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7609A - 두부장착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두부장착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7609A
KR19990077609A KR1019990007225A KR19990007225A KR19990077609A KR 19990077609 A KR19990077609 A KR 19990077609A KR 1019990007225 A KR1019990007225 A KR 1019990007225A KR 19990007225 A KR19990007225 A KR 19990007225A KR 19990077609 A KR19990077609 A KR 19990077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observer
indicator
display device
mount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1532B1 (ko
Inventor
아마후지히사시
나스류타로
마야마데츠오
구마이게이조
하타나카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후지와라 기꾸오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6703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25901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25606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66618A/ja
Priority claimed from JP3034099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122567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와라 기꾸오,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후지와라 기꾸오
Publication of KR19990077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5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 G02B2027/015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with mechanical means other than scaning means for positioning the whole im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표시기(11, 111)로부터 출사되는 화상 표시광을 광학계(13, 113)를 이용하여 광로를 변경시킴으로써 관찰자(2, 102)의 눈으로 유도한다. 그 표시기(11, 111), 광학계(13, 113) 및 표시기(11, 111)의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14, 114)가 유지 부재(3, 103)를 통해 관찰자(2, 102)의 두부(頭部)에 장착된다. 정면을 보는 관찰자(2, 102)의 시축(視軸)에서 반경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서 전방을 향해 표시광을 출사하는 표시기(11, 111)의 전방에 그 광학계(13, 113)가 배치된다. 그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14, 114)는 그 시축에서 반경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 즉 그 표시기(11, 111)와 광학계(13, 11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HEAD-MOUNTE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화상 표시부를 관찰자의 두부(頭部)에 장착할 수 있는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는 관찰자의 두부에 장착되는 소형 경량의 표시기로서 간편하게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종래에는 관찰자의 눈 전방에 화상 표시기와 그 표시기의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가 직접 접합되어 있었다. 또한, 그 표시기와 그 표시기로부터 출사되는 표시광을 관찰자의 눈으로 유도하기 위해서 광로를 변경하는 광학계는 직접 접합되어 있었다. 즉, 화상 표시기, 광학계 및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는 관찰자의 눈 전방에 집중하여 배치되어 있었다. 그렇게 하면, 장치의 중량이 관찰자에게 불균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장착감이 악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그 표시기와 광학계를 직접 접합하고, 또한 구동 회로를 관찰자의 두부의 측방으로 배치함으로써, 장치의 중량 균형을 향상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 표시기와 광학계를 눈앞에서 직접 접합한 경우, 관찰자의 시야가 표시기에 의해 좁혀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를 머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의 작용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를 머리에 장착한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의 주요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를 XI-XI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의 작용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화상의 표시광을 출사하는 표시기와, 그 표시광을 관찰자의 눈으로 유도하기 위해서 광로를 변경하는 광학계와, 화상 표시기의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가 유지 부재를 통해 관찰자의 두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 그 표시기는 정면을 보는 관찰자의 시축에서 반경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서 전방을 향해 표시광을 출사하도록 배치되고, 그 광학계는 그 표시기의 전방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그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는 그 시축에서 반경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로서 그 표시기와 광학계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표시기로부터 출사되는 화상 표시광은 정면을 보는 관찰자의 시축에서 반경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서 전방을 향한 후에 광학계에 의해 광로가 변경되고, 그리고 나서 관찰자의 눈으로 유도된다. 이로 인해 관찰자에게 화상이 보여진다.
화상 표시기, 광학계 및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장치의 중량이 관찰자에게 불균형하게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 표시기와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는 정면을 보는 관찰자의 시축에서 반경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관찰자의 시야가 좁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로부터 보내지는 신호에 의해 표시기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를 필요로 하는 경우, 그 구동 회로는 표시기와 일체화되어도 좋고,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와 일체화되어도 좋으며, 또한 양쪽과 별체로 되어도 좋다. 그 표시기로서 백 라이트부 액정 표시 패널을 채용하는 경우, 그 구동 회로로서 액정 표시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기가 예시된다.
그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로부터 보내어지는 신호에 의해 표시기로부터 출사되는 화상 표시광의 광원을 점등하기 위한 회로를 필요로 하는 경우, 그 점등용 회로는 표시기와 일체화되어도 좋고,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와 일체화되어도 좋으며, 양쪽과 별체로 되어도 좋다. 그 표시기로서 백 라이트부 액정 표시 패널을 채용하는 경우, 그 점등용 회로로서 백 라이트의 점등용 회로가 예시된다.
그 표시기는 상기 시축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그 표시기를 관찰자의 눈의 바로 아래에서 관찰자의 안면에 가급적 근접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관찰자의 시야가 표시기에 의해 좁혀지는 것을 거의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광학계는 상기 시축의 바로 아래에서 표시광의 광로를 변경하도록, 상기 표시기에 연결 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그 광학계와 연결 부재가 관찰자의 시야를 좁히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는 상기 표시기의 후방에 이격된 위치로서 관찰자의 두부의 측방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관찰자의 시야가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에 의해 좁혀지는 경우는 없다. 또한, 표시기와 광학계를 상기 시축의 바로 아래에 배치하는 경우, 본 발명 장치의 중량이 관찰자에게 불균형하게 작용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표시광은 관찰자의 한쪽 눈으로 유도되어 상기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를 덮는 하우징이 관찰자의 두부의 측방에서 상기 유지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광학계는 상기 시축에서 반경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기에 접속되며, 그 표시기는 관찰자의 안면의 전방에서, 상기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를 덮는 하우징의 구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관찰자의 안면의 전방에서,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는 표시기의 구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그 연속 동작에 의해, 그 표시기와 광학계는 관찰자의 두부의 적어도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을 따라 축둘레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그 광학계에 의해 광로가 변경되는 화상 표시광의 진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관찰자의 두부의 형상이 다양하여도, 어떠한 관찰자에 대해서나 화상을 관찰하기 적합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그 표시기를 관찰자의 안면의 전방에서 이동시키기 때문에, 그 화상의 위치를 용이하게 정밀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를 덮는 하우징이 관찰자의 두부의 측방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에 구면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관찰자 두부의 측방에서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를 유지 부재의 구면을 따라 이동시키고, 다음으로 관찰자의 안면의 전방에서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의 표시기를 구면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상의 위치를 신속하게 정밀 조절할 수 있다.
