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7825A - 기록매체용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기록매체용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7825A
KR19990077825A KR1019990008296A KR19990008296A KR19990077825A KR 19990077825 A KR19990077825 A KR 19990077825A KR 1019990008296 A KR1019990008296 A KR 1019990008296A KR 19990008296 A KR19990008296 A KR 19990008296A KR 19990077825 A KR19990077825 A KR 19990077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ody
shutter
spring
opening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4175B1 (ko
Inventor
미야자키노부타카
스미다다카시
Original Assignee
사토 도리
히다치 마쿠세루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도리, 히다치 마쿠세루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토 도리
Publication of KR19990077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1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8Shut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41Details
    • G11B23/045Co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10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one reel or core, one end of the record carrier coming out of the magazine or cassette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케이스본체내에 상기한 자기테이프,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의 기록매체가 수납되는 기록매체용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셔터의 개폐스트로크의 증가에 지장없이 대응할 수 있고 또 셔터를 필요하고 충분한 스프링력으로 적정하게 폐쇄해 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기록매체를 내장하는 케이스본체(1), 케이스본체(1)에 마련될 개구부(4), 케이스본체(1)에 슬라이드자유롭게 장착되어 개구부(4)를 개폐하는 셔터(5) 및 케이스본체(1)내에 장착되어 셔터(5)에 이것이 개구부(4)를 폐쇄하는 자세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부재(20)을 포함하고, 스프링부재(20)은 인접하는 2개의 코일부(21),(21), 양코일부(21),(21)을 접속하는 브리지부(22) 및 각 코일부(21),(21)에서 연장된 2개의 스프링암(23),(24)를 일체로 구비한 비틀림코일스프링이고, 한쪽의 스프링암(23)이 케이스본체(1)측에 걸어고정되고, 다른쪽의 스프링암(24)가 셔터(5)측에 걸어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드라이브측의 기기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셔터(5)의 개폐스트로크가 큰 경우에도 셔터(5)를 확실하게 폐쇄해 둘 수 있으며, 또 기록매체용 카트리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기록매체용 카트리지{CARTRIDGE FOR RECORDING MEDIUM}
케이스본체내에 기록매체로서의 자기테이프를 감는 단일의 릴을 수납한 단일릴형의 자기테이프 카트리지가 있고 컴퓨터 데이타의 백업용에 사용되고 있다. 별도로 케이스본체내에 기록매체로서의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의 디스크를 회전자유롭게 수납한 디스크테이프 카트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케이스본체내에 상기한 자기테이프,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의 기록매체가 수납되는 기록매체용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특히, 기록매체와의 관계에서 케이스본체에 개구부를 마련하게 되지만, 이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가 폐쇄자세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부재에 개량을 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단일릴형의 자기테이프 카트리지에서는 케이스본체의 앞면에 자기테이프를 케이스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다. 이러한 단일릴형의 자기테이프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를 요동자유롭게 축지지하고 이 셔터가 폐쇄자세로 요동하도록 비틀림코일형 스프링에 의해 힘을 가하는 것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8-63940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사용하지 않을 때 먼지 등의 이물이 케이스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이와 같이 요동식 셔터로 개구부를 개폐하는 구조에서는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셔터가 케이스본체의 앞면에서 외측으로 크게 돌출한다. 그 때문에, 테이프드라이브측에 있어서 테이프로딩기구나 테이프반송기구 등의 메카니즘의 배치에 관해서 설계의 자유도가 낮은 것을 회피할 수 없어 테이프드라이브의 구조의 간소화나 테이프반송의 고속화를 도모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테이프드라이브의 구조의 간소화와 기능향상에 일조하기 위해 셔터를 건구(建具)의 미닫이형상으로 변경해서 셔터를 케이스본체의 외곽선내에서 슬라이딩개폐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미닫이형의 셔터는 이것을 원리적으로 보면 슬라이딩전환되는 오소거방지용 프로텍트노치와 마찬가지인 지지구조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간단히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단일릴형의 자기테이프 카트리지의 경우에는 테이프끝에 고정한 테이프인출기구를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대기유지해 둘 필요가 있으므로, 테이프인출기구를 포착하는 로딩기구의 동작범위에 대응해서 개구부를 좌우방향으로 크게 개구해야만 하고 그 분만큼 셔터의 개폐스트로크가 커지는 점에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상기한 디스크테이프 카트리지에 있어서도 발생한다. 거기에는 케이스본체에 신호리드라이트용 개구부를 마련하고 있지만, 이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가 케이스본체에 슬라이드자유롭게 장착된다. 그 때, 사용하지 않을 때의 먼지 등의 침입방지를 위해 셔터가 폐쇄자세로 이동하도록 비틀림코일스프링류에 의해 힘을 가하고자 하면, 이 경우에도 셔터의 개폐스트로크가 커지기 때문이다.
원래, 슬라이딩식 셔터의 개폐스트로크가 커지면 셔터가 폐쇄자세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의 배치나 개방시와 폐지시의 스프링의 장력변화폭을 적정화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셔터의 개폐스트로크가 작은 경우에는 단일 코일부의 양끝으로 스프링암을 연장시킨 통상형태의 비틀림코일스프링에 의해 셔터가 지장없이 폐쇄하도록 힘을 가할 수 있고, 스프링의 장력도 선직경이나 감기수 등을 적당히 선택하는 것에 의해 설계자의 의도대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개폐스트로크가 커짐에 따라 비틀림코일스프링의 1쌍의 스프링암의 개방스트로크가 부족하게 되는 경향을 발생한다. 특히, 상기한 단일릴형 자기테이프 카트리지에 있어서 비틀림코일스프링을 케이스본체의 내면에 기립자세로 배치하는 경우에는 스프링암의 상하치수를 케이스본체의 내면의 상하치수보다 작게 해야만 하므로, 셔터의 개폐스트로크가 케이스본체의 상하치수를 초과해서 커지면 1쌍의 스프링암의 개폐스트로크가 부족하다.
