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287A - 디지털 화상 복호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화상 복호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287A
KR19990063287A KR1019980056995A KR19980056995A KR19990063287A KR 19990063287 A KR19990063287 A KR 19990063287A KR 1019980056995 A KR1019980056995 A KR 1019980056995A KR 19980056995 A KR19980056995 A KR 19980056995A KR 19990063287 A KR19990063287 A KR 19990063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ding
reference time
clock
time information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6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치히로 후쿠시마
스지 아베
마사히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5144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3064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9619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252543A/ja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19990063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28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5Synchronising client clock from received content stream, e.g. locking decoder clock with encoder clock, extraction of the PCR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2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7De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스트림의 화상을 동시에 복호하고, 합성하여 1개의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는 경우, 마스터계의 전환에 의한 표시 화면의 흐트러짐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역다중화기(101)는 다중화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각 ch의 화상 데이터 및 PCR을 분리한다. 분리된 화상 데이터는 입력 버퍼 메모리(107∼110)에 축적된다. PCR 선택기(120)와 STC 선택기(121)로 이루어지는 마스터 선택부는 마스터계의 선택을 행한다. 선택된 마스터 STC, 비교기(123), LPF(124) 및 VCO(125)는 PLL을 구성하고, VCO(125)로부터는 시스템 클럭이 재생되며, 동기 신호 발생부(126)는 시스템 클럭에 기초하여 복호 개시 신호와 표시용 동기 신호를 발생한다. STC 카운터(103∼106)로부터는 각 채널의 기준 시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각 복호 제어부(111∼114)는 복호 개시 신호에 기초하여 각 디코더(115∼118)에 복호를 개시시킨다.

Description

디지털 화상 복호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디지털 화상 복호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방송, 텔레비전 회의 시스템, 텔레비전 전화 등과 같이 동화상이나 음성 등을 전송하는 시스템이나, 동화상, 음성 등의 신호를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자기 테이프 등에 기록하고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는 시스템 등에 있어서는 전송로나 기록 매체를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서 고능률 부호화를 행하고 전송 효율을 높이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근래, 아날로그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의 채널수 부족을 해소하거나, 새로운 다채널 서비스를 전개하기 위해서, 방송 위성이나 통신 위성을 통한 디지털 위성 방송이 시작되었다. 또한, 동축 케이블이나 광섬유 케이블을 통신로로 이용하는 케이블 텔레비전(CATV)이나 지상파 방송에도 디지털화의 움직임이 있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화한 화상 신호나 음성 신호를 MPEG나 AC-3 등의 부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고능률의 압축을 행하기 때문에,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에 비하여 동일 대역폭에서 6∼8배의 채널수를 확보할 수 있게 되고,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이 고능률 부호화의 대표적인 방식으로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2가 있다. MPEG2는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와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의 JTC(Joint Technical Committee)에서 ISO/IEC13818로서, 표준화가 진행되어 온 부호화 규격이다.
