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853A - 이앙기탑재형농약산포장치 - Google Patents

이앙기탑재형농약산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853A
KR19990072853A KR1019990005940A KR19990005940A KR19990072853A KR 19990072853 A KR19990072853 A KR 19990072853A KR 1019990005940 A KR1019990005940 A KR 1019990005940A KR 19990005940 A KR19990005940 A KR 19990005940A KR 19990072853 A KR19990072853 A KR 19990072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eading
rice transplanter
pesticide
mother board
sprea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5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8148B1 (ko
Inventor
네모토마사히사
Original Assignee
야마다 마사히로
야마토 노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다 마사히로, 야마토 노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다 마사히로
Publication of KR19990072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1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9/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powder-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9/0053Mechanical dusters
    • A01M9/0069Gravity dus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9/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powder-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9/0084Undercarriages, frame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9/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powder-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9/0092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Abstract

이앙기에 탑재되고, 이앙 작업과 병행하여 입상(粒狀)의 농약을 산포(散布)하는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로서, 농약을 산포하는 산포 기구(1)와, 이앙기에 구비되는 모판대(S)의 왕복 동작을 이용하여 작동되고 산포 기구(1)로의 농약의 공급을 간헐적으로 행하게 함으로써, 산포 기구(1)의 농약 산포를 이앙 작업에 동조(同調)하여 간헐적으로 행하게 하는 산포 동작 제어 기구(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 {APPARATUS FOR DISPERSING PHARMACEUTICAL CHEMICALS, MOUNTABLE ON A RICE PLANTING MACHINE}
본 발명은 이앙기에 탑재되고 이앙 작업과 병행하여 입상의 농약을 산포하는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써레질을 끝내고 물을 도입한 논에 제초를 목적으로 하여 산포되는 약제는 이앙을 행하기 수일 전후에 산포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근래에는 성분의 개량이 이루어져 이앙과 동시에 산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약제로는 액상(液狀)의 것과 입상(粒狀)의 것이 있으며, 각각에 대하여 산포 장치가 준비되어 있다. 액상 약제용의 산포 장치는 모종의 스크래이핑(scraping) 날의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약제를 간헐적으로 송출하고 소정 시간을 두고 약제를 미량씩 적하(滴下)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앙을 행하는 이앙기의 주행 중에 작동시킴으로써 논에 약제를 산포한다.
입상 약제용의 산포 장치는 이앙기에 장착되고 스크래이핑 날의 운동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것이며, 약제의 수납부로부터 간헐적으로 약제를 흘려보내게 하고, 또한 흘려보낸 약제를 별개의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팬에 의하여 날리는 구조로 되어 있고, 이앙을 행하는 이앙기의 주행 중에 작동시킴으로써 논에 약제를 산포한다.
그런데, 상기 입상 약제용의 산포 장치는 특정의 이앙기 전용으로 개발된 것이어서 특정 기종에밖에 장착할 수 없으므로 이 입상 약제 산포 장치를 사용하는 데는 이앙기 자체를 구입할 필요가 있었다. 또, 이 입상 약제용의 산포 장치가 장착 가능한 이앙기를 소유하고 있어도, 산포 장치 자체가 대형이고 고가이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가 입수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종을 불문하고 기존의 이앙기의 대부분에 대하여 장착 가능한 동시에 구조가 단순하고 저가로 제조 가능하고, 일반 소비자에게도 간단하게 입수 가능한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산포 기구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산포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노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산포 동작 제어 기구를 구성하는 롤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산포량 조절 기구를 구성하는 노즐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산포 동작 제어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산포 동작 제어 기구를 구성하는 바 및 스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의 제3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산포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근접 스위치를 채용한 산포 동작 제어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근접 스위치와 이앙기 본체의 연결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4는 정류판의 작용을 도시한 상태 설명도이다.
도 15는 수납부의 커버체의 작용을 도시한 상태 설명도이다.
도 16은 근접 스위치를 채용한 산포 동작 제어 기구의 다른 양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의 제4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근접 스위치를 채용한 산포 동작 제어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산포(散布) 기구, 2:산포 동작 제어 기구, 6:산포량 조절 기구, 10:수납부, 10a:커버체, 10b:약제 투입구(개구부(開口部)), 10c:돌출부, 11:파이프부(공급로), 12:노즐부, 21:롤러, 21c:돌기부(작동 계기부), 25:스위치, 26:솔레노이드(구동원), 28:차폐 밸브, 29:이동체, 30:슬리브(회전체), 31:산포 동작 제어 기구, 32b:돌기부(작동 계기부), 34:스위치, 41:방수 케이스, 41a:산포구, 43:산포량 조절 기구, 51c:볼트(작동 계기부), 52:근접 스위치, 53b:장착공, 53c:퇴피부, 54:제어부, 60:산포 동작 제어 기구, 61:근접 스위치, 62:작동 계기부, R:압출 로드, S:모판대, P:모판 패드
본 발명의 제1 형태에서는, 이앙 작업과 병행하여 입상의 농약을 산포하는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가, 농약을 산포하는 산포 기구와, 이앙기의 식부(植付) 동작을 이용하여 작동되고, 산포 기구에 의한 농약 산포를 식부 동작과 동조하여 간헐적으로 행하게 하는 산포 동작 제어 기구를 구비한다.
이 형태에서는, 산포 동작 제어 기구가 이앙기에 구비되는 모판대의 왕복 동작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산포 동작 제어 기구가 왕복 이동식의 모판대를 구비하는 이앙기에 대하여 모판대의 왕복 동작을 이용하여 작동된다. 또, 모판대는 이앙기의 식부 동작에 동조하여 작동하여, 식부 동작이 감속되면 모판대의 이동 속도도 감소하고, 식부 동작이 증속되면 모판대의 이동 속도도 증가하므로, 소정의 식부 면적에 산포되는 농약의 산포량이 이앙기의 식부 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는, 산포 동작 제어 기구가, 모판대에 장착되고 모판대와 함께 왕복 이동하여 산포 기구의 작동의 계기가 되는 작동 계기부와, 모판대에 대향하여 이앙기 본체에 장착되고, 모판대의 왕복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작동 계기부에 접촉함으로써 접속되어 산포 기구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를 구비한다.
