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1018B1 - 심이 있는 유기 감광체 벨트에서 기인된 심 마크가 감소된전자사진 화상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심이 있는 유기 감광체 벨트에서 기인된 심 마크가 감소된전자사진 화상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1018B1
KR100421018B1 KR10-2001-0074957A KR20010074957A KR100421018B1 KR 100421018 B1 KR100421018 B1 KR 100421018B1 KR 20010074957 A KR20010074957 A KR 20010074957A KR 100421018 B1 KR100421018 B1 KR 100421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rganic photoconductor
organic
image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2496A (ko
Inventor
트루만켈리에프.
윌리암에드워드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20042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0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for wetting th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single rotation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물에서 심 마크가 감소된 전자사진 화상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화상 형성장치에, 도전기판상에 형성된 광도전요소와 심(seam)을 갖고 있는 유기 감광체 벨트를 제공하는 단계; 현상기 롤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광도전요소에 제1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심이 현상기 롤러로부터 유기 감광체 벨트의 원주 10% 이하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을 때 현상기 롤러에 제2전압을 인가한 다음, 현상기 롤러에 제3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도전기판에 제4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유기 감광체 벨트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도전기판에 제4전압이 인가된 후에, 상기 유기 감광체 벨트의 표면을 조사하여 이미지 방향대로 노광하여 소정영역에서의 전압을 감소시킴으로써 표면상에 고전압 및 저전압 영역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표면을 유기 액체내에서의 착색제 입자를 포함하는 액체 잉크와 접촉하여 색상 이미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색상 이미지를 수용매체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압 및 제3전압이 양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4전압 이하이고, 상기 제1전압 및 제3전압이 음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4전압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심이 있는 유기 감광체 벨트에서 기인된 심 마크가 감소된 전자사진 화상 형성방법{Electrophotographic imaging process with reduced seam mark from seamed organophotoreceptor belt}
본 발명은 전자사진용으로 적합한 전자 사진 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기로는 전사사진공정에 따라 제조된 인쇄물상에 엔드리스 심을 갖고 있는 유기 감광체 벨트로부터 비롯된 심 마크를 줄일 수 있는 전자 사진 공정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법에서, 유기 감광체는 도전성 기판상에 절연성 광도전성 요소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플레이트, 벨트 또는 드럼 형태를 갖는다. 전자사진법에 따라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광도전성 요소의 표면을 정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시킨 다음, 대전된 표면을 광 패턴에 따라 노광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노광으로 인하여 광조사영역에만 전하를 선택적으로 분산시켜서 대전 및 비대전 영역 패턴을 형성한다.
그 후, 대전 또는 비대전 영역상에 액체 또는 고체 토너를 도포하여 광도전층 표면에 색상 이미지(toned image)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가시화된 색상 이미지는 감광체 표면에 고정되거나 또는 종이, 금속, 금속 코팅된 기판을 포함한 물질 쉬트와 같은 수용매체의 표면으로 전사된다. 이러한 화상 형성 방법은 재사용가능한 광도전성 요소상에 복수회 반복된다.
광도전요소는 일반적으로 전하생성층과 전하수송층을 포함하며, 배리어(barrier)층, 이형층, 접착층 및 서브층과 같은 기타층을 선택적으로 포함하기도 한다.
전하 생성 물질은, 광에 노출되었을 때 전하 캐리어(즉, 홀 또는 전자들)의 생성을 돕는 역할을 하며, 전하 수송 물질은 광도전 요소상에 표면 전하를 방출하기 위하여 전하 캐리어를 수용하고, 전하수송층을 경유하여 통과하는 것을 돕는다.
감광체는 벨트 형태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비록 심리스(seamless) 유기감광체 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이 때 벨트가 실시하는 동작 또는 벨트상에서 실시하는 동작과 기계적으로 또는 정전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심이 벨트내에 없고, 심이 없는 유기감광체 벨트의 제조공정은 제조비용이 비싸고 제어하기가 어렵고 다소 복잡하다. 그 결과, 전자사진 적용분야에서 심을 갖고 있는 유기감광체 벨트가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심이 있는(seamed) 유기 감광체의 현재 제조 기술은, 유기 감광체 벨트 물질의 양 말단을 부분적으로 겹치거나 또는 오버랩하여 심을 형성하거나 또는 서로 맞대어 심이 형성되는 영역인 벨트에 주로 관계된 것이다. 그리고 나서 심은 열 또는 접착제의 사용과 같은 접착수단, 초음파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과 같은 용접법에 의하여 고정된다. 유기 감광체 벨트는 특히 초음파로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공정시, 잉크는 심에 물리적으로 접착되거나 유기 감광체 벨트의 심에 흡착된 후, 인쇄물에 바람직하지 못한 심 마크를 남긴다. 심 마크는 인쇄 잉크가 종이로 전사되는 동안 전사롤에 의하여 오프셋트되는 심의 잉크에서 비롯된 것이다. 심 마크과 연관된 두가지 현상이 있다.
1) 고체 농도가 낮은 잉크(잉크에서의 고체 함량이 5wt% 미만, 4.5wt% 미만, 4wt% 미만 및 3.5wt% 미만, 예를 들어 3wt%)는 심의 경도(roughness)에 묻히고 전사롤에 의하여 압착되어 인쇄물에 매우 가벼운 심 마크를 만들고,
2) 고체 농도가 높은 잉크(예를 들어, 고체의 함량이 적어도 80wt%, 적어도 85wt% 또는 90wt% 이상)는 인쇄시 각 현상기 닢(nip)을 통과할 때 심에 직접 플레이팅됨으로써 인쇄물에 매우 진한 심 마크 스테인을 형성한다.
심 마크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심을 전도도가 작은 물질로 코팅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코팅 즉시 또는 인쇄가 수백회 반복된 후 그 효과가 감소되므로 상업적으로 성공적하지 못했다.
또한, 심 마크를 제거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전사롤을 연속적으로 크리닝하여 인쇄물상에 심 마크가 오프세트(offset)되는 것을 억제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크리닝법도 비효과적이거나 또는 경제성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벨트 용접기에 의하여 심을 매끈하게 하는 것은 고체 농도가 작은 잉크를 사용한 경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심에 플레이트된 잉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심을 단지 매끄럽게 함으로써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플레이트된 잉크가 심에 도달하는 것을 막으려면 심이 각 현상기롤을 통과할 때 각 현상기 스테이션에서의 플레이팅 공정 조건을 개별적이면서 순간적으로 변화시켜야 한다. 이 순간적인 변화로 인하여 잉크 입자가 심으로부터 떨어져 나오게 된다. 결과적으로 고체 농도가 높은 잉크(플레이트된 잉크)를 사용한 경우의 문제점이 해결되어 인쇄물에 심 마크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런데,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화상 형성공정에 복잡한 조절단계가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전자사진 화상 형성방법에 따라 얻어진 인쇄물에서 심의 효과를 줄일 수 있는 방법과, 이 방법을 이용한 화상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전자사진 공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멀티칼라 화상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유기 감광체 12... 드럼
14... 소거램프 18... 대전장치
20, 50, 58, 66, 74...레이저 스캐닝 장치
22, 52, 60, 68, 76... 현상기 스테이션
26, 56, 64, 72... 현상기 롤러 32... 스퀴지
36... 수용매체 38, 40... 전사롤러
52, 54, 60, 62, 68, 70, 76, 78... 액체 잉크
90... 전달 열
상기 첫번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에, 도전기판상에 형성된 광도전요소와 심을 갖고 있는 유기 감광체 벨트를 제공하는 단계;
현상기 롤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광도전요소에 제1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심이 현상기 롤러로부터 유기 감광체 벨트의 원주 10% 이하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을 때 현상기 롤러에 제2전압 또는 제3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도전기판에 제4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유기 감광체 벨트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도전기판에 제4전압을 인가한 후에, 상기 유기 감광체 벨트의 표면에 조사하여 이를 이미지 방향대로 노광하여 소정영역에서의 전압을 감소시킴으로써 표면상에 고전압 및 저전압 영역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표면을 유기 액체내에서의 착색제 입자를 포함하는 액체 잉크와 접촉하여 색상 이미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색상 이미지를 수용매체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압 및 제3전압이 양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4전압 이하이고, 상기 제1전압 및 제3전압이 음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4전압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방법에 따라 얻어진 화상에서 심의 효과를 줄이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두번째 기술적 과제는 화상 형성장치에, 도전기판상에 형성된 광도전요소와 심(seam)을 갖고 있는 유기 감광체 벨트를 제공하는 단계;
현상기 롤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광도전요소에 제1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심이 현상기 롤러로부터 유기 감광체 벨트의 원주 10% 이하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을 때 현상기 롤러에 제2전압을 인가한 다음, 현상기 롤러에 제3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도전기판에 제4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유기 감광체 벨트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도전기판에 제4전압이 인가된 후에, 상기 유기 감광체 벨트의 표면을 조사하여 이미지 방향대로 노광하여 소정영역에서의 전압을 감소시킴으로써 표면상에 고전압 및 저전압 영역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표면을 유기 액체내에서의 착색제 입자를 포함하는 액체 잉크와 접촉하여 색상 이미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색상 이미지를 수용매체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압 및 제3전압이 양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4전압 이하이고, 상기 제1전압 및 제3전압이 음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4전압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전압이 양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1전압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제1전압이 음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1전압 이상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기술적 과제는 또한 화상 형성 장치에, 도전기판상에 형성된 광도전요소와 심을 갖고 있는 유기 감광체 벨트를 제공하는 단계;
현상기 롤러와 스퀴지 롤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유기 감광체 벨트를 탑재하는 단계;
상기 광도전요소에 제1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심이 현상기 롤러로부터 유기 감광체 벨트의 원주 10% 이하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을 때 현상기 롤러에 제2전압을 인가한 다음, 현상기 롤러에 제3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도전기판에 제4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스퀴지 롤러에 제5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유기 감광체 벨트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1전압, 제2전압, 제3전압, 제4전압 및 제5전압을 인가한 후에 유기 감광체 벨트 표면에 조사하여 그 표면을 이미지 방향대로 노광하여 소정영역에서의 전압을 감소시킴으로써 표면상에 고전압 및 저전압 영역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표면을 유기 액체내에서의 착색제 입자를 포함하는 액체 잉크와 접촉하여 색상 이미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색상 이미지를 수용매체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압 및 제3전압이 양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4전압 이하이고, 상기 제1전압 및 제3전압이 음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4전압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퀴지 롤러의 저항률이 1×1010Ω/square 이하이고, 심이 현상기 롤러부터 유기 감광체 벨트의 원주의 10% 이하의 거리에 위치해 있을 때, 스퀴지 롤러의 제5전압이 제6전압으로 변화되고, 상기 1전압 및 제3전압이 양의 값을 가질 때 제6전압은 제4전압 이하이거나, 또는 제1전압 및 제3전압이 음의 값을 가질 때 제6전압이 제4전압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두번째 기술적 과제는 화상 형성 장치에, 도전기판상에 형성된 광도전요소와 심을 갖고 있는 유기 감광체 벨트를 제공하는 단계;
현상기 롤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광도전요소에 제1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유기 감광체 벨트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유기 감광체 벨트의 표면에 조사하여 이미지 방향대로 노광하여 소정영역에서의 전압을 감소시킴으로써 표면상에 고전압 및 저전압 영역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표면을 유기 액체내에서의 착색제 입자를 포함하는 액체 잉크와 접촉하여 색상 이미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색상 이미지를 수용매체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양전하로 대전된 잉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현상기 바이어스 전압은 심의 전압 이하의 값으로 감소되거나 또는 음전하로 대전된 잉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현상기 바이어스 전압은 심 전압 이상으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제조공정에 있어서, 각 단계들은 편의상 알파벳 머리글자에 의하여 구분시켰으나, 공정순서를 알파벳 머리글자 순서대로 반드시 한정시키는 것은 아니다.
