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968A -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내장한 젠더 - Google Patents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내장한 젠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968A
KR20090112968A KR1020080038778A KR20080038778A KR20090112968A KR 20090112968 A KR20090112968 A KR 20090112968A KR 1020080038778 A KR1020080038778 A KR 1020080038778A KR 20080038778 A KR20080038778 A KR 20080038778A KR 20090112968 A KR20090112968 A KR 20090112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interface
gender
mobile phon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단아이
유성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단아이, 유성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단아이
Priority to KR1020080038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2968A/ko
Publication of KR20090112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9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Abstract

휴대 전화기용 젠더가 개시된다. 상기 젠더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에 접속될 수 있는 제1인터페이스와, 메인 배터리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의 포트에 접속될 수 있는 제2인터페이스와, 배터리와, 상기 통신 단말기의 상기 포트와 상기 제2인터페이스의 접속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인터페이스 통하여 입력된 상기 전원을 상기 메인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제2인터페이스로 바이패스하거나 또는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며, 상기 젠더는 상기 휴대 전화기의 보조 배터리로써 사용할 수 있다.
젠더, 24핀 표준 단자

Description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내장한 젠더{Gender having battery for capable of electric charging}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의 보조 액세사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내장한 젠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기술의 발달로 휴대 단말기(또는, 멀티미디어 장치)는 그 크기가 작고 가벼워져 휴대가 간편해짐에 따라 그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중이거나 실내 즉,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거나 검색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원하는 정보를 재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현대인의 필수품이 되었다.
특히,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휴대 전화기는 종래에는 상대방과 통화하기 위한 통화 기능이 주된 기능이었으나, 점차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장치, 및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와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들이 추가됨에 따라 가장 널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기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 TTA)의해 채택된 "휴대 전화 단말기의 입출력단자 접속표 준"에 의한 24핀의 입출력 단자(이하, "24핀 표준 단자"라 한다)를 사용한다.
기존의 24핀 표준 단자를 사용하는 휴대 전화기는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송 속도가 낮다. 즉, 24핀 표준 단자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할 필요가 있는 휴대 전화기에는 부적합하고, 레이아웃이 커서 점차 슬림화되고 있는 휴대 전화기에 탑재가 어렵다.
휴대 전화기가 점차 슬림화, 소형화됨에 따라 제조업체들은 기존의 24핀 표준 단자 대신 충전 기능과 빠른 데이터 송수신 기능이 가능하고, 또한 기존의 기존의 24핀 표준 단자보다 더 작은 레이아웃을 갖는 새로운 입출력 단자를 휴대 전화기에 부착하였다. 그리고 제조업체들은 상기 24핀 표준 단자를 사용하는 장치와 새로운 입출력 단자를 사용하는 휴대 전화기를 접속시키기 위한 젠더를 별도로 제공하고 있다.
즉, 젠더는 서로 다른 규격을 갖는 입출력 단자 예컨대, 24핀 입출력 단자를 사용하는 기존의 휴대 전화 충전기와 제조업체 별로 상이한 입출력 단자를 사용하는 휴대전화기를 연결해 주기 위한 어댑터(또는 변환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 충전기는 24핀용으로만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가 고갈되어 급히 충전해야 하는 경우 충전기는 있지만 젠더가 없어 충전을 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로 젠더를 휴대하고 다녀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젠더는 크기가 작고 충전기에서 잘 빠지므로 잃어버리기 쉽다.
