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609B1 - 이앙기 부착형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 - Google Patents

이앙기 부착형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609B1
KR101253609B1 KR1020100135559A KR20100135559A KR101253609B1 KR 101253609 B1 KR101253609 B1 KR 101253609B1 KR 1020100135559 A KR1020100135559 A KR 1020100135559A KR 20100135559 A KR20100135559 A KR 20100135559A KR 101253609 B1 KR101253609 B1 KR 101253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transplanter
crop protection
granules
scattering
protection gran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3716A (ko
Inventor
정연창
Original Assignee
정연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창 filed Critical 정연창
Priority to KR1020100135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609B1/ko
Publication of KR20120073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앙기 부착형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앙기의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작물보호입제를 비산살포할 수 있도록 하되, 복수개의 호퍼부와 입제 배출부를 통해 서로 다른 종류의 작물보호입제를 혼합하여 비산살포할 수 있고, 혼합되는 작물보호입제 상호간의 혼합비율 및 살포량을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동력수단이 하단에 설치되는 상향식의 비산장치부를 통해 혼합된 작물보호입제를 균일하게 비산살포 가능토록 하며, 이앙기에서 좌, 우로 왕복운동을 하는 모판대와 연동되어 작동되도록 감지부를 마련하여, 상기 감지부에 의해 비산살포되는 작물보호입제의 시간간격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이앙기 부착형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앙기 부착형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Same time Scattering Appatatus of Two Kinds of Granular Herbicide Mounted on Rice Transplanter}
본 발명은 이앙기의 후방에 부착되어, 이앙기의 모종 식부(植付, Cropping)작업 동시에 두종류 이상의 작물보호입제를 각기 다른 호퍼부에 투입혼합하여 비산 살포할 수 있도록 한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의 벼농사법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논을 쟁기로 갈고 물을 넣은 후, 로터리로 쇄토 및 정지작업을 한다.
그 후, 2~3일 논을 굳힌 다음에 이앙기로 모를 이앙하고 잡초발생 및 병해충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이앙 후 제초제, 살충살균제, 식물보호제 등을 뿌린다.
그리고, 벼 생육상태에 따라 비료를 2~3회 더 뿌린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각각의 작업이 별도로 진행될 수 밖에 없었고, 또한 이앙할 논 전체를 경운(전면(全面) 경운)하게 되어 있었으므로, 그에 따른 노동력과 에너지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액상 상태의 식물보호제를 살포하기 위한 식물보호제 살포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상태이지만, 종래에는 모종이 논에 이앙되기 전 모종 상부에서 모종의 위치에 상관없이 식물보호제를 살포하거나, 또는 이앙작업이 끝난 농로에 살포장치를 인력에 의한 작물보호제 살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능률이 매우 낮고, 많은 힘이 들며, 작업자의 호흡기를 통한 중독사고가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입제형태의 보호제를 살포하기 위한 장치도 다수 개발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살포시, 입제가 광범위한 영역에 비산되어 살포되지 못한다는 문제점과 함께, 다수종류의 입제형 보호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없어, 보호제 살포시 보호제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에 입제를 투입하면서 다수번의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또한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부작업을 하는 이앙기의 후방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이앙작업과 동시에 작물보호입제를 비산살포할 수 있도록 하되, 좌, 우로 왕복운동을 하는 이앙기의 모판대와 함께 연동되어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작물보호입제의 비산살포 시간간격을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이한 두 종류의 작물보호입제를 동시에 투입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혼합시 작물보호입제 상호간의 혼합량 및 살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이앙기 부착형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좌, 우로 왕복운동하는 이앙기(100)의 모판대(110)와 대향설치되는 착탈가능한 이앙기 부착형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종류의 작물보호입제가 저장되는 복수개의 호퍼부(10); 상기 각 호퍼부(10)로부터 작물보호입제의 양을 조절하며 내입하고, 임시저장하는 복수개의 입제 배출부(20); 상기 이앙기의 후단에서 입제 배출부(20)를 통해 혼합되어 낙하되는 작물보호입제를 회전력에 의해 비산시키며 살포하는 비산장치부(40); 상기 이앙기에 하단부가 고정되고, 상부에서는 상기 입제 배출부(20)가 고정되어 이앙기의 자체진동이 호퍼부(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60); 상기 모판대(110)의 왕복운동을 감지하여 비산장치부(40)를 작동시키는 감지부(7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퍼부(10)는 입제투입 보조기구로 이앙기 탑승자가 