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7054A - 수-재분산성 분말 막-생성 중합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재분산성 분말 막-생성 중합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7054A
KR19990067054A KR1019980702992A KR19980702992A KR19990067054A KR 19990067054 A KR19990067054 A KR 19990067054A KR 1019980702992 A KR1019980702992 A KR 1019980702992A KR 19980702992 A KR19980702992 A KR 19980702992A KR 19990067054 A KR19990067054 A KR 19990067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ne powder
powder composition
composition according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유 귀에렝
미켈 몰반
Original Assignee
두브룩 필리페
로디아 쉬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브룩 필리페, 로디아 쉬미 filed Critical 두브룩 필리페
Publication of KR19990067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05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028Aspects relating to the mixing step of the mortar preparation
    • C04B40/0039Premixtures of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5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from soli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45Polymers chosen for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 C04B2103/0057Polymers chosen for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dded as redispersable powd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하나이상의 수불용성 막-생성 중합체, 하나이상의 주 계면활성제 및 하나이상의 수용성 화합물의 유화액을 혼합한 다음 건조하여 제조된 수-재분산성 분말 조성물을 개시한다. 조성물은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하나이상의 수불용성 막-생성 중합체 ; 25 ℃ 에서 50 중량 % 이상의 계면활성제 농도까지 유동한 후, 적어도 건조 온도까지 안정한, 더 고농도에서 6 차원 또는 3 차원인 경직된 액체 결정 상인 등방성 상으로 이루어진 2 성분 수-계면활성제 상 도식을 가진 하나이상의 주 계면활성제 ; 및 하나이상의 수용성 화합물의 유화액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를 또한 개시한다.

Description

수-재분산성 분말 막-생성 중합체 조성물
본 발명은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막-생성 중합체의 수-재분산성 분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아크릴 막-생성 중합체의 분산액, 및 특별히 비닐 에스테르의 중합체의 분산액을 분무 및 건조시켜 수득된 재분산성 분말은 이미 공지이다.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막-생성 중합체는 경화 후에 그의 용도 및 다양한 물질에 대한 접착, 누수방지, 유연성 및 기계적 특성과 같은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무기 수력학적 결합 조성물에서 보조물로서 종종 사용된다.
재분산성 분말은 예를 들어, 건물 재료를 부착하기 위한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제작 또는 접착 모르타르의 제작 또는 건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대한 보호 및 장식 코팅물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미분 조성물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시멘트와 예비 혼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성 분산액과 비교하여 장점이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압력 및 온도의 영향을 통해 저장되는 동안 응집되지 않고 물에 만족할만하게 재분산되는 분말의 수득시에, 상대적으로 다량의 불활성 물질 및 보호 콜로이드를 분말에 첨가하는 것이 관례이다.
따라서, 분무전에 분산액에 멜라민/포름알데히드/술포네이트 (미국-A-제 3784648 호) 또는 나프탈렌/포름알데히드/술포네이트 (독일-A-제 3143070 호) 응축 생성물 및/또는 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유럽-제 078449 호) 를 첨가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었다.
프랑스 특허 FR-A-제 2,245,723 호는 중합체 라텍스의 분말 및 사카라이드인 수용성 분산체를 함유하는, 동결에 의해 건조된 안정하고 수-분산성인 제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막-생성 중합체 기재인, 물에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재분산되는 신규한 미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장시에 응집없이 안정한 상기 형태의 재분산성 분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막-생성 중합체의 라텍스로부터 상기 형태의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말 형태이거나 또는 재분산 후에 유사라텍스의 형태로 물에서 적합한, 코팅물 (상세하게는 페인트, 페이퍼 코팅 조성물) 또는 접착 조성물 (상세하게는 감압성 접착물, 타일 접착물) 을 제조하는 라텍스 적용의 모든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상기 형태의 재분산성 분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더욱 특별하게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형태의 수력학적 결합제에 접착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상기 형태의 재분산성 분말 (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의사라텍스) 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및 다른 목적은 하기 :
-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하나이상의 수불용성 막-생성 중합체의 유화액,
- 물/계면활성제 2 성분상 도식이 25 ℃ 에서 50 중량 % 이상의 계면활성제의 농도까지 유동한 후, 더 높은 농도로 적어도 결정온도까지 안정한 6 차 또는 3 차형의 경직된 액체 결정상으로 되는 등방성 상을 함유하는 하나이상의 주 계면활성제,
- 하나이상의 수용성 화합물로 이루어진, 사실상, 하나이상의 수불용성 막-생성 중합체, 하나이상의 주 계면활성제 및 하나이상의 수용성 화합물의 유화액을 혼합한 다음 건조시켜 수득된 수-재분산성 미분 조성물에 관한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로 구성된, 상기 미분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
- 수성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된 수불용성 막-생성 중합체로 구성되고 하나이상의 주 계면활성제, 하나이상의 수용성 화합물, 및 적합할 때, 하나이상의 부가 계면활성제 또는 하나의 케이크 방지제를 함유하는 수성 유화액으로부터 물을 제거하고,
- 및 건조 잔류물을 원하는 입자 크기의 분말에 분무하는 것.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물에 자발적으로 재분산되어, 초기 유화액의 입자 크기에 가까운 입자 크기를 갖는 유화액을 다시 수득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특질은 하기 설명 및 실시예를 읽는 동안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우선, 하기 :
-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하나이상의 수-불용성 막-생성 중합체의 유화액,
- 물/계면활성제 2 성분상 도식이 25 ℃ 에서 50 중량 % 이상의 계면활성제의 농도까지 유동한 후, 더 높은 농도로 적어도 건조 온도까지 안정한 6 차 또는 3 차형의 경직된 액체 결정상으로 되는 등방성 상을 함유하는 하나이상의 주 계면활성제,
- 하나이상의 수용성 화합물로 이루어진, 하나이상의 수-불용성 막-생성 중합체, 하나이상의 주 계면활성제 및 하나이상의 수용성 화합물의 유화액을 혼합하고 건조시켜 수득된 수-재분산성 미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불용성 막-생성 중합체를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특히 비닐 및/또는 아크릴레이트 형으로부터 제조한다.