또한, 휴대 전화기의 전력 소모는 점차 증가하나,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는 한정된 충전 용량을 갖으므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고갈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휴대하고 다니는 경우 더 큰 충전 용량을 갖는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보조 배터리를 휴대해야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로 다른 입출력 단자를 구비하는 장치간에 충전 동작 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또한 휴대 전화기로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내장한 젠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젠더는 제1인터페이스, 제2인터페이스, 배터리,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인터페이스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제2인터페이스 메인 배터리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의 포트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상기 포트와 상기 제2인터페이스의 접속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인터페이스 통하여 입력된 상기 전원을 상기 메인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제2인터페이스로 바이패스하거나 또는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트와 상기 제2인터페이스가 서로 접속됨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을 상기 제2인터페이스로 바이패스하고,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 동작이 완료됨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을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젠더는 제1인터페이스, 제2인터페이스, 스위치, 배터리,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1인터페이스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에 접속되고, 제2인터페이스는 메인 배터리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의 포트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사용자 선택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상기 포트와 상기 제2인터페이스의 접속 여부와 상기 사용자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인터페이스 통하여 입력된 상기 전원을 상기 메인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제2인터페이스로 바이패스하거나 또는 상기 전원을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선택 신호가 제1레벨을 갖는 경우, 상기 포트와 상기 제2인터페이스가 서로 접속됨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을 상기 제2인터페이스로 바이패스하고,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 동작이 완료됨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을 상기 배터리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선택 신호가 제2레벨을 갖는 경우, 상기 포트와 상기 제2인터페이스가 서로 접속됨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을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동작이 완료됨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을 상기 제2인터페이스로 바이패스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푸시 버튼(push botton)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또는 락커 스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젠더는 상기 메인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젠더는 새로운 입출력 단자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기를 별도의 충전기를 구비하지 않고도, 기존의 휴대 전화기에 사용되는 휴대 전화 표준 충전기를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젠더는 휴대 전화기로 비상 또는 예비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젠더는 휴대 전화기의 보조 악세사리로 부착됨에 따라 휴대와 보관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전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전화기 시스템은 휴대 전화기(10), 어뎁터 또는 변환 장치라고도 불리는 젠더(20), 및 충전기(30)를 포함한다. 휴대 전화기(1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플레이어,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 수첩, 또는 네트워크 게임기 등와 같은 휴대 단말기의 일 예로써,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 전화기(10)를 일 예로 설명한다.
휴대 전화기(10)는 충전 및 고속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새로운 입출력 단자를 적용한 제1포트(13)를 포함한다.
또한, 휴대 전화기(10)는 기종에 따라 충전 및 고속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새로운 입출력 단자를 적용한 제1포트(13)와 기존의 24핀 표준 단자를 적용한 제2포트(15)를 함께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포트(13)는 휴대 전화기(10)가 점차 슬림화, 및 소형화됨에 따라, 최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 TTA)가 기존의 24핀 표준 단자 대신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는 20핀 삽입식 입출력 단자(또는 20핀 표준 단자)일 수 있다. 상기 20핀 표준 단자는 충전 단자 구조와 휴대 전화기(10)의 부가 기능을 위해 제공되는 각 제조업체별 상이한 입출력 단자 구조 등을 통일한 입출력 단자이다.
충전기(30)는 외부의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와 휴대 전화기(10)의 제2포트(15) 또는 젠더(20)의 제1인터페이스(25)에 삽입 가능한 접속 단자(31)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기(30)는 외부의 콘센트로부터 공급된 전압(예컨대, 220V 또는 110V, 등)을 휴대 전화기(10)의 정격 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정격 전압으로 젠더(20) 의 내부에 구현된 배터리(43) 또는 휴대 전화기(10)의 메인 배터리(미 도시)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충전기(30)의 접속 단자(31)는 휴대 전화 표준 규격에 의하여 24핀의 입출력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기(30)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 TTA)의해 채택된 "휴대전화 단말기의 입출력단자 접속표준"에 의한 24핀의 소켓을 사용하는 휴대 전화 표준 충전기이다. 휴대 전화 표준 충전기는 24핀의 표준 규격을 사용하는 휴대 전화기(10)를 배터리의 외형에 구애받지 않고 휴대 전화의 기종에 상관없이 충전이 가능하다.
그러나, 소켓과 같은 접속단자(31)로 구현될 수 있는 핀들의 수는 24핀보다 적거나 많을 수 있다. 또한, 제1인터페이스(25)는 USB 포트 또는 데이터 포트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젠더(20)는 충전기(30)의 접속 단자(31)에 접속될 수 있는 제1인터페이스(25), 및 휴대 전화기(10)의 제1포트(13)에 삽입될 수 있는 제2인터페이스(23)를 포함한다.
제1인터페이스(25)는 휴대 전화 표준 규격에 의한 24핀의 입출력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소켓이고, 제2인터페이스(23)는 제조업체별로 상이한 휴대 전화기(10)의 제1포트(13)에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와 같은 접속 단자이다.
다시 말하면, 젠더(20)는 서로 다른 규격을 갖는 입출력 단자(예컨대, 24핀 입출력 단자를 사용하는 기존의 휴대 전화 표준 충전기(30)와 제조업체 별로 상이 한 입출력 단자를 갖는 휴대 전화기(10)) 사이에 접속되며, 휴대 전화 표준 충전기(30)로부터 제1인터페이스(25)로 입력되는 정격 전압 및/또는 데이터를 변환하여 제2인터페이스(23)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10)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젠더의 개략적인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젠더(20)는 제1인터페이스(25), 제2인터페이스(23), 배터리(43), 및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제1인터페이스(25)는 전원 공급 장치 예컨대, 충전기(30)의 접속 단자(31)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정격 전압을 수신한다.
