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657A - 수신장치및송수신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신장치및송수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657A
KR19990072657A KR1019990005061A KR19990005061A KR19990072657A KR 19990072657 A KR19990072657 A KR 19990072657A KR 1019990005061 A KR1019990005061 A KR 1019990005061A KR 19990005061 A KR19990005061 A KR 19990005061A KR 19990072657 A KR19990072657 A KR 19990072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formation signal
envelope
detecting
frequenc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5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리사와다카시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19990072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65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04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2203/5425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improving S/N by matching impedance, noise reduction, gai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45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5Audio/video application, e.g. inter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62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91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using filtering and bypa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62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95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having measurements and testing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신 장치 및 송수신 시스템에 따르며, 소정의 변조에 의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다수의 정보 신호가 전력선을 통해 송신장치로부터 시계열적으로 전송된다. 소정의 정보 신호가 상기 전송된 복수의 정보 신호로부터 선택되고, 선택된 정보 신호의 전송 품질인 측정된다. 측정 결과 전송 품질이 낮은 경 경우에는 현재 수신되는 신호는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며 더좋은 전송 품질을 가지는 신호로 전환된다.

Description

수신 장치 및 송수신 시스템 {RECEIV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본 발명은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 장치, 비디오 장치 또는 컴퓨터 장치 등의 전자장치로부터 전력선(electric power line)을 통해 데이터를 서로 떨어진 가정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수신 장치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가정 내에 설치된 오디오 장치, 비디오 장치 또는 컴퓨터와 같은 전자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전력선(콘센트)을 통해 송·수신하는, 이른바 전력선 통신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즉, 이 전력선 통신시스템은 상용(商用) 전원을 전송하는 전력선을 전송로로서 사용하여 여러 가지의 정보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이 전력선 통신시스템에서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열(列)을 모뎀을 통해 변조하여 송신신호를 생성하고, 이 송신신호를 콘센트로부터 전력선을 통해 송출한다. 또, 전력선 통신시스템에 따르면 이와 같이 전력선으로 송출된 송신신호를 콘센트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열을 복조(複調)한다. 따라서, 전력선 통신시스템은 가정 내 등에 있는 기존의 전력선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의 정보신호를 간단히 전송할 수 있다.
그런데, 다양한 전기 기기들이 전력선을 통해 상호 연결되기 때문에, 이들 전기 기기로부터 여러 가지의 잡음이 발생하여, 결국, 전력선 통신시스템에서 심한 잡음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력선은 콘센트를 통해 여러 가지의 전기 기기가 접속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의 선재(線材)를 사용하여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형태로 배선되기 때문에, 특성 임피던스(impedance)를 특정하기 곤란하다. 이에 따라 전력선 통신시스템에서는, 임피던스 부정합(不整合)에 의한 전송 영점(零點) 및 비선형 위상 특성의 발생을 피할 수 없다. 이로써, 종래 전력선 통신시스템에 있어서는 수신 장치를 어떠한 장소에서 전력선에 접속하는가에 따라 콘센트를 통해 입력되는 송신신호의 신호레벨 등이 현저하게 저하하고, 또 이 송신신호의 신호레벨이 맥동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 전력선 통신시스템에 있어서는 정보신호를 안정되고 확실하게 전송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정보신호를 안정되고 확실하게 전송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결국 정보신호를 낮은 전송 속도로 전송해야만 하며, 또한 데이터의 전송은 반복해야 하는 경우가 있어,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안정 또한 확실하게 정보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수신 장치 및 송수신 시스템의 개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전력선 통신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과의 대비에 의해 송신장치를 상세히 나타낸 전력선 통신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전력선 통신시스템 동작의 설명에 이용하는 신호 파형도.
도 4는 도 1의 수신 장치의 채널 전환부를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력선 통신시스템, 2: 전력선, 3: 송신장치, 4: 수신 장치, 6A, 6B: 변조회로, 12: 동조회로, 14, 17: 트랜지스터, 16: 국부(局部)발진회로, 23, 30, 37: 비교회로, 24: 채널 전환부, 28: 엔벨롭(envelope) 검파회로, 36: 교류분(交流分) 피크 검출회로.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력선 통신시스템에 적용하여, 송신장치로부터 정보신호를 각각 변조하여 이루어지는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복수의 송신신호를 전력선에 송출한다. 또,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전력선을 통해 전송되는 복수의 송신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이 때 수신하는 송신신호의 품질을 판정하여 수신하는 송신신호를 전환 제어한다.
