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6442A -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여행용 충전기 - Google Patents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여행용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6442A
KR20040026442A KR1020020057911A KR20020057911A KR20040026442A KR 20040026442 A KR20040026442 A KR 20040026442A KR 1020020057911 A KR1020020057911 A KR 1020020057911A KR 20020057911 A KR20020057911 A KR 20020057911A KR 20040026442 A KR20040026442 A KR 20040026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7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6442A/ko
Publication of KR20040026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44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6Charger exchanging data with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과,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입출력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여행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여행용 충전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의 일단에 위치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단자와 연결되는 카킷 연결부와, 인터페이스 커넥터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외부 장치의 연결잭과 연결되는 외부 장치 연결부와, 카킷 연결부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인터페이스 커넥터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카킷 연결부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외부 장치 연결부를 통해 외부 장치로 출력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외부 장치 연결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카킷 연결부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출력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여행용 충전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과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여행용 충전기{TRAVELER CHARG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NECTING AN EXTERNAL DEVIC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여행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여행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는 용도에 따라서 탁상용 충전기(Desk Top Charger)와 여행용 충전기(Traveler Charger)로 구분할 수 있다. 탁상용 충전기는 슬롯(Slot)의 수에 따라 1 슬롯형(1 Slot Type) 충전기, 2 슬롯 형(2 Slot Type) 충전기로 구분하기도 한다. 1 슬롯 형 충전기는 배터리 팩(Battery Pack)이 장착된 단말기 또는 배터리 팩을 단독으로 충전시키기 위한 슬롯이 하나 구비된 충전기이며, 2 슬롯 형 충전기는 배터리 팩이 장착된 단말기와 배터리 팩을 동시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충전을 실시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슬롯이 구비된 충전기이다. 위와 같은 탁상용 충전기는 충전 회로가 충전기 자체에 내장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가정에서 사용하기 위한 탁상용으로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해 휴대가 간편한 여행용 충전기가 등장하게 되었다. 여행용 충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회로가 소형 어댑터(Adaptor)(10)에 내장되어 있으며, 충전 회로를 내장한 소형 어댑터(10)는 콘센트(5)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블(20)을 통해 어댑터(10)에 연결된 인터페이스 커넥터(40)에 일단에 위치한 카킷(Car Kit) 연결부(50)가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인터페이스 단자(202)에 접속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배터리를 충전을 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커넥터(40)의 상면에 위치한 발광부(30)는 통상적으로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되며,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한다.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단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여행용 충전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와 연결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되기도 하지만, 개인용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외부 장치의 연결잭과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입출력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여행용 충전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와 외부 장치의 연결잭과 연결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단자는 하나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행용 충전기를 연결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과 외부 장치를 연결하여 입출력하는 것을 동시에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와 외부 장치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중에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경우, 사용자는 상기 데이터 입출력을 중지하고 여행용 충전기를 연결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한 후, 다시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과,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입출력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여행용 충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여행용 충전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여행용 충전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용 컴퓨터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여행용 충전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키보드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여행용 충전기의 사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여행용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여행용 충전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단자와 연결되는 카킷 연결부와,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외부 장치의 연결잭과 연결되는 외부 장치 연결부와, 상기 카킷 연결부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카킷 연결부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외부 장치 연결부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 연결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카킷 연결부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고,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 장치라 함은, 이동 통신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써, 개인용 컴퓨터, 키보드,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등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개인용 컴퓨터와 키보드를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된 여행용 충전기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행용 충전기(100)는 카킷 연결부(50), 외부 장치 연결부(60), 전원 공급부(70), 제어부(80)로 구성된다.
카킷 연결부(50)는 도 3 도시된 바와 같이, 여행용 충전기(100)의 인터페이스 커넥터(40)의 일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인터페이스 단자(202)와 연결된다. 외부 장치 연결부(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커넥터(40)의 배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300)의 USB 포트(Universal Serial Bus Port)에 연결되는 USB 포트 케이블(304)의 일단에 위치한 연결잭(302)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 공급부(70)는 콘센트(5)를 통해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카킷 연결부(5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80)는 인터페이스 커넥터(4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카킷 연결부(5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외부 장치 연결부(60)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300)로 출력하고, 개인용 컴퓨터(300)로부터 외부 장치 연결부(6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카킷 연결부(5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 출력한다. 이러한 제어부(80)는 변환 테이블(82), 데이터 입출력부(86), 인터럽트 발생부(88), 데이터 처리부(84)로 구성된다.