그 유지 부재는 관찰자의 좌우측 두부에서 귀를 둘러싸는 영역으로 가압되는 좌우측 두부 패드와 각 패드를 유지하는 좌우 홀더를 가지며, 각 패드의 중앙과 각 홀더의 중앙은 관찰자의 귀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좌우측 두부 패드를 통한 가압에 의해, 유지 부재의 두부에 대한 움직임을 규제하므로, 표시기 및 광학계에 진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가시도(visibility)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좌우측 두부 패드는 귀를 둘러싸는 영역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귀에 가압되는데 비하여 두부에 대한 유지 부재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위치가 광범위하게 미친다. 따라서, 두부에서 유지 부재의 움직임을 보다 안정되게 규제할 수 있다. 각 패드의 중앙과 각 홀더의 중앙은 개구되고 따라서 관찰자의 귀가 노출되기 때문에, 관찰자의 청각이 제한되는 일은 없다.
각 패드와 각 홀더는 모서리가 없는 환상(環狀)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두부에서 유지 부재의 움직임을 보다 안정되게 규제할 수 있다.
각 패드의 좌우측 두부에서 귀를 둘러싸는 영역의 가압력은 그 귀의 전방이 후방보다도 크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표시기는 표시 유닛과 유지 부재와의 연결 위치로부터 전방에 배치되고, 그 광학계는 표시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각 패드의 가압력을 귀의 후방에서보다도 귀의 전방에서 크게 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화상의 흔들림을 규제할 수 있다.
그 유지 부재는 좌우 홀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각 홀더는 그 연결부의 상하 방향을 따라 축둘레로 움질일 수 있도록 연결되고, 관찰자의 두부 측면을 향하여 각 홀더의 전방측을 이동시키는 탄력이 작용하도록, 각 홀더를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누르는 누름부가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그 탄력의 작용에 의해서 각 패드의 가압력을 귀의 후방에서보다도 전방에서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그 홀더의 요동에 의해 각 패드를 두부 형상을 따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두부 형상에 개인차가 있어도, 확실하게 화상의 흔들림을 규제할 수 있다.
관찰자의 귀의 후방에서 그 좌우 홀더의 간격을 좁히는 탄력을 부여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각 패드의 가압력을 귀의 후방에서보다도 전방에서 크게 하는 경우, 각 패드가 귀의 후방에서 두부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확실하게 화상의 흔들림을 규제할 수 있다.
그 연결부에 좌우 두부 정상측 패드가 관찰자의 두부 정상부의 좌우 상부에 가압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두부에서 유지 부재의 움직임을 보다 안정되게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찰자의 시야가 좁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장착감을 향상시킴으로써 관찰자의 시각 피로와 중량 부담에 의한 피로를 경감할 수 있는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화상의 형성 위치를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정밀 조절할 수 있고, 관찰자의 부담을 작게 하며, 시계(視界)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관찰자의 청각을 제한하지 않고, 화상의 흔들림을 규제하여 가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제1 실시예의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1)는 관찰자(2)의 두부에 장착할 수 있는 유지 부재(3)와, 이 유지 부재(3)에 유지되는 표시부(4)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1)는 관찰자(2)의 한쪽 눈에만 화상이 관찰되지만, 양쪽 눈에 관찰되는 것이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 그 유지 부재(3)는 관찰자(2)의 두부를 탄력에 의해 끼워 넣는 밴드형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그 유지 부재(3)의 두부에 대한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 유지 부재(3)는 두부에 패드류를 통해 가압되어도 좋다. 그 유지 부재(3)는 관찰자(2)의 두부에 장착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도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헬멧형이어도 좋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두부란 안면을 포함한 목부분에서부터 윗부분을 말한다.
그 표시부(4)는 그 관찰자(2)의 전방을 향해 화상 표시광을 출사하는 표시기(11)와, 그 표시기(11)의 전면 하단으로부터 관찰자(2)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아암(연결 부재)(12)과, 양 아암(12)의 선단에 부착되는 광학계(13)와, 그 표시기(11)를 구동하는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14)와, 이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14)를 덮는 하우징(15)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그 표시기(11)와 광학계(13)와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14)는 유지 부재(3)를 통해 관찰자(2)의 두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표시기(11)는 투과형 액정 표시 패널(21)과, 백 라이트(22)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 액정 표시 패널(21)에 X축 구동기와 Y축 구동기가 일체화되어 있다. 그 X축 구동기와 Y축 구동기는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14)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용 신호에 따라 액정 표시 소자를 구동한다. 그 백 라이트(22)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형광관이 이용된다. 그 형광관에 고압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점등용 회로가 백 라이트(22)에 일체화되어 있다. 그 점등용 회로는 스위칭 회로 및 승압용 트랜스로 구성되는 인버터(2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 표시기(11)와 인버터(23)는 커버(24)에 의해 덮여진다. 그 커버(24)는 2개의 부재(24a, 24b)를 나사(24c)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형성된다. 양쪽 부재(24a, 24b) 사이에 액정 표시 패널(21), 백 라이트(22), 인버터(23)가 끼워 넣어진다. 한쪽 부재(24a)에 액정 표시 패널(21)로부터 출사되는 화상 표시광의 출사창(24a′)이 형성된다.
그 광학계(13)는 예컨대 콤바이너나 전반사 미러 등의 광학 소자에 의해 구성된다. 그 광학계(13)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21)로부터 출사되는 화상 표시광을 관찰자(2)의 눈으로 유도하기 위해서 광로를 변경한다. 그 광학계(13)를 콤바이너에 의해 구성하는 경우, 전방으로부터의 빛을 투과시켜 관찰자(2)의 눈으로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관찰자(2)는 화상과 전방 실재물의 양쪽을 관찰할 수 있다. 그 콤바이너는 하프 미러나 홀로그램 소자로 구성할 수 있다. 하프 미러를 이용하는 경우는 반사에 의해 화상 표시광의 광로를 변경하고, 홀로그램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는 회절에 의해 화상 표시광의 광로를 변경한다. 그 광학계(13)를 복수의 광학 소자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그 광학계(13)에 의해 광로가 변경되는 표시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 조절할 수 있도록, 도 3에 있어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 아암(12)은 커버(24)의 하단에 좌우축 중심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14)는 상기 하우징(15)에 고정되는 기판(31)과, 이 기판(31) 상에 설치되는 신호 처리 회로로 구성된다. 그 신호 처리 회로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21)과 인버터(23)에 케이블(27, 28)을 통해 접속되고, 또한 영상 신호 발생원(도시 생략)에 케이블(29)을 통해 접속된다. 그 영상 신호 발생원은 영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 하우징(15)은 2개의 부재(14a, 14b)를 나사(14c)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유지 부재(3)에 일체화되며, 상기 표시기(11)의 커버(24)에 결합 부재(51)를 통해 결합된다. 그 결합 부재(51)는 상기 케이블(27, 28)을 피복하는 통형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하우징(15)에 대한 커버(24)의 상대 각도를 조절 가능하다.