이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에 의하면, 모판대와 함께 작동 계기부가 왕복 이동함으로써 스위치가 간헐적으로 접속되어 산포 기구가 간헐적으로 작동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서는, 산포 동작 제어 기구가, 모판대에 장착되고 모판대와 함께 왕복 이동하여 산포 기구의 작동의 계기가 되는 작동 계기부와, 모판대를 향하여 이앙기 본체에 장착되고, 모판대의 왕복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작동 계기부의 접근을 검출하는 근접 스위치와, 작동 계기부를 검출한 근접 스위치의 출력을 계기로 하여 산포 기구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에 의하면, 모판대와 함께 작동 계기부가 왕복 이동하는 과정에서 근접 스위치가 작동 계기부의 접근을 검출하고, 근접 스위치가 작동 계기부의 접근을 검출할 때 그 출력을 계기로 하여 산포 기구가 작동한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서는, 산포 동작 제어 기구가 이앙기에 구비되는 모판 패드로부터 모종을 이탈시키는 빗모양 부재의 반복 동작을 이용하여 작동된다.
이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에 의하면, 산포 동작 제어 기구가, 모판 패드로부터 모종을 이탈시키는 빗모양 부재를 구비하는 이앙기에 대하여 이 빗모양 부재의 반복 동작을 이용하여 작동된다. 또, 모판 패드로부터 모종을 이탈시키는 빗모양 부재는 이앙기의 식부 동작에 동조하여 작동하여, 식부 동작이 감속되면 빗모양 부재의 동작 속도도 감소하고, 식부 동작이 증속되면 빗모양 부재의 동작 속도도 증가하므로, 소정의 식부 면적에 산포되는 농약의 산포량이 이앙기의 식부 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된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에 관한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이하에서는 간단히 산포 장치라고 함)는, 이앙기의 후부에 위치하는 모판대(S)의 더 후방에 설치되고 이앙 작업과 병행하여 농약을 산포하는 산포 기구(1)와, 이앙기에 구비되는 모판대(S)의 왕복 동작을 이용하여 작동되어 산포 기구(1)에 의한 농약 산포를 이앙 작업에 동조하여 간헐적으로 행하게 하는 산포 동작 제어 기구(2)와, 이앙기의 운전석에 설치되어 있는 식부 동작의 조작 레버(L)를 조작함으로써 접속되는 중계 스위치(3a)를 구비하는 중계 스위치 박스(3)와, 산포 기구(1)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기구(4)를 구비하고 있다. 각 기구에 연결되는 코드류는 센터 박스(5)에 모아져 있고, 센터 박스(5)에는 산포 장치의 작동을 근본으로 단속(斷續)하는 주(主) 스위치(5a)가 설치되어 있다.
산포 기구(1)는 이앙기의 농약이 수납되는 수납부(10)와, 수납부(10)의 하부에 장착된 파이프부(공급로)(11)를 통하여 공급되는 농약을 분출하는 노즐부(12)를 구비하고, 모판대(S)의 후방에 세워 형성된 문 모양의 지지 프레임(13)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1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판대(S)의 폭 방향으로 이간되어 배치된 2개의 다리부(14)가 모종의 스크래이핑 날을 구동하는 기어 박스(B)에 각각 나사 고정되고, 다리부(14)의 선단 사이에 들보부(15)가 가설(架設)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리부(14)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구멍 및 나사에는 기어 박스(B)에 기존에 설치한 것이 그대로 유용되고 있다.
다리부(14)는 2개의 봉형 부재(14a, 14b)를 교차시켜 조합한 것이며, 한 쪽의 봉형 부재(14a)에 설치된 장공(長孔)(14c)에, 다른 쪽의 봉형 부재(14b)의 중앙에 부착한 볼트·너트(14d)를 통하여 체결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한 쪽의 봉형 부재(14a)에 대한 다른 쪽의 봉형 부재(14b)의 고정 위치는 볼트·너트(14d)의 체결 위치를 장공(14c)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고, 쌍방의 봉형 부재(14a, 14b)의 배치를 자유롭게 변화시킴으로써, 이앙기의 기종의 차이에 따라 형상이 상이한 기어 박스(B)에 대해서도 다리부(14)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른 쪽의 봉형 부재(14b)의 선단에는 브라켓(14e)을 통하여 단면이 긴 직사각형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들보부(15)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브라켓(14e)은 봉형 부재(14b)에 대하여 볼트·너트(14f)에 의하여 각도 변화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들보부(15)는 그 양단을 브라켓(14e)에 설치된 직사각형의 구멍(14g)에 통과되고, 이 브라켓(14e)에 설치된 고정용 나사(14h)를 들보부(15)를 향하여 나사 삽입함으로써 다리부(14)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봉형 부재(14a)를 기어 박스(B)의 전부에, 봉형 부재(14b)를 기어 박스(B)의 후부에 나사 고정하고 있지만, 이앙기의 기종에 따라서는 봉형 부재(14a)를 기어 박스(B)의 후부에, 봉형 부재(14b)를 기어 박스(B)의 전부에 나사 고정하는 경우도 있다.
산포 기구(1)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16)에는 훅부(16a)가 형성되어 있고, 산포 기구(1)는 이 훅부(16a)를 들보부(15)에 건 상태에서 훅부(16a)에 설치된 고정용 나사(16b)를 들보부(15)를 향하여 나사 삽입함으로써 들보부(15)에 고정되어 있다. 산포 기구(1)는 브라켓(14e)의 봉형 부재(14b)에 대한 부착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상하 방향의 각도를 조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수납부(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로 긴 상자형이고 그 상면에는 착탈 가능한 커버체(10a)가 장착되어 있고, 이 커버체(10a)를 분리하여 내부에 농약을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파이프부(11)는 절구 모양으로 형성된 수납부(10)의 내부 바닥에 연통하고, 하방을 향하여 뻗어 나온 선단에 노즐부(12)기 장착되어 있다.
