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8723A - 데이터통신기능을갖는파워어댑터 - Google Patents

데이터통신기능을갖는파워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8723A
KR19990068723A KR1019990022180A KR19990022180A KR19990068723A KR 19990068723 A KR19990068723 A KR 19990068723A KR 1019990022180 A KR1019990022180 A KR 1019990022180A KR 19990022180 A KR19990022180 A KR 19990022180A KR 19990068723 A KR19990068723 A KR 19990068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charging
power
u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민
Original Assignee
이성민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민,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성민
Priority to KR1019990022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8723A/ko
Publication of KR19990068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72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1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갖는 파워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통신기능을 갖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영상, 음성, 문자 데이터를 인가받아 데이터 처리한 후 충전대상 기기의 입출력 포트로 전송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소정 전원을 인가받아 충전대상 기기에 적합한 DC전원으로 전환시켜주는 DC/DC 컨버터부와, 충전대상 기기의 충전상태를 측정하는 파워 미터부와, 상기 파워 미터부로부터 측정된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A/D 컨버터부와, 상기 A/D 컨버터부로부터 변환된 측정 디지털 신호를 인가받아 충전대상 기기의 충전완료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의 데이터 처리를 제어하는 데이터 콘트롤러부와, 상기 데이터 콘트롤러부를 구동 및 운용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데이터 콘트롤러부의 제어를 받아 발광 또는 소광되는 충전상태표시 LED부를 구비함으로써 휴대폰, MP3 플레이어 기기 등의 전원 충전시 전원 충전 뿐만아니라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기기와 데이터 통신도 할 수 있어 각종 기기의 전원 충전시에도 계속해서 영상, 음성, 문자 데이터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고 또 사용자가 언제든지 이를 손쉽게 확인해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갖는 파워 어댑터{Power adaptor having data communcation function}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갖는 파워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 디지털 스틸 카메라, MP3 플레이어 등 기기의 전원 충전시 전원 충전 뿐만아니라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기기와 영상, 음성, 문자 데이터 전송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최근들어 많이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 디지털 스틸 카메라, MP3 플레이어 등의 기기들의 전원을 충전하기 위하여 파워 어댑터가 이용되고 있는 바, 일반적인 파워 어댑터의 구성을 나타내면 도 1과 같다.
즉, 종래의 파워 어댑터(1)는 AC 전원(110V 또는 220V)이 공급되면 AC전원을 DC전원으로 정류하는 전원 정류회로(2)와, 상기 전원 정류회로(2)에서 정류된 DC 전원을 인가받아 충전대상 기기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시킨 후 공급하는 DC/DC 변환기(3)와, 충전대상 기기의 전원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는 충전확인 파워 미터(4)와, 상기 충전확인 파워 미터(4)로부터 현재 상태가 충전완료 또는 충전진행중 임을 알리는 소정 신호를 인가받아 충전완료 LED(6) 또는 충전진행 LED(7)의 발광을 제어하는 차징 인디케이터(Charging Indicator)(5)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파워 어댑터(1)를 이용하여 휴대폰, 디지털 스틸 카메라, MP3 플레이어 등의 기기를 충전시킬 때 상기 충전완료 LED(6) 또는 충전진행 LED(7)의 발광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충전대상 기기의 전원이 완전히 충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워 어댑터는 그 고유의 기능인 전원 충전 기능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요즘과 같이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인터넷 통신이 널리 보급된 상황에서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의 기기에 전원 충전 중에도 계속해서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어댑터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폰, MP3 플레이어 기기 등의 전원 충전시 전원 충전 뿐만아니라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기기와 데이터 통신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기의 전원 충전시에도 계속해서 영상, 음성 및 문자 데이터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고 또 사용자가 언제든지 이를 확인해볼 수 있도록 한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갖는 파워 어댑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사상은 통신기능을 갖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영상, 음성, 문자 데이터를 인가받아 데이터 처리한 후 충전대상 기기의 입출력 포트로 전송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소정 전원을 인가받아 충전대상 기기에 적합한 DC전원으로 전환시켜주는 DC/DC 컨버터부와, 충전대상 기기의 충전상태를 측정하는 파워 미터부와, 상기 파워 미터부로부터 측정된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A/D 컨버터부와, 상기 A/D 컨버터부로부터 변환된 측정 디지털 신호를 인가받아 충전대상 기기의 충전완료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의 데이터 처리를 제어하는 데이터 콘트롤러부와, 상기 데이터 콘트롤러부를 구동 및 운용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데이터 콘트롤러부의 제어를 받아 발광 또는 소광되는 충전상태표시 LED부를 포함하는 발명이 제시된다.
