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7819A - 휠 돌리의 유압제어기구 - Google Patents

휠 돌리의 유압제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7819A
KR19990067819A KR1019990000373A KR19990000373A KR19990067819A KR 19990067819 A KR19990067819 A KR 19990067819A KR 1019990000373 A KR1019990000373 A KR 1019990000373A KR 19990000373 A KR19990000373 A KR 19990000373A KR 19990067819 A KR19990067819 A KR 19990067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oil tank
valve
lift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0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3854B1 (ko
Inventor
다키모토쇼이치로
Original Assignee
스기우라 야스나리
스기야스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기우라 야스나리, 스기야스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스기우라 야스나리
Publication of KR19990067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8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트를 들어올릴 때, 캐리지에 과대한 부하가 가해졌을 경우, 캐리지를 하강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오일 탱크(12)와 유압실린더(11) 사이를, 로어링 밸브(14)를 폐쇄한 상태에서 플런저 펌프(13)를 구동함으로써 오일 탱크(12) 내의 작동유를 실린더(11) 내로 보내어 리프트 업을 가능하게 하는 유로(15)로 접속하고, 상기한 유압실린더(11)와 오일 탱크(12)를, 릴리프 밸브(20)를 가진 제 1 바이패스(21)로 연결함으로써, 유로(15) 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상기한 릴리프 밸브(20)를 거쳐 오일 탱크(12)쪽으로 유압을 빼내 리프트 업을 중지 또는 리프트 다운시킨다.

Description

휠 돌리의 유압제어기구{HYDRAULIC CONTROLLER OF WHEEL DOLLY}
본 발명은, 휠 돌리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유압제어기구에 관한 것이다.
휠 돌리에는, 리프트 업 능력에 따른 최대허용하중이 설정되어 있어, 소정 이상의 중량물을 들어올릴 수 없게 되어 있고, 또 들어올린 타이어에 대해서는 하강방지기능도 편성되어 있다.
보디는, 적어도 구동기구의 능력을 커버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갖고 있으므로, 리프트의 최대허용하중은 구동기구의 능력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휠 돌리와 동일한 유압제어기능을 갖는 예를 들어 일본국 실공 평6-36076호 공보에 개시된 리프트장치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일 탱크(12)와 유압실린더(11) 사이를, 플런저 펌프(13)를 구비한 공급경로와 로어링 밸브(14)를 구비한 반송경로로 연결하고, 상기한 로어링 밸브(14) 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플런저 펌프(13)를 구동함으로써 오일 탱크(12) 내의 작동유를 유압실린더(11) 내로 보내어 리프트 업을 가능하게 한 유압회로에, 릴리프 밸브(24)를 구비한 바이패스로(路)(25)를 설치하여, 허용하중을 오버하고 있으면 상기 바이패스로(25)를 거쳐 유압이 빠져 리프트 업 동작을 불능으로 함으로써 리프트 업을 허용하중 이내에서만 가능하게 하는 한편, 하중에 관계없이 로어링 밸브(14)를 동작시켰을 때에만 한하여 리프트 다운을 가능하게 한 유압회로가 채용되고 있다.
상기 유압회로를 채용한 리프트장치는, 리프트 업 후에 짐의 주고받음 등에 의해 과잉하게 쌓여지더라도 그 높이는 유지된다.
즉, 일단 리프트 업되면 리프트 업상태에서 하강방지기능이 작용하므로,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로어링 밸브를 조작할 수밖에 없다.
휠 돌리에 있어서는, 떼어 낸 타이어를 싣고 차량 밑에서 인출하는 것을 잊어버린 채 잭을 내리는 등 하여 차량을 포크에 올려놓는 것이 예상된다.
