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855A - 전자사진 시스템에서 복수 컬러 화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시스템에서 복수 컬러 화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855A
KR19990063855A KR1019980702327A KR19980702327A KR19990063855A KR 19990063855 A KR19990063855 A KR 19990063855A KR 1019980702327 A KR1019980702327 A KR 1019980702327A KR 19980702327 A KR19980702327 A KR 19980702327A KR 19990063855 A KR19990063855 A KR 19990063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lor
light receiver
receiver
col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트루만 에프. 켈리
제임스 에이. 베이커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윌리엄 데이비드 바우어, 캐씨 로버타 샘스
이메이션 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윌리엄 데이비드 바우어, 캐씨 로버타 샘스, 이메이션 콥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Publication of KR19990063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85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47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15/015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47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15/015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 G03G15/016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single rotation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single rotation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준 4색 화상과 같은 복수 컬러 화상이 종이 또는 필름과 같은 매체(36)상에 모이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체 잉크(50, 60, 68, 76)가 종래의 "고체" 착색 토너를 포함하고, 또한 투명 카운터 이온을 포함한다. 종래의 "고체" 착색 토너 입자들은 수광기(10)의 표면에 부착되고, 반면 투명 카운터 이온들은 방전되지 않은 영역의 수광기(10)의 표면에 부착된다. 종래의 "고체" 착색 토너 입자들은 수광기(10)가 방전되지 않은 영역에서 전극(56, 64, 72, 80)에 부착되고, 반면 투명 카운터 이온들은 방전된 영역에서 전극(56, 64, 72, 80)에 부착된다. 이는 각 컬러별 현상 단계들 사이에서 수광기(10)를 소거하고 외부적으로 재대전할 필요없이 수광기(10)의 단일 통과중 복수 컬러 화상이 모일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여, 비할 수 없는 속도로 복수 컬러 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사진 시스템에서 복수 컬러 화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종래의 전자사진 시스템에서 수광기가 드럼 또는 벨트와 같은 기계적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다. 첫째 수광기는 이전의 작동으로부터 수광기상에 남아있는 잔여 전하를 짜내는 삭제 램프에 노출됨으로써 지워진다. 그후 수광기는 코로나 또는 대전 롤과 같은 적절한 대전 장치에 노출됨에 의해 양이나 음의 대체로 균일한 전하로 대전된다. 수광기상의 전하 분포는 그후 수광기상의 복사의 화상별 인가에 대응하는 잠상을 형성하는 수광기의 표면에 예를 들어 레이저와 같은 복사의 화상별 인가에 의해 변경된다. 토너가 수광기의 전하 분포에 일치하는 패턴으로 수광기에 유인된다. 그후 토너는 통상적으로 직접 또는 중간 매체를 통해 수광기로부터 인쇄되는 리셉터 재료 또는 매체, 예를 들어 종이 또는 필름로 전사된다.
이같은 전자사진술 과정은 필름 또는 종이와 같은 수광기 재료상의 고품질 화상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전자사진술이 활용가능한 장치는 종래의 레이저 프린터, 복사기, 시험 인화기 등을 포함한다.
단색 프린터는 통상적으로 흑색인 단지 하나의 컬러 토너로 출력된 하드 카피를 생성한다. 레이저 프린터가 상이한 색체를 인쇄하는 데 사용될 경우, 종래의 흑색 토너 카트리지는 제거되고 다른 컬러, 예를 들어 적색의 토너를 내장하는 토너 카트리지로 대체된다. 그러나 레이저 프린터는 여전히 단지 하나의 컬러만을 인쇄한다.
반면, 컬러 프린터는 통상적으로 시안, 마젠타 및 황색인 3개의 주컬러를 사용하고 이에 더하여 선택적으로 흑색을 사용한다. 여러 방법이 수년에 걸쳐 전자사진술을 복수 컬러 사용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나가마쯔(Nagamatsu)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832,170호의 전자 컬러 사진 장치 및 방법과 및 그에 사용된 감광 부재(캐논)는 기본적으로 지지 기부, 광전도성 층 및 컬러 필터 효과를 내기 위해 원하는 컬러로 염색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감광 부재를 개시한다. 이같은 감광 부재는 단일 전사가능 재료상의 다색 재생을 위해 제공되는 상이한 컬러 효과를 갖는다. 그러므로 나가마쯔의 특허에 개시된 방법은 각 주 컬러면에 대해 별개의 감광 부재를 필요로 한다. 이방법은 고가이고 부피가 클 분 아니라 심각한 컬러면 정렬 문제가 복수 감광 부재로부터의 최종 화상 전사의 필요성 때문에 종종 일어날 수 있다.
이케다(Ikeda) 등의 미국 특허 제4,578,331호, 컬러 화상 형성 방법(리코(Ricoh))은 컬러 분리에 의해 얻어지는 기록될 컬러 문서의 3개의 주 컬러중 하나의 화상 정보를 각각 나타내는 3개의 광선 비임이 전자사진 감광 부재에 투사되어 3개의 상이한 컬러를 갖는 토너에 의해 현상되는 정전기 잠상을 형성하고 전사 인쇄에 의해 컬러 화상을 기록하도록 인쇄되는 전자사진 컬러 화상 형성 방법을 개시한다. 3색 화상 형성은 상이한 컬러의 화상 형성을 나타내는 주사선들이 상이한 컬러의 3개의 띠의 반복되는 열들을 형성하도록 3개의 상이한 구역에 별개로 동일 세트의 상이한 컬러들의 화상 형성을 기록함에 의해 또는 한 컬러의 화상 형성을 각각 나타내는 3개의 주사선들의 복수의 세트를 이어서 기록함에 의해 3개의 주사선으로서 감광 부재의 면에 동시에 기록된다. 주사선상에 형성된 정전기 잠상은 각 컬러의 현상 구역 직전 위치에서 여기되고, 각 컬러의 토너에 의해 현상되어 전사 인쇄 시크에 전사 인쇄됨에 의해 인쇄되는 상이한 컬러의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이케다의 특허에 개시된 방법은 별개 구역 또는 주사선에 건성 불투명 토너를 인쇄하므로, 이 시스템은 제공가능한 해상도가 제한된다. 이 해상도 손실은 페이지 내의 컬러면의 인터리빙(interleaving)에 의해 직접 초래된다.
본 발명의 양수인인 3M에 양도된 쯔왈드로(Zwadlo) 등의 미국 특허 제4,728,983호, 단일 비임 풀 컬러 전자사진술은 전자사진술에 의한 고품질 컬러 인쇄물의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단일 광전도성 드럼이 광전도성 드럼의 단일 회전동안 소거하고, 정전기 대전하고, 레이저 스캔 노출하고 토너 현상하는 수단과 함께 사용된다. 이어지는 회전에서 컬러 분리 화상에 대응하는 상이한 컬러 화상이 드럼상에 정합 조립된다. 별도의 통과 즉 회전이 각 주 컬러면에 필요하기 때문에, 적어도 4회의 통과(회전)가 최종 4색 화상 인쇄물을 얻기 위해 필요하다. 주컬러면 각각의 별도 통과는 복수 컬러 전자사진 인쇄 공정이 얻을 수 있는 속도를 현저히 제한한다.
왓슨(Watson) 등의 미국 특허 제4,877,698호, 액체 현상제를 사용하여 2색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 기법(Xerox)은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부재를 대전하고, 높은 전위, 중간 전위 및 낮은 전위의 영역을 포함하는 잠상을 부재에 발생시키고, 중간 전위의 약100V 내의 전위를 갖는 전극을 제공하고, 화상 형성 부재 및 전극 사이에 전기장 및 현상 구역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고, 한 컬러의 제1 토너 입자와, 다른 컬러의 제2 토너 입자를 포함하는 액체 현상제 조성물을 현상 구역에 도입함에 의해 잠상을 현상하며, 입자들은 액체 매체에 분산되어 있고, 제2 토너 입자들은 높은 전위로 유인되고, 제1 토너 입자들은 낮은 전위로 유인된다. 왓슨의 특허에 개시된 방법 및 장치는 단일 통과, 사실 단일 현상 단계로 2색 화상을 얻으나, 최대 2색으로 제한된다. 그러므로 이 시스템은 표준 4색 화상에 적합하지 않다.
그러므로 품질과 해상도를 희생하지 않으면서 향상된 속도로 복수의 컬러, 예를 들어 4색을 인쇄하는 레이저 인쇄 장치 및 방법의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사진기법에 관한 것이고, 더 자세하게는 전자사진 시스템에서 매체상에 복수 컬러 화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장점, 구성 및 작동은 이하의 설명과 첨부 도면으로부터 어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도1은 기초 액체 전자 사진 공정 및 그 과정을 수행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공정 및 장치에 사용된 액체 잉크 현상제 스테이션의 확대 개략도이다.
도3a는 소거 이후 및 대전 전에 존재하는 도1 및 도2의 유기 수광기의 표면 전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3b는 대전 후 및 화상별 노출전에 존재하는 도1 및 도2의 유기 수광기의 표면 전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3c는 화상별 노출 후 및 현상 전에 존재하는 도1 및 도2의 유기 수광기의 표면 전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3d는 현상 중 존재하는 도1 및 도2의 유기 수광기의 표면 전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3e는 현상 후 존재하는 도1 및 도2의 유기 수광기의 표면 전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복수 컬러 화상을 만드는 장치 및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5는 도1에 도시된 장치의 벨트 취급부의 상세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수광기 표면의 전하 레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즈왈도의 특허 '983호에 준비된 것과 같은 표준 4색 화상과 같은 복수 컬러 화상이 각 별개의 컬러를 위한 현상 단계들 사이에서 수광기를 지울 필요없이 수광기의 단일 통과중 종이 또는 필름 상에 모이는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이는 즈왈도의 '983 공정 및 다른 종래의 공정 및 장치와는 비할 수 없는 속도로 복수 컬러 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예에서 속도는 수광기의 단지 한 사이클에서의 4색 화상의 완전한 인쇄에 기인해 크게 향상된다. 또한 화상의 각 컬러 사이의 별도 소거 단계 필요의 제거에 기인해 경비 및 복잡성이 감소된다. 이는 화상 해상도 또는 품질의 희생없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 사용되는 액체 잉크중 적어도 약간은 잠상 발생기의 파장으로 방사된 복사에 사실상 투명하며, 그러므로 각 개별 컬러의 해상도 품질에 등등한 화상 해상도를 제공하면서 서로 중첩될 수 있다. 도트 대 도트 기반이나 스캔 라인 기반으로 각 개별 토너의 토너들을 위한 화상의 별개의 영역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또한 소거 및 컬러 화상 평면들 사이의 코로나 대전에 수광기를 노출시키는 필요없이 액체 잉크에 의한 현상을 따라 수광기를 재대전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또한 착색 화상형성 이온(pigmented imaging ion) 및 투명 카운터 이온(transparent counter ion)을 갖는 액체 잉크를 사용하여 각 컬러의 현상 단계들 사이에 수광기를 소거하고 재충전할 필요가 없이 복수 컬러 화상을 매체상에 형성할 수 있는 전자사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전자 사진 시스템에서 화상 데이터로부터 매체상에 복수 컬러 화상을 생성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수광기가 수광기의 소정의 일부분이 단일 통과(single pass)에서 복수의 장소들을 지나 순서적으로 진행하도록 이동가능하게 위치된다. 이전에 축적된 전하는 수광기로부터 소거(erase)된다. 수광기는 소정의 전하 레벨로 대전된다. 수광기는 복수 컬러중 하나를 위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수광기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를 형성하도록 수광기를 부분적으로 방전시키도록 복수의 컬러중 하나를 위한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복사에 제1 화상별 노출돤다. 제1 컬러 액체 토너가 제1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수광기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에 도포된다. 그후 수광기는 제1 컬러 화상과 정합하는 복수의 컬러 중 다른 컬러를 위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수광기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를 형성하도록 수광기를 부분적으로 방전시키도록 복수의 컬러중 다른 컬러를 위한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복사에 제2 화상별 노출된다. 이같은 수광기의 제2 화상별 노출은 수광기의 제1 화상별 노출 단계에 이어지는 수광기의 소거없이 일어난다. 제1 컬러 화상과 정합하는 제2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수광기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에 제2 컬러 액체 토너가 도포된다. 복수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매체에 수광기로부터의 제1 및 제2 컬러 화상이 함께 전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자사진 시스템에서 화상 데이터로부터 매체상의 복수 컬러 화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수광기가 이하의 단계들이 순서대로 수행되도록 회전된다. 이전에 축적된 전하가 수광기로부터 소거된다. 수광기는 제1 소정의 전하 레벨로 대전된다. 수광기는 복수 컬러중 하나를 위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수광기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를 형성하도록 수광기를 부분적으로 방전시키도록 복수의 컬러중 하나를 위한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복사에 제1 화상별 노출된다. 수광기를 현상하고 제1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수광기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에 제1 컬러 액체 토너가 도포된다. 수광기는 이 단계의 결과 제2 소정 전하 레벨로 재충전하고, 제2 소정 전하 레벨은 제1 소정 전하 레벨보다 낮으나 이어서 더 이상 방전되지 않는 영역에서 액체 토너를 이어서 반발하기에 충분히 높다. 