수불용성 막-생성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비닐 또는 아크릴레이트 단일 중합체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및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다.
막-생성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20 ℃ 내지 + 50 ℃, 바람직하게는 0 ℃ 내지 40 ℃ 사이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진다. 상기 중합체는 표준 유화제 및/또는 분산제의 존재하에서 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유화 중합하는, 그 자체로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유화액내에 중합체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30 내지 70 중량 %, 및 더욱 특정하게는 35 내지 65 중량 % 사이에 있다.
단량체로서, 비닐 에스테르, 및 더욱 특별하게는 비닐 아세테이트 ;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부틸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인 알킬기가 1 내지 10 개의 탄소원자 및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 및 비닐방향족 단량체, 특별히 스티렌을 언급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를 서로 또는 다른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와 공중합할 수 있다.
비닐 아세테이트 및/또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또는 스티렌과 공중합할 수 있는 단량체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에틸렌 및 이소부텐과 같은 올레핀 ;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분지된 C9-C11산의 에스테르에 대해 상표로 등록된) "변환물", 피발로에이트 및 라우레이트와 같은 1 내지 12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포화, 분지되거나 또는 미분지된 모노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 ; 메틸, 에틸, 부틸 및 에틸헥실 말리에이트 및 푸마레이트와 같이 1 내지 10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카놀을 가진 3 내지 6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불포화 모노- 또는 디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 메틸스티렌 및 비닐톨루엔과 같은 비닐방향족 단량체 ; 염화 비닐 및 염화 비닐리덴과 같은 할로겐화 비닐, 및 디올레핀, 특히 부타디엔을 언급할 수 있다.
단량체의 유화 중합을 유화제 및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수행한다.
중합의 시작전에 동시에 또는 연속적인 분획으로 또는 계속적인 양식으로 중합하는 동안, 사용된 단량체를 혼합물로서 또는 개별적으로 및 동시에 반응 매질에 도입할 수 있다.
유화제로서, 통상적인 음이온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특히 지방산 염, 알킬 술페이트, 알킬술포네이트, 알킬아릴 술페이트, 알킬아릴술포네이트, 아릴 술페이트, 아릴술포네이트, 술포숙시네이트, 알칼리 금속의 알킬 포스페이트 및 아비에틴산, 수소화되거나 그렇지 않은 것으로 표현된 것을 사용한다. 이들은 단량체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5 중량 % 의 비율로 사용된다.
수용성인 유화 중합 개시제는 더욱 특별히 과산화 수소, 수과산화 큐멘, 수과산화 디이소프로필벤젠 및 수과산화 파라메탄과 같은 수과산화물, 및 과황산 나트륨, 과황산 칼륨 및 과황산 암모늄과 같은 과황산염으로 표현된다. 단량체의 총 중량에 대해 0.05 내지 2 중량 % 사이의 양으로 사용한다. 상기 개시제는 임의로 아황산수소 나트륨 또는 포름알데히드아황산수소 나트륨, 폴리에틸렌아민, 당, 즉 덱스트로즈 또는 수크로즈, 및 금속 염과 같은 환원제와 혼합하여 사용한다. 사용된 환원제의 양은 단량체의 총 중량에 대해 0 내지 3 중량 % 로 변한다.
사용된 개시제에 따라 다른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0 내지 100 ℃, 및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 이다.
일반적으로 N-도데실 머캅탄 및 t-도데실 머캅탄과 같은 머캅탄 ; 시클로헥산 ; 및 클로로포름, 브로모포름 및 사염화탄소와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로부터 선택된, 단량체에 대해 0 내지 3 중량 % 의 범위의 비율로 전이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라프트된 중합체의 비율 및 그라프트된 분자 사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중합전 또는 중합동안 반응 매질을 첨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막-생성 중합체는 단지 약간 카르복실화된 표면을 가져서, 표면의 카르복실화된 정도가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중합체 1 g 당 -COOH 관능기의 100 마이크로당량 이하의 표면 산도,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1 g 당 -COOH 관능기의 50 마이크로당량 이하의 표면 산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물/계면활성제 2 성분상 도식이 25 ℃ 에서 계면활성제의 50 중량 % 이상의 농도까지 유동한 후, 적어도 건조 온도까지 안정한 고농도인 6 차 또는 3 차형의 경직된 액체 결정상으로 되는 등방성 상을 함유하는 하나이상의 주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상기 상의 설명은 문헌 [R.G. Laughlin 저, "계면활성제의 수성상 거동" -아카데미 출판사- 1994] 에 나타나 있다. 방사선 회절 (X-레이, 중성자) 에 의한 그의 확인을 문헌 [V. Luzzati 저 "생물 막, 물리적 요인 및 작용" -아카데미 출판사- 1968] 에서 설명하고 있다.
더욱 특별히, 주 계면활성제의 경직된 액체 결정상은 적어도 60 ℃ 가 될 때가지 안정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경직된 액체 결정상은 적어도 55 ℃ 가 될 때까지 안정하다.
여기서 유체 등방성 상은 유동할 수 있는 반면, 경직된 액체 결정상은 그렇지 못한 것을 지적할 수 있다.
