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9810B1 -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에서의 구조적 분석을 위한 정보저장소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에서의 구조적 분석을 위한 정보저장소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9810B1
KR100249810B1 KR1019970053152A KR19970053152A KR100249810B1 KR 100249810 B1 KR100249810 B1 KR 100249810B1 KR 1019970053152 A KR1019970053152 A KR 1019970053152A KR 19970053152 A KR19970053152 A KR 19970053152A KR 100249810 B1 KR100249810 B1 KR 100249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information storage
information
comman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177A (ko
Inventor
추철호
전진옥
김진삼
안유환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70053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9810B1/ko
Priority to JP10006825A priority patent/JPH11143699A/ja
Publication of KR19990032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9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9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20Software 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의 엄격한 구조적 분석을 위한 정보저장소 시스템과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대상 시스템에 대한 보다 상세하고 정확한 분석 모형을 제공하기 위한 특성 모형과 모형 사이의 일관성 규칙의 검증 등에서의 엄격한 분석을 위한 상세화된 자료 유형을 지원하는 정보저장소와, 저장되어 있는 분석 모형에 대한 다양한 검색 방법을 제공한다. 정보저장소 시스템은 구조적 분석 모형에 대한 저장 및 검색을 위하여 정보저장소 환경의 설정 및 해제 기능, 정보저장소를 구성하는 테이블을 검색하기 위한 테이블 생성, 삭제, 열기 및 닫기 기능, 특정 레코드를 검색하기 위한 인덱스 설정, 레코드 탐색, 다음 레코드로의 이동, 처음 및 마지막 레코드로의 이동, 테이블의 전체 레코드 수의 반환, 레코드의 수정, 추가 및 삭제 기능, 레코드를 구성하는 특정 필드에 대한 필드 값의 저장 및 재생을 위하여 필드의 자료 유형에 따라 문자, 정수, 긴정수, 실수 및 배정도수의 저장 및 재생 기능을 위한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 명령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에서의 구조적 분석을 위한 정보저장소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본 발명은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의 엄격한 구조적 분석을 위한 정보저장소 시스템과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조적 분석 방법은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개발 단계에서 대상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분석하는 요구분석 단계에서 사용되는 기법 및 체계적인 절차를 정의한 방법이다.
구조적 분석 방법에 사용되는 구조적 분석 기법은 개발 시스템의 기능과 기능 사이의 자료의 흐름을 모형화하는 자료흐름도, 자료흐름도에서 사용된 자료 항목인 자료흐름과 자료저장소에 대한 자료의 구성 관계를 정의하는 자료사전 및 자료흐름도의 최하위 기능이 수행하는 업무 절차를 기술하는 기능명세의 세 가지 모형화 도구를 사용한다.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이란, 위의 구조적 방법에서 사용되는 모형화 도구를 컴퓨터 시스템으로 자동화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은 구조적 분석 모형의 편집 및 저장 기능뿐만 아니라 작성된 모형의 완전성 및 모형 사이의 일관성 규칙을 검증할 수 있는 분석 기능과 사용자에게 유용한 모형에 관한 분석 보고서를 제공할 수 있는 보고서 생성 기능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의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은 다음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분석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로, 일반적인 그래픽 편집기 수준에서 구조적 분석 모형에 사용되는 기호를 편집할 수 있는 단순한 모형 편집기 형태가 있다. 둘째, 과도하게 사용자의 분석 작업을 제한하는 경우로, 하위 수준의 모형을 생성할 때 인위적으로 상위 수준의 정보와 동일한 이름을 갖는 자료를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형태로 분석자의 의도를 제대로 반영시킬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세째, 분석 기능을 비롯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그 기능이 미약한 경우로, 자료흐름도 모형 사이의 균형 규칙을 검증할 때 입출력되는 자료의 최하위 구성 단위까지의 균형 검증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형태로 정확한 규칙 분석을 할 수 없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단점들로 인하여 이들 기존의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은 작성된 모형의 완전성 및 모형 사이의 일관성 규칙에 대한 검증에 있어서 엄격한 분석 기능을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에서 엄격한 구조적 분석을 위한 정보저장소 시스템과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정보저장소 객체 모형,
