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3230A - 오토바이용2중관머플의밴딩을위한메움재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오토바이용2중관머플의밴딩을위한메움재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3230A
KR19990073230A KR1019990024095A KR19990024095A KR19990073230A KR 19990073230 A KR19990073230 A KR 19990073230A KR 1019990024095 A KR1019990024095 A KR 1019990024095A KR 19990024095 A KR19990024095 A KR 19990024095A KR 19990073230 A KR19990073230 A KR 19990073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inclined surface
present
short ball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2373B1 (ko
Inventor
권순철
Original Assignee
정희문
주식회사 남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문, 주식회사 남성산업 filed Critical 정희문
Priority to KR1019990024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373B1/ko
Publication of KR19990073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3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9/00Bending tubes using mandrels or the like
    • B21D9/16Auxiliary equipment, e.g. machines for filling tubes with s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바이용 머플의 2중관 밴딩을 위한 메움재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쇼트볼 주입장치 본체(10)를 구성하되, 홉퍼(20)의 내측 지지편 (24) 중앙에 스프링(23)이 탄설된 작동구(21)의 경사면(22)을 홉퍼의 경사면에 접면시키고 후레임(50)의 상판중앙에 진동구(40)의 진동편(41)을 상기 작동구(21)와 상, 하 마주보게 설치하여 그 사이에 대, 소구경의 2중관(60)(61)을 결합시켜주되, 소구경의 관(61) 내측에 작동구(21)의 경사면(22)이 끼워지게 하고 2중관의 상부를 기대(31)의 고정구(31a)(31b)에 끼워 결합시켜주는 한편, 상기 진동구(40)는 일측 콘트롤박스(50)로 제어되는 에
어진동기(42)와 연동시켜서 된 구조이다.
본 발명 쇼트볼의 진동주입식 구조는 쇼트볼 주입을 편리하게 하고 2중관의 틈사이에 쇼트볼을 효과적으로 주입시켜 줄 수 있어 2중관의 제작을 더욱 간편히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쇼트볼에 의해 성형된 2중관을 제공함으로써 동심도가 우수하여 오토바이용 머플의 성능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토바이용 2중관 머플의 밴딩을 위한 메움재 공급장치{Filling Supply Apparatus for Bending of Double pipe Muffle in Motor Cycle}
본 발명은 오토바이용 2중관 머플의 밴딩을 위한 메움재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머플의 2중관 사이에 쇼트볼(SHORT BALL)의 공급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이에 따라 구조적인 응력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동심도가 양호한 2중관의 머플을 밴딩,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통상 2중관으로 된 오토바이용 머플은 오토바이의 엔진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제거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일정길이를 갖는 2중관을 엔진에 장착시켜주기 위해서는 그 선단부를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디긋자 형태나 그밖에 유연한 형태로 절곡시켜주어야만 한다. 하지만 2중관 즉, 내, 외관의 지름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들 관을 동시에 밴딩시켜 주기가 곤란하고 또 밴딩후에는 동심도 또한 매우 불량해진다.
종래에는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2중관의 공간부에 맨드릴을 삽입하여 밴딩하거나 2중관의 사이에 메움재 즉, (모래 또는 물을 동결한 것)을 주입하여 밴딩시켜주고 있으나 2중관의 공간부 사이에 메움재를 매번 수작업으로 넣어주기가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인출에 있어서도 상기 주입된 메움재를 완벽히 제거하기 어렵다.