주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이거나 또는 이온성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별한 구현예에 따라, 상기 주 계면활성제는 이온성이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상기 전술되고 이온성 당지질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된 2 성분 상 도식을 갖는 주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이온성 당지질 계면활성제중에서, 요산 유도체를 더욱 특별히 사용한다.
하기 일반식에 해당하는 요산은 특별히 본 발명의 장점을 표현한다 :
(이때, n 은 1 내지 4 로 변하는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형태의 화합물의 예는 특히, 갈락투론산, 글루쿠론산, D-만누론산, L-이두론산 및 L-굴루론산이지만, 상기 산에 제한되지 않는다.
치환되거나 또는 미치환된 계면활성제의 탄화수소 사슬은 6 내지 24 탄소원자, 및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6 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포화 또는 불포화 사슬이다.
갈락투론산 및 글루쿠론산으로부터 유도된 화합물을 더욱 특별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생성물의 설명은 그를 제조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상세하게는 특허 출원 EP 제 532,370 호에 기술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염 형태에서 갈락투론산 유도체를 주 계면활성제로서 사용한다.
더욱 특별하게는, 고리내에 산소에 연결된 탄소에 의해 전달된 히드록실기를 기 OR (이때, R 은 9 내지 22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된 알킬 라디칼을 나타낸다) 로 대체한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의 염의 짝이온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토 금속 또는 대안적으로 같거나 다를 수 있는, 질소원자에 연결된 라디칼이 수소 및 알킬 또는 1 내지 6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히드록시알킬 라디칼로부터 선택되는 4 차 암모늄 기이다.
본 발명의 두번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양성적인 형태의 주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적합한 양성 계면활성제는, 더욱 특별하게는, 하기 일반식 :
(식중, 식 R 은 알킬 또는 7 내지 22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케닐 라디칼을 나타내고, R1은 수소원자 또는 1 내지 6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A 는 (CO) 또는 (OCH2CH2) 기를 나타내며, n 은 0 또는 1 이고, x 는 2 또는 3 이고, y 는 0 내지 4 이고, Q 는 1 내지 6 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는 R2를 가진 라디칼 -R2-COO M 을 나타내며, M 은 H, Na, K 또는 NH4를 나타내고 B 는 H 또는 Q 를 나타낸다) 을 가진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두개이상의 카르복실 기를 포함하는 상기 형태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따라서, 더욱 특별하게는, B 는 라디칼 Q 를 나타낸다.
동일한 효과를 갖는 상기 화합물의 산 관능기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산의 형태 또는 염화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식에 해당하는 상기 계면활성제 중에서, 베롤 노벨 (Berol Nobel) 사에서 시판하는 암폴락 (Ampholac) 7T/X(등록상표) 및 암폴락 (Ampholac) 7C/X(등록상표) 와 마찬가지로 롱쁠랑 (Rhone-Poulenc) 사에서 시판하는 암피노익 (Amphinoic) XL (등록상표) 및 미라타인 (Mirataine) H2C-HA (등록상표) 와 같이, 알킬폴리아민의 양성 유도체를 더욱 특별히 사용한다.
이미 전술된 주 계면활성제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동일한 범주에 속하거나 그렇지 않은 몇몇 계면활성제의 용도는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별개의 것으로 구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미분 조성물은 또한, 하나이상의 수용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더욱 특별히, 상기 화합물은 고체이다.
수용성 화합물은 특히,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 실리케이트 및 나트륨 헥사메타포스페이트와 같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 포스페이트와 같은 무기 종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상기 형태에서 가장 유리한 실리케이트는 M 이 나트륨 또는 칼륨 원자를 나타내는, 1.6 내지 3.5 사이의 SiO2/M2O 몰비를 갖는 것이다.
수용성 화합물은 요소, 당 및 그의 유도체와 같은 유기 종류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당 및 그의 유도체중에서, 모노사카라이드 (또는 글리코스), 글리코시드 및 강력하게 해중합된 폴리홀로사이드를 언급할 수 있다. 요구되는 화합물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 더욱 특별히 20,000 g/mol 이하인 것으로 주지된다.
글루코스, 만노스, 갈락토스 및 프룩토스와 같은 케토스와 같은 알도스는 본 발명을 위한 적합한 모노사카라이드의 예이다.
글리코시드는 물을 제거하여 축합한 결과, 서로를 가진 모노사카라이드 분자 또는 대안적으로 비-카보히드레이트 분자를 가진 모노사카라이드 분자의 화합물이다. 글리코시드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홀로사이드이며, 이는 배타적으로 카보히드레이트 단위, 더욱 특별하게는 올리고홀로사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 의 연결에 의해 생성되고, 단지 상기 단위의 제한된 수, 즉 일반적으로 10 이하로 함유한다. 올리고홀로사이드의 예로서, 수크로스, 락토스, 셀로비오스 및 말토스를 언급할 수 있다.
적합한 폴리홀로사이드 (또는 폴리사카라이드), 즉 중량 평균 분자량이 더욱 특별히 20,000 g/mol 이하인, 강력하게 해중합된 화합물은 예를 들어, 문헌 [P. Arnaud 저, "cours de chimie organique" [Course in organic Chemistry], Gauthier-Villars 출판사, 1987] 에 기재된다. 강력히 해중합된 폴리호로사이드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덱스트란, 전분, 크산탄 검 및 구아 또는 카로브와 같은 갈락토마난을 언급할 수 있다. 상기 폴리사카라이드는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의 용융 점을 가지고 50 내지 500 g/l 사이의 물에서의 용해도를 가진다.