도 1은 종래의 파워 어댑터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갖는 파워 어댑터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인터페이스부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설명>
10 : 퍼스널 컴퓨터 11 : 데이터 인터페이스부
12 : DC/DC 컨버터부 13 : 파워 미터부
14 : A/D 컨버터부 15 : 데이터 콘트롤러부
16 : 메모리부 17 : 충전상태표시 LED부
18 : USB 송수신부
19 : SIE(Serial Interface Engine)부
20 :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 21 : LCD 디스플레이부
22 : 충전진행 LED 23 : 충전완료 L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통신기능을 갖는 퍼스널 컴퓨터(10)로부터 영상, 음성 또는 문자 데이터를 인가받아 데이터 처리한 후 충전대상 기기의 입출력 포트로 전송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11)와, 상기 퍼스널 컴퓨터(10)로부터 소정 전원을 인가받아 충전대상 기기에 적합한 DC전원으로 전환시켜주는 DC/DC컨버터부(12)와, 충전대상 기기의 충전상태를 측정하는 파워 미터부(13)와, 상기 파워 미터부(13)로부터 측정된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A/D 컨버터부(14)와, 상기 A/D 컨버터부(14)로부터 변환된 측정 디지털 신호를 인가받아 충전대상 기기의 충전완료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11)의 데이터 처리를 제어하는 데이터 콘트롤러부(15)와, 상기 데이터 콘트롤러부(15)를 구동 및 운용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있는 메모리부(16)와, 상기 데이터 콘트롤러부(15)의 제어를 받아 발광 또는 소광되는 충전상태표시 LED부(17)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메모리부(16)로는 프로그램이 가능한 PROM(Programmable ROM)의 일종인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가 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11)는 USB 인터페이싱 방식의 경우, 퍼스널 컴퓨터(10)와 USB 데이터를 서로 주고받는 USB 송수신부(18)와, 상기 USB 송수신부(18)로부터 USB 데이터를 인가받아 해당 프로토콜을 인식한 후 USB 데이터 전송형태로 전환해주는 SIE부(19)와, 상기 SIE부(19)로부터 처리된 USB 데이터를 입력받아 각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에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콘트롤러부(15)의 제어를 받아 충전대상 기기의 현재 충전상태를 "충전중" 또는 "충전완료"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해주고 현재 퍼스널 컴퓨터에서 충전대상 기기로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전송중인 데이터의 종류 및 내용을 디스플레이시켜주는 LCD 디스플레이부(21)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주로 퍼스널 컴퓨터로 인터넷 통신을 할 때 사용자가 인터넷상의 소정 서버로부터 원하는 영상, 음성 또는 문자 데이터 등을 휴대폰, MP3 플레이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의 기기 전원 충전 중에도 계속해서 전송받고자 하는 경우, 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측으로 보내거나, 마이크로폰으로 녹음한 음성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로 보내려는 경우에 응용된다.
즉, 상기 휴대폰, MP3 플레이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의 전원을 충전시킬 경우에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처리과정을 갖는다.
퍼스널 컴퓨터(10)로부터 소정의 영상, 음성 또는 문자 데이터 정보를 상기 휴대폰, MP3 플레이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의 기기로 전송하는 경우에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USB 또는 IEEE1394 등의 데이터 송수신 규약에 맞추어 상호 데이터 전송을 하게 된다.
참고적으로, 상기 USB 란 'Universal Serial Bus'의 약자로 사용하기 편리하고 확장이 용이하며 데이터 전송 속도면에서도 많이 향상된 호스트와 클라이언트간의 통신방식이다. 현재, 마우스, 스캐너, 조이스틱, 디지털 카메라 등 많은 PC 주변장치들이 이 포트를 사용하게끔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는 주로 퍼스널 컴퓨터의 일반 I/O 인터페이스로 정착되어지고 있는 상기 USB 포트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겠다.
