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8701A - 맥반석을 용해시킨 세라믹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맥반석을 용해시킨 세라믹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8701A
KR19990078701A KR1019990031253A KR19990031253A KR19990078701A KR 19990078701 A KR19990078701 A KR 19990078701A KR 1019990031253 A KR1019990031253 A KR 1019990031253A KR 19990031253 A KR19990031253 A KR 19990031253A KR 19990078701 A KR19990078701 A KR 19990078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van
cooking vessel
dissolved
glaz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4326B1 (ko
Inventor
송지훈
Original Assignee
송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지훈 filed Critical 송지훈
Priority to KR1019990031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4326B1/ko
Publication of KR19990078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3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맥반석을 피조리물과 접하는 바닥면에 용해시킨 세라믹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내열성 점토성형물 본체(2)의 바닥에 SiO2성분을 약 65∼70% 보유하고 있는 맥반쇄석들을 서로 이격되게 배치하고 전체에 유약(6)을 발라 약 1,200±30℃로 초벌구이하고, 다시 용해된 맥반석(4) 위에만 유약(6')을 발라 약 1,100±20℃로 재벌구이하여 상기 본체(2)의 바닥에 완만한 구면 형태로 용해된 맥반석 반점(4)들이 서로 이격되게 돌출되어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피조리물이 쉽게 늘어 붙지 않으며 세척이 용이하고 기공의 유지에 따른 흡착효과와 피조리물의 맛 향상 등 맥반석의 특성을 최대한 살릴 수 있다.

Description

맥반석을 용해시킨 세라믹 조리용기{Elvan Melted Ceramic Cooking Vessel}
본 발명은 맥반쇄석을 피조리물과 접하는 바닥면에 용해시킨 세라믹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고기구이판을 비롯하여 프라이팬 및 남비 등의 조리용기들은 금속과 도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만들어지고 있다. 그러나 가열음식의 맛을 내면서 잠열 및 보온효과를 갖게 하는 데에는 도기제(이하 세라믹)가 유리하다.
일반적인 세라믹 조리용기들은 유약을 바르거나 바르지 않고 소성시킨 것들이고, 표면에 고분자화합물 또는 이종의 세라믹이나 금속 등을 일정 두께로 피복 또는 적층시킨 것들이다. 특히 최근에는 맥반석을 여러 물품에 이용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맥반석은 천연 초전도체 작용물질로 각종 미네랄원소 45여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 당 약 30,000개 이상의 다공질로 이루어지고 각종 중금속, 세균 등 인체에 해로운 물질을 흡착하며 고온에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맥반석에는 미량의 라듐이 함유된 것이 있어서 가열시 생체의 세포 등을 활성화시키는 라듐가스가 발생하기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경험에 의하면 피조리물의 독성과 냄새도 순화시키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맥반석을 분말로 하여 점토와 혼합하거나 유약으로 하여 만든 세라믹 주방용기들이 공지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97-59145는 맥반석 분말 50%, 고령토 49.5%, 규산소다 0.5%의 비율로 혼합하여 반죽한 후 가열로에서 성형한 맥반석 도기를 제시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95-23630은 게르마늄 성분을 함유한 80∼120메쉬의 맥반석 분말 20%, 점토 35%, 백색카오링 30%, 탄산마그네슘 15%을 혼합한 성형물을 900℃로 1차 소성하고, 다시 맥반석 분말 60%를 함유하는 유약을 도포하여 1250℃에서 2차 소성한 주방용기이다. 끝으로 공개실용신안공보 89-15949는 기존의 사기나 금속제의 주방용기의 내측에 고령토와 혼합한 맥반석 피막(유약)을 입힌 것을 제시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169911에서는 지름 2∼3cm 정도의 일반 암석의 자갈 또는 맥반쇄석을 1차 소성시킨 세라믹판에 깔아 유약을 도포하고 소결시킨 자갈구이판의 경우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맥반석 분말을 점토와 혼합하여 세라믹 주방용기를 만든다거나 유약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맥반석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살리지 못한다.