하기 일반식 :
(식중, 같거나 다를 수 있는 라디칼 R1은 H, CH3, CO2H 또는 (CH2)n-CO2H (n = 0 내지 4 일 때) 을 나타낸다) 을 갖는 단량체의 중합으로부터 유래된 유기 성질의 고분자 전해질이 또한 적합하다.
상기 형태의 화합물의 비제한적인 예는 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및 크로톤산을 언급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에 해당하는 단량체로부터 수득된 공중합체 및 상기 단량체 및 다른 단량체, 특별히 비닐 알콜 및 비닐피롤리돈과 같은 비닐 아미드와 같은 비닐 유도체를 사용하여 수득된 공중합체가 또한 본 발명에 적합하다. 또한 특히 문헌 [Kirk-Othmer 백과사전, "화학 기술의 백과사전" -18 권- 3 판, -Wiley insterscience 출판사- 1982] 에서 기재된 비닐스티렌 및 말레산으로부터 수득된 공중합체와 마찬가지로 알킬 비닐 에테르 및 말레산으로부터 수득된 공중합체를 언급할 수 있다.
아미노산, 특히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의 중축합으로부터, 또는 디아미노 이산의 전구체로부터 유도된 펩티드 중합체는 또한 본 발명에 적합하다. 상기 중합체는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으로부터 유도된 단일중합체, 또는 어떤 비율로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으로부터 유도된 공중합체, 또는 아스파르트산 및/또는 글루탐산 및 다른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공중합체일 수 있다. 공중합할 수 있는 아미노산중에서, 글리신, 알라닌, 류신, 이소류신, 페닐알라닌, 메티노닌, 히스티딘, 프롤린, 라이신,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등을 언급할 수 있다.
바람직한 고분자 전해질은 낮은 중합도를 가진다. 상기 거대분자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더욱 특별하게는 20,000 g/mol, 및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5000 g/mol 사이이다.
자연적으로, 혼합시에 수용성 화합물의 상기 다른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계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다양체에 따라, 수용성-화합물이 주 계면활성체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하나이상의 부가 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부가 이온 계면활성제는 더욱 특별히, 알킬베타인, 알킬디메틸베타인, 알킬아미도프로필베타인, 알킬아미도프로필디메틸베타인, 알킬트리메틸술포베타인, 이미다졸린 유도체, 예컨대 알킬암포프로피오네이트, 알킬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 알킬술타인 또는 알킬아미도프로필히드록시술타인, 및 지방산 및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축합 생성물과 같은 양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또한 알킬 술페이트 및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의 수용성 염, 알칼리세티오네이트 및 알킬타우리드 또는 그의 염,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알킬 술포숙시네이트 또는 알킬 숙시나메이트, 알킬사르코시네이트,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알킬 유도체, 아실아스파라테이트 및 알킬 및/또는 알킬 에테르 및/또는 알킬 아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와 같은 부가적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양이온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 예컨대 나트륨, 칼륨, 리튬 또는 마그네슘, 또는 알킬 라디칼 치환된 것을 나타내는 같거나 다를 수 있는, 라디칼 R 을 가지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산소 또는 질소원자를 갖는 암모늄 기 NR4 +이다.
조성물의 적용 분야에 따라 어떤 표준적인 첨가물도 본 발명에 따른 재분산성 미분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분 조성물에서, 막-생성 중합체의 분말의 함량은 미분 조성물내에 유리하게는 40 내지 90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구현예에 따라, 막-생성 중합체의 분말 함량은 50 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중량부 이상이다.
일반적으로 주 계면활성제의 양은 미분 조성물내에 1 내지 20 중량부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량은 2 내지 10 중량부이다.
일반적으로 수용성 화합물은 미분 조성물내에 7 내지 50 중량부이다. 바람직한 변형에 따라, 상기 양은 8 내지 25 중량부이다.
주 계면활성제 및 수용성 화합물사이의 농도의 중량비는 일반적으로 20 : 80 내지 90 : 10 이다.
만일 이들이 동일하다면, 즉 만일 본 발명에 따른 미분 조성물이 수용성 화합물의 역할을 하는 하나이상의 주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다면, 상기 화합물의 총량은 자연적으로 상기 언급된 2 개의 범위의 합계와 일치한다.
본 발명의 미분 조성물이 부가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경우에, 주 계면활성제 및 부가 계면활성제 사이의 농도의 중량비는 일반적으로 5 내지 10 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10 ㎛ 이하, 대략,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의 입자 크기를 갖는 하나이상의 무기충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 충진제로서, 특히 탄산 칼슘, 카올린, 황산 바륨, 산화 티타늄, 활석, 수화 암모니아, 벤토나이트 및 칼슘 술포알루미네이트 (새틴 화이트), 및 실리카로부터 선택된 충진제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무기 충진제가 존재함으로써 분말의 제조 및 분말의 응집을 방지, 즉 분말을 케이킹함으로써 저장시에 안정성에 유리하다.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부터 생길 때, 상기 무기 충진제를 미분 조성물에 직접 첨가할 수 있다. 무기 충진제의 양은 수불용성 막-생성 중합체의 분말의 100 부당 0.5 내지 40 중량부 사이,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중량부일 수 있다.
수득된 미분 조성물은 저장시에 안정하고 ; 의사라택스의 형태로 물에 쉽게 재분산되고, 라택스의 공지된 모든 적용 분야에서 의사라택스의 형태로 또는 분말 형태로 직접 사용할 수 있다.