변환 테이블(82)은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개인용 컴퓨터(300)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고, 개인용 컴퓨터(30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데이터 입출력부(86)는 카킷 연결부(50)와 외부 장치 연결부(60)를 인터페이스 한다. 즉, 데이터 입출력부(86)는 카킷 연결부(5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와 외부 장치 연결부(60)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30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84)로 출력하고, 데이터 처리부(84)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200) 및 개인용 컴퓨터(300)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 출력한 데이터를 카킷 연결부(50) 및 외부 장치 연결부(60)로 각각 출력한다. 인터럽트 발생부(88)는 데이터 입출력부(86)에 카킷 연결부(5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외부 장치 연결부(60)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300)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면, 인터럽트를 발생하여 데이터 처리부(84)로 인가한다. 이에 데이터 처리부(84)는 상기 변환 테이블(82)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개인용 컴퓨터(300)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입출력부(86)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300)로 출력하고, 개인용 컴퓨터(30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200)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입출력부(86)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 출력한다.
위와 같이 개인용 컴퓨터(300)와 이동 통신 단말기(200) 상호간에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예는, 전화 번호부의 입출력을 들 수가 있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 저장된 전화 번호부가 카킷 연결부(50)를 통해서 입력되면, 데이터 처리부(84)는 변환 테이블(82)을 이용하여 개인용 컴퓨터(300)에서 인식할 수 있는 전화 번호부로 변환하여 외부 장치 연결부(60)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300)로 출력하고, 개인용 컴퓨터(300)에 저장된 전화 번호부가 외부 장치 연결부(60)를 통해서 입력되면, 데이터 처리부(84)는 변환 테이블(82)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서 인식할 수 있는 전화 번호부로 전환하여 카킷 연결부(5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 출력한다.
위와 같이 USB 포트 케이블의 연결잭을 여행용 충전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에 연결시키고,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개인용 컴퓨터에서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개인용 컴퓨터로 출력하고,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중, 이동 통신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상호 간에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다.
한편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된 여행용 충전기의 구성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지만, 키보드와 연결된 여행용 충전기(100)의 구성은 단방향 통신만 가능하다. 즉, 개인용 컴퓨터와 이동 통신 단말기 상호간에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지만, 키보드와 이동 통신 단말기 상호간에는 키보드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로의 입력만 가능할 뿐이다.
이러한 키보드와 연결된 여행용 충전기의 구성은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된 여행용 충전기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된 여행용 충전기의 구성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대비되는 특징적인 부분만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 장치 연결부(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커넥터(40)의 배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키보드(400)의 케이블(404)의 일단에 위치한 연결잭(402)과 연결된다. 외부 장치 연결부(60)를 통해 여행용 충전기(100)와 연결되는 키보드(400)는 PS/2 키보드가 바람직하다. 전원 공급부(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키보드(400)가 연결되면,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외부 장치 연결부(60)를통해 키보드(4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8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키보드(400)가 연결되면 키보드(4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부(7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8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키보드(400)로부터 외부 장치 연결부(6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카킷 연결부(5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 출력한다. 이러한 제어부(80)는 개인용 컴퓨터(300)와 여행용 충전기(100)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변환 테이블(82), 데이터 입출력부(86), 인터럽트 발생부(88), 데이터 처리부(84)로 구성된다.
변환 테이블(82)은 키보드(40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데이터 입출력부(86)는 카킷 연결부(50)와 외부 장치 연결부(60)를 인터페이스 한다. 즉, 데이터 입출력부(86)는 외부 장치 연결부(60)를 통해 키보드(40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84)로 출력하고, 데이터 처리부(84)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 출력한 데이터를 카킷 연결부(50)로 출력한다. 인터럽트 발생부(88)는 외부 장치 연결부(60)를 통해 키보드(400)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면, 인터럽트를 발생하여 데이터 처리부(84)로 인가한다. 이에 데이터 처리부(84)는 상기 변환 테이블(82)을 이용하여 키보드(40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200)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입출력부(86)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 출력한다.
위와 같이 키보드(40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의 데이터를 입력하는예는, 문자 입력을 들 수가 있다. 즉,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여 문자가 외부 장치 입력부(60)를 통해서 입력되면, 데이터 처리부(84)는 변환 테이블(82)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서 인식할 수 있는 문자로 전환하여 카킷 연결부(5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 출력한다.