그 신호 처리 회로는 구동용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아날로그 RGB 신호와 동기 신호를 처리한다. 도 5는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14)의 기능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즉, 영상 신호를 구성하는 R 신호(적색), G 신호(녹색), B 신호(청색)는 비디오 수신기(41)에서 적절한 신호 진폭으로 변환되고, 화질 조정 회로(42)에서 콘트라스트나 감마 보정 등의 조정이 행해진다.
영상 신호를 구성하는 수평, 수직 동기 신호는 싱크 수신기(43)에서 적절한 신호 전압(H-Sync, V-Sync)으로 변환된 후에 타이밍 제너레이터(44)에 입력된다.
그 타이밍 제너레이터(44)에 있어서는, PLL 회로(45)로부터 출력되는 도트 클록을 기준으로서, 영상 신호 반전 클록(Video Invert Clock), 샘플링 펄스(Sampling Pulse), 백 라이트 점등 펄스(BL Pulse), 액정 표시 패널(21)의 구동용 클록이 생성된다.
상기 화질 조정 회로(42)로부터 출력된 RGB 신호는 RGB 구동기(46)에서 타이밍 제너레이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반전 클록에 따라, 액정 표시 패널(21)로의 입력용 신호 진폭으로 변환된 후에, 샘플 홀드 회로(47)에서 샘플링 펄스에 따라 위상 전개되고, 액정 표시 패널(21)에 입력된다. 그 위상 전개는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패널의 영상의 기록 특성에 따라 행해지고, 예컨대 고해상도의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로서는 4상∼6상으로 전개되는 경우가 많다. NTSC 등의 비교적 저해상도의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에서는 위상 전개는 불필요하며, 이 경우 샘플 홀드 회로도 불필요하게 된다.
그 타이밍 제너레이터(44)로부터, 액정 표시 패널(21)의 구동용 클록으로서, X축 구동기에 보내어지는 X축 구동 신호(X-Drive clock)와 Y축 구동기에 보내어지는 Y축 구동 신호(Y-Drive clock)가 출력된다.
그들 X축 구동 신호, Y축 구동 신호 및 위상 전개된 RGB 신호가 액정 표시 패널(21)의 X축 구동기와 Y축 구동기에 입력된다. 그들 구동기에 의해, 액정 표시 패널(21)의 액정 표시 소자가 구동됨으로써 영상이 표시된다.
그 타이밍 제너레이터(44)로부터 출력되는 백 라이트 점등 펄스는 점등 펄스 조정 회로(48)에서, 백 라이트(22)의 설정 휘도에 따라 적절한 펄스 듀티 또는 펄스 주기(점등, 소등의 주기)로 변환되어 인버터(23)에 입력된다. 이것에 의해 백 라이트(22)가 점등되고, 액정 표시 패널(21)로부터 화상 표시광이 출사된다.
즉,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14)는 표시기(11)의 구동용 신호로서, X축 구동기와 Y축 구동기와 인버터(23)에 보내어지는 신호를 생성한다.
그 X축 구동기와 Y축 구동기를 액정 표시 패널(21)과 별체로 하고, 그 인버터(23)를 백 라이트(22)와 별체로 하여 하우징(15) 내에 배치하여도 좋다.
신호 처리 회로의 구성은 상기의 것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기나 영상 신호에 따른 것을 적절하게 채용하면 좋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1)를 관찰자(2)에게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11)는 관찰자의 안면 전방에 배치되고, 또한 정면을 보는 관찰자(2)의 시축(P)에서 반경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서 전방을 향해 표시광(L)을 출사한다. 그러기 위해서, 그 표시기(11)는 관찰자(2)의 두부의 좌우측면 사이에서, 그 시축(P)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광학계(13)는 그 표시기(11)의 전방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그 광학계(13)는 관찰자(2)의 두부의 좌우측면 사이에서, 그 시축(P)의 바로 아래에서 표시광(L)의 광로를 변경한다. 상기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14)는 그 시축(P)에서 반경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로서, 그 표시기(11)로부터 후방에 간격을 둔 위치, 즉 관찰자(2)의 두부의 측방 위치에 배치된다. 그 하우징(15)에 있어서의 관찰자(2)의 귀에 대향하는 부분에 스펀지나 고무 등의 쿠션 부재를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표시기(11)로부터 출사되는 화상 표시광(L)은 정면을 보는 관찰자의 시축(P)에서 반경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서 전방을 향하고, 그리고 나서, 광학계(13)에 의해 광로가 변경됨으로써 관찰자(2)의 눈으로 유도된다. 이것에 의해 관찰자(2)는 화상을 관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 화상 표시광(L)의 광로 중심선과 상기 시축(P)을 포함하는 면은 수직면 내에 존재한다. 그 표시기(11)와 광학계(13)와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14)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장치(1)의 중량이 관찰자(2)에게 불균형하게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표시기(11)와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14)는 그 시축(P)에서 반경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므로, 관찰자(2)의 시야가 좁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그 표시기(11)를 시축(P)의 바로 아래에 배치함으로써, 관찰자(2)의 눈의 바로 아래에서 표시기(11)를 관찰자(2)의 안면에 가급적 근접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관찰자(2)의 시야가 표시기(11)에 의해 좁혀지는 것을 거의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광학계(13)는 그 시축(P)의 바로 아래에서 표시광(L)의 광로를 변경하도록, 아암(12)을 통해 표시기(11)에 연결된다. 따라서, 그 광학계(13)와 아암(12)에 의해 관찰자(2)의 시야가 좁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14)는 관찰자(2)의 두부의 측방에 배치되므로, 그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14)에 의해 관찰자(2)의 시야가 좁혀지지 않으며, 또한 그 표시기(11)와 광학계(13)를 상기 시축(P)의 바로 아래에 배치하는 경우에 장치(1)의 중량이 관찰자(2)에게 불균형하게 작용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6과 도 7에 도시하는 제2 실시예의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101)는 관찰자(102)의 두부에 장착할 수 있는 유지 부재(103)와, 관찰자(102)의 두부의 한쪽 측면에 유지 부재(103)를 연결하는 표시 유닛(104)을 갖는다.
