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7568A - 회전무화헤드 - Google Patents

회전무화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7568A
KR19990067568A KR1019980703591A KR19980703591A KR19990067568A KR 19990067568 A KR19990067568 A KR 19990067568A KR 1019980703591 A KR1019980703591 A KR 1019980703591A KR 19980703591 A KR19980703591 A KR 19980703591A KR 19990067568 A KR19990067568 A KR 19990067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l cup
paint
solvent
circumferential surface
atomiz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3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5705B1 (ko
Inventor
신이치 다카야마
마사토시 곤
쇼고 이케다
Original Assignee
댄 키스 보
에이비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댄 키스 보, 에이비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댄 키스 보
Publication of KR19990067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7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1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3/1064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sprayed being axially supplied to the rotating member through a hollow rotating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1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1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3/1007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characterised by the rotating member
    • B05B3/1014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characterised by the rotating member with a spraying edge, e.g. like a cup or a b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05B5/04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characterised by having rotary outlet or deflecting elements, i.e. spraying being also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1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3/1092Means for supplying shaping gas

Landscapes

  • Nozzles (AREA)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 컵의 외주면에 부착한 도료의 세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회전 무화헤드에 관한 것이다. 벨 컵(11)에, 도료고임부(15)와 벨 컵(11)의 외주면(11H) 사이를 연통하는 용제통로(16)를 설치하고, 벨 컵(11)의 외주쪽에 환상 가이드(17)를 설치한다. 이에 의해, 회전 무화헤드(10) 세정시에, 용제공급노즐(6)로부터 토출된 시너는, 도료고임부(15), 용제통로(16)를 거쳐 벨 컵(11)과 환상 가이드(17) 의 확개부(17B) 사이에 형성된 용제확산실(18)에 유출된다. 그리고, 이 시너는 용제확산실(18) 내에서 벨 컵(11)의 전 둘레에 걸쳐 확산된 후, 벨 컵(11)의 외주면(11H)의 방출단 가장자리(11D)를 향하여 흐른다. 이에 의해, 벨 컵(11)의 외주면(11H)에 부착된 도료를 세정한다.

Description

회전 무화헤드
일반적으로, 회전 무화헤드를 사용하는 정전도장기는, 도장기 본체와 상기 도장기 본체 내를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 구동하기 위해 상기 도장기 본체에 설치된 에어 모터와 상기 에어 모터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장기 본체밖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축 선단에 설치된 회전 무화헤드와 상기 회전축 내에 끼워 통해지고 선단쪽이 상기 회전 무화헤드 내에 뻗어 있는 공급 노즐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 노즐은 상기 회전 무화헤드를 향하여 도료 또는 세정용의 용제로서의 시너를 토출,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급 노즐은 도료 배관 등을 거쳐 색깔교체 밸브장치나 시너원 등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무화헤드는, 벨형 또는 컵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의 앞부분쪽이 도료를 박막화하는 도료박막화면이 되는 동시에 내주면의 뒤부분쪽이 도료받이면으로 된 벨 컵과, 상기 벨 컵의 내주쪽에 위치하여 상기 벨 컵의 도료박막화면과 도료받이면 사이에 설치된 허브 부재와, 상기 허브 부재의 뒷면과 상기 벨 컵의 도료받이면 사이에 구획이 만들어져, 도장기 본체에 설치된 공급 노즐로부터 도료받이면에 공급되는 도료 또는 용제를 모으는 도료고임부와, 상기 허브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 노즐로부터 상기 도료고임부에 공급된 도료 또는 용제를 상기 벨 컵의 도료박막화면에 유출시키는 복수의 도료유출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정전도장기로 도장을 행할 때에는, 먼저, 에어 모터에 압축 에어를 공급하여 회전축과 회전 무화헤드를 고속 회전시킨다. 그리고, 공급 노즐로부터 회전 무화헤드를 향하여 도료를 토출한다. 이에 의해, 도료는 회전 무화헤드의 벨 컵 내주쪽에 유입되고 도료박막화면에서 박막화되어, 방출단 가장자리로부터 대전도료입자로 되어 방출된다. 이 때, 해당 정전도장기와 피도장물 사이에는 정전계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무화헤드의 방출단 가장자리로부터 방출된 대전도료입자는 전기력선을 따라 피도장물을 향하여 비행하여 상기 피도장물에 칠해진다.
또, 상기 정전도장기에 의해 도장을 행하면, 벨 컵의 도료박막화면, 도료받이면 등에 도료가 부착된다. 이 도료박막화면 등에 부착한 도료를 세정하기 위해서는, 에어 모터에 의해 회전축과 회전 무화헤드를 회전시키면서, 공급 노즐로부터 벨 컵을 향하여 시너를 토출한다. 이에 의해, 시너는 벨 컵의 내주쪽으로 유입되고, 상기 시너가 도료박막화면을 거쳐 방출단 가장자리로부터 방출될 때까지의 동안에 도료박막화면 등에 부착된 도료를 제거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정전도장기에 있어서, 도장 시에 벨 컵의 방출단 가장자리로부터 방출된 도료입자는, 그 대부분이 전기력선을 따라 피도장물에 도착(塗着)되나, 일부의 도료입자는 벨 컵의 후방으로 역류하여 벨 컵의 외주쪽으로 돌아 들어간다. 이 결과, 벨 컵의 외주면에 도료가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즉, 회전 무화헤드가 고속 회전하면, 이 고속 회전 때문에 상기 벨 컵의 앞면에 부압영역이 생기고, 이 부압영역에 에어가 흡입되는 에어펌핑현상이 생기게 된다. 이 결과, 도료입자가 벨 컵의 후방을 향하여 역류한다. 또한, 회전 무화헤드에 의하여 형성되는 분무패턴을 피도장물의 도장조건에 맞추어 패턴성형하기 위해, 셰이핑 에어를 분출하는 일이 있다. 이 셰이핑 에어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그 분출류 때문에 벨 컵의 외주쪽에 부분적으로 부압이 발생한다. 이 결과, 도료입자가 벨 컵의 후방을 향하여 역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일부의 도료입자가 역류하여 벨 컵의 외주면에 도료가 부착되면, 이 도료가 고화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도장조건에 따라서는, 이 고화한 도료가 박리되어 피도장물의 표면에 도료조각(물질)이 되어 부착되어, 피도장물의 도장품질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는 결점이 있다. 또, 종래 기술에 의한 정전도장기는, 공급 노즐로부터 벨 컵의 내주쪽을 향하여 시너를 공급함으로써, 벨 컵의 도료받이면, 도료박막화면 등을 세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공급 노즐로부터의 시너에 의해서는 벨 컵의 외주면에 부착된 도료를 세정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벨 컵의 외주면을 향하여 시너를 토출하는 세정 노즐을 도장기 본체에 설치한 정전도장기가 일본국 실개 소57-62659호 공보 등에 의해 알려져 있다(이하, 이것을 "다른 종래 기술"이라 함). 