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7677A - 데이터 생성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터 생성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7677A
KR19990077677A KR1019990007489A KR19990007489A KR19990077677A KR 19990077677 A KR19990077677 A KR 19990077677A KR 1019990007489 A KR1019990007489 A KR 1019990007489A KR 19990007489 A KR19990007489 A KR 19990007489A KR 19990077677 A KR19990077677 A KR 19990077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ion
recording medium
display
menu
aggregation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3399B1 (ko
Inventor
야마모토가츠히로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19990077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4Graphical or visual program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비주얼·프로그래밍에 있어서, 편집 대상인 다수의 오브젝트를 집합화한 집합화 오브젝트를 작성함으로써, 편집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편집 화면(31)에 그린 다수의 오브젝트(32)를 하나로 정리하여 모아두는 집합화 오브젝트(33)를 표시한다. 편집하는 오브젝트가 같은 위치에서 겹치는 경우에도, 겹치는 오브젝트를 하나씩 작성하고, 집합화 오브젝트(33)에 넣을 수 있다. 또한, 메뉴의 조작 트리에 늘어지는 개별 메뉴의 실체를 집합화 오브젝트(33)에 넣을 수 있다. 집합화 오브젝트(33)는, 조작 메뉴를 가지며, 그 중에 데이터 생성의 유효·무효를 설정하는 조작이 들어 있다. 조금씩 다른 편집이 된 다수의 오브젝트를 집합화 오브젝트(33)에 정리해두고, 다수의 오브젝트를 1개씩 유효하게 함에 따라, 다른 레이아웃의 작성, 비교가 용이하게 된다.

Description

데이터 생성방법 및 기록매체{A data generative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묘화 에어리어상에 표시를 위한 소프트웨어 부품을 디자인함으로써, 표시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 환경을 형성하는 데이터 생성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에 있어서는, 사용자에 대한 조작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문자뿐만 아니라 도형이나 윈도우 표시를 이용하여 퍼스널 컴퓨터의 조작을 감각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하는 조작체계가 되도록 여러가지 연구가 이루어져서, 아이콘, 메뉴를 마우스로 선택하는 것으로 조작 및 각 처리가 진행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이러한 문자뿐만 아니라 도형이나 윈도우 표시를 이용하여 퍼스널 컴퓨터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환경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경이라고 불린다.
또한, 이 GUI 환경을 형성하기 위한 소정의 화면정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문자, 도형 및 윈도우 표시와 각 처리의 프로그래밍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비주얼·프로그래밍법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비주얼·프로그래밍법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상의 소정의 표시형식인 폼 및 각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콘트롤 등으로 이루어지는 오브젝트(표시를 위한 소프트웨어 부품)가 어떤 이벤트를 발생하였을 때에 어떠한 처리를 하는지를 정의하는 것으로 프로그래밍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이벤트란, 예를 들면, 마우스로 이루어지는 클릭이나 드래그 조작과, 키를 누르는 것과 같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의미한다.
또한, 실제로 프로그래밍을 하는 경우에는, 오브젝트·에디터 화면(편집화면)이 판독되어 편집 모드에 설정된다. 그리고, 편집화면의 묘화 에어리어상에 표시를 위한 소프트웨어 부품을 디자인함으로써 표시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표시에 따라 이루어지는 조작에 따른 각종 처리에 필요한 프로그램의 부호화(coding)가 이루어진다. 즉, 소정의 묘화 에어리어에 오브젝트로서의 예를 들면 라벨이나 콘트롤이 붙여지고, 그 외관의 디자인 등이 미세하게 설정되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 부호화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비주얼·프로그래밍법에 의한 작업에서는, 편집하는 소프트웨어 부품이 동일한 위치에 겹치기 때문에 표시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편집하는 오브젝트의 개수가 많기 때문에, 그 전부를 레이아웃하면, 표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메뉴의 조작 트리를 그려서, 각각의 메뉴 속에 메뉴의 실체를 넣어둘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데이터 