그와 같은 경우, 리프트 업용 구동기구는 물론 보디 그 자체도 차량의 중량에 대항할 만큼의 강성을 가지고 있지는 않으므로, 즉시 하강방지기능을 해제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유압제어기구를 채용한 휠 돌리의 측면도,
도 2는 휠 돌리의 배면도,
도 3은 유압제어유닛을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유압제어회로의 설명도,
도 5(a), (b), (c)는 모두 작동유의 흐름을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변경예의 유압제어유닛을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변경예의 유압제어회로의 설명도,
도 8은 다른 변경예에 관한 유압제어회로를 나타낸 설명도,
도 9는 종래예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대차(臺車)2 : 지주
3 : 캐리지3a : 브래킷
3b : 포크4 : 유압유닛
5 : 빔6 : 타이어
7 : 틸트기구8 : 걸어멈춤구
8a : 슬라이드 바8b : 걸어멈춤부
9 : 누름체9a : 누름판
10 : 베이스11 : 유압실린더
11a : 피스톤 로드12 : 오일 탱크
13 : 플런저 펌프14 : 로어링 밸브
15 : 유로16 : 스프로킷
17 : 체인18 : 체크밸브기구
18a, 18b : 체크밸브19, 19' : 드로틀
20 : 릴리프 밸브21, 21' : 제 1 바이패스로
22 : 릴리프 밸브23 : 제 2 바이패스로
24 : 릴리프 밸브25 : 바이패스로
리프트 업상태에서 쌓거나 승강대에 과대한 부하가 작용하였을 경우, 신속하게 유압을 빼내 무리하게 지탱하게 하지 않는 휠 돌리의 유압제어기구로서, 그 구성은, 오일 탱크와 유압실린더 사이를, 유압펌프를 구비한 공급로와, 개폐밸브를 구비한 반송로로 연결하고, 상기 개폐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오일 펌프를 구동함으로써 오일 탱크 내의 작동유를 유압실린더 내로 보내어 리프트 업을, 또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유압실린더 내의 작동유를 오일 탱크로 되돌려 보내 리프트 다운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한 유압실린더와 오일 탱크를, 릴리프 밸브를 가진 제 1 바이패스로로 연결하고, 제 1 바이패스로에, 구멍지름에 대하여 통로의 길이가 5배 이상 확보된 드로틀을 설치한 데에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 탱크와, 공급로에 있어서의 플런저 펌프와 그 입력쪽에 배치된 체크밸브 사이를, 제 1 바이패스로에 설치된 릴리프 밸브보다 적은 압력으로 동작하는 릴리프 밸브를 가진 제 2 바이패스로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휠 돌리의 유압제어기구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휠 돌리의 구조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간단하게 설명하면, 휠 돌리는, 대차(臺車)(1)의 뒷부분 좌우에 세워져 설치된 한 쌍의 지주(支柱)(2, 2) 사이에 걸터진 캐리지(3)가 설치되고, 상기 지주(2, 2) 사이로 맞닿는 대차(1)의 뒷부분에는 유압유닛(4)이 탑재되어 있다.
좌우의 지주(2, 2)는, 상단부끼리와 중간보다 약간 아래쪽 부위끼리가 각각 빔(5, 5)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캐리지(3)는, 지주(2, 2)에 대하여 그들 지주(2, 2)를 따라 승강이 자유롭도록 맞붙여진 브래킷(3a)으로부터 좌우 한 쌍의 포크[3b, (3b)]가 앞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설치되고, 그들 2개의 포크[3b, (3b)]를 걸터지도록 가로자세로 타이어(6)를 싣고 들어올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의 휠 돌리에서는, 캐리지(3)에, 상기 포크(3b, 3b) 위에 걸터놓은 타이어(6)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설치되고, 또 포크(3b, 3b)의 돌출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틸트기구(7)가 조립되어 있다.