MPEG2에서는 부호화 규격만으로 그치지 않고, 부호화된 영상이나 음성 등의 데이터 스트림을 폭넓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영상, 음성 등의 데이터 스트림을 다중화하는 방식에 대해서도 규격이 정해져 있다. 이 규격은 MPEG2 시스템(MPEG2 Systems)이라 불리고 있고, 데이터 스트림의 사용 용도에 따라, 방송, 통신에 사용되는 한 트랜스포트 스트림(TS: Transport Stream)과, 축적, 기록에 사용되는 프로그램 스트림(PS: Program Stream)의 2개의 데이터 스트림 규격이 있다.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복수의 프로그램을 1개의 스트림으로 전송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고, 장래 대부분의 방송, 통신 용도에 채용되는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한편,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이하, DSP라 약칭함)를 이용하여, MPEG 방식으로 압축된 영상 신호의 복호 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있다. DSP에 있어서의 하드웨어의 처리 능력이 향상되고, IC의 동작 속도도 향상되었기 때문에, MPEG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복수의 영상 신호나 복수의 음성 신호 등을 복호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는 송신측에서,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각각 MPEG 방식으로 부호화된 것(TS 패킷)을 다중화하여 1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하고, 이 스트림을 동일하게 하여 생성된 다른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함께 각 스트림을 각각 다른 주파수의 반송파로 위성 등의 중계기에 송신하며, 수신측에서는 다른 주파수의 반송파로 수신되는 복수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각각 주파수마다 각각의 복조 수단(튜너를 포함)으로 수신 복조하고, 복조된 각각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각각 1개의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MPEG 방식으로 복호 처리하며, 각각 복호된 복수의 영상 신호를 음극선관(CRT) 등의 표시 장치의 화면에 다화면으로 표시하거나 혹은 MPEG 복호 처리하여 얻어지는 복수의 영상 신호를 각각 별도의 표시 장치에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디지털 TV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 시청자의 채널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복수 채널의 화상을 동시에 복호함과 함께, 1개의 TV 화면을 복수의 소영역으로 분할하여, 이 복호된 각 채널의 화상을 각 소영역에 동시에 표시하는 멀티 화면 표시 기능이 제공된다.
즉, 복수 채널의 TV 신호가 부호화 다중화된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신하여 각각의 채널을 동시에 복호하고, 합성하여 1개의 표시 화면에 멀티 윈도우 표시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도 1의 블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역다중화기(DEMUX)(101)에 의해 각 TV 채널로 분리하여 각 스트림마다 입력 버퍼 메모리(201∼204)에 입력한다.
참고로, 여기서 도 1의 회로는 본 발명자들이 종래 알려져 있는 구성, 즉 1개의 디코더를 포함하는 기본 회로를 복수개 병렬로 접속하여 상정한 것으로서, 후술하는 본원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제공되는 참고 기술예를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각 화상 데이터 스트림마다 독립하여 디코더(115∼118)에 의해 복호하고, 복호된 화상을 출력 버퍼 메모리(205∼208)에 저장한다.
그리고, 도 2의 타이밍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채널의 화상 데이터 스트림에 포함되는 복호 개시 정보에 따라서 각 채널의 화상 데이터가 복호된다. 또한, 이들 복호되는 화상 데이터 스트림중에서 마스터가 되는 화상을 선택하고, 마스터가 되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할 때에 이용되는 데이터로부터 재생된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출력 버퍼 메모리(205∼208)에 저장된 각 복호 화상을 독출하며, 합성부(119)에 의해 합성하여 스크린상에 멀티 윈도우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에서는 복호된 화상을 합성하기 위한 동기 일치를 행하고 복호된 화상을 각각 유지하기 위한 출력 버퍼 메모리가 필요하였다.
또한, 표시계의 수평 수직 동기 신호로서 마스터가 되는 화상의 수평 수직 동기 신호를 이용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를 전환할 때마다, 동기 신호도 전환하고, 그 전환에 따라서 수평 수직 동기 신호의 위상도 전환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마스터 전환시에 표시 화면이 흐트러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도 3은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종래의 MPEG 복호 처리 회로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2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각각 1개씩 선택된 2개의 영상 데이터를 2개의 입력 비트 스트림으로서 제1, 제2 영상 디코더(10, 20)에 각각 입력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2개의 입력 비트 스트림은 제1, 제2 영상 디코더의 각 입력 단자(11, 21)에 부여된다. 입력 단자(11, 21)에 부여된 영상 비트 스트림은 각각, 제1, 제2 영상 디코더내의 MPEG 디코더(12, 22)에 공급되어 출력 단자(13, 23)에 MPEG 복호된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MPEG 디코더(12, 22)에는 STC 카운터(15, 25)(STC는 System Time Clock의 약칭으로, 기준이 되는 동기 신호를 의미함)로부터 클럭 계수치가 공급되고, 동기 신호 발생 회로(18, 28)로부터 상기 클럭 계수치에 기초한 동기 신호가 공급된다.
