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6837A - 방사권취기 - Google Patents

방사권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6837A
KR19990066837A KR1019980054022A KR19980054022A KR19990066837A KR 19990066837 A KR19990066837 A KR 19990066837A KR 1019980054022 A KR1019980054022 A KR 1019980054022A KR 19980054022 A KR19980054022 A KR 19980054022A KR 19990066837 A KR19990066837 A KR 19990066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ided
contact roller
spin
tensio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사무 나카가와
테쯔지 마사이
Original Assignee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051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20899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050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208993A/ja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66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683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42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in which the package, core, or former is rotated by frictional contact of its periphery with a driv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7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f yarn-winding machines
    • B65H54/74Driv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38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 B65H59/384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using electronic means
    • B65H59/385Regulating windin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40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1/00Means for control to be used by operator; User interfaces
    • B65H2551/20Display means; Information output means
    • B65H2551/21Monitors;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1/00Means for control to be used by operator; User interfaces
    • B65H2551/20Display means; Information output means
    • B65H2551/24Sound or voice gene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1개의 보빈홀더에 장착된 복수의 패키지에 대해서, 패키지의 형상이나 실품질의 균일화를 달성한다. 1개의 보빈홀더(1)에 장착된 복수의 패키지(Pa∼Pd)에, 회전하는 컨택트 로울러(4)를 접촉하면서 귄취를 행하는 방사권취기에 있어서, 컨택트 로울러(4)가, 각 패키지(Pa∼Pd)마다 나뉘어 설치되어 개별로 회전가능한 4개의 분할 로울러(4a∼4d)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분할 로울러(4a∼4d)마다 구동용 DC브러시리스 모터(Direct Current brushless motor)(10a∼10d)를 내장한 경우, 각 패키지(Pa∼Pd)에 권취되는 필라멘트사(Ya∼Yd)의 장력을 장력검출기(11a∼11d)에 의해 개별로 검출하고, 그 검출장력값을 기초로 해서 각 모터(10a∼10d)가 개별로 제어된다.

Description

방사권취기
본 발명은, 1개의 보빈홀더에 장착된 복수의 패키지에, 회전하는 컨택트 로울러를 접촉하면서 권취를 행하는 방사권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택트 로울러가 축방향으로 복수의 분할 로울러로 분할된 타입의 방사권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1개의 보빈홀더에 장착된 복수의 패키지에 대해서, 회전하는 1개의 컨택트로울러를 접촉하면서 권취를 행하는 방사권취기가 알려져 있다. 또한, 보빈홀더의 장척화(長尺化) 및 권취속도의 고속화에 따라 위험속도를 상승시키므로, 컨택트 로울러를 축방향으로 2개의 분할 로울러로 분할한 방사권취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사권취기에서는 특히 고속회전을 행하는 경우, 굵게 권취되는 데에 따르는 보빈홀더의 휘어짐이나 상류측 가이드에서의 굴곡각도의 차이 등에 의해, 각 패키지와 컨택트 로울러와의 사이의 접압이나 각 패키지에 권취되는 필라멘트사의 권취 장력에 미묘한 차가 발생하는 일이 있다, 이러한 경우, 보빈홀더가 각 패키지에 대해서 공통으로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에 장착된 각 패키지에 대해서는, 어떤 패키지위치에서는 컨택트 로울러에 가속방향의 회전력이 걸리고, 다른 패키지위치에서는 컨택트 로울러에 감속방향의 회전력이 걸리는 일이 고려된다. 그러나, 컨택트 로울러는 모든 패키지에 대해서 항상 일체적으로밖에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접압이나 권취 장력의 차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고, 패키지의 형상이나 실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게 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컨택트 로울러를 2개의 분할 로울러로 분할한 경우라도, 이들을 모터구동할 경우에는, 회전축끼리가 커플링으로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1개의 컨택트 로울러를 사용한 경우와 동일한 문제가 있다.
컨택트 로울러를 2개의 분할 로울러로 분할하고 또한 이들을 모터구동하지 않을 (종동회전시킬) 경우, 이들은 개별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패키지 둘레면으로부터 받는 회전력에 대해서 1개의 경우와 비교하면 비교적 무리없이 종동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1개의 보빈홀더에 장착된 복수의 패키지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요소에 의해, 종동회전되는 또는 모터구동되는 컨택트 로울러(분할 로울러)의 적정한 회전속도는, 각 패키지마다 각각 개별로 다르게 되어 있기 때문에, 패키지 수보다 적은 수(2개)의 분할 로울러를 설치한 것만으로는 각 패키지의 형상이나 실품질을 엄밀히 균일한 것으로는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1개의 보빈홀더에 장착되는 복수의 패키지에 대해서, 각 패키지마다 개별로 회전가능한 분할 로울러를 설치하는 것으로, 각각의 분할 로울러를 개별로 적정한 회전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패키지 형상이나 실품질의 균일화를 달성할 수 있는 방사권취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의 목적으로 한다.
또, 1개의 보빈홀더에 장착된 복수의 패키지에 대해서, 보빈홀더상의 위치에 상관없이, 패키지와 컨택트 로울러와의 사이의 슬립량이나 권취장력의 균일화를 가능하게 하여, 패키지형상이나 실품질의 균일화를 달성할 수 있는 방사권취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2의 목적으로 한다.