제1 컬러 화상과 정합하는 복수의 컬러 중 다른 컬러를 위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수광기 표면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를 형성하도록 수광기를 부분적으로 방전시키도록 복수의 컬러중 다른 컬러를 위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복사에, 제1 화상별 노출 단계에 이어지는 수광기상의 이전에 축적된 전하의 소거없이, 노출된다. 제1 컬러 화상과 정합하는 제2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수광기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에 제2 컬러 액체 토너가 도포된다. 복수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매체에 수광기로부터의 제1 컬러 화상과 제2 컬러 화상을 함께 전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 컬러 화상의 제1의 3색 화상 평면에 대응하는 총 3회의 제1 화상별 노출 단계 및 제1 액체 토너 도포 단계가 반복되고, 그후 제2(이제 4번째) 화상별 단계와 제2(이제 4번째) 토너 도포 단계가 수행된다. 4색 화상 평면 모두는 복수 컬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수광기로부터 매체에 함께 전사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컬러 액체 토너는 주로 황색을 포함하는 액체 토너이고, 제2 컬러 액체 토너는 주로 마젠타색을 포함하는 액체 토너이고, 제3 컬러 액체 토너는 주로 시안색을 포함하는 액체 토너이고, 제4 컬러 액체 토너는 주로 흑색을 포함하는 액체 토너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전자사진 시스템에서 화상 데이터로부터 매체상의 복수 컬러 화상을 생성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위치 설정 수단이 수광기의 소정의 일부분이 단일 통과에서 복수의 장소들을 지나 순서대로 진행하도록 수광기를 이동가능하게 위치시킨다. 소거 수단이 수광기로부터 이전에 축적된 전하를 소거한다. 대전 수단이 수광기를 소정의 전하 레벨로 대전한다. 제1 화상별 노출 수단이 복수 컬러중 하나를 위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수광기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를 형성하도록 수광기를 부분적으로 방전시키도록 복수의 컬러중 하나를 위한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복사에 수광기를 노출시킨다. 제1 도포 수단이 제1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수광기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에 제1 컬러 액체 토너를 도포한다. 제2 화상별 노출 수단이 제1 컬러 화상과 정합하는 복수의 컬러 중 다른 컬러를 위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수광기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를 형성하도록 수광기를 부분적으로 방전시키도록 복수의 컬러중 다른 컬러를 위한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복사에 수광기를 노출시킨다. 제2 화상별 노출은 수광기의 제1 화상별 노출에 이어지는 수광기의 소거 또는 대전 없이 일어난다. 제2 도포 수단이 제1 컬러 화상과 정합하는 제2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수광기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에 제2 컬러 액체 토너를 도포한다. 전사 수단이 복수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매체에 수광기로부터의 제1 컬러 화상과 제2 컬러 화상을 함께 전사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전자사진 시스템에서 화상 데이터로부터 매체상의 복수 컬러 화상을 생성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회전 수단이 수광기를 순서대로의 복수의 장소들을 연이어 이동시킨다. 소거 수단이 수광기로부터 이전에 축적된 전하를 소거한다. 대전 수단이 수광기를 제1 소정의 전하 레벨로 대전한다. 제1 화상별 노출 수단이 복수 컬러중 하나를 위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수광기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를 형성하도록 수광기를 부분적으로 방전시키도록 복수의 컬러중 하나를 위한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복사에 수광기를 노출시킨다. 제1 도포 수단이 수광기를 현상하고 제1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수광기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에 제1 컬러 액체 토너를 도포한다. 수광기는 제2 소정의 전하 레벨로 재충전하고, 제2 소정의 전하 레벨은 제1 소정 전하 레벨보다 낮으나 이어서 더 이상 방전되지 않는 영역에서 액체 토너를 이어서 반발하기에는 충분히 높다. 제2 화상별 노출 수단이 제1 컬러 화상과 정합하는 복수의 컬러 중 다른 컬러를 위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수광기 표면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를 형성하도록 수광기를 부분적으로 방전시키도록 복수의 컬러중 다른 컬러를 위한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복사에, 제1 화상별 노출에 이어 수광기상의 이전에 축적된 전하를 소거함이 없이, 수광기를 노출시킨다. 제2 도포 수단이 제1 컬러 화상과 정합하는 제2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수광기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에 제2 컬러 액체 토너를 도포한다. 전사 수단이 복수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매체에 수광기로부터의 제1 컬러 화상과 제2 컬러 화상을 함께 전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 컬러 화상의 제1의 3색 화상 평면에 대응하는 총 3회의 제1 화상별 노출 수단 및 제1 액체 토너 도포 수단이 반복되고, 그후 제2(이제 4번째) 화상별 수단 및 제2(이제 4번째) 토너 도포 수단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컬러 액체 토너는 주로 황색을 포함하는 액체 토너이고, 제2 컬러 액체 토너는 주로 마젠타색을 포함하는 액체 토너이고, 제3 컬러 액체 토너는 주로 시안색을 포함하는 액체 토너이고, 제4 컬러 액체 토너는 주로 흑색을 포함하는 액체 토너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전자사진 시스템에서 화상 데이터로부터 매체상의 복수 컬러 화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수광기가 제1 소정의 전하 레벨로 대전된다. 수광기는 복수 컬러중 하나를 위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수광기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를 형성하도록 수광기를 부분적으로 방전시키도록 복수의 컬러중 하나를 위한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복사에 제1 화상별 노출된다. 수광기를 현상하고 제1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수광기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에 제1 컬러 액체 토너가 도포된다. 제1 컬러 액체 토너는 제1 컬러의 대전 입자들과 투영 카운터 이온들을 포함하고, 수광기는 이 단계의 결과 제2 소정 전하 레벨로 재충전하고, 제2 소정 전하 레벨은 제1 소정 전하 레벨보다 낮으나 이어서 더 이상 방전되지 않는 영역에서 액체 토너를 이어서 반발하기에 충분히 높다. 수광기는 제1 컬러 화상과 정합하는 복수의 컬러 중 다른 컬러를 위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수광기 표면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를 형성하도록 수광기를 부분적으로 방전시키도록 복수의 컬러중 다른 컬러를 위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복사에 노출된다. 제1 컬러 화상과 정합하는 제2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수광기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에 제2 컬러 액체가 도포된다. 복수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매체에 수광기로부터의 제1 컬러 화상과 제2 컬러 화상을 함께 전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 컬러 화상의 제1의 3색 화상 평면에 대응하는 총 3회의 제1 화상별 노출 단계 및 제1 액체 토너 도포 단계가 반복되고, 그후 제2(이제 4번째) 화상별 단계와 제2(이제 4번째) 토너 도포 단계가 수행된다. 4색 화상 평면 모두는 복수 컬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수광기로부터 매체에 함께 전사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컬러 액체 토너는 주로 황색을 포함하는 액체 토너이고, 제2 컬러 액체 토너는 주로 마젠타색을 포함하는 액체 토너이고, 제3 컬러 액체 토너는 주로 시안색을 포함하는 액체 토너이고, 제4 컬러 액체 토너는 주로 흑색을 포함하는 액체 토너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전자사진 시스템에서 화상 데이터로부터 매체상의 복수 컬러 화상을 생성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대전 수단이 수광기를 제1 소정의 전하 레벨로 대전된다. 제1 화상별 노출 수단이 수광기를 복수 컬러중 하나를 위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수광기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를 형성하도록 수광기를 부분적으로 방전시키도록 복수의 컬러중 하나를 위한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복사에 노출시킨다. 제1 도포 수단이 수광기를 현상하고 제1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수광기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에 제1 컬러 액체 토너를 도포한다. 수광기는 제2 소정 전하 레벨로 재충전하고, 제2 소정 전하 레벨은 제1 소정 전하 레벨보다 낮으나 이어서 더 이상 방전되지 않는 영역에서 액체 토너를 이어서 반발하기에 충분히 높다. 제2 화상별 노출 수단이 수광기를 제1 컬러 화상과 정합하는 복수의 컬러 중 다른 컬러를 위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수광기 표면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를 형성하도록 수광기를 부분적으로 방전시키도록 복수의 컬러중 다른 컬러를 위한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복사에 노출시킨다. 제2 도포 수단이 제1 컬러 화상과 정합하는 제2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수광기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에 제2 컬러 액체 토너를 도포한다. 그후 복수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매체에 수광기로부터의 제1 컬러 화상과 제2 컬러 화상이 함께 전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 컬러 화상의 제1의 3색 화상 평면에 대응하는 총 3회의 제1 화상별 노출 수단 및 제1 액체 토너 도포 수단이 반복되고, 그후 제2(이제 4번째) 화상별 수단 및 제2(이제 4번째) 토너 도포 수단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컬러 액체 토너는 주로 황색을 포함하는 액체 토너이고, 제2 컬러 액체 토너는 주로 마젠타색을 포함하는 액체 토너이고, 제3 컬러 액체 토너는 주로 시안색을 포함하는 액체 토너이고, 제4 컬러 액체 토너는 주로 흑색을 포함하는 액체 토너이다.
액체 전자사진술은 종이 또는 다른 원하는 리셉터 재료에 화상을 형성하거나 재생하는 기술이다. 액체 전자사진술은 원하는 인쇄물을 얻도록 양호하게 제어된 화상별(image-wise) 방식으로 표면상에 고체 물질을 부착하는(plating) 목적으로 상이한 컬러 또는 흑색인 액체 잉크를 사용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사사진술에 사용되는 액체 잉크는 잠상 발생 장치의 파장으로 방사된 복사에 사실상 투명 또는 반투명이어서, 복수 화상 평면이 각 화상 평면이 특정 컬러의 액체 잉크로 구성된 복수의 화상 평면으로 구성된 복수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서로 중첩될 수 있게 한다. 통상적으로 컬러 화상은 4개의 화상 평면들로 구성된다. 제1의 3개의 평면은 3개의 감산 주 인쇄 컬러, 황색, 시안 및 마젠타 각각의 액체 잉크로 구성된다. 제4 화상 평면은 잠상 발생 장치의 파장으로 방사된 복사에 투명할 필요가 없는 흑색 잉크를 사용한다.
액체 전자사진술에 관련된 공정은 도1을 참조하여 단일 컬러에 대해 설명될 수 있다. 감광, 유기 수광기(light sensitive, organic photoreceptor, 10)가 드럼(12)과 같은 기계적 캐리어의 표면상에 또는 그에 가까이 배열된다. 기계적 캐리어로서는 물론 벨트 또는 다른 이동가능 지지체가 가능하다. 드럼(12)은 도1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수광기(10)상의 소정의 장소를 드럼(12)상에 형성된 화상 또는 수광기(10)에 대한 작동을 수행하는 다양한 고정 부품들을 지나 이동시킨다.
물론 다른 기계적 배열이 수광기(10)의 표면상의 소정의 장소와 수광기(10)상에서 또는 수광기(10)와 관련하여 작동하는 다양한 부품들 사이의 상대 이동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기 수광기(10)는 고정이고, 다양한 부품들이 수광기(10)를 지나 이동할 수 있고, 또는 수광기(10) 및 다양한 부품 모두 사이의 어떤 이동의 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유기 수광기(10) 및 다른 부품들 사이의 상대 이동이 있다는 것만이 중요하다. 이 설명은 수광기(10)가 소정의 장소에 있거나 소정의 위치를 지나는 것에 관한 것이므로, 수광기(10)상에 작용하는 부품에 대해 소정의 위치를 지나는 또는 소정의 위치를 갖는 유기 수광기(10)상의 특정 지점 또는 장소가 지시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1에서 드럼(12)가 회전함에 따라 유기 수광기(10)는 소거 램프(erase lamp, 14)를 지나 이동한다. 유기 수광기(10)가 소거 램프(14) 아래를 지남에 따라 소거 램프(14)로부터의 복사(16)는 수광기(10)의 표면에 충돌하여 수광기(10)의 표면에 남아있는 잔류 전하가 새어나가게 한다. 그러므로 소거 램프(14)를 벗어날 때의 수광기(10)의 표면의 표면 전하 분포는 아주 균일하고 수광기에 따라서는 거의 0이다.
드럼(12)이 계속 회전하고 유기 수광기(10)가 다음에 롤 코로나(roll corona)와 같은 대전 장치(18) 아래를 지남에 따라 균일한 양 또는 음의 전하가 수광기(10)의 표면에 인가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대전 장치(18)는 양의 DC 코로나이다. 통상적으로 수광기(10)의 표면은 수광기의 커패시턴스에 따라 약 600볼트로 균일하게 대전된다. 이는 수광기(10)의 표면을 드럼(12)가 계속 회전함에 따라 레이저 스캐닝 장치(20)로부터의 복사에 화상별 노출을 위해 준비시킨다. 레이저 스캐닝 장치(20)로부터의 복사가 수광기(10)의 표면에 충돌할 때마다 수광기(10)의 표면 전하는 현저히 줄어들고, 반면 복사를 받지 않은 수광기(10)의 표면의 영역들은 별로 방전되지 않는다. 약간의 복사를 받은 수광기(10)의 표면은 받는 복사량에 대응하는 정도로 방전된다. 이는 수광기(10)의 표면이 레이저 스캐닝 장치(20)로부터 벗어날 때 레이저 스캐닝 장치(20)로부터 인가된 원하는 화상 정보에 비례하는 표면 전하 분포를 수광기(10)의 표면이 갖게 한다.