그 유지 부재(103)는 좌우측 두부 패드(151), 좌우 홀더(152), 연결부(153), 후방 두부 측방 벨트(155), 좌우 두부 정상의 측방 패드(156)를 갖는다. 그 좌우측 두부 패드(151)는 관찰자(102)의 좌우측 두부에서 귀를 둘러싸는 영역에 가압된다. 그 좌우 홀더(152)는 각 두부 측방 패드(151)를 유지한다. 그 연결부(153)는 좌우 홀더(152)를 연결한다. 상기 좌우 두부 정상의 측방 패드(156)는 그 연결부(153)에 연결되는 동시에 관찰자(102)의 두부 정상부의 좌우 상부에 가압된다. 그 후방 두부 측방 벨트(155)는 두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양 홀더(152)를 연결한다.
그 연결부(153)는 정상부의 위쪽에서 전후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밴드(153a)와, 양 밴드(153a)의 각 모서리 부분에서 일체화되는 좌우 연결편(153c)을 갖는다. 이 연결부(153)를 이용하여 좌우 홀더(152)에 연결하여, 좌우측 두부 패드(151)의 간격은 관찰자(102)의 두부의 좌우폭 보다도 작게 된다. 그 좌우측 두부 패드(151)의 간격은 그 밴드(153a)의 탄성 변형에 의해 넓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그 밴드(153a)의 탄성 변형에 기초하는 탄력에 의해, 관찰자(102)의 좌우측 두부에서 귀를 둘러싸는 영역의 좌우측 두부 패드(151)를 가압할 수 있다.
그 표시 유닛(104)은 케이싱(124)에 의해 덮여지는 표시기(111), 광학계(113), 그 표시기(111)와 광학계(113)를 접속하는 연결 부재(112), 그 표시기(111)의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114)를 가지며, 유지 부재(103)를 통해 관찰자(102)의 두부에 장착할 수 있다. 그 표시기(111)는 표시 유닛(104)과 유지 부재(103)와의 연결 위치의 전방 위치에서 전방을 향해 화상 표시광을 출사한다. 그 광학계(113)는 그 표시기(111)의 전방에서, 그 표시기(111)로부터 출사되는 화상 표시광을 관찰자(102)의 한쪽 눈으로 유도하기 위해서 광로를 변경한다.
그 표시기(111)는 예컨대 종래의 백 라이트에 부착된 액정 표시 장치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 표시기(111)는 그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114)로부터 케이블(129)을 통해 송신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화상 표시광을 출사한다.
그 연결 부재(112)는 그 표시기(111)의 케이싱(124) 하부로부터 관찰자(102)의 전방으로 연장된다. 이 연결 부재(112)의 전방 모서리 부분에 광학계(113)가 부착된다.
그 광학계(113)는 예컨대 콤바이너나 전반사 미러 등의 하나의 광학 소자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그 광학계(113)를 콤바이너에 의해 구성하는 경우, 전방으로부터 빛을 투과시켜서 관찰자(102)의 눈으로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관찰자(102)는 화상과 전방의 실재물의 양쪽을 관찰할 수 있다. 그 콤바이너는 하프 미러나 홀로그램 소자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하프 미러를 이용하는 경우는 반사에 의해 화상 표시광의 광로를 변경하고, 홀로그램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는 회절에 의해 화상 표시광의 광로를 변경한다. 화상을 관찰자(102)의 눈으로부터 먼 곳으로 옮긴 위치에 흐려지지 않게 형성하기 위해서, 그 광학 소자(113)의 반사 곡면을 구면으로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114)는 영상 신호 발생원(도시 생략)에 케이블(129)을 통해 접속되고, 그 영상 신호에 따라 표시기(111)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와, 이 회로를 덮는 하우징(115)을 갖는다. 그 케이블(129)은 홀더(152)에 부착된 케이블 클램프(159)에 의해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영상 신호 발생원은 영상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면 특별한 제한은 없고, 예컨대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컴퓨터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그 회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하우징(115)은 관찰자(102)의 두부의 한쪽 옆에서 연결 기구(170)를 통해 구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유지 부재(103)에 연결되어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연결 기구(170)는 그 유지 부재(103)에 부착되어 있는 받침 부재(172)와, 상기 하우징(115)에 일체화되어 있는 접합 부재(173)와, 리테이너(174)와, 압축 코일 스프링(175)과, 스프링 프레스(176)를 갖는다. 그 받침 부재(172)는 중앙 구멍(172a)을 갖는 링형이다. 이 받침 부재(172)의 한쪽 측면은 구면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받침 부재측 제1 활주면(172b)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받침 부재(172)의 다른쪽 면은 그 구면과 동심인 구면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받침 부재측 제2 활주면(172c)으로 되어 있다. 그 접합 부재(173)의 표면은 그 구면과 동심인 구면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접합 부재측 활주면(173a)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접합 부재측 활주면(173a) 상에 원기둥부(17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원기둥부(173b)의 축심은 그 구면의 중심을 통과한다. 그 리테이너(174)의 한쪽 측면은 상기 구면과 동심인 구면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리테이너측 활주면(174a)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리테이너(174)는 중앙 구멍(174b)과, 이 중앙 구멍(174b)을 둘러싸는 스프링 삽입용 오목부(174c)를 갖는다. 그 스프링 프레스(176)는 원통부(176a)와, 이 원통부(176a)의 일단의 플랜지부(176b)를 갖는다. 상기 원기둥부(173b)는 받침 부재(172)의 중앙 구멍(172a), 리테이너(174)의 중앙 구멍(174b), 스프링 프레스(176)의 원통부(176a)에 삽입 관통된다. 그 리테이너(174)의 스프링 삽입용 오목부(174c)에 삽입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175)은 그 스프링 프레스(176)의 플랜지부(176b)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그 스프링 프레스(176)는 나사(178)에 의해 원기둥부(173b)에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115)의 구면을 따라 연속 동작할 수 있도록, 그 받침 부재(172)의 중앙 구멍(172a)의 지름은 스프링 프레스(176)의 원통부(176a)의 지름보다도 충분히 크게 되어 있다. 