파이프부(11)는 고정 프레임(16)에 형성된 원형의 구멍에 삽입되고, 고정 프레임(16)은 이 파이프부(11)에 삽입된 링형 부재(11a)에 의하여 상하로부터 끼어 있고, 산포 기구(1)는 고정 프레임(16)에 대하여 파이프부(11)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노즐부(1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부(11)와 연결되는 연결부(12a), 차폐 밸브(28)가 내장되는 차폐 밸브 케이스(12b), 상측 케이스(12c), 하측 케이스(12d), 및 임펠러(17)를 덮는 커버(12e)가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노즐부(12)의 선단에는 농약을 분출하는 분출구(12f)가 하측 케이스(12d)와 커버(12e)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분출구(12f)는 파이프부(11)를 약간 내린 상태에서 산포 기구(1)를 고정했을 때 지면에 대하여 평행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분출구(12f)의 양 측부에는 농약의 산포 폭 및 산포 방향을 규제하는 정류판(12g)이 측방으로의 각도를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측 케이스(12c)와 하측 케이스(12d) 사이에는 모터(18)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18)의 회전축은 하측 케이스(12d)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회전축에 임펠러(17)가 장착되어 있다.
임펠러(17)는 모터(18)의 회전축에 중심이 고정된 원판(圓板)(17a) 상에 2매의 날개부(17b)가 세워 형성된 것이며, 분출구(12f)의 폭 방향에 면 방향을 일치시켜 노즐부(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노즐부(12)의 내부에는 수납부(10)로부터 파이프부(11)를 통하여 공급되는 농약을 원판(17a) 상에 공급하는 공급관(19)이 설치되어 있다. 공급관(19)은 노즐부(12)의 내부에서 파이프부(11)와 연통하고 있고 임펠러(17)를 향하여 농약을 낙하시키도록 되어 있다.
임펠러(17)는 모터(18)를 구동시킴으로써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수납부(10)로부터 파이프부(11)를 통하여 원판(17a) 상에 공급되는 농약을, 원판(17a)과 함께 회전하는 날개부(17b)에 의하여 날리도록 되어 있다.
산포 동작 제어 기구(2)로서, 이앙기 본체에는 모판대(S)의 왕복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21)가 장착되어 있다. 롤러(2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판대(S)의 이면 측에 모판대(S)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F)에 스테이(22)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22)에는 지지 프레임(F) 측에 고정되는 기부(基部)(22a)와, 기부(22a)에 대하여 롤러(21)의 좌우 방향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중간부(22b)와, 중간부(22b)에 대하여 롤러(21)의 상하 방향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선단부(22c)가 형성되어 있어, 이앙기의 기종을 불문하고 모판대(S)의 이면에 대한 롤러(21)의 배설 위치를 적절한 위치에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롤러(21)는 선단부(22c)에 고정된 슬라이드 레일(22d)에 가이드되어 스테이(22)의 측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이 선단부(22c)에 설치된 스프링(23)에 의하여 스테이(22)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스테이(22)의 각 부의 각도를 적당하게 조절함으로써 모판대(S)의 이면에 압압되고 있다. 또, 롤러(21)의 주위면에는 마찰 계수가 큰 밴드형의 탄성 부재(21b)가 접착되어 있다.
롤러(21)의 한 쪽의 단면(端面)(21a)에는 롤러(21)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을 이루며 줄기형의 돌기부(작동 계기부)(21c)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21c)는 8방향으로 확대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간되어 배설되어 있다.
롤러(21)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축받이부(24)에는 단면(21a)에 근접하여 스위치(25)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25)는 단면(21a) 상을 주위 방향으로 주행하는 차륜(25a)을 구비하고 있고, 이 차륜(25a)이 롤러(21)의 회전에 따라 단면(21a) 상을 주행하여 돌기부(21c)를 타고 넘어 상하 이동할 때마다 스위칭되도록 되어 있다.
노즐부(12)에는 스위치(25)가 접속되었을 때 작동하는 솔레노이드(구동원)(26)가 부설되어 있다. 솔레노이드(26)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부(11)와 노즐부(12)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 솔레노이드 고정좌(固定座)(27)에 구동축(26a)이 노즐부(12)를 향하여 고정되어 있다. 구동축(26a)에는 파이프부(11)를 칸막이 솔레노이드(26)의 작동에 따라 파이프부(11)를 열고 임펠러(17)를 향하여 농약을 공급하는 차폐 밸브(28)가 고정되어 있다.
차폐 밸브(28)는 노즐부(12)의 내부에 설치된 격벽(隔璧)(20)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격벽(20)에 설치된 유통구(20a)를 그 왕복 이동에 따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차폐 밸브(28)는 유통구(20a)와 합치(合致)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차폐 밸브(28)가 유통구(20a)를 닫은 상태일 때 차폐 밸브(28)와 유통구(20a) 사이에는 농약의 입자가 용이하게 통과하지 않도록 농약의 입경(粒徑)에 대략 동등한 정도의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 유통구(20a)에 면하는 차폐 밸브(28)의 단면은 농약의 유통 방향 전방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산포 동작 제어 기구(2)에는 솔레노이드(26)에 의하여 작동되는 차폐 밸브(28)의 1회당의 개폐 동작에 대하여 유통구(20a)를 통과하는 농약의 양을 조절하고, 이에 따라서 노즐부(12)로부터 분출되는 농약의 양을 조절하는 산포량 조절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산포량 조절 기구(6)에는 솔레노이드(26)의 구동축(26a)이 축 방향으로 관통된 원주형의 이동체(29)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체(29)는 구동축(26a) 주위의 회전이 규제되면서 구동축(26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동체(29)의 주위면에는 구동축(26a)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수나사부(29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나사부(29a)에는 내측에 암나사부(30a)가 형성된 슬리브(회전체)(30)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슬리브(30)는 노즐부(12)의 내부에서 구동축(26a)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면서 구동축(26a)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슬리브(30)의 상단에는 슬리브(30)를 회전시키는 레버(30b)가 장착되어 있다. 레버(30b)는 솔레노이드 고정좌(27)에 설치된 장공(27a)으로부터 선단을 엿보이게 하여 장착되어 있고, 장공(27a)을 따라 새겨진 눈금에 레버(30b)를 맞춤으로써 농약의 분출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중계 스위치 박스(3)는 이앙기의 운전석 옆구리에 배치되어 식부 동작을 개시하게 하는 조작 레버(L)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조작 레버(L)가 식부 동작의 개시 위치까지 넘어졌을 때 조작 레버(L)에 의하여 중계 스위치(3a)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전원 기구(4)는 실제의 전력 공급원으로서 이앙기에 탑재되어 있는 배터리가 겸용되고 있다. 센터 박스(5)는 운전석에 탑승하는 작업자로부터 손이 닿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산포 장치는 다음과 같이 하여 사용된다.
