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7733A -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데이터 로드 및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데이터 로드 및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7733A
KR20020067733A KR1020010008027A KR20010008027A KR20020067733A KR 20020067733 A KR20020067733 A KR 20020067733A KR 1020010008027 A KR1020010008027 A KR 1020010008027A KR 20010008027 A KR20010008027 A KR 20010008027A KR 20020067733 A KR20020067733 A KR 20020067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cable
charging
connecto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8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8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7733A/ko
Publication of KR20020067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73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P3(MPEG-1 Layer 3) 플레이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MP3 데이터를 외부장치와 로드하는 중에도 충전을 계속할 수 있는 데이터 로드 및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MP3 플레이어와 충전회로와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어댑터 커넥터와 어댑터 케이블과 MP3 어댑터와 충전용 어댑터를 구비한다. 인터페이스 커넥터는 충전회로와 연결되는 외부 전원단자와 전원공급단자를 가지며 휴대용 단말기와 외부 장치 간에 데이터를 다운로드 및 업로드하기 위한 로드용 단자를 가진다. 어댑터 커넥터는 인터페이스 커넥터의 단자들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는 단자들을 가진다. 어댑터 케이블은 어댑터 커넥터에 연결되어 분기되는 제1,제2케이블로 이루어지고, 제1케이블은 어댑터 커넥터의 전원공급단자 및 로드용 단자에 연결되며, 제2케이블은 어댑터 커넥터의 외부 전원단자에 연결된다. MP3 어댑터는 제1케이블과 연결되며 MP3 플레이어와 외부 장치 간에 MP3 데이터를 다운로드 및 업로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충전용 어댑터는 제2케이블과 연결되며 외부 전원단자를 통해 충전회로에 충전 전원을 공급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데이터 로드 및 충전 장치{DEVICE FOR LOADING DATA AND CHARGING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MP3(MPEG-1 Layer 3) 플레이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데이터 로드(load) 및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휴대용 전화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 중에는 MP3 플레이어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MP3 음악을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가 시판 및 사용되고 있다.이와 같이 MP3 플레이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MP3 음악을 듣기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MP3 플레이어의 메모리, 통상적으로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에 MP3 음악 파일이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휴대용 단말기로 MP3 음악 파일의 데이터(이하 "MP3 데이터"라 함)를 다운로드(download)하게 된다. 이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 다운로드하여 저장되어 있는 MP3 데이터는 PC로 업로드(upload)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와 PC간에 MP3 데이터를 로드, 즉 다운로드 및 업로드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기와 PC를 연결하는 어댑터(adapter)가 사용된다. 이러한 어댑터는 통상적으로 MP3 다운로드 어댑터라고 불리운다.
도 1은 통상적인 MP3 플레이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예로서 MP3 플레이어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이하 "MP3 폰"이라 함)의 MP3 데이터 로드를 위한 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MP3 폰(102)과 PC(100)간에 MP3 다운로드 어댑터(104)를 연결하는 것을 보인 것이다. MP3 폰(102)에는 배터리(108)가 장착되고 MP3 폰(102)과 PC(100) 간에 데이터를 다운로드 및 업로드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커넥터(110)가 설치된다. 인터페이스 커넥터(110)는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MP3 폰(102) 내부의 충전회로(도시하지 않았음)와 연결되는 외부 전원단자 Vext와 전원공급단자 Vcc와 MP3 폰(102) 내부의 시리얼 포트(serial port)와 연결되는 로드용 단자 UP_DATA, DOWN_DATA, CLK, MP DOWN, GND을 가진다. 외부 전원단자 Vext는 인터페이스 커넥터(110)에 휴대용 충전장치인 TA(Travel Adapter)가 연결될 때 TA로부터 충전회로로 충전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자이고, 전원공급단자 Vcc는 MP3 어댑터(116)에 내장된 MP3 어댑터회로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이며, UP_DATA단자는 MP3 폰(102)으로부터 PC(100)로 MP3 데이터를 업로드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단자이며, DOWN_DATA단자는 PC(100)로부터 MP3 폰(102)으로 MP3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단자이며, CLK단자는 MP3 폰(102)으로부터 MP3 어댑터(116)로 클럭을 공급하는 단자이다. 