특히, 밴딩과정중 직경에 따라 대, 소구경의 관이 서로 다른 반경으로 절곡되기 때문에 절곡부위 안쪽 사이에 채워진 모래가 그 절곡력에 의해 파쇄되어 대, 소구경의 관이 서로 정확한 동심을 유지하기 어렵고 또한 물을 동결시켜 2중관을 밴딩시키는데에는 동결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제품단가의 상승요인이 되고 있다. 이는 도 4b 에서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동심도가 불량한 2중관의 사용은 기관의 성능을 크게 저하시키게 됨은 물론 응력집중으로 인한 관의 사용수명을 단축시키고 있어 이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직경이 다른 2중관 사이에 채워지는 메움재를 금속재의 쇼트볼 (SHORT BALL)로 하고 또 이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주입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밴딩에 따른 구조적인 응력을 최소화하여 동심도가 정확한 2중관을 얻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측 저부에 작동구를 탄설한 홉퍼와, 홉퍼의 하방에 2중관의 입설, 고정을 위한 지지부와, 그리고 상기 지지부의 하방에 에어진동기와 연동되는 진동구 및 일측 콘트롤 박스로 이루어진 일련의 주입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에어진동기의 진동에 의해 진동편에 안착된 2중관의 공간부 사이에 홉퍼에 수용된 쇼트볼이 작동구의 상, 하작동에 의해 2중관의 공간부 둘레에 쇼트볼을 용이하게 충진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밴딩절곡시 대, 소 구경의 2중관이 동심도를 정확히 유지한 상태로 절곡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부절결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정면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요부발췌 단면구성도로서,
(3a) 는 작동구에 의해 쇼트볼 공급이 정지된 상태
(3b) 는 진동에 의한 쇼트볼의 공급상태
도 4 는 본 발명 2중관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5a 는 본 발명에 의한 2중관의 단면도
도 5b 는 종래 2중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20 : 홉퍼
21 : 작동구 22 : 경사면
23 : 스프링 24 : 지지편
30 : 기대 31a, 31b : 고정구
40 : 진동구 41 : 진동편
42 : 에어진동기 50 : 콘트롤 박스
본 발명은 쇼트볼 주입장치 본체(10)를 구성하되, 홉퍼(20)의 내측 지지편 (24) 중앙에 스프링(23)이 탄설된 작동구(21)를 구성하여 그 경사면(22)을 홉퍼 (20) 내면의 경사면에 접면시키고 후레임(50)의 상판중앙에 진동구(40)의 진동편 (41)을 상기 작동구(21)와 상, 하 마주보게 설치하여 그 사이에 대, 소구경의 2중관(60)(61)을 결합시켜주되, 소구경의 관(61) 내측에 작동구(21)의 경사면(22)이 끼워지게 하고 2중관의 상부를 기대(30)의 고정구(31a)(31b)에 끼워 결합시켜주는 한편, 상기 진동구(40)는 일측 콘트롤박스(50)로 제어되는 에어진동기(42)와 연동시켜서 된 구조이다.
도면부호중 (60)은 대구경 관, (61)은 소구경 관, (70)은 쇼트볼, (80)은 오토바이용 머플, (90)은 후레임을 나타낸다.
본 발명 주입장치에 사용되는 쇼트볼(70)은 직경이 0.2mm정도인 소형의 단단한 금속재 알갱이로써 밴딩시 절곡력으로 인한 소구경 관(61)의 쏠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또한, 종래 모래의 파쇄로 인한 2중관의 편심의 우려를 극복하여 쇼트볼(70)이 2중관의 틈간격을 정확히 유지시켜 준 상태로 절곡시켜 줌으로써 우수한 동심도를 갖는 2중관을 제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 주입장치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한 바와같이 크게 작동구(21)가 내설된 홉퍼(20)와, 홉퍼의 하방에 진동구(40)를 에어진동기 (42)와 연동, 설치하여 일측 콘트롤 박스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 일련의 관련 구성으로 이루어져 기대(30)에 2중관을 세워 고정시켜놓은 상태에서 일측 콘트롤박스(50)에 전원을 공급시켜주게 되면 에어진동기(42)의 상, 하 진동에 의해 홉퍼(20)에 수용된 쇼트볼(70)이 작동구(21)의 경사면 사이로 흘러내려 2중관의 공간부 둘레를 메워주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2중관의 설치는 먼저 기대(30)의 상부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지구 (31a)(31b)의 홈사이에 끼워 고정시켜주되, 2중관의 상단은 작동구(21)의 경사면 (22) 뾰족한 선단이 소구경의 관(61)사이에 끼워져 밀폐될 수 있도록 하고 그 하단부를 작동구(21)의 진동편(41) 중앙에 안착되게 설치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2중관은 작동구(21)의 경사면(22)이 홉퍼(20)의 내측 경사면과 접면되어 있어 홉퍼(20)에 수용된 쇼트볼(70)의 하향공급을 제어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는 작동구(21)의 상부 지지편(24)과의 사이에 탄설된 스프링(23)의 장력에 의해 작동구(21)를 항시 하방으로 밀어주고 있어 2중관의 설치나 교체시 쇼트볼 (70)의 저부유출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주입장치 본체(10)의 구동은 일측 콘트롤박스(5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바, 상기 콘트롤박스(50)는 본체(10)의 저부 내측에 설치된 에어진동기(42)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이 에어진동기(42)를 가동시켜주게 되면 에어진동기 (42)의 선단부가 상,하 반복적인 진동을 하게 된다. 