탑승상태에서 원터치 개폐가능한 커버(12)가 상단에 구비되고, 하단이 개구된 복수개의 하우징(11);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11) 사이에 접촉설치되어 이앙기 자체진동과 호퍼에 장착된 진동수단에 의해 진동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1) 내 작물보호입제가 뭉치지 않도록 하는 진동수단(14); 이앙기 탑승자가 탑승상태에서 상기 호퍼부(10)에 입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입제투입 보조기구(8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제 배출부(20)는 내부가 비어있되, 상기 호퍼부(10)와 연통되도록 일단 외주연에 관통형성되는 상단 배출구(22)와, 타단 외주연 하단에 관통형성되는 하단 배출구(23)로 이루어지며, 상호간 수평배열되는 복수개의 외관(21); 외관(21)의 일측 외부에 설치되며, 일단에 돌출형성된 구동장치축(31)을 외관(21)에 내설하여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0); 상기 구동장치축(31)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작물보호입제가 스크류홈(33)을 따라 하단 배출구(23)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류부재(32); 상기 구동장치(30)의 회전속도, 회전구동시간 및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작물보호입제의 살포량 및 서로 다른 종류의 작물보호입제 상호간의 혼합비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장치(34); 상기 외관(21)의 각 하단 배출구(23)에 일단이 분기되어 연결됨으로써, 작물보호입제가 혼합되면서 비산장치부(40) 내로 낙하되도록 하는 연결관(35);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산장치부(40)는 상기 이앙기의 후방을 향해 전방이 개구되며, 내부에 작물보호입제가 낙하되는 낙하함(44); 상기 낙하함(44)의 상면커버(41) 전방측이 상, 하로 높이조절되도록 하여, 상기 낙하함(44)의 일측 개구량을 조절하는 높이조절부(48); 상기 작물보호입제가 상면으로 낙하되도록 낙하함(44)에 내설되되, 상부면에는 높이가 서로 다른 다수의 가이드편(49)과 보조 가이드편(49')을 교번으로 원주방향을 향해 돌출형성하며,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된 동력수단(51)에 의해 회전속도조절가능하게 회전되어, 작물보호입제가 회전력에 의해 비산되도록 하는 비산판(50); 상기 비산판(50)을 중심에 두고 낙하함(44)의 내부에 '∩'자 형태로 내설되고 양단이 낙하함(44) 외부로 돌출되어, 비산되는 작물보호입제 중 낙하함(44) 내부로 비산되는 일부 작물보호입제를 낙하함(44)의 개구된 전방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원호(52);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60)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수평이동 결합공(61)을 천공형성하여, 상기 입제 배출부(20)의 후면이 다수 수평이동 결합공(61) 중 하나에 고정되며 좌, 우의 설치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수평지지대(62); 상기 수평지지대(6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고정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수직이동 결합공(63)을 천공형성하여 상기 입제 배출부(20)의 후면이 다수 결합공 중 하나에 고정되어 상, 하의 설치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며, 하단부가 상기 이앙기의 이식부(120)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수직지지대(64);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70)는 상기 모판대(110)의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설치판(71)과, 상기 이앙기의 후방측을 향해 설치판(71)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돌출형성되는 감지편(72)으로 이루어지는 접촉부(73); 상기 지지부(60)에 설치되되, 상기 접촉부(73)를 향해 감지봉(74)을 돌출형성하는 리미트 스위치(75)와, 상기 감지봉(74)이 좌우 왕복운동하는 접촉부(73)의 감지편(72)과 접촉된 후 이격되는 순간에만 동력수단(51)을 회전시키도록 리미트 스위치(75)와 연결되는 제어장치(76)로 이루어져, 상기 동력수단(51)이 구동되기 위해 감지봉(74)이 접촉되어야만 하는 감지편(72)의 개수를 상기 제어장치(76)를 통해 조절함으로써, 작물보호입제의 비산살포 시간간격이 조절되고 이앙작업시에만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장치(77);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두 종류 또는 여러종류의 작물보호입제를 호퍼에 투입혼합하여 비산살포가 가능하되, 작물보호입제 상호간의 혼합비율 및 비산살포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작물보호입제의 확산을 위한 비산판과, 동력수단(모터)의 상향식 채택으로 입제가 동력수단축(모터축)에 간섭받지 않아 고른 분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앙기에서 좌, 우 왕복운동을 하는 모판대와 연동되어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작물보호입제의 살포시간 및 살포간격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앙기 자체의 진동 및 별도의 진동수단을 이용하여 비산살포하고자 하는 제초입자가 사전에 굳어지거나 뭉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 부착형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퍼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제 배출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제 배출부의 구동장치 작동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산장치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산장치부의 상면커버 작동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측면 단면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산장치부의 상면커버 및 측면커버 조절 및 비산판의 회전을 통한 작물보호입제의 비산살포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내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 