미분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이제 기술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방법은 하기로 구성된다 :
- 수성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된 수불용성 막-생성 중합체로 구성되고 하나이상의 주 계면활성제, 하나이상의 수용성 화합물, 및 적합할 때, 하나이상의 부가 계면활성제 또는 하나의 케이크 방지제를 함유하는 수성 유화액으로부터 물을 제거하고,
- 및 건조 잔류물을 원하는 입자 크기의 분말에 분무하는 것.
자연적으로, 표준 첨가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유화액을 생성하는 동안 첨가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유화 중합에 의해 수득된, 수불용성 막-생성 중합체의 분말의 수성 유화액으로부터 출발한다. 상기 형태의 유화액은 통상적으로 라택스로서 불린다.
상기 수성 유화액에 다른 성분의 미분 조성물 : 주 계면활성제, 수용성 화합물, 적합할 경우 부가적인 계면활성제 및/또는 케이크 방지제를 첨가한다. 다양한 성분의 각각의 함량은 건조 미분 조성물이 미리 정의된 조성물이 갖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방법은 10 내지 70 중량 %, 여전히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중량 % 사이의 건조 추출물 (막-생성 중합체 + 주 계면활성제 + 수용성 화합물 + 부가적인 계면활성제 + 케이크 방지제) 을 갖는 유화액으로부터 출발한다.
다음에 상기 유화액의 물을 제거하고 수득된 생성물을 분무하여 분말을 수득한다. 라택스 유화액으로부터 물을 제거하여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는 개별적이거나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동결 후, 승화 단계, 또는 친유화, 건조 또는 분사에 의한 건조 (분무-건조) 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분사에 의한 건조는 분쇄의 단계를 필수적으로 포함하지 않고 분말이 직접 수득되도록 원하는 입자 크기를 갖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한 방법이다. 분말의 입자 크기는 일반적으로 500 ㎛ 이하이다.
분사에 의한 건조를 예를 들어, 뜨거운 기체의 흐름과 함께, 노즐 또는 원심분리 추진기에 의해 영향을 받는 분사 타워 연결형 분무와 같은 공지된 기구로 관례적인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칼럼의 상단에서 뜨거운 기체 (일반적으로 공기) 의 유입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15 ℃ 이고, 유출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65 ℃ 이다.
무기 충진제를 출발 중합체의 수성 유화액에 첨가할 수 있다. 모든 또는 부분 무기 충진제를 또한 분사에 의한 분무 방법으로 분무 단계동안 도입할 수 있다. 최근에, 무기 충진제를 최종 미분 조성물에 직접 첨가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미분 조성물은 단지 교반에 의해 실온에서 물에 완전히 재분산된다. 완전히 재분산된다는 것은 적정량의 물을 첨가한 후, 의사라택스를 입자 크기가 출발 유화액에 존재하는 라택스 입자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로 인용한다고 주지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정의된 바로서 미분 조성물을 재분산 함으로써 수득된 의사라택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본 발명은 빌딩 산업에서 보호 및 장식 코팅물 제조용 무기 수력학적 결합제, 접착 모르타르 및 타일 및 바닥 덮개 고정용 접착 시멘트 제조용 무기 수력학적 결합제의 혼합물에서 첨가물로서 상기 전술된 미분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들은 특히 시멘트 및 또는 회반죽 기재 사용 가능 분말 생성물을 제조하는 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미분 조성물, 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의사라택스를 또한, 라택스의 다른 모든 적용 분야, 더욱 특히 접착제, 페이퍼 코팅 및 페인트의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분 조성물은 또한, 표준 첨가물, 특히 살생물제, 미생물 발육 억제제, 세균증식 억제제 및 실리콘 및 유기 항발포물을 함유할 수 있다.
하기 본 발명을 설명하는 실시예는 그러나, 범주를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예 1
하기 유화액을 블렌드내에서 제조한다 :
조성물 중량 %
스티렌/부타디엔 라택스 (*) 80
요산 나트륨 (데실 D-갈락토시드) (**) 10
물 10
(*) 상기 라택스는 50 % 의 건조 추출물을 가지며 58 중량 % 의 스티렌 및 42 중량 % 의 부타디엔의 혼합물을 유화 중합함으로써 수득하였다. 브룩해븐(등록상표) 에 의해 측정된 그의 평균 입자 크기는 0.12 ㎛ 이다. 그의 표면은 단지 매우 약간 카르복실화된다 : 표면은 중합체의 -COOH 작용기/g 의 30 마이크로당량으로 채워진다.
(**) 요산 (데실 D-갈락토시드) 는 ARD 사에서 시판된다. 수/계면활성제 2 성분 상 도식은 25 ℃ 에서 60 중량 % 의 계면활성제 농도로 유동한 다음, 6 차원 형 액체 결정상인 등방성 상을 함유한다. 상기 6 차원 상은 동일하였고 62 중량 % 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으로부터, 문헌 [V. Luzzati 저, "생물 막, 물리적 요인 및 작용"] 에 따라, 작은 각 X-레이 회절에 의해 특징지워졌다. 작은각 X-레이 회절 스펙트럼은 브레그 스페이싱 (Bragg spacing) 이 1 : 1/(3)1/2인 비율인 두개의 가는 선을 포함한다. 선의 스페이싱을 측정하여 수득된 라택스 매개변수는 47 옹스트롬 단위이다.
1 kg 의 상기 유화액을 (입구에서 115 ℃ 및 출구에서 60 ℃) NIRO (등록상표) 형 분사 칼럼의 표준 조건하에서 분사한다. 유화액을 카올린의 분산액의 존재하에서 공분사하여 최종 생성물내에 카올린 양이 12 중량 % 이 되게 한다. 최종 생성물은 하기 특질을 갖는 다소 구형 입자로 구성된 다공성 분말의 형태로 수득한다 :
- 입자의 크기는 10 내지 100 ㎛ 이고,
- 분말의 건조 추출물은 99 % 이고,
- 건조 분말의 중량 조성물은 하기와 같다 :
스티렌/부타디엔 라택스 70 %
요산 나트륨 (데실 D-갈락토시드) 17 %
카올린 12 %
물 1 %.
