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6403A - 광학 시스템의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광학 시스템의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403A
KR19990076403A KR1019980011333A KR19980011333A KR19990076403A KR 19990076403 A KR19990076403 A KR 19990076403A KR 1019980011333 A KR1019980011333 A KR 1019980011333A KR 19980011333 A KR19980011333 A KR 19980011333A KR 19990076403 A KR19990076403 A KR 19990076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focus
determining whether
tracking
det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1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6403A/ko
Publication of KR19990076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403A/ko

Link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광학 시스템의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포커스 출력 이득의 조정을 요구하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a) 단계, 포커스 출력 이득의 조정을 요구하는 경우, 제1 및 제2 소정 대기 시간들(TM1 및 TM2)을 설정하고 포커스 에러 신호(FE)에 메모리로부터 독출된 측정 신호를 중첩하는 (b) 단계, 중첩된 신호와 FE를 이용하여 검출 신호를 산출하는 (c)단계, 검출 신호가 제로 크로스되었는가를 판단하는 (d)단계, 검출 신호가 제로 크로스되었으면, 위상을 몇 번 적산할 것인가에 따라 잡음을 제거하고 위상을 적산하는 (e)단계, 검출 신호가 제로 크로스되지 않았으면, 다른 측정 신호를 가져오고 측정이 종료되었는가에 따라 위상을 보상하는 (f)단계, (e)단계 또는 (f)단계후에, 위상의 적산이 종료되었는가를 판단하는 (g)단계, 위상의 적산이 종료되었으면, 위상이 허용치 이상인가를 판단하여, 허용치 보다 적으면 포커스 이득 조정을 종료하는 (h)단계, 위상이 허용치 이상이면, 포커스 출력 이득을 조정하고, TM1, TM2, 위상 및 모드를 초기화하는 (i)단계 및 위상이 적산이 종료되지 않았거나, (i)단계후에, 인터럽트가 발생되었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여, 인터럽트가 발생하였으면 (b)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학 시스템의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 방법
본 발명은 컴팩트 디스크(CD:Compact Disk) 시스템,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DVD:Digital Video Disk) 시스템등과 같은 광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학 시스템에서, 포커스 출력 이득 및/또는 트랙킹 출력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광학 시스템의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D 시스템에는 트랙킹 서보 기구와 포커스 서보 기구들이 있다. 여기서, 트랙킹 서보 기구는 트랙킹 오차 신호 검출, 위상 보상 드라이브 앰프, 직류 검출부, 파워 앰프 및 스라이드 모터 따위로 구성된다. 트랙킹 서보 기구는 올바른 위치에 놓여진 확대경을 문장에 따라 움직여가는 것과 비슷하다. 문장에 따라 확대경을 정확히 이동시켜 가지 않으면, 쓰여진 내용을 읽기 어려운 것과 마찬가지로 트랙을 따라 신호를 똑같이 읽지 못하면 원래의 신호를 읽는 것이 불가능하다. 트랙킹 서보 기구는 포커싱 서보 기구가 정확하게 동작되지 않으면, 아무런 소용이 없게 된다. CD 시스템에서는 여러가지 서보 기구들이 있으며, 이중에서도 트랙킹 서보 기구가 가장 어려운 제어 기술에 속한다.
