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5665A - 요리용 팬 - Google Patents

요리용 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5665A
KR19990075665A KR1019980009992A KR19980009992A KR19990075665A KR 19990075665 A KR19990075665 A KR 19990075665A KR 1019980009992 A KR1019980009992 A KR 1019980009992A KR 19980009992 A KR19980009992 A KR 19980009992A KR 19990075665 A KR19990075665 A KR 19990075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ual
air
spac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9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균
김철수
Original Assignee
김철수
이종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수, 이종균 filed Critical 김철수
Priority to KR1019980009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5665A/ko
Publication of KR19990075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5665A/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요리용 팬은 가스불의 상부에 올려놓고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는 요리용 팬에 있어서,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정도의 간격으로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용기 형상이 밀봉 결합되고, 외부용기에 통공을 형성하는 이중용기본체; 상기 이중용기본체의 통공과 일직선상에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홀의 이중용기본체 측에 대직경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와 외기를 연통하는 공기흡배기구가 형성되면서, 상기 이중용기본체의 통공과 일치되도록 이중용기본체에 밀봉 결합되는 손잡이; 그리고 상기 손잡이의 가이드홀 및 공간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이중용기본체의 공간에 있는 공기를 필요에 따라 배출하거나 외기를 이 공간에 흡입하는 공기출입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요리용 팬은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이격하여 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중용기본체를 형성하여 가열공기의 대류에 의하여 내부용기를 골고루 가열함으로써, 내부용기위에 올려진 고기 또는 계란 등을 균일하게 익힐 수 있고, 이중용기본체를 구성하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어 인체에 해로운 물질을 배출하는 재질을 배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요리용 팬
본 발명은 후라이팬 또는 냄비 등과 같은 요리용 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용기 사이의 공기 흐름에 의하여 내부용기를 가열함으로써 음식을 담게 되는 내부용기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요리용 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리용 팬은 아래면이 편편하고 상부가 개구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계란 후라이 등을 위한 후라이팬, 찌게나 국 등을 요리하게 위한 냄비 등으로 구분된다.
종래 요리용 팬은 음식물을 담거나 음식물을 끊이거나 계란 후라이 및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용기, 그리고 이 용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용이하게 용기를 가스불 등으로부터 수동적으로 이격할 수 있는 손잡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용기는 가스불에 의하여 균일하게 가열되게 하기 위하여 그 두께를 조절하고 있으며, 열전도가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아래면의 표면 처리함과 동시에 음식물이 구워질 때에 붙지 않도록 내부면에 특수한 도금 등과 같은 처리를 하게 된다.
특히 후라이팬의 용기는 두께를 두텁게 하고, 아래 외부면에 요철을 형성하며, 아래 내부면에 구워진 음식물이 접착하지 않도록 특수하게 처리하게 된다.
그래서 주부나 요리사 등이 음식을 만들 때에 가스불 위에 상기 요리용 팬을 올려놓고, 가열한 뒤에 고기와 계란 등을 굽거나, 찌개와 국을 끊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요리용 팬은 가스불에 의하여 용기를 균일하게 가열하기 위해서는 그 두께를 두텁게 설계해야 되고, 스테인레스합금을 사용할 경우에는 가스불 등의 접촉 부위에 집중적으로 가열되어 요리물을 균일하게 조리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요리물을 균일하게 조리하지 못하면 음식물의 맛을 저하하게 되고, 음식물의 일부는 익히고 다른 일부는 익히지 못하게 되어 반드시 익혀서 먹어야하는 음식물을 용이하게 조리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용기 사이의 공기 흐름에 의하여 내부용기를 가열함으로써 음식을 담게 되는 내부용기를 균일하게 가열하여 음식물을 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는 요리용 팬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요리용 팬은 가스불의 상부에 올려놓고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는 요리용 팬에 있어서,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정도의 간격으로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용기 형상이 밀봉 결합되고 외부용기에 통공을 형성하는 이중용기본체, 상기 이중용기본체의 통공과 일직선상에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홀의 이중용기본체 측에 대직경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와 외기를 연통하는 공기흡배기구가 형성되면서 상기 이중용기본체의 통공과 일치되도록 이중용기본체에 밀봉 결합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가이드홀 및 공간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이중용기본체의 공간에 있는 공기를 필요에 따라 배출하거나 외기를 이 공간에 흡입하는 공기출입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요리용 팬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 - B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C부를 확대한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요리용 팬의 작용을 설명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중용기본체 1a : 공간