이러한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정전도장기에 의하면, 회전 무화헤드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장기 본체에 설치된 세정 노즐로부터 벨 컵의 외주면을 향하여 시너를 토출함으로써, 벨 컵의 외주면에 부착된 도료를 세정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다른 종래 기술에서는, 회전 무화헤드의 외주쪽을 세정할 때, 회전 무화헤드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벨 컵의 외주면을 향하여 시너(Thinner)를 토출하는 것뿐이다. 이 때문에, 벨 컵에 토출된 시너는 벨 컵의 외주면에서 리코일이 일어나기 쉽고, 또 시너와 벨 컵의 외주면 사이의 친화성이 나빠, 벨 컵의 외주면에 부착된 도료를 확실하게 세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 시너의 리코일, 친화성 불량 등을 해소하여, 벨 컵의 외주면에 부착된 도료를 확실히 세정하기 위해서는, 세정 노즐의 설치위치나 세정 노즐의 방향, 또는 시너의 토출량 등을 정밀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어, 설계, 제조가 어려워, 고도의 설계, 제조기술이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정전도장기와 같이, 회전축에 끼워 넣어진 공급 노즐로부터 벨 컵의 내주쪽을 향하여 시너를 공급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벨 컵의 외주면을 세정하기 위한 전용 노즐을 별도 설치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고, 구조의 복잡화, 부품 점수의 증가, 비용상승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색깔교체를 하면서 도장을 행하는 도장기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회전 무화헤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를 회전축, 셰이핑 에어 링 등과 함께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도 1 중의 회전 무화헤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도 2 중의 회전 무화헤드를 화살표 Ⅲ-Ⅲ 방향에서 본 횡단면도,
도 4는 회전 무화헤드를 세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 1 중의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에 있어서, 벨 컵의 외주면을 시너로 세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에 있어서, 벨 컵의 외주면을 시너로 세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에 있어서, 환상 돌출홈부를 환상 가이드의 축 방향 중간부에 설치한 변형예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에 있어서, 환상 돌출홈부를 환상 가이드의 축 방향 중간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한 변형예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벨 컵의 외주면에 부착된 도료를 확실하게 세정할 수가 있도록 한 회전 무화헤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적용하는 회전 무화헤드는, 벨형 또는 컵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의 앞부분쪽이 도료를 박막화하는 도료박막화면으로 되는 동시에 내주면의 뒷부분쪽이 도료받이면으로 된 벨 컵과, 상기 벨 컵의 내주쪽에 위치하여 상기 벨 컵의 도료박막화면과 도료받이면 사이에 설치된 허브 부재와, 상기 허브 부재의 뒷면과 상기 벨 컵의 도료받이면 사이에 구획이 이루어져, 도장기 본체에 설치된 노즐로부터 도료받이면에 공급되는 도료 또는 용제를 모으는 도료고임부와, 상기 허브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도료고임부에 공급된 도료 또는 용제를 상기 벨 컵의 도료박막화면에 유출시키는 복수의 도료유출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유입구가 상기 벨 컵의 내주면에 위치하여 상기 도료받이면에 개구하고, 유출구가 상기 벨 컵의 외주면에 개구하여 설치되며, 상기 도료고임부와 상기 벨 컵의 외주쪽을 연통하는 복수의 용제통로와, 상기 벨 컵의 외주쪽과 간극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벨 컵을 포위하여 설치되어, 상기 각 용제통로의 유출구로부터 유출하는 용제를 안내하는 환상 가이드와, 상기 환상 가이드의 내주면과 상기 벨 컵의 외주면 사이에 전 둘레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용제통로로부터 공급된 용제를 확산하는 용제확산실로 구성한 것에 있다.
상기 구성으로 도장을 할 때에는, 해당 회전 무화헤드를 회전시켜, 노즐로부터 도료고임부에 도료를 공급한다. 이에 의해, 도료고임부에 공급된 도료는 원심력에 의해 도료고임부 내에서 확산되어, 허브 부재에 설치된 도료유출구멍을 거쳐 벨 컵의 도료박막화면으로 유출한다. 그리고, 이 도료는 도료박막화면에서 액막화되고, 벨 컵으로부터 도료입자로 되어 방출된다. 그리고, 이 도료입자는 정전력에 의해 피도장물을 향하여 비행하여 피도장물에 도착된다. 또한, 도료는 용제와 비교하여 점도가 높기 때문에, 도장 시에 노즐로부터 공급된 도료는 전부 도료유출구멍으로부터 유출되고, 용제통로에 유입되는 일은 없다.
이어서, 앞에서의 색의 도장이 종료하고 다음 색의 도료를 사용하여 도장을 하기 위해서는 회전 무화헤드에 부착된 앞에서의 색의 도료를 세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회전 무화헤드의 세정을 행할 때에는, 회전 무화헤드를 회전시켜 노즐로부터 도료고임부를 향하여 용제를 토출한다. 이에 의해, 이 용제는 도료고임부로 유입하여, 원심력에 의해 도료고임부의 내부에서 확산된다. 그리고, 도료고임부 내의 용제의 일부는, 도료유출구멍으로부터 도료박막화면으로 유출되어, 상기 도료박막화면에 부착된 앞에서의 색 도료를 세정하면서 방출단 가장자리로부터 방출된다.
한편, 용제는 점도가 작기 때문에, 도료고임부 내에서 확산된 용제의 나머지는 용제통로의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그 용제통로를 지나 벨 컵의 외주쪽을 향하여 흐른다. 그리고, 이 용제는 용제통로의 유출구로부터 용제확산실로 유출되어, 상기 용제확산실 내에서 벨 컵 외주쪽을 전 둘레에 걸쳐 확산된다. 다시, 용제확산실 내의 용제는 환상 가이드에 의해 벨 컵의 앞부분쪽으로 안내되어 벨 컵 앞부분쪽의 외주면을 향하여 뿜어진다. 이에 의해, 벨 컵 앞부분쪽의 외주면에 부착된 앞에서의 색 도료를 세정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용제확산실 내에는, 환상 가이드의 내주면과 벨 컵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용제확산실 내를 흐르는 용제를 상기 벨 컵의 전 둘레에 걸쳐 확산시키는 환상 돌출홈부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회전 무화헤드의 세정시에 노즐로부터 토출된 용제는 도료고임부, 용제통로를 거쳐 용제확산실로 유입된다. 그리고, 용제확산실 내를 흐르는 용제는 환상 돌출홈부에 의해 일시적으로 둑에 막혀져, 댐 효과에 의해 용제확산실 내의 전 둘레에 걸쳐 확산된다. 이 때문에, 용제확산실 내의 용제는 벨 컵의 전 둘레에 걸쳐 확산된 후, 벨 컵의 앞부분쪽의 외주면을 향하여 유출되어 벨 컵의 외주면에 부착된 도료를 전 둘레에 걸쳐 세정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환상 가이드의 내주면에 벨 컵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환상 돌출홈부를 설치하고, 상기 환상 돌출홈부와 벨 컵의 외주면 사이에 환상 드로틀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의 세정시에, 노즐로부터 토출된 용제는 도료고임부, 용제통로를 거쳐 용제확산실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용제는, 환상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면서 벨 컵의 앞부분쪽를 향하여 흘러 환상 가이드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한 환상 돌출홈부에 충돌한다. 이에 의해, 이 용제는 용제확산실 내에서 벨 컵의 전 둘레에 걸쳐 확산된다. 이와 같이, 상기 환상 돌출홈부는 용제확산실 내를 흐르는 용제를 일시적으로 막는 댐으로서의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용제확산실 내의 용제는, 벨 컵의 전 둘레에 걸쳐 확산된 후, 환상 드로틀 통로를 통과하여 벨 컵 앞부분쪽의 외주면을 향하여 유출되어 벨 컵의 외주면에 부착된 도료를 전 둘레에 걸쳐 세정한다.