또, 축끼리를 연결하는 커플링을 필요로 하지 않고, 권취기전체의 소형화 및 보빈교환이나 관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방사권취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3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1개의 보빈홀더에 장착된 복수의 패키지에, 회전하는 컨택트 로울러를 접촉하면서 권취를 행하는 방사권취기에 있어서, 컨택트 로울러가, 각 패키지마다 나뉘어 설치되어 개별로 회전가능한 복수의 분할 로울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서는, 1개의 보빈홀더에 장착된 복수의 패키지에 대하여, 각 패키지에 1대1로 대응하도록, 개별로 회전가능한 분할 로울러를 설치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각 패키지와 컨택트 로울러(분할 로울러)와의 사이의 접압이나 각 패키지에 권취되는 사조의 권취장력이 다른 경우라도, 종동회전되거나 혹은 모터구동되는 각 분할 로울러를 개별로 적정한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분할 로울러마다 구동용 모터를 구비한 것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는, 각 패키지마다 나누어 설치한 각 분할 로울러를 개별로 모터구동할 수 있으므로, 구동용 모터에 의해 각 분할 로울러를 적정한 회전속도로 회전구동하는 것에 의해, 고속권취의 경우라도 각 패키지와 각 분할 로울러와의 사이의 슬립량을 적정한 양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구동용 모터는 각각 분할 로울러의 내부에 나뉘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는, 각 패키지마다 나누어 설치된 복수의 분할 로울러내부에, 각각 개별로 구동용 모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용 모터를 설치하기 위한 특별한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권취기를 소형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특히, 그 구동용 모터를, 고정축에 스테이터(stator)를 부착하고, 분할 로울러의 내주면에 로우터(rotor)를 고정하여 부착하는 외측 로우터형 모터로 하는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안정된 회전구동을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복수의 패키지에 권취되는 사조의 장력을 개별로 검출하는 장력검출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는, 각 사조의 장력을 개별로 검출할 수 있으므로, 각 분할 로울러마다 구동용 모터를 구비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각 패키지마다 검출장력값에 근거해서 구동용 모터를 제어하는 것으로, 권취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1개의 보빈홀더에 장착된 복수의 패키지에, 모터구동되는 컨택트 로울러를 접촉하면서 권취를 행하는 방사권취기에 있어서, 컨택트 로울러가 개별로 회전가능한 복수의 분할 로울러로 분할되어 있고, 각 분할 로울러마다 구동용 모터를 나누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서는, 1개의 보빈홀더에 장착된 복수의 패키지에 대해서, 모터구동되는 컨택트 로울러로서, 구동용 모터에 의해 각각 개별로 회전구동되는 복수의 분할 로울러를 나누어 설치했으므로, 예를 들면 보빈홀더의 선단측과 기단측에 있어서, 또는 축방향의 중앙부와 양단부에 있어서, 분할 로울러의 회전속도를 미묘하게 다르게 할 수 있었다. 즉, 보빈홀더에 장착된 복수의 패키지에 대해서, 보빈홀더의 축심방향의 위치에 따라, 각 분할 로울러를 각각 개별로 적정한 회전속도로 회전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분할 로울러 및 상기한 구동용 모터가, 1개의 보빈홀더에 장착된 복수의 패키지마다 나누어 설치된 것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는 1개의 보빈홀더에 장착된 복수의 패키지에 대해서, 각 패키지에 l대l로 대응하도록 분할 로울러및 구동용 모터가 나누어 설치되기 때문에, 각각의 패키지에 대해서 각 분할 로울러를 각각 개별로 적정한 회전속도로 회전구동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고정축은 최대직경부 및 최소직경부를 갖고 있고 그 최대직경부에 있어서 베어링을 매개로 해서 컨택트 로울러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고, 최소직경부에 구동용 모터의 스테이터가 고정 부착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는, 컨택트 로울러의 지름의 대형화를 방지하면서, 최대직경부에서 지지된 컨택트 로울러를 안정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컨택트 로울러는 축방향으로 복수의 분할 로울러로 분할되어 있고, 각 분할 로울러마다 내부에 각각 구동용 모터를 나누어 설치한 것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는, 외부에 구동용 모터를 설치하지 않고, 로울러내부에 나뉘어 설치된 각각의 구동용 모터에 의해, 적극적으로각 분할 로울러를 개별로 다른 속도로 회전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한 컨택트 로울러는 축방향으로 복수의 분할 로울러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한 고정축이 복수의 분할 로울러에 대해서 공통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는, l개의 공통의 고정축의 둘레에 복수의 분할 로울러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고, 간단한 구조로 각 분할 로울러를 정확하게 동축상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한 제l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의 제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4는 제2실시예의 제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장력검출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관한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7은 제3실시예의 제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의 개략측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취지를 넘지 않는 한,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한 방사권취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의 개략측면도, 도 2는 동일한 제1실시예의 제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의 개략측면도, 도 4는 동일한 제2실시예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장력검출기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단면의 개략도이다. 또, 도 1, 도 3, 도 6, 도 7에 있어서, 좌측(보빈홀더의 선단측)을 전단측으로 하고, 우측(보빈홀더의 기단측)을 후단측으로 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관한 방사권취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의 개략측면도, 도 7은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의 개략측면도이다.
제l∼제4실시예에 나타낸 방사권취기는, 용융방출된 나일론 필라멘트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등 복수개의 필라멘트사(Y)를, 약 6000m/분이라는 고속으로 소정 형상의 패키지(P)에 권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방사권취기의 윗쪽(상류)에는, 히터를 내장한 복수의 가열 로울러(도시생략)가 나뉘어 설치되고, 복수개의 필라멘트사는, 그들의 가열 로울러의 회전속도에 따라 연신됨과 동시에 가열되어 FDY(Full Draw Yarn)로 된 후, 트래버스장치(도시생략)에 의해 전후방향(도면중 좌우방향)으로 트래버스되면서, 보빈홀더(1)에 장착된 복수개의 보빈(패키지)에 각각 동시에 권취된다.
