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6657A - 견운모를 사용한 도자기 식기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견운모를 사용한 도자기 식기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6657A
KR19980036657A KR1019960055227A KR19960055227A KR19980036657A KR 19980036657 A KR19980036657 A KR 19980036657A KR 1019960055227 A KR1019960055227 A KR 1019960055227A KR 19960055227 A KR19960055227 A KR 19960055227A KR 19980036657 A KR19980036657 A KR 19980036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a
porcelain tableware
dehydration
manufacturing porcelain
wet m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5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0211B1 (ko
Inventor
구본주
Original Assignee
구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주 filed Critical 구본주
Priority to KR1019960055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0211B1/ko
Publication of KR19980036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2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silicates other than clay
    • C04B35/18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silicates other than clay rich in alumin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605Treating the starting powders individually or as mixtures
    • C04B35/6261Mil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금속을 중화하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는 게르마늄의 원석인 견운모를 사용하여 도자기 식기류 등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열에 약한 견운모를 내열성이 높은 도석, 고령토 등과 적절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므로서 고열소성과정에서 견운모가 용융되어도 성형된 도자기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한 것이며 장석 15-20%, 성상도석 20-25%, 정제도석 5-10%, 고령통 25-30%, 점토 20-25%를 혼합하여 1차 습식분쇄하고 1차 습식분쇄된 혼합분말에 견운모 5-15%를 혼합하여 약 300-350mesh 정도로 2차 습식분쇄한 다음 통상의 방법으로 탈철, 탈수, 토련, 반죽, 성형하고 자연 건조후 약 900℃로 초벌구이하여 냉각시키고 표면에 유약을 도포하고 건조한 다음 약 1,250℃로 소성하여 제조한다.

Description

견운모를 사용한 도자기 식기류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견운모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도자기 식기나 용기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견운모는 게르마늄의 원석으로서 이를 사용하여 각종 도자기 식기나 용기를 제조하면 견운모에 함유된 게르마늄 성분이 음식물 속의 중금속 성분을 중화시키고 잡냄새를 제거하며 음식물이 쉽게 상하지 않도록 하면서 맛의 변질도 방지하는 등의 효과가 있고 또한 열전도율이 높아 가열시간을 단축하고 보온성이 좋아 음식물이 쉽게 식지 않게하며 특히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식기 등의 기름기가 용이하게 제거되므로 설거지가 쉽고 공해도 방지되는 등의 여러가지 뛰어난 효과가 있게 된다.
그러나 견운모는 약 1,100℃에서 용융되기 때문에 통상의 도자기 소성온도인 1250℃의 고온으로 가열할 경우 소성과정에서 용융되어 성형된 용기의 형상이 변형되므로 소성이 곤란하고 따라서 도자기 제조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견운모를 내열성이 높은 도석, 및 고령토 등과 아래의 표(1)과 같이 적절 비율로 혼합하여 성형하고 소성하므로서 고열소성에도 성형된 용기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아 도자기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표 1]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분쇄공정을 1차와 2차로 나누어 도석과 고령토 등 견운모를 제외한 원료들을 약 200mesh 정도로 1차 미분쇄한 다음 이를 견운모와 혼합하고 다시 약 300-350mesh 정도로 2차 분쇄하므로서 고열에 약한 견운모가 지나치게 미분쇄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제1공정]
장석 15-20%, 성상도석 20-25%, 정제도석 5-10%, 고령토 25-30%, 점토 20-25%를 혼합하여 약 200mesh 정도로 1차 습식분쇄하고 습식분쇄된 혼합분말에 견운모 5-15%를 투입혼합한 다음 약 300-350mesh 정도 크기로 별도로 2차 습식분쇄한다.(이상 비율은 중량비임)
[제2공정]
제1공정에서 습식분쇄한 혼합분말을 통상의 방법으로 탈철, 탈수, 토련, 반죽하고 필요한 용기나 식기의 형상으로 성형한 다음 자연건조한다.
[제3공정]
제2공정에서 성형건조한 것을 약 900℃로 초벌구이하고 자연 냉각시킨 다음 제품의 표면에 아래의 표(2)와 같은 원료로 된 유약을 도포하고 자연건조시킨 후 다시 약 1,250℃ 온도로 소성하여 제조를 완성한다.
[표 2]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용융온도가 낮은 견운모를 내열성이 높은 도석등과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므로서 견운모에 함유된 게르마늄의 장점을 갖는 각종 도자기 식기나 용기류의 제조가 가능한 것이다.