또, 본 발명은, 벨 컵의 외주면에, 환상 가이드의 내주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환상 돌출홈부를 설치하고, 상기 환상 돌출홈부와 벨 컵 외주면 사이에 환상 드로틀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회전 무화헤드의 세정시에 용제확산실에 유입된 용제를 댐 효과에 의해 벨 컵의 전 둘레에 걸쳐 확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벨 컵의 외주면에 부착된 도료를 전 둘레에 걸쳐 세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각 용제통로의 유입구를, 각 도료유출구멍보다도 일정한 치수만큼 들어간 위치에 개구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도장 시에 노즐로부터 토출되어 도료고임부에 유입된 도료는, 허브 부재의 뒷면 위를 각 도료유출구멍을 향하여 흐르기 때문에, 각 도료유출구멍보다 들어간 위치에 개구하고 있는 각 용제통로의 유입구로 도료가 유입되는 일은 없다. 한편, 회전 무화헤드의 세정시에, 노즐로부터 토출되어 도료고임부에 유입된 용제는 그 점도가 도료에 비하여 낮기 때문에, 도료고임부 내에서 넓게 확산되어 각 용제통로의 유입구에 용이하게 유입된다.
또, 본 발명은, 각 용제통로를 그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로 향함에 따라서 벨 컵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회전 무화헤드의 세정시에, 노즐로부터 토출되어 도료고임부로 유입된 용제를, 각 용제통로의 유입구로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다. 즉, 회전 무화헤드의 세정시에는, 벨 컵이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노즐로부터 토출되어 도료고임부에 유입된 용제도 도료고임부 내에서 벨 컵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흐른다. 이 경우, 도료고임부 내에서 회전하고 있는 용제의 흐름 방향과 각 용제통로의 경사의 관계로부터, 이 용제가 각 용제통로로 유입되기 쉽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용제통로를 그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로 향함에 따라서 벨 컵의 뒷부분쪽으로 경사지게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각 용제통로를 벨 컵의 뒷부분쪽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각 용제통로의 신장 방향과 벨 컵의 원심 방향(벨 컵의 지름 방향)이 다르다. 이에 의하여, 도장 시에 노즐로부터 도료고임부에 공급된 도료가 벨 컵의 고속 회전에 의하여 도료고임부 내에서 벨 컵의 원심 방향으로 확산되어도, 이 도료가 각 용제통로로 유입되는 일은 없다.
한편, 용제는 그 점도가 도료에 비하여 낮아, 가는 관로에서도 용이하게 유통되는 성질을 가진다. 이 때문에, 회전 무화헤드의 세정시에 노즐로부터 도료고임부에 공급된 용제는 각 용제통로로 용이하게 유입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회전 무화헤드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술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4는 제 1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를 사용한 정전도장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중, 1은 정전도장기 본체의 외형을 형성하는 커버를 나타내고, 상기 커버(1) 내에는 에어 모터(2)와, 상기 에어 모터(2)에 의해 고속 회전하는 회전축(3)이 설치되어 있다.
4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축(3) 내에 끼워진 피드 튜브를 나타내고, 상기 피드 튜브(4)는 도료공급노즐(5)과 용제공급노즐(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료공급노즐(5)은 기초단쪽이 도료밸브 등을 거쳐 도료원(모두 도시생략)에 접속되고, 선단쪽이 회전축(3)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여, 후술하는 회전 무화헤드(10) 내로 신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료공급노즐(5)은 도장 시에 회전 무화헤드(10)를 향하여 도료를 공급한다.
또, 용제공급노즐(6)은, 도료공급노즐(5)의 외주쪽에 도료공급노즐(5)과 동축에 설치되어 있다. 다시, 상기 용제공급노즐(6)은 기초단쪽이 용제밸브 등을 거쳐 용제원(모두 도시생략)에 접속되고 선단쪽이 회전축(3)의 선단쪽에 위치하고, 회전 무화헤드(10) 내로 신장하고 있다. 또, 상기 용제공급노즐(6)의 선단쪽에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체크밸브(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무화헤드(10)의 세정시에 용제밸브를 개방하면, 용제공급노즐(6)에 용제로서의 시너가 압송되고, 이 때의 시너의 압력에 의해 체크밸브(7)가 개방되어 시너가 회전 무화헤드(10)에 공급된다.
8은 커버(1)의 선단에 설치된 셰이핑 에어 링으로서, 상기 셰이핑 에어 링은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면에는 복수의 셰이핑 에어 토출구(8A, 8A,…)가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9는 셰이핑 에어 공급통로이고, 상기 셰이핑 에어 공급통로(9)는 커버(1)에 설치된 통로(9A), 셰이핑 에어 링(8)에 설치된 통로(9B)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셰이핑 에어 공급통로(9)는, 에어 공급원(도시생략)으로부터 공급되는 셰이핑 에어를 각 셰이핑 에어 토출구(8A)에 향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여기서, 셰이핑 에어는 각 셰이핑 에어 토출구(8A)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토출함으로써, 벨 컵(11)으로부터 튀어 나가는 도료입자의 분무패턴을 패턴 성형하는 것이다. 또, 이 셰이핑 에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벨 컵(11)의 각 용제통로(16)로부터 유출되는 시너가 벨 컵(11)의 외주면(11H)에 뿜어지도록 시너의 흐름 방향을 규제하는 역할도 갖는다.
10은 회전축(3)에 설치된 회전 무화헤드이다. 11은 회전 무화헤드(10)의 외형을 이루는 벨 컵을 나타내고, 상기 벨 컵(11)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뒷부분쪽으로부터 앞부분쪽을 향하여 넓어지는 벨형 또는 컵형으로 형성되고, 그 뒷부분쪽이 회전축(3)의 선단부에 나사 부착되는 회전축 설치부(11A)로 되어 있다. 또, 상기 벨 컵(11)의 중심은 회전축(3)의 선단쪽으로부터 돌출한 도료공급노즐(5)과 용제공급노즐(6)의 체크밸브(7)를 끼워 통하게 하는 작은 지름의 삽통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상기 벨 컵(11)의 내주쪽은, 상기 삽통부(11B)로부터 상기 벨 컵(11)의 앞단에 걸쳐 스커트 형상으로 점차 지름이 넓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벨 컵(11) 내주면의 앞부분쪽은 도료를 박막화시키는 도료박막화면(11C)이 되고, 상기 도료박막화면(11C)의 선단쪽이 방출단 가장자리(11D)로 되어 있다. 또, 벨 컵(11) 내주면의 뒷부분쪽은 도료공급노즐(5)로부터 토출한 도료 또는 용제공급노즐(6)로부터 토출한 시너를 받는 도료받이면(11E)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료박막화면(11C)과 도료받이면(11E) 사이에는, 후술하는 허브 부재(12)를 설치하기 위한 허브설치홈(11F)이 형성되어 있다. 또, 벨 컵(11)의 외주쪽에는 축 방향 중간에 위치하여 가이드 설치단(段)부(11G)가 형성되어 있다.
12는 벨 컵(11)의 허브설치홈(11F)에 설치된 허브 부재를 나타내며, 상기 허브 부재(12)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허브 부재(12)의 중심축이 회전 무화헤드(10)의 중심축(회전축)과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허브 부재(12)의 앞면(12A)은 벨 컵(11)의 도료박막화면(11C)과 연속된 평면이 되고, 상기 허브 부재(12)의 뒷면은 도료공급면(12B)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료공급면(12B)의 중앙에는 원추형상 돌기(12C)가 형성되어 있다.
l3, 13,…은 허브 부재(12)의 외주쪽에 다수개, 환상으로 형성된 도료유출구멍으로서, 상기 각 도료유출구멍(13)은 도료공급노즐(5)로부터 벨 컵(11)의 내주쪽으로 토출된 도료, 또는, 용제공급노즐(6)로부터 벨 컵(11)의 내주쪽으로 토출된 용제를 도료박막화면(11C)에 유출시키는 것이다.