각 단계의 순서(예를 들어, 각 분산액의 제조순서)가 바뀔 수 있다는 것은 당해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단계의 순서가 반드시 순차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는 경우(예를 들어, 대전단계를 제1, 제2, 제3 및 제4대전단계로 순차적으로 실시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분산액이 코팅되고, 고체가 코팅전에 분산되어야만 하는 것과 같이 그 순서가 반드시 순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 단계의 순서는 특별하게 제한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발명은 심이 현상기 롤을 통과할 때 현상기 롤러의 전기적 전압을 순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인쇄물상에 심을 갖고 있는 유기 감광체 벨트에서 기인된 심 마크를 없앤다. 만약 화상 형성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현상기 롤러가 구비된다면, 심이 각 현상기롤을 순차적으로 통과할 때 각 현상기 롤러 각각에서의 순간적인 전압이 차례로 변화된다.
액체 전자사진공정은 종이 또는 다른 바람직한 수용물질상에 화상을 형성하거나 또는 재생하는 기술이다. 액체 전사사진공정은 블랙 잉크 또는 다양한 칼라의 잉크를 사용하여 표면상의 고체 착색 물질을 잘 조절하면서 이미지 방향 방식대로 플레이트하여 목적하는 인쇄물을 얻는다. 어떤 경우에는, 전자사진공정에서 사용되는 액체 잉크는 잠상 형성 장치의 파장에서 방출된 광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투명하거나 또는 반투명하여 멀티플 화상면을 서로 겹쳐서 특정칼라의 액체 잉크로 된 화상면으로 구성된 복수개의 화상면을 갖는 멀티칼라 화상이 형성된다.
칼라 화상은 일반적으로 4개의 화상면으로 구성된다. 제1의 세개의 화상면(image plane)은 세개의 일차적인 인쇄 칼라, 옐로우, 시안 및 마젠타의 잉크로 구성된다. 네번째 화상면은 블랙 잉크를 사용하고, 블랙 잉크는 잠상 화상 형성장치의 파장에서 방출된 광에 투명하지 않아도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방법은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 방법은, 화상 형성장치에, 도전기판상에 형성된 광도전요소와 심(seam)을 갖고 있는 유기 감광체 벨트를 제공하며, 현상기 롤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이어서, 상기 광도전요소에 제1전압을 인가하고, 심이 현상기 롤러로부터 유기 감광체 벨트의 원주 10% 이하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을 때 현상기 롤러에 제2전압을 인가한 다음, 현상기 롤러에 제3전압을 인가한다.
그 후, 상기 도전기판에 제4전압을 인가한 다음, 상기 유기 감광체 벨트를 이동시킨다. 상기 도전기판에 제4전압을 인가한 후에는, 상기 유기 감광체 벨트의 표면을 조사하여 이미지 방향대로 노광하여 소정영역에서의 전압을 감소시킴으로써 표면상에 고전압 및 저전압 영역 패턴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표면을 유기액체내에서의 착색제 입자를 포함하는 액체 잉크와 접촉하여 색상 이미지를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색상 이미지를 수용매체에 전사시킴으로써 화상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전압 및 제3전압이 양(+)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4전압 이하이고, 상기 제1전압 및 제3전압이 음(-)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4전압 이상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전압이 양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1전압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제1전압이 음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1전압 이상이다.
두번째 방법에 의하면 먼저, 도전기판상에 형성된 광도전요소와 심을 갖고 있는 유기 감광체 벨트와 현상기 롤러와 스퀴지 롤러를 구비하여 화상 형성 장치를 구성한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상에 유기 감광체 벨트를 탑재한 다음, 광도전 요소에 제1전압을 인가한다. 이어서 심이 현상기 롤러로부터 유기 감광체 벨트의 원주 10% 이하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을 때 현상기 롤러에 제2전압을 인가한 다음, 현상기 롤러에 제3전압을 인가한다.
그 후, 상기 도전기판에 제4전압을 인가하고, 스퀴지 롤러에 제5전압을 인가한다. 이어서, 상기 유기 감광체 벨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1전압, 제2전압, 제3전압, 제4전압 및 제5전압을 인가한 후에 유기 감광체 벨트 표면에 조사하여 그 표면을 이미지 방향대로 노광하여 소정영역에서의 전압을 감소시킴으로써 표면상에 고전압 및 저전압 영역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표면을 유기 액체내에서의 착색제 입자를 포함하는 액체 잉크와 접촉하여 색상 이미지를 형성하고, 이를 수용매체에 전사시킴으로써 화상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전압 및 제3전압이 양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4전압 이하이고, 상기 제1전압 및 제3전압이 음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4전압 이상이다.
상기 스퀴지 롤러의 저항률이 1×1010Ω/square 이하이고, 심이 현상기 롤러부터 유기 감광체 벨트의 원주의 10% 이하의 거리에 위치해 있을 때, 스퀴지 롤러의 제5전압이 제6전압으로 변화되고, 상기 1전압 및 제3전압이 양의 값을 가질 때 제6전압은 제4전압 이하이거나, 또는 제1전압 및 제3전압이 음의 값을 가질 때 제6전압이 제4전압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번째 방법에 의하면, 도전기판상에 형성된 광도전요소와 심을 갖고 있는 유기 감광체 벨트와 현상기 롤러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를 구성한다. 이어서 상기 광도전요소에 제1전압을 인가한 다음, 상기 유기 감광체 벨트를 이동시킨다.
상기 유기 감광체 벨트의 표면에 조사하여 이미지 방향대로 노광하여 소정영역에서의 전압을 감소시킴으로써 표면상에 고전압 및 저전압 영역 패턴을 형성한다.
그 후, 상기 표면을 유기 액체내에서의 착색제 입자를 포함하는 액체 잉크와 접촉하여 색상 이미지를 형성하고, 이를 수용매체에 전사시킴으로써 화상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양전하로 대전된 잉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현상기 바이어스 전압은 심의 전압 이하의 값으로 감소되거나 또는 음전하로 대전된 잉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현상기 바이어스 전압은 심 전압 이상으로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방법에 따라 얻어진 화상에서 심의 효과를 줄이기 위한 방법은 다음 단계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도전기판상에 형성된 광도전요소와 심을 갖고 있는 유기 감광체 벨트와 현상기 롤러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를 만든다. 이어서 상기 광도전요소에 제1전압을 인가하고, 심이 현상기 롤러로부터 유기 감광체 벨트의 원주 10% 이하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을 때 현상기 롤러에 제2전압 또는 제3전압을 인가한다.
그 후, 상기 도전기판에 제4전압을 인가한 다음, 유기 감광체 벨트를 이동시킨다. 이어서 상기 도전기판에 제4전압을 인가한 후에, 상기 유기 감광체 벨트의 표면에 조사하여 이를 이미지 방향대로 노광하여 소정영역에서의 전압을 감소시킴으로써 표면상에 고전압 및 저전압 영역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표면을 유기 액체내에서의 착색제 입자를 포함하는 액체 잉크와 접촉하여 색상 이미지를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색상 이미지를 수용매체에 전사함으로써 화상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전압 및 제3전압이 양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4전압 이하이고, 상기 제1전압 및 제3전압이 음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4전압 이상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액체 전자사진 공정에 있어서, 단색 칼라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감광성 유기 감광체 (10)는 드럼 (12)과 같은 기계적 캐리어의 표면상에 또는 표면 근처에 배열된다. 유기 감광체 (10)는 드럼 (12)의 외표면상에 올려 놓은 벨트 또는 루프의 형태를 갖는다. 기계적 캐리어도 벨트이거나또는 이동가능한 지지체 형태를 갖는다. 드럼 (12)은 도 1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유기 감광체 (10)의 위치를 유기 감광체 (10) 또는 드럼 (12)상에 형성된 화상에 대하여 동작하는 각종 고정성분을 지나가도록 이동시킨다.
물론, 다른 기계적 장치는,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의 소정 영역과 유기 감광체 (10) 상 또는 유기 감광체 (10)에 대하여 작동하는 각종 성분간의 상대적인 이동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유기 감광체 (10)는 각종 성분들이 유기 감광체 (10)를 지나서 움직이는 동안 고정상이거나 또는 유기 감광체 (10)와 각종 성분간의 움직임을 촉진시킬 수 있다. 유기 감광체 (10)와 다른 성분들간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중요하다. 이러한 설명들은 유기 감광체 (10)가 어떤 위치에 있는지 또는 어떤 위치를 통과하는 지를 설명하고 있으므로, 유기 감광체 (10)에 대하여 동작하고 있는 성분에 대하여 소정 위치를 갖거나 또는 소정 위치를 통과하는 유기 감광체 (10)의 특정 장소 또는 위치에 관한 것인지 인식되고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서, 드럼 (12)이 움직이면, 유기 감광체 (10)는 소거 램프(erase lamp) (14)를 지나서 이동한다. 유기 감광체 (10)가 소거 램프 (14) 하부를 통과하면, 소거 램프 (14)로부터의 조사(radiation) (16)가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에 가해져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에 남아 있는 모든 잔류 전하를 제거시킨다. 그러므로,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상의 표면 전하 분포는 소거 램프 (14)의 존재로 인하여 매우 균일하고 유기 감광체에 따라서 거의 제로(zero) 상태에 도달한다.
드럼 (12)이 회전하기 시작하고 유기 감광체 (10)가 롤 코로나와 같은 대전장치 (18) 하부를 통과하면,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에 균일한 양전하 또는 음전하가 부가된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대전장치 (18)는 포지티브 DC 코로나이고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은 유기 감광체의 캐퍼시턴스에 따라서 600볼트 정도로 균일하게 대전되며, 유기 감광체의 도전기판은 접지되거나 양전압 또는 음전압으로 조절된다.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대전장치 (18)는 네거티브 DC 코로나이고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을 유기 감광체 (10)의 캐퍼시턴스에 따라서 약 -600 볼트로 균일하게 대전시키고, 유기 감광체의 도전기판은 접지되거나 또는 양전압 또는 음전압으로 조절된다. 이로써, 드럼 (12)이 회전됨에 따라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이 레이저 스캐닝 장치 (20)를 이용한 조사에 의하여 화상 방향에 따라 노광된다. 레이저 스캐닝 장치 (20)로부터의 조사가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 어디에 조사되어도,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 전하는 상당히 감소되며, 조사를 받지 못한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상의 일영역은 비대전이 상당히 이루어지지 못한다. 조사된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상의 일영역은 조사량에 대응되어 비대전된다.