그 스프링(175)의 탄력에 의해, 리테이너측 활주면(174a)은 받침 부재측 제2 활주면(172c)에 눌려지고, 받침 부재측 제1 활주면(172b)은 접합 부재측 활주면(173a)에 눌려진다. 이로 인해 접합 부재(173)는 받침 부재(172)에 대하여, 각 활주면(173a, 172b, 172c, 174a)을 통해, 적당한 마찰력의 작용으로 구면을 따라 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관찰자(102)의 두부의 측방에서, 그 표시 유닛(104)을 두부의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따라 축둘레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 표시기(111)는 관찰자(102)의 안면의 전방에서, 접속 기구(160)를 통해 구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114)에 연결되어 있다. 즉,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접속 기구(160)는 한 쌍의 접속편(161a, 161b)을 갖는다. 각 접속편(161a, 161b)은 복수의 대략 U자형의 플레이트형 가이드 부분(161a′, 161b′)과, 각 가이드 부분(161a′, 161b′)의 연결 부분(161a″, 161″)을 갖는다. 각 접속편(161a, 161b)에서, 그들 플레이트형 가이드 부분(161a′, 161b′)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115)은 관찰자(102)의 두부의 측면을 따르는 부분과 안면을 따르는 부분을 갖도록, 평면에서 볼 때 대략 L자형으로 되어 있다. 그 하우징(115)의 전단 부근은 받침부(115a)로 되어 있다. 그 받침부(115a)에 상기 양 접속편(161a)의 연결 부분(161a″, 161b″)이 끼워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한쪽 접속편(161a)의 가이드 부분(161a′)과, 다른쪽 접속편(161b)의 가이드 부분(161b′)은 서로 사이에 끼워지도록 교대로 병렬 배치된다. 양 접속편(161a, 161b)은 그 하우징(115)의 외주 단차부(115b)와 전단 플랜지(115c)에서 끼워넣어진다. 그 가이드 부분(161a′, 161b′)의 외주면은 구면을 따른다. 상기 표시기(111)의 케이싱(124)의 내주는 그 가이드 부분(161a′, 161b′)의 외주면이 따르는 구면에 접하는 구면을 따르는 받침면(124′)을 갖는다. 그 케이싱(124)은 가이드 부분(161a′, 161b′)에 끼워넣도록, 전후 2개의 부재(124a, 124b)를 나사(도시 생략)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그 받침면(124′)은 가이드 부분(161a′, 161b′)의 외주면에 끼워맞춰진다. 그 가이드 부분(161a′, 161b′)의 외주면이 따르는 구의 직경은 그 받침면(124′)이 따르는 구의 직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양 접속편(161a, 161b)은 탄성재에 의해 구성된다. 양 접속편(161a, 161b)은 자기 윤활성을 갖는 동시에 내마모성이 우수한 폴리아세타르 등의 합성 수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그 탄성에 의해 가이드 부분(161a′, 161b′)의 외주면은 받침면(124′)에 눌려진다. 따라서, 그 표시기(111)는 하우징(115)에 대하여, 구면을 따르는 활주면을 통해, 적당한 마찰력을 갖고 구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그 표시기(111)와 광학계(113)를 하우징(115)에 대하여, 관찰자(102)의 두부의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따라 축둘레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 표시기(111)와 광학계(113)는 하우징(115)에 대하여, 관찰자(102)의 두부의 적어도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을 따라 축둘레로 회전시킬 수 있으면 충분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24)에 스토퍼(124″)를 설치하고 있다. 그 좌우 방향을 따르는 축둘레의 회전은 그 스토퍼(124″)가 한쪽 U자형 가이드 부분(161a′)의 내주부에 닿음으로써 일정 범위로 규제된다. 그 상하 방향을 따르는 축둘레의 회전과 전후 방향을 따르는 축둘레의 회전은 케이싱(124)이 하우징(115)에 닿음으로써 일정범위로 규제된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측방 두부 패드(151)와 각 홀더(152)는 모서리가 없는 둥근 환상이다. 그 홀더(152)의 내측면에 패드(151)가 접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측방 두부 패드(151)는 관찰자(102)의 귀의 전주위에 있어서 측방 두부에 가압된다. 또한, 각 측방 두부 패드(151)의 중앙과 각 홀더(152)의 중앙은 관찰자(102)의 귀(E)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개구(200)로 되어 있다. 각 측방 두부 패드(151)와 각 홀더(152)는 예컨대 외주가 다각형을 따르는 환상이어도 좋다.
각 측방 두부 패드(151)의 두께와 각 홀더(152)의 두께중의 적어도 한쪽은 각 측방 두부 패드(151)의 가압면(151a)이 관찰자(102)의 측방 두부를 따르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사람의 측방 두부에 있어서의 귀를 둘러싸는 영역에서는 귀의 후방 하부가 움푹하게 들어간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가압면(151a)에 있어서는 귀의 후방 하부에 가압되는 부분(151a′)은 나머지 부분보다도 내측으로 팽출(膨出)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측방 두부 패드(151)의 두께는 균일해지고, 홀더(152)의 두께는 귀의 후방 하부가 다른 부분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다. 홀더(152)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고, 측방 두부 패드(151)의 두께를 귀의 후방 하부가 다른 부분보다도 두껍게 하여도 좋다. 중요한 것은 귀의 후방 하부의 측방 두부 패드(151)의 두께와 홀더(152)의 두께의 합계가 다른 위치의 측방 두부 패드(151)의 두께와 홀더(152)의 두께의 합계보다도 커지면 된다.
각 측방 두부 패드(151)의 귀를 둘러싸는 영역으로의 가압력은 그 귀의 전방이 후방에서 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연결편(153c)의 저면에 연결 샤프트(153d)와, 요동 제한부(153e)와, 원기둥형의 누름부(153f)가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각 홀더(152)에 받침부(152a)가 설치되어 있다. 그 받침부(152a)의 상면은 그 연결 샤프트(153d)의 저면을 받친다. 그 받침부(152a)에 지지 구멍(152b), 평면에서 보아 부채형인 오목부(152c)와, 평면에서 보아 원호형인 가이드 구멍(152d)이 설치되어 있다.
각 홀더(152)의 외측에 지지축(152e)이 부착된다. 그 지지축(152e)에 스프링 받침편(152f)이 상하 방향 둘레로 요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그 홀더(152)에 부착되는 압축 스프링(152g)(탄성 부재)은 그 스프링 받침편(152f)과 홀더(152)의 외측 사이에 끼워진다.