PCR 검출 회로(14, 24)에서는 입력 단자(11, 21)에 공급되는 각 입력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그 영상 신호의 기준 시간 정보인 PCR(Program Clock Reference: 프로그램 시각 기준 참조치)을 추출한다. 각각의 영상 디코더(10, 20)는 각각 독립한 클럭 발생 회로(17, 27)를 구비하고 있다. 또, PCR은 각 입력 비트 스트림에 소정의 주기(예컨대 100 ㎳의 주기)로 포함되고, 그 PCR을 주기적으로 비교 참조함으로써 STC 카운터(15, 25)의 값을 MPEG 인코더측에서 의도한 값으로 세트 교정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제1 영상 디코더(10)내의 클럭 발생 회로(17)에서 발생된 클럭은 STC 카운터(15)에서 카운트된다. 비교기(차분 회로)(16)에서는 PCR 검출 회로(14)에 의해 제1 입력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한 PCR치와 STC 카운터(15)의 카운트 출력치가 비교되며, 양쪽의 차가 큰 경우에는 도래한 PCR의 값을 STC 카운터(15)에 로드하고, 양쪽의 차가 작을 때에는 차분 정보로부터 클럭의 주파수 차이를 검출하여 클럭 발생 회로(17)에 대하여 그 주파수를 보정한다.
제2 영상 디코더(20)내의 클럭 발생 회로(27)에서 발생된 클럭은 STC 카운터(25)에서 카운트된다. 비교기(차분 회로)(26)에서는 PCR 검출 회로(24)에 의해 제2 입력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한 PCR치와 STC 카운터(25)의 카운트 출력치가 비교되며, 양쪽의 차가 큰 경우에는 도래한 PCR의 값을 STC 카운터(25)에 로드하고, 양쪽의 차가 작을 때에는 차분 정보로부터 클럭의 주파수 차이를 검출하여, 클럭 발생 회로(27)에 대하여 그 주파수를 보정한다.
따라서, 클럭 발생 회로(17, 27)는 입력되는 2개의 영상 비트 스트림에 의존한 주파수에서의 발진을 행하기 때문에, 상기 MPEG 복호 처리 시스템은 2개의 클럭으로 동작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MPEG 복호 처리 회로에 있어서, DSP에서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경우, 고속의 DSP라면 2개의 영상 데이터를 1개의 DSP로 처리하는 것은 능력적으로 가능하지만, 1개의 DSP는 1개의 클럭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처리가 곤란하다. 또한, 2클럭으로 동작하는 회로 시스템은 전체 시스템이 1개의 클럭으로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제어계의 설계가 곤란하고, 또한 클럭의 분배가 회로부마다 설계 시점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유연성이 부족한 시스템이 되는 결점이 있다.
상기 선행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하는 화상의 전환과 동시에 표시하는 복수개의 화상중 마스터가 되는 화상을 전환할 때에 표시 화면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한 디지털 화상 복호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합성을 위한 출력 버퍼 메모리를 없애고, 장치의 하드웨어양을 삭감할 수 있는 디지털 화상 복호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은 1개의 클럭으로 복수의 복호 처리가 가능하고, 시스템 설계를 간이화할 수 있는 복호 처리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참고 기술예의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복호 타이밍도.
도 3은 종래의 복호 처리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복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이용되는 디코더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세 블록도.