탑승자가 탑승상태에서 호퍼에 작물보호입제를 투입하기 위한 입제투입 보조기구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 부착형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를 이앙기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앙기 부착형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이앙기 부착형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는 호퍼부(10), 입제 배출부(20), 비산장치부(40), 지지부(60), 감지부(70)를 포함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이앙기 부착형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가 후방에 설치되는 이앙기(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바퀴를 회전시켜 이동하되, 이식용 모가 탑재되되, 좌우로 왕복 이동되는 모판대(110)와, 상기 모판대(110) 전면에 위치되어 모종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도록 지지하는 에이프런(미도시)과 상기 모판대(110)의 하부에 설치된 플로우트(123)와, 식부작동을 하는 비크(121) 및 기어박스(12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에이프런에 정렬된 모를 비크(121)가 회전 운동하면서 논에 모를 심게 되어 있다.(이앙(移秧)) 이러한, 상기 이앙기는 공지된 기술이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호퍼부(10)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제 형태의 제초제(작물보호제, 살충살균제 등, 이하 '작물보호입제(P)'라 칭함)가 저장되는 곳으로서, 원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지되, 내부에 작물보호입제가 저장되고 상, 하부가 개구된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상부를 개폐가능토록 하는 커버(12)와, 상기 하우징(11)의 개구된 하단에 결합되어 하우징(11) 내부에 저장된 작물보호입제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13)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호퍼부(10)를 복수개 구비하여, 각각의 호퍼부(10)에 서로 다른 종류의 작물보호입제가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두 종류의 작물보호입제가 동시에 모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상기 복수개의 호퍼부(10) 사이에는 진동수단(ex: 진동모터 등, 14)을 구비하여, 상기 진동수단(14)에 의해 복수개의 호퍼부(10)에 진동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호퍼부(1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작물보호입제가 굳거나 뭉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진동수단(14)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장치(미도시)는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더불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퍼부(10)는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호퍼부(10)의 내부에 작물보호입제를 채우기 위한 입제투입 보조기구(80)를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입제투입 보조기구(80)는 이앙기 탑승자가 탑승상태에서 작물보호입제를 호퍼부에 투입하기 위한 보조장치로써, 저장체(81)와, 상기 저장체(81)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기준봉(82)과, 상기 기준봉(82)과 결합되되 기준봉(82)을 길이방향으로 내입시키거나 토출시킴으로써 입제투입 보조기구(8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봉(8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제 배출부(2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부(10)의 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후술될 비산장치부(40)로 호퍼부(10)의 작물보호입제를 낙하시키기 전 작물보호입제의 살포량 및 서로 다른 작물보호입제간의 혼합비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호퍼부(10)가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기에, 상기 호퍼부(10)의 하단에서 연통설치되는 입제 배출부(20) 또한 복수개가 상호간 수평배열되어 각 호퍼부(10)의 하단에 설치되어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입제 배출부(20)는 상호간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데, 외관(21), 구동장치(30), 스크류부재(32), 조절장치(34), 연결관(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관(23)은 양단이 밀폐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관체 형상을 가지되, 상기 호퍼부(10)의 배출부(13)와 연통가능토록 일단 외주연 상부에는 상단 배출구(22)가 관통형성되고, 이러한 상단 배출구(22)와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는 타단 외주연 하부에는 외관(21) 내부와 연통되는 하단 배출구(23)가 관통형성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상단 배출구(22)와 하단 배출구(23) 상호간은 연통되는 형태를 가진다. 다시 말해, 상기 외관(21)의 상단 배출구(22)로 유입된 작물보호입제가 후술될 스크류부재(32)에 의해 타단으로 이동되어 하단 배출구(23)를 통해 낙하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장치(30)는 전술된 외관(21)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외관(21)의 일측 외부에 설치되며, 일단에는 구동장치축(31)을 돌출형성하고, 돌출형성된 구동장치축(31)은 상기 외관(21)에 내설되도록 하여, 상기 구동장치(30)의 회전에 의해 구동장치축(31)이 외관(21) 내에서 회전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장치(30)로 모터 등이 사용된다.