드럼(12)가 계속 회전함에 따라 수광기(10)의 표면은 액체 잉크 현상기 스테이션(22)을 지난다. 액체 잉크 현상기 스테이션(22)의 작동은 도2를 참조하여 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액체 잉크(24)가 롤러로서 도시된 전극(26)을 수광기(10)의 표면 가까이에 배치하고 전극(26)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므로써 수립된 전기장의 존재 하에 화상별 대전된 유기 수광기(10)에 도포된다. 액체 잉크(24)는 양으로 대전된 "고체(solid)" 그러나 반드시 불투명할 필요는 없는, 인쇄되는 화상의 이 부분의 원하는 컬러의 토너 입자들로 구성된다. 잉크의 "고체" 물질은 수립된 전기장으로부터의 힘으로 표면 전압이 전극(26)의 바이어스 전압보다 작은 영역(28)에서 수광기(10)의 표면으로 이동하여 그에 부착된다. 잉크의 "고체" 물질은 수광기(10)의 표면 전압이 전극(26)의 바이어스 전압보다 큰 영역(30)에서 전극으로 이동하여 그에 부착된다. 수광기(10)의 표면 또는 전극(26)에 충분히 부착되지 않은 과잉 액체 잉크는 제거된다.
잉크는 롤, 진공 상자 또는 경화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는 건조 기구(32)에 의해 더 건조된다. 건조 기구(32)는 액체 잉크(24)를 대체로 건조한 잉크막으로 사실상 변환한다. 그리고 과잉 액체 잉크(24)는 이어지는 작동에 사용되기 위해 액체 잉크 현상기 스테이션(22)으로 복귀된다. 수광기(10)의 표면에 부착된 액체 잉크(24)의 "고체" 부분(28)(잉크막)은 레이저 스캐닝 장치(20)에 의해 수광기(10)의 표면에 이전에 위치된 이전의 화상별 전하 분포에 대응하고, 그러므로 인쇄될 화상의 화상별 표시이다.
다시 도1을 보면, 액체 잉크(24)로부터의 잉크막(28)은 건조 기구(34)에 의해 더 건조된다. 건조 기구(34)는 수동(passive)이거나, 능동 공기 송풍기를 사용하거나, 롤러와 같은 다른 장치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건조 기구(34)는 건조 롤 또는 화상 조절(image conditioning) 롤러이다.
인쇄될 원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체 잉크(24)의 잉크막(28)은 그후 인쇄될 매체(36)에 직접 전사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 롤러(38, 40)에 의해 간접으로 전사된다. 전사(transfer)는 전사 롤러(38, 40)와 잉크막(28)의 차별적 점착성(differential tack)에 의해 실행된다. 통상적으로 열 및 압력이 화상을 매체(36)에 융접하기 위해 사용된다. 만들어진 "인쇄물"은 레이저 스캐닝 장치(22)에 의해 기록된 화상 정보의 하드 카피 표현이며, 액체 잉크(24)에 의해 표시되는 컬러인 단일 컬러이다.
유기 수광기(10), 드럼(12), 소거 램프(14), 대전 장치(18), 레이저 스캐닝 장치(20), 액체 잉크 현상기 스테이션(22), 액체 잉크(24), 전극(26), 압착부(32), 건조 기구(34) 및 전사 롤러(38, 40)가 도1 및 도2에 단지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그에 대해 단지 일반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들 부품들은 전자사진술 분야에 공지되어있으며, 이들 요소들의 정확한 재료 및 구성은 또한 공지된 바와 같이, 설계상의 선택 문제인 것이 이해된다.
물론 단일 컬러가 아닌 여러 컬러를 포함하는 인쇄물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기초 액체 전자사진술 공정 및 장치는 한 컬러를 위한 전술한 공정을 각 반복이 별개의 주 컬러 평면, 예를 들어 시안, 마젠타, 황색 또는 흑색을 화상별 노출할 수 있게 여러번 반복하므로써 사용될 수 있고, 각 액체 잉크(24)는 화상별 노출 컬러 평면에 대응하는 별개의 주 인쇄 컬러일 수 있다. 4개의 이같은 컬러 평면의 중첩은 모두가 형성될 때까지 컬러 평면들 중 어느것도 전사하지 않고 수광기(10)의 표면에 양호한 정합 상태로 얻어질 수 있다. 이들 4개 컬러 평면의 적절한 매체(36)로의 이어지는 동시 전사는 양호한 컬러 인쇄물을 만들어낸다.
전술한 액체 전자사진술 공정이 복수 컬러 화상의 구성에 적합하지만, 공정은 약간 느리며 이는 수광기(10)가 통상적인 4색 컬러 화상을의 각 컬러에 대해 전 과장을 반복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전술한 공정이 예를 들어 시난인 특정 컬러릉 위해 수행될 때, 레이저 스캐닝 장치(20)는 복사를 수용하는 수광기(10)의 영역(2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전되어 예를 들어 시안인 특정 컬러를 나태내는 재생될 화상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수광기(10)의 표면의 표면 전하 분포 패턴을 형성하게 한다. 액체 현상기 스테이션(22)에 의한 현상후 수광기(10)의 표면 전하 분포는 (화상으로의 적어도 약간의 패턴이 재생되는 것으로 가정할 때) 여전히 아주 변동가능하며, 이어서 화상 형성되기에는 너무 낮다. 그후 수광기(10)는 표면 전하 분포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소거되어야 하며, 수광기(10)의 영역(28)에 액체 잉크를 부착하는 이어지는 현상 과정을 허용하도록 충분한 표면 전하를 제공하기 위해 다시 대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전자사진술 시스템에서 액체 잉크(24)는 종래의 "고체" 착색 토너 입자들을 포함하고, 또한 투명 카운터 이온들을 포함한다. 액체 잉크(24)의 종래의 "고체" 착색 토너 입자들은 수광기(10)의 표면에 부착되고, 반면 액체 잉크(24)의 투명 카운터 이온들은 반대 방향으로 부착된다. 즉 투명 카운터 이온들은 방전되지 않은 영역(30)에서 수광기(10)의 표면에 부착된다. 액체 잉크(24)의 종래의 "고체" 착색 토너 입자들은 대전된 영역(30)에서 전극(26)에 부착되고, 반면 투명 카운터 이온들은 영역(28)에서 전극(26)에 부착된다.
현상전에 수광기(10)는 대전 장치(18)에 의해 유사하게 대전되고, 그후 수광기(10)는 수광기(10)의 표면위의 전하 분포가 소정의 화상 정보에 비례하게 되도록 레이저 스캐닝 장치(20)로부터와 같은 복사에 화상별 노출될 수 있다. 그후 액체 잉크(24)는 액체 현상기 스테이션(22)에 의해 제공되는 양호하게 제어된 전기장의 존재하에 수광기(10)의 전하 분포에 인가된다. 이는 소정의 화상 정보에 비례하는 방식으로 분포된 수광기(10)의 표면상으로 소정 컬러의 고체 재료를 퇴적시킨다. 유사한 방식으로 투명 카운터 이온들이 소정의 화상 정보에 역비례하는 분포로 수광기(10)의 표면에 퇴적된다. 이같은 카운터 이온의 존재는 양호하게 제어되고 대체로 균일한 전기장을 벗어나면서 수광기의 표면상의 전하 분포를 제공하고 전기장을 들어가면서 표면에 있던 화상별 분포에 의해 대체로 변조되지 않는다. 소정의 컬러 화상을 효과적으로 "현상하는" 이 공정은 다음 컬러를 위한 대전 수단의 역할을 하여, 종래의 소거 및 대전 수단(소거 램프 및 대전 코로나로부터와 같은)이 다음 컬러 평면을 노출 및 현상하기 위해필요치 않게 한다.
수광기(10)의 이 용액 전하 교환 대전(solution charge exchange charging)은 도3a, 도3b, 도3c, 도3d 및 도3e에 도시되어 있다.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거후 및 코로나 대전전의 유기 수광기(10)의 표면은 균일하고 낮으며 바람직하게는 거의 0이다.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러나 대전 및 화상별 노출전의 수광기(10)의 표면은 균일하고 높으며 수광기의 커패시턴스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약 600볼트이다.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별 노출후의 수광기(10)의 표면은 불연속 적으로 변동가능하며 복사에 노출된 영역(28)은 아주 낮은 레벨로 방전되었고, 복사에 노출되지 않은 영역(30)은 아직 높은 전압, 다시 커패시턴스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거의 600볼트로 유지된다. 도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중의 수광기(10)의 표면은 액체 잉크(24)의 고체가 영역(28)의 수광기(10)의 표면에 부착되고, 전하 이동이 유기 수광기(10)의 표면에 존재하는 전압의 증가를 일으키는 것을 도시한다. 영역(30)의 액체 잉크(24)로부터의 고체가 전극(26)으로 부착됨에 따라 전하 이동은 유기 수광기(10)의 표면상에 존재하는 전압이 감소하게 한다. 도3e에 도시된 그 결과는 현상후의 수광기(10)의 표면이 비교적 균일하고 전극(26)의 바이어스 전압과 같은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의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도4는 복수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42)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수광기(10)은 롤러(46, 48) 주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벨트(44)에 의해 기계적으로 지지된다. 선행 사이클 후 수광기(10)상에 남은 잔류 전하가 소거 램프(14)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제거되고 그후 대전 장치(18)를 사용하여 종래 방식의 대전이 이루어지며, 이같은 절차는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이같이 대전되었을 때 수광기(10)의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약 600 볼트로 균일하게 대전되다. 도1에 도시된 레이저 스캐닝 장치(20)과 유사한 레이저 스캐닝 장치(50)이 재생될 화상의 제1 컬러면에 대응하는 화상별 패턴의 복사에 수광기(10)의 표면을 노출시킨다.
이같이 화상별 대전된 표면에서, 제1 컬러면에 대응하는 액체 잉크(54)의 대전된 색소 입자들이 수광기(10)의 표면 전압이 액체 잉크 현상기 스테이션(52)과 관련된 전극(56)의 바이어스보다 작은 영역에서 수광기(10)의 표면으로 이동하여 그에 부착된다. 액체 잉크(54)의 전하 중립성은 양으로 대전된 색소 입자들과 평형되는 음으로 대전된 카운터 이온들에 의해 유지된다. 카운터 이온들은 표면 전하가 액체 잉크 현상기 스테이션(52)과 관련된 전극(56)의 바이어스 전압보다 큰 영역에서 수광기(10)의 표면상에 퇴적된다.
이 단계에서, 수광기(10)는 제1 컬러면에 의한 액체 잉크(54)의 부착된 "고체"의 화상별 분포를 그 표면에 포함한다. 수광기(10)의 표면 전하 분포는 또한 양자가 레이저 스캐닝 장치(58)에 기인한 수광기(10)의 화상별 방전에 의해 지배되는 액체 잉크(52)로부터의 투명 카운터 이온 및 부착된 잉크 입자들로 재충전되었다. 그러므로 이 단계에서 수광기(10)의 표면 전하는 또한 아주 균일하다. 수광기의 원 표면 전하의 모두가 얻어질 수는 없을 지라도 수광기의 이전 표면 전하의 대부분이 재포획되었다. 이같은 용액 재충전에 의해 수광기(10)는 이제 재생될 화상의 다음 컬러면을 위해 처리될 수 있다.
벨트(44)가 회전을 계속함에 따라 다음의 유기 수광기(10)는 제2 컬러면에 대응하는 레이저 스캐닝 장치(58)로부터의 복사에 노출된다. 이 과정은 벨트(44)에 의해 유기 수광기(10)의 단일 회전 중에 일어나며, 제1 컬러면에 대응하는 액체 잉크 현상기 스테이션(52)과 레이저 스캐닝 장치(50)에의 노출에 이어지는 소거를 수광기(10)가 받을 필요없이 일어난다. 수광기(10)의 표면상의 잔류 전하는 제2 컬러면에 대응하는 복사를 받는다. 이는 화상의 제2 컬러면에 대응하는 수광기(10)상의 표면 전하의 화상별 분포를 생성한다.
화상의 제2 컬러면은 그후 액체 잉크(62)를 포함하는 현상기 스테이션(60)에 의해 현상된다. 액체 잉크(62)는 제2 컬러면과 일치하는 "고체" 컬러 색소들을 포함하지만, 액체 잉크(62)는 또한 사실상 투명한 카운터 이온들을 포함하고, 이는 액체 잉크(54)의 사실상 투명한 카운터 이온과 다른 화학 조성을 갖을 수는 있지만, "고체" 컬러 색소에 반대로 대전되고 여전히 사실상 투명하다. 전극(64)이 액체 잉크(62)의 "고체" 컬러 색소가 제2 컬러면에 대응하는 수광기(10)의 표면상의 "고체" 컬러 색소의 패턴을 형성하게 허용하는 비이어스 전압을 제공한다. 투명 카운터 이온들은 또한 수광기(10)를 재충전하고 수광기(10)의 표면 전하 분포를 사실상 균일하게 하여, 다른 컬러면이 소거 또는 코로나 대전의 필요없이 수광기(10)상에 위치될 수 있게 한다.
재생될 화상의 제3 컬러면이 레이저 스캐닝 장치(64) 및 전극(70)을 사용하는 액체 잉크(68)를 포함하는 현상기 스테이션(66)을 사용하는 유사한 방식으로 수광기(10)의 표면상에 퇴적된다. 다시 제3 컬러면의 현상에 이어지는 수광기(10)상에 존재하는 표면 전하는 레이저 스캐닝 장치(64)에의 노출 이전에 존재했던 것보다 약간 작을 수 있으나, 사실상 "재충전"되고, 제4 컬러면의 인가가 소거 또는 코로나 대전의 필요없이 허용되도록 아주 균일하다.