(제1실시예)
우선, 도 1,2을 이용하여, 제1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프레임(2)의 앞벽측에 수평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긴 보빈홀더(1)에는, 축방향으로 나란히 복수개(4개)의 보빈(3a,3b,3c,3d)이 장착되어 있다. 이 보빈홀더(1)는 프레임(2)에 내장된 전동 모터(도시생략)에 의해 회전구동되고, 보빈홀더(1)에 장착한 각 보빈(3a,3b,3c,3d)에 각각 필라멘트사(Ya,Yb,Yc,Yd)를 권취함으로써, 패키지(Pa,Pb,Pc,Pd)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패키지(Pa∼Pd)의 상측에는, 각 패키지의 표면에 접촉해서 회전하는 중공(中空)의 컨택트 로울러(4)가, 보빈홀더(1)와 평행하게 되도록 축심을 전후방향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컨택트 로울러(4)는 축방향으로 분할된 4개의 분할 로울러(4a∼4d)로 구성되며, 각 분할 로울러(4a∼4d)는 각 패키지 (Pa∼Pd) 마다 나뉘어 설치되어 개별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 분할 로울러(4a∼4d)는, 후술하는 브래킷(5)에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2)에 내장된 실린더 등의 액츄에이터(도시생략)에 의해, 브래킷(5)은 보빈홀더(1)상의 패키지의 권취굵기에 따라 상승가능하게 되어 있고, 권취개시부터 권취종료까지 패키지(Pa∼Pd)와 분할 로울러(4a∼4d)와의 접압을 소정압(일정)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4개의 분할 로울러(4a∼4d)는 재질, 지름 및 축방향길이는 모두 동일하게 되어 있다.
각 분할 로울러(4a∼4d)는, 축심을 수평을 향해서 브래킷(5)에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유지된 1개의 고정축(6)의 둘레에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5)은 전후 양단부 및 중앙부, 또는 전단부와 중앙부와의 사이(중간부) 및 후단부와 중앙부와의 사이(중간부)에 하방돌출부를 갖고, 고정축(6)은 중앙부 및 2개의 중간부의 하방돌출부를 관통하여, 전후의 하방돌출부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축(6)은 전후 양단부, 중앙부 및 2개의 중간부에 최대직경부를 갖고 있다. 그 5개소의 최대직경부에 있어서, 고정축(6)이 브래킷(5)의 하방돌출부에 고정부착됨과 동시에, 각 분할 로울러(4a∼4d)가 베어링(7)을 매개로 해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축(6)은 양단부를 포함해서 5개소에서 브래킷(5)에 지지되어 있고, 각 하방돌출부사이의 고정축(6)의 최대직경부에서 베어링(7)에 의해 각 분할 로울러(4a∼4d)가 개별로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브래킷(5)의 윗쪽에 컨택트 로울러(4)의 축방향과 평행한 고정프레임(12)이 배치되어 있다. 이 고정프레임(12)의 소정 개소에, 각 패키지(Pa∼Pd)에 권취되는 필라멘트사(Ya∼Yd)의 권취장력을 각각 개별로 검출하는 장력검출수단으로서, 각 패키지(Pa∼Pd)에 각각 대응하도록 4개의 장력검출기(11a,11b,11c,11d)가 배치되어 있다. 각 장력검출기(11a∼11d)는, 각 패키지(Pa∼Pd)로부터 같은 거리상의 트래버스폭 중앙위치에 있고, 각 패키지(Pa∼Pd)의 트래버스 지점(支點)으로 되어 있다.
도 5를 이용해서, 각 장력검출기(11a∼11d)의 구성을 설명한다. 각 장력검출기(11a∼11d)는 모두 같은 구성이므로, 대표로 1개의 장력검출기(11a)에 대해서 설명한다.
고정프레임(12)에는, 고정프레임(12)의 길이방향(전후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지지막대(101)(지지부재)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한 지지막대(101)의 선단에는, 지지막대(101)의 축선에 직교하도록, 에나멜금속판(메탈코어기판)(102)의 일단이 부착되어 있다. 금속판(102)의 다른 한쪽 단부에서는, 금속판(102)에 직교하도록, 선단에 나사구멍(103a)이 뚫려 설치된 막대부재(103)가 부착되어 있다. 도면부호 104는 일단에 나사(104a)가 부착된 축부이고, 나사(104a)와 반대측의 축부(104)에는, 트래버스 지점가이드로서의 스내일(snail)가이드부재(105)가 부착되어 있다. 막대부재(103)의 나사구멍(103a)에, 축부(104)에 뚫어서 설치된 나사(104a)를 나사로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막대부재(103)에 스내일가이드부재(105)가 부착된된다. 그리고, 스내일가이드부재(105)의 링부(105a)에, 다수개의 필라멘트로 구성된 1개의 필라멘트사(Ya)가 끼워 통해져 있다. 금속판(102)의 소정 개소에는 변형게이지(106)(변형감응 저항체)가 부착되어, 금속판(102)의 신축변형을 변형게이지(106)에 의해 전기신호로서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금속판(102) 및 변형게이지(106) 등은, 오일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케이싱(107)으로 덮여져 있다. 케이싱(107)에는 구멍(107a)이 설치되어, 이 구멍(107a)으로부터 외부로 막대부재(103)의 선단부가 돌출되어 있다. 구멍(107a)주위의 돌부는, 변형게이지(106)가 과다히 휘어서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로 되어 있다.
스내일가이드부재(105)의 링부(105a)에 끼워 통해진 필라멘트사(Ya)가, 트래버스장치(도시생략)에 의해, 막대부재(103) 및 스내일가이드부재(105)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트래버스되면, 금속판(102)이 지지막대(101)의 선단부를 지점으로서 변형하고, 변형게이지(106)에 의해 그 변형량에 따른 전기신호가 발생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장력검출기(11a∼11d)를 각 패키지(Pa∼Pd)에 각각 대응해서 배치하면, 각 장력검출기(11a∼11d)의 변형게이지(106)로부터는 트래버스주기에 대응한 일정주기로 규칙적인 변동을 나타내는 전기신호가 발생된다. 이 전기신호(전압값 또는 전류값)의 크기나 변동량(변동폭)의 크기에 근거해서, 각 필라멘트사(Ya∼Yd)의 권취장력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다음에,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듯이, 각 장력검출기(11a∼11d)로부터의 전기신호(검출신호)는, 각각 개별로 아나로그/디지털 변환기(13a∼13d)를 매개로 해서 컨트롤러(14)(제어수단)에 입력된다. 컨트롤러(14)는, 입력된 검출장력값에 근거해서 소정의 알람판정처리를 행한다.