도 3a 및 도 3b는 정보저장소 논리적 스키마,
도 4a 및 도 4b는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 명령,
도 5는 본 발명이 실현되는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용자 인터페이스 20 : 프로젝트 관리기
30 : 모형 편집기 40 : 모형 분석기
50 : 보고서 생성기 60 : 모형 인터페이스
70 :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 80 : 정보저장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정보저장소 시스템은, 모형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정보저장소 환경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정보저장소 환경 명령 처리기, 정보저장소를 구성하는 테이블의 생성, 삭제, 열기 및 닫기를 위한 테이블 명령 처리기, 특정 테이블 내의 레코드에 관련된 레코드 검색, 레코드 검색을 위한 테이블의 인덱스 설정, 다음 레코드로의 이동, 처음 및 마지막 레코드로의 이동, 테이블내의 전체 레코드의 수 반환, 레코드의 추가, 삭제 및 변경을 위한 레코드 명령 처리기, 특정 레코드 내의 특정 필드에 관련된 필드 값의 저장 및 재생을 위한 필드의 자료 유형별 필드 명령 처리기로 구성되는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정보저장소 시스템은, 구조적 분석 기법의 자료흐름도, 자료 사전 및 기능 명세 모형 외에 모형화 객체의 특성을 정의할 수 있는 특성 모형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와 같은 객체의 특성은 모든 객체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저자, 설명, 보안 사항 및 동의어 특성과 자료저장소에 적용되는 파일 조직 및 키 특성, 자료의 최하위 단위인 자료 원소에 적용되는 클래스, 코드 및 값 특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특징인 정보저장소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 명령이 정보저장소 환경 명령이면, 정보저장소 환경을 설정 및 해제하는 제 1 단계;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 명령이 테이블 명령이면, 테이블 명령의 인수가 적합한 지를 검증하고, 해당 테이블 명령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 명령이 레코드 명령이면, 레코드 명령의 인수가 적합한 지를 검증하고 해당 테이블이 열려 있는 지를 검증한 다음, 해당 레코드 명령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 명령이 필드 명령이면, 필드 명령의 인수가 적합한 지를 검증하고 해당 테이블이 열려 있는 지를 검증한 다음, 해당 필드 명령을 수행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엄격한 구조적 분석을 위한 정보저장소 시스템의 운영시에 이용하는 자료 유형은, 모형 사이의 일관성 규칙의 검증 등에서 자료의 최하위 구성 단위까지의 엄격한 분석을 위하여 구조적 분석 모형에서의 자료 유형을 자료 사전을 통하여 하위 자료 항목이 정의된 자료 그룹, 자료 사전이 정의되지 않는 최하위 단위의 자료 항목으로 클래스, 코드 및 값과 같은 자료 원소의 특성을 갖는 자료 원소, 자료 사전이 정의되지 않은 최하위 단위의 자료 항목이면서 자료 원소 특성이 정의되지 않은 미정의 자료 및 자료저장소 유형으로 구분한다.
구조적 분석 기법은 앞서 언급한대로 자료흐름도, 자료 사전 및 기능 명세의 세 가지 모형화 도구를 사용한다.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에서 엄격한 구조적 분석을 위한 정보저장소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대상 시스템에 대한 보다 상세하고 정확한 분석 모형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상의 세 가지 모형화 도구 외에 모형화 객체의 특성을 정의할 수 있는 특성 모형화 도구를 지원한다. 이러한 특성으로는 모든 객체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저자, 설명, 보안 사항 및 동의어 특성과, 자료저장소 객체에 적용되는 파일 조직 및 키 특성 및 자료 원소 객체에 적용되는 클래스, 코드 및 값 특성이 있다. 저자 및 보안 사항은 모든 객체에 적용되는 특성으로 객체의 생성 및 유지와 관련하여 작성자와 보안 사항을 기술하기 위한 특성이다. 설명은 객체에 대한 주석으로 간단한 설명을 기술하기 위한 특성이다. 동의어는 모든 객체에 적용되며 여러 사람이 공동 작업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객체에 대한 다른 이름을 부여하기 위한 특성이다. 파일 조직은 자료저장소의 구성 체계를 기술하기 위한 특성이며, 키는 자료저장소의 구성 단위에 대한 식별자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자료저장소의 구성 요소인 자료 항목이 키의 대상이 된다. 클래스는 자료 항목이 가질 수 있는 정수 및 실수와 같은 구체적인 값의 유형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코드는 자료 항목이 가질 수 있는 값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기 위한 특성이다. 값은 자료 항목이 구체적인 값을 가지거나 값의 범위를 가질 때 이를 정의할 수 있는 특성이다.