1b : 내부용기 1c : 외부용기
1d : 통공 2 : 손잡이
2a : 가이드홀 2b : 공간부
2c : 공기흡배기구 3 : 밸브
3a : 배출구 3b,3d : 소직경부
3c : 피스톤부 3d : 턱부
4 : 중립스프링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리용 팬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개구되는 용기 형상의 이중용기본체(1)와, 상기 이중용기본체(1)의 외부 일측면에 밀봉 결합되는 손잡이(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중용기본체(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정도의 간격으로 이격된 공간(1a)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용기 형상 즉 내부용기(1b)와 외부용기(1c)가 밀봉 결합되고, 상기 외부용기(1c)에 통공(1d)을 형성하게 되며, 그 재질은 부식이 되지 않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테인레스합금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2)는 상기 이중용기본체(1)의 통공(1d)과 일직선상에 가이드홀(2a)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홀(2a)의 이중용기본체(1) 측에 대직경의 공간부(2b)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2b)와 외기를 연통하는 공기흡배기구(2c)가 형성되는 구조이며, 상기 이중용기본체(1)의 통공(1d)과 일치되도록 이중용기본체(1)에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요리용 팬은 상기 손잡이(2)의 가이드홀(2a) 및 공간부(2b)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이중용기본체(1)의 공간(1a)에 있는 공기를 필요에 따라 배출하거나 외기를 이 공간(1a)에 흡입하는 공기출입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출입수단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출구(3a)와 연통하는 소직경부(3b)가 형성되고, 이 소직경부(3b)와 연결되는 위치에 상기 이중용기본체(1)의 통공(1d)을 밀봉하는 피스톤부(3c)가 형성되며, 이 피스톤부(3c)와 연결되는 위치에 외기의 유입을 위한 다른 소직경부(3d)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의 공간부(2b)의 가운데 위치를 분할하는 턱부(3e)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2)의 가이드홀(2a)에서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중용기본체(1)의 통공(1d)을 필요에 따라 밀봉하거나 연통하는 밸브(3), 그리고 상기 밸브(3)의 턱부(3e) 양측면과 상기 손잡이(2)의 공간부(2b) 양측 내면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밸브(3)를 중립 상태로 유지하는 중립스프링(4)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요리용 팬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부 또는 요리사에 의하여 사용될 경우에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주부 또는 요리사 등은 요리를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요리용 팬을 가스불 등에 올려놓게 되고, 이 가스불이 외부용기(1c)의 소정 부위 즉 가운데 부위를 가열하게 되며, 이에 따라 내부용기(1b)와 외부용기(1c) 사이에 있는 공기가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가 상측으로 흐르면서 순환하게 된다.
가열된 공기는 우선 내부용기(1b)의 중앙부를 가열하게 되지만, 이 공기는 순환하게 되므로 내부용기(1b)를 전체적으로 가열하게 되며, 상기 외부용기(1c)가 가스불에 의하여 가열되면 상기 내부용기(1b)의 둘레부에 우선적으로 전도에 의하여 가열되지만, 상기 내부용기(1b)는 이미 가열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전체적으로 더욱 용이하게 가열된다.
이렇게 상기 이중용기본체(1)가 전체적으로 가열되면 내부용기(1b)에 올려놓은 고기, 계란, 국 따위를 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는 가열되면 체적의 변화가 없다고 볼 수 있으므로 급격하게 그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4와 같은 중립상태에 있는 밸브(3)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밸브(3)에는 상기 이중용기본체(1)의 공간(1a)에서 발생된 공기압과 외기의 대기압 사이의 차이에 의하여 발생된 힘이 발생되며, 이 힘이 중립스프링(4)의 탄성력을 극복하게 되면 상기 밸브(3)가 이동하게 되어 도 5의 실선과 같이 손잡이(2)의 배출구(2c)와 밸브(3)의 배출구(3a) 및 소직경부(3b)가 연통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이중용기본체(1)의 공간(1a)에 있는 공기는 외기로 배출되어 이 공간(1a)의 압력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사용할 때에 안전성을 도모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공간(1a)의 압력이 위험성이 없는 압력 이하고 저하되면 상기 밸브(3)는 중립스프링(4)에 의하여 리턴되며, 이에 외부용기(1c)에 형성된 통공(1d)이 밀봉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구이용 석쇠를 사용한 뒤에 가스불 또는 숯불 등의 상부에서 내려놓으면 상기 이중용기본체(1)가 냉각된다.