그 연결 샤프트(153d)는 지지 구멍(152b)에 회전가능하게 관통되고, 그 요동 제한부(153e)는 오목부(152c)에 삽입되며, 그 누름부(153f)는 가이드 구멍(152d)을 관통한다. 이것에 의해, 각 홀더(152)는 연결부(153)에 상하 방향을 따르는 연결 샤프트(153d) 둘레로 요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그 홀더(152)의 요동 범위는 요동 제한부(153e)가 오목부(152c)의 내면에 접함으로써 일정 범위로 제한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샤프트(153d)의 전방에 있어서, 누름부(153f)는 스프링 받침편(152f)과 스프링(152g)을 통해 홀더(152)를 누른다. 이 누름에 의해, 화살표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52)의 전방측을 관찰자(102)의 측 두부를 향해 요동시키는 탄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각 측방 두부 패드(151)의 귀를 둘러싸는 영역으로의 가압은 그 귀의 전방에서는 후방에서 보다도 커진다. 그 연결 샤프트(153d)의 전방 모서리에 이탈 방지 링(도시 생략)이 부착되므로, 연결부(153)로부터 홀더(152)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각 측방 두부 패드(151)에 의한 측 두부의 가압력은 합계 400∼800 gf로 설정되고, 그 가압력중의 1/2 내지 3/4은 귀의 전방 영역의 가압력에 할당되고, 나머지 가압력은 귀의 위쪽 영역, 아래쪽 영역, 후방 영역에 할당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 정상측 패드(154)는 각각 패드 받침(156)에 붙여진다. 각 패드 받침(156)은 각각 연결부(153)에 판 스프링(157)을 통해 부착되어 있다. 그 판 스프링(157)의 탄력에 의해, 좌우 정상측 패드(154)는 정상부의 좌우 상부에 가압된다.
상기 후방 두부측 벨트(155)는 좌우 홀더(152)의 간격을 관찰자(102)의 귀의 후방에서 좁히는 탄력이 작용되는 고무 등의 탄성재로 제조한다. 또,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홀더(152)의 후부에 슬릿(152h)이 형성된다. 후방 두부측 벨트(155)의 일단은 한쪽 홀더(152)의 슬릿(152h)에 삽입되고, 타단은 다른쪽 홀더(152)의 슬릿(152h)에 삽입된다. 이 후방 두부측 벨트(155)의 각 단은 힌지축(158)을 통해 상하 움직일 수 있도록 홀더(152)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후방 두부측 벨트(155)의 위치는 두부 형상을 따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다. 이 후방 두부측 벨트(155)는 관찰자(102)가 앞으로 구부렸을 때에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부가로 갖는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홀더(152)에 받침(152i)이 형성된다. 관찰자(102)의 두부의 한쪽 옆에 있어서, 좌우 홀더(152) 중 한쪽 받침(152i)에 상기 연결 기구(170)가 받침 부재(172)를 통해 전후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또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을 좌우 어느쪽 눈으로도 관찰할 수 있도록,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를 유지 부재에 두부의 좌측과 우측에서 착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관찰자(102)의 두부의 다른쪽에서, 좌우 홀더(152) 중 다른쪽 받침(152i)을 통해, 표시 유닛(104)을 유지 부재(103)에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기(111)는 상하 반전하므로, 연결 부재(112)와 케이싱(124)과의 연결 위치를 상하 반전할 수 있게 하고, 또한 표시 화상을 상하 반전할 수 있게 한다. 이것에 의해, 관찰자(102)의 다른쪽 눈으로 화상을 관찰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101)를 관찰자(102)에게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표시기(111)는 관찰자(102)의 안면의 전방에 배치되고, 관찰자(102)의 안면에서 이격되어 대향한다. 또한, 그 표시기(111)는 정면을 보는 관찰자(102)의 시축(P)에서 반경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서 전방을 향해 표시광(L)을 출사한다. 그 때문에, 그 표시기(111)는 관찰자(102)의 두부의 좌우측면 사이에서, 그 시축(P)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광학계(113)는 그 표시기(111)의 전방에서 이격되어 배치되고, 또한 그 시축(P)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로, 그 광학계(113)는 관찰자(102)의 두부의 좌우측면 사이에서, 그 시축(P)에서 반경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서 화상 표시광(L)의 광로를 변경한다. 그 표시기(111)와 광학계(113)는 관찰자(102)의 안면에 가급적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114)는 그 시축(P)에서 반경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로서, 그 표시기(111)로부터 후방에 간격을 둔 위치, 즉 관찰자(102)의 두부의 측방 위치에 배치된다. 그 표시기(111)로부터 출사되는 화상 표시광(L)은 전방을 향한 후에 광학계(113)에 의해 광로가 변경됨으로써, 관찰자(102)의 눈으로 유도된다. 이것에 의해 관찰자(102)는 화상을 관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 화상 표시광(L)의 광로 중심선과 상기 시축(P)을 포함하는 면은 수직면 내에 존재한다.
상기 제2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관찰자(102)의 안면의 전방에서, 하우징(115)에 대하여 표시기(111)를 구면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이동에 의해, 그 표시기(111)와 광학계(113)를 관찰자(102)의 두부중 적어도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을 따르는 축둘레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그 광학계(113)에 의해 광로가 변경되는 화상 표시광의 진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관찰자(102)의 두부의 형상이 다양하여도, 화상을 관찰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그 표시기(111)를 관찰자(102)의 안면의 전방에 있어서 운동시키기 때문에, 그 화상의 위치를 용이하게 정밀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관찰자(102)의 두부의 측방에서 하우징(115)을 유지 부재(103)에 대하여 구면을 따라 이동시키고, 이후에 관찰자(102)의 안면의 전방에서 하우징(115)에 대하여 표시기(111)를 구면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상의 위치를 신속히 정밀 조절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관찰자(102)의 측방 두부의 좌우측 두부 패드(151)를 통해 가압에 의해, 유지 부재(103)의 두부에 대한 움직임을 규제한다. 이것에 의해, 표시기(111) 및 광학계(113)에 진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관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좌우측 두부 패드(151)는 귀를 둘러싸는 영역에 가압되기 때문에, 귀에 가압하는데 비하여 두부에 대한 유지 부재(103)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위치가 광범위하게 미친다. 따라서, 보다 안정되게 유지 부재(103)의 두부에 대한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다. 각 측방 두부 패드(151)의 중앙과 각 홀더(152)의 중앙은 개구(200)로 되고, 이것에 의해 관찰자(102)의 귀가 노출되기 때문에, 관찰자(102)의 청각이 제한되는 일은 없다. 각 측방 두부 패드(151)와 홀더(152)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모서리가 없는 환상으로 되어 예컨대 C자형에 비하여, 귀의 전주위에서 두부에 가압된다. 따라서, 보다 안정되게 유지 부재(103)를 두부에서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다.