특히 고기(생육)를 굽기 위한 고기구이판이나 적은 수분을 포함하는 내용물을 가열하는 세라믹 조리용기는 과열되면 피조리물이 용기의 바닥에 눌어 붙는 경향이 있는데, 유약이 피복된 고기구이판에서는 열전도율이 높아 기름이나 수분을 비교적 장시간 보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육의 표면이 신속하게 건조해져서 타거나 눌어 붙는 현상이 나타난다. 또 조리물의 맛에서도 별 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맥반석의 특성이 제대로 발현되지 못하는 이유는 맥반석 분말이 유약 중의 다른 성분이나 점토에 의하여 완전히 덮여진 상태로 소결 및 소성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선행기술의 마지막에서 언급한 자갈구이판의 경우에는 자갈과 자갈 사이에 눌어 붙은 음식물 찌꺼기(기름, 수분, 섬유질 등)가 남아서 반드시 세제를 사용하여 세척한 후 탄소성분은 약 900℃의 불로 태워 없애야 다시 사용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조리물이 쉽게 늘어 붙지 않으며 세척이 용이하고 기공의 유지에 따른 흡착효과와 피조리물의 맛 향상 등 맥반석의 특성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형태로 조리용기의 표면에 용해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리용기에서 맥반쇄석이 용해된 부분을 확대한 종단면도.
도 2는 조리용기 바닥 돌출부의 비교 단면도로서, (a)는 세라믹만으로 돌출시킨 경우, (b)는 본 발명의 경우, (c)는 용해되지 않는 맥반쇄석을 사용한 경우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고기구이판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뚝배기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a,2b: 본체, 4,4a,4b:용해된 맥반석(맥반석 반점), 6,6':유약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열성 점토성형물 본체의 바닥에 SiO2성분을 약 65∼70% 보유하고 있는 맥반쇄석들을 서로 이격되게 배치하고 전체에 유약을 발라 약 1,200±30℃로 초벌구이하고, 다시 용해된 맥반석 위에만 유약을 발라 약 1,100±20℃로 재벌구이하여 상기 본체의 바닥에 완만한 구면 형태로 용해된 맥반석 반점들이 서로 이격되게 돌출되어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조리용기에서 맥반쇄석이 용해된 부분을 확대한 종단면도이다. 먼저 본체(2)를 이루기 위해 점토를 일정한 형태, 즉 비교적 평평하거나 완만한 바닥면을 갖도록 성형한다. 이렇게 성형된 본체(2)의 바닥면 위에 최대지름 약 0.5∼2㎝로 분쇄한 맥반쇄석 중에서 일정한 크기들만을 골라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한다. 배치 간격은 촘촘한 것이 조리에 유리하다.
상기에서 일정 간격이라 하는 것은 녹았을 때 서로 붙지 않을 만큼의 공간이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용해된 맥반석(4)(백반석 반점) 간에 이격된 공간이 존재하지 않으면 본체(2) 쪽에 균열이 발생한다. 실험 결과, 점토 성분으로 이루어진 본체(2)와 맥반석 간의 수축율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용해되는 맥반석(4)의 전체면적이 본체(2) 바닥이 차지하는 면적의 약 60% 이상을 차지하면 균열 내지 파열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맥반쇄석은 SiO2성분을 약 65∼70%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만 용해되며, 그 용해온도는 약 1,200±30℃이다. 표 1은 실험에 사용된 샘플 중에서 용해되는 맥반석과 용해되지 않는 맥반석의 대표적인 성분분석치를 나타내고 있다.
성 분(%) 샘플 A 샘플 B 비 고
SiO2 74.14 64.62 샘플 A : 적색샘플 B : 청회색
Al2O3 14.63 17.01
Fe2O3 1.91 4.04
CaO Tr. 3.66
MgO 0.54 1.82
Igloss 0.73 2.14
P2O5 Tr. Tr.
K2O 3.96 3.08
Na2O 4.03 3.53
MnO 0.04 0.09
샘플 A는 SiO2성분이 74.14%인데 반해 샘플 B는 64.62%이므로 샘플 A는 용해가 않되며 샘플 B는 용해가 된다.