또, 셔터의 개폐스트로크가 커지면, 스프링암의 변위량도 커지고 그 분만큼 스프링의 장력변화폭이 커진다. 그 때문에, 스프링암의 개폐스트로크에 관해서 통상형태의 비틀림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에 문제가 없었다고 해도 셔터의 개방시와 폐지시에 극단적인 장력차를 발생해서 장기사용시에 스프링이 열화하기 쉽다. 장력의 변화폭은 코일부의 감기수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감기수의 증가에 따라서 비틀림코일스프링의 전후두께가 커진다. 따라서, 비틀림코일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케이스본체의 내부에 충분한 스페이스를 확보해야만 하고 그 분만큼 케이스본체의 외형치수가 커진다. 즉, 코일직경이 작은 압축스프링이나 인장스프링을 사용했다고 해도 그 수용스페이스를 작게 하는 것은 곤란하고 케이스본체의 소형화에는 기여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식의 셔터가 폐쇄자세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부재로서 2개의 코일부를 구비한 특수 비틀림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셔터의 개폐스트로크의 증가에 지장없이 대응할 수 있고, 또 셔터를 필요하고 충분한 스프링력으로 적정하게 폐쇄해 둘 수 있는 기록매체용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테이프인출용 개구부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자유로운 미닫이형상의 셔터로 개폐하는 단일릴형의 자기테이프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얇은 판형상의 셔터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안내하는 전후폭이 작은 스페이스의 안내공간내에 있어서도 스프링부재를 이것의 코일부가 위쪽에 위치하는 종(縱)자세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단일릴형의 자기테이프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호리드라이트용 개구부를 슬라이드자유로운 셔터로 개폐하는 디스크테이프 카트리지에 있어서, 작은 스페이스내에 있어서도 개폐스트로크가 큰 셔터가 폐쇄자세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부재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본체내의 상하높이치수가 너무 작아서 스프링부재를 코일부가 위쪽에 위치하는 종자세로 조립할 수 없는 경우에도 케이스본체의 1개의 각형 코너부내에 발생하는 불필요한 공간(dead space)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스프링부재를 이것의 코일부가 대략 수평인 횡자세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디스크테이프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셔터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자기테이프 카트리지의 주요부의 일부절단정면도,
도 2는 자기테이프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3은 자기테이프 카트리지의 테이프인출기구의 유지구조를 도시한 횡단평면도,
도 4는 셔터를 폐쇄한 상태에서의 자기테이프 카트리지의 일부절단정면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도 6은 자기테이프 카트리지의 셔터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7은 셔터를 폐쇄한 상태에서의 디스크카트리지의 평면도,
도 8은 셔터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디스크카트리지의 평면도,
도 9는 디스크카트리지의 주요부의 종단측면도,
도 10은 셔터를 폐쇄한 상태에서의 디스크카트리지내의 주요부의 확대평면도,
도 11은 셔터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디스크카트리지내의 주요부의 확대평면도.
[부호의 설명]
1:케이스본체, 2:릴, 3:테이프, 4:개구부, 5:셔터, 7:테이프인출기구, 15, 17:스프링걸림부, 20:스프링부재, 21:코일부, 22:브리지부, 23, 24:스프링암, 30:디스크, 31:케이스본체의 주면벽, 33:셔터의 본체부분, 34:셔터의 종연결벽, 35, 37:스프링걸림부, 36:각형 코너부.
본 발명의 기록매체용 카트리지는 기록매체를 내장하는 케이스본체(1), 기록매체에 관련해서 케이스본체(1)에 마련될 개구부(4), 케이스본체(1)에 슬라이드자유롭게 장착되고 개구부(4)를 개폐하는 셔터(5) 및 케이스본체(1)내에 장착되고 셔터(5)에 이것이 개구부(4)를 폐쇄하는 자세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부재(20)으로 이루어진다. 그 스프링부재(2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코일부(21),(21), 양코일부(21),(21)을 접속하는 브리지부(22) 및 각 코일부(21),(21)에서 연장된 2개의 스프링암(23),(24)를 일체로 구비한 비틀림코일스프링이고, 한쪽의 스프링암(23)이 케이스본체(1)측에 걸어고정되고, 다른쪽의 스프링암(24)가 셔터(5)측에 걸어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매체가 자기테이프(3)이고 자기테이프(3)을 감는 단일의 릴(2)가 케이스본체(1)내에 배치되어 있는 단일릴형의 자기테이프 카트리지를 대상으로 한다. 그 케이스본체(1)의 앞면에는 자기테이프(3)을 케이스본체(1)의 앞쪽 외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4)가 마련되어 있고, 자기테이프(3)의 공급단에 테이프인출기구(7)이 연결되어 있고, 케이스본체(1)의 개구부(4)에는 이 개구부(4)를 셔터(5)로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셔터(5)의 내측에 테이프인출기구(7)을 대기자세로 유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본체(1)의 앞벽(6)과 앞벽(6)의 내측에 대향형상으로 배치된 안내벽(16)에 의해 셔터(5)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자유롭게 안내지지되어 있고, 스프링부재(20)은 앞벽(6)과 안내벽(16) 사이의 안내공간에 있어서 좌우에 인접하는 양코일부(21),(21)이 위쪽에 위치하고, 양스프링암(23),(24)가 각 코일부(21),(21)에서 좌우양외측으로 늘어지도록 기립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셔터(5)에는 스프링암(24)가 걸어고정되는 베이스끝부(12)의 위쪽부분에 개구부(4)를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양코일부(21),(21)과의 당접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노치부(14)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본체(1)과 셔터(5)에는 각 스프링암(23),(24)의 선단을 걸어고정하는 스프링걸림부(15),(17)이 각각 마련되어 있고, 양스프링걸림부(15),(17)의 적어도 한쪽이 상하방향으로 긴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양스프링걸림부(15),(17)이 모두 상하방향으로 긴 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도 7∼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매체가 한쪽면 내지 양면에 정보신호를 기록하는 원반형상의 디스크(30)이고, 케이스본체(1)내에 디스크(30)이 회전자유롭게 배치된 디스크카트리지를 대상으로 한다. 