이때 에어진동기(42)의 상부에 연동,설치된 진동구(40)의 진동편(41)이 상기 에어진동기(42)의 진동에 따라 이에 끼워진 소구경의 관(61)을 상, 하 요동되게 하여 진동편(41)과 마주보는 상태로 설치된 작동구(21)가 진동편(41)의 진동에 의해 동시에 요동되게 된다. 물론 이때 소구경의 관(61)은 작동구(21)의 뾰족한 경사면(22) 선단에 긴밀히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어 있어 소구경의 관(61) 내측으로는 쇼트볼(70)이 유입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진동주입식 구조로 인해 작동구(21)의 경사면(22)과 내향 경사진 홉퍼(20)의 경사면 사이 틈새로 홉퍼(20)내에 수용된 쇼트볼(70)이 2중관의 공간부 사이에 일시에 주입되지 아니하고 소량이 자연스럽게 낙하되어 2중관의 공간부를 균일하게 메워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쇼트볼(70)의 주입을 완료하게 되면 통상의 밴딩기를 이용하여 2중관을 절곡시켜주게 되며 절곡시킨 2중관에서의 쇼트볼 배출에 있어서도 2중관의 입구측을 기울여주는 것으로 극히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 쇼트볼의 진동주입식 구조는 쇼트볼 주입을 편리하게 하고 2중관의 틈사이에 쇼트볼을 효과적으로 주입시켜 줄 수 있어 2중관의 제작을 더욱 간편히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쇼트볼에 의해 성형된 2중관을 제공함으로써 동심도가 우수하여 오토바이용 머플의 성능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부 홉퍼(20)의 내측 지지편(24) 중앙에 스프링(23)이 탄설된 작동구(21)의 경사면(22)을 홉퍼(20)의 경사면에 접면시키고 후레임(50)의 상판중앙에 진동구 (40)의 진동편(41)을 상기 작동구(21)와 상, 하 마주보게 설치하여 그 사이에 대, 소구경의 2중관(60)(61)을 결합시켜주며 소구경의 관(61) 내측에 작동구(21)의 경사면(22)이 끼워지게 하고 2중관의 상부를 기대(30)의 고정구(31a)(31b)에 끼워 결합시켜주는 한편, 상기 진동구(40)는 일측 콘트롤박스(50)로 제어되는 에어진동기 (42)와 연동시켜서 된 일련의 메움재 주입장치 본체(10)을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2중관 머플의 밴딩을 위한 메움재 공급장치.
KR1019990024095A 1999-06-24 1999-06-24 오토바이용 2중관 머플러의 밴딩을 위한 메움재 공급장치 KR100332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095A KR100332373B1 (ko) 1999-06-24 1999-06-24 오토바이용 2중관 머플러의 밴딩을 위한 메움재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095A KR100332373B1 (ko) 1999-06-24 1999-06-24 오토바이용 2중관 머플러의 밴딩을 위한 메움재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230A true KR19990073230A (ko) 1999-10-05
KR100332373B1 KR100332373B1 (ko) 2002-04-12

Family

ID=37479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095A KR100332373B1 (ko) 1999-06-24 1999-06-24 오토바이용 2중관 머플러의 밴딩을 위한 메움재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3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1383B (zh) * 2017-04-10 2018-07-31 金剑峰 一种灯臂弯曲流水线及其弯曲工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4579U (ko) * 1975-10-17 1977-04-19
KR890002702Y1 (ko) * 1986-09-23 1989-04-29 김정부 촬영용 조명장치
JP3120939B2 (ja) * 1994-02-28 2000-12-25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球状体送出装置
JPH11199033A (ja) * 1998-01-13 1999-07-27 Ishii Ind Co Ltd 物品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2373B1 (ko) 200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9626B (zh) 蓄电池
TW200404030A (en) Fan motor suspension mount for a combustion-powered tool
CN106286936B (zh) 电子膨胀阀
US9885365B2 (en) Impell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837443B2 (ja) 衛生洗浄装置
KR100332373B1 (ko) 오토바이용 2중관 머플러의 밴딩을 위한 메움재 공급장치
KR100906827B1 (ko) 피스톤펌프 및 피스톤모터용 실린더블록의 냉각용 지그
CN101209468A (zh) 一种用于回气管与工艺管焊接的翻边装置及其使用方法
CN111976115A (zh) 一种超声波清洗注尼龙管设备
CN101486070B (zh) 一种振动射砂冷芯盒
JP3536281B2 (ja) リザーバタンク用ロアー金型
CN107737910A (zh) 振动器
CN109095321B (zh) 斜行电梯随行电缆的利用磁致伸缩效应伸缩的涨紧装置
CN206838775U (zh) 一种拉丝模具
CN220813802U (zh) 一种方便建筑工程注浆的机械套件
KR20090108155A (ko) 아웃 케이싱 및 이를 이용한 지반천공장치
KR20090106141A (ko) 파이프를 고정하는 클램프 및 이를 장착한 파이프 수압시험기
CN212775220U (zh) 一种方便拆卸的偏心轴
CN215928859U (zh) 一种发动机支撑固定结构
CN217301392U (zh) 一种双筒体粘滞阻尼器
CN217963936U (zh) 一种用于清洗水泥浆实验室浆杯的装置
CN110542221B (zh) 一种太阳能热水器清理装置
KR101072307B1 (ko) 연료펌프용 에어 레귤레이터
CN220956114U (zh) 循环水冷却风扇动力装置
CN211251233U (zh) 一种应用在注塑机上的电热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