GB1997/000329 external-priority patent/WO1997029298A1/en
Publication of KR19990082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282A/ko

Link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브레이크 조립체는 브레이크 로타(1)에 브레이크 라이닝(4, 5)을 가압하기 위한 작동수단(6), 브레이크 라이닝(4, 5)을 브레이크 로타(1)에 근접배치 하기 위하여 작동수단(6)에 의해 구동될 수 있게 된 조절수단(13)과, 브레이크 제동방향으로 브레이크의 작동운동에 응답하는 마모감지수단(60)으로 구성된다. 마모감지수단(60)은 직선방향으로 작동부재(102)의 운동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게 된 감지기(101), 조절수단(6)의 운동에 응답하는 회전 종동부재(106)와, 종동부재(106)의 회전운동을 작동부재(102)의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주기 위한 전동기구(104)로 구성된다. 브레이크는 브레이크의 정비중에 감지수단(60)과 브레이크의 기준 사이의 관계를 리셋팅 하기 위한 리셋트 수단을 포함한다. 리셋트 수단은 작동부재(107)의 유효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브레이크 마모감지기
도 1은 브레이크 마모감지기를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를 일부 단면으로 보인 정면도.
도 2는 브레이크 마모감지기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브레이크 마모감지기가 극단고정위치에 있음을 보인 도 2와 유사한 단면도.
도 4는 수정형태를 보인 도 2와 유사한 단면도.
도 5는 다른 브레이크 마모감지기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수정형태의 브레이크 마모감지기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또 다른 브레이크 마모감지기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설치 전에 있는 도 7의 감지기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브레이크 조립체에 설치된 감지기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또 다른 수정형태의 브레이크 마모감지기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또 다른 마모감지기를 보인 종단면도.
도 12는 분리된 상태에 있는 도 11의 감지기를 보인 단면도.
도 13은 수정형태를 보인 도 11과 유사한 단면도.
도 14는 수정형태를 보인 도 10과 유사한 단면도.
도 15-도 18은 도 14에서 보인 감지기의 각 구성요소를 보인 설명도.
본 발명은 마찰라이닝이 드럼 또는 디스크와 같은 회전 제동부재에 가압될 수 있게 된 작동면을 갖는 종류의 차량 브레이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마모를 보상하는 브레이크 조절장치를 통하여 브레이크 조립체 내의 마찰라이닝의 마모를 감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원 출원인의 국제출원 공보 제WO 95/09991호에는 감속변속기를 통한 조절기 수단의 운동에 의하여 구동되는 로타리 포텐셔메터로 구성되는 "조절기 내장형" 마모감지기의 이용에 관한 것이 기술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에서 감지기는 조절기 수단에 일체로 착설되고 조절기 수단에 결합되는 서브조립체의 일부로서 브레이크에 조립되고 이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브레이크 로타에 브레이크라이닝을 가압하기 위한 작동수단, 브레이크 로타에 근접하여 브레이크 라이닝을 배치하기 위하여 작동기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게 된 조절수단과, 브레이크 제동방향으로의 브레이크 작동운동에 응답하는 마모감지수단으로 구성되는 상기 언급된 종류의 차량 브레이크 조립체에 있어서, 마모감지수단이 직선방향으로의 작동부재의 운동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게 된 감지기, 조절수단의 운동에 응답하는 회전 종동부재와, 종동부재의 회전운동을 작동부재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전동기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전동기구를 이용하므로서 작동부재의 선형운동에 의하여 작동가능한 감지기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고 신뢰성을 개선하며 재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므로서 브레이크 위치에 대한 마모감지수단의 리셋팅의 필요성이 배제된다.
통상적으로 감지기는 유도감지기 또는 포텐셔메타와 같은 선형 변위수단으로 구성된다.
마모감지수단은 조절기 수단에 의하여 구동되고, 감지기는 조절기 수단의 기어휠로부터 구동될 수 있으며 기어휠로부터 원격한 감지기의 단부는 전기적인 연결구 수단으로 형성되어 있어 브레이크 조립체를 분해함이 없이 정비시에 이 유니트가 브레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전동기구는 길이 조절형이며 그 구성요소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게 작동상 결합되어 있다.
