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864Y1 - 기능성 도자기 - Google Patents

기능성 도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864Y1
KR200298864Y1 KR20-2002-0020489U KR20020020489U KR200298864Y1 KR 200298864 Y1 KR200298864 Y1 KR 200298864Y1 KR 20020020489 U KR20020020489 U KR 20020020489U KR 200298864 Y1 KR200298864 Y1 KR 2002988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celain
present
weight
semi
br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
Original Assignee
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 filed Critical 이석
Priority to KR20-2002-0020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8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8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8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ok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능성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자기의 내측 바닥내면(또는 벽내면 등)에 본 고안 구성방법으로 배합된 성분이 재벌구이시 열에 의해 안착된 성분이 중심으로 모이면서 융착 반타원형상의 밤색계열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결착, 소성 된다. 이와 같이 된 도자기 용기에 내용물을 자연 보관시 신선도가 장시간 유지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냉장고 내에서도 오랜 기간 유지 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초벌구이 된 도자기 용기(20) 내,외로 유약을 도포 시킨 후 도자기 용기(20)의 바닥내면(또는 벽내면 등)에 본 고안 구성방법으로 배합된 성분(A)을 안착시켜 재벌구이시 열에 의해 본 고안의 성분 물질과 도자기 용기간의 협력, 융화하게 될 때 밤색계열의 색을 띠고 중심으로 모이면서 반타원형상으로 융착하여 돌출부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제조과정에 있어서, 본 고안 구성방법에 의한 비율로 배합된 성분이 도자기 주재료와 배합 조성될수 없으며, 초벌구이로 인해 모형이 완성된 도자기 내,외에 도포 되는 유약층 상부에 안착되어 소성시 열에 의해 조합되어 진 밤색이나 옅은 밤색계열의 색상으로 변환되어 고형체로 전환될 시 본 구성방법의 성분이 중심으로 모이면서 반타원형상으로 융착하여 돌출부를 형성하여 된 기능성 도자기인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도자기{omitted}
본 고안은 기능성 도자기 및 그 구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자기의 내측 바닥내면(또는 벽내면 등)에 본 고안의 구성방법으로 배합 반죽된 성분(A)이 초벌구이 후에 형성된 도자기의 내. 외면에 유약을 도포한 그 상부 또는 요입홈(21)에 안착시켜 재벌구이시 열에 의해 안착된 성분(A)이 중심을 향해 모아지면서 반타원형상으로 융착하면서 밤색계열의 색을 띠고 돌출부(10)를 형성하여 결착 소성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기능성 용기는 내용물의 신선도를 장기간 보존 유지시키고 도자기 용기와 본 고안의 구성방법으로 배합된 성분이 도자기 용기에 용융되어 형성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으며 또한 도자기와 본 고안의 구성방법으로 배합 반죽된 성분(A)이 도자기에 용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령토(도자기 성분의 흙)와 본 고안의 구성과정 중 어느 한가지 또는 본 고안의 구성방법의 성분과 함께 배합 반죽할 경우 완전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미세한 크랙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고온에서 소성 제조시 균열이 심화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도자기의 제조과정에 있어, 초벌구이 된 도자기의 내. 외면에 유약을 도포하고 그 상부 또는 요입홈(21)에 본 고안의 구성방법의 성분(A)를 안착시켜 재벌구이시 열에 의해 성분들이 중심을 향해 모아지면서 반타원형상으로 융착됨과 동시에 밤색계열의 돌출부(10)를 형성하므로 본 고안의 구성방법으로 배합된 성분들이 모든 생물의 생장을 유지 보존하게 하려 하므로 이를 음식물과 접목시 신선도가 장기간 유지되는데 그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초벌구이 된 도자기 내. 외면에 유약을 도포하고 그 상부면 또는 도자기 요입홈(21) 내에 본 고안 구성방법으로 배합 반죽된 성분(A)을 안착시켜서 재벌구이시 밤색계열의 반타원형상의 돌출부(10)를 형성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도자기 용기 내측 바닥내면의 상세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자기 용기 내측 바닥내면의 상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재벌구이과정을 보인 온도 변화도 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A : 성분