생성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위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본 발명은, 묘화 에어리어상에 표시를 위한 소프트웨어 부품을 디자인함으로써, 표시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방법에 있어서, 디자인한 소프트웨어 부품을 정리하여 모아두기 위한 집합화 오브젝트를 가지며, 집합화 오브젝트를 화면상의 오브젝트로서 취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생성방법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 5 항의 본 발명은 묘화 에어리어상에 표시를 위한 소프트웨어 부품을 디자인함으로써 표시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소프트웨어 정보로서, 디자인한 소프트웨어 부품을 정리하여 모아두기 위한 집합화 오브젝트를 가지며, 집합화 오브젝트를 화면상의 오브젝트로서 취급하도록 한, 소프트웨어 정보가 격납된 컴퓨터에 의해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에서는, 디자인한 소프트웨어 부품을 정리하여 모아두기 위한 집합화 오브젝트를 갖기 때문에, 같은 위치에 겹치는 오브젝트나, 많은 개수의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메뉴의 조작 트리를 그리고, 각 메뉴의 실체를 각 메뉴에 넣어둘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하는 퍼스널 컴퓨터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설명에 이용하는 기능에 근거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설명에 이용하는 화면표시의 일 예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설명에 이용하는 집합화 오브젝트 메뉴표시의 일 예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설명에 이용하는 화면표시의 보다 구체적인 일 예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위성방송의 수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1 : 마이크로프로세서부 52 : DMA 콘트롤러
61 : 메모리부 73 : HDD 장치
74 : FDD 장치 53 : HDD 제어부
54 : FDD 제어부 55 : 디스플레이 제어부
75 : 표시장치 76 : 키보드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한다. 도 1에 있어서, 5로 나타낸 것이 퍼스널 컴퓨터의 본체이다. 퍼스널 컴퓨터의 본체(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부(51), ROM(62) 및 RAM(63)으로 이루어지는 메모리부(61), DMA(Difect Memory Access)콘트롤러(52), HDD(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73)가 접속되는 HDD 제어부(53), FDD(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74)가 접속되는 FDD 제어부(54), 표시장치(75)가 접속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55), 키보드(76)가 접속되는 키보드 제어부(56), 마우스(77)가 접속되는 마우스 제어부(57), 프린터(78)가 접속되는 프린터 제어부(58), 모뎀부(79)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59), 버스(60)로 구성된다. 또, 디스플레이 제어부(55)에는, VRAM이나 한자 ROM 등의 메모리부가 설치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의 본체(5)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는, 버스(60)에 의해 접속되어 있어, 데이터의 수수가 가능하다. 또한, DMA 콘트롤러(52)와, HDD 제어부(53), FDD 제어부(54) 및 디스플레이 제어부(55)가 각각 접속되고, 메모리부(61)도 포함시켜 서로 독립적으로 직접 데이터의 수수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키보드(76) 또는 마우스(77) 등의 외부 입력 장치가 조작되고, 각 모드에 설정되면, 순차적으로, 프로그램이 메모리부(2)나 필요에 따라서 HDD 장치(14) 및 FDD 장치(15)로부터 판독되고, 소정의 순서로 각 처리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실제로 비주얼·프로그래밍을 행하는 경우에는, 인스톨된 비주얼·프로그래밍의 응용 소프트웨어가 기동된다. 그리고, 오브젝트·에디터 화면이 판독되어 편집 모드에 설정된다. 그리고, 묘화 에어리어상에 표시를 위한 소프트웨어 부품을 디자인함으로써 표시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표시에 따라 이루어지는 조작에 따른 각종 처리에 필요한 프로그램의 부호화가 이루어진다.
즉, 소정의 묘화 에어리어에 소프트웨어 부품으로서의 라벨이나 커맨드 버튼 등의 콘트롤이 붙여지고, 그 외관의 디자인 등이 미세하게 설정되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 부호화가 이루어진다. 이 때 설정된 화면 그 자체가 실제 화면으로서 표시부에 표시되어, GUI 환경이 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 부품의 편집작업에 있어서, 편집하는 소프트웨어 부품이 다수 존재하고, 소프트웨어 부품끼리가 같은 위치에 겹치거나 비교 검토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오브젝트 집합화 처리가 이루어진다.
도 2는, 퍼스널 컴퓨터의 본체(5)내의 소프트웨어에서 실현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에서, 81로 나타낸 것이 부품 선정부이다. 키보드(76) 또는 마우스(77) 등의 외부 입력 장치가 조작되고, 오브젝트·에디터 화면이 판독되어 편집 모드에 설정된다.