상기 스크류부재(32)는 구동장치축(31)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을 향해 꽈배기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스크류부재(3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스크류홈(33)이 하단 배출구(23)를 향하도록 함으로써, 상단 배출구(32)를 통해 외관(21) 내에 유입된 작물보호입제가 스크류부재(32)가 회전시 스크류홈(33)을 따라 하단 배출구(23) 측으로 이동되어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조절장치(34)는 구동장치(30)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장치(30)의 회전속도 및 회전구동시간과 온/오프(ON/OFF)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물보호입제의 살포량 및 서로 다른 작물보호입제 상호간의 혼합비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조절장치(34)를 통해 구동장치(30)가 빠르게 회전시킬수록 후술될 비산장치부(40)로 낙하되는 작물보호입제량은 증가되는 것이고,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입제 배출부(20) 각각의 스크류부재(32) 회전속도를 다르게 함으로써, 상호 다른 종류의 작물보호입제량을 달리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제조입제의 혼합비율을 사용자가 원하는 비율로 낙하시켜 연결관(35)을 통해 혼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조절장치(34)로는 노브(knob)가 사용된다.
상기 연결관(35)은 입제 배출부(20)의 하단 배출구(23)와 일단이 연통연결되고, 타단은 후술될 비산장치부(40)에 연통되어, 비산장치부(40)에 작물보호입제가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술된 바와 같이, 입제 배출부(20)가 복수개이기 때문에, 상기 연결관(35)의 타단 또한 복수개로 분기되어 복수개 입제 배출부(20)의 각 하단 배출구(23)와 연통되어야 하며, 복수개의 관으로 분기된 타단으로 복수개의 입제 배출부(20)로부터 각기 다른 종류의 작물보호입제가 낙하되되, 분기된 부분이 합쳐지는 타단에서 다른 종류의 작물보호입제가 혼합되어 후술될 비산장치부(40) 내부로 낙하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와 같은 입제 배출부(20)는 복수개가 케이스(C) 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기에, 각각의 입제 배출부(20)에서 조절장치(34)를 통해 각 외관(21)에 내로 유입되는 상호 다른 종류의 작물보호입제량을 각각 조절하고 이를 연결관(35)을 통해 비산장치부(40)로 낙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서로 다른 종류의 작물보호입제를 다양한 혼합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는 상기 혼합비율만큼 혼합된 양으로 작물보호입제를 비산분사하는 것이기에, 작물보호입제의 살포량 또한 조절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상기 비산장치부(4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연결관(35)을 통해, 서로 다른 종류가 혼합된 작물보호입제가 내부에 낙하되면, 회전력에 의해 낙하된 혼합 작물보호입제를 외부로 비산살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비산장치부(40)는 낙하함(44), 높이조절부(48), 비산판(50), 가이드 원호(5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낙하함(44)은 사각관 형태를 가지는 함체 형상이되, 이앙기(100)의 후방을 향해 전방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입제 배출부(20)의 연결관(35)과 연통되어 작물보호입제가 낙하함(44) 내부에 낙하되도록 하는 낙하구(42)가 상면커버(41)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4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함(44)의 상면커버(41) 전방측을 상, 하로 높이조절하여, 낙하함(44)의 전방 개구량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낙하함(44)의 전방에서 이앙기의 후방으로 비산살포되는 작물보호입제의 살포범위가 넓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부(48)는 상기 낙하함(44)의 내부 전방 양측에서 일단이 낙하함(44)에 고정되되 타단은 상면커버(41)에 고정되는 볼트(45)와, 상기 상면커버(41)의 상, 하면에서 볼트(45)에 나사결합되는 복수개의 너트(46)로 이루어진다. 