본체(2)는 내열 도자기용의 점토 소재로 성형하고, 바닥에 배치된 맥반쇄석과 함께 흑색 또는 백색의 유약(6)을 발라 위에 언급한 1,200±30℃로 초벌구이(1차 소성)한다. 이러한 초벌구이를 하게 되면 맥반쇄석은 본체(2)의 바닥면에 둥글납작하고 완만한 구면으로 돌출되도록 용해된다. 도 1에서 검은색으로 칠해진 부분이 유약(6)이 소결된 부분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초벌구이를 하게 되면 맥반쇄석이 녹는 과정에서 유약이 모두 흘러내려 용해된 맥반석(4)의 상면은 작은 무수한 기공들 중간 중간에 큰 기공들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큰 기공들을 그대로 놔두게 되면 음식물 등이 끼어 세척이 어려워진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재벌구이(2차 소성)시에 용해된 맥반석(4) 부위만 흑색 또는 백색의 유약(6')을 한번 더 바른다.
재벌구이는 1,100±20℃로 행한다. 이 온도는 2차 도포한 유약(6')이 용해되는 온도이다. 그러니까 재벌구이시에 용해된 맥반석(4) 상면에만 유약(6')을 발랐으므로 그 유약(6')만이 용해되도록 하여 소결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용해된 맥반석(4) 위에 유약(6')을 발라 소결시키는 이유는 초벌구이시에 용해된 맥반석(4) 표면의 큰 기공들을 메워주기 위한 것이다. 도 1에서 용해된 맥반석(4)의 표면에 검게 칠해진 부분이 바로 이렇게 해서 메워진 부분을 예시한 것이다. 재벌구이 후에 용해된 맥반석(4) 표면을 관찰하면 청회색을 띄던 원석(原石) 색깔이 보라색에 가까우면서 채도가 높은 갈색을 띄고 있으며 그 중간 중간에 백색 및 흑색(흑색 유약이 기공에 충진된 부위)이 얼룩지게 나타나 있다.
재벌구이시 1,100±20℃ 이상이 되면 위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이미 용해된 반점 형태의 맥반석(4)이 다시 녹아 거의 평평하거나 괘상으로 변하며, 본체(2)와 맥반석의 수축·팽창율 차이에 의하여 약 70%가 균열 내지 파열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도 2는 조리용기 바닥 돌출부의 비교 단면도이다. (a)는 세라믹만으로 돌출시킨 경우로서, 기존의 내열성 도자기용 점토 소재를 성형할 때 바닥면이 작은 구면으로 돌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것은 고기구이판에 적용할 경우에 고기가 가장 잘 눌어 붙는 단점이 있다. (b)는 본 발명의 경우로서, 고기가 표면에 눌어 붙지 않으며 세척시 세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정도이다. (c)는 용해되지 않는 맥반쇄석을 사용한 경우로서 고기가 잘 눌어 붙으며 세척시 세제를 사용하고 난 후 900℃의 불로 표면을 태워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고기구이판을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본체(2a)는 바닥면이 완만한 구면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본체(2a)의 바닥면에 완만한 구면 형태로 용해된 맥반석 반점(4a)들이 서로 이격되게 돌출되어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뚝배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본체(2b)는 바닥면이 평면을 이루고 있으며, 이 본체(2b)의 바닥면에 완만한 구면 형태로 용해된 맥반석 반점(4b)들이 서로 이격되게 돌출되어 있는 것이다.
피조리물이 쉽게 늘어 붙지 않으며 세척이 용이하고 기공의 유지에 따른 흡착효과와 피조리물의 맛 향상 등 맥반석의 특성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세척시에 세제를 사용하지 않은 물세척만으로도 가볍게 세척이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맥반석의 색과 모양도 자연스럽게 살릴 수 있어서 미려한 외관을 이룬다.