또, 전력선을 통해 원하는 정보신호를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전력선 통신장치에 적용하여, 정보신호를 각각 변조하여 이루어지는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복수의 송신신호를 전력선으로 송출한다.
또, 전력선을 통해 전송된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전력선 통신장치에 적용하여, 전력선을 통해 전송되는 복수의 송신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이 때 수신하는 송신신호의 품질을 판정하여 수신하는 송신신호를 전환 제어한다.
송신장치로부터 송출된 정보신호를 각각 변조하여 이루어지는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복수의 송신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이 때 수신하는 송신신호의 품질을 판정하여 수신하는 송신신호를 전환 제어하면, 어느 하나의 송신신호에서, 전송 영점, 비직선 위상 특성 등에 의해 현저하게 신호레벨, SN비(比)가 열화되고 있는 경우라도, 다른 송신신호를 선택하여 신호레벨, SN비의 열화가 적은 송신신호에 의해 정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 전력선을 통해 원하는 정보신호를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전력선 통신장치에 적용하여, 정보신호를 각각 변조하여 이루어지는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복수의 송신신호를 전력선으로 송출하면, 수신 장치측에서, 전송 품질이 양호한 송신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안정 또한 확실하게 정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 전력선을 통해 전송된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전력선 통신장치에 적용하여, 전력선을 통해 전송되는 복수의 송신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이 때 수신하는 송신신호의 품질을 판정하여, 수신하는 송신신호를 전환 제어하면, 현재 수신 중인 송신신호에서, 신호레벨, SN비가 열화되고 있는 경우라도, 다른 송신신호를 선택하여, 안정 또한 확실하게 정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력선 통신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 전력선 통신시스템(1)은 전력선(2)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송신 장치(3) 및 수신 장치(4)로 이루어진다. 이 전력선 통신 시스템은 퍼스널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의 정보신호 S1의 전송에 적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송신장치(3)는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부터 시리얼 데이터인 정보신호 S1을 수신하여, 로우 패스 필터(LPF)(5)를 통해 이 정보신호 S1의 대역(帶域)을 제한한다. 변조회로(6A 및 6B)는 상이한 반송파 주파수에 의해 로우 패스 필터(5)의 출력신호를 주파수 변조하여, 이 주파수 대역이 상이하게 변조된 송신신호 S1A 및 S1B를 생성한다.
증폭회로(7)는 이 2개의 송신신호 S1A 및 S1B를 가산하고, 소정 이득으로 증폭한 후, 절연 트랜스포머포머(8)를 통해 이 증폭된 신호를 플러그(9)로 출력한다. 플러그(9)는 유저가 원하는 콘센트에 꽂혀져 전력선(2)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송신장치(3)는 정보신호 S1을 각각 주파수 변조하여 이루어지는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복수의 송신신호 S1A, S1B를 생성하고, 이들 복수의 송신신호 S1A, S1B를 전력선(2)으로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 장치(4)는 플러그를 원하는 플러그(10)에 삽입함으로써 전력선(2)에 연결된다.
절연 트랜스포머(11)는 플러그(10)를 통해 전력선(2)에 접속되고, 공진 콘덴서(13A)는 2차 권선(卷線)에 병렬로 접속된다. 따라서, 절연 트랜스포머(11)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절연된 채, 전력선(2)을 통해 전송된 송신신호 S1A 및 S1B를 입력한다. 또, 절연 트랜스포머(11)는 2차 권선과 공진 콘덴서(13A)에 의해 동조회로(12)를 구성하므로, 어느 하나의 송신신호 S1A 또는 S1B를 선택적으로 입력한다.