유사하게 제4 컬러면이 전극(80)을 사용하는 액체 잉크(78)를 포함하는 현상기 스테이션(76) 및 레이저 스캐닝 장치(74)를 사용하여 수광기(10)상에 퇴적된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잉크(54, 62, 70, 78)으로부터의 과잉 액체는 도1에 관해 설명된 롤러(32)와 유사한 롤러를 사용하여 짜내어진다(squeezed off). 이같은 롤러는 현상기 스테이션(52, 60, 68, 76) 중 아무것이나 또는 모두와 관련하여 사용가능하다.
액체 잉크(54, 62, 70, 78)로부터의 부착된 고체는 도1과 관련해 설명된 것과 유사하게 건조 기구(34)에서 건조된다. 건조 기구(34)는 수동적이거나, 능동적 공기 송풍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건조 롤러, 진공 장치, 코로나 등과 같은 다른 능동적 장비일 수 있다.
완성된 4개 컬러 화상은 그후 인쇄될 매체(36)에 직접 전사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 롤러(38, 40)에 의해 간접으로 전사된다. 통상적으로 열 및/또는 압력이 사용되어 화상을 매체(36)에 고정한다. 만들어진 "인쇄물"은 4개 컬러 화상의 하드 카피 표시이다.
대전 전압, 수광기 용량 및 액체 잉크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이 과정은 정해지지 않은 수의 컬러면을 갖는 복수 컬러 화상의 생성을 위해 정해지지 않은 회수로 반복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정 및 장치가 종래의 4색 화상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과정 및 장치는 2개 이상의 컬러면을 갖는 복수 컬러 화상에 적합하다.
수광기(10)는 전기전도성 기층에 부착된 광전도층과, 광전도층에 부착된 중감층과, 중간층위의 해제층이 될 수가 있다. 해제층은 팽창가능(swellable) 중합체일 수 있다. "팽창가능"은 중합체가 캐리어 액체를 중합체의 무게의 50%보다 더 큰양으로 흡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필요하다면 해제층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나노미터의 Ra을 갖는 거친면일 수 있다.
해제층은 고분자량 하이드록시 터미네이티드 실록산을 크로스링크하므로써 형성되는 팽창가능 중합체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해제층은 고분자량 하이드록시 터미네이티드 실록산, 저분자량 하이드록시 터미네이티드 실록산 및 크로스링크제의 반응물일 수 있다. 이같은 조합이 사용되면 고분자량 하이드록시 터미네이트디 실록산과 저분자량 하이드록시 터미네이티드 실록산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0.5:1 내지 100:1의 범위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20:1의 범위이다.
대전 장치(18)는 바람직하게는 스코로트론형 코로나 대전 장치(scorotron type corona charging device)이다. 대전 장치(18)는 플러스 4000 내지 8000 볼트의 적절한 양의 고전압원에 결합된 (도시되지 않은) 그리드 와이어를 갖는다. 대전 장치(18)의 그리드 와이어는 수광기(10)의 표면으로부터 약 1 내지 3mm에 배치되며, 수광기의 커패시턴스에 따라 플러스 600 내지 1000 볼트의 범위에서 수광기(10)상의 외견상 표면 전압을 얻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조정가능한 양의 전압원에 결합되다. 이는 양호한 전압 범위이지만 다른 전압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두꺼운 수광기는 통상적으로 더 높은 전압을 필요로 한다. 필요한 전압은 주로 수광기(10)의 커패시턴스와 장치(42)의 토너로서 채용가능한 액체 잉크의 전하 대 질량비에 의존한다. 물론 양의 전압에의 연결이 수광기(10)의 양의 대전에 필요하다. 또는 음의 전압을 사용한 음으로 대전된 수광기(10)도 작동가능하다. 원리는 음으로 대전된 수광기(10)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레이저 스캐닝 장치(50)가 화상의 제1 컬러면에 관련된 화상 정보를 인가하고, 레이저 스캐닝 장치(58)가 화상의 제2 컬러면에 관련된 화상 정보를 인가하고, 레이저 스캐닝 장치(66)가 화상의 제3 컬러면과 관련된 화상 정보를 인가하고, 레이저 스캐닝 장치(74)가 화상의 제4 컬러면과 관련된 화상 정보를 인가한다. 레이저 스캐닝 장치(50, 58, 66, 74)의 각각이 화상의 별도 컬러와 관련되고 도4에 관해 전술한 바와 같은 순서로 작동하지만, 편의를 위해 이들은 이하에 함께 설명된다.
레이저 스캐닝 장치(50, 58, 66, 74)는 고강도 전자기 복사의 적절한 공급원을 포함한다. 복사는 단일 비임, 또는 비임의 어레이일 수 있다. 이같은 어레이의 개별 비임은 개별적으로 변조될 수 있다. 복사는 예를 들어 수광기(10)의 이동 방향에 대체로 수직인 라인 스캔으로서 그리고 대전 장치(18)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서 수광기(10)에 충돌한다.
복사는 바람직하게는 수광기(10)의 이동과 정확한 동기를 유지하면서 수광기(10)를 스캔하고 노출시킨다. 화상별 노출은 수광기(10)의 표면 전하가 복사가 충돌하는 곳마다 현저히 감소하게 한다. 복사가 충돌하지 않는 수광기(10)의 영역은 별로 방전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수광기(10)가 복사하에서 벗어날 때 그 표면 전하 분포는 원하는 화상 정보에 비례한다.
레이저 스캐닝 장치(50, 58, 66)에 의해 전달되는 복사의 파장은 화상의 제1의 3색 컬러면을 통한 낮은 흡수가 일어나도록 선택된다. 제4 화상면은 통상적으로 흑색이다. 흑색은 수광기(10)의 방전에 유용한 모든 파장의 복사에 높은 흡수를 나타낸다. 또한 선택된 레이저 스캐닝 장치(50, 58, 66, 74)의 복사의 파장은 바람직하게는 수광기(10)의 최대 민감성 파장에 대응하여야 한다. 레이저 스캐닝 장치(50, 58, 66, 74)의 바람직한 공급원은 적외선 다이오드 레이저와 700 나노미터를 넘는 방출 파장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이다. 가시광선에서 특별히 선택된 파장은 또한 착색제의 소정의 조합과 함께 사용가능하다. 바람직한 파장은 780 나노미터이다.
레이저 스캐닝 장치(50, 58, 66, 74)로부터의 복사(단일 비임 또는 비임 어레이)는 컴퓨터 메모리, 통신 채널 등과 같은 적절한 공급원으로부터의 임의의 단일 컬러면 정보를 위한 화상 신호에 응답하여 종래의 방식으로 변조된다. 레이저 스캐닝 장치로부터의 복사를 수광기(10)에 도달시키기 위해 조작되는 기구도 또한 종래의 것이다.
복사는 (도시되지 않은) 회전 다각형 거울과 같은 적절한 스캐닝 장치와 충돌하고, 그후 수광기(10)에 대한 특정 래스터 라인 위치에 복사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적절한 스캔 렌즈를 통과한다. 물론 진동 거울, 변조된 광섬유 어레이, 웨이브가이드 어레이, 또는 적절한 화상 전달 시스템이 다각형 거울 대신 또는 그에 부가하여 사용가능하다. 디지털 하프톤 화상 형성을 위해서는 인치당 600도트의 해상도를 가정할 때 최대 강도 레벨의 절반에서 42 미크론보다 작은 직경으로 초점이 맞을 수 있게 하는 것이 양호하다. 더 낮은 해상도가 어떤 응용 분야에서 적합할 수도 있다. 스캔 렌즈가 적어도 30.5 cm(12 인치)의 폭에 걸쳐 이 비임 직경을 반드시 유지할 수 있는 것이 양호하다.
다각형 거울은 통상적으로 히스테리시스 모터 또는 진동자 시스템 또는 스캔률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서보 피드백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는 전자 제어부에 의해 정속으로 종래의 방식으로 회전된다. 수광기(10)는 복사가 수광기(10)에 충돌하는 래스터 라인을 지나 위치/속도 감지 장치 및 모터에 의해 정속으로 스캔 방향에 수직으로 이동한다. 다각형 거울에 의해 발생된 스캔률 및 수광기(10) 이동 속도 사이의 비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레이저 변조 정보의 필요한 어드레서빌러티(addressability)와, 최종 화상의 올바른 종횡비를 위한 래스터 라인의 중복을 얻도록 선택된다. 고품위 화상 형성을 위해, 다각형 거울 회전 및 수광기(10) 속도가 적어도 인치당 600 스캔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인치당 1200 스캔이 수광기(10)상에 화상 형성된다. 수광기(10)가 7.6 cm/s (3 인치/s)보다 현저히 빠르게 이동하게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상기 스테이션(52)은 화상의 제1 컬러면을 현상하고, 현상기 스테이션(60)은 화상의 제2 컬러면을 현상하고, 현상기 스테이션(68)은 화상의 제3 컬러면을 현상하고, 현상기 스테이션(76)은 화상의 제4 컬러면을 현상한다. 각 현상기 스테이션(52, 60, 68, 76)은 화상의 개별 컬러와 관련되어 있고, 도4에 관련하여 전술한 순서로 작동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 함께 설명된다.
종래의 액체 잉크 침지 현상 기법이 현상기 스테이션(52, 60, 68, 76)에 사용된다. 2개 모드의 현상, 즉 수광기(10)의 노출된 영역의 액체 잉크(54, 62, 70, 78)의 퇴적, 또는 비노출 영역에서의 액체 잉크(54, 62, 70, 78)의 퇴적이 공지되어 있다. 화상 형성의 전자의 모드는 균일한 밀도 및 낮은 배경 밀도를 유지하면서 하프톤 도트의 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양으로 대전된 액체 잉크(54, 62, 70, 78)가 복사에 의해 방전된 영역에서 수광기(10)의 표면상에 퇴적되는 방전 현상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명되었지만, 그 반대가 맞는 화상 형성 시스템이 또한 본 발명에 의해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된다. 현상은 수광기(10)의 표면에 가까이 이격된 현상 전극(56, 64, 72, 80)에 의해 형성된 균일한 전기장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현상기 스테이션(52, 60, 68, 76)은 현상기 롤, 압착 롤러(82, 84, 86, 88), 유체 전달 시스템 및 유체 귀환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액체 잉크(54, 62, 70, 78)의 얇고 균일한 층이 회전하는 원통형 현상기 롤(전극, 56, 64, 72, 80)상에 이루어진다. 바이어스 전압이 수광기(10)의 노출되지 않은 표면 전위와 수광기(10)의 노출면 표면 전위 레벨 중간에서 현상기 롤(전극)에 인가된다. 전압은 원하는 최대 밀도 레벨과 퇴적되는 배경없는 하프톤 도트의 톤 재생 스케일을 얻도록 조정된다. 현상기 롤(전극, 56, 64, 72, 80)은 수광기(10)의 표면에 형성된 잠상이 현상기 롤(전극, 56, 64, 72, 80) 아래를 통과하기 직전에 수광기(10)의 표면에 근접하게 된다. 현상기 롤(전극, 56, 64, 72, 80)상의 바이어스 전압은 전기장에서 이동가능한 대전된 색소 입자들을 잠상을 현상하도록 강제한다. 액체 잉크(54, 62, 70, 78)의 대전된 "고체" 입자들은 수광기(10)의 표면 전하가 현상기 롤(전극, 56, 64, 72, 80)의 바이어스 전압보다 작은 영역에서 수광기(10)의 표면상으로 이동하고 그에 부착되게 한다. 액체 잉크(54, 62, 70, 78)의 전하 중립성은 양으로 대전된 잉크 입자들의 전하와 평형되는 반대로 대전되고 사실상 투명한 카운터 이온에 의해 유지된다. 카운터 이온은 수광기(10)의 표면 전압이 전극 바이어스 전압보다 큰 영역에서 수광기(10) 표면상에 퇴적된다.
부착(plating)이 현상기 롤(전극, 56, 64, 72, 80)에 의해 이루어진후, 압착 롤러(82, 84, 86, 88)가 수광기(10)상의 현상된 화상 영역 위로 롤링하여 과잉 액체 잉크(54, 62, 70, 78)를 제거하고, 이어서 화상의 각 현상된 컬러면을 뒤에 남긴다. 또는 수광기(10)의 표면상에 남아있는 충분한 과잉 액체 잉크가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진공 기법에 의해 필름 형성을 실행하도록 제거될 수 있다. 수광기(10)에 퇴적된 잉크는 현상기 롤(전극, 56, 64, 72, 80), 압찰 롤러(82, 84, 86, 88) 또는 다른 건조 기법에 의해 현상기 스테이션(52, 60, 68, 76)에 의한 이어지는 현상 과정에서 씻겨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필름을) 비교적 견고하게 만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광기에 퇴적된 잉크는 화상의 고체의 체적비로 75%보다 크도록 충분히 건조되어야 한다.