그리고 MP DOWN단자는 MP3 다운로드 어댑터(104)의 커넥터(112)가 MP3 폰(102)의 인터페이스 커넥터(110)에 결합되는 것을 MP3 폰(102)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자로서, 예를 들어 어댑터 커넥터(112)를 인터페이스 커넥터(110)에 꽂게 되면 논리 "하이"에서 논리 "로우"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MP3 다운로드 어댑터(104)는 어댑터 커넥터(112)와 어댑터 케이블(114)과 MP3 어댑터(116)로 구성된다. 어댑터 커넥터(112)는 인터페이스 커넥터(110)에 삽입될 때 인터페이스 커넥터(110)의 단자들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는 단자들을 가진다. MP3 어댑터(116)는 어댑터 케이블(114)을 통해 어댑터 커넥터(112)에 연결됨과 아울러 PC(100)의 병렬 포트(parallel port)와 연결되는 커넥터(106)와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118)를 구비한다. MP3 어댑터(116)는 PC(100)의 병렬 포트와 MP3 폰(103)의 직렬 포트를 통해 서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직렬/병렬 및 병렬/직렬 변환하는 MP3 어댑터 회로를 내장하여, MP3 폰(102)에 내장된 MP3 플레이어와 PC(100) 간에 MP3 데이터를 다운로드 및 업로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PC(100)에는 MP3 파일을 다운로드 및 업로드하기 위한 지원 프로그램인 MP3 관리자 프로그램(manager program)이 설치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여 MP3 데이터를 로드하는 동작을 살펴본다. MP3 폰(102)이 대기상태일때 MP3 다운로드 어댑터(104)의 어댑터 커넥터(112)를 인터페이스 커넥터(110)에 꽂으면 MP3 폰(102)은 MP_DOWN단자를 감지하여 MP3 다운로드 어댑터가(104)가 연결되었음을 인식하여 MP3 데이터 로드 모드(mode)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MP3 다운로드 어댑터(104)의 커넥터(118)를 PC(100)의 커넥터(106)에 연결한 후 사용자는 PC(100)를 조작하여 원하는 MP3 데이터를 PC(100)로부터 MP3 폰(102)으로 다운로드하거나 MP3 폰(102)으로부터 PC(100)로 업로드할 수 있다.
이때 MP3 폰(102)의 인터페이스 커넥터(110)에 MP3 다운로드 어댑터(104)가 연결되기 때문에 충전기를 사용할 수 없다. 이에따라 MP3 폰(102)의 배터리(108)는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MP3 폰(102) 내부의 폰 회로(200)와 MP3 플레이어 회로(202)뿐만 아니라 인터페이스 커넥터(110) 및 어댑터 커넥터(112)를 통해 MP3 어댑터(116) 내부의 MP3 어댑터 회로(204)에도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MP3 데이터를 로드하는 중에는 충전기를 사용하지 못하고 MP3 폰(102)에 장착된 배터리(108) 전원만으로 폰 회로(200)와 MP3 플레이어 회로(202)와 MP3 어댑터회로(204)를 구동함에 따라 많은 전류가 소모되며 저용량 배터리의 경우 사용시간이 훨씬 줄어들게 된다. 또한 MP3 데이터 로드중에 "로우 배터리" 상태로 될 경우에는 MP3 데이터 로드 페일(fail)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MP3 폰(102)으로부터 MP3 다운로드 어댑터(104)를 분리하고 배터리(108) 충전을 한 후 다시 MP3 폰(102)에 MP3 다운로드 어댑터(104)를 연결한 다음에 MP3 데이터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를 다시 시도해야 하였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와 외부장치 간에 MP3 데이터를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를 하는 동안에는 배터리 충전이 불가능함에 따라 배터리 전원을 사용함으로써 배터리 전원 사용시간이 단축되었으며, "로우 배터리" 상태가 될 경우에는 MP3 데이터 로드 페일이 발생함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MP3 플레이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MP3 데이터를 외부장치와 로드하는 중에도 충전을 계속할 수 있는 데이터 로드 및 충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MP3 플레이어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의 MP3 데이터 로드를 위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의 단자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전원 공급 계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로드 및 충전 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전원 공급 계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로드 및 충전 장치의 구성 및 연결도를 보인 것으로, MP3 폰(102)와 PC(100)는 전술한 도 1과 동일하고, 데이터 로드 및 충전 장치(300)는 어댑터 커넥터(302)와 어댑터 케이블(304)과 MP3 어댑터(310)와 연결장치(314)와 충전용 어댑터(320)를 구비한다. 어댑터 커넥터(302)는 도 1의 어댑터 커넥터(112)와 마찬가지로 인터페이스 커넥터(110)의 단자들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는 단자들을 가진다. 어댑터 케이블(304)은 어댑터 커넥터(302)에 연결되어 분기되는 제1,제2케이블(306,308)로 이루어지고, 제1케이블(306)은 어댑터 커넥터(302)의 전원공급단자 Vcc 및 로드용 단자 UP_DATA, DOWN_DATA, CLK, GND, MP_DOWN에 연결되며, 제2케이블은 어댑터 커넥터(302)의 외부 전원단자 Vext에 연결된다. MP3 어댑터(310)는 제1케이블(306)과 연결되며 도 1의 MP3 어댑터(116)과 마찬가지로 PC(100)와 데이터를 다운로드 및 업로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연결장치(314)는 제2케이블(308)에 연결되는 잭(316)과, 케이블(322)를 통해 충전용 어댑터(320)에 연결되는 플러그(315)로 이루어진다. 충전용 어댑터(320)는 연결장치(314)를 통해 제2케이블(308)과 연결되며 제2케이블(308)과 외부 전원단자 Vext를 통해 MP3 폰(102)의 충전회로에 충전 전원을 공급한다.