한편, CD 시스템에서는 디스크의 신호면상에 광의 초점을 정확히 맞추지 않으면 요철 형태로 새겨진 정보를 올바로 읽지 못한다. 이것은 확대경을 사용하여 대단히 작은 문자를 읽는 것과 유사하다. 확대경을 올바른 위치에 놓지 않으면, 그 문자가 어떻게 되는지를 식별하기가 어렵게 된다. 트랙킹 서보 기구와 달리 포커싱 서보 기구는 픽업을 상하로 움직여 디스크가 회전과 함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추종해 가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의 트랙킹 서보 기구 및 포커싱 서보 기구의 트랙킹 서보 출력 및 포커스 서보 출력의 이득 조정은 하드웨어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었다. 그러므로, 이득 조정에 따른 조작이 불편하고, 이를 조정하기 위한 하드웨어가 필요하므로 제품 단가가 높고,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학 시스템이 디지탈 서보에서 시스템 전체가 안정하도록 원하는 포커스 또는 트랙킹의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광학 시스템의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광학 시스템의 일반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루프 이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위상차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소정수개의 측정 신호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갖는 광학 시스템의 포커스 출력 이득을 조정하는 본 발명에 의한 광학 시스템의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 방법은, 상기 포커스 출력 이득의 조정을 요구하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a) 단계와, 상기 포커스 출력 이득의 조정을 요구하는 경우, 제1 및 제2 소정 대기 시간들(TM1 및 TM2)을 설정하고 포커스 에러 신호에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된 측정 신호를 중첩하는 (b) 단계와, 상기 중첩된 신호와 상기 포커스 에러 신호들을 이용하여 검출 신호를 산출하는 (c) 단계와, 상기 검출 신호가 제로 크로스되었는가를 판단하는 (d) 단계와, 상기 검출 신호가 제로 크로스되었으면, 위상을 몇 번 적산할 것인가에 따라 잡음을 제거하고 위상을 적산하는 (e) 단계와, 상기 검출 신호가 제로 크로스되지 않았으면, 다른 측정 신호를 가져오고 측정이 종료되었는가에 따라 상기 위상을 보상하는 (f) 단계와, 상기 (e)단계 또는 상기 (f)단계후에, 상기 위상의 적산이 종료되었는가를 판단하는 (g) 단계와, 상기 위상의 적산이 종료되었으면, 상기 위상이 허용치 이상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허용치 보다 적으면 상기 포커스 이득 조정을 종료하는 (h) 단계와, 상기 위상이 상기 허용치 이상이면, 상기 포커스 출력 이득을 조정하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소정 대기 시간들, 상기 위상 및 모드를 초기화하는 (i) 단계 및 상기 위상이 적산이 종료되지 않았거나, 상기 (i)단계후에, 인터럽트가 발생되었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여, 인터럽트가 발생하였으면 상기 (b)단계로 진행하는 (j) 단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광학 시스템의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 방법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광학 시스템의 일반적인 도면으로서, 구동 코일(10), 광 디스크(12), 광 픽업(14), RF(Radio Frequency) 증폭기(16),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ADC:Analogue to Digital Converter)(20)와 디지탈 신호 처리부(22)와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DAC:Digital to Analogue Converter)(24)와 타이밍 발생기(TG:Timing Generating)(26) 및 롬(ROM:Read Only Memory)(28)로 구성되는 디지탈 서보(18) 및 출력 구동부(3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구동 코일(10)에 의해 광 픽업(14)은 광 디스크(12)로 빛을 조사하고, 디스크(12)로부터 반사되어 수광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RF 증폭기(16)로 출력한다. 디지탈 서보(20)는 RF 증폭기(16)로부터 출력되는 포커스 에러 신호(Z) 또는 트랙킹 에러 신호(Z)를 입력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트랙킹 출력 이득 또는 포커스 출력 이득을 조정하고, 이득 조정된 결과를 출력 구동부(30)로 출력한다. 출력 구동부(30)는 디지탈 서보(18)의 출력에 응답하여 구동 코일(10)에 소정 전류를 인가하여 원하는 신호가 디스크(12)로부터 독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루프 이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가산기들(52 및 54)과 증폭기(5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간략화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원리에 대해 다음과 살펴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궤환이 걸린 상태에서 디지탈 서보(18)내에서 측정 신호(X)를 에러 신호(Z)와 중첩하고, 검출 신호(Y)와 측정 신호(X)의 위상차를 측정하는 것으로 포커스 또는 트랙킹 이득 조정을 수행한다. 측정 신호(X)에 루프 이득을 '0'㏈로 하고 싶은 주파수를 갖는 정현파를 에러 신호(Z)와 중첩하면, 검출 신호(Y)와 측정 신호(X)의 위상차가 90°로 될 때, 정확히 그 주파수에서 루프 이득이 0㏈로 되는 것을 이용한다. 즉, 원하는 전체 이득이 큰 경우는 0㏈ 주파수도 크며 이 경우 측정 신호(X)는 높은 주파수를 중첩한다. 이득이 작은 경우는 이와 반대로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광학 시스템 전체의 이득은 시스템 사양으로부터 결정되며, 도 2를 참조하여 유도하면,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된다.