그리고, 부품의 배치가 가능하게 되는 묘화 에어리어가 판독되고, 부품 선정처리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소정의 묘화 에어리어상에 있어 툴 박스로부터 묘화 에어리어상에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라벨이나 버튼 조작 인식 영역을 지정하는 커맨드 버튼 등의 콘트롤이 선택되고, 마우스 조작에 의해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다. 배치가 완료되어 마우스(77)에 의해 확정조작이 이루어지면, 부품 선정부(81)에 있어서, 선택된 부품과 배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부품정보가 형성되며, 이 부품정보가 좌표 관리부(85)에 공급되는 동시에, 그래픽 데이터 생성부(86) 및 기능 설정부(84)에 공급된다.
그리고, 소프트웨어 부품의 편집작업에 있어서, 편집하는 소프트웨어 부품이 다수 존재하고, 이 소프트웨어 부품끼리가 같은 위치에 겹치거나 비교검토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집합화 처리부(82)에 의해서, 집합화 처리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도 3에서 31로 나타내는 편집화면(윈도우)상에서 편집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파선으로 나타내는 32는, 다수의 오브젝트를 나타낸다. 실제로, 파선이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마우스로 클릭하는 조작 등에 의해서, 사용자가 집합화하는 대상의 오브젝트를 선택한다(마크를 붙인다). 그리고, 메뉴 바에 집합화 버튼을 클릭하면, 편집화면(31)내에, 집합화 오브젝트(33)가 표시된다. 집합화 버튼을 누름에 따라, 편집화면(31)상의 오브젝트를 주사하고, 선택된(마크가 붙여진) 오브젝트를 집합화 오브젝트(33)에 집어 넣는다(모아둔다). 이렇게 하여 집합화 처리가 이루어진다.
집합화 처리를 행하는 다른 방법으로서는, 먼저, 집합화 버튼을 눌러, 집합화 오브젝트(33)를 표시한다. 이 단계에서는, 집합화 오브젝트(33)는, 비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오브젝트(32) 내에서, 집합화하고자 하는 오브젝트를 선택한다 (마크를 붙인다). 마크된 오브젝트가 집합화 오브젝트(33)에 입력된다.
집합화 오브젝트(33) 자체도, 편집작업으로서는, 하나의 오브젝트로서 취급된다. 즉, 집합화 오브젝트(33)의 개수는, 다수로 설정할 수 있고, 집합화 오브젝트(33)의 표시위치, 크기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집합화 처리에 따라서 발생한 집합화에 관한 데이터와 집합화전의 편집 데이터가 집합화 정보로서 각각이 관련되고, 1개의 폴더에 정리된 상태에서 메모리(89)에 격납되는 동시에, 기능 설정부(84) 및 위치·사이즈 설정부(83)에 공급된다.
또, 집합화 오브젝트(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풀 다운 형식의 조작 메뉴(34)를 갖고 있다. 조작 메뉴에는,「입력」,「치환」,「출력」,「이름」,「유효·무효」의 각 조작이 포함된다.「입력」은 선택적으로 지정한 오브젝트(부품)를 그 집합화 오브젝트(33)에 넣는 조작이다. 「치환」은, 이미 축적되어 있는 오브젝트를 새로운 오브젝트로 전환하는 조작이다. 「출력」은, 오브젝트의 출력(재현)이다. 「이름」은, 집합화 오브젝트(33)의 이름을 붙이는 것이다. 「유효·무효」는, 데이터를 생성하는지의 여부를 지정하는 조작이다. 유효 버튼(35)을 누르면, 데이터를 생성하고, 무효 버튼(36)을 누르면, 데이터가 생성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메뉴에 따라서 이루어지는 각각의 조작과 처리에 따라서 집합화에 관한 데이터가 생성되고, 이 데이터와, 집합화전의 편집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집합화 정보가 메모리(89)에 격납되며, 이 집합화 정보에 근거하여 편집 데이터의 관리가 이루어진다.
집합화 처리가 완료된 다음에, 위치·사이즈 설정부(83)에 있어서, 집합화한 오브젝트가 묘화 에어리어내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는 동시에, 그 크기가 설정된다. 설정조작이 이루어지면, 위치·사이즈 설정(83)에 있어서, 위치·사이즈 정보가 형성되고, 이 정보가 좌표 관리부(85)에 공급되는 동시에, 그래픽 데이터 생성부(86)에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집합화 처리를 포함시킨 형으로 화면의 디자인이 완료하면, 필요에 따라서 묘화 에어리어상의 콘트롤 등의 오브젝트의 기능 설정 처리가 이루어진다. 즉, 묘화 에어리어상의 콘트롤 등의 오브젝트에 대하여 각각 부호화가 이루어지고, 오브젝트에 대하여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에 어떠한 처리를 할지가 규정된다. 예를 들면, 소정 위치에 배치된 커맨드 버튼이 마우스(77)에 의해서 클릭된 경우에는, 메모리(89)나 메모리부(61)에 격납되어 있는 소정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표시하는 등의 프로그램이 입력된다.