분사된 생성물은 실온에서 물에 자발적으로 재분산된다. 브룩해븐(등록상표) 에 의해 측정된 수득된 유화액의 평균 입자 크기는 0.13 ㎛ 이다.
실시예 2
하기 유화액을 블렌드내에서 제조한다 :
조성물 중량 %
스티렌/부타디엔 라택스 77.5
알킬 폴리아미노카르복실레이트 (*) 22.5
(*) 알킬 폴리아미노카르복실레이트는 롱쁠랑사에서 AMPHIONIC XL 로 시판되고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물에 용액으로 있으며 40 중량 % 의 건조 추출물을 가진다. 수/계면활성제 2 성분 상 도식은 25 ℃ 에서 50 중량 % 의 계면활성제 농도까지 유동한 후, 3 차원 형태인, 임의로 등방성 점성 액체 결정상인 등방성 상을 함유한다. 상기 3 차원 상은 동일하였고 52 % 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에서, 작은 각 X-레이 회절에 의해 특징지워졌다. 작은각 X-레이 회절 스펙트럼은 일련의 다섯 개의 특징적인 선을 포함한다.
상기 라택스는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하다.
혼합물을 입구 온도 110 ℃ 및 출구 온도 70 ℃ 로써 BUCHI (등록상표) 장치를 사용하여 분사한다.
분사 후 수득된 분말은 물에 자발적으로 분산되는 것을 보여준다. 수득된 의사라택스는 출발 라택스의 입자 크기와 동일한 입자 크기를 가진다.
실시예 3
하기 유화액을 블렌드내에서 제조한다 :
조성물 중량 %
스티렌/부타디엔 라택스 80
요산 (데실 D-갈락토시드) 나트륨 2
락토스 8
물 10
라택스는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하다.
상기 혼합물을 입구 온도 110 ℃ 및 출구 온도 70 ℃ 로써 BUCHI (등록상표) 장치를 사용하여 분사한다.
분사 후 수득된 분말은 물에 자발적으로 분산되는 것을 보여준다. 수득된 의사라택스는 출발 라택스의 입자 크기와 동일한 입자 크기를 가진다.
실시예 4
하기 유화액을 블렌드내에서 제조한다 :
조성물 중량 %
스티렌/부타디엔 라택스 82
요산 (데실 D-갈락토시드) 나트륨 2
요소 2
나트륨 실리케이트 14
라택스는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하다.
나트륨 실리케이트는 SiO2/Na2O3비가 2 이다. 물에서 용액으로 있다 (건조 추출물은 45 중량 % 이다).
나트륨 실리케이트를 우선 요산 (데실 D-갈락토시드) 나트륨 및 요소와 함께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다음에 스티렌/부타디엔 라택스에 첨가하여, 유체 분산액이 수득되도록 한다.
상기 혼합물을 다음에 입구 온도 110 ℃ 및 출구 온도 70 ℃ 로써 BUCHI (등록상표) 장치를 사용하여 분사한다.
분사 후 수득된 분말은 물에 자발적으로 분산되는 것을 보여준다. 수득된 의사라택스는 출발 라택스의 입자 크기와 동일한 입자 크기를 가진다.
실시예 5
하기 유화액을 블렌드내에서 제조한다 :
조성물 중량 %
스티렌/부타디엔 라택스 80
요산 (데실 D-갈락토시드) 나트륨 2
요소 2
헥사메타인산 나트륨 6
물 10
라택스는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하다.
헥사메타인산 나트륨을 우선 요산 (데실 D-갈락토시드) 나트륨 및 요소와 함께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다음에 스티렌/부타디엔 라택스에 첨가한다.
상기 혼합물을 다음에 입구 온도 110 ℃ 및 출구 온도 70 ℃ 로써 BUCHI (등록상표) 장치를 사용하여 분사한다.
분사 후 수득된 분말은 물에 자발적으로 분산되는 것을 보여준다. 수득된 의사라택스는 출발 라택스의 입자 크기와 동일한 입자 크기를 가진다.

Claims (27)

  1. -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하나이상의 수-불용성 막-생성 중합체의 유화액,
    - 물/계면활성제 2 성분상 도식이 25 ℃ 에서 50 중량 % 이상의 계면활성제의 농도이하까지 유동한 후, 더 높은 농도로 적어도 건조 온도까지 안정한 6 차 또는 3 차형의 경직된 액체 결정상으로 되는 등방성 상을 함유하는 하나이상의 주 계면활성제,
    - 하나이상의 수용성 화합물로 이루어진, 하나이상의 수불용성 막-생성 중합체, 하나이상의 주 계면활성제 및 하나이상의 수용성 화합물의 유화액을 혼합 및 건조시켜 수득된 수-재분산성 미분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수불용성 막-생성 중합체를 비닐 또는 아크릴레이트 단일 중합체 및 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및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부터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수불용성 막-생성 중합체가 중합체의 1 g 당 -COOH 관능기의 100 마이크로당량 이하의 표면 산도의 수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 계면활성제의 경직된 액체 결정 상이 적어도 60 ℃ 까지 안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 계면활성제가 이온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주 계면활성제를 이온성 당지질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당지질 계면활성제를 요산 유도체로부터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 계면활성제를 하기 일반식의 양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조성물 :
    (식중, 식 R 은 알킬 또는 7 내지 22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케닐 라디칼을 나타내고, R1은 수소원자 또는 1 내지 6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A 는 (CO) 또는 (OCH2CH2) 기를 나타내며, n 은 0 또는 1 이고, x 는 2 또는 3 이고, y 는 0 내지 4 이고, Q 는 1 내지 6 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는 R2를 가진 라디칼 -R2-COO M 을 나타내며, M 은 H, Na, K 또는 NH4를 나타내고 B 는 H 또는 Q 를 나타낸다).