10 : 돌출부
20 : 도자기 용기
21 : 요입홈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자기의 초벌구이된 도자기 내. 외에 유약층을 도포하고 바닥내면(또는 벽내면 등) 상부 또는 요입홈(21)에 본 고안의 구성방법으로 배합된 성분(A)을 안착시켜 융착하게 하여 도자기 용기(20)의 손상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내용물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 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초벌구이 후 유약이 도포된 용기(20)의 바닥내면 상부 또는 요입홈(21)을 갖는 바닥내면(또는 벽내면 등)에 본 고안의 구성방법으로 배합 반죽된 성분(A)을 안착시키고 재벌구이 하여 형성된 밤색계열의 반타원형상의 돌출부(10)를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성분은,
규석(SiO2) 68.9중량%
산화철(Fe2O2) 2.75중량%
알루미나(Al2O3) 15.6중량%
산화칼슘(CaO) 5.29중량%
산화마그네슘(MgO) 0.73중량%
산화칼륨(K2O) 3.07중량%
산화나트륨(Na2O) 3.66중량% 로 조성된 성분(A)을 300~350 매쉬로 분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실시함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도자기 용기(20)의 내측 바닥내면(또는 벽내면 등)에는 재벌구이 형성되는 돌출부(10)가 돌출되지 않게 안착되고, 요입 안착되는 다수의 요입홈(21)을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 제조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초벌구이된 도자기에 유약을 도포 하여 건조한 후 상기 도자기 용기의 내측 바닥내면에 300~350 매쉬로 분쇄된 본 고안의 구성방법으로 배합된 성분 분말에 중량대비 20 ~ 25 % 의 물을 섞어 반죽된 성분(A)을 안착시키고, 재벌구이를 통하여 14시간 이상 가열하여 도자기의 바닥내면(또는 벽내면 등) 또는 요입홈(21)에 안착 된 성분(A)이 용융 안착되어 밤색계열의 타원형상의 돌출부(10)을 형성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도자기 용기(20)의 재벌구이 과정에 있어서, 가열을 시작하여 10시간이 경과 900℃ 의 온도 상승을 유지하게 되면 도자기 용기(20)의 내측 바닥내면(또는 벽내면 등) 또는 요입홈(21)에 안착된 본 고안의 구성방법으로 배합 반죽된 성분(A)의 일부가 도포된 유약 성분과 함께 용융되기 시작하여 13시간 후 1250℃에 온도 상승을 유도하게 되는 시점에서 14시간이 되어 1300℃가 되는 사이에 본 고안 구성방법으로 배합 반죽된 성분(A)이 중심으로 모이면서 밤색계열의 반타원형상의 돌출부(10)가 도자기 용기(20)의 바닥내면 또는 요입홈(21)을 갖는 면에서 융착되어 돌출 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구성방법으로 반죽맥반석 반죽의 융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가열을 중지하게 되면 도자기 용기의 내측 바닥내면(또는 벽내면 등)에 돌출부(10)가 형성된 본 고안의 제조가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본 고안의 밤색계열의 반타원형상의 돌출부(10)에 의하여 각종 음식 또는 식품을 보관 저장하였을 때 다음과 같이 변질 또는 숙성의 속도를 둔화시켜 주며 각종의 식품의 신선도를 실온에서 오래도록 유지시켜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 . 배추 또는 상추와 같은 야채의 경우(주위온도 18~24℃)
- . 각종 김치의 경우(주위온도 18~24℃)
- . 음용수(식수)의 경우(주위온도 18~24℃)
- . 물고기의 경우(주위온도 18~24℃)
따라서, 본 고안은 구성과정에 있어서, 밤색계열의 반타원형상의 돌출부(10)가 도자기 주재료와 배합 조성되지 않고 구이 과정에 미세 균열이 발생하지 않으며, 초벌구이후 도포 되는 유약층의 상부에서 안착되어 재벌구이에 의한 유약층의 융해와 밤색계열의 반타원형상의 돌출부(10)의 부분 융해에 의하여 도자기의 바닥내면(또는 벽내면 등)에 견고하게 돌출부(10)가 융착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자기 용기의 바닥내면에 돌출부(10)를 형성함으로써 담아지는 내용물에 공기, 또는 산소 공급 작용이 하부로부터 균일하게 작용될 뿐 아니라 본 고안구성방법에 의하여 배합된 성분에 의해 내용물이 닿는 부위에서부터 균일하게 침투작용하므로 신선도가 장기간 유지되는 것이다.