기능설정이 완료되면, 기능 설정부(84)에 있어서 기능정보가 형성되고, 이 기능정보가 좌표 관리부(85)에 공급되는 동시에, 그래픽 데이터 생성부(86) 및 메인 처리부(88)에 공급된다. 또한, 기능 설정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처리에 의해 얻어진 표시에 관계되는 정보 등도 기능 설정부(84)를 통하여 그래픽 데이터 생성부 (86)에 공급된다.
좌표 관리부(85)는, 부품 선정부(81)로부터의 부품원점정보, 위치·사이즈 설정부(83)로부터의 위치·사이즈 정보에 근거하여 각각의 좌표를 연산하고, 좌표 정보를 형성하여 좌표 정보로 오브젝트를 관리한다. 또한, 좌표 관리부(85)에 있어서 형성된 좌표정보가 메인 처리부(88)로 공급된다. 메인 처리부(88)는, 퍼스널 컴퓨터가 일반적인 처리이다.
또, 그래픽 데이터 생성부(86)는, 부품 선정부(81)로부터의 부품정보, 위치·사이즈 설정부(83)로부터의 위치·사이즈 정보, 기능 설정부(84)로부터의 기능정보에 근거하여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래픽 데이터 생성부(86)에 있어서 형성된 그래픽 데이터가 묘화 처리부(87)에 공급되어, 묘화출력이 되며, 이 출력이 소정의 표시장치(75)에 공급된다.
도 5는, 보다 구체적인 편집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도 5에 있어서, 41로 나타낸 것이, 편집화면이다. 또, 화면(41)의 상부에는, 각종 기능 메뉴 바(42a) 및 콘트롤 버튼(42b)이 배치되고, 메뉴 바(42a) 및 콘트롤 버튼(42b)의 소정의 부분을 마우스(77)로 클릭하는 것으로, 오브젝트·에디터 화면이 판독되어 편집 모드에 설정되거나, 다른 모드에 설정된다.
도 5의 예로서는, 집합화의 대상인 다수의 오브젝트(43)와, 집합화 오브젝트(44)와의 한쌍, 및 다수의 오브젝트(45)와, 집합화 오브젝트(46)의 한쌍이 표시되어 있다. 오브젝트(43) 중에서 선택한 것이 집합화 오브젝트(44)에 들어간다. 마찬가지로, 오브젝트(45) 중에서 선택한 것이 집합화 오브젝트(46)에 들어간다.
또, 본 발명은,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되는 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태그가 붙어 있는 메뉴화면의 각 태그의 메뉴를 집합화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즉, 태그마다 다수의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메뉴화면의 레이아웃을 작성하고, 작성된 메뉴화면을 태그마다 집합화 오브젝트에 정리하 도록 이루어진다. 태그가 구별되는 복수의 메뉴화면은, 겹쳐서 표시되기 때문에, 1번상의 태그의 메뉴화면밖에 표시되지 않는다. 그러나, 집합화 오브젝트에 각 태그의 메뉴화면을 정리함으로써, 1장씩 메뉴화면의 레이아웃를 디자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메뉴의 조작 트리를 그리고, 조작 트리에 늘어지는 개별 메뉴를 각각 집합화 오브젝트로서 취급하여, 각 집합화 오브젝트 속에 개별 메뉴의 실체를 넣어둘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IRD(Integrated Receiver/Decorder)에 내장된 퍼스널 컴퓨터의 ROM에 작성된 표시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격납된다. ROM에 제한되지 않고, IC 카드, RAM 등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방송을 통하여 IRD의 RAM에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되는 경우도 있다. 이 프로그램에 의해서, 예를 들면 IRD의 톱 메뉴와, 톱 메뉴 내의 각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톱 메뉴로서, 음량 조정 화면, 채널 전환 화면, EPG의 화면 등의 메뉴가 포함된다. 이들 각 메뉴의 화면이 개별로 작성되고, 톱 메뉴로서 집합화된다.