한 구성에 있어서, 비회전형 리드스크류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작동부재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종동부재는 길이방향 운동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회전 피니언으로 구성되어 기어휠의 회전에 응답하여 피니언이 회전하므로서 리드스크류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기어휠과 피니언은 리드스크류의 피치와 함께 상대적인 크기가 완전히 마모된 브레이크 라이닝에 대한 새로이 주어진 범위에 대하여 변위감지기에 요구된 풀 스케일 입력을 발생토록 선택될 수 있다.
리드스크류는 길이방향으로의 스크류의 운동을 제한하는 확대 헤드를 재가할 수 있다. 이는 패드의 지나친 마모나 브레이크 조립체의 상대 가동부품의 편중에 관한 고장을 일으킬 수도 있는 전동기구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스크류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조는 리드스크류가 고정된 경우와 같이 브레이크가 완전히 조절되었을 때 브레이크 하우징 내의 태핏이 조절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이로써 브레이크가 추가로 조절되는 것이 방지된다.
전동기구의 구성요소들은 자유롭게 분리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전동기구의 재조립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리셋트 되는 감지기의 기준위치를 변경함이 없이 마모감지기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리드스크류는 작동상 결합되는 축방향 연장형의 전동부재 또는 롯드를 통하여 감지기에 작용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언급된 브레이크의 정비중에, 조절기 수단과 조절형 태핏과 같은 작동수단의 구성요소들이 공통의 브레이크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재조립 및 교환시에 태핏과 조절기 수단의 출력기어 사이의 배치관계, 즉 마모감지수단의 감지기에 대한 입력을 보장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서, 상기 언급된 종류의 차량 브레이크 조립체는 브레이크 조립체의 정비중에 감지기와 브레이크의 기준 사이의 관계를 리셋트 하기 위한 리셋트 수단이 사용된다.
리셋트 수단은 브레이크 조립체를 새로운 마찰라이닝으로 조립할 때 감지기의 요구된 기준위치를 결정토록 리드스크류의 유효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1-도 3에서 보인 디스크 브레이크에서,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디스크(1)와 브레이크 캐리어(2)로 구성된다. 플로팅 캘리퍼(3)가 캐리어 부재(2)에 걸쳐 있으며 두개의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4)(5)와 협동하고, 이들 각 조립체는 캐리어 상의 주연방향으로 간격을 둔 저항 담지면 사이에서 활동토록 안내되는 견고한 배면판과, 디스크(1)의 인접면과 결합하기 위한 마찰재 패드로 구성된다. 캘리퍼에 착설된 브레이크 작동장치(6)는 마찰패드 조립체(4)가 디스크(1)와 강제로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디스크에서 디스크 패드 조립체의 반작용은 캘리퍼(3)가 캐리어(2)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게 하여 마찰패드 조립체(5)가 디스크(1)의 반대측 면에 결합되게 한다.
작동장치(6)는 케이싱(10)에 재가된 각 쌍의 니들베어링(8)(9) 사이에서 캘리퍼(2)의 개방부에 착설된 회전부재(7)와 케이싱의 외측 단부를 덮는 커어버(11)로 구성된다. 두 조절태핏(13)이 작동장치(6)의 케이싱(10) 내에 장설된다. 이들 각 태핏은 제 1 내부 나선부재(14)와 제 2 외부 나선부재(15)로 구성된다. 태핏은 대칭평면 E의 양측기에 이와 평행하고 이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두개의 제2 나선부재(15)가 얇은 금속판(16)에 의하여 연결되어 이들이 회전되지 아니하며 동시에 이 금속판은 부재(15)와 마찰패드 조립체(4) 사이에 방열판으로서 사용된다.
회전부재(7)는 회전부재의 단부영역에 배치되고 로울러 동체(17)를 통하여 각 하나의 제 1 나선부재(14)에 작용하는 두개의 편심체(16)로 구성된다. 회전부재(7)에는 두 편심체 사이에 한 쌍의 저어널 핀(1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저어널 핀은 커어버(11)의 내측에 형성된 요입부(19) 내에 니들 베어링(8)의 외측 링을 통하여 지지된다. 두개의 제 1 나선부재(14)는 앵글 드라이브와 커플링 장치(20)로 구성되는 기어연결부에 의하여 회전부재(7)에 연결되고 앵글 드라이브는 교합된 베벨톱니(22)(23)에 의하여 형성된다. 피니언(24)이 인접한 제 1 나선부재(14)의 외부 톱니에 직접 결합되고 중간기어(26)를 따라 이동한다. 중간기어는 두 제 1 나선부재(14)의 외부톱니와 교합된다.