또한, 절연 트랜스포머(11)에서는 공진 콘덴서(13B)의 일단이 2차 권선의 핫 측단에 접속되고, 이 공진 콘덴서(13B)의 타단이 채널전환신호 SC1에 의해 온오프(on-off) 동작을 전환하는 트랜지스터(14)를 통해 접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절연 트랜스포머(11)는 트랜지스터(14)가 온 상태로 전환되어, 공진 콘덴서(13B)의 타단이 접지되면 그만큼 동조 주파수가 저하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절연 트랜스포머(11)는 공진 콘덴서(13A, 13B), 트랜지스터(14)와 함께, 채널전환신호 SC1에 따라 동조 주파수를 전환하는 동조회로(12)를 구성하여, 송신신호 S1A 또는 S1B를 선택적으로 입력하도록 한다.
믹서(15)는 국부발진회로(16)로부터 출력되는 국부발진신호에 의해, 동조회로(12)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주파수 변조하여 중간주파신호를 생성한다. 국부발진회로(16)는 발진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콘덴서(18)가 채널전환신호 SC1에 의해 온오프 동작을 전환하는 트랜지스터(17)를 통해 접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믹서(15)는 채널전환신호 SC1에 따라 동조회로(12)로부터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송신신호 S1A 또는 S1B를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중간 주파 트랜스포머(19)는 믹서(15)의 출력신호로부터 중간주파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증폭회로(20)는 중간주파 트랜스포머(19)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 SC를 소정 이득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복조회로(21)는 중간주파신호 SC를 주파수 복조하고, 로우 패스 필터(22)는 이 복조회로(21)의 출력신호를 대역 제한한다.
도 3 (A)는 송신 장치(3)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신호를 나타낸다. 송신 장치(3)로부터 수신 장치(4)로 송출되는 정보신호 S1은 대역 제한되면, 반면에 전력선(2)의 전송로의 특성에 의해 여러 가지로 위상 특성, 진폭 특성이 변화하여 이루어지는 재생신호 S2(도 3 (B))는 비교회로(23)에 입력되어 2치(値)화된 정보신호 가 재생된다. 수신 장치(4)는 이 재생된 정보신호로부터 클록을 재생하여 정보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원래의 시리얼 데이터 열을 재생하도록 한다.
채널 전화부(24)는 증폭회로(20)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 SC를 수신하여, 이 중간주파신호 SC에 응답하여 현재 수신 중인 신호의 전송 품질을 판정한 후, 전송 품질이 저하하면 수신 중인 송신신호를 전환한다.
도 4는 채널 전환부(24)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채널 전환부(24)에서는 중간주파신호 SC는 다이오드(25)에 의해 정류(整流)된 후, 저항(26), 콘덴서(27)로 이루어지는 로우 패스 필터로 입력한다. 따라서, 채널 전환부(24)는 다이오드(25), 저항(26), 콘덴서(27)의 결합에 의해, 엔벨롭(envelope) 검파회로를 구성하여, 중간주파신호 SC의 엔벨롭 검파신호 SS를 생성한다(도 3 (D)),
로우 패스 필터(29)는 엔벨롭 검파신호 SS를 대역 제한함으로써, 엔벨롭 검파신호 SS를 평균치화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채널 전환부(24)는 현재 수신 중인 송신신호의 평균 신호레벨에 따라 신호레벨이 변화하는 신호레벨 검출신호 SE(도 3 (E))를 검출한다.
비교회로(30)는 소정의 기준전압 VA와 신호레벨 검출신호 SE를 비교하여, 현재 수신 중인 송신신호의 평균 신호레벨이 이 기준전압 VA에 대응하는 신호레벨보다 하강하면, 출력신호 SL의 신호레벨을 상승시킨다. 따라서, 수신 장치(4)에 입력되는 송신신호의 평균 신호레벨은, 전송거리뿐만 아니라, 전송 영점, 비선형 위상 특성에 의해 변하여, 일정한 신호레벨보다 저하하면 그만큼 S/N비(신호 대 잡음비)가 열화하게 된다. 특히, 주파수 변조에 의한 정보신호의 전송에 있어서는, 개선 한계점을 경계로 한 S/N비의 열화에 의해 복조 결과인 C/N비(반송자 대 잡음비)가 현저하게 변화한다. 이로써, 비교회로(30)는 평균 신호레벨을 기준으로 하여 현재 수신 중인 송신신호에 대한 전송 품질을 판정한다.