즉, 너트(46)를 볼트(45)에서 푸는 방향으로 회전시되면 상면커버(41)의 전방이 상부측으로 들릴 수 있게 되고, 너트(46)를 조이게 되면, 상면커버(41)의 전방이 하부측으로 하강시킬 수 있어, 상기 낙하함(44)의 내부 전방의 개구량이 조절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상면커버(41)에는 볼트(45)가 끼워지는 장공(47)이 천공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물론, 이러한 높이조절부(48)와 동일한 작동을 하는 것이라면,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낙하함(44)의 상, 하면은 고정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같이,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조절수단(53)을 이용해 낙하함(44)의 양측 측면커버(43)가 가이드 원호(52)와 결합되어 함께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형태로 변형시키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상기 비산판(50)은 낙하함(44)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비산판(50)은 낙하함(44)의 내부에서 낙하구(42)와 동일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작물보호입제가 상기 낙하구(42)를 통해 비산판(50)의 상면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상기 비산판(50)의 상면에는 비산판(50)의 중심에서 원주방향을 향해 상호간 소정간격 이격되며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편(49)을 돌출형성하며, 이러한, 상기 다수의 가이드편(49)의 각 사이에는 가이드편(49)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높이를 가지는 보조 가이드편(49')을 돌출형성함으로써, 상기 가이드편(49)과 보조 가이드편(49')이 상호간 교번으로 비산판(50)의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다.(상기 가이드편(49)과 보조 가이드편(49')의 돌출개수는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음이다.) 또한, 상기 낙하함(44)의 저면에는 낙하함(44) 내부의 비산판(50)과 축으로 연결하고 있는 동력수단(51)(ex: 구동모터)을 구비하여, 상기 동력수단(51)의 회전에 의해 비산판(50)이 회전되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낙하함(44)의 내부에서 비산판(50)이 회전하게 되면, 낙하함(44)의 내부에 작물보호입제가 비산판(50) 상부로 낙하되면서, 비산판(50)의 회전력에 의해 낙하함(44)의 개구된 전방으로 비산살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낙하함(44)에 돌출형성된 가이드편(49) 및 보조 가이드편(49')은 비산판(50)의 회전에 의해 낙하되는 작물보호입제를 낙하함(44)의 개구된 전방으로 쳐내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원호(52)는 낙하함(44)의 내부에서 비산판(50)을 중심에 두고 '∩'자 (또는 개구된 방향에 따라 '∪')형태로 내설되되, 양단부가 낙하함(44)의 개구된 전방으로 연장되어 돌출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낙하함(44)의 개구된 전방 일측에서부터 낙하함(44)의 내부를 거쳐 낙하함(44)의 개구된 전방 타측까지 원호를 그리며 고정되는 것이다. 즉, 상기 가이드 원호(52)는 비산판(50)의 회전에 의해 작물보호입제가 비산살포될 시, 낙하함(44) 외부로 비산살포되지 못하고 낙하함(44) 내부로 살포되는 일부 작물보호입제를 낙하함(44)의 개구된 전방측으로 가이드하여 살포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상기 가이드 원호(52)가 비산판(50)의 주위를 전방을 제외하고 양측과 후방에서 원호를 그리며 커버하고 있기 때문에, 비산판(50)의 회전력에 의해 작물보호입제 일부가 낙하함(44) 내부로 살포되어도, 살포된 일부 작물보호입제가 비산판(50)의 회전력에 의해 가이드 원호(52)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이동되면서 결국 낙하함(44)의 개구된 전방측을 통해 이앙기의 후방으로 비산살포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60)는 도 1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본 발명의 이앙기 부착형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를 이앙기에 고정설치하는 것으로서, 수평지지대(62)와 수직지지대(64)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지지대(62)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길이방향을 향해 다수의 수평이동 결합공(61)을 천공형성하여 상기 수평이동 결합공(61)을 통해 전술된 입제 배출부(20)가 고정결합되도록 하는데, 상기 수평지지대(62)를 통해 상기 입제 배출부(20)는 수평방향(좌, 우)으로 설치위치가 변경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대(64)는 지면과 수직으로 이루며, 상기 수평지지대(6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수평지지대(62)와 고정결합되어, 상기 수평지지대(62)와 수직지지대(64)가 '+'(십자) 형태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수직지지대(64)에도 길이방향을 향해 다수의 수직이동 결합공(63)을 천공형성하여, 상기 수직이동 결합공(63)에 입제 배출부(20)가 고정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입제 배출부(20)가 수직방향(상, 하)으로 설치위치가 변경가능토록 한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상기 수직지지대(64)의 하단부는 이앙기의 후방에 위치되어 식부작업을 하는 이앙기의 이식부(120) 상면(더욱 자세히는 이식부의 비크(121)와 비크(121) 사이에 위치되는 기어박스(122)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된다.