이와 함께 엄격한 구조적 분석을 위한 정보저장소 시스템은 각 모형화 도구를 통하여 작성되는 구조적 분석 모형의 문법(syntax)과 의미(semantics)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어야 하며, 각 모형의 의미를 연결하는 모형 사이의 상호 참조 정보를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정보저장소 시스템은 분석 모형 및 분석 모형 사이의 상호 참조에 대한 다양한 검색 방법을 제공하여야 한다.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에서는 프로젝트 관리 도구, 모형화 도구, 모형 분석 도구, 보고서 생성 도구 등 다양한 도구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도구들 사이에 정보를 공유하고 일관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정보저장소가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이러한 정보저장소를 설계하기 위하여 구조적 분석 자동화 지원 도구를 위한 정보저장소에 대한 객체 모형을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객체 지향 언어의 클래스도(Class Diagram)를 가지고 표현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현되는 정보저장소 시스템과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과의 접속 관계를 보여 주는 구성도이다.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은, 크게, 사용자 인터페이스(10), 프로젝트 관리기(20), 모형 편집기(30), 모형 분석기(40), 보고서 생성기(50), 모형 인터페이스(60),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70) 및 정보저장소(8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는 본 발명이 실현되는 구조적 분석 자동화 시스템의 지원 도구와 사용자 사이의 입출력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프로젝트 관리기(20)는 대상 시스템의 선택, 생성, 삭제 및 변경과 같은 프로젝트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모형 편집기(30)는 상기에서 언급된 자료 흐름도(31), 자료사전(32) 및 기능 명세(33)로 구성된 세 가지 모형과, 각 모형에서 사용된 구성 요소의 특성을 정의하는 특성 모형의 편집 기능을 수행하는 특성 명세(34) 편집기로 구성된다. 모형 분석기(40)는 모형화 도구를 사용하여 작성된 모형의 작성 규칙 및 모형 사이의 일관성 규칙을 검증하고, 보고서 생성기(50)는 사용자에게 모형에 관한 통계 및 분석 보고서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모형 인터페이스(60)는 다시 모형 정보 변환기(61)와 저장소 정보 변환기(62)로 구성되어, 구조적 분석 모형 정보와 정보저장소 사이의 정보를 서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70)와 정보저장소(80)는 본 발명이 실현되는 시스템으로,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70)의 구성은, 다시 정보저장소 환경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정보저장소 환경 명령 처리기(71), 정보저장소를 구성하는 테이블 관련 처리를 위한 테이블 명령 처리기(72), 특정 테이블 내의 레코드 관련 처리를 위한 레코드 명령 처리기(73) 및 특정 레코드 내의 특정 필드 관련 처리를 위한 필드 명령 처리기(74)로 구성된다. 상기 정보저장소(80)에는 도 2에 도시된 정보저장소의 객체 모형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스키마로 표현한 도 3a 및 도 3b 의 내용이 저장된다.
다음은 본 발명이 실현되는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의 동작 예를 간단히 설명한다.
구현할 시스템에 대한 구조적 분석 모형의 편집, 분석 및 보고서 생성을 위해서는 먼저 대상 시스템이 선택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프로젝트 관리기(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을 통하여 작업할 대상 시스템을 선택한다. 대상 시스템을 선택한 다음에 사용자는 구조적 분석 모형의 편집을 위해서는 모형 편집기(30)의 자료흐름도 편집기(31)를 선택하고 대상 시스템에 대한 보고서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보고서 생성기(50)를 선택한다.
자료흐름도 편집기(31)는 작업할 자료흐름도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다음 해당 자료흐름도를 정보저장소(80)로부터 재생하기 위하여 모형인터페이스(60)를 구성하는 저장소 정보 변환기(62)의 자료흐름도 재생 기능을 사용한다. 저장소 정보 변환기(62)는 다시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70)의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 명령을 사용하여 정보저장소(80)로부터 해당 자료흐름도 정보를 재생하게 된다.
일단 작업할 자료흐름도가 자료흐름도 편집기(31)에 재생된 다음에, 사용자는 자료흐름도의 편집 기능을 이용하여 원하는 편집 기능을 수행하거나, 자료사전 편집기(32)를 호출하여 자료흐름과 자료저장소와 같은 자료 항목의 자료사전을 정의하거나, 기능 명세 편집기(33)를 호출하여 하위 자료흐름도로 분할되지 않는 원시 프로세스의 기능 명세를 정의하거나, 특성 명세 편집기(34)를 호출하여 자료흐름도를 구성하는 모형화 객체의 특성을 정의하거나 또는 모형 분석기(40)를 호출하여 작성된 자료흐름도 모형을 분석할 수 있다.
이상의 모형 편집기(30)에 의해 작성 및 정의된 구조적 분석 모형을 정보저장소(80)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다시 모형 인터페이스(60)를 구성하는 모형 정보 변환기(61)의 모형 저장 기능을 사용한다. 모형 정보 저장 기능은 다시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70)의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 명령을 사용하여 해당 자료흐름도 정보를 정보저장소(80)에 저장한다.