먼저, 육묘 상자에서 키운 모종의 다발을 모판대(S)에 탑재하고 논에 들어간 이앙기에 대하여 주 스위치(5a)를 접속하여 산포 기구(1)가 전원 기구(4)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는 상태로 한 후, 조작 레버(L)를 식부 동작의 개시 위치까지 넘어뜨리면, 이앙기가 모종을 식부 것을 개시하는 동시에 중계 스위치(3a)가 접속되어 모터(18)가 작동하고, 임펠러(17)가 회전을 개시한다.
식부 동작이 개시되면, 모판대(S)는 스크래이핑 날에 의한 모종의 스크래이핑 동작에 동조하여 측방으로 왕복 이동을 개시한다. 모판대(S)의 왕복 이동에 따라 롤러(21)가 회전하면, 롤러(21)의 회전에 따라 차륜(25a)이 단면(21a) 상을 주행하고, 돌기부(21c)를 타고 넘어 상하 이동할 때마다 스위치(25)가 간헐적으로 스위칭된다.
스위치(25)가 스위칭되면 그 때 솔레노이드(26)가 작동하고, 차폐 밸브(28)가 격벽(20)을 따라 왕복 이동하여 유통구(20a)가 개폐된다. 유통구(20a)가 개폐되면, 이에 따라서 유통구(20a)를 통과한 농약이 공급관(19)을 통하여 임펠러(17) 상에 낙하한다. 임펠러(17) 상에 낙하한 농약은 계속 회전하는 임펠러(17)에 끌어 당겨져 분출구(12f)로부터 이앙기의 후방을 향하여 분출된다.
식부 동작을 계속하는 동안은 상기와 같은 요령으로 산포 기구(1)로부터 농약의 산포가 간헐적으로 행해지지만, 예를 들면 이앙기를 방향 전환시키는 경우에는, 조작 레버(L)를 식부 동작의 정지 위치까지 복귀시킴으로써 중계 스위치(3a)가 꺼지고 산포 기구(1)가 정지하여 농약의 산포가 중단된다. 그리고, 이앙기의 방향 전환 후에 조작 레버(L)를 넘어뜨리면 중계 스위치(3a)가 재차 접속되어 농약의 산포가 재개된다.
또한, 모판대(S)는 이앙기의 식부 동작에 동조하여 작동하여, 식부 동작이 감속되면 모판대(S)의 이동 속도도 감소하고, 식부 동작이 증속되면 모판대(S)의 이동 속도도 증가하므로, 소정의 식부 면적에 산포되는 농약의 산포량은 이앙기의 식부 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된다.
또, 산포량 조절 기구(6)에서, 레버(30b)를 조작하여 슬리브(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슬리브(30)와 나사 결합 관계에 있는 이동체(29)가 구동축(26a)을 따라 차폐 밸브(28) 측으로 이동한다. 이동체(29)가 차폐 밸브(28)에 접근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솔레노이드(26)가 작동되면 차폐 밸브(28)는 개폐 동작을 행하지만, 이 때 차폐 밸브(28)는 이동체(29)에 개폐 동작이 규제되어 변위량이 제한되기 때문에 유통구(20a)의 개구 면적이 작게 제한되어 유통구(20a)를 통과하는 농약의 양이 감소한다. 또, 레버(30b)를 조작하여 슬리브(30)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체(29)가 구동축(26a)을 따라 차폐 밸브(28)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체(29)가 차폐 밸브(26a)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솔레노이드(26)가 작동되면, 차폐 밸브(28)는 이동체(29)에 규제되지 않기 때문에 유통구(20a)가 크게 열려 유통구(20a)를 통과하는 농약의 양이 증가한다.
즉, 슬리브(30)를 회전시켜 차폐 밸브(28)에 대한 이동체(29)의 배치를 변화시키고 차폐 밸브(28)의 변위량을 제한하여 유통구(20a)의 개구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차폐 밸브(28)의 1회당의 개폐 동작에 대하여 산포 기구(1)로부터 분출되는 농약의 양이 조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산포 장치에 의하면, 산포 동작 제어 기구(2)가 기존의 이앙기의 대부분의 기종에 구비되어 있는 왕복 이동식의 모판대(S)의 왕복 동작을 이용하여 작동되므로, 기종을 불문하고 기존의 이앙기의 대부분에 대하여 장착할 수 있다. 또, 구조가 간단하며 단순하고 제조 코스트를 저가로 억제할 수 있다.
모판대(S)는 이앙기의 식부 동작에 동조하여 작동하여, 식부 동작이 감속되면 모판대(S)의 이동 속도도 감소하고, 식부 동작이 증속되면 모판대(S)의 이동 속도도 증가하므로, 소정의 식부 면적에 산포되는 농약의 산포량이 이앙기의 식부 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농약 산포의 기준을 따라 농약을 정확하게 산포할 수 있다.
모판대(S)의 왕복 동작이 롤러(21)의 회전으로 치환되고, 돌기부(21c)가 롤러(21)의 회전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스위치(25)가 간헐적으로 접속되고, 이에 따라서 산포 기구(1)가 간헐적으로 작동하므로, 모판대(S)의 왕복 이동으로부터 더 정확하게 스위칭의 계기를 포착하여 농약의 산포를 이앙기의 식부 동작에 동조시켜 간헐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26)에 의하여 차폐 밸브(28)가 작동되고, 파이프부(11)가 개폐됨으로써 농약 산포가 간헐적으로 행해지지만, 이 개폐 동작의 타이밍을 느리게 하거나 빠르게 함으로써 농약의 논에 대한 총 산포량을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다.