컨트롤러(14)는 평균수단(15) 및 비교수단(16)을 갖고, 디지털화된 각 장력검출기(11a∼11d)로부터의 전기신호는 우선 평균수단(15)에 의해 평균화된다. 평균수단(15)은, 4개의 장력검출기(11a∼11d)에 의한 검출장력값의 평균값(A)을 구한다. 비교수단(16)은 알람판정을 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각 장력검출기(11a∼11d)에 의한 검출장력값과 평균값(A)과의 차, 또는 각 장력검출기(11a∼11d)에 의한 검출장력값과 미리 설정입력된 설정장력값(B)과의 차가 소정값을 넘으면 알람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컨트롤러(14)에는, 각 분할 로울러(4a∼4d)의 회전수에 따른 펄스를 발생하는 회전수 검출기(18a∼18d)의 검출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평균수단(15)은, 4개의 회전수 검출기(18a∼18d)에 의한 검출회전수의 평균값(C)을 구한다. 비교수단(16)은, 예를 들면 각 회전수 검출기(18a∼18d)에 의한 검출회전수와 평균값(C)과의 차, 또는 각 회전수 검출기(18a∼18d)에 의한 검출회전수와 미리 설정입력된 설정회전수(D)와의 차가 소정값을 넘으면 알람신호를 발생한다.
알람신호가 출력되면, 예를 들면 연속적으로 방출되어 오는 필라멘트사를 흡인·제거하여 권취를 정지함과 동시에, 램프의 점등이나 디스플레이(도시생략)에의 표시에 의해 작업자에게 알리도록 되어 있다. 또, 컨트롤러(14)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에는, 설정장력값(B) 및 검출장력값, 분할 로울러의 설정회전수(D) 및 각 분할 로울러(4a∼4d)의 검출회전수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 검출장력값 및 검출회전수의 표시는, 각 필라멘트사(Ya∼Yd)사이 및 각 분할 로울러(4a∼4d)사이의 불균일이나 경시적인 변동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라멘트사(Ya∼Yd)의 장력모니터나 분할 로울러(4a∼4d)의 회전수 모니터를 행함으로써, 기계적 부하의 증대 등에 의한 권취기의 고장이나 과대 장력에 의한 실의 끊어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서는, 각 패키지(Pa∼Pd)에 각각 접촉하여, 개별로 종동회전하는 4개의 분할 로울러(4a∼4d)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각 분할 로울러(4a∼4d)를 각각 필라멘트사(Ya∼Yd) 등에 여분의 부담을 주지 않는 적정한 회전속도(회전수)로 회전시킬 수 있고, 그것에 따라 각 패키지(Pa∼Pd)의 형상이나 실품질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다음에, 도 3, 4를 이용해서 제2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각 패키지(Pa∼Pd)에 1대1로 대응하도록, 제1실시예와 동일한 지지형태로 분할 로울러(4a∼4d)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 제1실시예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각 분할 로울러(4a∼4d)를 각각 개별로 회전구동하는 구동용 모터(10a∼10d)가 설치되어 있다. 각 모터(10a∼10d)는 각각 각 분할 로울러(4a∼4d)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고정축(6)의 4개의 최소직경부의 외주면에 고정부착된 스테이터(8a∼8d)(코어 및 코일)와, 상기한 스테이터(8a∼8d)의 외측에서 스테이터와 대향하도록, 분할 로울러(4a∼4d)의 내주면에 부착된 로우터(9a∼9d)(영구자석)로 구성된 외측 로우터형 DC모터(10a∼10d)로 되어 있다. DC모터(10a∼10d)는 브러시리스 모터이고, 스테이터(8a∼8d)의 코일에 대한 급전(給電)은 중공형상의 고정축(6)안을 지나는 급전선(給電線)(도시생략)을 매개로 해서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한 스테이터(8a∼8d) 및 로우터(9a∼9d)는, 각각 고정축(6) 및 분할 로울러(4a∼4d)에 직접 부착해도 좋고, 적절한 부재를 매개로 해서 부착해도 좋다.
도 4에 나타내듯이, 각 장력검출기(11a∼11d)로부터의 전기신호(검출신호)는, 각각 개별로 아나로그/디지털 변환기(13a∼13d)를 매개로 해서 컨트롤러(14)(제어수단)에 입력된다. 컨트롤러(14)는 검출한 장력값에 근거해서 소정의 연산을 행하고, 4개의 CR 구동용 모터(10a∼10d)를 개별로 제어한다.
이하에, 제2실시예에 관한, 각 장력검출기(11a∼11d)를 사용한 검출장력값에 근거한 제어의 일례를 설명한다.
컨트롤러(14)는 평균수단(15), 비교수단(16) 및 연산수단(17)을 갖고, 디지털화된 각 장력검출기(11a∼11d)로부터의 전기신호는 우선 평균수단(15)에 의해 평균화된다. 평균수단(15)은, 4개의 장력검출기(11a∼11d)에 의한 검출장력값의 평균값(A)을 구한다. 연산수단(17)은, 미리 설정입력된 설정 장력값(B)(목표값)과 각 장력검출기(11a∼11d)에 의한 검출장력값에 근거해서, 각각 모터(10a∼10d)를 개별로 제어한다. 이 제어는, 예를 들면, 검출장력값이 설정장력값(B)보다 큰 경우, 그 검출장력값에 대응하는 분할 로울러(4a∼4d)의 회전속도를 감소시켜, 검출장력값이 설정장력값(B)보다 작은 경우, 그 검출장력값에 대응하는 분할 로울러의 회전속도를 상승시킴으로써, 각 필라멘트사(Ya∼Yd)의 장력값을 정확하고 균일한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이 모터(10a∼10d)의 제어는, 검출기(20a∼20d)를 사용하여 각 모터(10a∼10d)의 회전수를 각각 피드백하면서 행해진다.