콘덴서(32)는 엔벨롭 검파신호 SS에 포함되는 직류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하고, 다이오드(33)는 이 콘덴서(32)의 출력신호를 정류하여, 저항(34) 및 콘덴서(35)로 이루어지는 병렬회로로 출력한다. 따라서, 콘덴서(32, 35), 저항(34)
, 다이오드(33)는 교류분 피크 검출회로(36)를 구성하고, 엔벨롭 검파신호 SS에 포함되는 교류성분을 추출하여 피크를 검출한다. 이로써 교류분 피크 검출회로(36)는 엔벨롭 검파신호 SS의 진폭 변화(도 3 (F))에 따라 신호레벨이 변화하는 맥동성분 검출신호 SM을 검출하고, 현재 수신 중인 송신신호에 대하여, 신호레벨의 맥동을 검출한다.
비교회로(37)는 소정의 기준전압 VB와 맥동성분 검출신호 SM을 비교하여, 현재 수신 중인 송신신호의 맥동이 이 기준전압 VB에 대응하는 신호레벨보다 커지면, 출력신호 SP의 신호레벨을 상승시킨다. 따라서, 주파수 변조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이상적으로는 신호레벨이 맥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실제 전력선을 통한 전송에 있어서는, 전력선에 접속된 다른 기기로부터의 반사 등에 의해 위상 특성이 여러 가지로 변하고, 이에 따라 신호레벨의 맥동이 검출된다. 이와 같이 신호레벨의 맥동이 큰 경우에는, 신호의 전송 품질이 뒤떨어진다고 판단된다. 이로써 비교회로(37)는 송신신호의 맥동을 기준으로 하여 현재 수신 중인 송신신호에 대하여 전송 품질을 판정한다.
OR회로(39)는 비교회로(30)의 출력신호 SL과, 비교회로(37)의 출력신호 SP와의 논리합신호 SF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트리거 플립플롭(TFF)(40)은 논리합신호 SF의 상승에 따라, 채널전환신호 SC1의 논리레벨을 반전하여 출력한다. 이로써 OR회로(39) 및 트리거 플립플롭(40)은 현재 수신 중인 신호의 전송 품질이 소정 레벨 이하로 저하된 경우, 채널전환신호 SC1의 논리레벨을 반전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전환한다.
이상의 구성에서, 전자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시리얼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정보신호 S1은 송신장치(3)의 로우 패스 필터(LPF)(5)에 의해 대역 제한된 후, 변조회로(6A 및 6B)에서 상이한 반송파 주파수에 의해 주파수 변조되어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송신신호 S1A 및 S1B로 각각 변환된다.
이 송신신호 S1A 및 S1B는 증폭회로(7)에서 증폭된 후, 플러그(9)를 통해 전력선(2)으로 송출된다, 따라서, 이들 송신신호 S1A 및 S1B는 전력선(2)의 특성 임피던스에 의해, 주기적으로 전송 영점, 비선형 위상 특성이 발생하지만, 주파수 대역이 상이함에 따라, 전송 영점의 발생 위치가 각각 상이하게 된다. 또, 각 전송 영점 간에 있어서의 비선형 위상 특성도 상이하게 된다.
이로써, 수신 장치(4)의 설치 위치에 따라 한쪽의 송신신호 S1A 또는 S1B의 전송 품질이 떨어지는 경우라도, 다른쪽의 송신신호 S1B 또는 S1A는, 양호한 전송 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나타낸 전력선(2)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 S1A 및 S1B는 절연 트랜스포머(11), 공진 콘덴서(13A, 13B)로 구성된 동조회로(12)에 의해, 어느 한쪽의 신호가 선택되고, 이 선택된 신호는 다음 단에서 믹서(15)에 의해 중간주파신호로 변환된다. 또한, 이 중간주파신호의 선택도가 중간주파 트랜스포머(19)에 의해 증대된 후, 복조회로(21)에서 복조된다. 또한, 이 복조회로(21)의 출력신호는 로우 패스 필터(22)에 의해 대역 제한된 후, 비교회로(23)에 의해 2치(値) 식별되어 정보신호 S2가 재생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재생되는 정보신호 S2는 채널 전환부(24)에서, 엔벨롭 검파회로(28)에 의해 엔벨롭 검파되어 엔벨롭 검파신호 SS가 검출된다. 이 엔벨롭 검파신호 SS는 로우 패스 필터(29)에 의해 평균치화된다. 이로써, 정보신호 S2의 평균 신호 레벨은 현재 수신 중인 송신신호에 대하여 검출된다. 또한, 정보신호 S2는 현재 수신 중인 송신신호의 전송 품질이 저하하여 평균 신호레벨이 소정의 신호레벨보다 저하되고 있으면, 로우 패스 필터(2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레벨 검출신호 SE와 기준전압 VA와의 비교 결과 SL을 기초로 하여, 이 전송 품질의 저하가 검출된다. 뒤이어, OR회로(39), 트리거 플립플롭(40)을 통해 동조회로(12)의 동조 주파수, 국부발진회로(16)의 발진 주파수가 전환되어, 현재 수신 중인 송신신호에 비해 전송 품질이 높은 다른쪽의 송신신호가 수신된다. 이로써, 수신 장치(4)는 현재 수신 중인 송신신호에 비해 높은 전송 품질을 가지는 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정보신호 S2를 수신할 수 있다.