그 결과,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이 레이저 스캐닝 장치 (20)로부터 벗어날 때 레이저 스캐닝 장치 (20)의 화상 정보에 비례하는 표면 전하 분포를 갖는다.
드럼 (12)이 회전하기 시작하면, 유기 감광체의 표면 (10)은 액체 잉크 현상기 스테이션 (22)을 통과한다. 액체 잉크 현상기 스테이션 (22)의 동작은 도 2로부터 보다 쉽게 파악된다. 액체 잉크 (24)는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 전계 존재하에서 이미지 방향으로 대전된 유기 감광체 (22)의 표면에 가해지는데, 이 때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 전계는, 현상기 롤러 (26)를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 근처에 배치하고 현상기 롤러 (26)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형성된다. 액체 잉크 (24)는 양 또는 음으로 대전되고 반드시 불투명할 필요는 없는 "고체(solid)",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의 바람직한 칼라를 갖는 토너 입자로 구성된다. 잉크에서의 "고체" 물질은 확립된 전계하에서 표면 전압이 현상기 롤러 (26)의 바이어스 전압 미만인 영역 (28)인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플레이트된다. 잉크에서의 "고체" 물질은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전압이 현상기 롤러 (26)의 바이어스 전압 이상인 영역 (30)에서 현상기 롤러로 이동하거나 현상기 롤러상에 플레이트된다.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 또는 현상기 롤러 (26)에 플레이트되고 남은 과량의 잉크는 제거된다.
상기 잉크는 롤, 진공 박스, 열원 또는 경화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건조 메카니즘 (32)에 의하여 더 건조된다.
건조 메카니즘 (32)은 액체 잉크 (24)를 건조 잉크 필름으로 실질적으로 변화시킨다. 그리고 나서 과량의 액체 잉크 (24)는 후속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액체 잉크 현상기 스테이션 (22)으로 되돌아간다.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상에 플레이트된 액체 잉크 (24)의 "고체" 영역 (28)(잉크 필름)은 레이저 스캐닝 장치 (20)에 의하여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상에 놓여진 이전의 이미지 방향으로의 전하 분포와 일치하므로 소망하는 화상이 이미지 방향대로 인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액체 잉크 (24)로부터 형성된 잉크 필름 (28)은 건조 메카니즘 (34)에 의하여 더 건조된다.
건조 메카니즘 (34)은 수동적이고, 액티브 공기 송풍기를 이용하거나 또는 롤러와 같은 다른 액티브 장치를 사용한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건조 메카니즘 (34)은 건조 롤 또는 화상 조절 롤러이다.
그 후,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을 표현하는 액체 잉크 (24)의 잉크 필름 (28) 영역은 수용매체 (36)에 직접 또는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롤러 (38) 및 (40)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전사된다. 전사는 잉크 필름 (28)의 시차 택(differential tack)과 전사롤러 (38) 및 (40)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화상이 수용매체 36에 용융시킬 때는 열과 압력이 이용된다. 결과적으로 얻어진 "인쇄물"은 레이저 스캐닝 장치 (22)에 의하여 기록된 화상 정보의 하드 카피 표시이고, 단색, 액체 잉크 (24)에 의하여 표시되는 칼라를 띤다.
유기 감광체 (10), 드럼 (12), 소거 램프 (14), 대전장치 (18), 레이저 스캐닝 장치 (20), 액체 잉크 현상기 스테이션 (22), 액체 잉크 (24), 현상기 롤러 (26), 스퀴지 (32), 건조 메카니즘 (34) 및 전사롤러 (38) 및 (40)는 도 1 및 2에 도식적으로만 도시되어 있고, 이들에 대하여 일반화되어 설명되어 있다. 상술한 성분들은 전자사진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고, 이러한 요소들의 정확한 물질(exact material) 및 요소들의 제조는 당해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기술을 선택하여 가능하다.
심이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을 가르지르고 있는 상태일 때, 심을 갖고 있는 벨트를 제조함에 따라 도전기판의 도전층이 표면에 노출되기 때문에 심은 일반적으로 도전기판과 동일한 전압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잉크는 심으로 이동하여 그상부에 플레이트된다. 심에 플레이트된 잉크는 건조된 다음, 수용매체 (36)에 전사되어 바람직하지 못한 심 마크를 남긴다.
벨트 심에 잉크가 플레이트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만약 양전하로 대전된 잉크가 사용되는 경우라면, 현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심의 전압 이하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음전하로 대전된 잉크가 사용되는 경우라면, 현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심의 전압 이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유기 감광체 벨트의 도전기판 및 심은 인쇄시 0볼트로 접지된다. 비록 도전기판에 연결된 접지 전압이 0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에서는 이와 다른 전압 수치로 조절될 수 있다.
그 후, 현상기 바이어스 전압은 심이 현상기 닢을 통과하기 이전에는 0볼트로 재빨리 감소되고, 심이 현상기 닢을 통과한 직후에는 원래 바이어스 전압값으로 신속하게 복구된다. 현상기 바이어스 전압의 강하 및 상승의 시작 시점은 유기 감광체 벨트의 속도 및 원주에 의하여 달라진다.
현상기 바이어스 전압의 하강 또는 상승은, 심이 현상기 롤러로부터 유기 감광체 벨트의 원주(circumference)의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5%,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의 거리에 있을 때 일어난다.
만약 현상기 바이어스 전압이 너무 빨리 강하되거나 및/또는 너무 느리게 상승되면, 화상 형성 공정용 유기 감광체 벨트의 유용 면적 퍼센트가 너무 감소하게 되어 실용적이지 못하다.
현상기 전압을 500볼트에서 0볼트로 하강시키는 시간은 500 milisecond 이하,이어야 한다.또한, 심이 닢을 통과한 후 현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0볼트에서 500볼트로 상승시키는 시간은 500 milisecond 이하이어야 한다. 상승 또는 하강시간은 특히 0.1 내지 500 milisecond,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0 milisecond,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ilisecond이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만약 상승 또는 하강이 500 milisecond보다 길면, 일차적인 화상이 심 마크 제거 기술에 의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심 마크 제거 기술은 도 3에 기술된 것과 같은 멀티칼라 화상 형성 공정에 적용가능하다. 각 칼라의 각 현상기 전압의 순간적인 변화는 심이 각 현상기 닢을 통과할 때 연속적으로 달라진다.
단색이라기 보다는 다색 함유 인쇄물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및 2에 기술된 기본적인 액체 전자사진공정 및 장치는 단색에 대한 상술한 공정을 수차례 반복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고, 각 반복과정을 통하여 별개의 일차적인 칼라면, 예를 들어 시안, 마젠타, 옐로우 또는 블랙을 이미지 방향으로 노광하고, 각 액체 잉크 (24)는 이미지 방향으로 노광된 칼라면에 대응하는 별개의 일차적인 인쇄 칼라를 갖는다.
이러한 네개의 칼라면의 겹침으로 인하여, 모든 과정이 형성될 때까지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상에 칼라면의 어느 곳에도 전사됨없이 맞취짜기(registration)가 양호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4개의 칼라면 모두가 적절한 수용매체 (36)에 동시에 전사되는 후속공정을 거치면, 품질이 우수한 칼라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액체 전자사진 공정은 멀티칼라 화상 형성에 적절하며, 이러한 공정은 다소 느리다. 그 이유는 유기 감광체 (10)가 일반적인 4개의 칼라 색상 이미지의 각 칼라의 전체적인 순서를 반복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상술한 공정이 특정 칼라, 예를 들어 시안에 대하여 실시되는 경우, 레이저 스캐닝 장치 (20)는 조사받는 유기 감광체 (10)의 영역 (2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대전시켜 화상 영역을 나타내는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상의 표면 전하 분포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특정 칼라 예를 들어, 시안을 나타내는 화상을 재현시킨다. 액체 현상기 스테이션 (22)에 의하여 현상시킨 후,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 전하 분포는 아직도 꽤 많은 변수를 갖고 있고(화상의 적어도 약간의 패턴이 재생될 것으로 추측되며), 전하 분포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못해서 화상을 형성하기가 어렵다. 그리고 나서 유기 감광체 (10)는 소거되어서 표면 전하 분포를 균일하게 하고 충분한 표면전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재대전되어야만 후속의 현상공정을 거쳐서 유기 감광체 (10)의 영역 (28)상에 액체 잉크가 플레이트된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요구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3에는 장치 (42)와 멀티칼라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유기 감광체 (10)는 벨트 (44)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지지되며, 벨트 (44)는 롤러 (46) 및 (48)의 주위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유기 감광체 (10)는 소거 램프 (14)에 의하여 먼저 소거된다. 선행싸이클후에 유기 감광체 (10)상에 남아 있는 모든 잔류 전하는, 바람직하게는 소거 램프 (14)에 의하여 소거된 다음, 당해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방법에 따라 대전장치 (18)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대전된다. 이와 같이 대전되면,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약 +600볼트(또는 -600볼트)로 균일하게 대전된다. 도 1의 레이저 스캐닝 장치 (20)와 동일하게, 레이저 스캐닝 장치 (50)는 재생하고자 하는 화상의 제1칼라면에 대응하는 이미지 방향 패턴대로 조사되어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이 노광된다.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이 이미지 방향대로 대전되면, 제1칼라면에 대응되는 액체 잉크 (54)에서의 대전된 안료 입자는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전압이 액체 잉크 현상기 스테이션 (52)과 결합된 현상기 롤러 (56)의 바이어스 전압 미만인 영역에서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플레이트된다. 액체 잉크 (54)의 전하 중성은 양전하로 대전된 안료 입자의 전하 균형을 맞추는 음(또는 양) 전하로 대전된 카운터 이온에 의하여 유지된다. 카운터 이온은 표면전압이 액체 잉크 현상기 스테이션 (52)와 결합된 현상기 롤러 (56)의 바이어스 전압을 초과하는 영역에서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에 놓이게 된다.