도 6은 도 4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복호 타이밍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제1 실시예의 복호 처리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이용되고 있는 기본 처리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9는 도 8의 기본 처리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1은 MPEG2 트랜스포트 패킷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제2 실시예의 복호 처리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제3 실시예의 복호 처리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4는 도 8, 도 12 또는 도 13의 실시예의 복호 처리 회로의 출력에 접속하여 1개의 화면에 2개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제4 실시예의 복호 처리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6의 (a)∼(c)는 도 15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제5 실시예의 복호 처리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제6 실시예의 복호 처리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9는 도 15, 도 17 또는 도 18의 실시예의 복호 처리 회로의 출력에 접속하여 1개의 화면에 2개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영상 데이터 입력 단자
12, 22: MPEG 디코더
14, 14A, 24: PCR 검출 회로
15, 25: STC 카운터
18, 28: 동기 신호 발생 회로
27: 클럭 발생 회로
31, 41: 비교 회로(차분 회로)
32, 42: STC 차분치 레지스터
33, 43: 가산기
101: 역다중화기
102: PCR 추출부
103, 104, 105, 106: STC 카운터
107, 108, 109, 110: 입력 버퍼 메모리
111, 112, 113, 114: 복호 제어부
115, 116, 117, 118: 디코더
119: 합성부
120: PCR 선택기
121: STC 선택기
123: 비교기
124: LPF(저역 통과 필터)
125: VCO
126: 동기 신호 발생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고, 이 비트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기준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시각과 시스템 클럭을 재생하며, 상기 화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트 스트림이 복수개 다중화된 다중화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고, 이 다중화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복호된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1개 이상 분리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다중화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마스터가 되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마스터 스트림으로서 1개 선택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마스터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기준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마스터가 되는 화상을 복호할 때에 이용하는 기준 시각과 시스템 클럭을 재생하는 제3 단계와, 상기 복호된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기준 시각 정보와 상기 재생된 시스템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된 화상을 복호할 때에 이용하는 기준 시각을 재생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재생된 시스템 클럭을 이용하여 복호 개시 신호를 생성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2 단계 내지 제5 단계의 처리와 병행하여 상기 분리된 비트 스트림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를 입력 버퍼 메모리에 축적하는 제6 단계와, 상기 복호 개시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 버퍼 메모리에 축적된 화상 데이터의 복호를 개시하는 제7 단계를 구비한 것을 요지로 하는 디지털 화상 복호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비트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기준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시각과 시스템 클럭을 재생하며, 상기 화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트 스트림이 복수개 다중화된 다중화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다중화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복호된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1개 이상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다중화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마스터가 되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마스터 스트림으로서 1개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분리된 비트 스트림마다 이 비트 스트림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1개 이상의 입력 버퍼 메모리와, 상기 마스터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기준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마스터가 되는 화상을 복호할 때에 이용하는 기준 시각과 시스템 클럭을 재생하는 클럭 재생 수단과, 상기 복호된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기준 시각 정보와 상기 재생된 시스템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된 화상을 복호할 때에 이용하는 기준 시각을 재생하는 기준 시각 재생 수단과, 상기 재생된 시스템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된 각 비트 스트림에 공통인 복호 개시 신호를 생성하는 복호 개시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복호 개시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 버퍼 메모리에 축적된 화상 데이터의 복호를 개시하는 1개 이상의 복호 수단을 구비한 것을 요지로 하는 디지털 화상 복호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복호 개시 신호는 마스터가 되는 화상 신호중에 포함되는 복호 개시 시각 