도 2a 및 도 2b의 객체 모형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UML의 클래스도의 표기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클래스는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사각형으로 표시하며, 맨 위의 부분이 클래스의 이름을 위한 부분이며, 중간 부분은 해당 클래스의 속성(Attribute)이, 그리고 마지막 아래 부분은 클래스의 연산(Operation)을 위한 부분이다. 도 2b에는 클래스의 이름만 표시되어 있고 클래스의 속성과 연산은 보이지 않는다. 이것은 클래스 사이의 관계(Relationship)를 중점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속성 부분과 연산 부분은 줄여 하나의 사각형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DFD 클래스는 이름이 "DFD"이고 속성으로 "dfd-name"과 "dfd-number"를 가지며 연산은 정의되지 않은 것을 표현한다. 클래스 사이의 관계는 연관화(Association), 집단화(Aggregation) 및 일반화(Generalization) 등이 있으며, 각 관계는 관계의 이름과 함께 해당 관계에서의 관련 객체의 역할(Role) 및 다중성(Multiplicity)을 표현할 수 있다. 연관화 관계는 관련 클래스 사이의 직선으로 표현한다. "MS" 클래스와 "Process" 클래스 사이는 "Specify"라는 연관화 관계가 있으며, 이 관계에서의 다중성으로부터 프로세스는 기능 명세를 가질 수도, 안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집단화는 연관화를 나타내는 직선에 전체를 나타내는 클래스에 마름모꼴의 기호를 추가하여 표현한다. 대상 시스템을 나타내는 "Project"와 "DFD" 클래스 사이는 집단화 관계로 하나의 "Project"는 하나 이상의 "DFD"로 구성된다는 것을 표현한다. 일반화 관계는 상속 관계를 나타내는 표현으로서 상위 유형(supertype)의 클래스에 삼각형의 기호를 추가하여 표현한다. "Object"와 "Process" 사이의 관계는 일반화 관계로 "Object" 클래스의 속성 및 연산을 하위 유형(subtype)인 "Process"가 상속받는 것을 표현한다. 다중성의 표현으로는 "0개 이상"은 "0..*"으로, "1개 이상"은 "1..*", "0 또는 1"은 "0..1"로 표현하며 직접 양의 정수를 사용하여 구체적인 다중성을 표현할 수도 있다. 자료흐름도에서 그래픽 객체를 나타내는 "Vertex"와 이들 그래픽 객체 사이의 연결을 표현하는 "Arc" 사이의 연관화 관계에서 하나의 "Vertex"는 0개 이상의 "Arc"과 연결 될 수 있으며(그래픽 객체가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의미), 하나의 "Arc"은 반드시 2개의 "Vertex"를 연결해야 한다는 것을 표현한다.
"Object"로부터 상속받는 나머지 객체 유형으로는 "DataStore", "DataGroup", "DataElement", "Undefined" 및 "ExternalEntity"가 있으며, 이들은 각각 자료저장소, 자료 그룹, 자료 원소, 미정의 자료 및 외부 실체를 나타낸다. 자료저장소는 자료흐름도 모형의 구성 요소 가운데 일정 시점에서의 자료 항목의 묶음을 표현하기 위한 객체 유형이다. 자료 그룹, 자료 원소 및 미정의 자료는 모형 사이의 일관성 규칙의 검증 등에서 자료의 최하위 구성 단위까지의 엄격한 분석을 위하여 자료흐름도 모형에서의 자료 흐름 또는 해당 자료 흐름에 대한 자료 사전 모형의 정의에 따라 중간에 나타날 수 있는 자료 항목과 이들 자료 항목에 대한 특성 정의에 따라 구분되는 자료 유형이다. 대상 시스템에 대한 분석 과정은 이들 자료 항목에 대하여 자료 사전의 정의를 통한 하위 자료 항목의 구성관계를 정의하거나 하위 자료로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최하위 자료 항목은 클래스, 코드 및 값 특성과 같은 자료 원소의 특성이 정의되어야 한다. 대상 시스템에 대한 구조적 분석 모형에 자료사전 및 자료 원소의 특성이 정의되지 않은 미정의 자료가 존재한다는 것은 분석이 아직 종료되지 않았거나 또는 자료 항목에 대한 정확한 의미가 파악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료 항목에 대한 이상과 같은 구분은 자료흐름도 모형 사이의 일관성 규칙의 검증에서 자료의 최하위 구성 단위까지의 엄격한 분석이 가능하고, 미정의 보고서 생성을 통한 구조적 분석 모형의 완전성 검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DD"와 "MS"는 자료 사전과 기능 명세를 의미하며, 각각 자료 항목에 대한 자료 정의와 최하위 프로세스에 대한 기능 명세를 수록하는 클래스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이 실현되는 정보저장소의 정보 모형으로 도 2 2a 및 도 2b의 정보저장소에 대한 객체 모형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스키마를 테이블로 표현한 그림이다.