Claims (3)

  1. 내열성 점토성형물 본체의 바닥에 SiO2성분을 약 65∼70% 보유하고 있는 맥반쇄석들을 서로 이격되게 배치하고 전체에 유약을 발라 약 1,200±30℃로 초벌구이하고, 다시 용해된 맥반석 위에만 유약을 발라 약 1,100±20℃로 재벌구이하여, 상기 본체의 바닥에 완만한 구면 형태로 용해된 맥반석 반점들이 서로 이격되게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반석을 용해시킨 세라믹 조리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고기구이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반석을 용해시킨 세라믹 조리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뚝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반석을 용해시킨 세라믹 조리용기.
KR1019990031253A 1999-07-30 1999-07-30 맥반석을 용해시킨 세라믹 조리용기 KR100334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253A KR100334326B1 (ko) 1999-07-30 1999-07-30 맥반석을 용해시킨 세라믹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253A KR100334326B1 (ko) 1999-07-30 1999-07-30 맥반석을 용해시킨 세라믹 조리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701A true KR19990078701A (ko) 1999-11-05
KR100334326B1 KR100334326B1 (ko) 2002-04-25

Family

ID=3747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253A KR100334326B1 (ko) 1999-07-30 1999-07-30 맥반석을 용해시킨 세라믹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43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8795A1 (en) * 2002-04-16 2003-10-30 Is Digital Co.,Ltd. Carbon food cooker and roasted plate manufacturing method using charcoal
KR20040024229A (ko) * 2002-09-13 2004-03-20 윤병기 자장면 그릇의 제조방법
KR100762060B1 (ko) * 2000-10-05 2007-10-04 스기야마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조리용기
KR100850392B1 (ko) * 2007-06-04 2008-08-04 박민수 직화구이기의 화염차단용 내화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내화소재 제조방법
WO2017135561A1 (ko) * 2016-02-04 2017-08-10 세진산업 주식회사 내화학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맥반석 판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952A (ko) * 2002-07-06 2004-01-16 이석 기능성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060B1 (ko) * 2000-10-05 2007-10-04 스기야마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조리용기
WO2003088795A1 (en) * 2002-04-16 2003-10-30 Is Digital Co.,Ltd. Carbon food cooker and roasted plate manufacturing method using charcoal
KR20040024229A (ko) * 2002-09-13 2004-03-20 윤병기 자장면 그릇의 제조방법
KR100850392B1 (ko) * 2007-06-04 2008-08-04 박민수 직화구이기의 화염차단용 내화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내화소재 제조방법
WO2017135561A1 (ko) * 2016-02-04 2017-08-10 세진산업 주식회사 내화학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맥반석 판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4326B1 (ko) 200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1037A (en) Microwave kiln to cook food
KR100334326B1 (ko) 맥반석을 용해시킨 세라믹 조리용기
US4168334A (en) Terra sigillata coated ceramic cookware
CN104193412A (zh) 一种低膨胀无光釉及涂覆有该釉的堇青石烧烤板
US4155788A (en) Ceramic utensils
CN103086717A (zh) 微波炉用耐热皿
KR20040099498A (ko) 무균열내열자기소지및유약조성물
KR20080039591A (ko) 내열 도자기로 된 조리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17722A (ko) 도자기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US4229494A (en) Ceramic utensils
KR100348495B1 (ko) 내열 도자기제 음식물 조리용 용기
KR100220211B1 (ko) 견운모를 사용한 도자기 식기류의 제조방법
US4162334A (en) Method for baking in terra sigillata coated pan
US20160309955A1 (en) Bakeware
JP3412121B2 (ja) 陶磁製遠赤外線放射器の製品及びその製法
WO2000006513A2 (en) Resistant porcelain against heat changes
KR100322961B1 (ko) 황토내열용기
EP2982614A1 (en) Device for microwave cooking
KR20060073791A (ko)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298864Y1 (ko) 기능성 도자기
KR100778290B1 (ko) 세라믹 코디에라이트 또는 세라믹 탄화규소를 이용한 고기구이 판 또는 피자 베이킹 팬 및 그 제조 방법
KR920004256B1 (ko) 게르마늄성분과 맥반석성분을 혼용한 내열점토제 음식물용기의 제조방법
KR20040004952A (ko) 기능성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38623A (ko) 내열성 자기제 내부 용기를 가진 멀티 쿠커
KR100244392B1 (ko) 주방용도기제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