여기서, A는 도 1에 도시된 루프의 이득을 나타내고, g는 A의 크기를 나타내며, θ는 일반식을 유도하기 위해 도입된 첨자이고, Y는 검출 신호를 나타내고, X는 측정 신호를 나타내고, ψ는 위상을 각각 나타낸다.
수학식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이득(g)이 1일 때, 위상차(ψ)는 90°로 됨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이득 조정 요구에 따라 측정 신호와, 포커스 또는 트랙킹 에러 신호로부터 검출 신호를 산출하는 단계(제70 ∼ 제76 단계), 제로 크로스 여부에 따라 이득을 조정하는 단계(제78 ∼ 제108 단계) 및 적산의 종료 및 이득 조정된 결과의 허용치를 판단하여 이득 조정을 중단하는 단계(제110 ∼ 제118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위상차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 방법에서, 디지탈 신호 처리부(22)는 마이콤(미도시)로부터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을 요구하는 이득 조정 명령(C)이 입력되었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제70 단계). 만일, 마이콤(미도시)으로부터 포커스/트랙킹 출력 이득의 조정을 요구하는 이득 조정 명령이 입력된 경우, 디지탈 신호 처리부(22)는 롬(28)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이득 조정을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먼저, 디지탈 신호 처리부(22)는 제1 및 제2 소정 대기 시간들(TM1 및 TM2)을 설정한다(제72 단계). 즉, 인터럽트가 발생된 후 도 4에 도시된 측정 신호(X)(140)를 중첩하기 시작하면서 검출신호(Y)(142)가 안정할 때까지의 제1 소정 대기 시간(TM1)을 설정하고, 위상을 몇 번 적산할 것인가에 따라 제2 소정 대기 시간(TM2)을 설정한다. 제72 단계후에, 디지탈 신호 처리부(22)는 ADC(20)에서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 포커스/트랙킹 에러 신호인 입력 신호(Z)에 롬(28)로부터 독출된 측정 신호(X)를 중첩한다(제74 단계). 여기서, 롬(28)은 STsz의 어드레스 크기를 갖는 테이블을 마련하며, 이 테이블에는 서로 다른 여러개의 측정 신호들이 저장되어 있다. 즉, 일정 간격(Xfrq)으로 테이블을 어드레싱하여 측정 신호(X)의 주파수를 가변함으로서 제로 크로스를 빨리 할 수 있다. 따라서, STsz/Xfrq 횟수의 인터럽트를 주기로 하는 정현파가 중첩된다.
제74 단계후에, 중첩된 신호와 포커스/트랙킹 에러 신호(Z)을 이용하여 검출 신호(Y)를 산출하고, 산출된 검출 신호(Y)를 대역 통과 필터링하여 잡음을 제거한다(제76 단계).
제76 단계후에, 디지탈 신호 처리부(22)는 내장한 대역 통과 필터(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부호가 변하는 것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Y)가 제로 크로스(zero cross)됐는가를 판단한다(제78 단계). 만일, 검출 신호(Y)가 제로 크로스되었으면, 위상을 몇 번 적산할 것인가에 따라 잡음을 제거하고 위상을 적산한다(제80 ∼ 제92 단계들).