이 단계에서, 유기 감광체 (10)는 그 표면에 제1칼라면에 따른 액체 잉크 (52)의 플레이트된 "고체"가 이미지 방향으로 분포되어 있다. 또한,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 전하는 액체 잉크 (52)로부터 투명 카운터 이온뿐만 아니라 플레이트된 잉크 입자에 의하여 재대전되며, 이 때 상기 투명 카운터 이온 및 플레이트된 잉크 입자는 레이저 스캐닝 장치 (50)에서 기인된 유기 감광체 (10)의 이미지 방향으로의 비대전에 의하여 조절된다. 그래서, 이 단계에서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 전하도 비교적 균일하다. 비록 유기 감광체의 초기 표면 전하가 모두 얻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하더라도, 유기 감광체의 표면 전하의 실질적인 일부분이 다시 모아진다. 이러한 용액이 재대전됨에 따라 유기 감광체 (10)는 현재 재현하고자 하는 화상의 다른 칼라면 제조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벨트 (44)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유기 감광체 (10)를 제2칼라면에 대응되도록 레이저 스캐닝 장치 (58)에 의하여 조사하여 이미지 방향으로 노광시킨다. 이러한 과정은 벨트 (44)에 의하여 유기 감광체 (10)의 1회 회전시 진행되며, 레이저 스캐닝 장치 (50)를 이용한 노광 및 제1칼라면에 대응되는 액체 잉크 현상 스케이션 (52) 후에 유기 감광체 (10)를 반드시 제거할 필요는 없다.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상에 잔류하는 전하는 제2칼라면에 대응되게 조사된다. 이로써 유기 감광체 (10)상의 표면 전하는 이미지 방향 분포가 화상의 제2칼라면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화상의 제2칼라면은 액체 잉크 (62)를 포함하는 현상기 스테이션 (60)에 의하여 현상된다. 비록 액체 잉크 (62)가 제2칼라면에 대응되게 "고체" 칼라 안료를 포함한다고 하더라도, 액체 잉크 (62)는 또한 실질적으로 투명 카운터 이온을 포함하며, 투명한 카운터 이온들이 액체 잉크 (54)의 실질적으로 투명한 카운터 이온의 화학적 조성과 다르다고 하더라도 상기 투명한 카운터 이온들은 여전히 실질적으로 투명한 특성을 갖고 있고 "고체" 칼라 안료와 반대로 대전된다. 현상기 롤 (64)은 바이어스 전압을 제공하여 액체 잉크 (62)의 "고체" 칼라 안료가 제2칼라면 패턴에 대응하여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상에 "고체" 칼라 안료 패턴을 형성한다. 투명 카운터 이온은 또한 유기 감광체 (10)를 재대전하고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 전하 분포를 균일하게 만들어서 다른 칼라면이 소거 또는 코로나 대전없이 유기 감광체 (10)상에 놓인다.
재현시키고자 하는 화상의 제3 칼라면은 레이저 스캐닝 장치 (64) 및 액체 잉크 (68)를 포함하고 현상기 롤러 (72)를 사용하여 현상기 스테이션 (70)을 사용하여 유사한 형태로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상에 코팅된다.
제3칼라면의 현상후에 유기 감광체 (10)상에 존재하는 표면 전하는, 레이저 스캐닝 장치 (66)에 의하여 노광되기 이전의 경우에 비하여 그 전하량이 약간 감소되지만, 실질적으로 다시 대전되어 소거 또는 코로나 대전없이 제4칼라면의 적용을 비교적 균일하게 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4칼라면은 레이저 스캐닝 장치 (74) 및 현상시 롤 (80)을 사용하는 액체 잉크 (76)를 포함하는 현상기 스테이션 (78)을 이용하여 유기 감광체 (10)상에 놓인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잉크 (54), (62), (70) 및 (78)로부터의 과량의 액체를 도 1의 기술된 롤러 (32)와 유사한 롤러를 사용하여 압착해낸다. 이러한 롤러는 현상기 스테이션 (52), (60), (68) 또는 (76)중의 하나 또는 이들 모두와 연결되어 사용된다.
액체 잉크 (54), (62), (70) 및 (78)로부터 플레이트된 고체성분은 도 1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건조 메카니즘 (34)으로 건조된다. 건조 메카니즘 (34)은 수동적이고 액티브 공기 송풍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건조롤러, 진공장치, 코로나와 같은 다른 액티브 장치를 사용한다.
그 후, 완성된 네 개의 화상이 인쇄하고자 하는 수용매체 (36)상에 직접 또는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롤러 (38) 및 (40)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전사된다. 일반적으로 화상을 수용매체 (36)에 고정시키는데 열과 압력이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얻어진 "인쇄물"은 네 개의 칼라 화상의 하드 카피 표시(hard copy manifestation)이다.
대전 전압, 유기 감광체 용량 및 액체 잉크를 적절하게 선택하면, 이러한 공정을 수차례 반복하여 많은 칼라면을 갖는 멀티칼라 화상을 형성한다. 비록 상기 공정 및 장치가 네 개의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공정 및 장치는 두 개 이상의 칼라면을 갖는 멀티칼라 화상시에도 적절하다.
액체 잉크로서 특히 유용한 잉크 중의 하나는, 실질적으로 투명하고 레이저 스캐닝 장치 (50), (58), (66) 및 (74)로부터의 조사에 대하여 흡수율이 낮은 잉크 물질들로 구성된 액체 잉크 (52), (60), (68) 및 (76)이다. 레이저 스캐닝 장치 (50), (58), (66) 및 (74)를 이용하여 조사하기 이전에 놓여진 잉크 또는 잉크들을 통과하여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에 부딪쳐 축적된 전하를 줄인다. 이러한 타입의 잉크를 이용하여 칼라 코팅 순서에 무관하게 제2, 3 또는 4개의 칼라면을 형성할 때, 후속의 화상 형성공정은 이전에 현상된 잉크 화상에 영향을 미친다. 잉크는 레이저 스캐닝 장치 (50), (58), (66) 및 (74)로부터의 조사(radiation)의 적어도 80%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90%를 통과시키고 조사가 액체 잉크 (52), (60), (68) 및 (76)의 잉크 물질에 의하여 많이 분산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잉크 (52), (60), (68) 및 (76)에 적합한 잉크중의 하나는, 액체 잠금 현상(liquid immersion development)에서 우수한 화상 특성을 나타내는 오가노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오가노졸은 벌크 전도도와 프리페이스 전도도가 작고, 전하/질량의 비(ratio)가 작고 이동도가 적절하고, 고해상도에 바람직한 모든 특성, 높은 광학밀도를 가지면서 백그라운드 프리 화상 특성을 나타낸다. 특히 잉크의 작은 벌크 전도도와 프리페이스 전도도, 및 작은 전하/질량의 비 특성으로 말미암아 다양한 고체 농도 범위에서 현상 광학밀도가 높아서 통상적인 잉크에 비하여 인쇄 성능이 개선된다.
이러한 칼라 액체 잉크를 이용하여 현상시 근적외선과 같은 입사광을 통과시키는 착색필름을 형성함으로써 광도전층이 비대전되도록 하고, 응집되지 않은 입자들은 입사광의 일부분을 산란시킨다. 그러므로 비응집된 잉크 입자들은 후속노광공정에서의 광도전체의 감도를 감소시키고 결국 겹쳐 인쇄된 화상과 간섭현상이 일어난다.
상기 잉크들은 잉크가 실온에서 필름을 형성할 수 있도록 Tg가 낮다. 정상적인 실온(19-20℃)하에서도 필름을 형성하기에 충분하고, 고온에서 동작되는 동안, 장치의 주위 내부 온도하에는 물론 특별한 가열요소없이도 잉크로 필름을 형성시키기에 충분하다.
전사후에 잔류 화상 텍크(tack)는 오가노졸에서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고텍크 모노머(high tack monomer)가 존재하면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오가노졸은 일반적으로 오가노졸 코아가 실온 미만이면서 -10℃를 초과하는 Tg를 갖는 조성을 갖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잉크는 정상적인 실온하 또는 고현상조건하에서 자기고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내블록킹성을 갖는 택크 프리 고정된 화상을 형성한다.
캐리어 액체는 당해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여러 가지 물질중에서 선택한다.
캐리어 액체는 일반적으로 친유성이고, 다양한 조건하에서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절연성을 갖는다. 여기에서 "절연성"이라는 의미는 캐리어 액체가 유전율 상수가 작고 전기저항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액체는 유전상수가 5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미만이다. 캐리어 유체로는 지방족 탄화수소(n-펜탄, 헥산, 헵탄 등), 지환족 탄화수소(사이클로펜탄, 사이클로헥산 등), 방향족 탄화수소(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 할로겐화된 탄화수소 용매(염소화된 알칸, 불소화된 알칸, 클로로플루오로카본 등), 실리콘 오일류 및 이들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캐리어 유체로는 특히 상품명 이소파르 G(Isopar G), 이소파르 H, 이소파르 K, 이소파르 L(Exxon Chemical Corporation)와 같은 파라핀 용매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한 캐리어 유체로는 상품명 노르파르 12(Exxon Chemical Corporation)이다.
토너 입자는 열가소성 수지내에 묻혀 있는 착색제로 구성된다. 착색제는 염료이거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안료이다. 수지는 캐리어 액체에 일반적으로 불용성을 갖거나 또는 단지 약간 용해되는 하나 이상의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이다; 이러한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들은 수지 코아를 포함한다. 또한, 응집에 대하여 분산된 토너 입자들의 탁월한 안정성은, 하나 이상의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안정제라고 표시함)가 캐리어 액체에 솔베이션되어 있는 적어도 500의 분자량을 갖는 사슬 유사 성분 (chain-like component)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양쪽성 물질일 때 얻어진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안정제가 수지 코아로부터 캐리어 액체로 연장되어 분산액중합(Dispersion Polymerization)(Ed. Barrett, Interscience., p. 9(1975))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입체 안정제로서 작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제는 수지 코아에 화학적으로 도입되지만 즉, 코아에 공유결합하거나 또는 그래프트되지만, 그러나 또는 수지 코아의 필수 부분(integral part)에 남아있을 수 있도록 수지 코아에 물리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흡착된다.
수지 조성물은 우선적으로 조절되어 오가노졸이 유효 유리전이온도가 25℃ 미만(보다 바람직하게는 6℃ 미만)이 되도록 하여 주성분으로서 수지를 포함하는 액체 잉크 52, 60, 68, 68 및 76의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아 Tg를 초과하는 온도(바람직하게는 25℃ 이상의 온도)에서 실시되는 인쇄 또는 화상 형성 공정시 필름이 신속하게 형성되도록 한다(신속한 자기 고정). Tg가 낮은 수지를 사용하면 인쇄 또는 색상 이미지의 신속한 자기 고정을 촉진시킨다는 것은 당해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데, 그 구체적인 예가 문헌(문헌명: 필름 형성(Film Formation), Z.W. Wicks, Federation of Societies for Coatings Technologies, p.8(1986))에 기재되어 있다. 자기고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면 인쇄 결점(예를 들어, 오염(smearing) 또는 트레일링-에지 트레일링(trailing-edge trailing))과 고속 인쇄시 불완전한 전사를 미연에 예방해준다. 순수종이에 인쇄시 코아 Tg는 -10℃를 초과하고, 특히 -5℃ 내지 +5℃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일 때 최종 화상은 점착성이 없고 내블록킹성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액체 잉크 (52), (60) 및 (68)는 후속의 액체 잉크 (52), (60), (68) 및 (76)에 의한 화상 칼라면 형성시 사용된 것과 겹쳐지기 전에 필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자기고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액체 잉크 (52), (60), (68) 및 (76)가 자기고정이 0.5초내에 이루어져서 장치가 충분한 속도로 작동되고 양호한 화상 품질을 얻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잉크 (52), (60), (68) 및 (76)는 일반적으로 화상에서 75% 부피 분율을 초과하는 고체를 포함할 때 자기고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액체 잉크 (52), (60), (68) 및 (76)의 유리전이온도(Tg)는 -10℃를 초과하고 2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범위일 때 최종적인 화상이 점착성을 갖지 않고 내블록킹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액체 잉크 (52), (60), (68) 및 (76)의 유리전이온도는 특히 -5℃ 내지 +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액체 잉크 (52), (60), (68) 및 (76)는 전하/질량비가 작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 때 결과적으로 얻어진 화상이 고밀도를 갖기 때문이다. 액체 잉크 (52), (60), (68) 및 (76)의 전하/질량비는 0.025 내지 1 microcoulombs/(cm2-OD)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잉크 (52), (60), (68) 및 (76)의 전하/질량비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0.05 내지 0.075 microcoulombs/(cm2-OD)이다(현상된 광학밀도당 전하는 질량당 전하에 직접적으로 비례한다).