정보에 의존하지 않는 표시계의 동기 신호에 동기한 신호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입력 버퍼 메모리로서 확보되는 용량은 데이터중에 포함되는 복호 개시 시각 정보를 기준으로 복호를 개시할 때에 요구되는 데이터량보다도, 마스터가 되는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 시간분에 입력되는 최대의 데이터량분 이상 많게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이 다중화된 다중화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복호 대상의 1개 이상의 비트 스트림을 각각 입력 버퍼 메모리에 축적하고, 각 비트 스트림에 공통의 공통 복호 개시 신호에 의해 각 입력 버퍼 메모리에 대응한 각각의 디코더가 화상 데이터를 복호하기 때문에, 각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의 타이밍이 일치하고, 복수의 화상을 1개의 표시 화면에 합성하기 위해서 타이밍을 맞추기 위한 출력 버퍼 메모리가 불필요해지며, 직접 합성부에서 합성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가 되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스트림을 전환하여도 동기 신호는 위상이 흐트러지지 않기 때문에, 마스터 전환시의 표시 화상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기준 시간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MPEG 방식으로 부호화된 스트림을 수신하여 복호하는 복호 처리 회로로서, 상기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기준 시간 정보를 검출하는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과, 상기 스트림의 송신측 클럭에 동기하지 않는 주파수의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 발생 수단과, 상기 클럭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클럭을 카운트하는 것으로, 그 출력치가 상기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수정되는 카운터 수단과, 상기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동기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따라서 상기 스트림을 복호 처리하는 복호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각각 기준 시간 정보를 가진 예컨대 2개의 영상 데이터를 제1, 제2의 영상 디코더로 복호할 때에, 적어도 제1 영상 디코더에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상기 복호 처리 회로를 이용하면, 상기 클럭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1개의 클럭을 제1, 제2의 영상 디코더에서 공통으로 이용하여 복호 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클럭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클럭을 제2 영상 디코더의 클럭으로서 사용하는 한편, 상기 클럭 발생 수단의 클럭을 제1 영상 디코더의 상기 카운터 수단으로 카운트하여 사용할 때에는 그 카운트치를 제1 영상 디코더내의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치에 의해 수정하여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1개의 클럭으로도 복수의 영상 디코더를 비동기로 복호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이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MPEG 방식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동화상 신호를 4개(이하 ch1∼ch4라 약칭함)로 다중화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신하여 모든 화상 신호를 복호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디지털 화상 복호 장치의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디지털 화상 복호 장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 화상 데이터 스트림을 분리하는 분리 수단인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 ; 이하, 역다중화기라 약칭함)(101)와, 역다중화기(101)에 포함되고, 각 채널의 기준 시각 정보인 프로그램 클럭 참조치(program clock reference; 이하, PCR이라 약칭함)를 분리하여 추출하는 PCR 추출부(102)와, 각 PCR을 이용하여 각 채널의 기준 시각(system time clock; STC라 약칭함)를 재생하는 STC 카운터(103∼106)와, 4채널의 PCR 및 STC 카운터로부터 마스터가 되는 PCR 및 STC를 선택하는 마스터 선택 수단인 PCR 선택기(120) 및 STC 선택기(121)와, 역다중화기(101)에 의해 분리된 각 채널마다의 화상 데이터 비트 스트림을 축적하는 입력 버퍼 메모리(107∼110)와, 마스터로서 선택된 PCR과 STC를 비교하는 비교기(123)와,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이하 LPF라 약칭함)(124)와, 시스템 클럭을 발생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voltage-controlled oscillator; 이하 VCO라 약칭함)(125)와, 시스템 클럭에 기초하여 표시용 동기 신호 및 각 채널에 공통의 복호 개시 신호를 발생하는 동기 신호 발생부(126)와, 복호 개시 신호를 수신하여 각 입력 버퍼 메모리(107∼110)에 축적된 화상 데이터의 복호를 개시시키는 복호 제어부(111∼114)와, 복호 제어부(111∼114)의 제어에 의해 각 채널의 부호화 화상 데이터의 복호를 개시하는 디코더(115∼118)와, 4채널의 복호 결과를 합성하는 합성부(119)를 구비하고 있다.
또, STC 선택기(121)에 의해 선택된 마스터가 되는 STC 카운터, 비교기(123), LPF(124) 및 VCO(125)는 시스템 클럭 재생 수단인 위상 동기 루프(phase-locked loop; 이하 PLL이라 약칭함)를 형성하고, 선택된 STC 카운터로부터는 마스터가 되는 화상을 복호할 때에 이용하는 기준 시각을 얻고, VCO(125)로부터는 각 채널 공통으로 이용되는 시스템 클럭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5는 디코더(115)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의 디코더(115∼118)의 4개의 디코더는 서로 같이 종래의 MPEG 디코더와 동일하기 때문에, 디코더(115)를 예로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있어서, 디코더(115)는 가변 길이 복호부(141)와, 역 양자화부(142), 역 이산 코사인 변환(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이하, 역 DCT라 약칭함)부(143), 움직임 보상부(144), 복호 메모리(146), 출력 필터부(145)를 구비하고 있다. 도 4의 입력 버퍼 메모리(107)에 축적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는 가변 길이 복호부(141)에 입력된다. 또한 복호 제어부(111)로부터의 복호의 제어는 디코더(115) 전체가 받는다.