비교수단(16)은 알람판정을 행하는 것으로, 각 장력검출기(11a∼11d)에 의한 검출장력값과 설정장력값(B)과의 차, 또는 상기한 평균값(A)과 설정장력값(B)과의 차가 소정값을 넘으면 알람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각 분할 로울러(4a∼4d)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알람판정을 행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10a∼10d)에 대한 지령속도에 근거해서 알람판정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10a∼10d)에 대한 지령속도가 소정 범위를 넘으면 알람신호가 출력되고, 알람신호가 출력되면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권취를 정지해서 작업자에게 알리도록 되어 있다. 또, 설정장력값 및 검출장력값의 표시도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행해진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는, 각 패키지(Pa∼Pd)에 각각 접촉하여, 개별로 모터구동되는 4개의 분할 로울러(4a∼4d)를 설치했기 때문에, 각 분할 로울러(4a∼4d)를 각각 적정한 회전속도(회전수)로 적극 회전시킬 수 있고, 그것에 따라 각 필라멘트사(Ya∼Yd)의 장력값을 정확하고 균일한 값으로 유지해서, 공통의 보빈홀더(1)에 대한 복수의 패키지(Pa∼Pd)의 형상이나 실품질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 제2실시예에서는, 검출한 장력값에 근거한 분할 로울러(4a∼4d)의 제어에 관해서만 언급하였지만, 그 분할 로울러(4a∼4d)의 제어에 덧붙여 적절하게 보빈홀더측의 제어도 행하면 좋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는, 1개의 고정축(6)의 주위에 복수의 분할 로울러를 개별로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여, 이들을 외측 로우터형 DC 브러쉬레스 모터로 개별로 회전구동하도록 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분할 로울러(4a∼4d)의 지름을 대형화하는 일없이, 안정되고 효율좋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축(6)에 복수의 최소직경부 및 최대직경부를 형성하고, 각 분할 로울러를 최대직경부에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최소직경부의 주위에 모터를 나누어 설치했기 때문에, 지름이 작은 분할 로울러(4a∼4d)를 안정되게 고속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분할 로울러의 내주면에 고정부착된 로우터로부터의 발열이 없기 때문에, 분할 로울러에 접촉하는 패키지에 대한 열적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제2실시예에서는, 1개의 보빈홀더(1)만이 프레임(2)으로부터 전방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개별로 회전이 자유로운 2개의 보빈홀더를 평행하게 돌출되게 설치하고, 터릿의 회전 또는 그밖의 방식에 의해, 양보빈홀더를 권취위치와 대기위치로 전환하는 타입의 방사권취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보빈홀더(1)에 장착된 보빈(패키지)은 4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6개나 8개라도 좋다.
(제3실시예)
먼저, 도 6, 7을 이용해서 제3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프레임(2)의 앞벽측에 수평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긴 보빈홀더(1)에는, 축방향으로 나란히 복수개(4개)의 보빈(3a,3b,3c,3d)이 장착되어 있다. 이 보빈홀더(1)는 프레임(2)에 내장된 전동모터(도시생략)에 의해 회전구동되고, 보빈홀더(1)에 장착한 각 보빈(3a,3b,3c,3d)에 각각 필라멘트사(Ya, Yb, Yc, Yd)를 권취함으로써, 패키지(Pa,Pb,Pc,Pd)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패키지(Pa∼pd)의 상측에는, 각 패키지의 표면에 접촉해서 회전하는 중공의 컨택트 로울러(4)가, 보빈홀더(1)와 평행하게 되도록 축심을 전후 방향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 컨택트 로울러(4)는, 프레임(1)의 앞벽측에 나누어 설치된 브래킷(5)에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2)에 내장된 실린더 등의 액츄에이터(도시생략)에 의해, 브래킷(5)은 보빈홀더(1)상의 패키지의 권취굵기에 따라 상승가능해지고, 권취개시에서 권취종료까지 패키지(Pa∼Pd)와 컨택트 로울러(4)와의 접압을 소정압(일정)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컨택트 로울러(4)는, 축방향으로 2개의 분할 로울러(4a,4b)로 분할되어 있다. 이 2개의 분할 로울러(4a,4b)는 각각 개별로 회전이 자유롭고, 재질, 지름 및 축방향길이는 모두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한 쪽(앞측)의 분할 로울러(4a)가 보빈홀더(1)상의 앞의 2개의 패키지(Pa, Pb)에, 다른 쪽(뒷측)의 분할 로울러(4b)가 보빈홀더(1)상의 뒤의 2개의 패키지(Pc, Pd)에 접촉해서 회전한다.
각 분할 로울러(4a,4b)는, 축심을 수평을 향해서 브래킷(5)에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지지된 1개의 고정축(6)의 둘레에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5)은 전후 양단부 및 중앙부에 하방돌출부를 갖고, 고정축(6)은 중앙부의 하방돌출부를 관통해서 전후의 하방돌출부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축(6)은 전후 양단부 및 중앙부에 최대직경부를 갖고 있다. 그 3개소의 최대직경부에 있어서, 고정축(6)이 브래킷(5)의 하방돌출부에 고정부착됨과 동시에, 각 분할 로울러(4a,4b)가 베어링(7)을 매개로 해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축(6)은 양단부를 포함해서 3개소에서 브래킷(5)에 지지되어 있고, 앞측의 분할 로울러(4a)는 고정축(6)의 전단부 및 중앙부의 최대직경부에서 베어링(7)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고, 뒷측의 분할 로울러(4b)는 고정축(6)의 중앙부 및 후단부의 최대직경부에 있어서 베어링(7)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각 분할 로울러(4a,4b)의 내부에는, 고정축(6)의 2개의 최소직경부 외주면에 고정부착된 스테이터(8a,8b)(코어 및 코일)와, 상기한 스테이터(8a,8b)의 외측에서 스테이터와 대향하도록, 분할 로울러(4a,4b)의 내주면에 고정부착된 로우터(9a,9b)(영구자석)로 구성되는 외측 로우터형 DC 모터(10a,10b)가 나뉘어 설치되어 있다. DC 모터(10a,10b)는 브러시리스 모터이고, 스테이터(8a,8b)의 코일에 대한 급전은 중공형상의 고정축(6)내부를 통과하는 급전선(도시생략)을 매개로 해서 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스테이터(8a,8b) 및 로우터(9a,9b)는, 각각 고정축(6) 및 분할 로울러(4a,4b)에 직접 부착해도 좋고, 적절한 부재를 매개로 해서 부착해도 좋다.