14, 14,…는 허브 부재(12)의 원추형상의 돌기(12C)의 위치에서 도료공급면(12B)으로부터 앞면(12A)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용제유출구멍으로서, 상기 용제유출구멍(14)은 회전 무화헤드(10)의 세정시에, 용제공급노즐(6)로부터 벨 컵(11)의 내주쪽으로 토출된 시너를 허브 부재(12)의 앞면(12A)에 유출시키는 것이다.
15는 도료고임부로서, 상기 도료고임부(15)는 벨 컵(11)의 허브설치홈(11F)에 허브 부재(12)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허브 부재(12)의 도료공급면(12B)과 벨 컵(11)의 도료받이면(11E)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료고임부(15)는 도료공급노즐(5)로부터 토출한 도료 또는 용제공급노즐(6)로부터 토출한 시너를 일시적으로 모아, 도료 또는 시너를 확산시키기 위한 공간이다.
16, 16,…은 벨 컵(11)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예컨대 12개 설치된 용제통로를 나타내며, 상기 각 용제통로(16)는 유입구(16A)가 벨 컵(11)의 도료받이면(11E)에 개구하고, 유출구(16B)가 벨 컵(11)의 외주면(11H)에 개구하여, 벨 컵(11) 내를 그 내주쪽으로부터 외주쪽을 향하여 신장되고 있다. 이에 의해, 회전 무화헤드(10)의 세정시에는 용제공급노즐(6)로부터 토출되어 도료고임부(15)로 유입된 시너가 상기 각 용제통로(16)로 유입되어 벨 컵(11)의 외주쪽을 향하여 흐른다. 또한, 상기 용제통로(16)는 12개에 한정되지 않고, 2 내지 11개 또는 13개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여기서, 각 용제통로(16)의 유입구(16A)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도료유출구멍(13)보다 일정한 치수 a만큼 들어간 위치에 개구하고 있다. 즉, 각 용제통로(16)의 유입구(16A)를, 각 도료유출구멍(13)의 개구위치로부터 벨 컵(11)의 뒷부분쪽으로 이간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도장시에는, 도료공급노즐(5)로부터 도료고임부(15)에 공급된 도료가, 용제통로(16)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세정 시에는 용제공급노즐(6)로부터 도료고임부(15)에 공급된 시너가, 용제통로(16)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각 용제통로(16)는, 그 유입구(16A)로부터 유출구(16B)를 향함에 따라서, 벨 컵(11)의 뒷부분쪽으로 경사져 있다. 즉, 상기 각 용제통로(16)의 유출구(16B)는, 유입구(16A)의 개구위치보다 벨 컵(11)의 뒷부분쪽에 위치하여 개구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장시에 도료가 각 용제통로(16)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각 용제통로(16)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유입구(16A)로부터 유출구(16B)를 향함에 따라서, 회전 무화헤드(10)의 회전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경사지고, 회전 무화헤드(10)의 회전 방향으로 되돌아가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각 용제통로(16)는, 벨 컵(11)의 지름 방향에 대하여, 예를 들면 15°내지 50°범위의 소정각 α를 이루도록 회전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전 무화헤드(10)의 세정시에 용제공급노즐(6)로부터 도료고임부(15) 내로 토출된 시너가 각 용제통로(16)로 유입되기 쉬워진다.
17은 벨 컵(11)의 가이드 설치단부(11G)에 설치된 환상 가이드를 나타내며, 상기 환상 가이드(17)는 기초단부가 설치부(17A)가 되어, 상기 설치부(17A)로부터 앞단쪽에 걸쳐서는 벨형 또는 컵형으로 넓어지는 확개부(擴開部)(17B)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환상 가이드(17)는 설치부(17A)가 벨 컵(11)의 가이드 설치단부(11G)에 고착되어, 확개부(17B)가 벨 컵(11)의 외주면(11H)과의 사이에 일정한 간극을 형성하면서, 상기 벨 컵(11)의 외주면(11H)을 따라 벨 컵(11)의 앞단쪽을 향하여 신장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환상 가이드(17)는 벨 컵(11)의 외주쪽과 간극을 갖는 상태에서 벨 컵(11)을 포위하고 있다.
18은 환상 가이드(17)의 확개부(17B) 내주면과 벨 컵(11)의 외주면(11H) 사이에 형성된 용제확산실을 나타내며, 상기 용제확산실(18)은 벨 컵(11)의 전 둘레에 걸쳐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용제확산실(18)의 안쪽 부분에 각 용제통로(16)의 유출구(16B)가 개구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 무화헤드(10)의 세정 시에 도료고임부(15)로부터 각 용제통로(16) 내에 유입된 시너는 상기 각 용제통로(16)의 유출구(16B)로부터 상기 용제확산실(18) 내로 유입한다. 또한, 이 시너는 상기 용제확산실(18) 내에서 둘레 방향으로 확산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이어서, 상기 회전 무화헤드(10)의 도장시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장을 행할 때에는, 에어 모터(2)에 의해 회전축(3)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회전 무화헤드(10)를 도 3 중의 화살표 B 방향으로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도료공급노즐(5)로부터 회전 무화헤드(10)의 도료고임부(15)에 향하여 도료를 토출한다. 이에 의해, 도료고임부(15)로 유입된 도료는 각 도료유출구멍(13)을 통과하여 도료박막화면(11C)에 유출한다. 다시, 이 도료는 상기 도료박막화면(11C) 위에서 박막화되고, 방출단 가장자리(11D)에서 액사(液絲)로 되어 튀어 나와, 도료입자로서 미립화된다.
이 때, 회전 무화헤드(10)와 피도장물 사이에는 고전압이 인가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무화헤드(10)에 의해 미립화된 대전도료입자는, 피도장물을 향하여 비행하여 피도장물에 도착된다. 또, 이 때의 도료의 분무패턴은 셰이핑 에어 링(8)의 각 셰이핑 에어 토출구(8A)로부터 유출되고 있는 셰이핑 에어에 의해 패턴 성형된다.
다음에, 회전 무화헤드(10)에 부착된 앞에서의 색 도료의 세정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회전 무화헤드(10)의 세정시에는, 에어 모터(2)에 의해 회전축(3)과 함께 회전 무화헤드(10)를 회전시켜, 용제공급노즐(6)로부터 시너를 공급한다. 이에 의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크밸브(7)가 개방되어, 시너가 용제공급노즐(6)로부터 도료고임부(15)에 토출된다. 그리고, 도료고임부(15) 내로 유입된 시너는 도료고임부(15) 내에서 확산되어, 도 4 중의 화살표와 같이 각 도료유출구멍(13), 각 용제유출구멍(14), 각 용제통로(16)로 각각 유입된다.
여기서, 각 도료유출구멍(13)으로 유입된 시너는 벨 컵(11)의 도료박막화면(11C)으로 유출, 확산되어, 상기 도료박막화면(11C)에 부착된 앞에서의 색 도료를 세정하면서 방출단 가장자리(11D)로부터 방출된다.
또, 각 용제유출구멍(14)에 유입된 시너는 허브 부재(12)의 앞면(12A)으로 유출, 확산되어, 상기 허브 부재(12)에 부착된 앞에서의 색 도료를 세정한다. 그리고, 이 시너는 도료박막화면(11C)을 유통하여 방출단 가장자리(11D)로부터 방출된다.