다음에, 도 4의 디지털 화상 복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입력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역다중화기(101)에 의해 트랜스포트 스트림중 패킷 식별 정보(packet identifier; 이하 PID라 약칭함)에 기초하여 4채널의 부호화 화상 데이터 스트림으로 분리되고, 각 채널마다 설치된 입력 버퍼 메모리(107∼110)에 축적되며, 각 채널마다 디코더(115∼118)로 복호된다.
여기서, ch1의 화상 신호는 STC 카운터(103)의 카운트를 기준 시각으로 하고, 디코더(115)를 이용하여 복호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동일하게, ch2의 화상 신호는 STC 카운터(104)의 카운트를 기준 시각으로 하고, 디코더(116)를 이용하여 복호하며, ch3의 화상 신호는 STC 카운터(105)의 카운트를 기준 시각으로 하고, 디코더(117)를 이용하여 복호하며, ch4의 화상 신호는 STC 카운터(106)의 카운트를 기준 시각으로 하고, 디코더(118)를 이용하여 복호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입력된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PCR 추출부(102)를 이용하여 각 ch마다의 PCR이 추출되고, 각 STC 카운터(103∼106)로 송신된다.
처음에 마스터 스트림을 ch1로 했을 때의 시스템 클럭과 기준 시각(STC)을 재생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역다중화기(101)에 입력된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PCR 추출부(102)를 이용하여 ch1의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PCR 정보를 추출하고, STC 카운터(103)에 PCR의 값을 보낸다. STC 카운터(103)는 ch1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최초의 PCR를 수취하면, 이 값을 카운터에 로드하고, VCO(125)로부터 출력되는 시스템 클럭을 이용하여 각 STC 카운터(103∼106)를 동작시킨다.
이어서 다시 PCR 추출부(102)에서 ch1의 다음 PCR이 추출되면, 마스터 스트림 선택 수단인 PCR 선택기(120) 및 STC 선택기(121)를 통해, ch1의 이 제2 PCR치와 STC 카운터(103)에서 카운트한 ch1의 STC 카운트치가 비교기(123), LPF(124), VCO(125)로 구성된 PLL에 출력되고, ch1의 스트림에 동기한 시스템 클럭이 재생된다. 이하 동일하게 PLL에 차분치가 반영됨으로써 안정된 시스템 클럭이 계속해서 재생된다.
여기서, 마스터 스트림을 다른 채널로 변경한 경우의 동작은 마스터 스트림을 변경한 직후에 검출된 PCR의 값을 STC 카운터에 로드하고, 변경 직후의 차분치를 0으로 함으로써, 시스템 클럭의 급격한 주파수 변화를 피할 수 있다.
한편, 마스터 스트림 이외의 슬레이브 스트림(slave stream)인 ch2, ch3, ch4의 스트림에 관해서는 PCR 추출부(102)에서, 각 슬레이브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PCR 정보가 추출되고, 각 ch에 대응한 STC 카운터(104, 105, 106)에 PCR의 값을 보낸다. 각 STC 카운터(104∼106)는 각각 보내어져 온 PCR치를 받아, VCO(125)로부터 출력되는 마스터 스트림에 동기한 시스템 클럭을 이용하여 카운트 동작을 행한다. 즉 슬레이브 스트림에 할당된 STC 카운터는 PCR이 인가될 때마다, 인가된 PCR치로 규정되는 카운트 동작을 행한다.
이어서 마스터 스트림에 동기한 시스템 클럭으로부터 복호 개시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VCO(125)로부터 출력되는 시스템 클럭을 동기 신호 발생부(126)로 보내고, 이 시스템 클럭을 그 내부의 분주기로 분주함으로써, 복호 개시 신호, 수직 수평 표시용 동기 신호를 생성한다.