피니언(24)에는 복귀 조절축(52)의 보상적인 육각헤드(51)가 결합되는 내부 육각요구(50)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슬리이브(27)가 축(52)을 둘러싸고 있으며 커플링장치(20)와 제 2 슬리이브(29) 사이의 디스크(28)가 이들 사이에 구동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브레이크 작동시에, 회전부재(7)의 회전은 두 베벨톱니(22)(23)에 의하여 구성된 앵글 드라이브에 의하여 커플링 장치(20)의 축(52)에 지지된 제 1 슬리이브(27)의 회전으로 변환된다. 디스크(28)와 제 2 슬리이브(29) 사이에서 회전간극이 극복되었을 때 토오크는 제 2 슬리이브(29)에 작용하고 랩스프링(30)을 통하여 피니언(24)에, 그리고 최종적으로 중간기어(26)와 외부 톱니(25)를 통하여 제 1 나선부재(14)에 작용할 것이다.
그러나, 브레이크 해제간극이 상기 언급된 회전간극에 의하여 극복되는 경우 나선부재(14)는 회전하지 않을 것이며 이에 따라 두 브레이크 패드조립체(4)(5)는 작동력에 일치하는 반작용력을 두 나선부재(14)(15)에 의하여 형성된 태핏을 통하여 두 편심체(16)에 전달하는 브레이크 디스크(1)와 결합된다. 이 경우에 조절나선 쌍(13)에서 일어나는 마찰은 커플링(21)이 전달할 수 있는 토오크 보다 크다.
만약 디스크(28)와 제 2 슬리이브(29) 사이의 회전간극이 브레이크의 작동시 극복되고 브레이크 패드조립체(4)(5)가 일치하는 반작용력을 일으키도록 브레이크 디스크에 이르지 않는 경우, 제 1 슬리이브(27)의 회전은 디스크(28)의 적층구조를 통하여 제 2 슬리이브(29)에 전달되고 랩 스프링(30)을 통하여 피니언(24)에, 그리고 최종적으로 제 1 나선부재(14)에 전달되어 이 나선부재는 태핏이 제 2 나선부재(15)의 길이가 연장되게 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브레이크의 해제시, 현재는 반대방향인 회전부재(8)의 회전운동이 제 1 슬리이브(27)에 전달되나 이러한 회전방향에서 랩 스프링(30)이 개방되어 피니언(24)이 회전운동 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피니언(24)에는 전달되지 아니한다.
마모감지수단(60)이 캘리퍼(3)의 개방부(61)에 장설되고 커어버(11)의 보상적 형태인 개방부(62)를 통하여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모감지수단(60)은 축방향으로 연장된 전동부재, 즉 롯드(102)를 통하여 선형 포텐셔메터 또는 유도변환기 마모감지기(101)에 작용하는 피니언 조립체(100)로 구성된다. 롯드(102)는 감지기(101)에 결합되어 있으나 피니언 조립체(100)와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피니언 조립체는 적당한 가압작동으로 커어버(11)에 형성된 개방부(61)의 내측단부에서 케이싱(10)의 통공(105)에서 회전되지 않게 축방향으로 고정된 부쉬(104), 부쉬(104)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피니언(24)과 교합된 피니언(106)과, 부쉬(104)와 피니언(106) 사이에서 작용하는 리드스크류의 형태이고 롯드(102)가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협동하는 기다란 조절기 부재(107)로 구성된다.
조절기 부재(107)는 피니언 내부 나선에 결합토록 외부 나선을 가지며 부쉬(104)에 형성된 통공(110)의 양측에서 보상적 형태의 돌출부(107)가 활동가능하게 삽입되고 부재(107)가 연장되는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키-웨이(108)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부재(107)는 회전되지 않으나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된다.
작동에 있어서, 피니언(24)의 회전은 피니언(106)에 이에 일치하는 회전운동을 부여한다. 조절기 부재(107)가 회전되지 않으나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되므로 피니언(106)과 부재(107) 사이의 나선결합이 부재(107)가 포텐셔메타(101) 측으로 이동되게 하며 이러한 운동은 롯드(102)를 통하여 전달된다. 이와 같이 부재(107)의 단부의 축방향 위치는 패드의 마모조건에 따라 포텐셔메타(101)의 셋팅을 결정한 이로써 부재(107)와 롯드(102)는 상호 협동하여 길이가 조절가능한 전동기구를 구성한다.