제2인터페이스(23)는 휴대 전화기(10)의 제1포트(13)에 삽입되며, 충전기(30)로부터 제1인터페이스(25)를 통하여 수신된 정격 전압 또는 배터리(43)에 충전된 전압을 휴대 전화기(10)로 공급한다.
배터리(43)는 제1인터페이스(25)를 통하여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제공된 전압에 기초하여 배터리(43)의 충전 용량만큼의 전압을 저장(또는 충전)한다.
젠더(20)와 휴대 전화기(1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경우, 젠더(20)는 배터리(43)에 충전된 전압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을 제2인터페이스(23)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10)로 공급할 수 있다.
젠더(20)와 휴대 전화기(10)와 충전기(3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경우, 제어부(40)는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43)의 충전 동작과 휴대 전화기(10)에 내장된 메인 배터리(미도시)의 충전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는 휴대 전화기(10)의 OS(또는 펌웨어)와 연동하여 또는 상기 OS(또는 펌웨어)와 독립적으로 배 터리(40)의 충전 동작 또는 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젠더(20)와 휴대 전화기(10)와 충전기(3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경우, 제어부(40)는 휴대 전화기(10)에 내장된 메인 배터리(미도시)의 충전 동작을 먼저 수행하고, 상기 메인 배터리(미 도시)의 충전 동작이 종료된 후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43)의 충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젠더(20)와 충전기(30)만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43)의 충전 동작만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젠더(20)와 휴대 전화기(10)만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 배터리(43)에 충전된 전압이 제2인터페이스(23)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10)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기(10)는 메인 배터리(미 도시)의 충전된 전압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10)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그러나, 휴대 전화기(10)의 메인 배터리(미 도시)에 충전된 전압이 휴대 전화기(10)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보다 낮은 경우, 휴대 전화기(10)는 제어부(40)의 제어하에 제1포트에 삽입된 제2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43)로부터 휴대 전화기(10)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젠더(20)는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43)에 저장된 전압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을 제공함으로써 휴대 전화기(10)의 보조 배터리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43)는 충전기(30)를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재충전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33)는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30) 및/또는 휴대 전화기(10)에 내장된 메인 배터리(미 도시)의 충전 동작과 방전 동작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배터리(30)를 과충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보호 회로(미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는 도2의 젠더의 충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충전기(30)를 젠더(20)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10)에 접속하는 경우, 젠더(20)의 제어부(40)와 휴대 전화기(10)의 OS는 젠더(20)의 제2인터페이스(23)가 휴대 전화기(10)의 제1포트(13)에 삽입되었음을 자동으로 감지한다.
젠더(20)가 휴대 전화기(10)와 충전기(30)의 접속이 인식되는 경우, 젠더(20)는 제1인터페이스(25)를 통하여 충전기(30)로부터 공급된 전원 전압을 변환하여 제2인터페이스(23)를 통해 휴대 전화기(10)로 바이패스한다(S110). 휴대 전화기(10)는 수신된 전원 전압에 기초하여 메인 배터리(미도시)의 충전 용량만큼의 전압을 메인 배터리(미도시)에 충전한다. 이때, 제어부(40)는 제2인터페이스(23)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10)의 메인 배터리(미도시)의 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
메인 배터리(미도시)의 충전 동작이 완료된 경우(S120), 젠더(20)는 제어부(40)의 제어하에 충전기(30)로부터 공급된 전원 전압을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43)로 공급한다(S130).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43)에는 배터리(43)의 충전 용량만큼의 전압이 저장(또는 충전)된다.
또한, 젠더(20)와 충전기(30)만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 즉 젠 더(20)의 제2인터페이스(23)가 휴대 전화기(10)의 제1포트(13)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 젠더(20)는 제2인터페이스(23)와 제1포트(13)가 서로 접속되지 않음을 인식한 제어부(40)의 제어하에 충전기(30)로부터 공급된 전원 전압을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43)로 공급한다. 즉, 젠더(20)는 젠더(20)와 휴대 전화기(10)의 접속과 상관없이 젠더(20)와 충전기(30)가 접속되는 것과 동시에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의 충전 동작을 바로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43)의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휴대 전화기(10)의 제1포트(13)와 젠더(20)의 제2인터페이스(23)가 접속되는 경우, 젠더(20)는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43)의 충전 동작을 중단한다. 그리고 젠더(20)는 휴대 전화기(10)에 내장된 메인 배터리(미도시)의 충전 동작을 먼저 수행하고, 메인 배터리(미도시)의 충전 동작이 완료된 후에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43)의 충전 동작을 다시 수행한다.