사용자가 퍼스널 컴퓨터(10)와 본 발명에 의한 어댑터(30)를 USB 케이블 등을 통해 연결시킨 후 충전시키려는 휴대폰, MP3 플레이어 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의 충전대상 기기를 상기 어댑터(30)에 장착시키면 된다.
일단, 충전대상 기기가 어댑터(30)에 장착되면 상기 퍼스널 컴퓨터(10)로부터 상기 USB 케이블을 통해 전원 및 데이터 신호가 전송된다.
예컨데, 상기 퍼스널 컴퓨터(10)로부터 출력되는 I/O 포트중 USB 통신포트는 5V 전원, 접지(GND), 2개의 데이터 라인(D+, D-)의 총 4단으로 되어 있는데 이 중, 전원단을 통해 출력되는 5V는 상기 DC/DC 컨버터부(12)로 전송되어 충전대상 기기에 적합한 DC전압으로 전환된 후 해당 충전대상 기기에 공급되고, 상기 2개의데이터 라인(D+, D-)단을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는 데이터 인퍼페이스부(11)로 전송된다. 물론 상기 퍼스널 컴퓨터(10)의 입출력 포트측에 구비되어 데이터 및 전원이 입출력되는 USB 통신포트(도시되지 않음)와 USB 디바이스인 어댑터(30)는 USB 케이블 등으로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어댑터(30)는 충전시에도 쌍방향으로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게 되는데 우선, 충전 과정부터 살펴보면 아래과 같다.
여기서, 충전 전원은 상기 퍼스널 컴퓨터(10)로부터 공급되는 5V 전원을 이용하게 되는데 상기 5V 전원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단, DC/DC 컨버터부(12)에 공급되어 소정 DC전압으로 전환된 뒤 해당 충전대상 기기로 공급되게 된다.
충전이 계속되는 동안 파워 미터부(13)는 현재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충전된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아날로그 측정신호를 A/D컨버터부(14)로 보내게 되는데, 이때 측정신호를 인가받은 A/D 컨버터부(14)는 아날로그 측정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 후 다시 데이터 콘트롤러부(15)로 보내게 된다.
상기 A/D 컨버터부(14)로부터 디지털화된 측정 데이터 신호를 인가받은 데이터 콘트롤러부(15)는 충전대상 기기의 현재 충전상태를 확인한 후 충전 진행 중이라고 판단되면 충전 진행중을 알리는 색상을 갖는 충전진행 LED(22)를 계속해서 발광시키고, 현재 충전완료가 되었다고 판단되면 충전완료를 알리는 색상을 갖는 충전완료 LED(23)를 발광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콘트롤러부(15)는 상기 파워 미터부(13)의 측정에 의해 충전대상 기기의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확인되면 상기 DC/DC 컨버터부(12)를 제어하여 충전대상 기기에 공급되던 DC전원을 차단시키게 된다.
한편, 퍼스널 컴퓨터(30)에서 본 발명에 의한 어댑터(30)로 영상, 음성 또는 문자 데이터 정보가 전송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 경우는 주로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의 기기 충전시에 인터넷 통신을 통해 소정 서버로부터 문자 메시지 정보 또는 음악 정보 등을 전송받고자 하는 경우인데, 우선 소정 서버에서 제공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 정보가 상기 퍼스널 컴퓨터(10)로부터 USB 케이블의 2개 데이터 라인(D+, D-)을 통해 데이터 인터페이스부(11)에 전송된다. 이때, 상기 영상, 음성 또는 문자 데이터 등은 디지털신호로 전송되어 신호처리된다.
계속해서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11)에 전송된 데이터는 먼저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11)의 USB 송수신부(18)에 입력되어 USB 신호로 처리된 후 SIE(Serial Interface Engine)(19)로 보내지고 이에 따라, 상기 SIE부(19)는 상기 USB 송수신부(18)로부터 USB 데이터를 인가받아 해당 프로토콜을 인식한 후 USB 데이터 전송형태로 전환해주게 된다.
USB 데이터 전송형태로 전환된 데이터는 계속해서 상기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0)에 보내지는데 바로 이곳에서 상기 SIE부(19)에서 처리된 USB 전송형태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각 에플리케이션 디바이스인 충전대상 기기에 적합한 신호로 처리한 후 충전대상 기기의 입출력 포트로 보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충전대상 기기인 휴대폰, MP3 플레이어의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인터넷 통신을 통해 소정 서버에서 보내온 문자 메시지 정보 또는 음악 정보 등이 저장되게 된다.