또, 정보신호 S1의 교류분 피크 검출회로(36)로부터 얻어지는 엔벨롭 검파신호 SS의 맥동성분에 의해, 현재 수신 중인 송신신호의 진폭 변동이 검출되고, 교류분 피크 검출회로(36)로 검출된 맥동성분 검출신호 SM과 소정의 기준전압 VB와의 비교 결과에 의해 신호레벨의 맥동을 기준으로 한 전송 품질의 열화가 검출된다. 이로써, 송신신호의 맥동을 기준으로 한 전송 품질의 열화에 따라서도, 동조회로(12)의 동조 주파수, 국부발진회로(16)의 발진 주파수가 전환되어, 현재 수신 중인 송신신호에 비해 전송 품질이 높은 다른쪽의 송신신호가 수신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송신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의해 각각 정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또 수신 장치에 있어서는, 중간주파신호의 신호레벨에 따라, 현재 수신 중인 송신신호의 평균 신호레벨, 맥동을 검출하고, 이들 평균 신호레벨, 맥동에 의해 전송 품질의 열화가 검출되면, 수신하는 송신신호를 전환함으로써, 전송 품질이 양호한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정보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이로써 전력선을 통해 안정 또한 확실하게 정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전송속도로 정보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또 데이터 재송의 반복을 감소시켜 정보신호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파수 변조에 의해 정보신호를 변조하여 송신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진폭 변조, 위상 변조, 스펙트럼 확산 변조에 의해 정보신호를 변조하여 송신신호를 생성해도 된다. 또, 진폭 변조, 스펙트럼 확산 변조에 의해 송신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송신신호의 맥동에 의한 전송 품질의 판정을 생략하게 된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각 반송파 주파수가 상이한 변조회로(6A 및 6B)에 의해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송신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변조회로에 의해 생성된 송신신호를 주파수 변환하여,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송신신호를 생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보신호를 2개의 주파수 대역에 의해 각각 전송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3 이상인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의해 전송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또한 잡음 방해 등의 영향을 저감하여 여러 가지의 정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신한 송신신호를 중간주파신호로 변환하여 정보신호를 복조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수신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1대의 송신장치 및 수신 장치에 의해 전력선 통신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송신장치, 수신 장치를 각각 복수대 배치하는 경우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송에 이용하는 정보신호를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복수 계통에 의해 송출함으로써, 또 수신측에 있어서는 전송 품질이 양호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이와 같이 하여 전송된 정보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전력선을 통해 안정되고 또한 확실하게 정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Claims (14)

  1. 송신 장치로부터 전력선을 통해 전송되며, 소정의 변조를 통해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다수의 정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을 통해 송신되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다수의 정보 신호 중에서 소정 주파수 대역의 정보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신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정보 신호의 전송 품질을 판단하기 위한 전송 품질 판정 수단과;
    상기 전송 품질 판정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 신호를 전환 제어하는 전환 제어 수단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품질 판정수단은,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수신된 정보 신호의 엔벨롭을 검출하기 위한 엔벨롭 검출수단과,
    상기 엔벨롭 검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엔벨롭 신호의 평균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평균 레벨 검출수단과,
    상기 평균 레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평균 레벨을 기준 레벨과 비교하기 위한 비교 수단과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 신호는 상기 비교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비교결과에 따라 전환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상기 수신된 정보 신호는 위상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상기 수신된 정보 신호는 진폭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상기 수신된 정보 신호는 대역 확산 방식에 의해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품질 판정수단은,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수신된 정보 신호의 엔벨롭을 검출하기 위한 엔벨롭 검출수단과,
    상기 엔벨롭 검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엔벨롭 신호의 평균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평균 레벨 검출수단과,
    상기 평균 레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평균 레벨을 기준 레벨과 비교하기 위한 제1 비교수단과,
    상기 엔벨롭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 신호로부터 직류(DC)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직류성분 제거수단과,