한편, 각 용제통로(16)에 유입된 시너는 각 용제통로(16)의 유출구(16B)로부터 벨 컵(11)의 지름 방향 바깥쪽 방향으로 유출된다. 그러나, 이 시너는, 환상 가이드(17)의 확개부(17B) 내주면에 충돌하여, 용제확산실(18) 내에 일시적으로 체류한다. 이 때, 시너는 용제확산실(18) 내에서 벨 컵(11)의 전 둘레에 걸쳐 확산된다.
그리고, 용제확산실(18) 내의 시너는, 환상 가이드(17)의 확개부(17B)에 의해 벨 컵(11)의 앞부분쪽으로 안내되고, 용제확산실(18)로부터 벨 컵(11)의 앞단쪽을 향하여 유출되어, 벨 컵(11)의 외주면(11H)에 부착된 앞에서의 색 도료를 세정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 무화헤드(10)의 세정시에, 용제공급노즐(6)로부터 도료고임부(15)에 공급된 시너를 각 용제통로(16)를 거쳐 용제확산실(18)로 유입시키고, 이 시너를 환상 가이드(17)에 의해 벨 컵(11)의 앞부분쪽으로 안내하여 벨 컵(11)의 외주면(11H)에 뿜어냄으로써, 벨 컵(11)의 외주면(11H)에 부착된 도료를 세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각 용제통로(16)의 유입구(16A)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도료유출구멍(13)보다도 일정한 치수 a만큼 들어간 위치에 개구시키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세정 시에는 시너를 용제통로(16)에 유입시킬 수 있어, 도장 시에는 도료가 용제통로(16)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장 시에 도료고임부(15) 내로 유입된 도료의 대부분은 허브 부재(12)의 도료공급면(12B) 위를 각 도료유출구멍(13)을 향하여 흐르기 때문에, 이 도료가 각 도료유출구멍(13)보다 들어간 위치에 개구한 각 용제통로(16)의 유입구(16A)에 유입되는 일은 없다. 또, 도료고임부(15) 내로 유입된 도료의 일부는, 벨 컵(11)의 도료받이면(11E)쪽으로도 확산되나, 도료는 시너에 비하여 점도가 높기 때문에 표면장력에 의해, 각 용제통로(16)의 유입구(16A)로 유입되는 일은 없다. 또한, 각 용제통로(16)는 벨 컵(11)의 뒷부분쪽을 향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에, 각 용제통로(16)로 도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벨 컵(11)의 외주쪽을 포위하도록 환상 가이드(17)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회전 무화헤드(10)에 부착한 앞에서의 색 도료를 세정할 때에, 각 용제통로(16)를 유통하여, 상기 각 용제통로(16)의 유출구(16B)로부터 원심 방향으로 비산하려고 하는 시너를, 환상 가이드(17)의 확개부(17B) 내주면에 충돌시켜, 용제확산실(18) 내에 일시적으로 체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용제통로(16)로부터 유출된 시너 전부를 환상 가이드(17)에 의해 벨 컵(11)의 앞부분쪽으로 안내하여 벨 컵(11)의 외주면(11H)에 뿜어낼 수 있다.
따라서, 벨 컵(11)의 외주면(11H)에 부착된 도료를 세정함에 있어서, 시너를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시너의 사용량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세정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환상 가이드(17)에 의해, 각 용제통로(16)로부터 용제확산실(18) 내의 유출된 시너를 벨 컵(11)의 외주면(11H)을 따라 확산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벨 컵(11)의 외주면(11H)에 부착된 도료를 전 둘레에 걸쳐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용제통로(16)를 회전 무화헤드(10)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비틀어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회전 무화헤드(10)의 세정 시에는 도료고임부(15)로 유입된 시너를 각 용제통로(16)에 확실하게, 또한 다량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즉, 회전 무화헤드(10)가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료고임부(15) 내의 시너는, 그 점성에 의해 회전 무화헤드(10)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흐른다. 따라서, 시너는 화살표 B 방향으로 비틀어지도록 형성된 각 용제통로(16)에 확실히 유입되게 된다. 이에 의해, 시너를 각 용제통로(16), 용제확산실(18)을 거쳐 벨 컵(11)의 외주면(11H)에 확실하게 다량으로 뿜을 수 있어, 벨 컵(11)의 외주면(11H)에 부착된 도료를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벨 컵(11)에 각 용제통로(16), 환상 가이드(17) 등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뛰어난 세정능력을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축 내에 노즐이 삽입된, 소위 센터 피드 튜브 방식의 정전도장기에 있어서는, 회전 무화헤드를 개량하는 것만으로 충분하고, 도장기 본체쪽의 개량이나 변경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개량이 용이하여, 비용상승, 구성의 복잡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세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를 도 5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환상 가이드의 내주면에, 벨 컵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환상 돌출홈부를 설치하고, 상기 환상 돌출홈부와 벨 컵 외주면 사이에 환상 드로틀 통로를 형성한 데에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환상 가이드를 제외하고,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5 중, 21은 본 실시예에의 한 회전 무화헤드를 나타낸다. 22는 벨 컵(11)의 가이드 설치단부(11G)에 고착된 본 실시예에 의한 환상가이드를 나타내며, 상기 환상 가이드(22)는 상기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환상 가이드(17)와 거의 똑같이, 기초단쪽이 설치부(22A)가 되고, 상기 설치부(22A)로부터 앞단쪽에 걸쳐서는, 벨형 또는 컵형으로 넓혀진 확개부(22B)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환상 가이드(22)는 벨 컵(11)의 외주쪽과 간극을 가진 상태에서 벨 컵(11)을 포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환상 가이드(22)의 확개부(22B) 내주면과 벨 컵(11)의 외주면(11H) 사이에는 용제확산실(23)이 형성되어 있다.
24는 환상 가이드(22)의 확개부(22B) 내주면에 설치된 환상 돌출홈부를 나타내며, 상기 환상 돌출홈부(24)는 확개부(22B)의 앞단쪽에 위치하고, 확개부(22B)의 내주면으로부터 벨 컵(11)의 외주면(11H)에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환상 돌출홈부(24)는 상기 환상 가이드(22)의 전 둘레에 걸쳐 환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환상 돌출홈부(24)와 벨 컵(11)의 외주면(11H) 사이는 환상 드로틀 통로(25)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환상 돌출홈부(24)는, 회전 무화헤드(21)의 세정시에 각 용제통로(16)의 유출구(16B)로부터 유출되어, 용제확산실(23) 내에서 벨 컵(11)의 앞부분쪽을 향하여 유통하는 시너를, 환상 가이드(22)의 확개부(22B) 앞단쪽에서 일시적으로 막는 댐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21)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도장시의 동작 및 세정시의 기본적 동작에 관해서는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특별한 차이는 없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21)에서는, 색깔교체시에 회전 무화헤드(21)에 부착된 앞에서의 색 도료를 세정할 때에는, 에어 모터(2)에 의해 회전 무화헤드(30)를 회전시켜, 용제공급노즐(6)로부터 도료고임부(15)를 향하여 시너를 공급한다. 이에 의하여, 도료고임부(15)로 유입된 시너는 각 도료유출구멍(13), 각 용제유출구멍(14), 각 용제통로(16)에 각각 유입한다. 그리고, 각 도료유출구멍(13)으로 유입된 시너는, 벨 컵(11)의 도료박막화면(11C)에 부착한 앞에서의 색 도료를 세정하고, 각 용제유출구멍(14)으로 유입된 시너는 허브 부재(12)의 앞면(12A)에 부착된 앞에서의 색 도료를 세정한다.