정보저장소의 논리적 스키마는 도 2a 및 도 2b 에 도시된 객체 모형을 토대로 구조적 분석 모형뿐만 아니라, 모형 사이의 연계 정보와 정보의 최소 단위까지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각 테이블과 함께 다양한 인덱스를 설계하였다. 도 3a 및 도 3b에서 각 칼럼의 의미는 각각 TN은 테이블 이름, F#는 필드 번호, FT는 필드 타입으로 자료형을, FL은 필드의 길이, FN은 필드 이름을, K1부터 K7까지는 테이블의 인덱스를 나타내며 필드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각 인덱스는 중복성(Duplicity)을 표현할 수 있으며, ND는 중복되지 않는 것을 D는 중복된다는 것을 표현한다. "Vertex" 테이블은 객체 모형의 "DFD" 클래스와 "Vertex" 클래스 사이의 "Contains" 관계에 대한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자료흐름도 모형을 구성하는 그래픽 객체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Arc" 테이블은 객체 모형의 "DFD" 클래스와 "Arc" 클래스 사이의 "Contains" 관계에 대한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자료흐름도 모형에 있는 자료흐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Connects" 테이블은 객체 모형의 "Vertex" 클래스와 "Arc" 클래스 사이의 "Connects" 관계에 대한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자료흐름도 모형의 자료흐름에 연결된 그래픽 객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Object" 테이블은 객체 모형의 "Object" 클래스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 모형에서 정의된 각 객체와 객체 유형을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Object" 클래스의 속성으로 정의된 저자, 설명, 보안 사항 및 동의어 특성과 "DataStore" 클래스의 속성인 파일 조직 및 키 특성, "DataElement" 클래스의 속성인 클래스, 코드 및 값 특성은, 객체에 대한 특성의 검색 및 보고서 생성이 용이하도록 별도의 테이블로 구성하였다. "Process" 테이블은 객체 모형의 "Process" 클래스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자료흐름도 모형의 구성요소 가운데 하나인 프로세스와 프로세스의 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MS" 테이블과 "DD" 테이블은 객체 모형의 자료 사전과 기능 명세 클래스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 자료 항목에 대한 자료 정의와 최하위 프로세스에 대한 기능 명세를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Consist" 테이블은 객체 모형의 자료 항목을 나타내는 클래스 사이의 "Consist" 관계를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자료 사전 모형의 자료 항목의 구성 관계를 정의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Project" 테이블은 객체 모형의 "Project" 클래스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대상 시스템을 프로젝트 단위로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Profile" 테이블은 객체 모형의 "Profile" 클래스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 자체에 독자적으로 사용되는 기본 변수와 변수 값을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Device" 테이블은 객체 모형의 "Device" 클래스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하드웨어 장치와 장치 명을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각 테이블을 위하여 설계된 인덱스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Vertex" 테이블의 인덱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Vertex" 테이블의 첫 번 째 인덱스인 K1은 "dfd-number" 필드와 "object-serial" 필드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특정 자료흐름도에 있는 특정 객체의 검색에 사용된다. 두번째 인덱스인 K2는 "dfd-number" 필드만으로 구성하며, 특정 자료흐름도의 모든 구성 요소의 검색에 사용된다. K3와 K4 인덱스는 각각 객체의 이름과 객체 유형을 검색할 수있도록 하며, K5는 특정 자료흐름도의 특정 객체 유형의 객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K6 인덱스는 특정 자료흐름도의 모든 객체 이름과 객체 유형을 검색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보고서 생성에 사용할 수 있다. K7 인덱스는 객체의 이름과 객체 유형을 가지고 검색할 수 있으며, 특정 객체가 어느 자료흐름도에서 사용되었는 지에 대한 사용처 보고서 생성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이 실현되는 정보저장소 시스템의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 명령을 나타낸 것으로서, 정보저장소의 검색 및 저장에 사용되는 명령이다.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 명령은 정보저장소 환경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정보저장소 환경 명령과 정보저장소를 구성하는 특정 테이블 관련 처리를 위한 테이블 명령, 특정 테이블의 특정 레코드 관련 처리를 위한 레코드 명령 및 필드 관련 처리를 위한 필드 명령이 있다.