포텐셔메타(101)의 후퇴는 롯드(102)의 후퇴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조절기 부재(107)는 그 조절된 위치에 남아 있게 된다.
정비 또는 보수 후에, 포텐셔메타(101)는 롯드(102)가 부재(107)와 협동토록 개방부(61) 내에 재배치 된다. 포텐셔메타(101)가 제자리에 배치될 때 부재(107)와 롯드(102)의 협동은 자동적으로 포텐셔메타(101)를 리셋트시켜 패드의 마모상태 또는 브레이크의 현재 셋트상태를 반영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스크류(107)에는 포텐셔메타(101)로부터 원격한 단부에 확대 헤드(11)를 재가한다. 이 헤드(111)는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포텐셔메타(101)를 향하는 리드스크류의 운동을 제한 하도록 부쉬(104)와 협동하는 스토파로서 작용한다.
이는 마모감지수단(60)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스크류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나친 패드의 마모나 브레이크 조립체의 가동부품의 편향과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브레이크의 추가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토록 작용한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리드스크류가 조절기를 고정시킬 때의 경우와 같이 브레이크가 완전히 조절될 때 브레이크 하우징 내의 태핏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브레이크가 추가 조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4에서 보인 수정된 구성에 있어서, 헤드(111)가 리드스크류(107)로부터 생략되었다. 이는 주어진 길이를 갖는 리드스크류의 조절 스트로크를 증가시키며 태핏이 정비를 위하여 분리될 수 있는 위치로 브레이크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서 보인 수정된 구성에 있어서, 부쉬(104)가 생략되고 리드스크류(107)는 합성수지로 되어 있는 피니언(106)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130)에 활동가능하게 키 결합된다. 감지기로부터 원격한 이 리드스크류(107)의 단부는 브레이크 캘리퍼(3)의 나선공(131)에 나선결합된다. 리드스크류(107)는 피니언(107)과 리드스크류(107)의 헤드(133) 사이에서 작용하고 롯드(102)와 협동하는 압축스프링(132)에 의하여 피니언(106)으로부터 외측으로 탄지된다. 롯드(102)는 헤드의 육각요구(134)에 안정적으로 삽입된다.
작동에 있어서, 태핏(13)이 조립되고 조준되어 감지기 조립체의 높이에 맞추어진다. 피니언(106)이 브레이크에 조립된다. 리드스크류(107)가 결합되고 태핏이 결합력 상한레벨에 대하여 높이가 맞추어 진다. 커어버(11)와 조절기 조립체(27)가 제위치에 조립된다. 조절기 기어휠(24)이 태핏기어(14)와 결합하고 조절기(52)는 필요한 경우 회전된다. 피니언(106)이 기어휠(24)과 결합하고 이 피니언(106)이 필요한 경우 회전되어 유실된 운동을 확보한다.
도 6의 구성에 있어서, 부쉬가 생략되고 리드스크류(107)는 축방향 운동에 대하여 고정된 피니언(106)에 나선결합된다. 리드스크류(107) 통공의 벽에 형성된 보상적 형태의 키-웨이(136) 내에서 활동하도록 안내되는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일체의 키(135)에 의하여 통공에 대해 회전되지 않게 고정된다.
도 7, 도 8 및 도 9의 실시형태에서, 부쉬(108)는 개방부를 가지며 이를 통하여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돌기(138)가 구비되어 있고 이는 리드스크류(107)의 키-웨이(139)에 활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조립시 리드스크류(107)는 회전되어 헤드(111)가 피니언(106)에 대하여 부쉬(108)를 고정한다. 그리고 부쉬(104)는 도 8에서 보인 바와 같이 통공내에 삽입된다.
그리고 브레이크의 조절기와 기타 부분들이 조립되고 태핏(13)이 최대 개방위치로 회전된다.
리드스크류(107)에 작용하는 조립공구(138)(도 9 참조)를 이용하므로서, 브쉬(108)가 통공 측으로 가압되고 공구(138)의 길이가 마모감지기에 대한 칫수 X를 설정한다.
