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6372A - 반도체의 테스트 패턴 - Google Patents

반도체의 테스트 패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6372A
KR19990066372A KR1019980002253A KR19980002253A KR19990066372A KR 19990066372 A KR19990066372 A KR 19990066372A KR 1019980002253 A KR1019980002253 A KR 1019980002253A KR 19980002253 A KR19980002253 A KR 19980002253A KR 19990066372 A KR19990066372 A KR 19990066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test
via chain
metal
semi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관
Original Assignee
구본준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준,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본준
Priority to KR1019980002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6372A/ko
Publication of KR19990066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6372A/ko

Links

Landscapes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의 테스트 패턴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비아체인 패턴(via chain pattern), 브리지 패턴(bridge pattern), 연속 패턴(continuity pattern) 등의 테스트 패턴을 각각 분리하여 구성함에 따라 넓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이로인해 다른 유용한 단위 공정 평가를 위한 패턴을 구성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던바, 본 발명의 반도체의 테스트 패턴은 연속 패턴(20) 위에 절연체를 도포하고 이 절연체 위에 비아체인 패턴(30)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각각의 패턴을 조합시키거나 브리지 패턴을 이루는 제1 메탈과 제2 메탈 사이에 비아체인 패턴을 삽입하여 조합시킴으로써, 패턴의 밀도를 높이고 다른 유용한 패턴을 구성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도체의 테스트 패턴
본 발명은 반도체의 테스트 패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스 패턴(test pattern)은 메인 칩(main chip)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기 위해 메인 칩의 외곽측 공간에 별도로 형성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테스트 패턴은 비아체인 패턴(via chain pattern), 브리지 패턴(bridge pattern), 연속 패턴(continuity pattern) 등의 종류가 있다.
첨부한 도 1a는 종래의 브리지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종래의 브리지 패턴(10)은 메인 칩의 각 레이어(layer)를 이루는 제1 메탈(metal)(11)과 제2 메탈(12) 사이에 전류가 통하는지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제1 메탈(11)에 전류를 가하면 이 전류가 제2 메탈(12)에서 얼마만큼 검출되는지 그 양을 측정하여 측정된 양이 적정한 수준인지를 판단할 때 사용된다.
첨부한 도 1b는 종래의 연속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연속 패턴(20)은 패턴의 연속성을 보기위한 것이며, 특히 패턴의 저항을 측정하여 평탄도를 평가할 수 있는 패턴이다.
첨부한 도 1c는 종래의 비아체인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비아체인 패턴(30)은 메인 칩의 제1 메탈(11)과 제2 메탈(12)을 비아(via)(33)를 이용하여 연결한 후 저항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테스트 패턴은 각각 분리되어 있거나 간단하게 브리지 패턴(10)과 연속 패턴(20)이 조합되어 있고 비아체인 패턴(30)은 분리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반도체의 테스트 패턴은 각각 분리하여 구성함에 따라 넓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다른 유용한 단위 공정 평가를 위한 패턴을 구성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러 가지의 패턴을 구성함에 있어서 위치를 선정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바, 이에 대한 보완이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각각의 패턴을 조합시켜 패턴의 밀도를 높이고, 다른 유용한 패턴을 구성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반도체의 테스트 패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종래의 브리지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연속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c는 종래의 비아체인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비아체인 패턴과 연속 패턴을 조합시킨 형태의 테스트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브리지 패턴과 비아체인 패턴을 조합시킨 형태의 테스트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브리지 패턴 11; 제1 메탈
12; 제2 메탈 20; 연속 패턴
30; 비아체인 패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속 패턴 위에 절연체를 도포하고 이 절연체 위에 비아체인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각각의 패턴을 조합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의 테스트 패턴이 제공된다.
또한, 브리지 패턴을 이루는 제1 메탈과 제2 메탈 사이에 비아체인 패턴을 삽입하여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의 테스트 패턴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반도체의 테스트 패턴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반도체의 테스트 패턴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 패턴(20) 위에 절연체(미도시)를 도포하고 이 절연체 위에 비아체인 패턴(30)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각각의 패턴을 조합시켜 구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절연체로 인해 상기 연속 패턴(20)과 비아체인 패턴(3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며 각각의 패턴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의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의 브리지 패턴과 비아체인 패턴을 조합시킨 형태의 테스트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브리지 패턴(10)을 이루는 제1 메탈(11)과 제2 메탈(12) 사이에 비아체인 패턴(30)을 삽입하여 조합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브리지 패턴(10)과 비아체인 패턴(30)의 사이에는 절연체가 채워져 있어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반도체의 테스트 패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연속 패턴(20)과 비아체인 패턴(30)을 조합시킨 형태의 테스트 패턴은 종래의 연속 패턴(20)에서 행해지는 패턴의 연속성과 평탄도를 평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종래의 비아체인 패턴(30)에서 행해지는 제1 메탈(11)과 제2 메탈(12)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여 각 메탈 사이의 연결상태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브리지 패턴(10)과 비아체인 패턴(30)을 조합시킨 형태의 테스트 패턴은 종래의 브리지 패턴(10)에서 제1 메탈(11)과 제2 메탈(12) 사이에 통하는 전류의 양을 측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종래의 비아체인 패턴(30)에서 행해지는 제1 메탈(11)과 제2 메탈(12)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여 각 메탈 사이의 연결상태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반도체의 테스트 패턴에 의하면 2개의 패턴을 조합시키므로 종래의 기술에서 보다 좁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다른 유용한 패턴을 구성할 수 있는 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제1 패턴 위에 절연체를 도포하고 이 절연체 위에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각각의 패턴을 조합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의 테스트 패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은 연속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의 테스트 패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은 비아체인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의 테스트 패턴.
  4. 브리지 패턴을 이루는 제1 메탈과 제2 메탈 사이에 비아체인 패턴을 삽입하여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의 테스트 패턴.
KR1019980002253A 1998-01-24 1998-01-24 반도체의 테스트 패턴 KR199900663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2253A KR19990066372A (ko) 1998-01-24 1998-01-24 반도체의 테스트 패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2253A KR19990066372A (ko) 1998-01-24 1998-01-24 반도체의 테스트 패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372A true KR19990066372A (ko) 1999-08-16