즉, 제어부(40)는 제1포트(13)가 제2인터페이스(23)에 접속됨을 감지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제1인터페이스(25)를 통하여 입력된 전압을 제2인터페이스(23)로 바이패스하거나 배터리(43)로 공급하는 것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젠더의 개략적인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4을 참조하면, 젠더(20)는 제1인터페이스(25), 제2인터페이스(23), 스위치(53), 배터리(43),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제1인터페이스(25)는 전원 공급 장치 예컨대, 충전기(30)의 접속 단자(31)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정격 전압을 수신한다.
제2인터페이스(23)는 휴대 전화기(10)의 제1포트(13)에 삽입되며, 충전기(30)로부터 제1인터페이스(25)를 통하여 수신된 정격 전압을 휴대 전화기(10)로 공급한다.
배터리(43)는 제1인터페이스(25)와 제어부(50)를 통하여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제공된 정격 전압을 수신하고, 수신된 정격 전압에 기초하여 배터리(43)의 충전 용량만큼의 전압을 저장(또는 충전)한다.
젠더(20)와 휴대 전화기(1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경우,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43)는 배터리(43)에 충전된 전압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을 제2인터페이스(23)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10)로 공급할 수 있다.
스위치(53)는 젠더(20)의 본체 일 측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선택 신호(SW1)을 발생한다. 젠더(20)의 제어부(50)는 사용자 선택 신호(SW1)에 응답하여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43) 및/또는 휴대 전화기(10)에 내장된 메인 배터리(미도시)의 충전 동작을 먼저 수행하기 위한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스위치(53)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선택 신호(SW1)를 발생함으로써 적어도 두 개의 동작 모드로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43) 및/또는 휴대 전화기(10)에 내장된 메인 배터리(미도시)의 충전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치는 제1동작모드와 제2동작모드를 포함하고, 제1동작모드에서는 휴대 전화기(10)에 내장된 메인 배터리의 충전 동작을 먼저 수행하도록 설정하고, 제2동작 모드에서는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의 충전 동작을 먼저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사용자 선택 신호(SW1)에 응답하여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43)의 충전 동작과 휴대 전화기(10)에 내장된 메인 배터리(미도시)의 충전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1동작 모드에서, 즉 제1레벨(예컨대, 하이레벨)을 갖는 사용자 선택 신호(SW1)에 응답하여 제어부(50)는 휴대 전화기(10)의 메인 배터리의 충전 동작을 먼저 수행하기 위하여 제1인터페이스(25)를 통하여 입력된 전압을 제2인터페이스(23)로 바이패스하고, 메인 배터리(미도시)의 충전 동작이 종료된 후 제1인터페이스(25)를 통하여 입력된 전압을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43)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동작 모드에서, 즉 제2레벨(예컨대, 로우레벨)을 갖는 사용자 선택 신호(SW1)에 응답하여 제어부(50)는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43)의 충전 동작을 먼저 수행하기 위하여 제1인터페이스(25)를 통하여 입력된 전압을 배터리로(43)로 공급하고, 배터리(43)의 충전 동작이 종료된 후 제1인터페이스(25)를 통하여 입력된 전압을 제2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10)에 내장된 메인 배터리(미도시)로 바이패스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위치(29)는 푸시 버튼(push button)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또는 락커 스위치 등으로 구현되어 제1동작모드와 제2동작모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스위치(53)가 기계식인 경우에도 제1동작모드와 제2동작모드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젠더(20)는 본체의 일 측에 발광 소자(예컨대, LED(Light Emitting Diode))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젠더(20)의 제1인터페이스(25)와 제2인터페이스(23)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충전기(30)와 휴대 전화기(1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때, 젠더(20)는 외부의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인가된 정격 전압에 기초하여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43) 또는 휴대 전화기(10)에 내장된 메인 배터리(미도시)의 충전 동작을 수행하고, 충전 동작 상태에 따라 젠더(20)에 부착된 발광 소자가 발광한다.
즉, 발광 소자는 젠더(20)의 충전 동작 상태(예컨대,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43)을 충전 중, 휴대 전화기(10)에 내장된 메인 배터리(미도시)를 충전 중, 또는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43)와 휴대 전화기(10)에 내장된 메인 배터리(미도시)의 충전 완료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다.