본 발명에 의해 작성된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는 IRD의 일 예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수신측의 시스템을 도시하고, 수신 안테나(102), IRD(101), 영상 표시 장치(103) 및 외부 콘트롤 장치(104, 도면 중 리모트 콘트롤로 나타낸다)에 의해 수신측 시스템이 구성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송출측의 시스템은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방송국, 업링크 시스템, 송신 안테나 및 계약 고객 관리 센터로 구성된다. 또한, 소정 궤도상에 쏘아 올려지는 통신 위성은, 트랜스포트·스트림의 수에 대응한 트랜스폰더가 탑재되어 있고, 업링크 시스템 및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지상으로부터 송신된 전파신호를 수신하며, 주파수 변환한 후에 증폭하여 지상으로 재송신한다.
방송국에서, 프로그램이 제작되고, 프로그램에 대응한 영상·음성신호가 압축·부호화되는 것으로 디지탈화되며, 이 영상·음성 데이터의 데이터열이 블록 분할된다. 그리고, 이 전송 단위 형식으로 변환된 데이터에 EMM(Entitled Management Massage), ECM, EPG, EIT 등의 여러가지 데이터가 시분할로 다중화되어, 트랜스포트·스트림이 형성된다. 이 다중화 출력에 대하여 패킷마다 스크램블 처리와 패킷마다 에러 정정 부호화가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조가 이루어진다. 이 변조출력이 송출장치 및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위성을 향하여 송출된다.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출되고, 통신 위성을 통하여 각 가정의 수신 안테나(102)에 의해 방송전파가 수신된다. 수신 안테나(102)에 대하여 IRD(101)가 접속되어 있다. 수신 안테나(102)는 LNB(Low Noise Block down converter)를 구비하고, 수신 전파 신호가 주파수 변환되며, 이 출력이 IRD(1O1)에 공급된다.
IRD(101)는, 수신 트랜스폰더를 지정하는 튜너부(111), 복조부(112), 에러 정정부(113), 스크램블을 해제하는 디스크램블부(114), 분리하는 패킷을 지정하는 디멀티플렉스부(117), 영상 디코드부(119), 음성 디코드부(118), 및 표시화면을 제어하는 OSD(On Screen Disply) 콘트롤부(12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115가 메인 콘트롤부로서, 메인 콘트롤부(115)는, IRD(101) 전체를 제어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고, IC 카드(116), 디멀티플렉스부(117), OSD 콘트롤부(120), 기억장치(121) 및 모뎀부(122)의 각각과 데이터 버스에 의해 결합되며, 각 부와의 사이에서 쌍방향으로 데이터의 수수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튜너부(111)에서, 수신 전파 신호 중에서 메인 콘트롤부(115)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지정되는 주파수의 신호가 추출되고, 복조부(112)에 있어서, QPSK 변조되어 있는 신호가 복조된다. 이 복조출력이 에러 정정부(113)에 공급되며, 에러 정정부(113)에 있어서, 예를 들면 비터비 부호화되어 있는 신호가 에러 정정되어 복호되고, 이 복호출력이 디스크램블부(114)에 공급된다.
메인 콘트롤부(115)는, EMM, ECM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IC 카드(116)에 기록되어 있는 스크램블를 해제하는 열쇠를 판독하여, 디스크램블부(114)를 제어한다. 따라서, 디스크램블부(114)에 있어서, 스크램블이 해제되고, 얻어진 트랜스포트·스트림이 디멀티플렉스부(117)에 공급된다.
디멀티플렉스부(117)에 있어서, 트랜스포트·스트림으로부터 원하는 채널의 패킷이 분리되고, 제어정보에 근거하여 음성 데이터의 패킷이 음성 디코드부(118)에 공급되며, 영상 데이터의 패킷이 영상 디코드부(119)에 공급된다. 또한, 이들 처리와 병행하여 EPC, EIT 등의 여러가지 데이터 패킷의 유무가 메인 콘트롤부 (115)에 의해 감시된다.
메인 콘트롤부(115)는, EPG, EIT 등의 여러가지 데이터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우선, EPG, EIT 등의 여러가지 데이터를 기억장치(121)에 소정의 기간 일시적으로 보관한다. 그리고, 외부 콘트롤 장치(104)의 조작상태에 따라서 기억된 EPG, EIT 등의 여러가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그 데이터를 OSD 콘트롤부(120)에 공급한다.