즉, 제1 소정 대기 시간(TM1)이 오버플로우날때까지는 신호가 안정하지 않으므로 그 시간에는 이후의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제110 단계로 진행하며, 제1 소정 대기 시간(TM1)이 오버플로우되면 위상차로의 적산을 수행한다. 그러나, 어느 정도 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해도 잡음에 의해 제로 크로스 포인트에서 수 회 제로 크로스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최초의 1회만 제로 크로스 포인트로 간주하고, 그 후에 계속되는 제로 크로스를 무시하는 것에 의해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위상을 적산하기 전에 제84, 86, 88 및 90 단계들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검출 신호(Y)가 제로 크로스되었으면, 제1 소정 대기 시간(TM1)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하여, 경과되지 않았으면 제110 단계로 진행한다(제80 단계). 그러나, 제1 소정 대기 시간(TM1)이 경과되었으면, 위상차로의 적산을 수행하기 전에 TM2-1이 양수인가를 판단하여 어느 쪽의 그룹인가를 판별하고, 양수가 아니면 제110 단계로 진행한다(제82 단계). 그러나, TM2-1이 양수이면, 측정 신호(X)로부터 테이블의 크기(STsz)의 절반을 감산한 값이 양수인가를 판단한다(제84 단계). X-STsz/2가 양수이면, 모드의 최하위 유의 비트(LSB:Least Significant Bit)가 '1'인가를 판단하여 '1'이 아니면 제110 단계로 진행한다(제86 단계). 그러나, X-STsz/2가 음수이면, 모드의 최하위 유의 비트가 '0'인가를 판단하여, '0'이 아니면 제110 단계로 진행한다(제88 단계). 이 때, 제86 단계에서 모드의 최하위 유의 비트가 '1'이거나, 제88 단계에서 모드의 최하위 유의 비트가 '0'이면, 모드의 최하위 유의 비트를 반전하는 것에 그룹의 2회 이후의 제로 크로스는 무시한다(제90 단계). 제90 단계후에, X-STsz/2를 위상에 적산하고, 제110 단계로 진행한다(제92 단계). 즉, X-STsz/2는 위상차 그 자체이기 때문에 적산 결과가 제로 근처의 수치로 가게 된다. 여기서 모드는 내부 플로우의 변화에 따른 지침표로서, 설계자가 그 초기시 및 종료시의 초기 및 종료값들을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모드의 초기값이 66(H:Hex)이고, 종료값이 6A(H)라고 가정한다.
한편, 검출 신호가 제로 크로스되지 않았으면, 다른 측정 신호를 가져오고 측정이 종료되었는가에 따라 위상을 보상한다(제94 ∼ 제108 단계들). 즉, 검출 신호(Y)가 제로 크로스되지 않았으면, 측정 신호(X)의 위상을 제1 소정값(Xfrq)만큼 증가시킨다(제94 단계). 제94 단계후에, 테이블이 오버 플로우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오버 플로우되지 않았으면, 제110 단계로 진행한다(제96 단계). 테이블이 오버 플로우되었으면, 테이블의 초기 어드레스로 진행한다(제98 단계). 제98 단계후에, 측정 신호(X)의 단위 주기마다 제1 소정 대기 시간을 감소시킨다(제100 단계). 제100 단계후에, 감소된 값이 양수인가를 판단하여, 양수이면 제110 단계로 진행한다(제102 단계). 그러나, 감소된 값이 음수이면, 제2 소정 대기 시간(TM2)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한다(제104 단계). 즉, TM2가 음수인가를 판단한다(제104 단계). 만일, 제2 소정 대기 시간(TM2)이 경과되었으면 즉, TM2가 음수이면, 모드에 제2 소정값을 가산한다(제106 단계). 즉, 지정 횟수의 적산이 종료되었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드의 초기값이 66(H)이고, 종료값이 6A(H)일 때, 모드에 제2 소정값으로서 '4'를 가산하여 다음 이득 조정 루틴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제2 소정 대기 시간(TM2)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즉, TM2가 양수이면, 제1 소정값을 이용하여 위상을 보상한다(제108 단계). 즉, 측정 시간의 1 주기 마다의 위상 적산치에 제1 소정값(Xfrq)의 보정을 수행한다. 이는 제로 크로스 검출의 분해능이 제1 소정값(Xfrq)에 있으므로 1회의 제로 크로스 검출에 평균하여 Xfrq/2의 검출 지연이 일어나기 때문에 1주기=제로 크로스 2회 마다의 2*Xfrq/2=Xfrq의 여분이 적산되어 있기 때문이다.