이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MP3 데이터를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할 때 이루어지는 동작을 살펴본다. MP3 폰(102)이 대기상태일때 MP3 다운로드 어댑터(300)의 어댑터 커넥터(302)를 인터페이스 커넥터(110)에 꽂으면, 종래와 마찬가지로 MP3 폰(102)은 MP_DOWN단자를 감지하여 MP3 다운로드 어댑터가(300)가 연결되었음을 인식하여 MP3 데이터 로드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MP3 다운로드 어댑터(310)의 커넥터(312)를 PC(100)의 커넥터(106)에 연결한 후 사용자는 PC(100)를 조작하여 원하는 MP3 데이터를 PC(100)로부터 MP3 폰(102)으로 다운로드하거나 MP3 폰(102)으로부터 PC(100)로 업로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연결장치(314)의 잭(316) 및 플러그(318)가 결합된 상태에서 충전용 어댑터(320)를 전원 콘센트에 꽂는다. 그러면 충전용 어댑터(320)에서 발생되는 전원이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제2케이블(308)과 외부 전원단자 Vext를 통해 MP3 폰(102)의 충전회로(206)에 공급됨으로써 MP3 데이터 로드 도중에도배터리(108) 충전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MP3 폰(102)과 PC(100) 간에 MP3 데이터를 로드하는 도중에도 충전이 이루어짐으로써, 배터리(108) 전원 사용으로 인한 사용시간 단축을 방지하고 "로우 배터리"로 인한 MP3 데이터 로드 페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MP3 폰(102)과 PC(100) 간에 MP3 데이터를 로드하는 경우에 적용하는 예를 들었으나, MP3 데이터 로드 도중에 충전을 하지 못하고 배터리 전원을 사용해야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연결장치(314)는 충전용 어댑터(32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사용한 것으로, 적용하지 않고 생략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 충전용 어댑터(320)는 분리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MP3 데이터를 로드하는 도중에도 충전이 이루어짐으로써, 배터리 전원 사용으로 인한 사용시간 단축을 방지할 뿐아니라 MP3 데이터 로드중에 "로우 배터리"로 인한 MP3 데이터 로드 페일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MP3 데이터 로드 페일로 인한 사용자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MP3 플레이어와, 충전회로와, 상기 충전회로와 연결되는 외부 전원단자와 전원공급단자를 가지며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다운로드 및 업로드하기 위한 로드용 단자를 가지는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의 단자들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하기 위한 단자들을 가지는 어댑터 커넥터와,
    상기 어댑터 커넥터에 연결되어 분기되는 제1,제2케이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케이블은 상기 어댑터 커넥터의 전원공급단자 및 로드용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2케이블은 상기 어댑터 커넥터의 외부 전원단자에 연결되는 어댑터 케이블과,
    상기 제1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MP3 플레이어와 상기 외부 장치 간에 MP3 데이터를 다운로드 및 업로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MP3 어댑터와,
    상기 제2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외부 전원단자를 통해 상기 충전회로에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용 어댑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로드 및 충전장치.
  2. MP3 플레이어와, 충전회로와, 상기 충전회로와 연결되는 외부 전원단자와 전원공급단자를 가지며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다운로드 및 업로드하기 위한 로드용 단자를 가지는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의 단자들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하기 위한 단자들을 가지는 어댑터 커넥터와,
    잭 및 플러그로 이루어지는 연결장치와,
    상기 어댑터 커넥터에 연결되어 분기되는 제1,제2케이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케이블은 상기 어댑터 커넥터의 전원공급단자 및 로드용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2케이블은 상기 어댑터 커넥터의 외부 전원단자와 상기 연결장치 사이에 연결되는 어댑터 케이블과,
    상기 제1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MP3 플레이어와 상기 외부 장치 간에 MP3 데이터를 다운로드 및 업로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MP3 어댑터와,
    상기 연결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제2케이블과 상기 외부 전원단자를 통해 상기 충전회로에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용 어댑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로드 및 충전장치.