거기에서는 케이스본체(1)의 주면벽(31)에 디스크(30)에 대한 신호리드라이트용 개구부(4)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본체(1)에는 상기 개구부(4)를 개폐하는 셔터(5)가 슬라이드자유롭게 장착되어 있고, 케이스본체(1)내에는 셔터(5)에 이것이 개구부(4)를 폐쇄하는 자세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부재(20)을 구비하고 있다. 그 스프링부재(20)은 2개의 코일부(21),(21)과 1쌍의 스프링암(23),(24)를 갖는 상술한 특수 비틀림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본체(1)의 상하의 주면벽(31)에 신호리드라이트용 개구부(4)가 마련되어 있고, 셔터(5)가 케이스본체(1)의 상하의 외표면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자유롭게 장착되어 상하의 개구부(4),(4)를 개폐하는 본체부분(33),(33)과 상하의 본체부분(33),(33)끼리를 연결하는 종연결벽(34)로 이루어지고, 케이스본체(1)의 좌우의 하나의 각형 코너부(36)내에 있어서 스프링부재(20)의 한쪽의 스프링암(23)이 케이스본체(1)측에 걸어고정되고, 스프링부재(20)의 다른쪽의 스프링암(24)가 케이스본체(1)내를 향하는 종연결벽(34)의 스프링걸림부(35)에 걸어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부재(20)은 좌우에 인접하는 양코일부(21),(21)이 뒤쪽에 위치해서 양스프링암(23),(24)가 각 코일부(21),(21)에서 좌우양외측의 앞쪽으로 연장하는 대략 수평자세로 배치되어 있고, 신호리드라이트용 개구부(4)를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양스프링암(23),(24)가 서로 접근함과 동시에 양코일부(21),(21)이 케이스본체(1)의 좌우의 1측벽 측으로 퇴피하도록 되어 있다.
스프링부재(20)으로서 2개의 코일부(21),(21)과 1쌍의 스프링암(23),(24)로 이루어지는 특수 비틀림코일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코일부가 1개의 통상형태의 비틀림코일형의 스프링에 비해 1쌍의 스프링암(23),(24)의 확대축소변위 스트로크를 충분히 증가시킬 수 있다.
2개의 코일부(21),(21)에 의해 필요하고 충분한 코일감기수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셔터(5)의 개폐스트로크가 큰 경우에도 셔터(5)의 개방시와 폐지시의 스프링장력의 변동폭이 작아지고 그분만큼 장기사용시의 스프링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2개의 코일부(21),(21)이 좌우에 인접해서 브리지(bridge)부(22)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면, 충분한 코일감기수를 구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프링부재(20)의 전후두께를 작게 할 수 있고 박판형상의 셔터(5)의 안내공간을 이용해서 스프링부재(20)을 배치할 수 있다.
단일릴형의 자기테이프 카트리지의 경우 1쌍의 스프링암(23),(24)는 셔터(5)가 폐쇄되어 있을 때 좌우횡방향으로 가장 떨어져 있지만, 셔터(5)의 개방시에는 상대적으로 접근해서 종방향의 치수성분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각 코일부(21),(21)은 스프링암(23),(24)의 변위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고 동시에 셔터(5)에 연결된 스프링암(24)의 변위방향에 추종해서 횡이동한다. 이와 같은 코일부(21),(21)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해서, 스프링걸림부(15),(17)의 적어도 한쪽이 상하방향으로 긴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스프링걸림부(15),(17)이 상하방향의 긴 홈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셔터(5)의 개폐에 따라 스프링암(23),(24)가 각 스프링걸림부(15),(17)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종(縱)치수성분을 흡수하므로, 코일부(21),(21)의 상하이동을 더욱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바꿔말하면, 케이스본체(1)내의 상하높이치수에 제약이 있어도 지장없이 스프링부재(20)을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디스크카트리지의 경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부재(20)을 대략 수평자세로 배치하고 있으면 1쌍의 스프링암(23),(24)는 셔터(5)가 폐쇄되어 있을 때 좌우방향으로 가장 떨어져 있고, 뒤쪽(케이스내측)에 위치하는 양코일부(21), (21)이 디스크(30) 등에 부주의하게 맞닿는 일이 없다. 셔터(5)를 개방해 가면 양스프링암(23),(24)가 상대적으로 접근해서 양코일부(21),(21)이 디스크(30)측으로 가까워지는 뒤쪽으로의 이동성분이 발생한다. 그러나, 셔터(5)의 개방이동에 따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코일부(21),(21)은 좌우의 1측벽 측으로 이동해 가므로, 디스크(30) 등에 당접간섭하지 않고 퇴피해 간다. 이것은 케이스본체(1)의 좌우의 하나의 각형 코너부(36)내에 있어서 디스크(30)과의 사이에 발생한 삼각형의 불필요한 공간D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케이스본체(1)내의 상하높이치수에 제약이 있어 스프링부재(20)을 종자세로 조립할 수 없는 경우에도 스프링부재(20)을 양코일부(21),(21)이 위쪽에 위치하는 대략 수평자세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지장없이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제1 실시예
도 1∼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용 카트리지의 제1 실시예로서, 단일릴형의 자기테이프 카트리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자기테이프 카트리지는 상하케이스(1a), (1b)를 뚜껑맞춤형상으로 접합해서 이루어지는 사각상자형상의 케이스본체(1)을 갖고, 케이스본체(1)의 내부에 배치한 단일의 릴(2)에 자기테이프(3)이 감겨 장착되어 있다. 케이스본체(1)은 테이프드라이브에 대해서 도 2의 화살표 P방향으로 장전된다. 설명의 편의상, 도 2에 있어서 케이스본체(1)의 우측벽을 앞벽(6)으로서 보면, 이 앞벽(6)의 한쪽끝(도면에서는 우측단)에는 테이프인출용 개구부(4)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본체(1)에는 개구부(4)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5)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개구부(4)를 향하는 케이스본체(1)의 우측횡측벽의 앞끝에는 셔터(5)의 받이부(13)을 끼워넣는 노치(18)이 마련되어 있다.