한편, 충전대상 기기가 디지털 스틸 카메라인 경우에는 상술한 경우와는 반대로 촬영된 영상 정보를 퍼스널 컴퓨터(10)쪽으로 전송하게 되는데 그 과정을 살펴보면 아래과 같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충전 과정은 위에서 상술한 휴대폰, MP3 플레이어의 경우와 같으며 다만 촬영된 영상 데이터의 전송 경로가 반대방향으로 되는 것이 차이점이다.
즉,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상술한 데이터 전송경로와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0)에서 상기 SIE부(19)를 거쳐 USB 송수신부(18)로 보내지게 된다.
또한, 상기 USB 송수신부(18)에 보내진 영상 데이터는 곧바로 퍼스널 컴퓨터(10)의 입출력 포트로 인가되고 이때, 상기 퍼스널 컴퓨터(10)는 인가된 영상 데이터를 내장된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시키게 된다.
물론, 쌍방향으로 데이터 전송시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11)는 데이터 콘트롤러부(15)의 제어에 의해, 전송되는 각종 데이터를 신호처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콘트롤러부(15)는 PROM(Programmable ROM)의 일종인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로 된 메모리부(16)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 및 운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콘트롤러부(15)는 LCD 디스플레이부(21)를 제어하여 충전대상 기기의 현재 충전상태를 "충전중" 또는 "충전완료"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현재 상기 퍼스널 컴퓨터에서 충전대상 기기로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전송중인 각종 데이터의 종류 및 내용을 디스플레이시켜 줄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통신기능을 갖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영상, 음성, 문자 데이터를 인가받아 데이터 처리한 후 충전대상 기기의 입출력 포트로 전송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소정 전원을 인가받아 충전대상 기기에 적합한 DC전원으로 전환시켜주는 DC/DC컨버터부와, 충전대상 기기의 충전상태를 측정하는 파워 미터부와, 상기 파워 미터부로부터 측정된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A/D 컨버터부와,상기 A/D 컨버터부로부터 변환된 측정 디지털 신호를 인가받아 충전대상 기기의 충전완료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의 데이터 처리를 제어하는 데이터 콘트롤러부와, 상기 데이터 콘트롤러부를 구동 및 운용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데이터 콘트롤러부의 제어를 받아 발광 또는 소광되는 충전상태표시 LED부를 구비함으로써 휴대폰, MP3 플레이어 기기 등의 전원 충전시 전원 충전 뿐만아니라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기기와 데이터 통신도 할 수 있어 각종 기기의 전원 충전시에도 계속해서 영상, 음성, 문자데이터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고 또 사용자가 언제든지 이를 손쉽게 확인해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통신기능을 갖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영상, 음성, 문자 데이터를 인가받아 데이터 처리한 후 충전대상 기기의 입출력 포트로 전송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소정 전원을 인가받아 충전대상 기기에 적합한 DC전원으로 전환시켜주는 DC/DC컨버터부와,
    충전대상 기기의 충전상태를 측정하는 파워 미터부와,
    상기 파워 미터부로부터 측정된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A/D 컨버터부와,
    상기 A/D 컨버터부로부터 변환된 측정 디지털 신호를 인가받아 충전대상 기기의 충전완료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의 데이터 처리를 제어하는 데이터 콘트롤러부와,
    상기 데이터 콘트롤러부를 구동 및 운용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데이터 콘트롤러부의 제어를 받아 발광 또는 소광되는 충전상태표시 LED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갖는 파워 어댑터.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는 USB 인터페이싱 방식의 경우, 상기 퍼스널 컴퓨터와 USB 데이터를 서로 주고받는 USB 송수신부와, 상기 USB 송수신부로부터 USB 데이터를 인가받아 해당 프로토콜을 인식한 후 USB 데이터 전송형태로 전환해주는 SIE부와, 상기 SIE부로부터 처리된 USB 데이터를 입력받아 각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에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갖는 파워 어댑터.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콘트롤러부는 상기 파워 미터부의 측정 에 의해 충전대상 기기의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확인되면 상기 DC/DC 컨버터부를 제어하여 충전대상 기기에 공급되던 DC전원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갖는 파워 어댑터.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콘트롤러부의 제어를 받아 충전대상 기기의 현재 충전상태를 "충전중" 또는 "충전완료"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해주고 현재 퍼스널 컴퓨터에서 충전대상 기기로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전송중인 데이터의 종류 및 내용을 디스플레이시켜주는 LCD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갖는 파워 어댑터.