액체 잉크 (52), (60), (68) 및 (76)의 프리페이스 전도도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프리페이스 전도도가 작은 경우에는 고해상도, 우수한 첨예도(sharpness) 및 낮은 백그라운드 특성을 갖게 된다. 액체 잉크 (52), (60), (68) 및 (76)는 고체 1%에서 프리페이스 전도도가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체 1%에서 프리페이스 전도도가 20% 이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고체 1%에서 프리페이스 전도도가 10% 이하이다. 무리가 없는지 확인바랍니다.) 만약 액체 잉크 (52), (60), (68) 및 (76)는 고체 1%에서 프리페이스 전도도가 30%를 초과하게 되면, 해상도, 첨예도 및 백그라운드 특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액체 잉크 (52), (60), (68) 및 (76)에 사용되는 수지 물질의 예로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옥타데실 메타크릴레이트, 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및 기타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의 폴리머 및 코폴리머가 있다. 상술한 물질과 함께 사용가능한 폴리머로는 멜라민,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스티렌 및 스티렌/아크릴산 코폴리머,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및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코폴리머 및 폴리(비닐 부티랄) 코폴리머가 있다.
액체 잉크 (52), (60), (68) 및 (76)에 사용되는 착색제로는, 폴리머 수지에 도입할 수 있는 모든 염료, 스테인(stain) 또는 안료가 사용되며, 이들은 캐리어 액체와 양립할 수 있고, 이들은 정전기적 잠상을 가시화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착색제의 구체적인 예로서 프탈로시아닌 블루(C.I. Pigment Blue 15 및 16), 퀴나크리돈 마젠타(C.I. Pigment Blue 122 및 192, 202 및 206), 로다민 YS(C.I. Pigment Red 81), 디아릴리드(diarylide)(벤지딘) 옐로우(C.I. Pigment Yellow 12, 13, 14, 17, 55, 83 및 155) 및 아릴아미드(Hansa) 옐로우(C.I. Pigment Yellow 1, 3, 10, 73, 74, 97, 105 및 111; 유기 염료 및 미세 카본과 같은 블랙 물질이 있다.
토너 입자에서의 수지와 착색제의 최적 중량비는 1:1 내지 20:1이며, 특히 10:1 내지 3:1인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 액체에서의 전체 분산 "고체" 물질은 전체 액체 현상액 조성물의 0.5 내지 20 wt%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wt%이다.
액체 잉크 (52), (60), (68) 및 (76)는 일명 "전하디렉터"라고 불리우는 용해성 전하조절제를 포함하여 토너 입자의 전하 극성이 균일하게 제공된다. 전하 디렉터는 토너 입자에 도입되는데, 이 때 전하디렉터는 토너 입자에 화학적으로 반응하거나, 토너 입자(수지 또는 안료) 표면에 화학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흡착되고, 전하디렉터는 작용기 바람직하게는 안정제를 포함하는 작용기를 통하여 킬레이트화되어 토너 입자에 부가된다. 전하디렉터는 토너 입자에 소정 극성(+ 또는 -)을 갖는 전하를 부여한다. 본 발명의 전하디렉터로는 당해기술분야에서 기술된 전하디렉터가 모두 사용가능하다; 바람직한 양전하 디렉터들은 금속 비누이다.
전하디렉터는 지르코늄 및 알루미늄의 다가 금속 비누, 특히 지르코늄 옥토에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장치 (18)는 바람직하게는 스코로트론 타입 코로나 대전장치이다. 대전장치 18은 +4,000 내지 +8,000볼트의 포지티브 고전압 공급원(미도시)에 결합되어있다. 대전장치 (18)의 그리드 와이어는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으로부터 약 1 내지 약 3mm 이격되어 있고, 포지티브 전압 공급원(미도시)에 결합되어서 유기 감광체의 커패시턴스에 따라서 유기 감광체 (10)의 외관상 표면 전압이 +600 내지 1000 볼트 범위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한 전압 범위가 있다면 다른 전압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두꺼운 유기감광체는 일반적으로 보다 높은 전압이 요구된다. 전압값은 기본적으로 유기 감광체 (10)의 커패시턴스 및 장치 (42)의 토너에서 사용되는 액체 잉크의 전하와 질량의 비에 의존된다. 포지티브 대전 유기 감광체 (10)에는 양전압을 가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는 음전압을 사용하는 네거티브 대전 유기감광체 (10)도 작동된다. 네거티브 대전 유기 감광체 (10)에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된다.
레이저 스캐닝 장치 (50)는 화상의 제1칼라면과 관련된 화상 정보를 제공하고, 레이저 스캐닝 장치 (58)는 화상의 제2칼라면과 관련된 화상 정보를 제공하고, 레이저 스캐닝 장치 (66)는 화상의 제3칼라면과 관련된 화상 정보를 제공하고, 레이저 스캐닝 장치 (74)는 화상의 제4칼라면과 관련된 화상 정보를 제공한다. 비록 레이저 스캐닝 장치 (50), (58), (66) 및 (74)가 화상의 개개 칼라와 연관되어 있고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순서에 의하여 작동된다고 하더라도, 편의상 이들 순서는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레이저 스캐닝 장치 (50), (58), (66) 및 (74)는 높은 세기를 갖는 전자기 조사를 포함한다. 조사는 단일빔 또는 빔 어레이를 이용한다. 어레이에서 각각의 빔은 개별적으로 조절된다. 예를 들어, 유기 감광체 (10)의 움직임 방향과 수직으로 이루어지는 라인 스캔과 같이 대전장치 (10)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서 유기 감광체 (10)상에 조사된다.
조사로 인하여 유기 감광체 (10)의 이동과 동시에 유기 감광체 (10)를 스캐닝 및 노광된다. 이미지 방향으로의 노광으로 말미암아 조사가 어디에서 일어나든지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전하가 상당히 감소된다.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 영역에서는 비대전이 상당히 이루어지지 못한다. 그러므로 유기 감광체 (10)가 조사되지 않는 경우에는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 전하 분포는 목적하는 화상 정보와 비례한다.
레이저 스캐닝 장치 (50), (58), (66)에 통과되어야 할 조사 파장은 화상의 처음 세 개의 칼라면을 통하여 흡수율이 작도록 선택된다. 네 번째 화상면은 일반적으로 블랙이다. 블랙은 유기 감광체 (10)의 비대전시 이용하는 모든 파장의 조사에 대하여 높은 흡수율을 나타낸다. 또한, 스캐닝 장치 (50), (58), (66) 및 (74)에서의 조사 파장은 유기 감광체 (10)의 최대 감도 파장에 대응되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스캐닝장치 (50), (58), (66) 및 (74)의 공급원으로는 방출 파장이 700nm 이상인 적외선 다이오드 레이저 및 발광 다이오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착색제들을 조합하여 가시광선의 소정 파장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파장 범위는 780nm이다.
레이저 스캐닝 장치 (50), (58), (66) 및 (74)로부터의 조사(단일빔 또는 빔 어레이)는 컴퓨터 메모리, 통신 채널 등과 같은 모든 단일 칼라면 정보에 대응하여 조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레이저 스캐닝 장치로부터의 조사가 유기 감광체 (10)에 도달하도록 조절되는 메카니즘도 통상적인 것이다.
조사는 회전 다각형 미러(미도시)와 같은 스캐닝 요소에 도달한 다음, 스캔 렌즈를 통과하여 유기 감광체 (10)에 대하여 특정 래스터 라인 위치에서 촛점을 맞춘다. 다각형 미러와 함께 또는 다각형 미러 대신에 진동 미러, 모둘레이티드 파이버 광학 어레이, 광도파로 어레이와 같은 다른 스캐닝 수단 또는 적절한 화상 전달 시스템이 사용된다. 디지털 하프톤(halftone) 화상 형성시, 인치당 600 해상도를 갖도록 1/2 최대세기 레벨에서 42μ 미만의 직경으로 촛점이 맞추어서 조사를 해야 한다. 어떤 응용분야에서는 해상도가 낮은 것이 적절하다. 스캔 렌즈는 빔 직경이 적어도 12인치(30.5cm) 너비를 갖도록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각형 미러를 일반적으로 히스테리시스 모터 및 오실레이터 시스템 또는 서보 피드백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조절하여 일정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스캔속도를 모니터 및 조절한다. 유기 감광체 (10)는 조사가 유기 감광체 (10)에 도달되는 래스터 라인을 경과하여 모터 및 위치/속도 센싱 장치에 의하여 스캔방향과 직각을 이루며 동일한 속도로 움직인다. 다각형 미러에 의한 스캔속도와 유기 감광체 (10)의 이동 속도간의 비율은 일정하게 유지되고 레이저 제어 정보의 어드레스 능력을 얻을 수 있고 최종 화상이 정확한 어스펙트비를 갖도록 래스터 라인과 오버랩되도록 선택된다. 고품질의 화상을 얻기 위해서는 유기 감광체 (10)상에 인치당 적어도 600회,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0회 스캔하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각형 미러 회전 및 유기 감광체 (10) 속도를 셋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감광체 (10)가 초당 3인치(초당 7.6cm) 보다 빠르게 이동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현상기 스테이션 (54)은 화상의 제1칼라면을 현상하고, 현상기 스테이션(62)은 화상의 제2칼라면을 현상하고, 현상기 스테이션 (70)은 화상의 제3칼라면을 현상하고, 현상기 스테이션 (78)은 화상의 제4칼라면을 현상한다. 비록 현상기 스테이션 (54), (62), (70) 및 (78) 각각은 화상의 개개 칼라와 연결되며,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순서대로 실시된다고 하더라도, 편의상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현상기 스테이션 (54), (62), (70) 및 (78)에서는 통상적인 액체 잉크 투입 현상법이 이용된다. 현상시 두가지 방법은,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데, 일명 유기 감광체 (10)의 노광영역에서의 액체 잉크 (52), (60), (68) 및 (76)의 코팅(deposit)법 및 비노광 영역에서의 액체 잉크 (52), (60), (68) 및 (76)의 코팅법이 있다. 전자 방법에 따라 화상을 형성하면, 하프톤 도트의 형성을 개선하고 균일한 밀도와 백그라운드 밀도가 낮게 유지된다. 비록 본 발명이 양전하로 대전된 액체 잉크(52), (60), (68) 및 (76)가 조사에 의하여 비대전된 영역에서의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상에 코팅되는 비대전 현상 시스템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그 반대의 화상 형성 시스템도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하다. 현상은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 근처에 위치해있는 현상기 롤러 (56), (64), (72) 및 (80)에 의하여 형성되는 균일한 전계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현상기 스테이션 (54), (62), (70) 및 (78)은 현상기 롤러 (56), (64), (72) 및 (80), 스퀴지 롤러 (82), (84), (86) 및 (88), 유체 전달 시스템 및 유체 리턴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액체 잉크 (52), (60), (68) 및 (76)의 균일박막은 회전하는 실린더형 현상기 롤러 (56), (64), (72) 및 (80)상에 도입된다. 현상기 롤러에는 바이어스 전압이 유기 감광체 (10)의 비노광 표면 포텐셜과 유기 감광체의 노광 표면 포텐셜의 중간크기로 가해진다. 전압은 백그라운드가 축적됨이 없이 소망하는 하프톤 도트용 최대 밀도 레벨 및 톤(tone) 재현 스케일을 얻을 수 있도록 조절한다. 현상기 롤러 (56), (64), (72) 및 (80)는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상에 형성된 잠상이 현상기 롤러 (56), (64), (72) 및 (80) 하부를 통과하기 직전에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에 근접된다. 현상기 롤러 (56), (64), (72) 및 (80)상의 바이어스 전압은 전계에서 유동적인 대전 안료 입자에 가해져 잠상을 현상시킨다. 액체 잉크 (52), (60), (68), (76)에서의 대전된 "고체" 입자들은,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 전하가 현상기 롤 (56), (64), (72) 및 (80)의 바이어스 전압 미만인 영역에서의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상으로 이동하여 그 상부에 플레이트된다. 액체 잉크 (52), (60), (68) 및 (76)에서의 전하 중성은 양전하로 대전된 토너 입자의 전하와 균형을 유지하는 반대전하로 대전된 실질적으로 투명한 카운터 이온에 의하여 유지된다 카운터 이온은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전하가 현상기롤 바이어스 전압을 초과하는 영역에서의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상에 놓인다.