도 10에서 보인 구조에 있어서, 리드스크류(107)가 캘리퍼의 나선공(140) 내에 나선결합 되고 피니언(106)에 성형된 키(141)가 리드스크류(107)의 키-웨이(108) 내에 활동가능하게 삽입된다. 피니언(106)은 볼트(143)로 캘리퍼에 고정된 금속판(142)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플러그(144)가 부하 감지수단에 대한 조절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리드스크류(107)의 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플러그(144)는 리드스크류(107)의 단부에 형성된 나선공에 나선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구동기구와 감지기 사이의 기준높이는 브레이크의 정비중에 조절을 위하여 리셋트 된다.
도 11과 도 12에서 보인 구성에 있어서, 피니언(106)은 대경통공부(151)와 소경통공부(152)를 포함하는 단층형 통공을 갖는 축방향 연장형의 허브(150)에 의하여 재가된다. 피니언(106)과 허브(150)는 단일체의 플라스틱 조립체로 구성될 수있다. 통공부(152)에서 활동토록 안내되는 기다란 부쉬(153)는 대경통공부(151) 내에 활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확대 헤드(154)를 갖는다. 이 헤드는 통상 허브(150)의 외측 단부의 접속부(158)와 회전되지 않게 고정된 통공부(151)에서 축방향으로 활동토록 안내되는 너트(160)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축스프링(157)에 의하여 두 통공부의 직경이 달라지는 경계부분의 턱(156)에 접속되어 있다. 통공부분(151)과 너트(160)는 서로 보상적인 육각단면을 갖는 형태이다. 롯드(102)를 통하여 포텐셔메타(101)를 작동시키기 위한 리드스크류(107)는 너트(160)를 통하여 나선결합되고 부쉬(153)에서 회전되지 않게 고정된다. 예를 들어 키나 이와 유사한 결합구조가 리드스크류(107)와 부쉬(153)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감지기를 조립할 때, 부쉬(153)는 스프링(157)이 완전히 신장되고 피니언(106)이 기어휠(24)과 결합될 때까지 브레이크 하우징의 통공(161) 내에 삽입되고, 허브(160)는 도 12에서 보인 바와 같이 기어휠(24)로부터 피니언(106)이 분리될 수 있도록 피니언(106)이 브레이크 하우징을 통하여 충분히 멀리 이동되는 거리만큼 브레이크 하우징으로부터 간격을 둔다.
브레이크로부터 감지기를 분리하기 위하여 리드스크류(107)는 너트(160)를 통하여 부쉬(153)로부터 돌려 분리된다. 이는 브쉬(153)를 통하여 그 내측단부에서 결합토록 풀러(puller)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부쉬(153)는 이 풀러에 의하여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브레이크를 재조립시에 기어휠(24)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조절기와 감지기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부쉬(153)가 통공(161) 내에 삽입되게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조립된다. 그리고 조절기가 피니언(106)을 구동토록 회전되고 너트(160)가 리드스크류(107)를 요구된 기준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허브(150)와 협동하는 적당한 플런저를 이용하므로서 리드스크류(107)가 고정되었을 때에 피니언(106)이 도 12에서 보인 바와 같이 기어휠(24)로부터 이를 분리토록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리드스크류(107)가 고정되고 피니언(106)이 분리되었을 때 기어휠(24)을 포함하는 조절기는 브레이크 태핏을 리드스크류(107)의 브레이크 고정위치에 직접 관련된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 이르렀을 때 플런저는 스프링(157)의 탄지하에 피니언(106)이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자동적으로 기어휠(106)과 결합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로부터 이동된다. 감지기 기준과 브레이크 위치 사이의 관계가 리셋트 되고 정비중에 브레이크의 구성요소에서 이루어진 변화와 브레이크 구성요소의 상대위치가 고려된다.
도 13에서 보인 구성에서, 기어휠(24)을 포함하는 조절기 기구와 마모감지수단(60)이 브레이크 하우징의 보상면(166)에 접할 수 있게 된 공통의 취부판(165)에 의하여 지지된다. 부쉬(153)가 취부판(165)의 보상적 형태의 개방부(167)에는 삽입되나 브레이크 하우징 자체의 개방부에는 삽입되지 아니한다.