Claims (4)

  1. 규석(SiO2) 68.9중량%, 산화철(Fe2O2) 2.75중량%, 알루미나(Al2O3) 15.6중량%,산화칼슘(CaO) 5.29중량%, 산화마그네슘(MgO) 0.73중량%, 산화칼륨(K2O) 3.07중량%,산화나트륨(Na2O) 3.66중량%로 조성되며 300~350 매쉬로 분쇄된 맥반석 분말을 반죽하여서 되는 성분(A)을 초벌구이 후 유약이 도포된 도자기 용기(20)의 바닥내면에 안착시키고 재벌구이 하여 돌출부(10)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도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 용기(20)의 내측 바닥내면에는 재벌구이로 형성되는 밤색계열의 반타원형상의 돌출부(10)가 다수의 요입홈(2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도자기.
  3. 초벌구이 된 도자기에 유약을 도포 하여 건조한 후 상기 도자기 용기의 내측 바닥내면에 300~350 매쉬로 분쇄된 분말에 중량대비 20~25%의 물을 썩어 반죽한 성분(A)을 안착시키고, 재벌구이를 통하여 14시간 이상 가열하여 도자기의 바닥내면 요입홈(21)에 안착된 성분이 용융 안착되어 밤색계열의 반타원형 돌출부(10)를 형성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도자기.
  4. 삭제
KR20-2002-0020489U 2002-07-08 2002-07-08 기능성 도자기 KR2002988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489U KR200298864Y1 (ko) 2002-07-08 2002-07-08 기능성 도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489U KR200298864Y1 (ko) 2002-07-08 2002-07-08 기능성 도자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191A Division KR20040004952A (ko) 2002-07-06 2002-07-06 기능성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864Y1 true KR200298864Y1 (ko) 2003-01-03

Family

ID=49329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489U KR200298864Y1 (ko) 2002-07-08 2002-07-08 기능성 도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8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39209A (en) Ceramic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4225426B2 (ja) 釉薬、窯業製品の製造方法、及び窯業製品
JP2021531047A (ja) 二重壁の飲料容器およびその形成方法
US4168334A (en) Terra sigillata coated ceramic cookware
KR200298864Y1 (ko) 기능성 도자기
JP5776040B2 (ja) セラミックス工芸品用の成形材料
US4155788A (en) Ceramic utensils
JP2008100875A (ja) マイクロ波吸収陶器用釉薬及びマイクロ波吸収陶器
KR100334326B1 (ko) 맥반석을 용해시킨 세라믹 조리용기
KR100512601B1 (ko) 도자기 표면에 물방울 형상을 형성시키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에 의한 도자기 제조방법
KR20040004952A (ko) 기능성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US4162334A (en) Method for baking in terra sigillata coated pan
JP2007217225A (ja) 陶磁器製断熱容器の製造方法
KR200385018Y1 (ko) 기능성 도자기
KR20030017722A (ko) 도자기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WO201814202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naturally cooling ceramic receptacle
US4229494A (en) Ceramic utensils
CN101779895B (zh) 陶瓷真空保温杯的制作工艺
KR20060094615A (ko) 기능성 도자기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
US5492729A (en) Method for making a terra sigillata coated pan
KR100256997B1 (ko) 주방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9980036657A (ko) 견운모를 사용한 도자기 식기류의 제조방법
KR100322961B1 (ko) 황토내열용기
JP3412121B2 (ja) 陶磁製遠赤外線放射器の製品及びその製法
EP2982614A1 (en) Device for microwave coo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