KR1020010008027A 2001-02-17 2001-02-17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데이터 로드 및 충전 장치 KR200200677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027A KR20020067733A (ko) 2001-02-17 2001-02-17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데이터 로드 및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027A KR20020067733A (ko) 2001-02-17 2001-02-17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데이터 로드 및 충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733A true KR20020067733A (ko) 2002-08-24

Family

ID=27694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8027A KR20020067733A (ko) 2001-02-17 2001-02-17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데이터 로드 및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77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442A (ko) * 2002-09-24 2004-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여행용 충전기
KR100839049B1 (ko) * 2006-08-08 2008-06-1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텐츠 제공 시스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방법 프로그램을기록한 저장매체 및 하드웨어 어댑터
WO2023177087A1 (ko) * 2022-03-15 2023-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블 어셈블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6666A (ja) * 1996-10-09 1998-05-06 Matsushita Commun Ind Co Ltd 携帯型電話機のデータ通信用接続分岐装置
JP2000139032A (ja) * 1998-10-30 2000-05-16 Kyocera Corp 充電器
KR20000039991A (ko) * 1998-12-16 2000-07-05 박성구 휴대 통신 단말기와 퍼스널 컴퓨터간 데이타 공유장치
KR20000044411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이동전화 단말기의 전원공급 및 데이타 통신경로 형성장치
KR200195459Y1 (ko) * 2000-03-27 2000-09-01 선광훈 무선데이터통신용단자가부설된휴대폰충전대
KR20010019758A (ko) * 1999-08-30 2001-03-15 구자홍 데이터송수신 겸용 충전크레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6666A (ja) * 1996-10-09 1998-05-06 Matsushita Commun Ind Co Ltd 携帯型電話機のデータ通信用接続分岐装置
JP2000139032A (ja) * 1998-10-30 2000-05-16 Kyocera Corp 充電器
KR20000039991A (ko) * 1998-12-16 2000-07-05 박성구 휴대 통신 단말기와 퍼스널 컴퓨터간 데이타 공유장치
KR20000044411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이동전화 단말기의 전원공급 및 데이타 통신경로 형성장치
KR20010019758A (ko) * 1999-08-30 2001-03-15 구자홍 데이터송수신 겸용 충전크레들
KR200195459Y1 (ko) * 2000-03-27 2000-09-01 선광훈 무선데이터통신용단자가부설된휴대폰충전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442A (ko) * 2002-09-24 2004-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여행용 충전기
KR100839049B1 (ko) * 2006-08-08 2008-06-1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텐츠 제공 시스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방법 프로그램을기록한 저장매체 및 하드웨어 어댑터
WO2023177087A1 (ko) * 2022-03-15 2023-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블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6816C1 (ru) Кабель для зарядки с соединителем типа usb
KR101504104B1 (ko) 역 로컬 데이터 전송 접속을 통하여 전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997309B1 (ko) 전기 장치, 전기 장치의 주변 커넥터에 연결된 주변 장치를식별하기 위한 방법, 주변 버스를 통해 전기 장치에 연결된 전원으로부터 전력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버스 커넥터를 갖는 전기 장치에 의한 전력 이용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US8450979B2 (en) Power adapter with internal battery
EP1573866B1 (en) Combination audio/charger jack
KR101494900B1 (ko) 충전 장치 식별을 통한 충전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방법
US8880748B2 (en) Switching system which allows primary USB connection in response to USB signaling
JP2000201204A (ja) 携帯電話用補助充電装置
JP2002044876A (ja) 電池式デバイス
US20070164704A1 (en) Plug with supplemental memory
US20190052105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apple and android devices
KR20020014870A (ko) Usb를 이용한 이동전화 충전장치
GB2395820A (en) Communication hub for bus powered devices with a rechargeable power source for providing power to high power devices
WO2019010822A1 (zh) 快充转接头及快充线缆结构
US20060223579A1 (en) Universal battery charger and data transfer system
US20060033474A1 (en) USB battery charger
CN101853970A (zh) 一种通过通用串行总线接口充电的方法和装置
US20070141894A1 (en) Plug with supplemental memory
WO2014006619A1 (en) Method and system of charging a mobile device
CN112688373A (zh) 一种充电方法、装置及数据线
KR100734128B1 (ko) 외부 배터리 기능과 메모리장치 기능을 겸비한 유에스비 방식 충전 및 데이터 링크 장치
WO2005112220A1 (fr) Equipement electronique portatif, tete d'extension de l'equipement, et interface de chargement du dispositif de chargement de l'equipement
KR20020067733A (ko)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데이터 로드 및 충전 장치
CN110417083B (zh) 一种外部设备供电装置
KR200385821Y1 (ko) 양방향 유에스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의 전원을 이용한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