릴(2)에 감겨 장착된 자기테이프(3)을 케이스밖으로 인출해서 조작하기 위해서 테이프(3)의 공급단에는 테이프인출기구(7)이 연결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형상의 테이프인출기구(7)의 상하중간부분에 테이프(3)의 끝부를 고리형상으로 감겨진 후 고리형상부분에 완충체와 단면C자형의 클립(8)을 순차 외부에서 끼워장착하고 자기테이프(3)의 끝부에 테이프인출기구(7)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4)에는 상기 개구부(4)를 셔터(5)로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셔터(5)의 내측에 테이프인출기구(7)을 대기자세로 유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즉, 개구부(4)의 횡측벽 측의 내측에는 상하케이스(1a),(1b)와 일체로 탄성변형가능한 유지부(9)가 상하에 마련되어 있고, 이들 유지부(9)에 테이프인출기구(7)의 상하양끝의 축부를 걸어맞춰 유지하는 것에 의해 테이프인출기구(7)을 수직자세로 대기유지시킬 수 있다. 즉, 개구부(4)의 앞면을 셔터(5)로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셔터(5)의 내측에 테이프인출기구(7)을 유지한 상태로 할 수 있다. 테이프드라이브에 마련한 로딩부재는 셔터(5)을 개방조작한 상태하에서 클립(8)과 상하의 유지부(9) 사이의 축부분을 포착하여 테이프인출기구(7)을 케이스밖으로 빼내거나 또는 테이프(3)의 되감기와 병행해서 테이프인출기구(7)을 유지부(9)에 압압해서 끼우는 형태로 걸어맞춰 케이스내로 되돌려 보낸다. 이와 같은 로딩부재의 출입을 허용하므로, 개구부(4)가 좌우횡장으로 크게 개구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셔터(5)는 개구부(4)를 개폐하는 주면벽(11)과 항상 케이스본체(1)의 앞벽(6)의 내측에 위치하는 좌측의 베이스끝부(12)를 일체로 형성한 박판형상의 플라스틱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주면벽(11)의 폐쇄 시단(始端)(도면을 향해 우측단)측의 옆가장자리 외면에 테이프드라이브측의 조작돌기에 의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조작되는 받이부(13)이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셔터(5)의 개방시단으로 되는 베이스끝부(12)의 상부가장자리는 주면벽(11)의 상부가장자리에 대해 단락형상(한단락 하강한 형상)으로 움푹 들어가게 해서 노치부(14)로 하고 있다. 이 노치부(14)의 이면측의 벽면은 주면벽(11)의 이면에서 약간 단락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단락면의 대략중앙에 상하로 긴 홈으로 형성한 스프링걸림부(15)가 관통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단락면을 마련하는 것은 후술하는 스프링부재(20)의 한쪽의 스프링암(24)를 끼워 넣기 위함이다. 셔터(5)의 개방시에 스프링부재(20)의 코일부(21)과 셔터(5)가 당접간섭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노치부(14)가 마련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5)는 케이스본체(1)의 앞벽(6)과 앞벽(6)의 내면에 대향형상으로 배치한 안내벽(16)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자유롭게 안내지지되어 개구부(4)를 개폐한다. 앞벽(6) 및 안내벽(16)은 각각 상하 케이스(1a),(1b)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하케이스(1a),(1b)의 접합면에 있어서 상하로 연속해서 베이스끝부(12)와 주면벽(11)을 슬라이딩안내하지만, 개구부(4)를 향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주면벽(11)의 상하끝만을 안내한다. 앞벽(6)과 안내벽(16)의 전후간격은 셔터(5)의 주면벽(11)의 두께보다 약간 큰 치수로 설정한다. 스프링부재(20)의 한쪽의 스프링암(23)을 걸어고정시키기 위해서, 하부케이스(1b)측의 안내벽(16)에는 상하로 긴 홈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걸림부(17)을 마련한다. 이 스프링걸림부(17)은 상부끝이 스프링암(23)의 도입용으로 개구되어 있지만, 이 개구는 상부케이스(1a)측의 안내벽(16)에 의해 막혀진다.