그 표시기(111)는 표시 유닛(104)과 유지 부재(103)의 연결 위치의 전방에 배치되고, 그 광학계(113)는 표시기(111)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측방 두부 패드(151)의 가압력을 귀의 후방 보다도 전방에서 크게 하여 보다 확실하게 화상의 흔들림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탄력의 작용을 이용하여 각 측방 두부 패드(151)의 가압력을 귀의 후방 보다도 전방에서 크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연결부(153)에 대한 홀더(152)의 요동을 이용하여 각 측방 두부 패드(151)를 두부 형상을 따르게 하고, 두부 형상에 개인차가 있어도 확실하게 화상의 흔들림을 규제할 수 있다. 이 경우, 후방 두부측 벨트(155)에 의해, 좌우 홀더(152)의 간격을 관찰자(102)의 귀의 후방으로 좁히는 탄력을 작용시킨다. 따라서 각 측방 두부 패드(151)가 귀의 후방으로 두부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상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좌우 정상측 패드(154)를 정상부의 좌우 상부에 가압함으로써 보다 안정되게 유지 부재(103)의 움직임을 두부에서 규제할 수 있다. 각 측방 두부 패드(151)의 두께와 각 홀더(152)의 두께중의 적어도 한쪽은 각 측방 두부 패드(151)의 가압면(151a)이 관찰자(102)의 측 두부를 따르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도, 보다 안정되게 유지 부재(103)의 두부에 대한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정면을 보는 관찰자의 시축의 위쪽에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를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표시기를 구성하는 백 라이트를 점등용 회로가 필요한 음극관 이외의, 점등용 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는 LED나 전구 등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표시기로서 백 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 형광 표시관 등의 자발광 타입인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속편 자체의 탄성에 기초하여 가이드 부분의 외주면은 받침면에 눌려져 있다. 이것을 대신하여, 그 누름을 위한 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를 별도로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관찰자에게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측방 두부 패드와 홀더의 개구를 통해 관찰자의 귀에 이어폰을 부착하여도 좋다.

Claims (12)

  1. 화상의 표시광을 출사하는 표시기(11, 111)와, 상기 표시광을 관찰자(2, 102)의 눈으로 유도하기 위해서 광로를 변경하는 광학계(13, 113)와, 상기 표시기(11, 111)의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14, 114)가 유지 부재(3, 103)를 이용하여 관찰자(2, 102)의 두부에 장착될 수 있는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1, 101)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11, 111)는 정면을 보는 관찰자(2, 102)의 시축에서 반경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서 전방을 향해 표시광을 출사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광학계(13, 113)는 상기 표시기(11, 111)의 전방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14, 114)는 그 시축에서 반경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표시기(11, 111)와 광학계(13, 113)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11, 111)는 상기 시축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13, 113)는 상기 시축의 바로 아래에서 표시광의 광로를 변경하도록 연결 부재(12, 112)를 통하여 상기 표시기(11, 11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14, 114)는 상기 표시기(11, 111)의 후방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관찰자(2, 102)의 두부의 측방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광은 관찰자(102)의 한쪽 눈으로 유도되어, 상기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114)를 덮는 하우징(115)이 관찰자(102)의 두부의 측방의 상기 유지 부재(103)에 연결되고,
    상기 광학계(113)는 상기 시축에서 반경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표시기(111)에 접속되며,
    상기 표시기(111)는 관찰자(102)의 안면의 전방에서 상기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114)를 덮는 하우징(115)의 구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용 신호 생성 장치(114)를 덮는 하우징(115)이 관찰자(102)의 두부의 측방에서 상기 유지 부재(103)에 구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103)는 관찰자(102)의 좌우측 두부에서 귀를 둘러싸는 영역을 가압하는 좌우측 두부 패드(151)와, 상기 각 패드(151)를 유지하는 좌우 홀더(152)를 가지며, 상기 각 패드(151)의 중앙과 각 홀더(152)의 중앙은 관찰자(102)의 귀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개구(200)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패드(151)와 각 홀더(152)는 모서리가 없는 환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패드(151)의 좌우측 두부에서 귀를 둘러싸는 영역의 가압력은 상기 귀의 전방이 후방 보다도 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103)는 좌우 홀더(152)를 연결하는 연결부(153)를 가지며,
    상기 각 홀더(152)는 그 연결부(153)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축둘레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상기 각 홀더(152)의 전방측을 관찰자(102)의 두부 측면으로 이동시키는 탄력이 작용하도록, 각 홀더(152)를 탄성 부재(152g)를 통해 눌려지도록 하는 누름부(153f)가 상기 연결부(153)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자(102)의 귀의 후방에서 상기 좌우 홀더(152)의 간격을 좁히는 탄력을 부여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53)에, 관찰자(102)의 두부 정상부의 좌우 상부에 가압되는 좌우 두부 정상 패드(154)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
KR1019990007225A 1998-03-09 1999-03-05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 KR100551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076703 1998-03-09
JP7670398A JPH11259014A (ja) 1998-03-09 1998-03-09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10256060A JP2000066618A (ja) 1998-08-25 1998-08-25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98-256060 1998-08-25
JP98-303409 1998-10-09
JP30340998A JP2000122567A (ja) 1998-10-09 1998-10-09 頭部装着型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609A true KR19990077609A (ko) 1999-10-25
KR100551532B1 KR100551532B1 (ko) 2006-02-13

Family

ID=27302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7225A KR100551532B1 (ko) 1998-03-09 1999-03-05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59602B1 (ko)
EP (1) EP0942307B1 (ko)
KR (1) KR100551532B1 (ko)
DE (1) DE69922724T2 (ko)
TW (1) TW42296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9445A (ko) * 2006-06-15 2007-12-20 주식회사 엘림시스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 및 그동작 방법
KR20220142632A (ko) * 2021-04-15 2022-10-24 주식회사 글랙스 안경 착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개선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7611B1 (en) * 2000-07-27 2004-06-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act optical system and packaging for head mounted display
JP4598966B2 (ja) 2001-02-06 2010-12-1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頭部装着型映像音声再生システム
US6771423B2 (en) * 2001-05-07 2004-08-03 Richard Geist Head-mounted virtual display apparatus with a near-eye light deflecting element in the peripheral field of view
US20030030597A1 (en) * 2001-08-13 2003-02-13 Geist Richard Edwin Virtual display apparatus for mobile activities
US7088234B2 (en) * 2001-11-27 2006-08-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Wearing information notifying unit
AU2002362095A1 (en) * 2001-12-05 2003-06-17 Kopin Corporation Head-mounted display system