원래는 이 복호 개시 신호는 마스터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복호 개시 시각 정보(decoding time stamp; 이하, DTS라 약칭함)와 일치하도록 제어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는 DTS를 이용하지 않고, 표시계가 일의적으로 결정되는 위상에서 복호 개시 신호를 시스템 클럭을 이용하여 생성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스트림을 ch1에서 ch2로 변경한 경우라도, 각 ch에 포함되는 복호 개시 정보의 위상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위상에서 복호 개시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이 복호 개시 신호의 주기는 마스터 스트림의 프레임률(frame rate)와 일치시키는, 즉, 마스터 스트림을 변경하면 복호 개시 신호의 주기도 변경한 마스터 스트림의 프레임률로 변경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어서, 각 디코더에서의 복호 개시 동작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생성된 각 채널에 공통의 복호 개시 신호가 복호 제어부(111∼114)에 입력되면, 이 타이밍에서 각각의 STC 카운터(103∼106)의 값과 스트림중 DTS의 값을 비교한다.
이 비교 결과, DTS의 값이 STC 카운터의 값보다도 작으면, 이 복호 개시 신호의 타이밍에서 현재의 프레임의 복호를 대응하는 디코더에 개시시킨다. 여기서 DTS의 값이 STC 카운터의 값보다도 1프레임분 이상 작은 경우에는 DTS의 값이 STC 카운터의 값보다도 큰 프레임까지 복호를 스킵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DTS의 값 쪽이 크면, 다음 복호 개시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복호 동작을 정지시킨다. 또한, DTS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프레임의 데이터였던 경우에는 DTS의 값이 STC 카운터의 값보다도 작다고 판단된 것과 동일하게, 입력된 복호 개시 신호의 타이밍에서 프레임의 복호를 개시시킨다.
여기서, 각 ch의 데이터를 본래의 DTS와는 다른 복호 개시 시각에서 개시하기(도 6을 참조) 위해서, 각 ch의 디코더(115∼118)는 본래의 DTS보다도, 최대 마스터가 되는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 시간분 복호 개시 시각이 지연되기 때문에, 본래의 DTS로 복호를 개시하는 경우에 가져야 되는 입력 버퍼 용량보다도, 마스터가 되는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 시간분에 입력되는 최대의 데이터량분 이상 많게 각각의 입력 버퍼 메모리(107∼110)를 가질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하여 동일 타이밍에서 복호를 개시한 복수의 ch의 화상 데이터는 각각의 디코더(115∼118)의 출력에 동기 일치용 출력 버퍼 메모리를 가지지 않고서, 예컨대 합성부(119)를 통해 한 화면에 합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용의 수직 수평 동기 신호는 마스터가 되는 부호화 화상 데이터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복호 개시 시각 정보에 상관없이, 시스템 클럭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되므로, 마스터를 전환하여도 표시계의 동기 신호의 위상은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마스터 전환시의 화면의 흐트러짐이 생기는 일이 없다.