취부판(165)이 제공되어 있으므로 조절기구와 마모감지수단(60)이 정비중에 브레이크로부터 함께 분리될 수 있다.
그 밖에 도 13에서 보인 실시형태의 구성과 작동은 도 11과 도 12의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동일부분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도 11-도 13에서 보인 구성에서, 조절기 기구의 기어휠(24)은 브레이크 하우징 또는 취부판(165)에 접촉한다. 이러한 접촉으로 기어휠(24)의 회전에 대하여 마찰이 이루어져 지나친 백러쉬의 효과를 줄여 조절기와 감지기(60)가 브레이크의 실제 조절시에만 이동되도록 한다.
도 13의 구성에 취부판(165)을 제공하므로서 조절기어휠(24)과 브레이크 사이의 마찰면 특성을 최적화 하도록 가공될 수 있는 취부판을 위하여 적당한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백러쉬의 정밀하고 영구적인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어 백러쉬에 의하여 발생되는 리플의 효과가 없는 감지수단(60)으로부터의 양호한 신호가 장기적으로 보장될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도 14-도 18에서 보인 수정된 구성에 있어서, 부쉬(153)가 다시 취부판(165)의 개방부(167)에 삽입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피니언(106)은 부쉬(153)의 외측 단부를 둘러 싸고 있으며 이 부쉬에 도 15에서 보인 바와 같은 스냅링(168)의 제공으로 축방향의 상대운동에 대하여 고정된다. 리드스크류(107)는 나선결합된 부쉬(153)의 통공에 나선결합되므로서 리드스크류(107)는 구동기구(170)를 통하여 리드스크류에 전달되는 피니언(106)의 회전시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구동기구는 리드스크류(107)에 고정되어 리드스크류(107)가 회전시 축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구동디스크(171)로 구성된다. 이 디스크(171)는 도 17과 도 18에서 보인 바와 같이 래치트 기구와 협동하는 적당한 윤곽을 가지며 구동디스크(171)의 외주연에 형성된 적당한 슬로트(173)와 결합되는 테이퍼형의 형태로 주연방향으로 간격을 둔 돌기(172)로 구성된다.
구동디스크(171)는 통상 피니언(106)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으며 이 피니언은 다시 리드스크류(107)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재조절이 요구될 때 브레이크는 태핏이 알려진 위치로 이동되는 고정상태에 놓인다. 그리고 피니언(106)은 양방향 래치트의 제동력을 충분히 극복하는 적당한 토오크로 회전될 수 있다. 리드스크류(107)가 정확한 높이에 고정되고 감지기와 브레이크 사이의 관계가 설정되면 감지기가 브레이크에 재조립될 수 있다.

Claims (12)

  1. 회전하는 제동부재(1)에 작동면이 가압될 수 있게 된 마찰라이닝(4,5), 브레이크 라이닝을 브레이크 로타에 가압하는 작동수단(6), 브레이크 라이닝을 브레이크 로타에 근접시켜 유지하기 위하여 작동수단에 의해 구동될 수 있게 된 작동수단(13)과, 브레이크 제동방향으로 브레이크의 작동운동에 응답하는 마모감지수단(60)으로 구성되는 차량 브레이크 조립체에 있어서, 마모감지수단(60)이 작동부재(102)의 직선방향 운동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게 된 감지기(101), 조절수단의 운동에 응답하는 회전 종동부재(106)와, 종동부재의 회전운동을 작동부재의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주기 위한 전동기구(10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브레이크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감지기(101)가 선형 변위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3. 제 2 항에 있어서, 변위수단이 유도감지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4. 제 2 항에 있어서, 변위수단이 포텐셔메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5. 전기 청구범위의 한 항에 있어서, 마모감지수단(60)이 조절기 수단(13)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게 되어 있고, 감지기(101)가 이 감지기의 단부가 전기 연결구 수단이 형성된 기어휠로부터 원격한 위치에 놓이도록 조절기 수단에서 기어휠(24)로부터 구동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로써 유니트가 브레이크 조립체의 분해 없이 정비를 위하여 브레이크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6. 전기 청구범위의 한 항에 있어서, 전동기구(104)가 길이 조절형이며 그 구성요소(107, 102)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자동적으로 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7. 제 6 항에 있어서, 구성요소(107, 102)가 자유롭게 독립적으로 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8. 전기 청구범위의 한 항에 있어서, 비회전형 리드스크류(107)가 종방향으로 이동하여 작동부재(102)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고, 종동부재가 종방향 운동에 대하여 고정된 회전피니언(106)으로 구성되며, 기어휠의 회전에 응답하여 피니언의 회전이 리드스크류가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9. 