정보저장소 초기화 명령은 정보저장소 환경 설정을 위하여 정보저장소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작업 테이블 및 인덱스를 설정한다. 정보저장소 닫기 명령은, 정보저장소 환경의 해제를 위하여 열려 있는 모든 테이블을 닫는다. 이들 정보저장소 환경 명령은, 정상적으로 종료할 경우 0을, 실패할 경우에는 -1을 반환한다. 테이블 명령은, 정보저장소 테이블의 생성 및 삭제, 열기 및 닫기 기능을 수행한다. 이들 테이블 명령은 테이블 명령의 인수인 테이블 식별자가 적절한 지를 검증한 다음 해당 명령을 수행한다. 테이블 생성 명령은 테이블과 함께 테이블에 관련된 인덱스를 생성한다. 이들 테이블 명령은 정상적으로 종료할 경우 0을, 실패할 경우에는 -1을 반환한다. 레코드 명령은 레코드 검색을 위한 인덱스 설정, 테이블을 구성하는 전체 레코드의 수 반환, 레코드의 탐색, 다음 레코드로의 이동과 처음 및 마지막 레코드로의 이동, 특정 레코드의 수정, 추가 및 삭제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들 레코드 명령은 레코드 명령의 인수인 테이블 식별자와 테이블 인덱스 등이 적합한 지를 먼저 검증하고 해당 테이블이 열려 있는 지를 검증한 다음, 해당 명령을 수행한다. 전체 레코드의 수를 반환하는 명령을 제외하고는 모두 해당 명령이 정상적으로 종료할 경우 0을, 실패할 경우에는 -1을 반환한다. 필드 명령은 특정 레코드의 특정 필드 값에 대한 저장 및 재생 기능을 수행한다. 필드 명령은 저장 및 재생하는 필드의 자료형에 따라 문자, 정수, 긴 정수, 실수 및 배정도 수를 비롯한 5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이들 필드 명령은 필드 명령의 인수인 테이블 식별자와 필드 위치 등이 적합한 지를 먼저 검증하고 해당 테이블이 열려 있는 지를 검증한 다음, 해당 명령을 수행한다. 저장 명령은 정상적으로 종료할 경우 0을, 실패할 경우에는 -1을 반환한다. 문자 필드의 재생을 제외한 나머지 재생 명령의 경우는 정상적으로 종료할 경우 재생 값을, 실패할 경우에는 -1을 반환한다. 문자 필드 값의 재생 명령은 명령의 인수인 재생 변수에 바로 재생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이 실현되는 정보저장소 시스템의 운용 흐름도이다.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의 지원 도구인 프로젝트 관리기(20), 모형 편집기(30), 모형 분석기(40) 및 보고서 생성기(50)에서 모형 인터페이스(60)를 구성하는 모형 정보 변환기(61)를 통하여 모형 정보를 정보저장소(80)에 저장하거나 저장소 정보 변환기(62)를 통하여 정보저장소 정보를 정보저장소(80)으로부터 재생하기 위하여 모형 인터페이스의 기능에서 사용하는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 명령에 따라, 제 1 단계(501, 502)는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 명령이 정보저장소 환경 명령이면 정보저장소 환경 명령 처리기(71)는 정보저장소 환경을 설정 및 해제한다. 제 2 단계(503, 504, 505)는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 명령이 테이블 명령이면 테이블 명령 처리기(72)는 테이블 명령의 인수가 적합한 지를 검증하고, 해당 테이블 명령을 수행한다. 제 3 단계(506, 507, 508)는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 명령이 레코드 명령이면 레코드 명령 처리기(73)는 레코드 명령의 인수가 적합한 지를 검증하고 해당 테이블이 열려 있는 지를 검증한 다음, 해당 레코드 명령을 수행한다. 제 4 단계(509, 510, 511)는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 명령이 필드 명령이면 필드 명령 처리기(74)는 필드 명령의 인수가 적합한 지를 검증하고 해당 테이블이 열려 있는 지를 검증한 다음, 해당 필드 명령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엄격한 구조적 분석을 위한 정보저장소 시스템은, 대상 시스템에 대한 구조적 분석 모형과 모형 사이의 상호 참조를 위한 문법 및 의미를 정확하게 반영하고, 저장되어 있는 모형에 대한 다양한 검색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모형 내부의 작성 규칙 및 모형 사이의 일관성 규칙의 검증에 대한 다양하고도 엄격한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엄격한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은 소프트웨어 개발 초기 단계에 더욱 많은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곧 개발되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품질 향상과 개발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를 위한 운영 방법은, 다양한 자료 유형에 따른 검색 방법을 사전에 모두 정의해 놓음으로써 구조적 분석 자동화 지원 시스템의 확장성을 고려한 시스템으로, 향후 지원 도구의 추가 및 이와 유사한 자동화 지원 시스템을 개발할 경우, 단지 해당 테이블에 관련된 정보저장소 환경 설정 명령만 변경하면 되므로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의 보완 및 개발에 따른 많은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사용자 인터페이스(10)와, 대상 시스템을 프로젝트 단위로 생성 및 삭제 기능을 갖는 프로젝트 관리기(20)와, 자료 흐름도(31), 자료사전(32), 기능 명세(33) 및 특성 명세의 모형도구들을 포함한 모형 편집기(30)와, 모형화 도구를 사용하여 작성된 모형의 작성 규칙 및 모형 사이의 일관성 규칙을 검증하는 모형 분석기(40)와, 사용자에게 모형에 관한 통계 및 분석 보고서를 제공하는 보고서 생성기(50)와, 그리고 모형 정보 변환기(61)와 저장소 정보 변환기(62)로 구성되어 구조적 분석 모형 정보와 정보저장소 사이의 정보를 서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형 인터페이스(60)를 포함하는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형 인터페이스(60)에 접속되는 정보 저장소 인터페이스(70)는,
    정보저장소의 환경 설정(401) 및 해제 명령(402)을 수행하는 정보저장소 환경 명령 처리기(71)와;