한편, 각 용제통로(16)에 유입된 시너는, 각 용제통로(16)의 유출구(16B)로부터 용제확산실(23)로 유출한다. 그리고, 이 시너는 환상 가이드(22)에 안내되면서 용제확산실(23) 내를 환상 가이드(22)의 앞단쪽을 향하여 흘러, 환상 돌출홈부(24)에 충돌한다. 이에 의해, 시너는 환상 돌출홈부(24)의 댐 효과에 의해 일시적으로 막혀 용제확산실(23) 내에서 벨 컵(11)의 전 둘레에 걸쳐 확산한다.
그 후, 이 시너는 환상 돌출홈부(24)를 타넘어, 환상 드로틀 통로(25)를 통과하여 벨 컵(11)의 외주면(11H)에 뿜어진다. 이에 의해, 벨 컵(11)의 외주면(11H)에 부착된 도료를 전 둘레에 걸쳐 완전히 세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21)를 경사진 뒤쪽에서 본 도면으로서, 용제공급노즐(6)로부터 시너를 2초간 토출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의하면, 벨 컵(11)의 외주면(11H)에 부착되어 있던 도료는 전 둘레에 걸쳐 완전히 씻겨 내려져, 외주면(11H)에는 도료가 전혀 부착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환상 가이드(22)에 설치된 환상 돌출홈부(24)의 댐 효과에 의해, 시너가 벨 컵(11)의 외주면(11H)을 전 둘레에 걸쳐 확산하고, 도 6 중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벨 컵(11) 전 둘레에 이르는 장소로부터 시너가 토출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도 7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10)를 경사진 뒤쪽에서 본 도면으로서, 도 6에 나타낸 회전 무화헤드(21)와 마찬가지로, 상기 용제공급노즐(6)로부터 시너를, 2초간 토출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의하면, 벨 컵(11)의 외주면(11H)에는 부분적으로 도료(P)(빗금 부분)가 부착된 채로 남아 있다. 이것은, 제 1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10)의 환상 가이드(17)에는, 본 실시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환상 돌출홈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2초간이라는 단시간에 시너가 벨 컵(11)의 전 둘레에 걸쳐 충분히 확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10)이더라도 시너의 토출시간을 5초간 정도로 연장하면, 그 동안에 시너가 용제확산실(18)내에서 전 둘레에 걸쳐 확산하기 때문에, 벨 컵(11)에 부착된 도료를 충분히 세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21)에 의하면, 환상 가이드(22)의 내주면에 환상 돌출홈부(24)를 설치함으로써, 세정능력을 한층더 향상시킬 수 있어, 세정의 확실성, 세정시간의 단축 및 시너 사용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를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벨 컵의 외주면에 환상 가이드의 내주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환상 돌출홈부를 설치하고, 상기 환상 돌출홈부와 벨 컵 외주면 사이에 환상 드로틀 통로를 형성한 데에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벨 컵을 제외하고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31은 본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를 나타낸다. 32는 상기 회전 무화헤드(31)의 외형을 이루는 벨 컵을 나타내며, 상기 벨 컵(32)은 벨형 또는 컵형으로 형성되고, 회전축 설치부(32A), 삽통부(32B), 도료박막화면(32C), 방출단 가장자리(32D), 도료받이면(32E), 허브설치홈(32F), 가이드 설치단부(32G), 외주면(32H)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벨 컵(32)의 허브설치홈(32F)에는 허브 부재(12)가 설치되고, 상기 허브 부재(12)의 도료공급면(12B)과 벨 컵(32)의 도료받이면(32E) 사이에 도료고임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또, 벨 컵(32)에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유입구(34A)가 벨 컵(32)의 도료받이면(32E)에 개구하고, 유출구(34B)가 벨 컵(32)의 외주면(32H)에 개구한 복수의 용제통로(3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벨 컵(32)의 가이드 설치단부(32G)에는 환상 가이드(17)가 설치되고, 벨 컵(32)의 외주면(32H)과 환상 가이드(17)의 확개부(17B) 내주면 사이에는 용제확산실(18)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점에서는, 상기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벨 컵(11)과 마찬가지이나, 본 실시예에 의한 벨 컵(32)의 외주면(32H)에는 환상 돌출홈부(35)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에 의한 벨 컵(11)과 다르다. 즉, 상기 환상 돌출홈부(35)는 벨 컵(32)의 외주면(32H) 중, 환상 가이드(17)의 확개부(17B) 앞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환상 돌출홈부(35)는 상기 벨 컵(32)의 전 둘레에 걸쳐 환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환상 돌출홈부(35)와 환상 가이드(17)의 확개부(17B) 사이에는 환상 드로틀 통로(3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환상 돌출홈부(35)는, 회전 무화헤드(31)의 세정시에, 각 용제통로(34)의 유출구(34B)로부터 유출되고, 용제확산실(18) 내에서 벨 컵(32)의 앞부분쪽을 향하여 유통하는 시너를, 환상 가이드(17)의 앞단쪽에서 일시적으로 막는 댐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31)에 의해서도,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세정의 확실성, 세정시간의 단축 및 시너 사용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를 도 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벨 컵의 외주쪽을 포위하는 환상 가이드를 벨 컵에 일체로 형성한 데에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인 허브 부재, 도료유출구멍, 용제유출구멍 등에 관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41은 본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를 나타낸다. 42는 상기 회전 무화헤드(41)의 외형을 이루는 벨 컵을 나타내며, 상기 벨 컵(42)은, 상기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것과 마찬가지로, 벨형 또는 컵형으로 형성되고, 회전축 설치부(42A), 삽통부(42B), 도료박막화면(42C), 방출단 가장자리(42D), 도료받이면(42E), 허브설치홈(42F), 외주면(42G)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허브설치홈(42F)에는 허브 부재(12)가 설치되고, 상기 허브 부재(12)의 도료공급면(12B)과 벨 컵(42)의 도료받이면(42E) 사이에는 도료고임부(43)가 형성되어 있다.
44, 44,…는 벨 컵(42)의 둘레 방향으로 예컨대 12개 설치된 용제통로를 나타내며, 상기 각 용제통로(44)는, 상기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용제통로(16)와 마찬가지로, 유입구(44A)가 도료고임부(43)에 개구하고, 유출구(44B)가 벨 컵(42)의 외주면(42G)에 개구하고 있다.
45는 벨 컵(42)의 축 방향 중간부에 위치하고, 벨 컵(42)의 외주쪽에 설치된 환상 가이드를 나타내고, 상기 환상 가이드(45)는 상기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환상 가이드(17)와 거의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환상 가이드(45)는 벨 컵(4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벨 컵(42)의 외주면(42G)과 환상 가이드(45)의 내주면 사이에는 용제확산실(4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41)에 의해서도,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거의 똑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특히, 환상 가이드(45)를 벨 컵(42)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를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앞부분쪽이 긴 통 형상으로 형성된 벨 컵에 복수의 용제통로와 환상 가이드를 설치한 데에 있다.
51은 본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를 나타낸다. 52는 상기 회전 무화헤드(51)의 외형을 이루는 벨 컵을 나타내며, 상기 벨 컵(52)은 벨형 또는 컵형으로 형성되고, 회전축 설치부(52A), 삽통부(52B), 도료박막화면(52C), 방출단 가장자리(52D), 도료받이면(52E), 허브설치홈(52F), 가이드 설치단부(52G), 외주면(52H)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벨 컵(11)과 똑같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의한 벨 컵(52)은 그 앞부분쪽이 대략 긴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원통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에 의한 벨 컵(11)과 다르다.