음성 디코드부(118)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가 복호되고 또한 D/A 변환되며, 수신 음성 신호가 형성된다. 이 수신 음성 신호가 영상 표시 장치(103)에 공급되고, 영상 표시 장치(103)의 스피커로부터 시청자를 향하여 음성이 출력된다. 또한, 영상 디코드부(119)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가 복호되고 또한 D/A 변환되며, 수신 영상 신호가 형성되어, 이 수신 영상 신호가 OSD 콘트롤부(120)에 공급된다.
OSD 콘트롤부(120)에는, 메인 콘트롤부(115)로부터의 제어신호도 공급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서 OSD 콘트롤부(120)에 있어서, 메뉴화면 등이 중첩처리된다. 이 가공된 영상신호가 영상 표시 장치(103)에 공급되고, 영상 표시 장치(103)의 표시부가 시청자를 향하여 화면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EPG, EIT 정보의 표시나 검색 등의 처리조작에 관해서 아이콘이나 메뉴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메인 콘트롤부(115)가 OSD 콘트롤부(120)를 제어하는 것으로, 아이콘이나 메뉴가 영상 표시 장치(103)의 표시부의 일부에서 일정 시간 표시된다.
또, 메인 콘트롤부(1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부를 집중 감시하는 동시에, 외부 콘트롤 장치(도면 중 리모트 콘트롤로써 나타낸다, 104)의 조작상태도 감시하여, 외부 콘트롤 장치(104)의 조작상태에 따라서 발생하는 외부 콘트롤 신호수신부(123)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각 부를 제어한다.
상술한 IRD(101)의 메인 콘트롤부(115)의 ROM에 격납되는 프로그램의 하나로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작성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채용된다. 이 프로그램에 의해, 톱 메뉴의 표시나, 각 메뉴 표시의 레이아웃이 규정되어 있고, 각 메뉴의 표시를 영상 표시 장치(103)에서 표시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IRD의 EPG에 제한하지 않고, IRD의 메뉴표시를 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IRD 이외에, 화면표시를 하는 장치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선택적으로 다수의 소프트웨어 부품을 집합화하여, 집합화 오브젝트를 형성하기 때문에, 태그 화면과 같이, 편집대상의 오브젝트가 동일한 위치에서 겹치고 있는 경우라도, 각 태그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가 많아서 모든 오브젝트를 레이아웃하였을 때에, 모든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메뉴의 조작 트리를 그리고, 조작 트리에 늘어지는 개별 메뉴를 각각 집합화 오브젝트로서 취급함으로써, 각 집합화 오브젝트에 개별 메뉴의 실체를 넣어둘 수 있게 된다.
또한, 집합화 오브젝트가 조작 메뉴를 가지며, 조작 메뉴 속에 데이터를 작성하는지의 아닌지의 조작을 넣어 둠에 따라, 조금씩 다른 편집을 한 소프트웨어부품의 변동(variation)을 정리해 두고, 그것들을 하나씩 유효로 하였을 때의 레이아웃을 작성하여, 작성된 복수의 레이아웃를 비교검토할 수 있으며, 편집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묘화 에어리어상에 표시를 위한 소프트웨어 부품을 디자인함으로써, 표시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방법에 있어서,
    디자인한 상기 소프트웨어 부품을 정리하여 모아두기 위한 집합화 오브젝트를 가지고,
    상기 집합화 오브젝트를 화면상의 오브젝트로서 취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생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화 오브젝트는, 화면상에서 임의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생성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화 오브젝트의 크기 또는 위치를 임의로 설정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생성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화 오브젝트는, 선택적으로 상기 소프트웨어 부품을 다수 집합화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생성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화 오브젝트가 메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생성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서 데이터의 생성을 행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항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생성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의 조작 트리를 그리고, 당해 조작 트리에 늘어지는 개별 메뉴를 각기 상기 집합화 오브젝트로서 취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생성방법.