차폐 밸브(28)와 유통구(20a) 사이에 파이프부(11)를 닫은 상태에서 농약의 입경에 대략 동등한 간극이 형성됨으로써, 차폐 밸브(28)와 파이프부(11)의 측면 사이에 농약의 입자가 끼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되므로, 차폐 밸브(28)의 개폐 동작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작동이 정확하고 소비 전력도 적고 구조도 간단한 솔레노이드(26)를 구동원으로 채용함으로써 산포 기구(1)의 작동의 정확성 및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동시에 제조 코스트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슬리브(30)를 회전시켜 차폐 밸브(28)에 대한 이동체(29)의 배치를 변화시킴으로써 파이프부(11)의 개구 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고, 1회의 개폐 동작으로 산포 기구(1)로부터 분출되는 농약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농약의 종류에 따라 산포 총량을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도시한 산포 장치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는 산포 동작 제어 기구의 구성이 상이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산포 동작 제어 기구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1 실시형태에서 이미 도시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한 산포 장치에는, 산포 동작 제어 기구(31)로서, 모판대(S)의 이면 측에는 모판대(S)와 함께 왕복 이동하는 바(32)가 장착되어 있다. 바(32)는 모판대(S)의 이면에 장착된 베이스 바(33)에 모판대(2)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이스 바(33)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의 다리부(33a)의 선단에 설치된 날(33b)을 모판대(S)와 들보부(SB)의 간극에 끼워 넣어지는 동시에 다리부(33a)에 설치된 고정용 나사(33c)를 다리부(SB)의 측면을 향하여 나사 삽입함으로써 모판대(S)에 고정되어 있다.
바(32)는 단면으로 보아 コ자형의 이른 바 채널 형상을 가지고, 중앙의 홈부(32a)를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베이스 바(33)의 연결부(33d)에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다. 홈부(32a)의 저면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복수의 돌기부(작동 계기부)(32b)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32b)는 모판대(S)의 이동 폭보다 약간 좁은 범위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바(32)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34)가 바(3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위치(34)는 바(32)에 대하여 상방으로 덮이도록 장착된 스위치 커버(34a)에 고정되어 홈부(32a)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스위치(34)는 홈부(32a)를 따라 주행하는 차륜(34b)을 구비하고 있고, 스위치(34)를 스위치 커버(34a)와 함께 바(32)를 따라 이동시키면, 차륜(34b)이 홈부(32a)를 따라 주행하여 돌기부(32b)를 타고 넘어 상하 이동할 때마다 스위칭되도록 되어 있다.(실제로는 스위치(34)가 소정의 위치에 머물고, 모판대(S)에 장착된 바(32)가 이동하여 스위칭이 행해진다.)
지지 프레임(F)에는 스위치(34)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해 두기 위한 지지 봉부(35)가 장착되어 있다. 지지 봉부(35)는 지지 프레임(F)에 고정되는 클램프부(35a)를 가지는 기부(35b)와, 기부(35b)에 대하여 앞쪽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 봉형부(棒形部)(35c)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35b)는 클램프부(35a)로부터 모판대(S)에 평행하고 또한 대략 수평으로 돌출하는 단면이 원형의 축 모양으로 되어 있고, 이 축 모양의 기부(35b)에 봉형부(35c)의 하단에 설치된 통형부(35d)가 삽입되어 고정용 나사(35e)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봉형부(35c)는 스위치 커버(34a)에 형성된 장착공(34c)에 선단을 삽입한 상태로 되어 있고, 이에 따라서 스위치(34)는 항상 소정의 위치에 머물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산포 장치의 경우, 이앙기의 식부 동작이 개시되어 모판대(S)가 측방으로 왕복 동작을 개시하면, 모판대(S)와 함께 바(32)가 왕복 이동하고 차륜(34b)이 홈부(32a)를 따라 주행하여 돌기부(32b)를 타고 넘어 상하 이동할 때마다 스위치(34)가 간헐적으로 스위칭된다. 이후의 동작은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고, 이앙기의 후방을 향하여 농약이 간헐적으로 산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산포 장치에 의하면, 모판대(S)와 함께 돌기부(32b)가 왕복 이동함으로써 스위치(34)가 간헐적으로 접속되고, 이에 따라서 산포 기구(1)가 간헐적으로 작동하므로, 모판대(S)의 왕복 이동으로부터 더 정확하게 스위칭의 계기를 포착하여 이앙기의 식부 동작에 동조하여 산포 기구(1)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의 제3 실시형태를 도 10 내지 도 16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1, 제2 실시형태에서 이미 도시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한 산포 기구(1)에서는, 수납부(10)를 제외한 파이프부(11)와 이것과 통하는 노즐부(12)가 방수 케이스(41)에 수납되어 있다. 방수 케이스(41)는 플라스틱 등의 수지로 이루어진 것이며, 분출구(12f)의 전방에 위치하여 산포구(41a)가 설치되어 있다. 산포구(41a)는 분출구(12f)로부터 분출되는 농약의 비산을 방해하지 않도록 분출구(12f)의 폭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포구(41a)의 폭 방향의 양측에는, 분출구(12f)로부터 분출하는 농약의 산포 폭 및 산포 방향을 규제하기 위한 정류판(42a, 42b)이 산포구(41a) 측으로 경도(傾倒)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정류판(42a, 42b)은 상기의 목적만이 아니라, 내측에 겹쳐지도록 넘어뜨려짐으로써 산포구(41a)를 막는 폐색체(閉塞體)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정류판(42a)은 그 선단을 산포구(41a)의 폭 방향 외측으로 휘게 하여 원호형으로 만곡된 형상으로되어 있다.
수납부(10)의 상면에 설치된 약제 투입구(개구부)(10b)에 피착(被着)되는 커버체(10a)는 주위 에지의 일부가 수납부(10)에 축 지지되어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커버체(10a)는 축 지지된 부위로부터 약제 투입구(10b)를 넘어 이간되는 방향으로 뻗어 있고, 그 돌출부(10c)는 커버체(10a)가 약제 투입구(10b)에 피착된 상태에서 약제 투입구(10b)의 둘레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커버체(10a)의 양측에는 하방으로 처진 측판부(側板部)(10d)가 설치되어 있다. 측판부(10d)는 커버체(10a)를 연 상태에서도 수납부(10)의 측면에 도달하는 길이로 되어 있다.
산포량 조절 기구(43)로서, 슬리브(30)는 기어 기구(44)를 통하여 수납부(10)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다이얼(45)에 연결되어 있다. 다이얼(45)에는 침부(針部)(45a)가 설치되어 있고, 수납부(10)의 측면에 새겨진 눈금에 침부(45a)를 맞춤으로써 농약의 산포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포 동작 제어 기구(50)로서 모판대(S)의 이면 측에는 모판대(S)와 함께 왕복 이동하는 바(51)가 장착되어 있다. 바(51)는 모판대(S)의 이면에 모판대(S)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장착되어 있다.