53은 벨 컵(52)의 허브설치홈(52F)에 설치된 허브 부재이고, 상기 허브 부재(53)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원판부(53A)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원통부(53B)로 구성되어 있다. 또, 원판부(53A)의 앞면(53C)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판부(53A)의 뒷면은 도료공급면(53D)으로 되어 있다.
또, 허브 부재(53)에는 원판부(53A)와 원통부(53B)의 경계 근방에 복수의 도료유출구멍(54)이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허브 부재(53)에는, 원판부(53A)의 중앙쪽에 위치하여 원추형 돌기(53E)가 형성되고, 상기 원추형 돌기(53E)에는 복수의 용제유출구멍(5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벨 컵(52)의 허브설치홈(52F)에는 허브 부재(53)가 설치되고, 상기 허브 부재(53)의 도료공급면(53D)과 벨 컵(52)의 도료받이면(52E) 사이에는 도료고임부(56)가 형성되어 있다.
57, 57,…은 벨 컵(52)의 둘레 방향으로 예컨대 12개 설치된 용제통로를 나타내며, 상기 각 용제통로(57)는 그 유입구(57A)가 벨 컵(52)의 도료받이면(52E)에 개구하고, 유출구(57B)가 벨 컵(52)의 외주면(52H)에 개구하고 있다. 또, 상기 각 용제통로(57)의 중간부는 허브 부재(53)의 원통부(53B)를 관통하고 있다. 즉, 허브 부재(53)의 원통부(53B)에는 각 용제통로(57)의 일부를 구성하는 연통구멍(53F)이 형성되어 있다.
58은 벨 컵(52)의 가이드 설치단부(52G)에 설치된 환상 가이드를 나타내며, 상기 환상 가이드(58)는 기초단쪽에 위치하는 설치부(58A)와, 앞단쪽에 위치하여 벨 컵(52)의 외주면(52H)을 따라 넓어지는 확개부(58B)로 구성되며, 벨 컵(52)의 외주쪽과 간극을 갖는 상태에서 벨 컵(52)을 포위하고 있다. 그리고, 벨 컵(52)의 외주면(52H)과 환상 가이드(58)의 확개부(58B) 내주면 사이에는 용제확산실(59)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51)에 의해서도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 2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상 가이드(22)의 확개부(22B) 앞단쪽에 환상 돌출홈부(24)를 설치하는 것으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환상 돌출홈부를 환상 가이드(22)의 확개부(22B) 내주면 중, 축 방향 중간부 내지 뒷부분의 어느 장소에 설치해도 좋다. 즉, 도 11에 나타낸 변형예와 같이, 환상 돌출홈부(24')를 환상 가이드(22)의 축 방향 중간부에 설치해도 좋다.
또, 상기한 제 3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상 돌출홈부(35)를 벨 컵(32)의 외주면(32H) 중, 환상 가이드(17)의 확개부(17B) 앞단쪽에 대향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으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환상 돌출홈부를 환상 가이드(17)의 확개부(17B)의 축 방향 중간부 내지 뒷부분에 대향하는 장소에 배치해도 된다. 즉, 도 12에 나타낸 변형예와 같이, 환상 돌출홈부(35')를 환상 가이드(17)의 축 방향 중간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 무화헤드를 회전축(3) 내에 도료공급노즐(5), 용제공급노즐(6)을 설치하는 센터 피드 타입의 정전도장기에 적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회전축의 외부에 도료공급관, 용제공급관을 설치하고, 각 공급관으로부터 회전 무화헤드 내를 향하여 도료, 시너를 공급하는 구성의 정전도장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벨 컵 내에 형성된 도료고임부와 벨 컵의 외주쪽을 연통하는 복수의 용제통로를 설치하는 동시에, 벨 컵의 외주쪽과 간극을 갖는 상태에서 상기 벨 컵을 포위하도록 환상 가이드를 설치하고, 상기 환상 가이드의 내주면과 상기 벨 컵의 외주면 사이에 용제확산실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회전 무화헤드의 세정시에는 노즐로부터 공급된 용제를 도료고임부, 용제통로를 거쳐 용제확산실로 유도하여 상기 용제확산실로부터 벨 컵의 외주면을 향하여 뿜을 수 있어, 벨 컵의 외주면에 부착된 도료를 확실하게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제통로로부터 유출된 용제를 용제확산실에 일시적으로 체류시킨 후, 벨 컵의 앞부분쪽을 향하여 흐르게 함으로써, 상기 용제통로로부터 유출된 용제 전부를 낭비 없이 벨 컵 외주면의 세정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용제의 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세정효율을 대폭 높일 수 있다.

Claims (7)

  1. 벨형 또는 컵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의 앞부분쪽이 도료를 박막화하는 도료박막화면으로 되는 동시에 내주면의 뒷부분쪽이 도료받이면으로 된 벨 컵과,
    상기 벨 컵의 내주쪽에 위치하여 상기 벨 컵의 도료박막화면과 도료받이면 사이에 설치된 허브 부재와,
    상기 허브 부재의 뒷면과 상기 벨 컵의 도료받이면 사이에 구획되고, 도장기 본체에 설치된 노즐로부터 도료받이면에 공급되는 도료 또는 용제를 모으는 도료고임부와,
    상기 허브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도료고임부에 공급된 도료 또는 용제를 상기 벨 컵의 도료박막화면으로 유출시키는 복수의 도료유출구멍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무화헤드에 있어서,
    유입구가 상기 벨 컵의 내주면에 위치하여 상기 도료받이면에 개구하고, 유출구가 상기 벨 컵의 외주면에 개구하여 설치되며, 상기 도료고임부와 상기 벨 컵의 외주쪽을 연통하는 복수의 용제통로와,
    상기 벨 컵의 외주쪽과 간극을 갖는 상태에서 상기 벨 컵을 포위하여 설치되고, 상기 각 용제통로의 유출구로부터 유출되는 용제를 안내하는 환상 가이드와,
    상기 환상 가이드의 내주면과 상기 벨 컵의 외주면 사이에 전 둘레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용제통로로부터 공급된 용제를 확산하는 용제확산실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확산실 내에는 상기 환상 가이드의 내주면과 벨 컵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용제확산실 내를 흐르는 용제를 상기 벨 컵의 전 둘레에 걸쳐 확산시키는 환상 돌출홈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헤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가이드의 내주면에는 상기 벨 컵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환상 돌출홈부를 설치하고, 상기 환상 돌출홈부와 벨 컵의 외주면 사이에 환상 드로틀 통로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헤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 컵의 외주면에는 상기 환상 가이드의 내주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환상 돌출홈부를 설치하고, 상기 환상 돌출홈부와 벨 컵 외주면 사이에 환상 드로틀 통로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헤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용제통로의 유입구는 상기 각 도료유출구멍보다도 일정한 치수만큼 들어간 위치에 개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헤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용제통로를 그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를 향함에 따라서 상기 벨 컵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헤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용제통로를 그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를 향함에 따라서 상기 벨 컵의 뒷부분쪽으로 경사지게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헤드.