  8. 묘화 에어리어상에 표시를 위한 소프트웨어 부품을 디자인함으로써, 표시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소프트웨어 정보로서,
    디자인한 소프트웨어 부품을 정리하여 모아두기 위한 집합화 오브젝트를 가지고, 상기 집합화 오브젝트를 화면상의 오브젝트로서 취급하도록 한, 상기 소프트웨어 정보가 격납된 컴퓨터에 의해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정보가 격납된 상기 컴퓨터는, 수신기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에 내장되어 있는 기록매체에, 방송을 통하여 프로그램이 다운 로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의 RO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IC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19990007489A 1998-03-09 1999-03-08 데이터 생성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6233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56494A JPH11259278A (ja) 1998-03-09 1998-03-09 データ生成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98-056494 1998-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677A true KR19990077677A (ko) 1999-10-25
KR100623399B1 KR100623399B1 (ko) 2006-09-13

Family

ID=13028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7489A KR100623399B1 (ko) 1998-03-09 1999-03-08 데이터 생성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542172B1 (ko)
JP (1) JPH11259278A (ko)
KR (1) KR1006233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381B1 (ko) * 2004-02-26 2007-03-12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그래피컬 프로그래밍 장치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1048B2 (ja) * 2006-04-03 2012-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7627536B2 (en) * 2006-06-13 2009-12-01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interaction menus from natural language representations
JP4843532B2 (ja) * 2007-03-14 2011-12-21 株式会社リコー 表示処理装置、表示処理方法、および表示処理プログラム
JP5460390B2 (ja) * 2010-03-12 2014-04-0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レイアウト変換装置、レイアウト変換プログラム、およびレイアウト変換方法
USD763911S1 (en) * 2014-07-17 2016-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6766779B2 (ja) * 2017-08-25 2020-10-14 オムロン株式会社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開発支援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開発支援方法、およ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開発支援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3539A (en) * 1990-01-10 1996-12-10 Sharp Kabushiki Kaisha Item selection signal input apparatus that reduces the processing load of a host computer
KR0154572B1 (ko) * 1994-12-02 1998-11-16 양승택 일관성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에스디엘 관련 도구들의 외적 통합 방법
US5694561A (en) * 1994-12-12 1997-12-0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grouping and manipulating windows
US5801699A (en) * 1996-01-26 1998-09-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con aggregation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5991535A (en) * 1996-07-03 1999-11-23 Sun Microsystems, Inc. Visual composition tool for constructing application programs using distributed objects on a distributed object network
KR100213890B1 (ko) * 1997-03-26 1999-08-02 윤종용 객체 관리 콘테이너 및 방법
US6211966B1 (en) * 1997-10-03 2001-04-03 Canon Kabushiki Kaisha Peripheral device control system
KR100249810B1 (ko) * 1997-10-16 2000-03-15 정선종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에서의 구조적 분석을 위한 정보저장소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US6191787B1 (en) * 1998-02-10 2001-02-20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Interactively constructing, editing, rendering and manipulating geoscience mode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381B1 (ko) * 2004-02-26 2007-03-12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그래피컬 프로그래밍 장치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42172B1 (en) 2003-04-01
JPH11259278A (ja) 1999-09-24
KR100623399B1 (ko) 200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0521B1 (ko) 시청 또는 청취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선택할 때 사용자를 보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4438129B2 (ja) コンテンツ受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受信方法
JP4999229B2 (ja) 電子メッセージにプログラム情報を組み込むための方法
CN100518267C (zh) 上下文相关的web页面系统和方法
US7697068B2 (en) Apparatus and method with receiving of broadcast data signal, communicating with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image to be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communication
JP2004507989A (ja) テレビ放送におけるハイパーリンク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11654739A (zh) 一种内容显示方法及显示设备
CN1288640A (zh) 将电子信息中名词链接到节目信息上的方法与接口
US7028324B2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even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CN111654743B (zh) 音频播放方法及显示设备
CN111726673B (zh) 一种频道切换方法及显示设备
CN111246309A (zh) 在显示设备中显示频道列表的方法及显示设备
KR100623399B1 (ko) 데이터 생성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09077006A (ja) データ放送画面に二次元コードを表示させる方法、システム、データ放送番組、データ放送番組データ、データ放送番組プログラム、
CN100399811C (zh) 接收机/解码器和处理视频数据的方法
CN111726674A (zh) 一种HbbTV应用启动方法及显示设备
KR100425668B1 (ko) 데이터방송의 데이터컨텐츠 전송장치 및 그 방법
JP4136384B2 (ja) データ放送受信再生装置、データ放送受信再生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H11259667A (ja) データ生成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2001211401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およびメール端末装置
JP4470462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634487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object in TV program
CN112286472B (zh) Ui显示方法及显示设备
JP3274598B2 (ja) 文字放送受信装置
JP2002335223A (ja) データ放送を利用した電子掲示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