상기 차륜고정기구는, 끝단에 걸어멈춤부(8b)가 L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슬라이드 바(8a)를 각 포크(3b, 3b)를 따라 앞쪽으로 슬라이드시켜 록 하고, 슬라이드 바(8a)를, 앞쪽을 향하고 있는 타이어(6)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회동시켜 앞쪽을 향한 타이어(6)의 측면에 거는 것으로서, 타이어(6)가 앞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어멈춤구(8)와, 끝단에 설치되어 있는 누름판(9a)을 앞쪽으로 밀어뜨려, 뒤쪽을 향한 타이어 측면에 밀어 붙여 타이어가 뒤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누름체(9)로 구성되어 있어, 포크(3b, 3b) 위에 타이어가 한 개밖에 실어 걸터지지 않을 때에 이용된다.
상기 유압유닛(4)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0) 위에 유압실린더(11)가 세워져 설치되고, 그 유압실린더(11)에는 실린더 주위를 둘러싸도록 오일 탱크(12)가 동심원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들 유압실린더(11) 및 오일 탱크(12)의 뒤쪽에는 유압펌프로서의 플런저 펌프(13)와 개폐밸브로서의 로어링 밸브(14)가 배치되고, 그들 유압실린더(11), 오일 탱크(12), 플런저 펌프(13)와 로어링 밸브(14)의 상호간은 베이스(10) 내에 형성된 유로(15)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11)에는, 피스톤 로드(11a)의 끝단에 설치된 스프로킷(16)에 체인(17)이 반복하여 걸려져 있고, 그 체인(17)의 각 끝단부를 상기 지주(2, 2)를 각각 연결하고 있는 아래쪽의 빔(5)과 캐리지(3)의 브래킷(3a)에 연결함으로써, 피스톤 로드(11a)의 움직임에 따라 2배의 속도로 승강 동작된다.
상기 유압유닛을 유압제어회로도로 나타낸 것이 도 4로서, 유압실린더(11)는, 유로(15A, 15B, 15C, 15D)로 형성되는 공급경로와 유로(15D, 15C)로 형성되는 반송경로로 연결되고, 공급경로 도중에 플런저 펌프(13)가 접속되며, 그 플런저 펌프(13)의 전후에는 유압실린더(11)로부터 오일 탱크(12)쪽으로의 흐름을 저지하는 체크밸브(18a, 18b)로 이루어지는 체크밸브기구(18)가 설치되고, 로어링 밸브(14)는 반송경로 도중에 설치되어 있다.
또, 유압실린더(11)와 오일 탱크(12) 사이는, 드로틀(19)과, 유압실린더쪽으로부터 오일 탱크쪽으로 유압을 빼내는 릴리프 밸브(20)를 구비한 제 1 바이패스로(21)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드로틀(19)은, 길이가 지름에 대하여 5배 이상 확보되어 있고, 작동유가 그 제 1 바이패스로(21)를 통과하여 빠져나갈 때에 맥류음(이하 경고음이라 함)을 발생시켜, 그것에 의하여 리프트 다운 동작한 것을 알게 하여 주의를 환기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유압제어회로에 의하면, 플런저 펌프(13)를 동작시키면, 오일 탱크(12) 내의 작동유는 체크밸브(18a)를 밀어 열어서 유로(15A)로부터 일단 플런저 펌프(13) 내로 흡입되고, 이어서 플런저 펌프(13)로부터 밀려나옴으로써 체크밸브(18b)를 밀어 열어서 유로(15B)로 송출되어, 유로(15C 및 15D)를 통하여 유압실린더(11) 내로 눌려 넣어진다(도 5의 a).
그에 따라 유압실린더(11)로부터 피스톤 로드(11a)가 돌출하고 캐리지(3)가 상승한다.
또, 로어링 밸브(14)를 개방하면, 실린더(11) 내의 작동유는 유로(15D)로부터 유로(15C)를 통하여 오일 탱크(12)로 복귀하고 캐리지가 리프트 다운된다(도 5의 b).
상기한 리프트 업 조작시에 너무 많이 쌓은 것에 의한 하중 오버가 있으면, 실린더(11) 내의 유압이 제 1 바이패스로(21)를 거쳐 오일 탱크(11)로 빠지게 되어 캐리지(3)는 상승하지 않고, 리프트 업 동작중, 캐리지(3) 또는 적재물이 천장의 빔 등에 접촉하였을 경우에도 공급된 유압이 빠져 상승은 거기서 멈춘다(도 5의 c).