바(51)는 단면이 コ자형의 이른 바 채널 형상을 가지며 중앙의 홈부(51a)를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들보부(SB) 등에 패스닝 벨트(51b)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홈부(51a)의 저면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복수의 금속제의 볼트(작동 계기부)(51c)가 장착되어 있다. 볼트(51c)는 모판대(S)의 이동 폭보다 약간 좁은 범위에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바(51)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근접 스위치(52)가 장착되어 있다. 근접 스위치(52)는 모판대(S)의 왕복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볼트(51c)의 접근을 자력선의 작용에 의하여 검출하는 기구를 가지고 있고, 바(5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대차(臺車)(53)에 대하여 검출부(52a)가 홈부(51a)의 저면을 향하여 고정되어 있다. 대차(53)는 양측에 차륜(53a)이 2개씩 장착되어 있고, 이들 차륜(53a)을 바(51)에 설치된 레버부(51d)에 전동(轉動) 가능하게 맞물리게 함으로써 바(5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근접 스위치(52)는 대차(53)와 함께 바(51)를 따라 이동시키면, 검출부(52a)가 볼트(51c)에 접근할 때마다 그 접근을 검출하여 출력을 얻도록 되어 있다.(실제로는 모판대(S)에 장착된 바(51)가 이동하여 스위칭된다.)
근접 스위치(52)는 대차(53)에 형성된 장착공(53b)에, 단면이 직사각형의 봉형부(35c)의 선단을 삽입한 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서 항상 소정의 위치에 머물도록 되어 있다.
장착공(53b)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형부(35c)의 단면 형상에 맞추어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네 코너에는 봉형부(35c)의 코너로부터의 거리를 넓히는 퇴피부(53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센터 박스(5)에는 근접 스위치(52)의 출력을 얻어 산포 기구(1)를 작동시키는 제어부(54)가 내장되어 있다. 산포 기구(1)에서는 근접 스위치(52)에 의하여 볼트(51b)의 접근이 검지된 것을 계기로 하여 솔레노이드(26)가 작동되고, 차폐 밸브(29)의 개폐 동작이 1회 행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산포 장치에는 중계 스위치 박스(3)는 설치되어 있지 않고, 센터 박스(5)에 설치된 주 스위치(5a)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모터(18)를 작동하는 동시에 솔레노이드(26)로의 전력 공급을 행할 수 있는 상태로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산포 장치의 경우, 이앙기의 식부 동작이 개시되어 모판대(S)가 측방으로 왕복 동작을 개시하면, 모판대(S)와 함께 바(51)가 왕복 이동하여 바(51)에 부착된 복수의 볼트(51b)가 근접 스위치(52)의 검출부(52a) 상을 차례로 통과할 때마다 근접 스위치(52)가 스위칭된다.
이후의 동작은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고, 이앙기의 후방을 향하여 농약이 간헐적으로 산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산포 장치에 의하면, 모판대(S)의 이동으로부터 더 정확하게 스위칭의 계기를 포착하여 이앙기의 식부 동작에 동조하여 산포 기구(1)를 작동시킬 수 있다. 특히, 근접 스위치(52)를 사용함으로써, 한창 식부 동작의 중간에 모판대(S)에 생기는 흔들림 등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한 스위칭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 모판대(S)가 경사짐으로써, 모판대(S) 측에 장착된 대차(53)가 봉형부(35c)에 대하여 경사져도, 장착공(53b)의 네 코너에 퇴피부(53c)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장착공(53b)과 봉형부(35c)가 서로 스쳐 대차(53)의 이동이 방해받지 않는다.
센터 박스(5)에 설치한 제어부(54)에서는 근접 스위치(52)로부터의 출력이 있는 시점에서 산포 기구(1)를 작동시켜 차폐 밸브(29)의 개폐 동작을 1회 행하게 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식부 동작을 중단하고 모판대(S)의 왕복 이동을 정지시킨 경우, 볼트(51c)가 근접 스위치(52)에 가장 접근한 상태에서 모판대(S)가 정지해도 차폐 밸브(29)가 열린 채로 되지 않는다.
분출구(12f)로부터 분출하는 농약이 농약을 산포할 논에 대하여 과도하게 확대된 경우, 또는 원하는 방향으로 산포되지 않는 경우에는, 정류판(42a, 42b)의 경사를 적당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산포 폭 및 산포 방향을 규제할 수 있다.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임펠러(17)로 농약을 날리는 노즐부(12)의 구조상, 분출구(12f)로부터 분출하는 농약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부(12)의 정면으로부터 약간 임펠러(17)의 회전 방향으로 넓어져서 산포된다. 그러므로, 농약의 산포 폭을 규제하려고 하면, 정류판(42a)에는 정류판(42b)보다 깊은 입사 각도로 농약의 입자가 접촉하도록 되어 있지만, 정류판(42a)을 만곡시킴으로써 정류판(42a)에 접촉하는 농약의 입자의 입사 각도가 얕아지므로, 튀어서 되돌아온 후에도 농약의 입자가 노즐부(12)의 전방으로 비산하게 된다.
또, 커버체(10a)에는 돌출부(10c)가 설치되어 있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체(10a)를 열고 수납부(10)를 개방하여도, 수직 방향으로부터 보아 커버체(10a)가 약제 투입구(10b) 전체를 덮은 상태가 확보되므로, 강우 시에 수납부(10)에 농약을 투입하는 경우라도, 농약이 비에 잘 젖지 않게 된다.
이앙 작업은 물을 채운 논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작업 중에는 이앙기에 의하여 진흙이 튀어 오르는 것이 야기되는 것은 피할 수 없고, 이 진흙이 튀어 오른 것이 산포 기구(1)에 부착되면, 이앙 작업 종료 후 정류판(42a, 42b)을 넘어뜨리고 산포구(41a)를 닫아 버리면 산포 기구(1)를 그대로 물로 씻을 수 있는 등, 우수한 메인티넌스성이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관하여 산포 동작 제어 기구의 다른 양태를 도 16에 도시한다. 산포 동작 제어 기구(46)로서, 모판대(S)의 이면 측에는 바(47)가 모판대(S)와 대략 평행한 상태로 들보부(SB)에 고정되어 있다. 바(47)의 측면(47a)에는 복수의 금속제의 볼트(작동 계기부)(47b)가 바(47)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어 있다.