    상기 직류성분 제거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교류(AC)성분의 피크치를 검출하기 위한 교류 피크치 검출수단과,
    상기 교류피크치 검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피크값을 기준 값과 비교하기 위한 제1 비교수단과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정보신호는 상기 제1 및 제2 비교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비교결과에 따라 전환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상기 수신된 정보 신호는 주파수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8.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는 소정의 변조를 통해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다수의 정보 신호를 전력선을 통해 송신하기 위한 송신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전력선을 통해 송신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다수의 정보 신호 중에서 소정 주파수 대역의 정보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신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정보 신호의 전송 품질을 판단하기 위한 전송 품질 판정 수단과;
    상기 전송 품질 판정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 신호를 전환 제어하는 전환 제어 수단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품질 판정수단은,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수신된 정보 신호의 엔벨롭을 검출하기 위한 엔벨롭 검출수단과,
    상기 엔벨롭 검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엔벨롭 신호의 평균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평균 레벨 검출수단과,
    상기 평균 레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평균 레벨을 기준 레벨과 비교하기 위한 비교 수단과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 신호는 상기 비교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비교결과에 따라 전환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상기 수신된 정보 신호는 위상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상기 수신된 정보 신호는 진폭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상기 수신된 정보 신호는 대역 확산 방식에 의해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품질 판정수단은,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수신된 정보 신호의 엔벨롭을 검출하기 위한 엔벨롭 검출수단과,
    상기 엔벨롭 검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엔벨롭 신호의 평균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평균 레벨 검출수단과,
    상기 평균 레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평균 레벨을 기준 레벨과 비교하기 위한 제1 비교수단과,
    상기 엔벨롭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 신호로부터 직류(DC)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직류성분 제거수단과,
    상기 직류성분 제거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교류(AC)성분의 피크치를 검출하기 위한 교류 피크치 검출수단과,
    상기 교류피크치 검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피크값을 기준 값과 비교하기 위한 제1 비교수단과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정보신호는 상기 제1 및 제2 비교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비교결과에 따라 전환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상기 수신된 정보 신호는 주파수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KR1019990005061A 1998-02-13 1999-02-12 수신장치및송수신시스템 KR199900726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1456 1998-02-13
JP10031456A JPH11234180A (ja) 1998-02-13 1998-02-13 電灯線通信システム及び電灯線通信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657A true KR19990072657A (ko) 1999-09-27

Family

ID=12331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5061A KR19990072657A (ko) 1998-02-13 1999-02-12 수신장치및송수신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32268B1 (ko)
JP (1) JPH11234180A (ko)
KR (1) KR19990072657A (ko)
CN (1) CN12354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814B1 (ko) * 2000-04-25 2002-04-19 구자홍 전력선 전송 장치의 최적 통신 방법
KR100842648B1 (ko) * 2006-01-19 2008-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77650B1 (ko) * 2013-01-09 2013-06-21 이상철 전력선 통신에서 상용전원의 진폭변화를 이용한 디밍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54744A1 (en) * 2000-12-29 2002-07-11 Nokia Corporation Audio signal quality enhancement in a digital network
US7110421B2 (en) * 2001-11-28 2006-09-19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ver multiple channels
US20030122552A1 (en) * 2001-12-28 2003-07-03 Litwin Louis Robert Signal quality indicator on a powerline-modem
JP4054716B2 (ja) * 2003-05-16 2008-03-0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可変ゲインアンプ及びam変調信号受信回路及び検波回路
JP4733342B2 (ja) * 2003-09-30 2011-07-27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負荷制御システム