    상기 정보저장소 환경 명령 처리기(71)에 의해 정보저장소 환경이 설정된 다음, 정보저장소를 구성하는 테이블 관련 테이블 생성(403), 삭제(406), 열기(404) 및 닫기 명령(405)을 처리하는 테이블 명령 처리기(72)와;
    상기 테이블 명령 처리기(72)에 의해 검색 테이블이 설정된 다음, 검색 테이블의 레코드 관련 레코드 검색을 위한 인덱스 설정(407), 레코드의 탐색(408), 다음 레코드로의 이동(409)과 처음 및 마지막 레코드로의 이동(410, 411), 테이블을 구성하는 전체 레코드의 수 반환(412), 특정 레코드의 수정(413), 추가(414) 및 삭제(415) 명령을 처리하는 레코드 명령 처리기(73)와; 그리고
    상기 레코드 명령 처리기(73)에 의해 검색 레코드가 설정된 다음, 검색 레코드의 필드 관련 문자, 정수, 긴 정수, 실수 및 배정도수 저장 명령(416, 417, 418, 419, 420) 및 문자, 정수, 긴 정수, 실수 및 배정도수 재생 명령(421, 422, 423, 424, 425)을 처리하는 필드 명령 처리기(74)로 구성되고,
    상기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70)에 접속되어 구조적 분석 모형을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정보저장소(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에서의 구조적 분석을 위한 정보저장소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소(80)에는 객체 모형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스키마로 표현한 테이블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에서의 구조적 분석을 위한 정보저장소 시스템.
  3.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프로젝트 관리기와, 자료 흐름도, 자료 사전, 기능 명세 및 특성 명세를 포함한 모형 편집기와, 모형 분석기와, 보고서 생성기와, 그리고 모형정보 변환기와 저장소 정보 변환기를 포함한 모형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에, 상기 모형 인터페이스로 부터 입력되는 명령을 각각 입력받아 정보저장소 환경 명령 처리기, 테이블 명령 처리기, 레코드 명령 처리기, 필드 명령처리기가 포함된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에서 인터페이싱하고, 그 인터페이싱된 구조적 분석모형이 정보저장소에 저장되는 정보저장소 시스템이 구비되어, 그 정보저장소 시스템을 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받은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 명령이 정보저장소 환경 명령이면, 상기 정보저장소 환경 명령 처리기에서 정보저장소 환경을 설정 및 해제하는 제 1 단계(501, 502)와;
    상기 입력 받은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 명령이 테이블 명령이면, 테이블 명령 처리기에서 테이블 명령의 인수가 적합한 지를 검증하고, 해당 테이블 명령을 수행하는 제 2 단계(503, 504, 505)와;
    상기 입력 받은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 명령이 레코드 명령이면, 레코드 명령 처리기에서 레코드 명령의 인수가 적합한 지를 검증하고 해당 테이블이 열려 있는 지를 검증한 다음, 해당 레코드 명령을 수행하는 제 3 단계(506, 507, 508)와; 그리고
    상기 입력 받은 정보저장소 인터페이스 명령이 필드 명령이면, 필드 명령 처리기에서 필드 명령의 인수가 적합한 지를 검증하고 해당 테이블이 열려 있는 지를 검증한 다음, 해당 필드 명령을 수행하는 제 4 단계(509, 510, 5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에서 구조적 분석을 위한 정보저장소 시스템 운용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적 스키마는
    객체 모형을 기반으로 구조적 분석 모형과 모형 사이의 연계 정보와 정보의 최소 단위까지 용이하게 검색하기 위해서, 테이블 이름(TN), 필드 번호(F#), 필드 타입(FT), 필드의 길이(FL), 필드 이름(FN) 및 테이블의 다양한 인덱스(K1∼K7)를 포함하는 테이블들로 표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에서 구조적 분석을 위한 정보저장소 시스템 운용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자료흐름도 모형에 있는 그래픽 객체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과, 자료흐름도 모형에 있는 자료흐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과, 자료흐름도 모형에 있는 자료흐름에 연결된 그래픽 객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과, 분석 모형에서 정의된 각 객체와 객체 유형을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과, 객체의 특성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들과, 자료흐름도 모형에 있는 프로세스와 프로세스의 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과, 자료사전 모형의 자료항목의 정의를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과 자료사전 모형의 자료항목의 구성 관계를 정의하기 위한 테이블과, 기능 명세 모형의 기능 명세를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과, 대상 시스템을 프로젝트 단위로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과,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 자체에 사용되는 기본 변수와 변수 값을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과, 그리고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드웨어 장치와 장치명을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에서 구조적 분석을 위한 정보저장소 시스템 운용방법.