바(47)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근접 스위치(48)가 장착되어 있다. 근접 스위치(48)는 바(47)에 덮이도록 장착된 스위치 커버(49)에 대하여 검출부(48b)가 측면(47a)을 향하여 고정되는 동시에, 스위치 커버(49)에 형성된 장착공(49b)에 봉형부(35c)의 선단을 삽입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산포 동작 제어 기구(46)를 채용하여도 본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원활한 스위칭 동작이 가능하다.
[제4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의 제4 실시형태를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1, 제2, 제3 실시형태에서 이미 도시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도시한 산포 장치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 도시한 왕복 이동 가능한 모판대를 구비하는 이앙기와는 상이한 구조를 가지는 이앙기로의 장착을 전제로 한 것이다. 이 이앙기는 모종이 1주(株)마다 나뉘어 식부된 모판 패드(P)로부터 빗모양의 압출 로드(4)로 한번에 복수 주의 모종을 모판 패드(P)로부터 압출하여 이탈시키고, 이들 복수 주의 모종을 벨트 콘베이어로 식부 날을 향하여 반송하고, 이 식부 날로 모종을 1주씩 붙잡아 논에 식부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도 17에 도시한 이앙기에는, 산포 동작 제어 기구(60)로서 압출 로드(R) 근방에 근접 스위치(61)가 장착되어 있다. 압출 로드(R)는 이앙기의 식부 동작에 동조하여 간헐적으로 압출(반복) 동작을 행하고, 식부 동작이 감속되면 압출 동작을 행하는 간격이 길어지고, 식부 동작이 증속되면 그 간격도 짧아지므로, 이 압출 로드(R)의 동작을 스위칭의 계기로서 이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근접 스위치(61)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부(61a)가 압출 로드(R)의 후부를 향하여 이앙기의 프레임에 고정된 스테이(미도시)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압출 로드(R)의 후부에는 금속제의 작동 계기부(62)가 장착될 필요가 있지만, 압출 로드(R)가 금속제이고 작동 계기부로서 기능하는 경우에는 이것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산포 기구(1)는 운전석 아래의 프레임에 고정된 스테이(63)에 장착되어 있다. 스테이(63)의 선단에는 차체의 폭 방향으로 단면이 직사각형의 봉형부(64)가 설치되어 있고, 산포 기구(1)는 고정 프레임(16)에 설치된 훅부(16a)를 이 봉형부(64)에 건 상태에서 고정용 나사(16b)를 조임으로써 봉형부(64)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산포 장치의 경우, 이앙기의 식부 동작이 개시되면, 압출 로드(R)가 전후로 압출 동작을 행할 때마다 근접 스위치(61)가 스위칭된다. 이후의 동작은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고, 이앙기의 후방을 향하여 농약이 간헐적으로 산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산포 장치에 의하면, 산포 동작 제어 기구(60)가, 모판 패드(P)로부터 모종을 이탈시키는 압출 로드(R)를 구비하는 이앙기에 대하여, 이 압출 로드(R)의 반복 동작을 이용하여 작동되므로, 기종을 불문하고 모판 패드(P)를 구비하는 기존의 이앙기에 장착할 수 있다. 또, 구조가 간단하며 단순하고 제조 코스트를 저가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모판 패드(P)로부터 모종을 이탈시키는 이앙기의 식부 동작에 동조하여 작동하고, 식부 동작이 감속되면 압출 로드(R)의 동작 속도도 감소하고, 식부 동작이 증속되면 압출 로드(R)의 동작 속도도 증가하므로, 소정의 식부 면적에 산포되는 농약의 산포량이 이앙기의 식부 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농약 산포의 기준에 따라 농약을 정확하게 산포할 수 있다.
또한, 작동 계기부(62)로서 기능하는 압출 로드(R)가 반복 이동하는 과정에서 근접 스위치가 압출 로드(R)의 접근을 검출하고, 근접 스위치(61)가 압출 로드(R)의 접근을 검출할 때 그 출력을 계기로 하여 산포 기구(1)가 작동하므로, 압출 로드(R)의 압출 동작으로부터 더 정확하게 스위칭의 계기를 포착하여 농약의 산포를 이앙기의 식부 동작에 동조시켜 간헐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설명 참조

Claims (15)

  1. 이앙(移秧) 작업과 병행하여 입상(粒狀)의 농약을 산포(散布)하는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로서,
    상기 농약을 산포하는 산포 기구와,
    상기 이앙기의 식부(植付) 동작을 이용하여 작동되고, 상기 산포 기구에 의한 농약 산포를 상기 식부 동작과 동조(同調)하여 간헐적으로 행하게 하는 산포 동작 제어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포 동작 제어 기구가 상기 이앙기에 구비되는 모판대의 왕복 동작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포 동작 제어 기구가, 상기 모판대에 맞닿은 상태에서 이앙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모판대의 왕복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에 설치되어 상기 산포 기구의 작동의 계기(契機)가 되는 작동 계기부와,
    상기 롤러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작동 계기부에 접촉함으로써 접속되어 상기 산포 기구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포 동작 제어 기구가, 상기 모판대에 장착되고 상기 모판대와 함께 왕복 이동하여 상기 산포 기구의 작동의 계기가 되는 작동 계기부와,
    상기 모판대에 대향하여 이앙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모판대의 왕복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작동 계기부에 접촉함으로써 접속되어 상기 산포 기구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포 동작 제어 기구가, 상기 모판대에 장착되고 상기 모판대와 함께 왕복 이동하여 상기 산포 기구의 작동의 계기가 되는 작동 계기부와,
    상기 모판대를 향하여 이앙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모판대의 왕복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작동 계기부의 접근을 검출하는 근접 스위치와,
    상기 근접 스위치에 의한 상기 작동 계기부의 검출을 계기로 하여 상기 산포 기구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스위치가 이 근접 스위치에 형성된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상의 장착공(裝着孔)에 상기 이앙기 본체로부터 세워 형성된 단면이 직사각형의 봉형부(棒形部)가 삽입되어 이앙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장착공의 네 코너에는 상기 봉형부로부터의 거리를 넓히는 퇴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포 동작 제어 기구가 상기 이앙기에 구비되는 모판 패드로부터 모종을 이탈시키는 빗모양 부재의 반복 동작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포 동작 제어 기구가, 상기 빗모양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빗모양 부재와 함께 반복 이동하여 상기 산포 기구의 작동의 계기가 되는 작동 계기부와,
    상기 빗모양 부재를 향하여 이앙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빗모양 부재의 반복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작동 계기부의 접근을 검출하는 근접 스위치와,
    상기 근접 스위치에 의한 상기 작동 계기부의 검출을 계기로 하여 상기 산포 기구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