또, 소정 높이로 리프트 업시킨 상태에 있어서, 캐리지(3)에 소정 이상의 하중이 가해져 유로(15)(유로 15A를 제외함) 내의 압력이 높아졌을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하게 작동유가 제 1 바이패스로(21)를 거쳐 빠져나간다.
따라서 과대한 부하가 가해지면 그 압력에 대항하지 않고 캐리지가 내려가므로 리프트에는 영향이 없다.
그리고 상기한 제 1 바이패스로를 거쳐 유압이 빠져나갈 때에는 경고음이 발생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1 바이패스로를 1계통 구비하고 그 제 1 바이패스로(21)에 길이가 지름에 대하여 5배 이상 확보된 드로틀(19)을 채용하고 있으나,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바이패스로(21, 21')를 2계통 설치하고 이들 2계통의 제 1 바이패스로(21, 21')의 한쪽에만 길이가 지름에 대하여 5배 이상 확보된 드로틀(19')을 채용하거나, 도시생략하였으나, 제 1 바이패스로를 복수 계통 설치하고 제 1 바이패스로 전부에 경고음을 발생하는 드로틀을 설치하여 경고음을 크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변경예는, 도면에 상기 실시예와 공통하는 부재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였다.
상기한 어느 쪽의 구조이더라도, 본 발명의 유압제어기구는, 종래의 유압유닛과 동일하게 베이스 내에 설치한 유로를 이용하여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 펌프(13)와 그 입력쪽에 배치된 체크밸브(18a) 사이와 오일 탱크(12)를, 제 1 바이패스로에 설치된 릴리프 밸브보다 적은 압력으로 동작하는 릴리프 밸브(22)를 갖는 제 2 바이패스로(23)로 연결하고, 적재오버일 때에는 제 2 바이패스로(23)를 거쳐 유압을 빼내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하중오버시와 과대한 부하가 가해졌을 때에 작동하는 릴리프 밸브가 다르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제 2 바이패스로(23)에 설치되는 릴리프 밸브(22)를 제 1 바이패스로(21)에 설치된 릴리프 밸브(20)보다 저압으로 동작하도록 설정하여, 최대하중 직전의 짐을 적재하고 이동하는 중에 진동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부하가 가해지거나 짐이 무너지지 않도록 가볍게 손으로 누르게 함으로써 허용하중을 오버하더라도 제 1 바이패스로(21)에 설치한 릴리프 밸브(20)는 동작하지 않고, 과대한 부하가 가해졌을 때에만 제 1 바이패스로(21)에 설치한 릴리프 밸브(20)가 동작하여 캐리지가 하강 가능하게 된다.
또, 제 2 바이패스로에도 경고음을 발생하는 기능을 부가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는 공급경로와 반송경로가, 베이스 내에 형성된 공통의 유로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으나, 유로는 베이스 내에 공급경로와 반송경로를 별개로 독립하여 설치하거나 파이프를 접속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압제어기구에 의하면, 리프트 다운 상태에서 리프트 업 조작하더라도 중량오버이면 제 1 바이패스로에 설치한 릴리프 밸브가 작동하여 유압이 오일 탱크로 빠져나가 리프트 업 동작하지 않는다.
또, 상기한 릴리프 밸브는 리프트 업 상태에서 중량오버가 되더라도 동작하기 때문에, 리프트 업 도중이나 리프트 업 중에 과대한 부하가 작용하면 유압이 오일 탱크로 빠져나가 자동적으로 강하한다.