Claims (1)

  1. 장석 15-20%, 성상도석 20-25%, 정제도석 5-10%, 고령토 25-30%, 점토 20-25%를 혼합하여 1차 습식분쇄하고 1차 습식분쇄된 혼합분말에 견운모 5-15%를 혼합하여 약 300-350mesh 정도로 2차 습식분쇄한 다음 통상의 방법으로 탈철, 탈수, 토련, 반죽, 성형하고 자연건조 후 약 900℃로 초벌구이하여 냉각시키고 표면에 유약을 도포하고 건조한 다음 약 1,250℃로 소성하여 제조하는 견운모를 사용한 도자기 식기류의 제조방법.
KR1019960055227A 1996-11-16 1996-11-16 견운모를 사용한 도자기 식기류의 제조방법 KR100220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227A KR100220211B1 (ko) 1996-11-16 1996-11-16 견운모를 사용한 도자기 식기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227A KR100220211B1 (ko) 1996-11-16 1996-11-16 견운모를 사용한 도자기 식기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657A true KR19980036657A (ko) 1998-08-05
KR100220211B1 KR100220211B1 (ko) 1999-09-01

Family

ID=19482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5227A KR100220211B1 (ko) 1996-11-16 1996-11-16 견운모를 사용한 도자기 식기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02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8186A (ko) * 2000-12-29 2002-07-12 권태현 식품 용기 제조방법
KR100350348B1 (ko) * 2000-07-29 2002-08-28 유중위 옹기용 점토 제조방법
KR101685930B1 (ko) * 2015-08-28 2016-12-13 김병욱 견운모를 이용한 청자 도자기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953B1 (ko) 2008-11-11 2012-06-20 이호근 운모가 함유된 옹기 제조방법
KR101310719B1 (ko) 2011-08-03 2013-09-25 김영길 직화 가열이 가능한 내열성 분청 다기(茶器)의 제조방법
KR20210126182A (ko) 2020-04-09 2021-10-20 이성호 옻칠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옻칠 도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348B1 (ko) * 2000-07-29 2002-08-28 유중위 옹기용 점토 제조방법
KR20020058186A (ko) * 2000-12-29 2002-07-12 권태현 식품 용기 제조방법
KR101685930B1 (ko) * 2015-08-28 2016-12-13 김병욱 견운모를 이용한 청자 도자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0211B1 (ko) 199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93134A (en) Low density, high strength ceramic article
US3256105A (en) Ceramic molding composition, articles made from same and process for making such articles
KR19980036657A (ko) 견운모를 사용한 도자기 식기류의 제조방법
JPH08283073A (ja) 窯道具
US4168334A (en) Terra sigillata coated ceramic cookware
KR20040081689A (ko)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내열도기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AU545421B2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phosphatic ceramic bodies
CN107032755A (zh) 一种强化瓷质炖盅的制备方法
KR100256997B1 (ko) 주방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0348495B1 (ko) 내열 도자기제 음식물 조리용 용기
JP2013018694A (ja) 耐熱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893689B2 (ja) 電磁調理器用セラミックス製加熱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034808B2 (ja) 耐熱衝撃性セラミック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17722A (ko) 도자기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19990045852A (ko) 황토를이용한도자기의제조방법
US4174364A (en) Process for manufacture of porous metal objects and use of the process for manufacture of a porous mold
KR20040091802A (ko) 소성 열원으로서 석탄분말을 포함하는 벽돌 및 바닥재의제조방법
KR100322961B1 (ko) 황토내열용기
JP7432206B2 (ja) 陶磁器の製造方法、陶磁器製造用顆粒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65774A (ko) 계란껍질이나 패각류 또는 대리석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KR100195761B1 (ko) 게르마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약을 사용한 음식물용기의제조방법
CN1126186A (zh) 石英堇青石质窑具的制作方法
CN104355599A (zh) 一种灰砂陶的坯料配方及其制作方法
CN104003364A (zh) 一种含有合成骨粉的特异型骨质瓷材料及其制备方法
US1245285A (en) Process for making glazed ceramic wa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