  9. 이앙 작업과 병행하여 입상의 농약을 산포하는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로서,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 의하여 작동되어 농약의 공급로를 개폐함으로써 농약의 산포를 간헐적으로 행하게 하는 차폐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밸브와 상기 공급로의 측면 사이에 상기 공급로를 닫은 상태에서 농약의 입경(粒徑)과 대략 동등한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으로서 솔레노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밸브의 1회당의 개폐 동작에 대하여 상기 공급로를 통과하는 농약의 양을 조절하는 산포량 조절 기구로서,
    상기 차폐 밸브의 개폐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구동원의 작동 시에 차폐 밸브에 맞닿아 이 차폐 밸브의 변위량을 제한하여 상기 공급로의 개구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공급로를 통과하는 농약의 양을 조절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주위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동체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임의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동체를 차폐 밸브의 개폐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회전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
  13. 이앙 작업과 병행하여 입상의 농약을 산포하는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로서,
    상기 농약을 산포하는 산포 기구와,
    상기 산포 기구에 설치되는 산포구의 폭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산포구 측으로 경도(傾倒) 가능하게 지지된 정류판(整流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판의 최소한 어느 한 쪽이 상기 산포구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
  15. 이앙 작업과 병행하여 입상의 농약을 산포하는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로서,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開口部)를 통하여 상기 농약을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개구부에 피착(被着)되고 또한 일부가 상기 수납부에 축 지지된 커버체와, 상기 수납부로부터 공급되는 농약을 산포하는 산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체가 축 지지되는 상기 일부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넘어 이간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
KR10-1999-0005940A 1998-02-24 1999-02-23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 KR1005281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42598 1998-02-24
JP4259898 1998-02-24
JP03205099A JP3940515B2 (ja) 1998-02-24 1999-02-09 田植機搭載型農薬散布装置
JP99-32050 1999-0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853A true KR19990072853A (ko) 1999-09-27
KR100528148B1 KR100528148B1 (ko) 2005-11-15

Family

ID=26370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5940A KR100528148B1 (ko) 1998-02-24 1999-02-23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40515B2 (ko)
KR (1) KR100528148B1 (ko)
TW (1) TW42792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066B1 (ko) * 2002-06-12 2005-06-23 야마토 노지 가부시키가이샤 이앙기 탑재형의 유체 산포 장치
KR100910058B1 (ko) * 2006-08-24 2009-07-30 야마토 노지 가부시키가이샤 이앙기 탑재형 농약살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7741B2 (ja) * 2004-07-27 2011-04-27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4530904B2 (ja) * 2005-04-21 2010-08-25 ヤマト農磁株式会社 田植機搭載型農薬散布装置
KR101152770B1 (ko) 2009-10-08 2012-06-11 정연창 이앙기 부착형 식물보호제 살포기
JP2010022380A (ja) * 2009-11-02 2010-02-04 Yamato Noji Kk 田植機搭載型農薬散布装置
JP5411831B2 (ja) * 2010-11-11 2014-02-12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
KR101253609B1 (ko) * 2010-12-27 2013-04-11 정연창 이앙기 부착형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
JP5698013B2 (ja) * 2011-01-26 2015-04-08 株式会社クボタ 粉粒体散布装置
CN103299974A (zh) * 2012-03-12 2013-09-18 雅马托农磁株式会社 插秧机搭载型液剂播洒装置、以及使用该装置的同时进行插秧与液剂播洒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066B1 (ko) * 2002-06-12 2005-06-23 야마토 노지 가부시키가이샤 이앙기 탑재형의 유체 산포 장치
KR100910058B1 (ko) * 2006-08-24 2009-07-30 야마토 노지 가부시키가이샤 이앙기 탑재형 농약살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27928B (en) 2001-04-01
JPH11308959A (ja) 1999-11-09
JP3940515B2 (ja) 2007-07-04
KR100528148B1 (ko) 2005-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8148B1 (ko)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
US20170320085A9 (en) Electrically actuated variable pressure control system
CA3073319C (en) Seed furrow liquid applicatio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JP4790683B2 (ja) 肥料・農薬散布器
JP4444978B2 (ja) 田植機搭載型農薬散布装置
CN114901061B (zh) 在播种过程期间用液体化学品处理单独种子的系统和方法
KR101746112B1 (ko) 지게형 농약 분무장치
KR20180124183A (ko) 작동이 원활한 이앙기용 약제 살포기
TW200400001A (en) Rice-planter carried fluid distribution device
US2592609A (en) Magnetically controlled rotary water sprinkler
JP2006320340A (ja) 田植機搭載型農薬散布装置
DE19704374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oder Regelung der Zuteil-, Dosier- sowie Ausbringeinrichtungen einer Ausbringmaschine
KR102457287B1 (ko) 트랙터 장착용 입제 살포장치
JP3922960B2 (ja) 田植機用の薬剤散布装置
KR100605483B1 (ko)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장치
KR101578063B1 (ko) 무인 방제기
EP0094796B1 (en) Spraying
KR20140076236A (ko) 비료 살포기
JP2006320339A (ja) 田植機搭載型農薬散布装置
JP2006000067A (ja) 田植機搭載型薬剤散布装置
CN219459910U (zh) 一种适合盐碱地的水稻筛选培养机构
EP1031382B1 (en) Sprinkler with adjustable water spray jets
JP2558724Y2 (ja) 管理作業機における散布装置
JPH0763263B2 (ja) 肥料等の散布機における散布量調節装置
CN117796381A (zh) 一种多功能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