제 8 항에 있어서, 리드스크류(107)가 종방향의 스크류의 운동을 제한하는 확대 헤드(133)를 재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리드스크류(107)가 이에 결합된 축방향 연장형의 전동부재 또는 롯드(102)를 통하여 감지기(101)에 작용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11. 전기 청구범위의 한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조립체의 정비중에 감지기(101)와 브레이크의 기준 사이의 관계를 리셋팅하기 위한 리셋트 수단(144)이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12. 제 11 항에 있어서, 리셋트 수단이 브레이크 조립체를 새로운 마찰라이닝으로 조립시 감지기(101)에 대한 요구된 기준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리드스크류(107)의 유효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KR1019980706011A 1996-02-07 1997-02-06 브레이크 마모감지기 KR199900822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602439.3A GB9602439D0 (en) 1996-02-07 1996-02-07 Brake wear sensor
JP9602439.3 1996-02-07
GBGB9610762.8A GB9610762D0 (en) 1996-02-07 1996-05-22 Brake wear sensor
GB9611532.4 1996-06-03
GB9602439.3 1996-06-03
GB9610762.8 1996-06-03
GBGB9611532.4A GB9611532D0 (en) 1996-02-07 1996-06-03 Brake wear sensor
PCT/GB1997/000329 WO1997029298A1 (en) 1996-02-07 1997-02-06 Brake wear sen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282A true KR19990082282A (ko) 1999-11-25

Family

ID=10788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011A KR19990082282A (ko) 1996-02-07 1997-02-06 브레이크 마모감지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9990082282A (ko)
GB (5) GB9602439D0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2717A (ko) * 2019-03-29 2021-11-25 벤딕스 커머셜 비히클 시스템즈, 엘엘씨 휠 엔드 브레이크 패드 마모 센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2717A (ko) * 2019-03-29 2021-11-25 벤딕스 커머셜 비히클 시스템즈, 엘엘씨 휠 엔드 브레이크 패드 마모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610693D0 (en) 1996-07-31
GB9610761D0 (en) 1996-07-31
GB9610762D0 (en) 1996-07-31
GB9602439D0 (en) 1996-04-03
GB9611532D0 (en) 1996-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6283B2 (ja) ブレーキ摩耗センサ
JP3880626B2 (ja) ブレーキ摩耗センサ
US9175737B2 (en) Drum brake module which can be operated by electric motor
US6938735B1 (en) Electromechanical wheel brake device
KR102363665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US5829557A (en) Electromechanically actuated disc brake system
US6315092B1 (en) Electromechanically actuated disc brake
KR102219444B1 (ko) 디스크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작동 기구
KR19980064778A (ko) 브레이크 장치 및 작동 방법
CN111201386B (zh) 用于鼓式制动器的带磨损行程调节的张开单元和鼓式制动器
CN113825924B (zh) 自动间隙调节器
KR19990071586A (ko) 차량용전자기계식액츄에이터를구비한마찰클러치
EP0789156B1 (en) Brake condition monitoring means
KR20020059680A (ko) 슬리브 지지부를 구비한 액츄에이터
US6390247B1 (en) Electric caliper with eccentric lever drive
MXPA06008702A (es) Dispositivo de ajuste para frenos de disco de accionamiento neumatico y frenos de disco.
KR19990082282A (ko) 브레이크 마모감지기
US20040055838A1 (en) Spring brake actuator
EP0742874B1 (en) Brake and actuator assembly
GB2310015A (en) Vehicle brake assemblies
JP2005521835A (ja) 電動駆動式の調整装置を備えたディスクブレーキ
CN112324822A (zh) 用于车辆制动器的制动钳,用于制动钳的调节器单元、齿轮以及调节器螺母
SU1248875A1 (ru) Привод механического тормоз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01020983A (ja) パーキング操作用カムアセンブリを備えたディスクブレーキ作動装置
CN115126804A (zh) 用于能够机电致动的机动车辆制动器的致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