제106 단계후, 제108 단계후, 제86 단계에서 모드의 최하위 유의 비트가 '1'이 아닌 경우, 제88 단계에서 모드의 최하위 유의 비트가 '0'이 아닌 경우 또는 제92 단계후에 위상의 적산이 종료되었는가 즉, 모드의 값이 6A인가를 판단한다(제110 단계). 만일, 위상의 적산이 종료되었으면, 위상이 허용치 이상인가를 판단하여, 허용치 보다 적으면 포커스 이득 조정을 종료한다. 그러나, 위상이 허용치 이상이면, 포커스 출력 이득을 조정한다(제114 단계). 즉, 포커스 출력 이득/ 트랙킹 출력 이득을 부궤환이 되도록 가/감산한다. 제114 단계후에, 제1 및 제2 소정 대기 시간들(TM1 및 TM2)을 재설정하고, 위상을 클리어하고, 모드를 처음으로 되돌린다(제116 단계). 이 때, 가/감산 결과에 제한을 설정하여 이득이 너무 작게 또는 너무 크게 설정되어 서보가 벗어나는 등의 트러블을 방지하였다. 제116 단계후 또는 제110 단계에서 위상이 적산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인터럽트가 발생되었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여, 인터럽트가 발생하였으면, 제72 단계로 진행한다(제118 단계). 여기서, 인터럽트(IT)는 도 1에 도시된 타이밍 발생기(TG)(26)로 발생된다. 타이밍 발생기(26)는 입력한 시스템 클럭 신호(CK)를 분주 또는 체배하여 인터럽트를 소정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발생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학 시스템의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 방법은 마이콤의 제어하에 광학 시스템의 포커스 출력 이득 또는 트랙킹 출력 이득이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소정수개의 측정 신호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갖는 광학 시스템의 포커스 출력 이득을 조정하는 광학 시스템의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포커스 출력 이득의 조정을 요구하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포커스 출력 이득의 조정을 요구하는 경우, 제1 및 제2 소정 대기 시간들(TM1 및 TM2)을 설정하고 포커스 에러 신호에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된 측정 신호를 중첩하는 단계;
    (c) 상기 중첩된 신호와 상기 포커스 에러 신호들을 이용하여 검출 신호를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검출 신호가 제로 크로스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검출 신호가 제로 크로스되었으면, 위상을 몇 번 적산할 것인가에 따라 잡음을 제거하고 위상을 적산하는 단계;
    (f) 상기 검출 신호가 제로 크로스되지 않았으면, 다른 측정 신호를 가져오고 측정이 종료되었는가에 따라 상기 위상을 보상하는 단계;
    (g) 상기 (e)단계 또는 상기 (f)단계후에, 상기 위상의 적산이 종료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h) 상기 위상의 적산이 종료되었으면, 상기 위상이 허용치 이상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허용치 보다 적으면 상기 포커스 이득 조정을 종료하는 단계;
    (i) 상기 위상이 상기 허용치 이상이면, 상기 포커스 출력 이득을 조정하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소정 대기 시간들, 상기 위상 및 모드를 초기화하는 단계; 및
    (j) 상기 위상이 적산이 종료되지 않았거나, 상기 (i)단계후에, 인터럽트가 발생되었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여, 인터럽트가 발생하였으면 상기 (b)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스템의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시스템의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 방법은
    상기 (c) 단계후에, 산출된 상기 검출 신호를 대역 통과 필터링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상기 (d)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스템의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e1) 상기 검출 신호가 제로 크로스되었으면, 상기 제1 소정 대기 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하여, 경과되지 않았으면 상기 (g)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e2) 상기 제1 소정 대기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TM2-1이 양수인가를 판단하여, 양수가 아니면 상기 (g)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e3) 상기 TM2-1이 양수이면, 상기 측정 신호(X)로부터 상기 메모리의 크기(STsz)의 절반을 감산한 값이 양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e4) 상기 X-STsz/2가 양수이면, 상기 모드의 최하위 유의 비트가 '1'인가를 판단하여 '1'이 아니면 상기 (g)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e5) 상기 X-STsz/2가 음수이면, 상기 모드의 최하위 유의 비트가 '0'인가를 판단하여, '0'이 아니면 상기 (g)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e6) 상기 (e4)단계에서 상기 모드의 최하위 유의 비트가 '1'이거나, 상기 (e5)단계에서 상기 모드의 최하위 유의 비트가 '0'이면, 상기 모드의 상기 최하위 유의 비트를 반전하는 단계; 및
    (e7) 상기 X-STsz/2를 상기 위상에 적산하고, 상기 (g)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스템의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는
    상기 검출 신호가 제로 크로스되지 않았으면, 상기 측정 신호의 위상을 제1 소정값만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메모리가 오버 플로우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오버 플로우되지 않았으면, 상기 (g)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가 오버 플로우되었으면, 상기 메모리의 초기 어드레스로 진행하는 단계;
    상기 측정 신호의 단위 주기마다 상기 제1 소정 대기 시간을 감소하는 단계;
    상기 감소된 값이 양수인가를 판단하여, 양수이면 상기 (g)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상기 감소된 값이 음수이면, 상기 제2 소정 대기 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소정 대기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상기 모드에 제2 소정값을 가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소정 대기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1 소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위상을 보상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스템의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 방법.