KR1019980703591A 1996-10-01 1997-09-24 회전무화헤드 KR100255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79933 1996-10-01
JP27993396 1996-10-01
PCT/JP1997/003393 WO1998014278A1 (fr) 1996-10-01 1997-09-24 Tete de pulverisation rotati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568A true KR19990067568A (ko) 1999-08-25
KR100255705B1 KR100255705B1 (ko) 2000-05-01

Family

ID=1761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591A KR100255705B1 (ko) 1996-10-01 1997-09-24 회전무화헤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94993A (ko)
EP (1) EP0864367B1 (ko)
KR (1) KR100255705B1 (ko)
DE (1) DE69717416T2 (ko)
WO (1) WO19980142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24554A1 (fr) * 1996-12-03 1998-06-11 Abb Industry K.K. Unite d'application a tete de pulverisation rotative
US6053428A (en) * 1997-11-21 2000-04-25 Van Der Steur; Gunnar Rotary atomizer with integrated shaping air
DE69827611T2 (de) * 1998-01-13 2005-11-03 Abb K.K. Beschichtungsvorrichtung mit einem drehenden sprühkopf
FR2791279B1 (fr) * 1999-03-25 2002-03-29 Sames Sa Dispositif de projection d'un produit de revetement en poudre et organe de projection equipant un tel dispositif
US6363952B1 (en) 1999-12-09 2002-04-02 Daimlerchrysler Corporation Cleaning apparatus for paint applicator heads
US6409104B1 (en) 2000-04-19 2002-06-25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Silicon-doped amorphous carbon coating for paint bell atomizers
DE10053296C2 (de) * 2000-10-27 2003-12-18 Eisenmann Lacktechnik Kg Hochrotationszerstäuber zur Aufbringung von Pulverlack
DE60141457D1 (de) * 2000-12-20 2010-04-15 Abb Kk Beschichtungsvorrichtung mit einem rotationszerstäuberkopf
US6916378B2 (en) * 2002-01-08 2005-07-12 Precision Valve & Automation, Inc. Rotary dispenser and method for use
US20050040257A1 (en) * 2003-08-19 2005-02-24 Seitz David M. Atomizer with dedicated cleaning fluid system
KR100827343B1 (ko) * 2005-06-02 2008-05-06 에이비비 가부시키가이샤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
FR2887475B1 (fr) * 2005-06-23 2007-09-28 Sames Technologies Soc Par Act Projecteur rotatif de produit de revetement liquide et installation de produit de projection incorporant un tel projecteur
WO2007083677A1 (ja) * 2006-01-19 2007-07-26 Abb K.K. 回転霧化頭型塗装装置
FR2915115B1 (fr) * 2007-04-23 2010-09-10 Sames Technologies Organe de pulverisation,dispositif de projection comportant un tel organe,installation de projection et methode de nettoyage d'un tel organe
US8720797B2 (en) * 2007-05-24 2014-05-1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Rotary atomizing head, rotary atomization coating apparatus, and rotary atomization coating method
US8602326B2 (en) * 2007-07-03 2013-12-10 David M. Seitz Spray device having a parabolic flow surface
EP2537593B1 (en) * 2010-01-06 2015-03-11 Ransburg Industrial Finishing KK Rotary atomizing head for electrostatic coating machine
JP5738546B2 (ja) * 2010-06-07 2015-06-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静電塗装装置および静電塗装方法
US20120125380A1 (en) * 2010-09-09 2012-05-24 Todd Kemme Spray nozzle for use with container rinsing apparatuses
DE102010053134A1 (de) * 2010-12-01 2012-06-06 Eisenmann Ag Düsenkopf und Rotationszerstäuber mit einem solchen
DE102012010610A1 (de) * 2012-05-30 2013-12-05 Eisenmann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Rotationszerstäubers, Düsenkopf und Rotationszerstäuber mit einem solchen
US8851397B1 (en) * 2013-11-14 2014-10-07 Efc Systems, Inc. Bell cup atomizer having improved cleaning capability
US10399096B2 (en) 2015-04-08 2019-09-03 Abb Schweiz Ag Rotary atomizing head type coating machine
JP6815478B2 (ja) * 2017-02-21 2021-01-20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回転霧化式塗装機
US20200023415A1 (en) * 2018-07-20 2020-01-23 Advanflo Technologies Co., Ltd. Automatic cleaning and spraying device
FR3087680B1 (fr) * 2018-10-30 2023-02-10 Exel Ind Bol de pulverisation de produit de revetement, projecteur rotatif incluant un tel bol et procede de nettoyage d'un tel projecteur
JP7220730B2 (ja) * 2021-01-15 2023-02-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回転霧化式塗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2659U (ko) 1980-10-02 1982-04-14
US4505430A (en) * 1982-11-22 1985-03-19 Ransburg Corporation Self-cleaning atomizer
US4643357A (en) * 1985-11-22 1987-02-17 Binks Manufacturing Company Rapidly cleanable atomizer
DE3912700C1 (en) * 1989-04-18 1990-10-11 Ransburg-Gema Gmbh, 6056 Heusenstamm, De Rotary spray coater - has atomiser ring with solvent channels, and includes annular air inlets
FR2652518B1 (fr) * 1989-10-03 1994-04-08 Sames Sa Dispositif de projection de produit de revetement a organe rotatif de pulverisation.
JP2926071B2 (ja) * 1990-05-18 1999-07-28 エービービー株式会社 静電塗装装置
SU1796264A1 (ru) * 1990-06-19 1993-02-23 Dn Nii T Mash Электростатический центробежный распылитель
US5078321A (en) * 1990-06-22 1992-01-07 Nordson Corporation Rotary atomizer cup
FR2692501B1 (fr) * 1992-06-22 1995-08-04 Sames Sa Dispositif de projection electrostatique de produit de revetement liquide a tete de pulverisation rotative.
DE9419641U1 (de) * 1994-12-07 1995-02-02 Duerr Gmbh & Co Rotationszerstäuber mit einem Glockenkörper
WO1996023591A1 (fr) * 1995-01-30 1996-08-08 Abb Industry K.K. Dispositif de peinture electrostatique de type aerographe
KR100204972B1 (ko) * 1995-04-06 1999-06-15 스즈키 이사무 회전무화두형 도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5705B1 (ko) 2000-05-01
DE69717416T2 (de) 2003-04-03
WO1998014278A1 (fr) 1998-04-09
EP0864367B1 (en) 2002-11-27
EP0864367A4 (en) 2000-06-28
EP0864367A1 (en) 1998-09-16
DE69717416D1 (de) 2003-01-09
US5894993A (en) 1999-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5705B1 (ko) 회전무화헤드
KR100265890B1 (ko) 회전무화 헤드형 도장장치
KR100962603B1 (ko) 회전 무화두형 도장 장치
US6341734B1 (en) Rotary atomizer and bell cup and methods thereof
US5707009A (en) Rotary atomizer with a bell element
JPS6140468B2 (ko)
CN107961910B (zh) 具有改进清洁能力的旋转钟形杯喷雾装置
KR102616281B1 (ko) 코팅 제품 스프레이용 보울, 상기 보울을 포함하는 회전식 스프레이 장치, 및 상기 스프레이를 세정하는 방법
US68962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oating buildup on feed tubes
JP3433065B2 (ja) 回転霧化頭
JP3433080B2 (ja) 回転霧化頭型塗装装置
JP5330761B2 (ja) 回転霧化頭型塗装装置
JPH10309498A (ja) 噴霧パターン可変回転霧化塗装装置
JP3162855B2 (ja) ベル型回転霧化頭
JP3182062B2 (ja) 回転霧化頭型塗装機
JP2776225B2 (ja) 回転霧化静電塗装方法
JP3178654B2 (ja) 回転霧化頭型塗装装置
JP2002186883A (ja) 回転霧化頭
JP3892776B2 (ja) 回転霧化頭
JPH1099731A (ja) 回転霧化頭
JP2001046927A (ja) 静電回転噴霧装置
JP2988318B2 (ja) 回転霧化静電塗装装置
JPH0450907Y2 (ko)
JPH07241496A (ja) 回転霧化静電塗装装置
JPH08215611A (ja) 回転霧化静電塗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