현상기 스테이션(52, 60, 68, 76)은 참조로 포함된 톰슨(Thompson) 등의 미국 특허 제5,300,990호에 개시된 것과 유사하다. 양호한 현상기 스테이션(52, 60, 68, 76)은 현상기 롤면과 수광기(10)의 표면 사이의 양호한 간격이 50 내지 75 마이크론(0.05 내지 0.075mm) 대신에 10 내지 150 마이크론(0.15mm)이다는 점에서 톰슨등의 특허에 기재된 것과 상이하다. 또한 와이퍼 롤러가 사용되지 않으며, 압착 롤러(82, 84, 86, 88)는 우레탄으로 만들어진다. 일단 화상의 각 컬러면의 현상 공정이 완료되면, 적절한 현상기 롤(전극, 56, 64, 72, 80)은 수광기(10)의 표면으로부터 후퇴하고, 액체 잉크(54, 62, 70, 78)와 수광기(10)의 표면 사이의 접촉을 파괴한다. 현상기 롤(전극, 56, 64, 72, 80) 드라이플린 유체(dripline fluid)는 제거되고 압착 롤러(82, 84, 86, 88)에 의해 포획된다.
수광기(10)상의 현상기 롤(전극, 56, 64, 72, 80)에 의해 공급된 액체 잉크(54, 62, 70, 78)의 드라이플린은 수광기(10)가 벨트(44)상에서 이동함에 따라 압착 롤러(82, 84, 86, 88)를 향해 진행되고, 압착 롤러(82, 84, 86, 88)의 선행 모서리에 이미 포함된 액체 잉크(54, 62, 70, 78)의 각각과 결합한다(압착 지연 체적). 드라이플린 및 압착 지연 체적으로부터의 과잉 액체 잉크(54, 62, 70, 78)는 압착 롤러(82, 84, 86, 88)의 전면 아래로 과유동하고, 그 일부는 유체 귀환 시스템내로 유동한다. 수광기(10)의 화상 형성 영역이 압착 롤러(82, 84, 86, 88)를 지난후, (도시되지 않은) 닥터 블레이드가 각 압착 롤러(82, 84, 86, 88)의 바닥과 접촉하게 된다. 동시에 압착 롤러(82, 84, 86, 88)는 대략 초당 25.4cm(초당 10 인치)의 속도로 수광기(10)의 이동면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압착 롤러(82, 84, 86, 88)의 닙(nip)의 액체 잉크(54, 62, 70, 78)의 양은 압착 롤러(82, 84, 86, 88)의 운동에 의해 수광기(10)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되고, 그로부터 유체 귀환 시스템 내로 배출되는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에 의해 압착 롤러(82, 84, 86, 88)로부터 벗겨진다. 액체 잉크(54, 62, 70, 78)가 제거될 수 있는 비율은 압착 롤러(82, 84, 86, 88)의 표면에 대한 수광기(10)의 표면의 속도비의 함수이다. 닥터 블레이드가 부풀거나 휘어지지 않도록 닥터 블레이드가 압착 롤러(82, 84, 86, 88)의 전체 횡폭과 밀접한 접촉을 유지하는 것이 양호하다. 닥터 블레이드를 위한 양호한 재료는 3M 브랜드의 폴루로일래스토머(Fluoroelastomer FC 2174)이고, 이는 액체 잉크에 대해 불활성이고,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의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쳐링 컴퍼니에 의해 제조된다.
액체 잉크(54, 60, 70, 78)의 조성과 현상 과정의 시간 상수들을 지배하는 변수들은 적절히 선택되며, 현상기 스테이션(52, 60, 68)으로부터 벗어날 때의 수광기(10)상의 표면 전위 분포는 균일하고 전극(56)의 바이어스 전압과 거의 동일하게 될 수 있으며, 이는 수광기(10)의 표면 전위가 전극(56)의 바이어스보다 작은 영역(화상 형성 영역)에서 양으로 대전된 색소 입자의 퇴적과, 수광기(10)의 표면 전위가 전극(56)의 바이어스보다 큰 영역(비화상 형성 영역)에서 음으로 대전된 카운터 이온의 퇴적의 결과이다.
화상의 이어지는 컬러면의 노출 전에 소거 램프(14) 또는 대전 장치(18)는 필요치 않다. 제1 컬러면을 위한 전극(56)의 바이어스 전압이 현상기 스테이션(52)을 법서아면서의 수광기(10)의 전하 분포가 화상의 제2 컬러면의 대전 값으로서 역할을 하기에 필요하고 충분한 진폭으로 선택된다면.
화상의 제2 컬러면에 의해 형성된 제2 컬러 분리를 위한 잠상은 그후 제1 커러 분리에 대해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현상된다. 노출 및 현상 단계는 다수회 반복될 수 있으며, 각 반복은 시안, 마젠타, 황색 또는 흑색과 같은 별도의 컬러면을 화상별로 노출시킬 수 있으며, 각 현상 잉크는 화상별 노출 컬러면에 대응하는 별도의 컬러일 수 있다. 4개의 이같은 컬러면의 중첩은 컬러면의 무두가 형성될 때까지 컬러면들중 어느것도 전사할 필요없이 수광기 표면상에 양호한 정합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색 화상의 각 컬러 분리를 위한 화상형성 및 현상의 순서는 고정되어있지 않으며, 가까운 공정에 적합하게 선택될 수 있고, 최종 화상 요구사항에만 의존한다.
도5는 수광 벨트(110)의 형태의 수광기를 도시한다. 수광 벨트(110)는 벨트 외부면(112)과 벨트 내부면(114)을 갖는다. 도5는 또한 13개의 롤에 의해 형성된 벨트 경로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수광 벨트(110)는 시계 방향의 벨트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또한 세척 단계중 반시계방향으로 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13개의 롤은 (도시되지 않은, 그러나 벨트 외부면(112)에 인접 위치한) 4개의 압착 롤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기 위한 4개의 압착 백업 롤(116A-D)을 포함한다. 4개의 현상기 백업 롤(118A-D)이 벨트 내부면(114)과 접촉하고, (도시되지 않은, 그러나 벨트 외부면(112)에 인접 위치한) 4개의 현상기 롤에 대향 위치한다. 제1 벨트 위치 설정 롤(122)이 전사 백업 롤(120) 및 벨트 조향 롤(124) 사이에 위치하여 (도시되지 않은, 그러나 벨트 외부면(112)에 인접 위치한) 대전 장치에 대한 수광 벨트(110)의 위치를 고정한다. 벨트 조향 롤(124)은 수광 벨트(110)가 장력을 받도록 바이어스될 수 있다. 제2 벨트 위치설정 롤(126)이 (도시되지 않은, 그러나 벨트 외부면(112)에 인접 위치한) 제1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수광 벨트(1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벨트 조향 롤(124) 및 제1 현상기 백업 롤(118A) 사이에 위치한다. 제2 벨트 위치설정 롤(126)은 (도시되지 않은, 그러나 벨트 외부면(112)에 인접 위치한) 세척 장치의 지지부를 제공하는 백업 롤이다. 구동 롤(118)은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수광 벨트(110)를 벨트 경로 주위로 구동한다. 구동 롤(128)은 또한 (도시되지 않은, 그러나 벨트 외부면(112)에 인접 위치한) 건조 롤의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4개의 압착 백업 롤(116A-D), 4개의 현상기 백업롤(118A-D), 전사 백업 롤(120) 및 제1 및 제2 벨트 위치설정 롤(122, 126)은 아이들러 롤러이고, 압착, 현상기, 세척 및 전사롤들과 같은 대응 롤들에 비회전 정렬 기준을 제공하도록 (도시되지 않은) 데드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롤들은 대신에 (도시되지 않은) 저어널에 장착된지지 장치들을 갖는 라이브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13개의 롤들은 수광 벨트(110)가 각 롤의 주연의 적어도 3도를 접촉하도록 위치된다. 그러나 수광 벨트(110)는 전사 백업 롤(120), 제1 벨트 위치설정 롤(122), 벨트 조향 롤(124), 제2 벨트 위치설정 롤(126) 및 구동 롤(128)의 주연들의 3도보다 현저히 많이 접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압착 백업 롤(116A-D), 현상기 백업 롤(118A-D), 제1 및 제2 벨트 위치설정 롤(122, 126)의 직경은 예를 들어 약 1.59cm(0.75 인치) 또는 2.54cm(1.0 인치)일 수 있다. 전사 백업 롤(120)의 직경은 예를 들어 약 3.81cm(1.50 인치)일 수 있다. 벨트 조향 롤(124)의 직경은 예를 들어 2.79cm(약 1.10 인치)일 수 있다. 구동 롤(128)의 직경은 예를 들어 약 2.67cm(1.053 인치)일 수 있다. 벨트 두께는 예를 들어 0.01cm(0.004 인치)일 수 있다.
구동 롤(128)의 외측부(수광 벨트(110)와 접촉하는 부분)로부터 벨트 조향 롤(124)의 외측부(수광 벨트(110)에 접촉하는 부분) 까지의 거리는 대략 42.93cm(16.9 인치)일 수 있다. 도5는 비례적으로 도시되어, 다른 롤에 대한 각 롤의 대략적 위치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현상 백업 롤(118A, 118B) 사이의 호형 간격은 제2 및 제3 현상기 백업 롤(118B, 118C) 사이의 호형 간격 및 제3 및 제4 현상기 백업 롤(118C, 118D) 사이의 호형 간격과 동일하다.
도5는 또한 제4 레이저 스캐닝 장치(130A-D)를 도시한다. 이들 장치(130A-D)는 수광 벨트(110)에 충돌하는 4개의 대응 레이저 비임(132A-D)를 발생시킨다. 레이저 비임(132A-D)이 수광 벨트(110)와 충돌하는 위치들 사이의 거리(D1-3)는 제2, 제3 및 제4 레이저 비임(132B-D)에 의해 수광 벨트(110)에 인가된 화상들과 제1 레이저 비임(132A)에 의해 수광 벨트(110)에 인가된 화상을 정확하게 정합시키는 데 중요하다.
레이저 스캐닝 장치(130A-D)와 거리(D1-3)는 제1 및 제2 레이저 비임(132A, 132B)이 수광 벨트(110)와 충돌하는 곳 사이의 수광 벨트(110)의 길이(L1)이 대략 8.46cm(3.33 인치)이고, 제2 및 제3 레이저 비임(132B, 132C)이 수광 벨트(110)와 충돌하는 곳 사이의 수광 벨트(110)의 길이(L2)가 대략 8.46cm(3.33 인치)이고, 제3 및 제4 레이저 비임(132C, 132D)이 수광 벨트(110)와 충돌하는 곳 사이의 수광 벨트(110)의 길이(L3)이 대략 8.46cm(3.33 인치)이 되도록 하는 형상을 갖고, 설정된다. 그 결과 이들 길이(L1-3)는 수광 벨트(110)로 감겼을 때의 구동 롤(128)의 유효 직경과 Pi의 곱과 정확히는 아니어도 거의 근사하다. (3.14159x(1.053+0.004+0.004인치)의 곱은 3.333인치)
길이(L1-3)들과 주연들 사이의 대응은 매우 중요하며, 이는 구동 롤(128)(구동 롤) 자체가 불완전하거나 불완전하게 장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불완전함은 수광 벨트(110)의 속도가 구동 롤(128)의 각 회전 내에서 변동하게 초래한다.(즉 속도 변동은 구동 롤(128)의 회전과 주기적이다.) 이같은 불완전함의 예는 구동 롤(128)의 불완전한 진원도일 수 있다. 다른 예는 구동 롤(128)의 (도시되지 않은) 저어널 베어링에 대한 구동 롤(128)의 동심성일 수 있다. 속도 변동은 화상 변동을 일으킨다. 그러나 길이(L1-3) 및 주연의 대응은 변동을 제2, 제3 및 제4 레이저 비임(132B-D)에 의해 형성된 화상 내의 변동과, 필요에 따라 정합되는 제1 레이저 비임(132A)에 의해 발생된 화상 이내에서 일어나게 한다. 단일 레이저 비임에 의해 발생된 단일 화상내의 변동은 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즉 눈에 띄게 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4개의 레이저 비임에 의해 발생된 4개의 화상의 부정확한 정합은 잘 보일 수 있다.(즉 현저하게 보일 수 있다.)
구동 롤(128)은 스테퍼 모터(134)에 직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 표준 스태퍼 모터(134)는 불연속 회전 또는 단계를 한정하는 200개의 극을 갖는다. 스테퍼 모터드라이버는 극을 바이어스하여 모터가 완전 또는 부분 스텝을 취하게 한다. 스테퍼 모터(134)가 구동 롤(128)(3.33 인치 직경)을 회전시키기 위해 2000 스텝을 제공하도록 마이크로스텝되면(microstepped) 수광 벨트는 각 600 스텝마다(0의 슬립을 가정하면) 2.54cm(1.0인치)의 거리로 구동된다. 레이저 비임(132A-D)이 각 스텝마다 스캔되면, 이 배열의 레이저 스캐닝 해상도는 인치당 600 라인이다.
구동 롤(128)의 주연을 길이(L1-3)과 동일하게 만들기보다는, 정확한 정합은 길이(L1-3)를 구동 롤(128)의 주연의 임의의 정수배로 만듬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수의 배열이 수광 벨트(110)의 구동을 길이와 조정되도록 만들어질수 있다. 그리고 더 크거나 작은 주연 또는 더 길거나 짧은 길이가 8.46cm(3.33 인치) 치수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이 치수는 벨트(110) 및 롤러를 포함하는 장치의 크기 제한 또는 선호에 기초하여, 그리고 다양한 롤 크기와 다양한 스테퍼 모터(134) 형상의 구득가능성에 기초하여, 그리고 레이저 간격 제한 또는 선호에 기초하여, 그리고 (스테퍼를 구동 롤(128)에 직결시키는 것 또는 2개를 기어 연결하는 비용 및 부품을 포함하는) 다른 제한 또는 선호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스테퍼 모터(134)와 구동 롤(128)이 아닌 다른 구동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정확한 정합을 위한 전술한 수단을 여전히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롤(128)은 (도시되지 않은) 작은 피구동 벨트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많은 다른 수정이 본 발명의 일부로 생각된다.