플레이팅이 현상기 롤 (56), (64), (72) 및 (80)에 의하여 이루어진 후에는, 스퀴지 롤러 (82), (84), (86) 및 (88)가 유기 감광체 (10)의 현상된 화상 영역에 한바퀴 빙 돌아(roll over) 과잉의 액체 잉크 (52), (60), (68) 및 (76)를 제거하고 연속적으로 화상의 각 현상칼라면을 남긴다. 바이어스 전압은 스퀴지 롤러 (82), (84), (86) 및 (88)에 가해져 특히 스퀴지 롤러의 저항률이 1×1010Ω/square 이하일 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109Ω/square일 때, 이들상에 플레이트되는 것을 억제한다. 또는, 유기 감광체 (10)의 표면에 잔류하는 과잉의 액체 잉크를 제거하여 당해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진공법에 의하여 필름이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유기 감광체 (10)에 놓여진 잉크는 현상기 롤러 (56), (64), (72) 및 (80), 스퀴지 롤러 (82), (84), (86) 및 (88) 또는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건조법에 의하여 비교적 확고하게 되어(필름으로 형성되어) 현상기 스테이션 (62), (70) 및 (78)에 의한 후속 현상공정으로 제거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유기 감광체 (10)상에 놓여진 잉크는 화상에서의 고체 부피분율이 75%를 초과하도록 건조가 충분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감광체는 도전기판과, 단일층 형태를 갖고 있고, 폴리머 바인더에서 전하수송화합물 및 전하생성화합물을 포함하는 광도전체 요소를 포함해야 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유기 감광체는 도전기판 및 전하생성층과 이와 별개인 전하수송층으로 이루어진 2층 구조의 광도전체 요소를 포함한다. 전하생성층은 도전기판과 전하수송층 중간에 위치된다. 또는 광도전요소는 상술한 경우와 인버티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는데, 이 때 전하수송층은 도전기판과 전하생성층 중간에 위치한다.
절연기판은 예를 들어 플랙시블 웹 또는 벨트 형태와 같이 플랙시블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드럼 형태와 같이 플랙시블 하지 않을 수도 있다. 플랙시블 절연기판은 일반적으로 절연기판과 도전 물질 박막으로 이루어진다.
절연기판은 페이퍼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Dupont A Dupont 442, E.I. Dupont de Nemours Company), 폴리이미드, 폴리술폰,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 및 폴리스티렌과 같은 비닐계 수지 등의 필름 형성용 폴리머로 이루어진다. 절연기판의 예로는 폴리에테르술폰(상품명 Stabar S-(10)0, ICI사),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상품명 Tedlar, E.I.Dupont de Nemours Company), 폴리비스페놀-A-폴리카보네이트(상품명 Makrofol, Mobay Chemical Company) 및 무정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상품명 Melinar, ICI Americas, Inc.)를 사용한다. 도전물질의 구체적인 예로서 그래파이트, 분산형 카본블랙, 요오다이드(iodide), 폴리피롤 및 상품명 칼곤 콘덕티브(Calgon conductive) 폴리머 261(Calgon Corporation Inc.)과 같은 전도성 폴리머, 알루미늄, 티타늄, 크롬, 황동(brass), 금, 구리, 팔라듐, 니켈,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주석 산화물, 인듐 산화물과 같은 금속 산화물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전물질은 알루미늄 또는 인듐 산화물이다. 통상적으로 광도전성 기판은 요구되는 기계적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그 두께를 적절하게 유지시킨다. 예를 들어 플랙스블 웹 기판은 일반적으로 0.01 내지 1mm의 두께를 갖고, 드럼 기판은 일반적으로 0.5 내지 2mm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광도전 요소를 구성하는 전하 생성 화합물은 염료 및 안료와 같이 광을 흡수하여 전하 캐리어를 생성하는 물질이다. 이러한 전하 생성 화합물로는 금속 프리 프탈로시아닌, 티타늄 프탈로시아닌, 구리 프탈로시아닌, 옥시티타늄 프탈로시아닌, 하이드록시갈륨 프탈로시아닌과 같은 금속 프탈로시아닌, 스퀘어릴륨(squarylium) 염료 및 안료, 하이드록시-치환된 스퀘어릴륨 안료, 페릴이미드, 다핵성 퀴논(Allied Chemical Corporation, 상품명: Indofast Doble Scarlet, Indofast Violet Lake B, Indofast Brillant Scarlet 및 IndofastOrange), 퀴나크리돈(Dupont사, 상품명: Monastral Red, Monastral Voilet 및 Monastral Red Y), 페리논(perinones)을 포함하는 나프탈렌 1,4,5,8-테트라카르복실산 유도체 안료, 테트라벤젠포피린, 테트라나프탈로포피린(tetranaphthaloporphyrins), 인디고- 및 티오인디고 염료들, 벤조티옥산센(benzothioxanthene) 유도체, 페닐렌 3,4,9,(10)-테트라카르복실산 유도체 안료, 비스아조-, 트리아조- 및 테트라키스아조-안료를 함유하고 있는 폴리아조안료, 폴리메틴염료, 퀴나졸린기 함유 염료, 삼차아민, 무정형 셀레늄, 셀레늄-텔루륨, 셀레늄-텔루륨-비소, 셀레늄-비소, 카드뮴 설포설레나이드, 카드뮴 셀레나이드와 같은 셀레늄 합금, 카드뮴 설파이드 및 그 혼합물이 있다. 전하 생성 화합물은 옥시티나늄 프탈로시아닌, 하이드록시갈륨 프탈로시아닌 또는 그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하생성층은 전하생성층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9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5중량%의 결합제를 포함한다.
전자 사진용 전하 수송 화합물로는 다양한 종류의 화합물이 사용된다. 전하 수송층용 전하 수송 화합물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피라졸린 유도체, 플루오린(fluorine) 유도체, 옥사디아졸 유도체, 스틸벤 유도체, 히드라존 유도체, 카바졸 히드라존 유도체, 트리아릴 아민, 폴리비닐 카바졸, 폴리비닐 피렌 또는 폴리아세나프틸렌이 있다.
전하 수송 화합물층은 일반적으로 전하수송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전하 수송 화합물 25 내지 6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며,그 나머지는 결합제, 그리고 선택적으로 모든 통상적인 첨가제를 포함한다. 전하수송층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10 내지 40μ이고 당해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다.
편리하게도, 전하 수송층은 전하 수송 화합물 및 고분자 결합제를 유기용매에 분산시키거나 또는 용해시키고, 상기 분산액 및/또는 용액을 각각의 하부(기초)층(underlying layer) 상부에 코팅한 다음, 이를 고화(hardening)(예: 경화, 중합 또는 건조)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전하 생성 화합물층은 전하생성화합물, 고분자 결합제 및 유기용매를 용해시키거나 또는 분산시키고, 상기 용액 또는 분산액을 각각의 하부(기초)층 상부에 코팅하고 이를 고화(hardening)(예: 경화, 중합 또는 건조)함으로써 형성된다.
결합제는 전하수송화합물(전하수송층의 경우) 및 전하생성화합물(전하생성층의 경우)을 분산 또는 용해시킬 수 있어야 한다. 전하생성층과 전하수송층용 결합제의 구체적인 예로서 폴리스티렌-Co-부타디엔, 개질 아크릴 폴리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스티렌-알키드 수지, 소야-알킬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폴리머, 폴리비닐부티랄, 알키드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술폰, 폴리에테르, 폴리케톤, 페녹시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실록산, 폴리(하이드록시에테르)수지, 폴리하이드록시스티렌 수지, 노볼락, 폴리(페닐글리시딜 에테르)-코-디사이클로펜타디엔, 상술한 폴리머들에서 사용된 모노머들의 코폴리머 및 이들 조합물이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바인더는 특히 전하수송층에 적합하며, 폴리비닐부티랄 및 폴리에스테르 바인더는 특히 전하생성층에 적합하다. 전하수송층용 폴리카보네이트 바인더는, 비스페놀-A로부터 파생된 폴리카보네이트 A, 사이클로헥실리덴 비스페놀로부터 파생된 폴리카보네이트-Z, 메틸비스페놀 A로부터 파생된 폴리카보네이트 C 또는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 감광체는 부가층(additional layer)을 더 포함하기도 한다. 이러한 부가층의 예로는, 배리어층, 이형층, 접착층, 그라운드 스트라이프 및 서브층을 들 수 있다.
상기 이형층은, 광도전체 요소의 최상부에 형성된다. 이 때 배리어층은 이형층과 광도전 요소 사이에 샌드위치되어 있다.
상기 접착층은 배리어층과 이형층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의 접착력을 개선시키며, 서브층은 전하차단층으로서, 도전성 기판과 광도전 요소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서브층은 또한 도전성 기판과 광도전성 요소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배리어층은 가교성 실록사놀-콜로이달 실리카 코팅 및 하이드록실레이티드 실세스퀴녹산-콜로이달 실리카 코팅층과, 폴리비닐알콜, 메틸 비닐 에테르/말레산 무수물 코폴리머, 카제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젤라틴, 전분(starch), 폴리우레탄,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부티랄, 아세토아세탈과 같은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포말, 폴리아크릴로니트릴,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카바졸, 상술한 폴리머에서 사용된 모노머의 코폴리머, 비닐클로라이드/비닐아세테이트/비닐 알콜 터폴리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말레산 터폴리머, 비닐 클로라이드/비닐리덴 클로라이드 코폴리머와 같은 비닐계 수지, 셀룰로오스 폴리머 및 그 혼합물과 같은 유기 바인더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 결합제는 선택적으로 퓸 실리카, 실리카, 티타니아,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또는 그 조합물등과 같은 미세 무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무기 입자의 크기는 0.001 내지 5㎛이고, 바람직하게는 0.005㎛이다.