  9. 제 8 항에 있어서, 주 계면활성제가 두개이상의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성 화합물을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 실리케이트 및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 포스페이트와 같은 무기성 종류로부터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성 화합물을 요소, 당 및 그의 유도체와 같은 유기성 종류로부터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당 및 그의 유도체를 모노사카라이드, 글리코시드 및 강력하게 해중합된 폴리홀로시드로부터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조성물.
  13. 제 1 항 내지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성 화합물을 하기 일반식을 갖는 단량체의 중합으로부터 유래하는 유기 성질의 고분자 전해질로부터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조성물 :
    (식중, 같거나 다를 수 있는 라디칼 R1은 H, CH3, CO2H 또는 (CH2)n-CO2H (n = 0 내지 4 일 때) 을 나타낸다).
  14. 제 1 항 내지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성 화합물이 주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조성물.
  15. 제 1 항 내지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하나이상의 부가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조성물.
  16. 제 1 항 내지 1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불용성 막-생성 중합체의 함량이 미분 조성물내에 40 내지 9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조성물.
  17. 제 1 항 내지 1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 계면활성제의 양이 미분 조성물내에 1 내지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조성물.
  18. 제 1 항 내지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성 화합물의 양이 미분 조성물내에 7 내지 5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조성물.
  19. 제 15 항 내지 1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 계면활성제 및 부가 계면활성제 사이의 농도의 중량비가 5 내지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조성물.
  20. 제 1 항 내지 1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 계면활성제 및 수용성 화합물 사이의 농도의 중량비가 20 : 80 내지 90 :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조성물.
  21. 제 1 항 내지 2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10 ㎛ 이하,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의 입자 크기의 분말 무기 충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조성물.
  22. - 수성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된 수불용성 막-생성 중합체로 구성되고 하나이상의 주 계면활성제, 하나이상의 수용성 화합물, 및 적합할 때, 하나이상의 부가 계면활성제 또는 하나의 케이크 방지제를 함유하는 수성 유화액으로부터 물을 제거하고,
    - 및 건조 잔류물을 원하는 입자 크기의 분말에 분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내지 21 항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미분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수성 유화액은 30 내지 70 중량 % 의 건조 추출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2 항 또는 23 항에 있어서, 선택된 방법이 분무-건조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무기 충진제의 모든 또는 일부의 무기 충진제를 분무 단계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1 내지 21 항중 어느 한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미분 조성물의 물에 재분산함으로써 수득된 의사라택스.
  27. 수력학적 결합제, 접착제, 페이퍼 코팅 조성물 및 페인트에 대한 첨가물로서 제 1 항 내지 21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미분 조성물 및 제 26 항에 정의된 의사라택스의 용도.
KR1019980702992A 1995-10-25 1996-10-21 수-재분산성 분말 막-생성 중합체 조성물 KR199900670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512588A FR2740461B1 (fr) 1995-10-25 1995-10-25 Composition pulverulente redispersable dans l'eau de polymeres filmogenes prepares a partir de monomeres a insaturation ethylenique
FR95/12588 1995-10-25
PCT/FR1996/001639 WO1997015617A1 (fr) 1995-10-25 1996-10-21 Composition pulverulente redispersable dans l'eau de polymeres filmogen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054A true KR19990067054A (ko) 1999-08-16

Family

ID=9483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992A KR19990067054A (ko) 1995-10-25 1996-10-21 수-재분산성 분말 막-생성 중합체 조성물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6369153B1 (ko)
EP (1) EP0857190A1 (ko)
JP (1) JP2989273B2 (ko)
KR (1) KR19990067054A (ko)
CN (1) CN1074432C (ko)
AR (1) AR004063A1 (ko)
AU (1) AU718444B2 (ko)
BR (1) BR9611249A (ko)
CA (1) CA2232370A1 (ko)
CZ (1) CZ123598A3 (ko)
EA (1) EA199800334A1 (ko)
FR (1) FR2740461B1 (ko)
HU (1) HUP9900332A3 (ko)
NO (1) NO981833L (ko)
NZ (1) NZ320342A (ko)
PL (1) PL326361A1 (ko)
SK (1) SK52298A3 (ko)
TW (1) TW448187B (ko)
WO (1) WO19970156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0462B1 (fr) * 1995-10-25 1997-12-19 Rhone Poulenc Chimie Composition pulverulente redispersable dans l'eau de polymeres filmogenes prepares a partir de monomeres a insaturation ethylenique
DE19601699A1 (de) * 1996-01-18 1997-07-24 Wacker Chemie Gmbh Redispergierbare Polymerisatpulver und daraus erhältliche wäßrige Polymerisat-Dispersionen
FR2785198B1 (fr) 1998-10-30 2002-02-22 Rhodia Chimie Sa Granules redispersables dans l'eau comprenant une matiere active sous forme liquide
DE19900460A1 (de) * 1999-01-08 2000-07-13 Basf Ag Polymerdispersionen