필요치는 않지만, (도시되지 않은) 톱핑 코로나(topping corona)가 제1의 3개의 현상 스테이션(52, 60, 68)을 따르는 수광기(10)에 인가될 수 있다. 수광기(10)가 액체 잉크(54, 62, 70)로의 현상을 이어서 재충전하지만, 이는 통상적으로 이전에 대전된 전압으로 완전히 재충전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종래의 코로나 대전 장치가 현상 스테이션(52, 60, 68) 다음에 채용되어 수광기(10)상의 전압을 양호한 대전 레벨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과정 및 장치가 진행함에 따라 수광기(10)의 표면상의 전압을 도표로 나타내는 도6에 도시되어 있다. 소거 램프(14)에 의한 소거에 이어 수광기(10)의 표면은 통상적으로 약 100볼트인 비교적 낮은 전압 레벨(210)에 있다. 코로나 대전 장치(18)에 의한 대전후, 수광기(10)의 표면은 통상적으로 약 700볼트인 액체 잉크의 현상에 적합한 비교적 높은 값(212)으로 대전된다. 제1 컬러면(바람직하게는 황색)에 대응하는 레이저 스캐닝 장치(50)에 의한 복사에의 화상별 노출에 이어, 수광기(10)의 표면의 영역은 약 150볼트의 방전된 레벨(214)로 방전된다. 수광기(10) 표면의 비노출 영역은 약 700 볼트의 높은 대전 레벨(216)으로 남아있는다. 현상기 스테이션(52)에 의한 현상에 이어 수광기(10)의 표면은 약 500 볼트의 중간 레벨(218)로 사실상 균일하게 대전된다. 수광기(10)의 방전된 영역은 500 볼트까지 상향 현상되고, 수광기(10)의 비방전 영역은 500 볼트까지 하향 현상된다. 이 현상된 전압은 시간에 따라 소멸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토핑 코로나가 바람직하게는 사용되어 수광기(10)의 표면을 약 700 볼트의 높은 레벨(220)까지 보구기시킨다. 수광기(10)는 소거 램프에 의해 방전되지 않았고, 그러므로 약 500 볼트로 부분 대전되어 유지되므로, 코로나 대전 장치(18)보다 훨씬 작은 코로나 대전 장치가 토핑 코로나에 사용될 수 있다.
화상의 제2 컬러면(바람직하게는 마젠타)을 위한 레이저 스캐닝 장치(58)에 의한 복사에의 화상별 노출에 이어, 수광기(10)의 표면 영역은 다시 약 150 볼트의 방전 레벨(222)로 방전된다. 수광기(10)의 표면의 비노출 영역은 약 700 볼트의 높이 대전된 레벨(224)로 유지된다. 현상기 스테이션(60)에 의한 현상에 이어, 수광기(10)의 표면은 약 550 볼트의 중간 레벨(226)로 사실상 균일하게 대전된다. 수광기(10)의 방전 영역은 550 볼트까지 상향 현상되고, 수광기(10)의 비노출 영역은 550 볼트까지 하향 현상된다. 바람직하게는 다시 토핑 코로나가 사용되어 수광기(10)의 표면을 약 700 볼트의 높은 레벨(228)까지 복귀시킨다.
화상의 제3 컬러면(바람직하게는 시안)을 위한 레이저 스캐닝 장치(58)에 의한 복사에의 화상별 노출에 이어, 수광기(10)의 표면 영역은 다시 약 150 볼트의 방전 레벨(230)로 방전된다. 수광기(10)의 표면의 비노출 영역은 약 700 볼트의 높이 대전된 레벨(232)로 유지된다. 현상기 스테이션(66)에 의한 현상에 이어, 수광기(10)의 표면은 약 550 볼트의 중간 레벨(234)로 사실상 균일하게 대전된다. 바람직하게는 다시 토핑 코로나가 사용되어 수광기(10)의 표면을 약 700 볼트의 높은 레벨(236)까지 복귀시킨다.
화상의 제4 컬러면(바람직하게는 흑색)을 위한 레이저 스캐닝 장치(74)에 의한 복사에의 화상별 노출에 이어, 수광기(10)의 표면 영역은 다시 약 150 볼트의 방전 레벨(238)로 방전된다. 수광기(10)의 표면의 비노출 영역은 약 700 볼트의 높이 대전된 레벨(240)로 유지된다. 현상기 스테이션(66)에 의한 현상에 이어, 수광기(10)의 표면은 약 550 볼트의 중간 레벨(242)로 사실상 균일하게 대전된다. 이는 화상의 최종 컬러면이므로 액체 잉크는 화상에 더 이상 인가되지 않고, 수광기(10)는 수광기가 다시 화상별 분포 복사에 노출되기 전에 소거된다. 토핑 코로나는 이 지점에서는 선호되지 않는다.
이 지점에서 모든 4개의 컬러면이 수광기(10)와 정합되어 스택된다. 이하에 설명되는 이어지는 건조 및 전사 단계와 기구는 조립된 총 4색 화상을 건조하고 그후 수용 매체, 예를 들어 종이 또는 투명 필름에 전사하는 데 사용된다.
수광기(10)의 표면상의 화상의 최종 컬러면의 현상에 이어, 조립된 화상은 필요하다면 건조 기구(34)에서 더욱 건조되고, 그후 수용 매체(36)으로의 이어지는 전사를 위한 전사 롤러(38)에 단일 단계로 전사된다.
액체 잉크(52, 60, 68, 76)의 "고체" 색소는 전사 롤러(38)로의 전사이전에 또는 그 중에 수광기(10)의 표면상에 점착성 필름을 형성한다. 액체 잉크(52, 60, 68, 76)의 이같은 "고체" 색소의 4개층을 포함하는 점착성 필름으로 구성된 화상은 예를 들어 건조 롤러(90)를 사용하여 사실상 건조한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건조 롤러(90)는 남아있는 액체를 흡수하는 실리콘 코팅 롤러이다. 건조 롤러(90)는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 파일 제52063USA1A호로 확인되는 발명의 명칭이 액체 토너를 사용한 전자사진용 건조 방법 및 장치인 실리(Schilli) 등의 같이 계류중인 미국 특허 출원에 개시된 건조 스테이션에 의해, 이어지는 전사를 위해 "추가 건조" 또는 "조화(conditions)"한다. 선호되지는 않지만 건조 기구(34)는 종래의 고온 공기 송풍기 또는 다른 종래의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적절한 건조에 이어, 수광기(10)의 표면상의 액체 잉크 화상은 온도 T1으로 가열된 탄성체로 구성된 전사 롤러(38)와 가압 접촉하게 된다. 온도 T1은 섭씨 25 내지 130도이며, 바람직하게는 섭씨 약 80도이다. 온도 T1에서 전사 롤러(38)의 탄성체는 점착성이다. 전사 롤러(38)로는 롤러가 선호되지만, 벨트가 또한 계획된다. 액체 잉크는 수광기(10)와 전사 롤러(38)의 탄성체 면이 분리될 때 전사 롤러(38)의 탄성체에 점착된다. 수광기(10)의 표면은 액체 잉크 화상을 해제한다. 이어서 전사 롤러(38)의 액체 잉크 화상 지지 탄성체는 수용 매체(36), 예를 들어 종이에 온도 T2에서 가압접촉하게 된다. 온도 T2는 섭씨 70 내지 150도의 범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섭씨 115도이다. 32 kg/cm2( 평방 인치당 95파운드)의 압력하에서, 바람직하게는 금속 롤러인 전사 롤러(38)의 액체 잉크 화상 지지 탄성체는 작은 도트를 포함하는 액체 잉크 화상의 모든 부분이 수용 매체(36)의 표면과 접촉하여 수용 매체(36)에 전사할 수 있도록 수용 매체(36)의 지형에 상응한다.
전사 롤러(38)의 탄성체는 수광기 표면으로부터 반건조 액체 잉크 화상을 픽업하기에 충분한 점착성을 온도 T1에서 갖는다. 또한 전사 롤러(38)의 탄성체는 액체 잉크 화상으로부터의 필름이 수용 매체(36)로 해제되게 하기에 충분한 해제 특성을 온도 T2에서 갖는다. 전사 롤러(38)의 탄성체는 수용 매체(36)의 표면상의 불균일함, 예를 들어 거친 종이의 불균일함에 상응할 수 있다. 상응성(conformability)은 65 이하 바람직하게는 50의 쇼어 A 듀로미터 경도를 갖는 탄성체를 사용하여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탄성체는 캐리어 매체, 예를 들어 액체 잉크(52, 60, 68, 76)를 위한 탄화 수소에 의한 공격과 팽창에 저항성이 있어야 한다. 전사 롤러(38)의 탄성체는 온도 T1에서의 수광기(10)의 해제면과 액체 잉크(52, 60, 68, 76)의 점착 특성보다는 크고, 온도 T2에서의 최종 수용 매체(36)와 액체 잉크(52, 60, 68, 76)의 점착 특성 보다는 작은 액체 잉크(52, 60, 68, 76)에 대한 점착 특성을 갖는다. 전사 롤러(38)의 탄성체의 선택은 수광기(10)의 해제면, 액체 잉크(52, 60, 68, 76)의 조성 및 수용 매체(36)에 의존한다. 여기 설명한 과정에 대해, 여러개의 플루로 실리콘 탄성체, 예를 들어 미시간주 미드랜드 소재의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으로부터 구득가능한 다우 코닝 94-003 플루로실리콘 분산 코팅이 이 요구 사항을 만족한다.
액체 잉크(52, 60, 68, 76)로서의 사용에 특히 적합한 것을 알게된 한 종류의 잉크는 사실상 투명하고 레이저 스캐닝 장치(50, 58, 66, 74)로부터의 복사에 낮은 흡수성을 나타내는 잉크 물질로 구성된다. 이는 레이저 스캐닝 장치(50, 58, 66, 74)로부터의 복사가 사전에 퇴적된 잉크 또는 잉크들을 통과하여 수광기(10)의 표면에 충돌하고 퇴적된 전하를 감소시키도록 허용한다. 이 종류의 잉크는 컬러 퇴적의 순서를 고려할 필요없이 제2, 제3 및 제4 컬러면을 형성할 때와 같이, 이어지는 화상 형성이 사전에 현상된 잉크 화상을 통해 실행되도록 허용한다. 잉크가 레이저 스캐닝 장치(50, 58, 66, 74)로부터의 복사의 적어도 80%, 더 바람직하게는 90%를 투과시키고, 복사는 액체 잉크(52, 60, 68, 76)의 퇴적된 잉크 물질에 의해 현저히 흩어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잉크(52, 60, 68, 76)로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는 것을 알게된 한 종류의 잉크는 액체 침지 현상의 우수한 화상형성 특성을 나타내는 겔 오르가노졸(gel organosol)이다. 예를 들어 겔 오르가노졸 액체 잉크는 낮은 벌크(bulk) 전도성과 낮은 자유 위상(free phase) 전도성과, 낮은 전하/질량 및 높은 이동성과, 높은 광학 밀도로 배경없는(background free)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모든 바람직한 특성을 갖는다. 특히 잉크의 낮은 벌크 전도성, 낮은 자유 위상 전도성 및 낮은 전하/질량은 잉크가 고체 농도의 넓은 범위에 걸쳐 높은 현상된 광학 밀도를 얻도록 허용하여, 종래의 잉크에 대한 연장된 인쇄 성능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적외선 복사와 같은 입사 복사를 전달하는 현상 형성 컬러 필름상의 이들 컬러 액체 잉크는 결과적으로 비합체 입자(non-coalesced)들이 입사 광선의 일부분을 산란시키면서 광전도체 층이 방전하도록 허용한다. 그러므로 비합체 잉크 입자들은 이어지는 노출에의 광전도체의 감도를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오버프린트된 화상과 간섭이 있다.
이들 잉크는 상온에서 잉크가 필름을 형성하게 하는 낮은 Tg값을 갖는다. 통상적 상온(섭씨 19-20도)는 필름 형성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하며, 물론 특별한 가열 요소없이도 높은 온도(예를 들어 섭씨 25 내지 40도)인 경향이 있는 작동중의 장치의 주변 내부 온도는 잉크가 필름을 형성하도록 초래 또는 허용하기에 충분하다.
전사후의 잔류 잉크 접착은 오르가노졸의 에틸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높은 점착성 모노머의 존재하에 유해하게 영향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오르가노졸은 오르가노졸 코어가 상온(섭씨 25도)보다는 낮으나 섭씨 -10도 보다는 높은 유리 전이 온도(Tg)를 바람직하게는 갖도록 일반적으로 조성된다. 양호한 오르가노졸 코어 조성은 약 75 중량%의 에틸 아크릴레이트와 25 중량 %의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여, 섭씨 -1도의 계산된 코어 Tg를 갖는다. 이는 잉크가 통상적 상온 또는 더 높은 현상 조건하에서 신속하게 자기 고정되게 허용하고, 또한 블로킹에 저항하는 점착없는 고정 화상을 얻는다.