브래킷(5)의 상방에 컨택트 로울러(4)의 축방향과 평행한 고정프레임(12)이 배치되어 있다. 이 고정프레임(12)의 소정 개소에, 각 패키지(Pa∼Pd)에 권취되는 필라멘트사(Ya∼Yd)의 권취장력을 각각 개별로 검출하는 장력검출수단으로서, 각 패키지(Pa∼Pd)에 각각 대응하도록 4개의 장력검출기(11a,11b,11c,11d)가 배치되어 있다. 각 장력검출기(11a∼11d)는, 각 패키지(pa∼pd)로부터 같은 거리상의 트래버스폭 중앙위치에 있고, 각 패키지(Pa∼Pd)의 트래버스 지점으로 되어 있다.
각 장력검출기(11a∼11d)의 구성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다음에,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어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듯이, 각 장력검출기(11a∼11d)로부터의 전기신호(검출신호)는, 각각 개별로 아나로그/디지털 변환기(13a∼13d)를 매개로 해서 컨트롤러(14)(제어수단)에 입력된다. 컨트롤러(14)는 검출한 장력값에 근거해서 소정의 연산을 행하고, 2개의 CR 구동용 모터(10a,10b)를 개별로 제어한다.
이하에, 각 장력검출기(11a∼11d)를 사용한 검출장력값에 근거한 제어의 일례를 설명한다.
컨트롤러(14)는 평균수단(15), 비교수단(16) 및 연산수단(17)을 갖고, 디지털화된 각 장력검출기(11a∼11d)로부터의 전기신호는 먼저 평균수단(15)에 의해 평균화된다. 평균수단(15)은, 앞측 분할 로울러(4a)에 대응하는 2개의 장력검출기(11a,11b)에 의한 검출값의 평균값(A), 뒷측 분할 로울러(4b)에 대응하는 2개의 장력검출기(11c,11d)에 의한 검출값의 평균값(B), 및 4개의 장력검출기(11a∼11d)에 의한 검출값의 평균값(C)을 구한다. 연산수단(17)은, 미리 설정입력된 설정장력값(D)(목표값)과 평균값(A)에 근거해서 모터(10a)를, 설정장력값(D)과와 평균값(B)에 근거해서 모터(10b)를 각각 개별로 제어한다. 이 제어는, 예를 들면, 평균값(A, B)이 설정장력값(D)보다 큰 경우, 분할 로울러의 회전속도를 감소하여, 평균값이 설정장력값(D)보다 작은 경우, 분할 로울러의 회전속도를 상승하도록 행해진다. 또, 이 모터(l0a,10b)의 제어는, 검출기(20a,20b)를 사용하여 각 모터(10a,10b)의 회전수를 각각 피드백하면서 행해진다.
비교수단(16)은 알람판정을 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상기한 평균값(A)와 (C)와의 차나 (B)와 (C)와의 차, 또는 평균값(A, B, C)와 설정장력값(D)와의 차가 소정값을 넘으면 알람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분할 로울러(4a,4b)는 권취개시로부터 만(滿)권취가 될 때까지 기본적으로 대략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모터(10a,10b)에 대한 지령속도가 소정범위를 넘으면 알람신호가 출력된다. 알람신호가 출력되면, 예를 들면 연속적으로 방출되어 오는 필라멘트사를 흡인·제거해서 권취를 정지함과 동시에, 램프의 점등이나 디스플레이(도시생략)에의 표시에 의해 작업자에게 알리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4)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에는, 설정장력값(D) 및 검출장력값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검출장력값의 표시는, 각 필라멘트사(Ya∼Yd)사이의 불균형이나 경시적인 변동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라멘트사(Ya∼Yd)의 장력모니터를 행하는 것에 의해, 기계적 부하의 증대등에 의한 권취기의 고장이나 과대 장력에 의한 실끊어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서는, 컨택트 로울러(4)가 앞측 및 뒷측 2개의 분할 로울러(4a,4b)로 분할되고, 각 분할 로울러(4a,4b)를 개별로 회전구동하는 구동용 모터(10a,10b)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빈홀더(1)의 휘어짐 등에 의해 선단측 패키지(Pa,Pb) 및 분할 로울러(4a)사이의 접압과, 기단측 패키지 (Pc,Pd) 및 분할 로울러(4b)간의 접압에 차가 생겨도, 그것을 2개의 분할 로울러(4a,4b)의 회전제어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통의 보빈홀더(1)에 대한 복수의 분할 로울러(4a,4b)를 보빈홀더(1)의 선단측과 기단측 또는 중앙부와 단부에서 적극적으로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각 필라멘트사(Ya∼ Yd)의 장력을 정확하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공통의 보빈홀더(1)상의 복수의 패키지(Pa∼pd)의 형상이나 실품질을 매우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4실시예)
먼저, 도 8을 이용해서, 제4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프레임(2)의 앞벽측에 수평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된 긴 보빈홀더(1)에는, 축방향으로 나란히 복수개(4개)의 보빈(3a,3b,3c,3d)이 장착되어 있다. 이 보빈홀더(1)는 프레임(2)에 내장된 전동모터(도시생략)에 의해 회전구동되고, 보빈홀더(1)에 장착한 각 보빈(3a,3b,3c,3d)에 각각 필라멘트사(Ya,Yb,Yc,Yd)를 권취함으로써, 패키지(Pa,Pb,Pc,Pd)를 형성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패키지(Pa∼Pd)의 상측에는, 각 패키지 표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중공의 컨택트 로울러(4)가, 보빈홀더(1)와 평행하게 되도록 축심을 앞뒤를 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 컨택트 로울러(4)는, 프레임(1)의 앞벽측에 나누어 설치된 브래킷(5)에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2)에 내장된 실린더 등의 액츄에이터(도시생략)에 의해, 브래킷(5)은 보빈홀더(1)상의 패키지의 권취굵기에 따라 상승가능해지고, 권취개시에서 권취종료까지 패키지(Pa∼Pd)와 컨택트 로울러와의 접압을 소정압(일정)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컨택트 로울러(4)는, 축심을 수평을 향해서 브래킷(5)에 회전이 불가능하게 지지된 1개의 고정축(6)의 둘레에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5)은 전후 양단부에 하방돌출부를 갖고, 고정축(6)은 그 전후의 하방돌출부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축(6)은 전후 양단부에 최대직경부를 갖고 있다. 그 2개소의 최대직경부에서, 고정축(6)이 브래킷(5)의 하방돌출부에 고정부착됨과 동시에, 컨택트 로울러(4)가 베어링(7)을 매개로 해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컨택트 로울러(4)의 내부에는, 양단부의 최대직경부사이에 위치하는 고정축(6)의 최소직경부의 외주면에 고정부착된 스테이터(8)(코어 및 코일)와, 상기한 스테이터(8)의 외측에서 스테이터와 대향하도록 컨택트 로울러(4)의 내주면에 고정부착된 로우터(9)(영구자석)로 구성되는 외측 로우터형 DC 모터(10)가 나뉘어 설치되어 있다. 모터(10)는 브러시리스 모터이고, 스테이터(8)의 코일에 대한 급전은 중공형상의 고정축(6)내부를 통과하는 급전선(도시생략)을 매개로 해서 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스테이터(8) 및 로우터(9)는, 각각 고정축(6) 및 컨택트 로울러(4)에 직접 부착해도 좋고, 적당한 부재를 사이에 끼워서 부착해도 좋다.