  5. 소정수개의 측정 신호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갖는 광학 시스템의 트랙킹 출력 이득을 조정하는 광학 시스템의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트랙킹 출력 이득의 조정을 요구하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트랙킹 출력 이득의 조정을 요구하는 경우, 제1 및 제2 소정 대기 시간들(TM1 및 TM2)을 설정하고 트랙킹 에러 신호에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된 측정 신호를 중첩하는 단계;
    (c) 상기 중첩된 신호와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들을 이용하여 검출 신호를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검출 신호가 제로 크로스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검출 신호가 제로 크로스되었으면, 위상을 몇 번 적산할 것인가에 따라 잡음을 제거하고 위상을 적산하는 단계;
    (f) 상기 검출 신호가 제로 크로스되지 않았으면, 다른 측정 신호를 가져오고 측정이 종료되었는가에 따라 상기 위상을 보상하는 단계;
    (g) 상기 (e)단계 또는 상기 (f)단계후에, 상기 위상의 적산이 종료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h) 상기 위상의 적산이 종료되었으면, 상기 위상이 허용치 이상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허용치보다 적으면 상기 트랙킹 이득 조정을 종료하는 단계;
    (i) 상기 위상이 허용치 이상이면, 상기 트랙킹 출력 이득을 조정하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소정 대기 시간들, 상기 위상 및 모드를 초기화하는 단계; 및
    (j) 상기 위상이 적산이 종료되지 않았거나, 상기 (i)단계후에, 인터럽트가 발생되었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여, 인터럽트가 발생하였으면 상기 (b)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스템의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 방법.
KR1019980011333A 1998-03-31 1998-03-31 광학 시스템의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방법 KR199900764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1333A KR19990076403A (ko) 1998-03-31 1998-03-31 광학 시스템의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1333A KR19990076403A (ko) 1998-03-31 1998-03-31 광학 시스템의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403A true KR19990076403A (ko) 1999-10-15

Family

ID=65860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333A KR19990076403A (ko) 1998-03-31 1998-03-31 광학 시스템의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64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45981B1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KR19990076403A (ko) 광학 시스템의 포커스/트랙킹 이득 조정방법
US64301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resume function for a disc player
JP2008310913A (ja) 光ディスク装置
EP1784823B1 (en) Focus control for a medium scanning system
US71363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nceling glitch noise from track crossing signal
JPH06111346A (ja) 光ディスクの信号処理回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0285477A (ja) 光記録装置およびトラッククロス信号生成方法
JPH0485728A (ja) サーボオフセット自動調整装置
JPH0536099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CN100541623C (zh) 光盘装置
JPH08147715A (ja) ディスク記録又は再生装置及びフォーカスサーボ回路
JP2564494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3531450A (ja) 装置及び方法
JP2640529B2 (ja) 光ディスクプレーヤ
JP2738755B2 (ja) 光ディスクのトラッキング方法
JPH06195718A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H06103584A (ja) 光ディスク装置のフォーカス引込み方式
KR910007448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버의 헤드위치 검출장치 및 방법
JPH08147907A (ja) 光ディスク装置
JPH0386932A (ja) 光学的情報処理装置
JPS6163932A (ja) 光学式デイスク装置の焦点ずれ検出装置
KR970063075A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포커스 서치 및 포커스 자동이득제어 방법
JPH03154233A (ja) 光ディスク装置のフォーカス制御装置及び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JPH06251520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