Family

ID=65892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253A KR19990066372A (ko) 1998-01-24 1998-01-24 반도체의 테스트 패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637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213B1 (ko) * 2001-07-24 200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집적 회로 배선의 절연 신뢰성 검사 장치
KR100414223B1 (ko) * 2001-07-24 200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집적 회로 배선의 절연 신뢰성 검사 장치
US9291669B2 (en) 2013-10-22 2016-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test structur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testing the semiconductor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213B1 (ko) * 2001-07-24 200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집적 회로 배선의 절연 신뢰성 검사 장치
KR100414223B1 (ko) * 2001-07-24 200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집적 회로 배선의 절연 신뢰성 검사 장치
US9291669B2 (en) 2013-10-22 2016-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test structur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testing the semiconductor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5188B1 (ko) 배선의 신뢰성 평가장치 및 그 방법
US7105856B1 (en) Test key having a chain circuit and a kelvin structure
US20060012384A1 (en) Semiconductor substrate and test pattern for the same
CN101231322A (zh) 集成电路开路/短路的测试连接方法及装置
US7365529B2 (en) Test structure design for reliability test
KR0180328B1 (ko) 플러그 저항과 계면 저항을 분리하여 측정하는 방법과 그 테스트 패턴
KR960701372A (ko) 반도체 기판에 집적된 전자 회로의 검사방법, 전자 회로 및 집적 회로(Separate l_DOG-testing of signal path and bias path in an IC)
KR20000031192A (ko)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에서 미스얼라이먼트 측정을 위한 테스트패턴의 구조와 그 측정방법
KR100346179B1 (ko) 반도체장치의 일렉트로마이그레이션의 신뢰성 평가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66372A (ko) 반도체의 테스트 패턴
US5528151A (en) Thermal fatigue testing using plural test trips with graduated sizing and recessed anchoring
KR100393923B1 (ko) 반도체 장치용 체크 패턴
KR102195561B1 (ko) 전기적 접속 장치
US5198778A (en) Method for inspecting printed circuit boards with through-holes
KR100295916B1 (ko) 최소 영역 디자인 룰 측정을 위한 테스트 구조 및 그 방법
US20070170945A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040100510A (ko) 반도체 테스트 패턴 형성 방법
KR20210135037A (ko) 반도체 패키지용 테스트 모듈
KR100425163B1 (ko) 배선의 신뢰성 평가 패턴
KR20070005321A (ko) 금속배선의 컨택저항 측정을 위한 테스트패턴
KR20010017241A (ko) 전자이동의 측정을 위한 테스트 패턴 구조
JPH02294059A (ja) Icパッケージ
KR20000003646A (ko) 반도체 소자의 테스트 패턴
KR100331843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테스트 패턴
JP2926759B2 (ja) 半導体集積回路測定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