브래킷(5)의 상방에 컨택트 로울러(4)의 축방향과 평행한 고정프레임(12)이 배치되어 있다. 이 고정프레임(12)의 소정 개소에, 각 패키지(Pa∼Pd)에 권취되는 필라멘트사(Ya∼Yd)의 권취장력을 각각 개별로 검출하는 장력검출수단으로서, 각 패키지(Pa∼Pd)에 각각 대응하도록 4개의 장력검출기(11a,11b,11c,11d)가 배치되어 있다. 각 장력검출기(11a∼11d)는, 각 패키지(Pa∼Pd)로부터 같은 거리상의 트래버스폭 중앙위치에 있고, 각 패키지(Pa∼Pd)의 트래버스지점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므로, 아래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①본 발명에 의하면, 종동회전되거나 또는 모터구동되는 각 패키지마다의 각 분할 로울러를 개별로 적정한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1개의 보빈홀더에 장착된 복수의 패키지에 관해서, 패키지형상이나 실품질을 균일화할 수 있다.
②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용 모터에 의해 복수의 분할 로울러의 회전속도를 적극적으로 다른 속도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분할 로울러를 각각 독립해서 적정한 회전속도로 회전구동하는 것에 의해, 고속권취의 경우라도 각 패키지와 각 분할 로울러와의 사이의 슬립량을 적정한 양으로 유지하여, 각 패키지의 형상이나 실품질을 적정히 유지할 수 있다.
③본 발명에 의하면, 각 패키지마다 검출장력값에 근거해서 구동용 모터를 제어하는 것으로, 권취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에 의해, 각 패키지의 형상이나 실품질을 보다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④본 발명에 의하면, 컨택트 로울러를 복수의 분할 로울러로 분할하여, 각 분할 로울러마다 구동용 모터를 나누어 설치하였기 때문에, 각 분할 로울러마다의 회전속도를 적극적으로 다른 속도에 할 수 있고, 1개의 보빈홀더에 장착된 복수의 패키지에 대해서, 패키지형상이나 실품질의 균일화를 달성할 수 있다.
⑤본 발명에서는, 커플링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고, 보빈홀더 선단으로부터의 돌출부를 작게 해서 권취기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빈교환이나 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⑥본 발명에서는, 로울러에 내장된 구동용 모터를 외측 로우터형으로 하는 것으로, 구조를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⑦본 발명에서는, 최대직경부에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므로, 컨택트 로울러를 안정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최소직경부의 위치에 구동용 모터를 설치하기 때문에, 컨택트 로울러의 지름을 대형화하는 일없이 강력한 회전력을 부여할 수 있다.
⑧본 발명에서는, 권취기전체를 대형화하지 않고 각 분할 로울러를 개별로 회전구동할 수 있다.
⑨본 발명에서는, 고정축의 공통화에 의해, 구조를 간단화하고, 각 분할 로울러를 정확하게 동축상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Claims (12)

1개의 보빈홀더에 장착된 복수의 패키지에, 회전하는 컨택트 로울러를 접촉하면서 권취를 행하는 방사권취기에 있어서, 컨택트 로울러가, 각 패키지마다 나뉘어 설치되어 개별로 회전가능한 복수의 분할 로울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기.
제1항에 있어서, 각 분할 로울러마다 구동용 모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구동용 모터는 각각 분할 로울러 내부에 나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패키지에 권취되는 사조의 장력을 개별로 검출하는 장력검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기.
1개의 보빈홀더에 장착된 복수의 패키지에, 모터구동되는 컨택트 로울러를 접촉하면서 권취를 행하는 방사권취기에 있어서, 컨택트 로울러가 개별로 회전가능한 복수의 분할 로울러로 분할되어 있고, 각 분할 로울러마다 구동용 모터를 나누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기.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분할 로울러 및 상기한 구동용 모터가 1개의 보빈홀더에 장착된 복수의 패키지마다 나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기.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패키지에 권취되는 사조의 장력을 개별로 검출하는 장력검출수단과, 검출한 장력에 따라 복수의 상기한 구동용 모터를 개별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기.