KR1019990022180A 1999-06-15 1999-06-15 데이터통신기능을갖는파워어댑터 KR19990068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180A KR19990068723A (ko) 1999-06-15 1999-06-15 데이터통신기능을갖는파워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180A KR19990068723A (ko) 1999-06-15 1999-06-15 데이터통신기능을갖는파워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723A true KR19990068723A (ko) 1999-09-06

Family

ID=54753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180A KR19990068723A (ko) 1999-06-15 1999-06-15 데이터통신기능을갖는파워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872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216A (ko) * 2000-08-17 2002-02-25 윤종용 무선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접속 및 충전 장치
KR20020082616A (ko) * 2001-04-25 2002-10-31 이상웅 휴대폰 충전 장치
KR100392184B1 (ko) * 2000-10-30 2003-07-22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컴퓨터를 이용한 휴대용기기 충전장치
KR100415027B1 (ko) * 2000-06-30 2004-01-13 미쓰비시 덴키 시스템 엘에스아이 디자인 가부시키가이샤 전원 시스템
KR20040026442A (ko) * 2002-09-24 2004-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여행용 충전기
KR100431942B1 (ko) * 2000-11-30 2004-05-20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유에스비 포트를 이용한 통신기능을 갖는 장치용 통신용케이블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027B1 (ko) * 2000-06-30 2004-01-13 미쓰비시 덴키 시스템 엘에스아이 디자인 가부시키가이샤 전원 시스템
KR20020014216A (ko) * 2000-08-17 2002-02-25 윤종용 무선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접속 및 충전 장치
KR100392184B1 (ko) * 2000-10-30 2003-07-22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컴퓨터를 이용한 휴대용기기 충전장치
KR100431942B1 (ko) * 2000-11-30 2004-05-20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유에스비 포트를 이용한 통신기능을 갖는 장치용 통신용케이블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방법
KR20020082616A (ko) * 2001-04-25 2002-10-31 이상웅 휴대폰 충전 장치
KR20040026442A (ko) * 2002-09-24 2004-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여행용 충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3338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support USB enumeration of a bus powered handheld device
JP5034466B2 (ja) デバイス機器、ホスト機器および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
US20230421000A1 (en) Wireless Power Mode Switching
US8295702B2 (en) Optical media converter system
KR19990068723A (ko) 데이터통신기능을갖는파워어댑터
AU2009266567B2 (en) Terminal apparatus using a peripheral apparatus of another terminal via the control of one terminal,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KR20040090577A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스트로보 자동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57250A (ko) Host 기능을 겸비한 USB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
WO2002051039A1 (fr) Systeme et dispositif radio, procede de connexion radio, programme et support y relatifs
JP2005316859A (ja) 入力デバイス及び入力装置
JP2002258989A (ja) Usbポート用充電装置
CN103179366A (zh) 一种投影应用装置及投影装置结合影像输出装置的系统
KR101002533B1 (ko) 다기능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신방법
KR200329963Y1 (ko) 컴퓨터와 휴대용기기 간의 충전 및 통신 케이블 장치
KR200257665Y1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안테나부에 착탈가능한 디지털카메라 및 통신 장치
KR200377353Y1 (ko) 스위칭 기능을 가지는 데이터통신용 장치
KR20050006484A (ko) 호환 가능한 유에스비 컨넥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타 통신방법
KR20020094783A (ko) 개인휴대정보단말기의 데이터통신 모니터링 장치
KR100431942B1 (ko) 유에스비 포트를 이용한 통신기능을 갖는 장치용 통신용케이블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방법
KR20050009098A (ko) 유에스비 호스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KR200286873Y1 (ko) 단말기용 휴대용 충전기
KR200352681Y1 (ko) 휴대 단말기간의 접속 및 데이터 공유장치
WO2004112379A1 (en) Digital camera having bluetooth module therein
US8489790B2 (en) Control method for extender
TWI448037B (zh) 充電裝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