그리고 펌프에 플런저식을 채용하면 종래 기종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고, 릴리프 밸브를 가진 바이패스로에 드로틀을 설치함으로써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 제 2 바이패스로를 설치하고 그 제 2 바이패스로에도 릴리프 밸브를 설치하면, 실린더에 가해지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동작하는 릴리프 밸브가 다르므로, 예를 들어 최대하중 직전의 짐을 적재하고 이동하는 중에 진동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부하가 가해지거나 짐이 무너지지 않도록 가볍게 손으로 누르게 함으로써 부하가 약간 변화한 것만으로는 하강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Claims (2)

  1. 오일 탱크와 유압실린더 사이를, 유압펌프를 구비한 공급로와, 개폐밸브를 구비한 반송로로 연결하고, 상기 개폐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오일 펌프를 구동함으로써 오일 탱크 내의 작동유를 유압실린더 내로 보내어 리프트 업을, 또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유압실린더 내의 작동유를 오일 탱크로 되돌려 보내 리프트 다운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한 유압실린더와 오일 탱크를, 릴리프 밸브를 가진 제 1 바이패스로로 연결하고, 제 1 바이패스로에, 구멍지름에 대하여 통로의 길이가 5배 이상 확보된 드로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돌리의 유압제어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오일 탱크와, 공급로에 있어서의 플런저 펌프와 그 입력쪽에 배치된 체크밸브 사이를, 제 1 바이패스로에 설치된 릴리프 밸브보다 적은 압력으로 동작하는 릴리프 밸브를 가진 제 2 바이패스로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돌리의 유압제어기구.
KR1019990000373A 1998-01-12 1999-01-11 휠 돌리의 유압제어기구 KR100283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04125A JPH11199200A (ja) 1998-01-12 1998-01-12 ホイールドーリの油圧制御機構
JP10-4125 1998-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819A true KR19990067819A (ko) 1999-08-25
KR100283854B1 KR100283854B1 (ko) 2001-02-15

Family

ID=11576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0373A KR100283854B1 (ko) 1998-01-12 1999-01-11 휠 돌리의 유압제어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1199200A (ko)
KR (1) KR100283854B1 (ko)
TW (1) TW5083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8178B2 (en) 1999-11-24 2008-12-23 Neurosciences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s for identifying compounds that modulate vigilance states
CN103482532A (zh) * 2013-05-14 2014-01-01 京山县杰美实业有限责任公司 一种新型差动式液压装卸车
TWI555696B (zh) * 2015-07-07 2016-11-01 Zong-Yi Yang Jack loose structure manually
JP2020185899A (ja) * 2019-05-15 2020-11-19 株式会社スギヤス タイヤリフ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3854B1 (ko) 2001-02-15
TW508343B (en) 2002-11-01
JPH11199200A (ja) 1999-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55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operation of pallet trucks
US7240771B2 (en) Mast staging hydraulic circuit
US5975496A (en) Multiple pump transmission jack
US20110139546A1 (en) Hydraulic system for double stacker industrial truck
US11565923B2 (en) Chain slack detection system
KR100283854B1 (ko) 휠 돌리의 유압제어기구
CA1252426A (en) Method of operating a boom
KR20180001351U (ko) 이동형 마스트를 이용한 포크 위치 미세조정이 가능한 지게차
EP2072330A2 (en) Loading platform for goods or animals provided with vertically moving surfaces and loading method
JP2002178956A (ja) 大型運搬車両
KR100427336B1 (ko) 트럭의 로딩 시스템
US4827830A (en) Chassis towveyor cart
US3199700A (en) Lift truck fork operating control mechanism
JP3681298B2 (ja) 高所作業車の過積載作動規制装置
JP2550365Y2 (ja) 油圧昇降装置の油圧回路
JPS627679Y2 (ko)
JP2006225091A (ja) フォークリフト
JP2003165377A (ja) 荷受台昇降装置
JPS6030297Y2 (ja) 荷役車両における昇降装置
JP2003212486A (ja) 荷役車両のパレット固定方法
JPS5982298A (ja) フオ−クリフトトラツクにおけるフオ−ク自動停止方法
SU1763260A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JPH02291399A (ja) オイルフルシリンダ装置
JPH0986897A (ja) 荷役車両のレバーロック装置
JP2002321893A (ja) 機械式駐車設備用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