위와 같이 키보드 케이블의 연결잭을 여행용 충전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에 연결시키고, 키보드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중, 키보드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개인용 컴퓨터와 키보드를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등을 포함한 이동 통신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외부 장치에서도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와 특허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여행용 충전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에 외부장치를 연결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과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여행용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여행용 충전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단자와 연결되는 카킷 연결부와,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외부 장치의 연결잭과 연결되는 외부 장치 연결부와,
    상기 카킷 연결부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카킷 연결부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외부 장치 연결부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 연결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카킷 연결부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여행용 충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외부 장치 연결부에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외부 장치 연결부를 통해 외부 장치에 전원을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여행용 충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킷 연결부와 상기 외부 장치 연결부를 인터페이스하는 데이터 입출력부와,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기 외부 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면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인터럽트 발생부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테이블과,
    상기 인터럽트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변환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로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여행용 충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 연결부는,
    개인용 컴퓨터의 USB 포트 케이블의 일단에 위치한 연결잭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여행용 충전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 연결부는,
    키보드의 케이블의 일단에 위치한 연결잭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여행용 충전기.
KR1020020057911A 2002-09-24 2002-09-24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여행용 충전기 KR20040026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911A KR20040026442A (ko) 2002-09-24 2002-09-24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여행용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911A KR20040026442A (ko) 2002-09-24 2002-09-24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여행용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442A true KR20040026442A (ko) 2004-03-31

Family

ID=37328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911A KR20040026442A (ko) 2002-09-24 2002-09-24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여행용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64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025B1 (ko) * 2005-06-28 2007-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723A (ko) * 1999-06-15 1999-09-06 이성민 데이터통신기능을갖는파워어댑터
JP2000139032A (ja) * 1998-10-30 2000-05-16 Kyocera Corp 充電器
KR20000044411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이동전화 단말기의 전원공급 및 데이타 통신경로 형성장치
KR20010059911A (ko) * 1999-12-30 2001-07-06 이정태 이동형 전자기기의 충전용 커넥터
KR20020067733A (ko) * 2001-02-17 2002-08-24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데이터 로드 및 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032A (ja) * 1998-10-30 2000-05-16 Kyocera Corp 充電器
KR20000044411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이동전화 단말기의 전원공급 및 데이타 통신경로 형성장치
KR19990068723A (ko) * 1999-06-15 1999-09-06 이성민 데이터통신기능을갖는파워어댑터
KR20010059911A (ko) * 1999-12-30 2001-07-06 이정태 이동형 전자기기의 충전용 커넥터
KR20020067733A (ko) * 2001-02-17 2002-08-24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데이터 로드 및 충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025B1 (ko) * 2005-06-28 2007-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7573B1 (en) Charging arrangement for electronic accessories
US20090309542A1 (en) Multi-input charger
EP108540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wer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20147036A1 (en) Auxiliary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phone
JP2015525555A (ja) 急速充電可能なデータケーブル
CN101150327A (zh) 便携式设备借电系统及便携式设备
KR20140093058A (ko) 모바일 기기 멀티충전이 가능한 유에스비 허브
JP3796419B2 (ja) 端末装置
US20030148797A1 (en) USB charging cable for mobile telephone
KR20090112968A (ko)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내장한 젠더
KR20040026442A (ko)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여행용 충전기
WO2019144265A1 (en) Multifunctional battery pack charger
JP3188034U (ja) 掌型交流/直流ポータブル電源
KR100541251B1 (ko) 전원공급원 자동 인식 충전형 데이터 통신 케이블
KR200410889Y1 (ko) Usb 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충전장치
KR100726014B1 (ko) 통합형 어댑터
CN111245256B (zh) 电源供应装置
KR100313147B1 (ko) 휴대용 전화기의 가정/차량/휴대 통합용 핸즈프리 장치
KR20040025400A (ko) 휴대폰 충전기
CN218383953U (zh) 一种新型应用电路及高效传输的扩展坞
CN219436684U (zh) 充电组件及口腔扫描仪
KR200407239Y1 (ko)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마우스 충전장치
KR200288185Y1 (ko) Usb 단자를 내장한 휴대폰
KR20000001587U (ko) 휴대용 전화기를 충전할 수 있는 휴대용 컴퓨터
KR200410910Y1 (ko) 충전용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