예컨대, 발광 소자는 휴대 전화기(10)에 내장된 메인 배터리(미도시)가 충전되고 있는 동안에는 레드 색상으로 발광하고,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가 충전되고 있는 동안에는 블루 색상으로 발광하고, 휴대 전화기(10)에 내장된 배터리와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가 모두 충전 완료된 경우에는 화이트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젠더(20)가 충전기(30)에만 접속되어 있는 경우, 발광 소자는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43)의 충전이 종료된 경우에도 화이트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다.
즉 스위치가 제1동작 모드로 설정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젠더(20)에 부착된 발광 소자는 젠더(20)의 충전 동작에 따라 레드 색상, 블루 색상, 그리고 화이트 색상으로 순차적으로 발광한다.
또한, 스위치가 제2동작 모드로 설정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젠더(20)의 발광 소자는 젠더(20)의 충전 동작에 따라 블루 색상, 레드 색상, 그리고 화이트 색상으로 순차적으로 발광한다.
도 5는 도 4의 젠더의 충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젠더(20)의 제2인터페이스(23)를 휴대 전화기(10)의 제1포트(13)에 삽입하는 경우, 젠더(20)의 제어부(50)와 휴대 전화기(10)의 OS는 제2인터페이스(23)가 휴대 전화기(10)의 제1포트(13)에 삽입되었음을 자동으로 감지한다.
젠더(20)는 사용자 선택 신호(SW1)에 응답하여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43)와 휴대 전화기(10)에 내장된 메인 배터리(미도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충전 동작을 먼저 수행할지 동작 모드를 판별한다(S140).
예컨대, 젠더(20)는 사용자 선택 신호(SW1)가 제1레벨(하이 레벨)을 갖는 경우 제1동작모드로 충전 동작을 수행하고, 사용자 선택 신호(SW1)가 제2레벨(로우 레벨)을 갖는 경우 제2동작 모드로 충전 동작을 수행한다. 사용자 선택 신호(SW1)는 사용자가 스위치(53)를 스위칭하는 동작에 기초하여 발생될 수 있다.
제1동작 모드인 경우, 젠더(20)의 제어부(50)는 제1인터페이스(25)를 통하여 충전기(30)로부터 공급된 공급 전압을 제2인터페이스(23)를 통해 휴대 전화기(10)로 바이패스한다. 휴대 전화기(10)에 내장된 메인 배터리에는 변환된 전압에 기초하여 메인 배터리의 충전 용량만큼의 전압이 충전된다(S150).
메인 배터리(미도시)의 충전 동작이 완료된 경우(S160), 젠더(20)의 제어 부(50)는 충전기(30)로부터 공급된 공급 전압을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로 공급한다(S170).
제2동작 모드인 경우, 젠더(20)의 제어부(50)는 충전기(30)로부터 공급되 공급 전압에 기초하여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43)의 충전 동작을 먼저 수행한다. 젠더(20)의 제어부(50)는 젠더(20)에 내장된 배터리(43)의 충전 동작이 완료된 후(S190), 휴대 전화기(10)에 내장된 메인 배터리(미도시)의 충전 동작을 수행한다(S2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젠더(20)는 새로운 입출력 단자가 적용된 휴대 전화기를 별도의 충전기를 구비하지 않고도 기존의 24핀 표준 단자가 적용된 휴대 전화 표준 충전기를 사용하여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내장함으로써 필요시에 보조 배터리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젠더(20)는 휴대 전화기(10)의 메인 배터리(미도시)의 충전된 전압이 고갈된 경우, 휴대 전화기(10)의 구동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배터리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젠더(20)가 휴대 전화기로 비상 또는 예비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보조 배터리를 휴대할 필요가 없으므로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 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전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젠더의 개략적인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젠더의 충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젠더의 개략적인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젠더의 충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Claims (6)

  1.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에 접속될 수 있는 제1인터페이스;
    메인 배터리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의 포트에 접속될 수 있는 제2인터페이스;
    배터리;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 상기 포트와 상기 제2인터페이스의 접속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전원을 상기 메인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제2인터페이스로 바이패스하거나 또는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젠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트와 상기 제2인터페이스가 서로 접속됨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을 상기 제2인터페이스로 바이패스하고,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 동작이 완료됨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을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젠더.