  6.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의 확장시에 상기 해당 테이블에 관련된 정보저장소 환경 설정 명령만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에서 구조적 분석을 위한 정보저장소 시스템 운용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소 시스템에 이용되는 자료 유형은
    모형 사이의 일관성 규칙의 검증에서 자료의 최하위 구성 단위까지의 엄격한 분석을 위하여 구조적 분석 모형에서의 자료 유형을 자료 사전을 통하여 하위 자료 항목이 정의된 자료 그룹과;
    자료 사전이 정의되지 않는 최하위 단위의 자료 항목으로 클래스, 코드 및 값과 같은 자료 원소의 특성을 갖는 자료 원소와; 그리고
    자료 사전이 정의되지 않은 최하위 단위의 자료 항목이면서 자료 원소 특성이 정의되지 않은 미정의 자료 및 자료저장소 유형으로 구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에서 구조적 분석을 위한 정보저장소 시스템 운용방법.
KR1019970053152A 1997-10-16 1997-10-16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에서의 구조적 분석을 위한 정보저장소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249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152A KR100249810B1 (ko) 1997-10-16 1997-10-16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에서의 구조적 분석을 위한 정보저장소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10006825A JPH11143699A (ja) 1997-10-16 1998-01-16 構造的分析支援自動化システムにおける構造的分析のための情報貯蔵所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152A KR100249810B1 (ko) 1997-10-16 1997-10-16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에서의 구조적 분석을 위한 정보저장소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177A KR19990032177A (ko) 1999-05-06
KR100249810B1 true KR100249810B1 (ko) 2000-03-15

Family

ID=19522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152A KR100249810B1 (ko) 1997-10-16 1997-10-16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에서의 구조적 분석을 위한 정보저장소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1143699A (ko)
KR (1) KR1002498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9278A (ja) * 1998-03-09 1999-09-24 Sony Corp データ生成方法および記録媒体
CN103543957A (zh) * 2013-10-07 2014-01-29 宁波芝立软件有限公司 一种抚养关系信息库存储组织方法、系统及设备
KR102240891B1 (ko) * 2019-10-01 2021-04-16 (주) 더존비즈온 다차원 분석 리포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43699A (ja) 1999-05-28
KR19990032177A (ko)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20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sioning and configuration management of object models
Overmyer et al. Conceptual modeling through linguistic analysis using LIDA
Bellay et al. A comparison of four reverse engineering tools
AU660451B2 (en) Database management system graphical query front end
US6339776B2 (en) Dynamic semi-structured repository for mining software and software-related information
US734074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pping API calls
CN103262047B (zh) 使用代码克隆检测的智能代码差分
JP5123291B2 (ja) プログラミング言語における式ツリーの深い埋め込みのためのジェネリックインターフェイス
Bellay et al. An evaluation of reverse engineering tool capabilities
Bull et al. Semantic grep: Regular expressions+ relational abstraction
KR100249810B1 (ko) 구조적 분석 지원 자동화 시스템에서의 구조적 분석을 위한 정보저장소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Schwabe et al. Hypertext development using a model‐based approach
Thao A configuration management system for software product lines
Karahasanovic Supporting application consistency in evolving object-oriented systems by impact analysis and visualisation
Klaib Integrating Class Diagram within the WinCASE Tool
CA2284949C (en) Dynamic semi-structured repository for mining software and software-related information
Nagarajan et al. VISTA--a visual interface for software reuse in TROMLAB environment
Castaldo A conceptual modeling approach for the rapid development of chatbots for conversational data exploration
Zhou et al. MiniDB: A Teaching Oriented Lightweight Database
Zündorf et al. Story driven modeling
Alspaugh Scenario networks and formalization for scenario management
Wang et al. The development of Phedias: a CASE Shell
CN118012394A (zh) 基于DSL规范实现Web可视化设计与出码方法
Phanthanithilerd et al. Verifying Software Requirements Characteristics Based on Rules Defined from Software Component Relationships
KR100279754B1 (ko) 엄격한 구조적 분석 지원 시스템의 모형 정보 저장/삭제 시스템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