JP2006262434A (ja) * 2005-02-17 2006-09-28 Mitsubishi Electric Corp 配電線搬送伝送装置
US8665967B2 (en) * 2006-02-15 2014-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bit reorganization and packetization of uncompressed video for transmission over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s
WO2007111441A1 (en) * 2006-03-24 2007-10-04 Remo Tek. Co., Ltd. Circuit for transmitting/receiving video signal using power line
KR100850042B1 (ko) * 2006-03-24 2008-08-04 주식회사 리모텍 전력선을 이용한 영상신호의 송,수신회로
US20070230461A1 (en) * 2006-03-29 2007-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video data packetization for transmission over wireless channels
US8175041B2 (en) * 2006-12-14 2012-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audiovisual data having data size adaptation
US8209677B2 (en) 2007-05-21 2012-06-26 Sony Corporation Broadcast download system via broadband power line communication
US8176524B2 (en) * 2008-04-22 2012-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video data having partial data compression
US8064847B2 (en) * 2009-04-20 2011-11-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solation and power handling in a radio frequency switch
US9334063B2 (en) * 2012-09-10 2016-05-10 Rosemount Aerospace, Inc. Aircraft avionics tablet interface module
CN103763822B (zh) * 2014-01-07 2017-03-22 重庆恒又源科技发展有限公司 控制信息传输系统,控制信息发送、接收方法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42208A5 (fr) * 1981-03-16 1984-03-30 Sss 3 Sa Geneve Installation de signalisation electrique comprenant au moins un emetteur et un recepteur.
US5351272A (en) * 1992-05-18 1994-09-27 Abraham Karoly C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ple modulated signals over electrical lines
US5355114A (en) * 1991-05-10 1994-10-11 Echelon Corporation Reconstruction of signals using redundant channel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814B1 (ko) * 2000-04-25 2002-04-19 구자홍 전력선 전송 장치의 최적 통신 방법
KR100842648B1 (ko) * 2006-01-19 2008-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77650B1 (ko) * 2013-01-09 2013-06-21 이상철 전력선 통신에서 상용전원의 진폭변화를 이용한 디밍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4109584A1 (ko) * 2013-01-09 2014-07-17 Lee Sang-Cheol 전력선 통신에서 상용전원의 진폭변화를 이용한 디밍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5434A (zh) 1999-11-17
JPH11234180A (ja) 1999-08-27
US6532268B1 (en) 200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2657A (ko) 수신장치및송수신시스템
US6985715B2 (en) Method and device for frequency translation in powerline communications
TWI597957B (zh) 使用對數檢波器放大器(lda)解調器之低功耗雜訊不敏感通訊頻道系統及相關方法
KR100395745B1 (ko) 전력선 통신시스템의 다중 채널 주파수 시프트 키잉변복조장치
JP2008148293A (ja) 送信回路及びシステム
US810275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JPS61101127A (ja) 電力線搬送波通信用遠隔通信装置
US8265480B2 (en) Light mark, method and device for light mark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S6329905B1 (en)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05022017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requency shift keyed modulation for broadband ultra wideband communication
US6643470B1 (en) FM signal converter, FM signal optical transmitter and FM signal optical receiver
JP2004519177A (ja) デジタル伝送用送信器における帯域外放射を低減させるための方法
KR101525968B1 (ko) 컴먼 웨이브와 측파대 경감 통신 시스템 및 통신속도, 스펙트럼 효율, 다른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
Surendran et al. An analog spread-spectrum interface for power-line data communication in home networking
US20030137405A1 (en) Communication scheme suppressing leakage electromagnetic fields
JP4595658B2 (ja) 通信装置と通信方法および電力線搬送通信システム
JP4563232B2 (ja) 線路状態検出装置、通信装置、平衡伝送システム、及び線路状態検出方法
JP4543817B2 (ja) 電力線搬送通信装置
dos Santos et al. Simple and Low-Cost PLC Modem for IoT Applications
JP2007020113A (ja) 電力線通信装置
US64561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ower line null detection and automatic frequency and gain control
US6668032B1 (en) Device and method for signal sampling at multiple clock rates
JP2001274853A (ja) 電源線データ伝送方式及びその伝送装置並びにその配電盤装置
JP2006115165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08535295A (ja) クロック制御されるシステムの高周波放射を減衰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