셔터(5)가 폐쇄자세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기 위해, 앞벽(6)과 안내벽(16)으로 구획한 양자(6),(16) 사이의 안내공간의 내부에 스프링부재(20)을 배치한다. 도 6에 있어서, 스프링부재(20)은 좌우에 인접하는 2개의 코일부(21),(21), 양코일부(21),(21)의 앞끝끼리를 접속하는 브리지부(22) 및 각 코일부(21),(21)에서 연장된 좌우 2개의 스프링암(23),(24)를 일체로 형성한 스프링선재제의 비틀림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1쌍의 스프링암(23),(24)는 이것이 좌우횡방향으로 확대개방되는 방향의 스프링력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1쌍의 스프링암(23),(24)는 각각 코일부(21)의 후단에서 아래쪽으로 늘어지도록 연장되어 있고, 각각의 선단에는 전후역방향의 걺부재(25),(26)이 각각 절곡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걺부재(26)은 셔터(5)의 스프링걸림부(15)에 걸어맞춰 고정되고, 다른쪽의 걺부재(25)는 안내벽(16)의 스프링걸림부(17)에 걸어맞춰 고정된다. 코일부(21)의 전후두께치수는 앞벽(6)과 안내벽(16)의 전후간격보다 약간 작다.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셔터(5)는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프링부재(20)의 스프링력을 받아 폐쇄측으로 이동하도록 힘이 받고 개구부(4)를 폐지하고 있다. 이 상태의 스프링부재(20)의 양코일부(21),(21)은 안내공간의 상벽에 고정되어 있다. 자기테이프 카트리지를 테이프드라이브에 장전하면, 셔터(5)의 우측단에 마련한 받이부(13)이 테이프드라이브측의 조작돌기와 맞닿으므로 셔터(5)가 스프링부재(20)의 부세력에 저항해서 개방조작된다. 이 동안에 스프링부재(20)은 스프링암(23),(24) 끼리가 접근하도록 탄성변형하고 종방향의 치수성분이 증가한 분만큼 각 걺부재(25),(26)이 스프링걸림부(15),(17)을 따라 아래쪽으로 슬라이딩해서 치수변화를 흡수한다. 셔터(5)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쌍의 코일부(21),(21)은 안내공간의 가장안쪽부(좌측)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셔터(5)가 코일부(21),(21)과 당접간섭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상술한 노치부(14)를 마련하고 있고, 베이스끝부(12)가 코일부(21),(21)보다 하측의 안내공간내로 들어가는 것을 허용한다. 이 후 테이프인출기구(7)을 로딩부재에 의해 포착해서 자기테이프(3)을 케이스밖으로 인출한다.
자기테이프 카트리지의 조립시에는 스프링부재(20)의 한쪽의 스프링암(24)의 걺부재(26)을 셔터(5)의 베이스끝부(12)의 이면측에서 스프링걸림부(15)에 걸어맞춘 후 셔터(5)를 앞벽(6)과 안내벽(16) 사이에 끼워넣어 장전하고, 다른쪽의 스프링암(23)의 걺부재(25)를 하부케이스(1b)측의 스프링걸림부(17)에 끼워넣는 것만으로 셔터(5) 및 스프링부재(20)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 양스프링걸림부(15),(17)에 걸어고정한 스프링부재(20)은 셔터(5)를 폐쇄조작한 상태에 있어서 안정하게 되기 쉬운 확대개방변형상태로 되므로, 조립공정의 종단에서 상부케이스(1a)의 하부케이스(1b)에 조립할 때 스프링부재(20)이 하부케이스(1b)에서 튕겨나가는 일도 없어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셔터(5)측의 스프링걸림부(15)는 베이스끝부(12)의 하부가장자리측에서 개구하고 있어도 좋다. 셔터(5)와 안내벽(16)에 마련한 스프링걸림부(15),(17)은 걺부재(25),(26)을 끼워넣는 둥근구멍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단, 이 경우의 스프링부재(20)은 베이스끝부(12)의 상하치수를 작게 해서 코일부(21)과의 당접간섭을 회피하도록 해야 한다. 안내벽(16)은 하부케이스(1b) 또는 상부케이스(1a)의 한쪽에서 돌출시켜 형성할 수 있다. 즉, DAT(디지탈 오디오 테이프)방식의 자기테이프 카트리지에 있어서도 케이스본체(1)의 앞면에 테이프로딩용 개구부(4)를 갖고, 케이스본체(1)의 바닥벽의 외측에 상기 개구부(4)의 개구하면을 개폐하는 셔터(5)를 전후로 슬라이드자유롭게 장착하고, 케이스본체(1)과 셔터(5) 사이에는 셔터(5)에 이것이 상기 개구부(4)를 폐쇄하는 자세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부재(20)을 걸어서 장착하고 있고, 이 셔터(5)의 전후슬라이딩 스트로크도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DAT방식의 자기테이프 카트리지에 적용해도 유효하다.
제2 실시예
도 7∼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용 카트리지를 디스크카트리지에 적용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 디스크카트리지는 정보신호를 기록하는 원반형상의 광자기디스크(이하, 간단히 디스크라 한다)와 이 디스크(30)을 회전자유롭게 수용하는 케이스본체(1)로 이루어진다. 디스크(30)은 디스크본체의 한쪽면 내지 양면에 정보신호를 기록할 수 있고 디스크본체의 하면중앙에 회전구동용 허브가 고정되어 있다.
도 9에 있어서, 케이스본체(1)은 각각 플라스틱성형된 상부케이스(1a)와 하부케이스(1b)를 접합한 평면에서 볼때 사각형인 편평한 케이스로 이루어진다. 케이스본체(1)은 디스크드라이브에 대해서 도 7의 화살표 P방향으로 장전된다. 설명의 편의상, 도 7의 앞벽(6)을 기준으로 해서 설명하면, 케이스본체(1)의 상하의 주면벽(31),(31)에는 앞쪽 가장자리측의 좌우중앙부위에 신호리드라이트용 개구부(4)가 마련되어 있고, 케이스본체(1)에 상기 개구부(4)를 개폐하는 플라스틱제의 셔터(5)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이 셔터(5)는 개구부(4)를 폐쇄하는 중앙위치와 개구부(4)를 개방하는 좌우의 1측(도면에서 좌측) 쪽에 걸쳐서 슬라이딩이동할 수 있고 케이스본체(1)내에 장착한 스프링부재(20)에 의해 폐쇄자세로 이동하도록 힘을 받고 있다. 케이스본체(1)의 상하의 주면벽(31),(31)에는 외표면에 셔터(5)의 개폐영역에 대응해서 얕은 슬라이딩오목부(32)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케이스(1b)의 중앙에는 허브구동구(38)을 마련하고 있고 이 허브구동구(38)을 거쳐서 디스크(30)이 회전구동된다.