배리어층은 바람직하게는, 메틸 셀룰로오즈와 메틸 비닐 에테르/말레산 무수물 코폴리머의 1:1 혼합물과, 가교제인 글리옥살을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이형층 톱코트(topcoat)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모든 이형층 조성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형층은 불소화된 폴리머, 실록산 폴리머, 플루오로실리콘 폴리머, 실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그 조합물로 이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형층은 가교 실리콘 폴리머로 이루어진다.
접착층은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우레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아미노에테르) 등과 같은 필름 형성용 폴리머로 이루어지며, 접착층은 특히 폴리(하이드록시아미노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의 건조 두께는 0.01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층은 폴리비닐부티랄, 오가노실란, 가수분해성 실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실리콘 등을 포함하며, 이 서브층의 건조두께는 20 내지 2000Å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 그라운드 스트라이프는 도전 입자, 무기 입자, 바인더 및 기타 첨가제를 포함한다. 그라운드 스트라이프의 표면저항률은 약 1×104Ω/square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 입자로는 도전성을 갖고 있는 것이라면 모두 다 사용가능하다. 구체적인 예로서, 카본 블랙, 그래파이트, 도전 폴리머, 바나듐 옥사이드, 구리, 은, 금, 니켈, 탄탈륨, 크롬, 지르코늄, 바나듐, 니오븀, 인듐 틴 옥사이드 또는 이들 혼합물이 있다. 도전 입자는 특히 10㎛ 이하의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그라운드 스트라이프에서 사용되는 도전 입자의 함량은 도전 입자의 입자 크기 및 전도도와 같은 인자에 따라 달라지는데, 플랙시블 그라운드 스트라이프의 강도 및 유연성을 양호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건조 그라운드 스트라이프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40 중량% 미만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입자로서, 모스 경도가 5 이상인 모든 무기 입자가 사용가능하며, 예로서 실리콘 디옥사이드, 알루미늄 옥사이드(알루미나), 티타늄 디옥사이드(티타니아), 알파-Fe2O3, Fe3O4, MgO, SnO2, ZrO2, 석영, 황수정(topaz), MgAl2O4, SiC, 다이아몬드 및 BeAl2O4가 있고,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옥사이드, 티타늄 디옥사이드, ZrO2, SiO2또는 그 혼합물이 있다.
무기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0.3 내지 5㎛ 범위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무기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상기 범위일 때 접촉하고 있는 그라운드 장치가 평탄한 외표면을 갖고 있어서 내마모성 및 수명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플랙시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구조체(member)에 있어서, 도전 그라운드 스트라이프는 건조 도전 그라운드 스트라이프층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중량%의 무기 입자를 포함한다. 만약 무기 입자의 함량이 40 중량%를 초과하면 도전 그라운드 스트라이프가 그라운드면으로서 실용화하기가 부적절하고 도전 그라운드 스트라이프의 유연성을 지나치게 감소되고, 5 중량% 미만이면 내마모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라운드 스트라이프용 결합제로서 통상적인 열가소성 수지가 모두 다 사용가능하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의 예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산 및 이의 코폴리머,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머, 셀룰로오즈 폴리머, 폴리아미드, 나일론, 폴리부타디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코폴리머, 그 혼합물, 그 조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특히 Vitel 2200(Shell Chemical Co.)과 같은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그라운드 스트라이프에 선택적으로 부가될 수 있는 첨가제로는 계면활성제, 필러(filler), 커플링제, 파이버, 윤활제, 습윤제(wetting agent), 안료, 염료, 가소제, 이형제(release agent), 현탁제 또는 경화제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에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A. 유기 감광체
인버티드 이중층 유기 감광체는 미국 특허 6,066,426호에 기재된 화합물 2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유기 감광체는 폴리에스테르층, 알루미늄층, 서브층(Bostik Chemical사의 상품명 Vitel PE 2200, 2:1 메틸에틸케톤과 톨루엔의 혼합물에서 고체 4.4% 함유함, 웹속도 3.048m/min으로 슬롯 (slot)다이 코터기를 사용하여 0.2㎛의 두께로 코팅하고, 110℃, 120℃, 140℃ 및 150℃의 4개의 오븐 존에서 건조함), 전하수송층 및 전하생성층을 포함하였다.
두 개의 다른 배리어층 용액은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유기 감광체상에 코팅하였다. 제1배리어("배리어 A")층 용액은 상품명 메토셀 A15L V 3% 수용액 86.3g, 상품명 간트레즈(Gantrez) AN-169 폴리머(ISP Technologies) 3% 수용액 86.3g, 메탄올 172.44g, 40% 글리옥살 40 수용액 0.65g 및 트리톤 X-100 계면활성제 0.07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제2배리어("배리어 B")층 용액은 6% S-Lec BX-5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217.6g, 이소프로필 알콜 1358.7g, 날코(Nalco) 1057 콜로이달 실리카 33.5g, 33.1% Z-6040 실란(Dow Coming 50/50 이소프로필/물) 및 간트레즈 AN-169 폴리머 130.17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배리어층 용액을 이중층 유기감광체상에 다이코팅하고, 이를 건조하여 공칭 두께가 0.4㎛인 층을 형성하였다.
타이층(tie layer)을 배리어층 상부에 코팅하였다. 이 타이층은 3.1% 폴리(하이드록시아미노 에테르)(상품명 XUR, Dow Chemical사), 58.1%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38.8% 1-메톡시-2-프로판올을 포함하는 타이층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었다. 이 타이층은 4mil(0.01016cm) 심(shim) 및 5μ필터를 사용하여 3.048m/min의 웹속도로 코팅되었다. 상기 코팅층을 90℃, 100℃, 110℃ 및 110℃로 고정된 4개의 오븐 영역에서 건조하였다.
이형 코팅층을 상기 타이층의 상부에 코팅하였다. 이형 코팅층 용액은 VDT-954(Gelest, Inc) 0.735%, SE-33 실리콘 수지(GE Silicones) 2.626%, DMS-V52 검(Gelest, Inc.) 1.176%, 상품명 실로프(Syloff) 7048(Dow Corning사) 0.5%, 상품명 실로프 4000 촉매(Dow corning사) 0.1575%, 디에틸 퓨말레이트(Aldrich사) 0.03675%, 벤질 알콜(Aldrich사) 0.01575%, Cab-O-Sil 720(Cabot Corp) 0.02625%, 메틸 에틸 케톤 15% 및 헵탄 79.727%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이형 코팅 조성물을 코팅한 다음, 이를 150℃에서 1.5분동안 경화시켰다. 이형층의 코팅두께는 0.65㎛였다.
상술한 방법에 따라 얻은 인버티드 이중층 유기감광체 웹은 86cm 길이로 절단하고, 브랜슨 웰딩 혼(Branson Welding horn), 부스터(booster) 및 컨버터가 장착된 브랜슨 900B 파워 공급원(Branson 900B Power supply)(Branson Ultrasonics Corp.)을 구비하고 있는 초음파 용접기를 사용하여 벨트로 용접하였다.
벨트를 하기 조건에 따라 인쇄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인쇄 테스트에서 사용된 액체 잉크는 미국 특허 제6,066,426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얻었다. 벨트는 도 3에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홈메이드(homemade) 인쇄기상에서 테스트하였다. 상기 유기 감광체 벨트는 76.2mm/s(3in/s)에서 이동하였다. 양전하로 대전된 시안 잉크가 사용되었다. 유기 감광체 벨트의 도전기판의 전압은 0볼트이었다. 심이 현상기 닢에 들어가기 전에 현상전압은 500볼트로 고정되었다. 심이 현상기 닢에 접근하여 이로부터 3.8mm 떨어져 있을 때, 현상기 전압을 100 millisecond동안 0볼트로 재빠르게 감소시켰다. 현상기 전압은 심이 현상기 롤러를 통과하여 3.8 mm(예를 들어, 1 및 5 mm 매우 유용한 범위) 이격된 직후에는 100 millisecond안에 500 볼트로 재빠르게 되돌아갔다. 상기 과정에 따라 얻어진 레터(letter) 사이즈 종이상에 인쇄하면, 심 마크가 나타나지 않았다. 현상기 닢을 통과한 심에 명백한 심 마크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상술한 현상기 전압으로 상기 과정을 따라 인쇄하게 되면 불변의 상태로 유지된다.
시안 잉크, 옐로우 잉크, 마젠타 잉크 및 블랙 잉크를 이용한 4개의 칼라 인쇄 테스트는 4개의 현상기 스테이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과정에 따라 실시하였다.
상술한 과정에 따라 얻어진 레터 사이즈 종이상의 인쇄물에는 현상기 전압을 순간적으로 변화시키는 경우, 심 마크가 나타나지 않았다.
현상기 전압을 변화시키지 않고 심이 닢을 통과한 상태에서 제조된 인쇄물에는 심 마크가 분명하게 나타났다.
본 발명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방법에 따르면, 심이 현상기 롤을 통과할 때 현상기 롤러의 전기적 전압을 순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서 심을 갖고 있는(seamed)유기 감광체 벨트에서 기인된 심 마크 효과가 감소된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화상 형성장치에, 도전기판상에 형성된 광도전요소와 심(seam)을 갖고 있는 유기 감광체 벨트를 제공하는 단계;
    현상기 롤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광도전요소에 제1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심이 현상기 롤러로부터 유기 감광체 벨트의 원주 10% 이하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을 때 현상기 롤러에 제2전압을 인가한 다음, 현상기 롤러에 제3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도전기판에 제4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유기 감광체 벨트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도전기판에 제4전압이 인가된 후에, 상기 유기 감광체 벨트의 표면을 조사하여 이미지 방향대로 노광하여 소정영역에서의 전압을 감소시킴으로써 표면상에 고전압 및 저전압 영역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표면을 유기 액체내에서의 착색제 입자를 포함하는 액체 잉크와 접촉하여 색상 이미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색상 이미지를 수용매체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압 및 제3전압이 양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4전압 이하이고, 상기 제1전압 및 제3전압이 음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4전압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이 양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이 제1전압 이하이거나 또는 제1전압이 음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이 제1전압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이 양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이 제1전압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이 음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이 제1전압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방법.