FR2841549B1 (fr) 2002-06-28 2004-08-13 Rhodia Chimie Sa Procede pour accelerer la prise d'une composition de liants mineraux hydrauliques adjuventee en additif comprenant des fonctions hydrophiles, ainsi que la compostion susceptible d'etre obtenue par ce procede et son utilisation
DE10253045A1 (de) * 2002-11-14 2004-06-03 Wacker Polymer Systems Gmbh & Co. Kg In Wasser redispergierbare Polymerpulver-Zusammensetzungen mit abbindebeschleunigender Wirkung
FR2848552B1 (fr) * 2002-12-13 2005-05-27 Rhodia Chimie Sa Un procede pour augmenter l'hydrofugation de compositions de liants hydrauliques mineraux ainsi que les compositions susceptibles d'etre obtenues par ce procede et leurs utilisations
DE10315433A1 (de) * 2003-04-03 2004-10-14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ut in Wasser redispergierbaren und mit Wasser benetzbaren Polymerisatpulvern
DE10323048A1 (de) * 2003-05-20 2004-12-09 Basf Ag Haftklebstoffe, enthaltend Polyethylen
DE10359703A1 (de) * 2003-12-18 2005-07-14 Wacker Polymer Systems Gmbh & Co. Kg Verwendung von Biozide enthaltenden, in Wasser redispergierbaren Polymerpulver-Zusammensetzungen in mineralischen Baustoffmassen
GB0500956D0 (en) * 2005-01-18 2005-02-23 Unilever Plc Improvements relating to emulsions
US7652087B2 (en) * 2006-02-21 2010-01-26 American Thermal Holdings Company Protective coating
CN101501273A (zh) * 2006-08-14 2009-08-05 巴斯夫欧洲公司 包含硅溶胶的纸涂布组合物
US8529694B2 (en) * 2006-10-26 2013-09-10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owdered acetylenic surfactant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CN102617102B (zh) * 2011-12-28 2015-05-13 上海墙特节能材料有限公司 无机干粉建筑涂料及其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79327D1 (en) * 1981-10-30 1989-02-09 Basf Ag Process for preparing non blocking, in water readily dispersible polymer powders by spraying aqueous polymer dispersions
JP2564386B2 (ja) * 1987-04-16 1996-12-18 クリスチャン ビンチャエドラー 水不溶性ポリマーの粉末の調整方法
CA2088655A1 (en) * 1992-02-29 1993-08-30 Bernd Daeumer Aqueous polymer dispersions
US5258072A (en) * 1992-06-01 1993-11-02 Basf Corporation Additive composition for oil well cementing formulations
FR2740462B1 (fr) * 1995-10-25 1997-12-19 Rhone Poulenc Chimie Composition pulverulente redispersable dans l'eau de polymeres filmogenes prepares a partir de monomeres a insaturation ethylen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32370A1 (fr) 1997-05-01
CN1200747A (zh) 1998-12-02
NZ320342A (en) 1999-11-29
AU718444B2 (en) 2000-04-13
FR2740461A1 (fr) 1997-04-30
HUP9900332A2 (hu) 1999-05-28
HUP9900332A3 (en) 2000-08-28
TW448187B (en) 2001-08-01
NO981833L (no) 1998-06-24
CZ123598A3 (cs) 1998-09-16
NO981833D0 (no) 1998-04-23
JP2989273B2 (ja) 1999-12-13
MX9803135A (es) 1998-11-29
CN1074432C (zh) 2001-11-07
US6369153B1 (en) 2002-04-09
AU7306896A (en) 1997-05-15
WO1997015617A1 (fr) 1997-05-01
EA199800334A1 (ru) 1998-10-29
BR9611249A (pt) 1999-05-04
SK52298A3 (en) 1998-09-09
AR004063A1 (es) 1998-09-30
EP0857190A1 (fr) 1998-08-12
JPH11500178A (ja) 1999-01-06
PL326361A1 (en) 1998-09-14
FR2740461B1 (fr) 199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2796A (en) Water-redispersible pulverulent composition of film-forming polymers prepared from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s
RU2288240C2 (ru) Редиспергируемый в воде полимерный порошковый состав,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варианты)
KR19990067054A (ko) 수-재분산성 분말 막-생성 중합체 조성물
US5872189A (en) Water-redispersible powders of film-forming polymers with a "core/shell" structure
JPH0356536A (ja) 水中で再分散可能なポリマー粉末およびこれからなる水硬性結合剤用添加剤
RU2417234C2 (ru) Модифицированные силаном дисперсионные порошки
AU715802B2 (en) Water-redispersible powders of film-forming polymers prepared from monomers containing ethylenic unsaturation
US6114423A (en) Redispersable cross-linkable dispersion powders
EP1134255B1 (de) Polymerzusammensetzung zur Flexibilisierung von Baustoffmassen
KR20000017014A (ko) 보호콜로이드를 안정화시킨 폴리머 조성물
US20080319106A1 (en) Novel Hydrodispersible Waterproofing Agent,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 Use of the Same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Especially in Mineral Binding Agent Compositions
JPH09176602A (ja) 耐水性接着剤用の分散物粉末
RU2439007C2 (ru) Покрытые дисперсиями полимеров плитки и способ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JPH0459324B2 (ko)
AU751621B2 (en) Redispersible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and using the same, and aqueous system containing this redispersible material
MXPA98003135A (en) Pulverulent composition re-dispersable in water of polymers filmmakers prepared from single-phase unsunctively insatura
TWI814777B (zh) 長鏈丙烯酸酯修飾之乙烯酯聚合物
US20030119947A1 (en) Modified polymeric composition
MXPA98005589A (en) Redispersible powders in water of polymers filmmakers prepared from monomerosetilinically insatu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