도 9에 있어서, 셔터(5)는 케이스본체(1)의 상하의 주면벽(31),(31)에 마련한 슬라이딩오목부(32)에 있어서, 상기 주면벽(31),(31)의 외표면을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해서 상하의 개구부(4),(4)를 개폐하는 본체부분(33),(33)과 상하의 본체부분(33),(33)끼리를 연결하는 종연결부(34)로 이루어진다. 종연결부(34)의 좌측단부위에 스프링걸림부(35)가 뒤쪽을 향해 일체로 돌출되어 있고, 이 스프링걸림부(35)가 케이스본체(1)의 내부를 향하고 있다. 케이스본체(1)의 앞쪽좌측의 코너부(36)은 실질적으로 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각형 코너부(36)의 내측에 있어서 케이스본체(1)의 좌측벽의 앞끝에 별도로 스프링걸림부(37)이 마련되어 있다. 각형 코너부(36)내에는 디스크(30)의 원형의 바깥둘레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삼각형 의 불필요한 공간D가 발생해 있고 스프링부재(20)은 이 불필요한 공간D에 장착된다.
케이스본체(1)의 각형 코너부(36)을 포함하는 앞벽(6)의 부분은 상하중앙이 개구하고 있고 이 개구를 거쳐서 스프링걸림부(35)가 케이스본체(1)내로 들어가 있다. 케이스본체(1)내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벽(6)의 내측에 상기 앞벽(6)과 평행한 안내벽(39),(39)가 상하의 주면벽(31),(31)에서 상하대향형상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하의 안내벽(39),(39) 사이에 틈(간극)(40)을 갖는다. 블럭형상의 스프링걸림부(35)는 케이스본체(1)의 앞벽(6)과 안내벽(39) 사이에 있어서 좌우횡방향으로 슬라이딩안내된다. 또,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각형 코너부(36)을 포함해서 디스크(30)의 외측에는 원호형상의 격벽(41)을 마련하고 있고, 이 격벽(41)에 의해 디스크(30)의 수용공간으로 외부에서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스프링부재(20)은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우에 인접하는 2개의 코일부(21),(21), 양코일부(21),(21)의 앞끝끼리를 접속하는 브리지부(22) 및 각 코일부(21),(21)에서 연장된 좌우 2개의 스프링암(23),(24)를 일체로 형성한 스프링선재제의 비틀림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1쌍의 스프링암(23),(24)는 이것이 좌우횡방향으로 확대개방되는 방향의 스프링력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각형 코너부(36)내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부재(20)은 좌우에 인접하는 양코일부(21),(21)이 뒤쪽(케이스내측)에 위치하고 양스프링암(23),(24)가 각 코일부(21),(21)에서 좌우 양 횡 외측의 앞쪽으로 연장하는 대략 수평의 횡자세로 배치하고, 한쪽의 스프링암(23)의 선단을 케이스본체(1)측의 스프링걸림부(37)에 걸어맞춰 고정하고, 다른쪽의 스프링암(24)의 선단은 상기 틈(40)을 거쳐서 셔터(5)측의 스프링걸림부(35)에 걸어맞춰 고정하고 있다.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5)에 이것의 본체부분(33),(33)이 상하의 개구부(4),(4)를 폐쇄하도록 스프링부재(20)에 의해 힘을 가하고 있다. 필요에 따라서 셔터(5)를 폐쇄자세로 유지하는 록수단이 별도로 마련된다. 이 때의 스프링부재(2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스프링암(23),(24)가 좌우횡방향으로 최대한으로 개방되어 있고, 양코일부(21),(21)의 케이스뒤쪽으로의 돌출은 가장 작고, 양코일부(21),(21)은 디스크(30)의 바깥둘레 가장자리, 정확하게는 상기 격벽(4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디스크드라이브에 대해서 케이스본체(1)을 화살표P방향으로 장전하면 셔터(5) 이것 전체가 스프링부재(20)의 스프링력에 저항해서 좌측쪽으로 이동하면서 개방된다. 이것에 따라 스프링부재(20)은 한쪽의 스프링암(23)에 대해서 다른쪽의 스프링암(24)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최종적으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형 코너부(36)의 좌측횡측벽에 바싹붙는 형태로 된다. 스프링부재(20)의 좌측쪽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양코일부(21),(21)의 케이스뒤쪽으로의 돌출치수성분이 증가하게 되지만, 코일부(21)이 단일인 경우에 비해서 증가량이 작고 또한 좌측횡측벽으로 가까워짐에 따라서 디스크(30)의 외주의 격벽(41)과 양코일부(21),(21)의 거리는 반대로 멀어져 가는 것으로 되고 있다. 따라서, 셔터(5)가 개구부(4)를 완전히 개방하는 전과정에 있어서 양코일부(21),(21)은 각형 코너부(36)내의 삼각형의 불필요한 공간D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격벽(41)에 간섭하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부재(20)은 셔터(5)와 케이스본체(1)의 우측벽 사이에 개재시켜도 좋다. 디스크(30)이 광디스크나 자기디스크이어도 좋다. 디스크드라이브에 대한 케이스본체(1)의 장전방향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내부에 스프링부재(20)이 장착되는 케이스본체(1)의 각형 코너부(36)은 실질적으로 각형이면 좋고 일부가 둥글게 각이 깍인 형태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프링부재(20)을 도 6의 종자세로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1쌍의 코일부(21),(21)의 앞끝끼리를 브리지부(22)에 의해 접속했지만, 한쪽의 코일부(21)의 뒤끝과 다른 쪽의 코일부(21)의 앞끝을 브리지부(22)에 의해 접속해도 좋고, 브리지부(22)를 양코일부(21),(21)의 하단측에 마련해도 좋다. 