캐리어 액체는 공지된 다양한 재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캐리어 액체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조건하에서 화학적으로 안정되고, 전기 절연성을 갖는 올레오필릭이다. 전기 절연은 캐리어 액체가 낮은 유전 상수와 높은 전기 저항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액체는 5이하의 유전 상수를 갖고, 더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의 유전 상수를 갖는다. 적절한 캐리어 액체의 예는 알리패틱 하이드로카본(n-펜탄, 헥산, 헵탄 등), 시클로알리패틱 하이드로카본(시클로 펜탄, 시클로헥산 등), 아로매틱 하이드로카본(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 할로게네이티드 하이드로카본 솔벤트(클로리네이티드 알칸, 플로리네이티드 알칸, 클로로플루로카본 등), 실리콘 오일 및 이들 솔벤트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양호한 캐리어 액체는 (텍사스주 휴스턴 소재의 엑손 케미칼 코포레이션에 의해 생산되고) 이소파(Isopar) G 리퀴드, 이소파 H 리퀴드, 이소파 K 리퀴드 및 이소파 L 리퀴드의 이름으로 판매되는 파라피닉 솔벤트 혼합물을 포함한다. 양호한 캐리어 액체는 또한 엑손 코포레이션으로부터 구득가능한 노르파(Norpar) 12 액체이다.
토너 입자들은 열가소성 수지에 파묻힌 착색제로 구성된다. 착색제는 염료(dye)이거나, 더 바람직하게는 색소(pigment)이다. 수지는 캐리어 액체에 일반적으로 불용성이거나 단지 약간 용해가능한 것으로 특징지워지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수지 코어를 포함한다. 또한 뭉침에 대한 분산된 토너 입자의 우수한 안정성이, (안정화제라 하는) 공중합체 또는 중합체들중 적어도 하나가 캐리어 액체에 의해 용매화된 적어도 500의 분자량의 적어도 하나의 체인형 성분을 포함하는 앰피패틱(amphiphatic) 물질일 때, 얻어진다. 이 상태하에서 안정화제는 수지 코어로부터 캐리어 액체로 연장하여, (Ed. Barette, Interscience., 제9면, 1975) 분산 중합(Dispersion Polymerization)에 논의된 것과 같은 입체 구조 안정화제(steric stabilizer)의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안정화제는 수지 코어로 화학적으로 포함된다. 즉 코어에 공유 결합 또는 융합(grafted)되나, 또는 수지 코어의 일체로된 부분으로 남아있도록 코에에 물리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수지의 조성은 오르가노솔이 섭씨 25도 이하(더 바람직하게는 섭씨 6도 이하)의 유효 유리 전이 온도(Tg)를 나타내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액체 잉크(52, 60, 68, 76의 잉크 조성이 (바람직하게는 섭씨 25도 이상인) 코어 Tg보다 높은 온도에서 수해되는 인쇄 또는 화상 형성 과정에서 신속한 필름 형성(신속한 자기 고정)을 받게 하도록 바람직하게 조작된다. 인쇄된 또는 색조를 띤(toned) 화상의 신속한 자기 고정을 촉진하기 위한 낮은 Tg수지의 사용은 공지되어 있으며, 필름 형성(Film Formation)(Z. W. Wicks, 코팅 기술 연합 (Federation of Societies for Coatings Technologies), 제8면, 1986)으로 예시된다. 신속한 자기 고정은 (흐려짐(smearing) 또는 추종 모서리 테일링(trailing-edge tailing)과 같은) 인쇄 결합과 고속 인쇄시 불완전한 전사를 방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보통 종이에 인쇄시, 최종 화상이 점착성이지 않고 양호한 블록 저항성을 갖도록 코어 Tg가 섭씨 -10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섭씨 -5도 내지 섭씨 +5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잉크(52, 60, 68, 76)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수지 재료의 예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로릴 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로릴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옥타데실(메타크릴레이트) 및 다른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메타)아클릴릭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및 중합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물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중합체는 멜라민 및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스티렌 및 스티렌/아크릴릭 공중합체, 아크릴릭 및 메타크릴릭 에스테르,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및 셀룰로스 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 부티럴)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액체 잉크(52, 60, 68, 76)에 사용가능한 착색제는 공중합체 수지로 포함될 수 있고 캐리어 액체와 상응하며 정전기 잠상을 가시화하는 데 효과적인 사실상 임의의 염료, 물감 또는 색소를 포함한다. 적절한 착색제의 예는 프탤로시아닌 블루(Phthalocyanine blue)(C.I. 피그먼트 블루 15 및 16), 퀴나크리돈 마젠타(Quinacridone magenta)(C.I. 피그먼트 레드 122, 192, 202 및 206), 로다민(Rhodamine) YS(C.I. 피그먼트 레드 81), 디아릴라이드(벤지다인) 옐로우(C.I. 피그먼트 옐로우 12, 13, 14, 17, 55, 83 및 155) 및 아릴라미드(한자)(arylamide(Hansa)) 옐로우 (C.I. 피그먼트 옐로우 1, 3, 10, 73, 74, 97, 105 및 111), 유기 염료 및 미세 분할된 탄소 등의 흑색 물질을 포함한다.
토너 입자의 착색제에 대한 수지의 최적 중량비는 1/1 내지 20/1 정도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3/1 이다. 캐리어 액체의 전체 분산된 "고체" 재료는 통상적으로 0.5 내지 20 중량 퍼센트, 가장 바람직하게는 전체 액체 현상제 조성물의 0.5 내지 3 중량 퍼센트 사이를 나타낸다.
액체 잉크(52, 60, 68, 76)는 토너 입자의 균일한 전하 극성을 제공하기 위해, 종종 전하 지향기(charge director)라 하는 용해가능 전하 제어제를 포함한다. 전하 지향기는 토너 입자들에 포함되고, 토너 입자(수지 또는 색소)에 화학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흡수되고, 바람직하게는 안전화제를 포함하는 기능 그룹을 통해 토너 입자에 기능 그룹으로서 킬에이트 화합물이 될 수 있다. 전하 지향기는 선택된 극성(양 또는 음)의 전하를 토너 입자에 인가하도록 작용한다. 당해 기술 분야에 설명된 임의의 수의 전하 지향기가 사용가능하다. 양호한 양의 전하 지향기는 금속 비누(metallic soap)이다. 로츠만(Rotsman) 등의 미국 특허 제3,411,936호를 참조하라. 양호한 전하 지향기는 지르코늄 및 알루미늄의 다가 금속 비누이고, 바람직하게는 지르코늄 옥토에이트이다.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형태 및 세부의 변경, 수정 및 변동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4)

  1. 전자사진 시스템에서 화상 데이터로부터 매체상의 복수 컬러 화상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하의 단계들이 단일 통과에서 수행되기 위해 수광기의 소정의 일부분이 복수의 장소들을 지나 순서대로 진행하도록 수광기를 이동가능하게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광기로부터 이전에 축적된 전하를 소거하는 단계와,
    상기 수광기를 소정의 전하 레벨로 대전하는 단계와,
    복수 컬러중 하나를 위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수광기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를 형성하도록 상기 수광기를 부분적으로 방전시키도록 복수의 컬러중 하나를 위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복사에 상기 수광기를 노출시키는 제1 화상별 노출 단계와,
    제1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광기상의 전하의 상기 화상별 분포에 제1 컬러 액체 토너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컬러 화상과 정합하는 상기 복수의 컬러 중 다른 컬러를 위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수광기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를 형성하도록 상기 수광기를 부분적으로 방전시키도록 복수의 컬러중 다른 컬러를 위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복사에 상기 수광기를 노출시키는 제2 화상별 노출 단계와-상기 수광기의 상기 제2 화상별 노출 단계는 상기 수광기의 상기 제1 화상별 노출 단계에 이어지는 상기 수광기의 소거 단계없이 일어남-,
    상기 제1 컬러 화상과 정합하는 제2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광기상의 전하의 상기 화상별 분포에 제2 컬러 액체 토너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매체에 상기 수광기로부터의 상기 제1 컬러 화상과 제2 컬러 화상을 함께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기의 상기 이동가능 위치 단계는 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단계는 상기 수광기를 상기 소정의 전하 레벨로 균일하게 대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전자사진 시스템에서 화상 데이터로부터 매체상의 복수 컬러 화상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광기를 제1 소정의 전하 레벨로 대전하는 단계와,
    복수 컬러중 하나를 위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수광기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를 형성하도록 상기 수광기를 부분적으로 방전시키도록 복수의 컬러중 하나를 위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복사에 상기 수광기를 노출시키는 제1 화상별 노출 단계와,
    상기 수광기를 현상하고 제1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광기상의 전하의 상기 화상별 분포에 제1 컬러 액체 토너를 도포하는 단계와-상기 제1 컬러 액체 토너는 상기 제1 컬러의 대전 입자들과 투명 카운터 이온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광기는 이 단계의 결과 제2 소정 전하 레벨로 재충전하고, 상기 제2 소정 전하 레벨은 상기 제1 소정 전하 레벨보다 낮으나 이어서 더 이상 방전되지 않는 영역에서 액체 토너를 이어서 반발하기에 충분히 높음-,
    상기 제1 컬러 화상과 정합하는 상기 복수의 컬러 중 다른 컬러를 위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수광기 표면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를 형성하도록 상기 수광기를 부분적으로 방전시키도록 복수의 컬러중 다른 컬러를 위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복사에 상기 수광기를 노출시키는 제2 화상별 노출 단계와,
    상기 제1 컬러 화상과 정합하는 제2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광기상의 전하의 상기 화상별 분포에 제2 컬러 액체 토너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매체에 상기 수광기로부터의 상기 제1 컬러 화상과 제2 컬러 화상을 함께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단계는 상기 수광기를 상기 제1 소정 전하 레벨로 균일하게 대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체 컬러 토너를 도포하는 상기 단계에에 이어지는 상기 제1 컬러 액체 토너를 건조하는 부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컬러 액체 토너를 도포하는 상기 단계에 이어서 상기 제2 컬러 액체 토너를 건조하는 부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전자사진 시스템에서 화상 데이터로부터 매체상의 복수 컬러 화상을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광기의 소정의 일부분이 단일 통과에서 복수의 장소들을 지나 순서대로 진행하도록 수광기를 이동가능하게 위치시키는 위치 설정 수단과,
    상기 수광기로부터 이전에 축적된 전하를 소거하는 소거 수단과,
    상기 수광기를 소정의 전하 레벨로 대전하는 대전 수단과,
    복수 컬러중 하나를 위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수광기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를 형성하도록 상기 수광기를 부분적으로 방전시키도록 복수의 컬러중 하나를 위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복사에 상기 수광기를 노출시키는 제1 화상별 노출 수단과,
    제1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광기상의 전하의 상기 화상별 분포에 제1 컬러 액체 토너를 도포하는 제1 도포 수단과,
    상기 제1 컬러 화상과 정합하는 상기 복수의 컬러 중 다른 컬러를 위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수광기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를 형성하도록 상기 수광기를 부분적으로 방전시키도록 복수의 컬러중 다른 컬러를 위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복사에 상기 수광기를 노출시키는 제2 화상별 노출 수단-상기 제2 화상별 노출 수단은 상기 수광기의 상기 제1 화상별 노출에 이어지는 상기 수광기의 소거없이 일어남-과,
    상기 제1 컬러 화상과 정합하는 제2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광기상의 전하의 상기 화상별 분포에 제2 컬러 액체 토너를 도포하는 제2 도포 수단과,
    상기 복수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매체에 상기 수광기로부터의 상기 제1 컬러 화상과 제2 컬러 화상을 함께 전사하는 전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수단은 상기 수광기를 균일하게 이동가능하게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수단은 상기 수광기를 상기 소정의 전하 레벨로 균일하게 대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전자사진 시스템에서 화상 데이터로부터 매체상의 복수 컬러 화상을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광기를 제1 소정의 전하 레벨로 대전하는 대전 수단과,
    복수 컬러중 하나를 위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수광기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를 형성하도록 상기 수광기를 부분적으로 방전시키도록 복수의 컬러중 하나를 위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복사에 상기 수광기를 노출시키는 제1 화상별 노출 수단과,
    상기 수광기를 현상하고 제1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광기상의 전하의 상기 화상별 분포에 제1 컬러 액체 토너를 도포하는 제1 도포 수단-상기 수광기는 제2 소정의 전하 레벨로 재충전하고, 상기 제2 소정의 전하 레벨은 상기 제1 소정 전하 레벨보다 낮으나 이어서 더 이상 방전되지 않는 영역에서 액체 토너를 이어서 반발하기에 충분히 높음-과,
    상기 제1 컬러 화상과 정합하는 상기 복수의 컬러 중 다른 컬러를 위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수광기 표면상의 전하의 화상별 분포를 형성하도록 상기 수광기를 부분적으로 방전시키도록 복수의 컬러중 다른 컬러를 위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복사에 상기 수광기를 노출시키는 제2 화상별 노출 수단과,
    상기 제1 컬러 화상과 정합하는 제2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광기상의 전하의 상기 화상별 분포에 제2 컬러 액체 토너를 도포하는 제2 도포 수단과,
    상기 복수 컬러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매체에 상기 수광기로부터의 상기 제1 컬러 화상과 제2 컬러 화상을 함께 전사하는 전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수단은 상기 수광기를 상기 제1 소정의 전하 수준으로 균일하게 대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8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 액체 토너를 건조하는 제1 건조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컬러 액체 토너를 건조하는 제2 건조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80702327A 1995-09-29 1996-08-19 전자사진 시스템에서 복수 컬러 화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199900638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3729695A 1995-09-29 1995-09-29
US8/537,296 1995-09-29
PCT/US1996/013420 WO1997012288A1 (en) 1995-09-29 1996-08-19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multi-colored image in an electrophotographic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855A true KR19990063855A (ko) 1999-07-26

Family

ID=24142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327A KR19990063855A (ko) 1995-09-29 1996-08-19 전자사진 시스템에서 복수 컬러 화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16718A (ko)
EP (1) EP0852748A1 (ko)
JP (1) JP2000515254A (ko)
KR (1) KR19990063855A (ko)
WO (1) WO19970122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1595B1 (en) * 1996-10-17 2001-03-13 Oce Printing Systems Gmbh Modular electrophotographic color printer
US6020098A (en) * 1997-04-04 2000-02-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emporary image receptor and means for chemical modification of release surfaces on a temporary image receptor
USD425549S (en) * 1999-07-14 2000-05-23 Imation Corp. Filter for use with an electrographic imaging system
KR100346705B1 (ko) * 1999-09-10 2002-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장치용 잉크
US6194106B1 (en) 1999-11-30 2001-02-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emporary image receptor and means for chemical modification of release surfaces on a temporary image receptor
JP2001159850A (ja) * 1999-12-02 2001-06-12 Nec Niigata Ltd 画像形成装置
US6342324B1 (en) 2000-02-16 2002-01-29 Imation Corp. Release layers and compositions for forming the same
US6180305B1 (en) 2000-02-16 2001-01-30 Imation Corp. Organic photoreceptors for liquid electrophotography
JP3692024B2 (ja) * 2000-10-13 2005-09-07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US6633735B2 (en) 2000-11-29 2003-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duction of seam mark from an endless seamed organophotoreceptor belt
US6682865B2 (en) * 2001-11-21 2004-01-27 Xerox Corporation Hybri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for custom color printing
KR100421032B1 (ko) * 2002-06-29 200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화상형성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화상형성방법