  3.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에 접속될 수 있는 제1인터페이스;
    메인 배터리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의 포트에 접속될 수 있는 제2인터페이스;
    배터리;
    사용자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 상기 포트와 상기 제2인터페이스의 접속 여부와 상기 사용자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전원을 상기 메인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제2인터페이스로 바이패스하거나 또는 상기 전원을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젠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선택 신호가 제1레벨을 갖는 경우, 상기 포트와 상기 제2인터페이스가 서로 접속됨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을 상기 제2인터페이스로 바이패스하고,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 동작이 완료됨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을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고,
    상기 사용자 선택 신호가 제2레벨을 갖는 경우, 상기 포트와 상기 제2인터페이스가 서로 접속됨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을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동작이 완료됨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을 상기 제2인터페이스로 바이패스하는 젠더.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푸시 버튼(push botton)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또는 락커 스위치인 젠더.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젠더는,
    상기 메인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는 젠더.
KR1020080038778A 2008-04-25 2008-04-25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내장한 젠더 KR200901129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778A KR20090112968A (ko) 2008-04-25 2008-04-25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내장한 젠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778A KR20090112968A (ko) 2008-04-25 2008-04-25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내장한 젠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968A true KR20090112968A (ko) 2009-10-29

Family

ID=41554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778A KR20090112968A (ko) 2008-04-25 2008-04-25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내장한 젠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296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280A (ko) * 2010-06-29 2012-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충전 장치 및 그의 충전 방법 및 충전 시스템
KR101284954B1 (ko) * 2011-12-16 2013-07-10 김옥조 휴대단말기의 임시 또는 긴급 충전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
KR101500718B1 (ko) * 2013-09-04 2015-03-12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보조 배터리 충전장치에서의 충전 우선순위 제어 회로
KR20180050118A (ko) * 2016-11-04 2018-05-14 삼중테크 주식회사 승강장 스크린 도어용 지능형 개별 제어반
WO2022265205A1 (ko) * 2021-06-18 2022-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내장 어댑터를 이용한 전력 충전 시스템 및 전력 충전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280A (ko) * 2010-06-29 2012-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충전 장치 및 그의 충전 방법 및 충전 시스템
KR101284954B1 (ko) * 2011-12-16 2013-07-10 김옥조 휴대단말기의 임시 또는 긴급 충전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
KR101500718B1 (ko) * 2013-09-04 2015-03-12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보조 배터리 충전장치에서의 충전 우선순위 제어 회로
KR20180050118A (ko) * 2016-11-04 2018-05-14 삼중테크 주식회사 승강장 스크린 도어용 지능형 개별 제어반
WO2022265205A1 (ko) * 2021-06-18 2022-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내장 어댑터를 이용한 전력 충전 시스템 및 전력 충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5118B2 (en) Charge system and charger for an electric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117840A1 (en) Bluetooth Earphone And Host Device Using The Bluetooth Earphone
US6339311B1 (en) Photovoltaic power sour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90058356A1 (en) Multi-charging device and method
KR20090112968A (ko)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내장한 젠더
KR100475455B1 (ko) 외장형 전지팩
KR200442993Y1 (ko) 휴대용 비상 배터리
CN116707047A (zh) 充放电电路、电子设备及电子系统
WO2016182092A1 (ko) 충방전기능을 갖는 휴대단말용 배터리팩 파우치 장치
CN100358211C (zh) 手机充电装置
KR20060022722A (ko) 휴대단말기용 외장형 배터리팩
KR200379930Y1 (ko) 휴대용 다중 직류전압 공급장치
KR100623625B1 (ko) 휴대형 범용 전력 공급장치
KR20120009890A (ko) 휴대단말기용 젠더
KR100788595B1 (ko) 휴대용 보조 전원 장치
US20060028174A1 (en) Battery pack and charg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0422217Y1 (ko) 이동기기용 예비 2차 전지장치
KR20060080652A (ko) 휴대용 충전장치
JP2001069682A (ja) 電源ユニット
KR200195459Y1 (ko) 무선데이터통신용단자가부설된휴대폰충전대
KR200274609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충전장치가 구비된 핸드폰 배터리
WO2009102140A2 (ko) 부가 기능을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KR20030063259A (ko) 2차 전지를 이용한 충전 겸용 휴대용 단말기 보조 배터리및 이를 이용한 보조 배터리 충전과 휴대용 단말기 전원공급 방법
KR102232933B1 (ko) 보조 배터리
KR20070000812U (ko) 유에스비 포트를 이용한 충전식 에프엠 라디오 및휴대전화보조배터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