요컨데 1쌍의 코일부(21),(21)과 1쌍의 스프링암(23),(24)가 일필서(한번에 내려 쓴)형상으로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식의 셔터(5)에 의해 개구부(4)를 개폐하도록 했으므로, 개구부(4)를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셔터(5)가 케이스본체(1)의 외면으로 크게 돌출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브측의 기기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셔터(5)가 폐쇄되도록 힘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부재(20)은 2개의 코일부(21),(21)을 구비한 특수 비틀림코일스프링으로 했으므로, 1쌍의 스프링암(23),(24)의 확대축소 스트로크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코일부(21)의 감기수를 필요한 만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셔터(5)의 개폐스트로크가 큰 경우에도 셔터(5)를 확실하게 폐쇄해 둘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셔터(5)에 작용하는 스프링력의 변화폭을 작게 해서 스프링부재(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기록매체용 카트리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단일릴형의 자기테이프 카트리지에 있어서는 스프링부재(20)의 양코일부(21),(21)이 좌우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것에 의해 충분한 코일감기수를 구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프링부재(20) 그 자체의 전후 두께를 작게 할 수 있고, 따라서 박판형상의 셔터(5)의 안내공간을 이용해서 그 내부에 스프링부재(20)을 양코일부(21),(21)이 위쪽에 위치하는 종자세로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케이스본체(1)의 소형화를 실현하는데 유리하고 전후스페이스가 극단적으로 작은 경우에도 스프링부재(20)을 지장없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디스크카트리지에 있어서는 케이스본체(1)의 각형 코너부(36)내에 삼각형의 불필요한 공간D가 디스크(30)과의 사이에 발생하므로, 이 불필요한 공간D에 상기 스프링부재(20)을 양코일부(21),(21)이 케이스후방측으로 돌출하는 대략 수평자세로 장착하도록 했으므로, 케이스본체(1)내의 상하높이치수가 작은 경우에도 상기 불필요한 공간D를 유효하게 이용해서 스프링부재(20)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8)

  1. 기록매체를 내장하는 케이스본체(1),
    기록매체에 관련해서 케이스본체(1)에 마련될 개구부(4),
    케이스본체(1)에 슬라이드자유롭게 장착되어 개구부(4)를 개폐하는 셔터(5) 및
    케이스본체(1)내에 장착되어 셔터(5)에 이것이 개구부(4)를 폐쇄하는 자세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부재(20)을 포함하고,
    스프링부재(20)은 인접하는 2개의 코일부(21),(21), 양코일부(21),(21)을 접속하는 브리지부(22) 및 각 코일부(21),(21)에서 연장된 2개의 스프링암(23),(24)를 일체로 구비한 비틀림코일스프링이고,
    한쪽의 스프링암(23)이 케이스본체(1)측에 걸어고정되고, 다른쪽의 스프링암(24)가 셔터(5)측에 걸어고정되어 있는 기록매체용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기록매체가 자기테이프(3)이고 자기테이프(3)을 감는 단일의 릴(2)가 케이스본체(1)내에 배치되어 있고,
    케이스본체(1)의 앞면에 자기테이프(3)을 케이스본체(1)의 앞쪽외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4)가 마련되어 있고,
    자기테이프(3)의 공급단에 테이프인출기구(7)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4)에는 상기 개구부(4)를 셔터(5)로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셔터(5)의 내측에 테이프인출기구(7)을 대기자세로 유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기록매체용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케이스본체(1)의 앞벽(6)과 앞벽(6)의 내측에 대향형상으로 배치한 안내벽(16)에 의해 셔터(5)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자유롭게 안내지지되어 있고,
    스프링부재(20)은 앞벽(6)과 안내벽(16) 사이의 안내공간에 있어서 좌우에 인접하는 양코일부(21),(21)이 위쪽에 위치하고 양스프링암(23),(24)가 각 코일부(21),(21)에서 좌우양외측으로 늘어지는 기립자세로 배치되어 있는 기록매체용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셔터(5)에는 스프링암(24)가 걸어고정되는 베이스끝부(12)의 위쪽부분에 개구부(4)를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양코일부(21),(21)과의 당접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노치부(14)가 마련되어 있는 기록매체용 카트리지.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케이스본체(1)과 셔터(5)에는 각 스프링암(23),(24)의 선단을 걸어고정하는 스프링걸림부(15),(17)이 각각 마련되어 있고,
    양스프링걸림부(15),(17)의 적어도 한쪽이 상하방향으로 긴 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기록매체용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한쪽면 내지 양면에 정보신호를 기록하는 원반형상의 디스크(30)이고, 케이스본체(1)내에 디스크(30)이 회전자유롭게 배치되어 있고,
    케이스본체(1)의 주면벽(31)에 디스크(30)에 대한 신호리드라이트용 개구부(4)가 마련되어 있는 기록매체용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케이스본체(1)의 상하의 주면벽(31)에 신호리드라이트용 개구부(4)가 마련되어 있고,
    셔터(5)가 케이스본체(1)의 상하의 외표면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자유롭게 장착되어 상하의 개구부(4),(4)를 개폐하는 본체부분(33),(33)과 상하의 본체부분(33),(33)끼리를 연결하는 종연결부(34)로 이루어지고,
    케이스본체(1)의 좌우의 하나의 각형 코너부(36)내에 있어서 스프링부재(20)의 한쪽의 스프링암(23)이 케이스본체(1)측에 걸어고정되고, 스프링부재(20)의 다른쪽의 스프링암(24)가 케이스본체(1)내를 향하는 종연결벽(34)의 스프링걸림부(35)에 걸어고정되어 있는 기록매체용 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스프링부재(20)은 좌우에 인접하는 양코일부(21),(21)이 뒤쪽에 위치하고 양스프링암(23),(24)가 각 코일부(21),(21)에서 좌우양외측의 앞쪽으로 연장하는 대략 수평자세로 배치되어 있고,
    신호리드라이트용 개구부(4)를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양스프링암(23),(24)가 서로 접근함과 동시에 양코일부(21),(21)이 케이스본체(1)의 좌우의 1측벽 측으로 퇴피되어 있는 기록매체용 카트리지.