US7005225B2 (en) * 2002-11-12 2006-02-28 Samsung Electronics Company Organosol including amphipathic copolymeric binder having crystalline material, and use of the organosol to make dry tones for electrographic applications
US7166405B2 (en) * 2002-11-12 2007-01-23 Samsung Electronics Company Organosol including high Tg amphipathic copolymeric binder and liquid toners for electrophotographic applications
US7135264B2 (en) * 2002-11-12 2006-11-14 Samsung Electronics Company Organosol including amphipathic copolymeric binder and use of the organosol to make dry toners for electrographic applications
US7074537B2 (en) * 2002-11-12 2006-07-11 Samsung Electronics Company Organosol liquid toner including amphipathic copolymeric binder having crystalline component
US7014973B2 (en) * 2002-11-12 2006-03-21 Samsung Electronics Company Organosol including amphipathic copolymeric binder made with Soluble High Tg Monomer and liquid toners for electrophotographic applications
US7052816B2 (en) * 2003-01-03 2006-05-30 Samsung Electronics Company Organosol liquid toner including amphipathic copolymeric binder having crosslinkable functionality
US7018767B2 (en) * 2003-06-30 2006-03-28 Samsung Electronics Company Gel organosol including amphipathic copolymeric binder having acid/base functionality and liquid toners for electrophotographic applications
US7014972B2 (en) * 2003-06-30 2006-03-21 Samsung Electronics Company Gel organosol including amphipathic copolymeric binder having hydrogen bonding functionality and liquid toners for electrophotographic applications
US7029814B2 (en) * 2003-06-30 2006-04-18 Samsung Electronics Company Gel organosol including amphipathic copolymeric binder having crosslinking functionality and liquid toners for electrophotographic applications
US7008745B2 (en) * 2003-06-30 2006-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Gel organosol including amphipathic copolymeric binder having selected molecular weight and liquid toners for electrophotographic applications
US7189484B2 (en) * 2003-12-31 2007-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duced light scattering in projected images formed from electrographic toners
US7433635B2 (en) * 2003-12-31 2008-10-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transfer assist layer in a multi-pass electrophotographic process with electrostatically assisted toner transfer
US7433636B2 (en) * 2003-12-31 2008-10-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transfer assist layer in a tandem electrophotographic process with electrostatically assisted toner transfer
US7294441B2 (en) * 2003-12-31 2007-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transfer assist layer in a tandem electrophotographic process utilizing adhesive toner transfer
US20050141926A1 (en) * 2003-12-31 2005-06-30 Baker Jam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transfer assist layer in a multi-pass electrophotographic process utilizing adhesive toner transfer
US7151603B2 (en) * 2004-04-30 2006-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Overhead transparency clarity simulator
US7076181B2 (en) * 2004-06-30 2006-07-11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Closed loop control of photoreceptor surface voltage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US7195852B2 (en) * 2004-06-30 2007-03-27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iquid toner compositions comprising an amphipathic copolymer comprising a polysiloxane moiety
JP4557825B2 (ja) * 2004-07-21 2010-10-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0403179C (zh) * 2004-07-21 2008-07-16 佳能株式会社 具有多个激光扫描单元的图像形成装置
US7244540B2 (en) * 2004-10-28 2007-07-17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iquid toners comprising amphipathic copolymeric binder having insoluble components in the shell portion thereof
US7187885B2 (en) * 2004-10-29 2007-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Oxid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electrographic printing
US20060093945A1 (en) * 2004-10-31 2006-05-04 Eric Dalzell Dry toners comprising amphipathic copolymeric binder and volatile plasticizer
US20060093953A1 (en) * 2004-10-31 2006-05-04 Simpson Charles W Liquid toners comprising amphipathic copolymeric binder and dispersed wax for electrographic applications
US20060093934A1 (en) * 2004-10-31 2006-05-04 Timothy Roberts Dry toners comprising amphipathic copolymeric binder and non-volatile plasticizer
US7354687B2 (en) 2004-10-31 2008-04-08 Samsung Electronics Company Dry toner blended with wax
US7432033B2 (en) * 2004-10-31 2008-10-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nting systems and methods for liquid toners comprising dispersed toner particles
US7306886B2 (en) 2004-10-31 2007-12-11 Samsung Electronics Company Dry toner comprising wax
US7437104B2 (en) * 2005-01-07 2008-10-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eloper cleaning
JP2008216790A (ja) * 2007-03-06 2008-09-18 Ricoh Co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US20090116878A1 (en) * 2007-11-05 2009-05-07 Xerox Corporation Color switching architecture
JP5609724B2 (ja) * 2011-03-16 2014-10-2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湿式画像形成装置
CN108292117A (zh) * 2016-01-14 2018-07-17 惠普深蓝有限责任公司 电子照相打印机中的充电元件
US10591837B2 (en) 2016-03-04 2020-03-17 Hp Indigo B.V. Security liquid electrostatic ink composition
WO2019212477A1 (en) * 2018-04-30 2019-11-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ptical density adjustment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6133A (en) * 1964-11-25 1968-04-02 Interchem Corp Multicolor electrostatic printing
US3411936A (en) * 1965-03-01 1968-11-19 Interchem Corp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s with a liquid developer containing tetraphenyl tin or zirconyl 2-ethylhexoate
US3554836A (en) * 1968-07-19 1971-01-12 Minnesota Mining & Mfg Transfer process
AU425595B2 (en) * 1968-12-30 1972-06-29 The Commonwealth Of Australia Edge and latitude developer
US3832170A (en) * 1970-04-01 1974-08-27 Canon Kk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color photography and photosensitive member used for the same
DE2443378A1 (de) * 1974-09-11 1976-03-25 Agfa Gevaert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zeilenweisen aufbelichtung von farbauszuegen auf einen kopietraeger
DE2506366A1 (de) * 1975-02-14 1976-08-19 Agfa Gevaert Ag Elektrostatisches farbkopiergeraet
US4312932A (en) * 1980-08-18 1982-01-26 Xerox Corporation Toners, developers for use in a single pass color image development
US4403848A (en) * 1982-02-17 1983-09-13 Xerox Corporation Electronic color printing system
US4578331A (en) * 1983-07-11 1986-03-25 Ricoh Company, Ltd. Color image forming method
JPS60214431A (ja) * 1984-04-10 1985-10-26 Toshiba Corp レンズ位置検出装置
US4728983A (en) * 1987-04-15 1988-03-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ingle beam full color electrophotography
US4877698A (en) * 1988-05-23 1989-10-31 Xerox Corporation Electrophotographic process for generating two-color images using liquid developer
JP2592954B2 (ja) * 1989-03-22 1997-03-1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湿式静電写真転写方法
US5049949A (en) * 1989-06-29 1991-09-17 Xerox Corporation Extension of tri-level xerography to black plus 2 colors
US5276492A (en) * 1989-08-14 1994-01-04 Spectrum Sciences B.V. Imaging method and apparatus
US5262259A (en) * 1990-01-03 1993-11-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oner developed electrostatic imaging process for outdoor signs
US5061583A (en) * 1990-01-19 1991-10-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lor electrophotography for high quality half-tone images
US5014090A (en) * 1990-03-28 1991-05-07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a multi-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 using vapor fusing
US5083163A (en) * 1990-07-16 1992-01-21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Photoconductor resetting following multiple charge images
US5115277A (en) * 1991-05-17 1992-05-19 Hewlett-Packard Company Electrostatically assisted transfer roller and method for directly transferring liquid toner to a print medium
EP0513820A3 (en) * 1991-05-17 1993-05-19 Hewlett-Packard Company Conditioning roller and method of operation for use with a photoconductive drum in an electrophotographic color printer
US5136334A (en) * 1991-05-17 1992-08-04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liquid tone for direct transfer to the media during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EP0549867A3 (en) * 1991-12-03 1994-07-20 Hewlett Packard Co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ly transferring developed images from a photoconductive drum to a print medium
US5300990A (en) * 1992-06-26 1994-04-05 Hewlett-Packard Company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developer
US5204722A (en) * 1992-08-19 1993-04-20 Hewlett-Packard Company Thermo-electric transfer system for liquid toner
US5283148A (en) * 1992-09-18 1994-02-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iquid toners for use with perfluorinated solvents
JPH06138712A (ja) * 1992-10-28 1994-05-20 Nippon Steel Chem Co Ltd 電子写真用液体現像剤
JPH06138718A (ja) * 1992-10-28 1994-05-20 Nippon Steel Chem Co Ltd 電子写真用液体現像剤
JPH06149001A (ja) * 1992-11-09 1994-05-27 Nippon Steel Chem Co Ltd シングルパス方式におけるカラー現像方法
JPH07301968A (ja) * 1992-12-07 1995-11-14 Xerox Corp カラー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US5291251A (en) * 1992-12-17 1994-03-01 Hewlett-Packard Company Image development and transfer apparatus which utilized an intermediate transfer film
US5320923A (en) * 1993-01-28 1994-06-14 Hewlett-Packard Company Reusable, positive-charging organic photoconductor containing phthalocyanine pigment, hydroxy binder and silicon stabilizer
US5420675A (en) * 1994-03-16 1995-05-30 Hewlett-Packard Company Liquid toner fusing/transfer system with a film-forming roller that is absorbent of a low volatility liquid toner carrier
EP0672965A1 (en) * 1994-03-16 1995-09-20 Hewlett-Packard Company Film-forming roller for liquid electrophotography
US5510879A (en) * 1994-05-27 1996-04-23 Xerox Corporation Photoconductive charging processes
US5576815A (en) * 1995-09-29 1996-11-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evelopment apparatus for a liquid electrographic imag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16718A (en) 1999-06-29
EP0852748A1 (en) 1998-07-15
WO1997012288A1 (en) 1997-04-03
JP2000515254A (ja) 2000-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3855A (ko) 전자사진 시스템에서 복수 컬러 화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US5650253A (en) Method and apparatus having improved image transfer characteristics for producing an image on a receptor medium such as a plain paper
EP0287256B1 (en) Single beam full color electrophotography
KR100421018B1 (ko) 심이 있는 유기 감광체 벨트에서 기인된 심 마크가 감소된전자사진 화상 형성방법
KR100283815B1 (ko) 화상형성장치
JP3646802B2 (ja) 中間転写部材,そ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方法
JPH0623867B2 (ja) カラー画像形成方法および静電潜像現像用顕画粒子
US6104901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squeeze roller for controlling a liquid developer quantity
US4778740A (en) Color electrophotographic method and apparatus
EP0247343B1 (en) Electrophotographic method
US5079115A (en) Color electrophotographic method and apparatus
US4725867A (en) Apparatus for forming a multi-color image on an electrophotographic element which is sensitive to light outside the visible spectrum
US5893658A (en) Image plane registration system for electrographic systems
US6097920A (e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including intermediate transfer medium
US5914741A (en) Method of creating multiple electrostatic latent images on a pyroelectric imaging member for single transfer of a developed multiple layer image
CA236496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lor image
EP0258889A2 (en) Color electrophotographic method
WO1997012287A1 (en) Single pass electrophotographic system which coordinates the driving of a photoreceptor with a plurality of exposure locations
EP0601933A2 (en) Electrophotographic color proofing system for gravure printed images
JPS6183553A (ja) 転写装置
EP00885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multicolour image
JP3117883B2 (ja) 画像形成装置
JP3231558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403604B1 (ko) 정전 및 압력 전사방식 인쇄기
JPS621134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