즉, 상호간 십자형태로 고정연결되어 있는 수평지지대(62)와 수직지지대(64)의 수평이동 결합공(61) 또는 수직이동 결합공(63) 중 어느 하나에만 입제 배출부(20)의 후면이 고정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며, 상기 수평지지대(62)와 수직지지대(64)를 통해 입제 배출부(20)가 이앙기의 후방에 고정됨으로써, 결론적으로 입제 배출부(20)가 구성요소 중 하나인 본 발명의 이앙기 부착형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의 설치위치가 자유로워 지는 것이다.
상기 감지부(7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이앙기의 모판대(110) 및 전술된 지지부(60)에 하단에 설치되어, 이앙기의 모판대(110) 움직임에 따라 비산장치부(40)의 동력수단(51)을 구동시킴으로써, 작물보호입제가 비산살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감지부(70)는 케이스(C)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접촉부(73), 감지장치(77)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부(73)는 이앙기의 모판대(110)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설치판(71)과, 상기 설치판(71)의 길이방향으로 향해 상호간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며 형성되되, 후술될 감지장치(77)측(또는 이앙기의 후방측)을 향해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감지편(72)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접촉부(73)는 상기 이앙기의 모판대(110)가 좌, 우 왕복운동을 할 시, 이러한 모판대(110)와 동일하게 좌, 우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감지장치(77)는 입제 배출부(20)가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부(60) 중 수직 지지대의 하단에서 접촉부(73)와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감지편(72)과 대응되도록 케이스(C) 외부로, 감지편(72)을 향해 스프링 형태로 유연성을 가지는 감지봉(74)을 돌출시키는 리미트 스위치(75)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7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회로가 내장된 제어장치(76)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어장치(76)는 타임스위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리미트 스위치(75)의 감지봉(74)이 좌, 우로 왕복되는 접촉부(73)의 감지편(72)과 접촉되면, 상기 신호를 제어장치(76)로 전달하게 되고, 제어장치(76)는 상기 신호를 통해 비산장치부(40)의 동력수단(51)을 구동시켜 비산장치부(40)의 회전력에 의해, 낙하되는 작물보호입제를 비산살포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는 제어장치(76)를 통해 동력수단(51)이 구동되는 시간간격, 즉 작물보호입제의 비산살포 시간간격을 지정할 수 있는데, 상기 리미트 스위치(75)의 감지봉(74)이 다수의 감지편(72)과 매번 접촉 후 이격될때(상호간 접촉되었다 떨어질때)마다 동력수단(51)으로 구동신호를 보내도록 제어장치(76)를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감지봉(74)이 감지편(72)을 지정된 일정 횟수만큼(2회, 3회 등) 접촉후 떨어져야만(ON에서 OFF로 변경되는 때) 동력수단(51)이 구동되도록 제어장치(76)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호퍼부 11: 하우징
12: 커버 13: 배출부
14: 진동수단 20: 입제 배출부
21: 외관 22: 상단 배출구
23: 하단 배출구 30: 구동장치
31: 구동장치축 32: 스크류부재
33: 스크류홈 34: 조절장치
35: 연결관 40: 비산장치부
41: 상면커버 42: 낙하구
43: 측면커버 44: 낙하함
45: 볼트 46: 너트
47: 장공 48: 높이조절부
49: 가이드편 49': 보조 가이드편
50: 비산판 51: 동력수단
52: 가이드 원호 53: 조절수단
60: 지지부 61: 수평이동 결합공
62: 수평지지대 63: 수직이동 결합공
64: 수직지지대 70: 감지부
71: 설치판 72: 감지편
73: 접촉부 74: 감지봉
75: 리미트 스위치 76: 제어장치
77: 감지장치 80: 입제투입 보조기구
100: 이앙기 110: 모판대
120: 이식부 121: 비크
122: 기어박스 123: 플로우트
P: 작물보호입제

Claims (6)


  1. 좌, 우로 왕복운동하는 이앙기(100)의 모판대(110)와 대향설치되는 착탈가능한 이앙기 부착형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종류의 작물보호입제가 저장되는 복수개의 호퍼부(10);
    상기 각 호퍼부(10)로부터 작물보호입제의 양을 조절하며 내입하고, 임시저장하는 복수개의 입제 배출부(20);
    상기 이앙기의 후단에서 입제 배출부(20)를 통해 혼합되어 낙하되는 작물보호입제를 회전력에 의해 비산시키며 살포하는 비산장치부(40);
    상기 이앙기에 하단부가 고정되고, 상부에서는 상기 입제 배출부(20)가 고정되어 이앙기의 자체진동이 호퍼부(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60);