KR1019990008296A 1998-03-16 1999-03-12 기록매체용 카트리지 KR100334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88147 1998-03-16
JP8814798 1998-03-16
JP1999-57598 1999-03-04
JP05759899A JP3658516B2 (ja) 1998-03-16 1999-03-04 記録媒体用カートリッ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825A true KR19990077825A (ko) 1999-10-25
KR100334175B1 KR100334175B1 (ko) 2002-04-25

Family

ID=26398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296A KR100334175B1 (ko) 1998-03-16 1999-03-12 기록매체용 카트리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25012A (ko)
EP (1) EP0944083B1 (ko)
JP (1) JP3658516B2 (ko)
KR (1) KR100334175B1 (ko)
DE (1) DE6992301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8334A (ja) * 1997-12-18 1999-08-31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3695921B2 (ja) 1997-12-22 2005-09-1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3743546B2 (ja) * 1998-06-22 2006-02-0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3739579B2 (ja) * 1998-11-20 2006-01-2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
WO2000057415A1 (fr) * 1999-03-19 2000-09-28 Sanyo Electric Co., Ltd Dispositif d'enregistrement ou de reproduction de signaux sur un disque, et procede d'insertion et d'extraction de cartouche pour ledit dispositif
JP2001229643A (ja) * 2000-02-14 2001-08-24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CN1210714C (zh) * 2000-02-16 2005-07-13 富士胶片株式会社 磁带卡盘
US20010054664A1 (en) 2000-06-26 2001-12-27 Fuji Photo Film Co., Ltd. Magnetic tape cartridge
JP4092063B2 (ja) 2000-09-22 2008-05-28 Tdk株式会社 テープカートリッジ
US6796520B2 (en) * 2001-01-30 2004-09-28 Fuji Photo Film Co., Ltd. Magnetic tape cartridge
US7016151B2 (en) * 2001-10-09 2006-03-21 Quantum Corporation Tape cartridge improved boss door
JP3710405B2 (ja) * 2001-10-15 2005-10-2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US6581865B1 (en) * 2002-01-18 2003-06-24 Quantum Corporation Retracting door assembly
JP4369644B2 (ja) 2002-03-29 2009-11-25 Tdk株式会社 テープ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US7526783B2 (en) 2003-11-27 2009-04-28 Sony Corporation Disk cartridge
DE202006021024U1 (de) 2005-07-09 2011-11-16 Lg Electronics Inc. Schiebemodul und damit ausgestattetes mobiles Endgerä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9465A (en) * 1971-04-23 1973-09-18 Ibm Tape containing cassettes, each with a removable wall
JPS5228311A (en) * 1975-08-29 1977-03-03 Nippon I B M Kk Tape cartridge with selflock function shutter
US4620254A (en) * 1983-01-04 1986-10-28 Bsr North America, Ltd.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including a tape cartridge having a slidable cover
JPS601685A (ja) * 1983-06-17 1985-01-07 Sony Corp テ−プカセツト
US4945530A (en) * 1986-11-14 1990-07-31 Opticord, Inc. Cartridge for optical data discs
DE3787879T2 (de) * 1986-11-14 1994-02-10 Opticord Rolling Meadows Kassette für optische Datenplatten.
US4908817A (en) * 1986-11-14 1990-03-13 Opticord, Inc. Cartridge for optical data discs
JPH0755723Y2 (ja) * 1989-06-22 1995-12-20 凸版印刷株式会社 ディスク収納ケース
YU123090A (sh) * 1989-07-03 1994-04-05 N.V. Philips Gloelampenfabrieken Sistem za snemanje/reprodukcijo signalov na/s magnetnega traku v kaseti
JPH0536678U (ja) * 1991-10-15 1993-05-1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テープカートリツジ
EP0589443B1 (en) * 1992-09-25 1998-10-2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agnetic tape cartridge having leader block retainer mechanism
JPH0863940A (ja) * 1994-08-24 1996-03-08 Hitachi Maxell Ltd 単リール型の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3564851B2 (ja) * 1996-03-05 2004-09-15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1064222A (ja) * 1996-08-15 1998-03-06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609556B2 (ja) * 1996-09-30 2005-01-12 株式会社東芝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10199177A (ja) * 1996-12-26 1998-07-31 Toshiba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328922A (ja) 1999-11-30
JP3658516B2 (ja) 2005-06-08
KR100334175B1 (ko) 2002-04-25
EP0944083B1 (en) 2005-01-05
DE69923018T2 (de) 2005-12-01
DE69923018D1 (de) 2005-02-10
US6125012A (en) 2000-09-26
EP0944083A1 (en) 1999-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4175B1 (ko) 기록매체용 카트리지
EP0778567B1 (en) Disk cartridge
KR100225992B1 (ko) 디스크 카트리지
US5222005A (en) Loading unit for case which houses recording disk
JP3651649B2 (ja) 単リール型の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
US6691941B2 (en) Recording tape cartridge
US7389521B2 (en) Disk cartridge
KR100492679B1 (ko) 디스크카트리지용셔터기구
JP3609556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292400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10199177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000753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の誤記録防止機構
JP3381355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6894872B2 (en) Disk cartridge having shutter operation portions which do not obstruct access to a medium whether shutter members are at a closed position or an open position
JPH10199183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506407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744227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69122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052209U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のバネ係止機構
JP3257557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S62217478A (ja) 円板状情報記録媒体用カセツト
JPH10199184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0003574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20060085811A1 (en) Disk cartridge
JPH10106209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