상기 이중용기본체(1)의 공간(1a)에 있는 공기는 냉각되어 그 압력이 저하하게 되며, 이 공간(1a)에 공기가 필요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밸브(3)에는 상기 이중용기본체(1)의 공간(1a)에서 저하된 공기압과 외기의 대기압 사이의 차이에 의하여 발생된 힘이 발생되며, 이 힘이 중립스프링(4)의 탄성력을 극복하게 되면 상기 밸브(3)가 이동하게 되어 도 5의 쇄선과 같이 상기 밸브(3)의 소직경부(3e)가 상기 이중용기본체(1)의 공간(1a)과 손잡이(2)의 배출구(2c)를 연통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이중용기본체(1)의 공간(1a)에는 공기가 충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중용기본체(1)의 공간(1a)에 공기가 완전히 충전되지 않거나 상기 이중용기본체(1)의 공간(1a)에 있는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게 된 경우에는 수동으로 밸브(3)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이 때 상기 공기배출수단의 밸브(3)는 상기 손잡이(2)의 가이드홀(2a)의 외측으로 그 단부가 돌출하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주부 또는 요리사 등은 상기 밸브(3)의 돌출부위를 잡고 밀거나 당겨서 상기 이중용기본체(1)의 공간(1a)에 있는 공기를 용이하게 배출 또는 유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요리용 팬은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이격하여 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중용기본체를 형성하여 가열공기의 대류에 의하여 내부용기를 골고루 가열함으로써, 내부용기위에 올려진 고기 또는 계란 등을 균일하게 익힐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중용기본체를 구성하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어 인체에 해로운 물질을 배출하는 재질을 배제할 수 있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Claims (4)

  1. 가스불의 상부에 올려놓고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는 요리용 팬에 있어서,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정도의 간격으로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용기 형상이 밀봉 결합되고, 외부용기에 통공을 형성하는 이중용기본체;
    상기 이중용기본체의 통공과 일직선상에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홀의 이중용기본체 측에 대직경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와 외기를 연통하는 공기흡배기구가 형성되면서, 상기 이중용기본체의 통공과 일치되도록 이중용기본체에 밀봉 결합되는 손잡이; 그리고
    상기 손잡이의 가이드홀 및 공간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이중용기본체의 공간에 있는 공기를 필요에 따라 배출하거나 외기를 이 공간에 흡입하는 공기출입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 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출입수단은 단부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출구(3a)와 연통하는 소직경부(3b)가 형성되고, 이 소직경부(3b)와 연결되는 위치에 상기 이중용기본체(1)의 통공(1d)을 밀봉하는 피스톤부(3c)가 형성되며, 이 피스톤부(3c)와 연결되는 위치에 외기의 유입을 위한 다른 소직경부(3d)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의 공간부(2b)의 가운데 위치를 분할하는 턱부(3e)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2)의 가이드홀(2a)에서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중용기본체(1)의 통공(1d)을 필요에 따라 밀봉하거나 연통하는 밸브(3); 그리고
    상기 밸브(3)의 턱부(3e) 양측면과 상기 손잡이(2)의 공간부(2b) 양측 내면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밸브(3)를 중립 상태로 유지하는 중립스프링(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 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수단의 밸브(3)는 상기 손잡이(2)의 가이드홀(2a)의 외측으로 그 단부가 돌출하게 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요리용 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용기본체(1)는 스테인레스합금의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 팬.
KR1019980009992A 1998-03-13 1998-03-13 요리용 팬 KR199900756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992A KR19990075665A (ko) 1998-03-13 1998-03-13 요리용 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992A KR19990075665A (ko) 1998-03-13 1998-03-13 요리용 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665A true KR19990075665A (ko) 1999-10-15

Family

ID=65909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992A KR19990075665A (ko) 1998-03-13 1998-03-13 요리용 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56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349B1 (ko) * 2006-06-22 2007-07-12 주식회사 세신산업 조리용기 손잡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349B1 (ko) * 2006-06-22 2007-07-12 주식회사 세신산업 조리용기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0830A (en) Lid for a cooking utensil
US5758569A (en) Poultry frying apparatus
US4140889A (en) Cooking vessel for microwave oven cookery adapted to aid in browning foods by heat from hot, liquid fats
US4906806A (en) Cooking kit with heat generating member for microwave oven and methods for microwave cooking
US20090014443A1 (en) Container and system for cooking foods
US6401602B1 (en) Multi-purpose cooking pan
US20060011192A1 (en) Multi-chambered convertible grilling device
KR101311121B1 (ko) 멀티 쿠커
US20050247211A1 (en) Cooker with latching drip tray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grease dispensing apertures in cooking pan
KR19990075665A (ko) 요리용 팬
CN207640229U (zh) 一种熏烤盘
US10441106B2 (en) Cooking system and method of use
JP5711034B2 (ja) 調理装置
JP2588141B2 (ja) 組合せ調理鍋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KR102177414B1 (ko) 구이용 불판
KR200387420Y1 (ko) 압력 가마솥
KR200288000Y1 (ko) 온도 조절이 가능한 마늘 구이 용기가 구비된 고기 구이판
KR200207261Y1 (ko) 구이판
KR20060095421A (ko) 다중 조리가 가능한 솥
KR102372427B1 (ko) 일회용 컵설기
CN211324465U (zh) 烧烤装置
KR200278443Y1 (ko) 조리기구
KR20180067376A (ko) 부침개 조리용 프라이팬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