    상기 모판대(110)의 왕복운동을 감지하여 비산장치부(40)를 작동시키는 감지부(70);로 이루어지며,
    상기 호퍼부(10)는 개폐가능한 커버(12)가 상단에 구비되고, 하단이 개구된 복수개의 하우징(11)과,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11) 사이에 접촉설치되어 진동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1) 내 작물보호입제가 뭉치지 않도록 하는 진동수단(14)과, 이앙기 탑승자가 탑승상태에서 상기 호퍼부(10)에 입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입제투입 보조기구(8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부착형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제 배출부(20)는
    내부가 비어있되, 상기 호퍼부(10)와 연통되도록 일단 외주연에 관통형성되는 상단 배출구(22)와, 타단 외주연 하단에 관통형성되는 하단 배출구(23)로 이루어지며, 상호간 수평배열되는 복수개의 외관(21);
    외관(21)의 일측 외부에 설치되며, 일단에 돌출형성된 구동장치축(31)을 외관(21)에 내설하여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0);
    상기 구동장치축(31)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작물보호입제가 스크류홈(33)을 따라 하단 배출구(23)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류부재(32);
    상기 구동장치(30)의 회전속도, 회전구동시간 및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작물보호입제의 살포량 및 서로 다른 종류의 작물보호입제 상호간의 혼합비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장치(34);
    상기 외관(21)의 각 하단 배출구(23)에 일단이 분기되어 연결됨으로써, 작물보호입제가 혼합되면서 비산장치부(40) 내로 낙하되도록 하는 연결관(35);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부착형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장치부(40)는
    상기 이앙기의 후방을 향해 전방이 개구되며, 내부에 작물보호입제가 낙하되는 낙하함(44);
    상기 낙하함(44)의 상면커버(41) 전방측이 상, 하로 높이조절되도록 하여, 상기 낙하함(44)의 일측 개구량을 조절하는 높이조절부(48);
    상기 작물보호입제가 상면으로 낙하되도록 낙하함(44)에 내설되되, 상부면에는 높이가 서로 다른 다수의 가이드편(49)과 보조 가이드편(49')을 교번으로 원주방향을 향해 돌출형성하며,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된 동력수단(51)에 의해 회전속도가 조절되며 회전되어, 작물보호입제가 회전력에 의해 비산되도록 하는 비산판(50);
    상기 비산판(50)을 중심에 두고 낙하함(44)의 내부에 '∩'자 형태로 내설되고 양단이 낙하함(44) 외부로 돌출되어, 비산되는 작물보호입제 중 낙하함(44) 내부로 비산되는 일부 작물보호입제를 낙하함(44)의 개구된 전방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원호(52);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부착형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60)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수평이동 결합공(61)을 천공형성하여, 상기 입제 배출부(20)의 후면이 다수 수평이동 결합공(61) 중 하나에 고정되며 좌, 우의 설치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수평지지대(62);
    상기 수평지지대(6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고정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수직이동 결합공(63)을 천공형성하여 상기 입제 배출부(20)의 후면이 다수 결합공 중 하나에 고정되어 상, 하의 설치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며, 하단부가 상기 이앙기의 이식부(120)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수직지지대(64);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부착형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70)는
    상기 모판대(110)의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설치판(71)과, 상기 이앙기의 후방측을 향해 설치판(71)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돌출형성되는 감지편(72)으로 이루어지는 접촉부(73);