컨택트 로울러구동용 모터를 보유하며, 1개의 보빈홀더에 장착된 복수의 패키지에, 모터구동되는 컨택트 로울러를 접촉하면서 권취를 행하는 방사권취기에 있어서, 상기한 구동용 모터를 컨택트 로울러의 내부에 나누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기.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구동용 모터는, 보빈홀더에 평행한 고정축에 고정부착된 스테이터와, 컨택트 로울러의 내주면에 스테이터와 대향하도록 고정부착된 로우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기.
제9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축은 최대직경부 및 최소직경부를 보유하고 있고, 그 최대직경부에 있어서 베어링을 매개로 해서 컨택트 로울러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고, 최소직경부에 구동용 모터의 스테이터가 고정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기.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컨택트 로울러는 축방향으로 복수의 분할 로울러로 분할되어 있고, 각 분할 로울러마다의 내부에 각각 구동용 모터를 나누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기.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컨택트 로울러는 축방향으로 복수의 분할 로울러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한 고정축이 복수의 분할 로울러에 대해서 공통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기.
KR1019980054022A 1998-01-30 1998-12-09 방사권취기 KR199900668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05198A JPH11208994A (ja) 1998-01-30 1998-01-30 紡糸巻取機
JP98-19051 1998-01-30
JP98-19050 1998-01-30
JP1905098A JPH11208993A (ja) 1998-01-30 1998-01-30 紡糸巻取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837A true KR19990066837A (ko) 1999-08-16

Family

ID=26355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022A KR19990066837A (ko) 1998-01-30 1998-12-09 방사권취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0933322A3 (ko)
KR (1) KR199900668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912A (ko) * 2016-09-09 2018-03-19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장력 분포 제어 장치 및 띠형상체 반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25877A1 (de) * 2000-02-17 2001-08-22 Schärer Schweiter Mettler AG Spulkopf und dessen Verwendung
CZ299670B6 (cs) * 2003-03-11 2008-10-08 Rieter Cz A.S. Hnací válec navíjecího ústrojí pro individuální pohon cívky pro navíjení textilního materiálu na pracovním míste textilního stroje
DE102011052699B4 (de) * 2011-08-12 2015-12-31 Georg Sahm Gmbh & Co. Kg Spulmaschine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rselben
ITMI20120734A1 (it) 2012-05-03 2013-11-04 Btsr Int Spa Metodo e dispositivo di avvolgimento di un filo sintetico proveniente da un estrusore
CN105523431A (zh) * 2014-09-28 2016-04-27 天津市磊顺华制线有限公司 一种绕线机
JP7138013B2 (ja) * 2017-12-21 2022-09-15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糸巻取装置
CN113189147B (zh) * 2021-04-30 2024-02-27 中国商用飞机有限责任公司 一种风挡玻璃电性能检测方法、系统和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2763A (ja) * 1982-03-04 1983-09-10 Toray Eng Co Ltd 巻取機
JPH01192671A (ja) * 1988-01-26 1989-08-02 Asahi Chem Ind Co Ltd ポリエステルフイラメントの巻取方法
KR920004266A (ko) * 1990-08-08 1992-03-27 이마니 쇼오다 사조의 권취방법 및 권취기
KR940018307A (ko) * 1993-01-14 1994-08-16 곤도 다카오 사조의 권취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32514A1 (de) * 1975-07-21 1977-02-10 Papst Motoren Kg Antriebsmotor fuer schnellwickler
JPS6327378A (ja) * 1986-07-16 1988-02-05 Teijin Seiki Co Ltd 巻取機の駆動方法
EP0618165B1 (en) * 1993-03-15 2002-06-12 Toray Engineering Co., Ltd. Yarn wind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2763A (ja) * 1982-03-04 1983-09-10 Toray Eng Co Ltd 巻取機
JPH01192671A (ja) * 1988-01-26 1989-08-02 Asahi Chem Ind Co Ltd ポリエステルフイラメントの巻取方法
KR920004266A (ko) * 1990-08-08 1992-03-27 이마니 쇼오다 사조의 권취방법 및 권취기
KR940018307A (ko) * 1993-01-14 1994-08-16 곤도 다카오 사조의 권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912A (ko) * 2016-09-09 2018-03-19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장력 분포 제어 장치 및 띠형상체 반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33322A2 (en) 1999-08-04
EP0933322A3 (en) 2000-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7019014A1 (fr) Dispositif d'enroulement pour materiau filamentaire
US5966918A (en) Yarn false twisting device
KR20010020707A (ko) 플라이어장치 및 플라이어 구동방법
US8102131B2 (en) Yarn-tensioning device and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 creel
JP4280413B2 (ja) 機械の駆動方法並びに駆動装置
EP3540104B1 (en) Draw texturing machine
KR19990066837A (ko) 방사권취기
JP2609057B2 (ja) 少なくとも2個の同軸的に配置された軸を有する装置の精密駆動システム
JP6366724B2 (ja) ゴデット、及び、ゴデットを制御する方法
JP6556134B2 (ja) 糸巻付きを識別する方法、及び、糸案内のための装置
EP2966020B1 (en) Yarn accumulating device, yarn winding unit, and yarn winding machine
CN106048787B (zh) 用于终止自由端纺纱机器的工位处的纺纱操作的方法
JP4180288B2 (ja) 少なくとも1本の糸を案内するロール並びに1本のロールの回転可能に支承されたロール周壁の振動減衰法
JPH11208994A (ja) 紡糸巻取機
JP3147067B2 (ja) 単錘駆動型の繊維機械
JPH11208995A (ja) 紡糸巻取機
US3498553A (en) Wire tensioning device
US1122167A (en) Spinning or twisting apparatus.
EP0837164A1 (en) Yarn false twisting device
CZ2003702A3 (cs) Zařízení pro individuální pohon otáčejících se prostředků na dopravu nebo navíjení textilního materiálu na pracovním místě textilního stroje
JPH11208993A (ja) 紡糸巻取機
JP7390207B2 (ja) 繊維機械及び糸張力把握方法
JP2019502830A (ja) テクスチャード加工する際における品質監視のための方法およびテクスチャード加工するための装置
CN217026237U (zh) 一种包覆丝机
CN1224689A (zh) 纺丝卷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