AT413641B (de) 2002-02-14 2006-04-15 Life Optics Gmbh Halter für am kopf zu tragende geräte
US20040125047A1 (en) * 2002-08-23 2004-07-01 Kopin Corporation Headgear system with display
EP1394592A1 (de) * 2002-08-29 2004-03-03 Active Photonics AG, Visualisierungs- und Kommunikationssysteme Am Kopf tragbare Anzeigevorrichtung bei verbessertem Gesichtsfeld
WO2004061519A1 (ja) * 2002-12-24 2004-07-22 Nikon Corporation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7499217B2 (en) * 2006-03-03 2009-03-03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Imaging systems for eyeglass-based display devices
US20100007581A1 (en) * 2006-08-17 2010-01-14 Nikon Corporation Head mount display device
WO2008035612A1 (fr) * 2006-09-19 2008-03-27 Nikon Corporation Dispositif de sortie et écran pouvant être porté
JP5190070B2 (ja) * 2007-01-12 2013-04-24 コピン コーポレーション 単眼式の表示装置
US9217868B2 (en) 2007-01-12 2015-12-22 Kopin Corporation Monocular display device
US9696546B2 (en) * 2008-06-30 2017-07-0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ead-mountable cockpit display system
US8284506B2 (en) 2008-10-21 2012-10-09 Gentex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nd assembling a multi-lens optical device
US7997723B2 (en) 2008-12-31 2011-08-16 Nokia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and device
US9503555B2 (en) * 2009-10-21 2016-11-22 Symbol Technologies, Llc Mounting device couplable to a human head
US8994610B2 (en) * 2010-11-08 2015-03-31 Symbol Technologies, Inc. User configurable headset
JP2013239813A (ja) * 2012-05-14 2013-11-28 Olympus Corp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5847014B2 (ja) * 2012-05-17 2016-01-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頭部装着型表示装置
US9292086B2 (en) * 2012-09-26 2016-03-22 Grinbath, Llc Correlating pupil position to gaze location within a scene
US9298011B2 (en) 2013-05-21 2016-03-29 Kopin Corporation Wearable electronic eyewear display
KR20160059276A (ko) * 2014-11-18 201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용 가능한 전자 장치
US20170363874A1 (en) 2016-06-21 2017-12-21 Symbol Technologies, Llc Modular heads up display assemblies
US10459236B2 (en) * 2016-12-09 2019-10-29 Lg Electronics Inc. Head-mounted display device with earbud holder
US11224259B2 (en) * 2017-08-07 2022-01-18 Rawlings Sporting Goods Company, Inc. Helmet with faceguard system
CN108452423A (zh) * 2018-04-03 2018-08-28 苏州美瑞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多功能智能理疗保健器
KR102209221B1 (ko) 2018-11-27 2021-01-29 주식회사 블루웨일 플로팅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기반 스마트 헬멧
TWI784488B (zh) 2021-04-20 2022-11-21 宏碁股份有限公司 頭戴顯示裝置
CN113534470B (zh) * 2021-08-03 2023-07-25 瑞欧威尔(上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变fov显示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3370A (en) * 1974-10-15 1975-12-02 Honeywell Inc Head mounted displays
US4231117A (en) * 1979-01-15 1980-11-04 Gentex Corporation Helmet assembly for accurately positioning visual display system
DE3266147D1 (en) * 1981-05-29 1985-10-17 Gec Avionics Night vision goggles
US4551861A (en) * 1984-01-16 1985-11-12 Danmar Products, Inc. Wrestling helmet ear pads
US5003300A (en) 1987-07-27 1991-03-26 Reflection Technology, Inc. Head mounted display for miniature video display system
US5880888A (en) * 1989-01-23 1999-03-09 Hughes Aircraft Company Helmet mounted display system
GB2238627B (en) 1989-11-29 1994-04-06 Yazaki Corp Display apparatus
JP2985231B2 (ja) * 1990-05-17 1999-11-29 ソニー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US5095552A (en) * 1990-12-24 1992-03-17 Parkinson Lee J Helmet face guard mount
US5345281A (en) * 1992-12-17 1994-09-06 John Taboada Eye tracking system and method
EP0724743A1 (en) 1993-10-22 1996-08-07 Kopin Corporation Head-mounted display system
TW308647B (ko) * 1994-12-02 1997-06-21 Hitachi Ltd
JPH08160343A (ja) * 1994-12-05 1996-06-21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表示装置
US5677795A (en) * 1995-01-10 1997-10-14 Hughes Aircraft Company Modular helmet-mounted display
US5619373A (en) * 1995-06-07 1997-04-08 Hasbro, Inc. Optical system for a head mounted displa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9445A (ko) * 2006-06-15 2007-12-20 주식회사 엘림시스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를 위한 접안식 출력장치 및 그동작 방법
KR20220142632A (ko) * 2021-04-15 2022-10-24 주식회사 글랙스 안경 착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개선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22724T2 (de) 2005-12-15
EP0942307A3 (en) 1999-10-13
TW422965B (en) 2001-02-21
EP0942307A2 (en) 1999-09-15
EP0942307B1 (en) 2004-12-22
DE69922724D1 (de) 2005-01-27
KR100551532B1 (ko) 2006-02-13
US6359602B1 (en) 2002-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1532B1 (ko)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
JP5131254B2 (ja) Hmd用アタッチメント装置
JP5284992B2 (ja) 画像表示装置
US11340464B2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CA2107607C (en) Head-mounted image display apparatus
US6144347A (en) Head-mounted image display apparatus
CN105629467B (zh) 图像显示装置
EP3435660A1 (en) Head-mounted display
WO2007037089A1 (ja)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JP2011528814A (ja) めがね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1305474A (ja)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JP4074986B2 (ja) 分割波長板フィルターの位置調整機構及び立体画像表示装置
JP2000122567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US11204505B2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cover member
JPH06315124A (ja) 眼鏡型映像表示装置
JP4927208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
JP6703513B2 (ja) 画像表示装置
JP2000003143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2001075496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H11327460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2005277497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H11133349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WO2016039363A1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および画像表示ユニット
US20220197038A1 (en) Wearable display device
JP2001228435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