    상기 지지부(60)에 설치되되, 상기 접촉부(73)를 향해 감지봉(74)을 돌출형성하는 리미트 스위치(75)와, 상기 감지봉(74)이 좌우 왕복운동하는 접촉부(73)의 감지편(72)과 접촉 후 이격되는 순간에 동력수단(51)을 회전시키도록 리미트 스위치(75)와 연결되는 제어장치(76)로 이루어져, 상기 동력수단(51)이 구동되기 위해 감지봉(74)이 접촉후 이격되어야 하는 감지편(72)의 개수를 상기 제어장치(76)를 통해 조절함으로써, 작물보호입제의 비산살포 시간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장치(77);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부착형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
  6. 삭제
KR1020100135559A 2010-12-27 2010-12-27 이앙기 부착형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 KR101253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559A KR101253609B1 (ko) 2010-12-27 2010-12-27 이앙기 부착형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559A KR101253609B1 (ko) 2010-12-27 2010-12-27 이앙기 부착형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716A KR20120073716A (ko) 2012-07-05
KR101253609B1 true KR101253609B1 (ko) 2013-04-11

Family

ID=46708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559A KR101253609B1 (ko) 2010-12-27 2010-12-27 이앙기 부착형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6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1704A (zh) * 2019-09-24 2019-12-03 杭州卫康有害生物防治有限公司 一种园林植物虫害防治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539B1 (ko) * 2017-05-10 2019-03-05 호산테크 주식회사 작동이 원활한 이앙기용 약제 살포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640Y1 (ko) * 1997-11-20 2000-01-15 대한민국 제초입제 살포장치
KR200214848Y1 (ko) * 2000-07-21 2001-02-15 중앙공업주식회사 입제 제초제 살포기용 스피너의 구조
KR100528148B1 (ko) * 1998-02-24 2005-11-15 야마토 노지 가부시키가이샤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640Y1 (ko) * 1997-11-20 2000-01-15 대한민국 제초입제 살포장치
KR100528148B1 (ko) * 1998-02-24 2005-11-15 야마토 노지 가부시키가이샤 이앙기 탑재형 농약 산포 장치
KR200214848Y1 (ko) * 2000-07-21 2001-02-15 중앙공업주식회사 입제 제초제 살포기용 스피너의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1704A (zh) * 2019-09-24 2019-12-03 杭州卫康有害生物防治有限公司 一种园林植物虫害防治装置
CN110521704B (zh) * 2019-09-24 2021-07-06 杭州卫康有害生物防治有限公司 一种园林植物虫害防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716A (ko)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45423A1 (en) Meter for dispensing a granular product
MXPA06013564A (es) Impulsion electronica de producto quimico con semilla.
KR20120076917A (ko) 동력수단이 구비된 소형 비료 살포기
KR101253609B1 (ko) 이앙기 부착형 다수종류의 입제 동시살포장치
CN108633433A (zh) 一种可播种施肥灌溉一体的智能农机设备
KR101004611B1 (ko) 트랙터 탑재형 더블호퍼 살포기
US20150129675A1 (en) Irrigation system and method
KR101376109B1 (ko) 모판 및 논바닥 동시 살포형 및 이앙기 부착형 비료·입제 살포기
CN211027503U (zh) 一种重金属污染土壤修复装置
KR101235209B1 (ko) 승용이앙기용 시비장치
JP3156410U (ja) 農薬散布用ホバークラフトに好適に搭載される散粒装置
KR20170078927A (ko) 입제비료와 액제농약을 동시에 살포할 수 있는 농업용 보트
CN103857276B (zh) 用于喷洒微粒的便携式系统
CN115443771B (zh) 一种温室大棚用播种设备的操作方法
JP5698013B2 (ja) 粉粒体散布装置
EP3544408B1 (en) Handheld apparatus for spreading material
JP3522354B2 (ja) 散粒器
KR100687218B1 (ko) 파종기용 입상물 산포장치
KR20140076236A (ko) 비료 살포기
US10687461B1 (en) Broadcast spreader assembly for granular material
CN213719571U (zh) 一种农作物病虫害防治用喷药装置
JP5735357B2 (ja) 粉粒体散布装置
CN216961246U (zh) 一种农药喷洒用的混合结构
US202201832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individual seeds with liquid crop inputs during the planting process
RU2148912C1 (ru) Аппарат ранцевый родентицидны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