  5. 화상 형성 장치에, 도전기판상에 형성된 광도전요소와 심을 갖고 있는 유기 감광체 벨트를 제공하는 단계;
    현상기 롤러와 스퀴지 롤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화상 형성 장치상에 유기 감광체 벨트를 탑재하는 단계;
    상기 광도전요소에 제1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심이 현상기 롤러로부터 유기 감광체 벨트의 원주 10% 이하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을 때 현상기 롤러에 제2전압을 인가한 다음, 현상기 롤러에 제3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도전기판에 제4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스퀴지 롤러에 제5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유기 감광체 벨트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1전압, 제2전압, 제3전압, 제4전압 및 제5전압을 인가한 후에 유기 감광체 벨트 표면에 조사하여 그 표면을 이미지 방향대로 노광하여 소정영역에서의 전압을 감소시킴으로써 표면상에 고전압 및 저전압 영역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표면을 유기 액체내에서의 착색제 입자를 포함하는 액체 잉크와 접촉하여 색상 이미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색상 이미지를 수용매체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압 및 제3전압이 양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4전압 이하이고, 상기 제1전압 및 제3전압이 음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4전압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지 롤러의 저항률이 1×1010Ω/square 이하이고, 심이 현상기 롤러부터 유기감광체 벨트의 원주의 10% 이하의 거리에 위치해 있을 때, 스퀴지 롤러의 제5전압이 제6전압으로 변화되고,
    상기 1전압 및 제3전압이 양의 값을 가질 때 제6전압은 제4전압 이하이거나, 또는 제1전압 및 제3전압이 음의 값을 가질 때 제6전압이 제4전압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방법.
  7. 화상 형성 장치에, 도전기판상에 형성된 광도전요소와 심을 갖고 있는 유기 감광체 벨트를 제공하는 단계;
    현상기 롤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광도전요소에 제1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유기 감광체 벨트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유기 감광체 벨트의 표면에 조사하여 이미지 방향대로 노광하여 소정영역에서의 전압을 감소시킴으로써 표면상에 고전압 및 저전압 영역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표면을 유기 액체내에서의 착색제 입자를 포함하는 액체 잉크와 접촉하여 색상 이미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색상 이미지를 수용매체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양전하로 대전된 잉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현상기 바이어스 전압은 심의 전압 이하의 값으로 감소되거나 또는 음전하로 대전된 잉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현상기 바이어스 전압은 심 전압 이상으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방법.
  8. 화상 형성 장치에, 도전기판상에 형성된 광도전요소와 심을 갖고 있는 유기 감광체 벨트를 제공하는 단계;
    현상기 롤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광도전요소에 제1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심이 현상기 롤러로부터 유기 감광체 벨트의 원주 10% 이하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을 때 현상기 롤러에 제2전압 또는 제3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도전기판에 제4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유기 감광체 벨트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도전기판에 제4전압을 인가한 후에, 상기 유기 감광체 벨트의 표면에 조사하여 이를 이미지 방향대로 노광하여 소정영역에서의 전압을 감소시킴으로써 표면상에 고전압 및 저전압 영역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표면을 유기 액체내에서의 착색제 입자를 포함하는 액체 잉크와 접촉하여 색상 이미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색상 이미지를 수용매체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압 및 제3전압이 양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4전압 이하이고, 상기 제1전압 및 제3전압이 음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4전압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방법에 따라 얻어진 화상에서 심의 효과를 줄이기 위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이 양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1전압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제1전압이 음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1전압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이 양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1전압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이 음의 값을 가질 때 제2전압은 제1전압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0074957A 2000-11-29 2001-11-29 심이 있는 유기 감광체 벨트에서 기인된 심 마크가 감소된전자사진 화상 형성방법 KR1004210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385500P 2000-11-29 2000-11-29
US60/253,855 2000-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496A KR20020042496A (ko) 2002-06-05
KR100421018B1 true KR100421018B1 (ko) 2004-03-04

Family

ID=27734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957A KR100421018B1 (ko) 2000-11-29 2001-11-29 심이 있는 유기 감광체 벨트에서 기인된 심 마크가 감소된전자사진 화상 형성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633735B2 (ko)
KR (1) KR1004210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2685B2 (en) 2013-06-04 2019-02-12 Flosfia Inc. Method of manufacturing oxide crystal thin fil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5514B2 (en) * 2002-03-28 2004-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Hydrazone-based charge transport compounds
US6864025B2 (en) * 2002-03-28 2005-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lfonyldiphenylene-based charge transport compositions
US6835513B2 (en) * 2002-03-28 2004-12-28 Samsung Electronic Co., Ltd. Carbazole based charge transport compounds
US6815133B2 (en) * 2002-04-12 2004-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lfonyldiphenylene based charge transport compositions
US7244540B2 (en) * 2004-10-28 2007-07-17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iquid toners comprising amphipathic copolymeric binder having insoluble components in the shell portion thereof
US7756430B1 (en) 2006-04-27 2010-07-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an imaging member
US9498946B2 (en) 2012-03-05 2016-11-22 Landa Corporation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r monitoring of a printing system
US9643403B2 (en) * 2012-03-05 2017-05-09 Landa Corporation Ltd. Printing system
MX2014010681A (es) 2012-03-05 2014-10-17 Landa Corp Ltd Estructuras de película de tinta.
EP2822778B1 (en) 2012-03-05 2019-05-08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process
US11809100B2 (en) 2012-03-05 2023-11-07 Landa Corporation Ltd. Intermediate transfer members for use with indirect printing systems and protonatabl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s for use with indirect printing systems
US11104123B2 (en) 2012-03-05 2021-08-31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system
CN104284850B (zh) 2012-03-15 2018-09-11 兰达公司 打印系统的环形柔性皮带
GB201401173D0 (en) 2013-09-11 2014-03-12 Landa Corp Ltd Ink formulations and film constructions thereof
EP3099751B1 (en) 2014-01-30 2018-12-12 HP Indigo B.V. Electrostatic ink compositions
GB2536489B (en) 2015-03-20 2018-08-29 Landa Corporation Ltd Indirect printing system
US11806997B2 (en) 2015-04-14 2023-11-07 Landa Corporation Ltd. Indirect printing system and related apparatus
US10414936B2 (en) 2015-10-16 2019-09-17 Hp Indigo B.V. Electrostatic ink composition
US10222719B2 (en) 2015-10-29 2019-03-05 Hp Indigo B.V.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US10933661B2 (en) 2016-05-30 2021-03-02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process
JP6980704B2 (ja) 2016-05-30 2021-12-15 ランダ コーポレイション リミテッド デジタル印刷処理
US10821760B2 (en) 2017-01-31 2020-11-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kjet printing
US10723896B2 (en) 2017-01-31 2020-07-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kjet printing
US10723897B2 (en) * 2017-01-31 2020-07-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kjet compositions
WO2018143965A1 (en) 2017-01-31 2018-08-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kjet printing
US11267239B2 (en) 2017-11-19 2022-03-08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system
WO2019102297A1 (en) 2017-11-27 2019-05-31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system
US11707943B2 (en) 2017-12-06 2023-07-25 Landa Corporation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printing
JP7273038B2 (ja) 2017-12-07 2023-05-12 ランダ コーポレイション リミテッド デジタル印刷処理及び方法
JP7279085B2 (ja) 2018-06-26 2023-05-22 ランダ コーポレイション リミテッド デジタル印刷システム用の中間転写部材
US10994528B1 (en) 2018-08-02 2021-05-04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system with flexibl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WO2020075012A1 (en) 2018-10-08 2020-04-16 Landa Corporation Ltd. Friction reduction means for printing systems and method
EP3902680A4 (en) 2018-12-24 2022-08-31 Landa Corporation Ltd. DIGITAL PRINTING SYSTEM
JP2023505035A (ja) 2019-11-25 2023-02-08 ランダ コーポレイション リミテッド Itm内部に埋め込まれた粒子によって吸収された赤外線放射を使用したデジタル印刷におけるインクの乾燥
US11321028B2 (en) 2019-12-11 2022-05-03 Landa Corporation Ltd. Correcting registration errors in digital printi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3951A (ja) * 1981-12-26 1983-07-07 Fujitsu Ltd 記録方式
JPS59171975A (ja) * 1983-03-19 1984-09-28 Ricoh Co Ltd 転写型静電記録方法
US5549999A (en) 1990-12-27 1996-08-27 Xerox Corporation Process for coating belt seams
JPH04263273A (ja) * 1991-02-17 1992-09-1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128091A (en) 1991-02-25 1992-07-07 Xerox Corporation Processes for forming polymeric seamless belts and imaging members
US5489972A (en) * 1994-08-10 1996-02-06 Eastman Kodak Company Cleaning mechanism for transfer member
US5650253A (en) 1995-09-29 1997-07-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having improved image transfer characteristics for producing an image on a receptor medium such as a plain paper
KR19990063855A (ko) 1995-09-29 1999-07-26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전자사진 시스템에서 복수 컬러 화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BR9701409A (pt) * 1996-03-29 1998-09-22 Xerox Corp Máquina de impressão eletrofotográfica e processo para determinar a localização de uma costura em uma correia de uma máquina de impressão eletrofotográfica
KR200151066Y1 (ko) * 1997-07-18 1999-07-15 윤종용 칼라 레이저 프린터
US5997974A (en) 1997-09-24 1999-12-07 Xerox Corporation Invisible seam electrostatographic belt
US5970304A (en) 1997-09-30 1999-10-19 Xerox Corporation Two sided imaging of a continuous web substrate with a single print engine with in line transfer stations
US5966573A (en) * 1998-10-08 1999-10-12 Xerox Corporation Seamed flexible electrostatographic imaging belt having a permanent localized solid attribute
US6324368B1 (en) * 2000-02-29 2001-11-27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first squeeze roller rotated in an opposite direction to a photosensitive memb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2685B2 (en) 2013-06-04 2019-02-12 Flosfia Inc. Method of manufacturing oxide crystal thin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496A (ko) 2002-06-05
US6633735B2 (en) 2003-10-14
US20020064397A1 (en) 200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1018B1 (ko) 심이 있는 유기 감광체 벨트에서 기인된 심 마크가 감소된전자사진 화상 형성방법
US59167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multi-colored image in an electrophotographic system
KR19990063862A (ko) 백지와 같은 수용 매체에 화상을 제조하기 위한 개량된 화상전사 특성을 갖는 방법 및 장치
JP3646802B2 (ja) 中間転写部材,そ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方法
US4565760A (en) Protective overcoatings for photoresponsive imaging members
JPH0483255A (ja) イオノグラフィー像形成システム
KR100438721B1 (ko) 전자사진 현상제 저장 및 전달 시스템
KR100389886B1 (ko) 전자사진적인 화상 형성 공정용 건조 벨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416559B1 (ko) 액체 전자사진 현상제 저장 및 전달 시스템
US6300027B1 (en) Low surface energy photoreceptors
JP3604731B2 (ja) 有機光導電体用の架橋ポリビニルブチラールバインダー
JPH09134087A (ja) トナー画像固定システム
US20050212886A1 (en) Synchronous duplex printing systems using directed charged particle of aerosol toner development
US5893658A (en) Image plane registration system for electrographic systems
KR100608013B1 (ko) 점착 토너 전사를 이용한 탠덤 전자사진 공정에서 전사 보조층을 사용하는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
KR100477663B1 (ko) 전자사진 화상 형성 공정용 건조 부재
US7691551B2 (en) Imaging member
CA2485603C (en) Highlight color printing machine
WO1997012287A1 (en) Single pass electrophotographic system which coordinates the driving of a photoreceptor with a plurality of exposure locations
EP1528441B1 (en) Photoreceptor for highlight color printing machine
JPS63163372A (ja) 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方法
JPH04353886A (ja) 画像形成方法
JPH04369674A (ja) 画像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