이어서, 발명의 제2 양태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 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복호 처리 회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도 7의 복호 처리 회로에 있어서의 기본 처리를 실현하는 블록도이다. 따라서, 도 7은 도 8의 구성을 기본 처리 회로로서 이용하여 복수의 입력 영상 데이터의 복호 처리를 실현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도 8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우선, 도 10을 참조하여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설명한다.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는, 송신측에서, 복수의 촬상 장치(51∼57)로부터 얻어지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각각 복수의 MPEG 인코더(61∼67)에 입력하고, 각 인코더(61∼67) 각각에서 MPEG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트랜스포트 패킷(이하, TS 패킷)을 생성한다. 도 10에서는 MPEG 인코더(61∼67)는 3개의 트랜스포트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고, 복수(도 10에서는 3개)의 MPEG 인코더(61∼63)는 1개의 클럭 발생기(71)로부터의 클럭에 의해 동작하고 있다. 복수(도 10에서는 2개)의 MPEG 인코더(64, 65)는 1개의 클럭 발생기(72)로부터의 클럭에 의해 동작하고 있다. 동일하게, 복수(도 10에서는 2개)의 MPEG 인코더(66, 67)는 1개의 클럭 발생기(73)로부터의 클럭에 의해 동작하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MPEG 인코더(61∼63)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복수의 TS 패킷을 다중화 회로(81)에서 다중화하여 1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하고, 변조 회로(91)에서 반송파를 변조하여 안테나로부터 위성(100)으로 송신한다. 동일하게, 복수의 MPEG 인코더(64, 65)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복수의 TS 패킷을 다중화 회로(82)에서 다중화하여 1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하고, 변조 회로(92)에서 반송파를 변조하여 안테나로부터 위성(100)으로 송신한다. 동일하게, 복수의 MPEG 인코더(66, 67)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복수의 TS 패킷을 다중화 회로(83)에서 다중화하여 1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하며, 변조 회로(93)에서 반송파를 변조하여 안테나로부터 위성(100)으로 송신한다. 위성(100)에서는 상기 3개의 트랜스포트 그룹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복수(3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각각 별도의 중계기(트랜스폰더)(101∼103)로 증폭 등을 행하여 재송신한다. 수신측에서는 이들 복수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의한 반송파를 안테나로 수신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200)에 공급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200)는, 여기서는 2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회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200)에서는 다른 주파수의 반송파로 수신되는 복수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각각 주파수마다 각각의 복조 회로(튜너를 포함함)(211, 212)에서 수신 복조하여, 복조된 각각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각각 2개의 다중 분리 회로(221, 222)에 공급하고, 각각의 트랜스포트로부터 각각 1개의 영상 데이터를 선택(분리)하여, 각 영상 데이터를 제1, 제2의 영상 디코더(각각 MPEG 디코더를 포함함)(231, 232)에서 MPEG 방식으로 복호 처리하고, 이 MPEG 복호 처리된 2개의 영상 신호를 주부(主副) 신호로서, 음극선관(CRT) 등의 표시 장치(241)의 화면에 2화면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MPEG 복호 처리된 2개의 영상 신호를 각각 별도의 표시 장치(241, 242)에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1에 MPEG2 트랜스포트 패킷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MPEG2 시스템 레이어(MPEG2 System Layer)에서는 복수의 영상 스트림을 패킷화하고, 1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다중하는 방법을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1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다중화되는 각 영상 비트 스트림의 패킷은 트랜스포트 패킷(TS 패킷이라 약칭)이라 불리고 있다. TS 패킷에는 4 바이트의 헤더 부분이 있고, 그 안의 PID(패킷 ID)에 의해 그 패킷이 무엇인지를 나타낸다. 다중 분리 회로(221, 222)에 있어서의 시스템 레이어의 복호에서는 PID를 취출하여, 값을 판정함으로써 그것이 무슨 패킷인지를 판정하고, 복호해야 되는 영상 데이터의 패킷인 경우는 그 패킷을 추출하여 영상 디코더(231, 232)로 전송한다. PCR은 영상 비트 스트림인 트랜스포트 패킷에 있어서의 적응 필드내의 임의의 필드에 설치되어 있다. 1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다중되는 영상 스트림의 수는 예컨대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비트 레이트를 40 Mb/s로 하고, 영상 비트 스트림의 비트 레이트를 6 Mb/s로 하면, 6개 전송할 수 있다. 더욱이, 많은 영상 스트림을 전송하고 싶은 경우에는 복수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이용한다. 다른 트랜스포트 스트림중에 있는 복수의 영상 스트림을 복호하기 위해서는 도 10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가 필요하다.
도 7은 도 10에 있어서의 제1, 제2의 영상 디코더(231, 232)에 상당하는 복호 처리 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서는 후술하는 도 8에 도시하는 기본 처리 회로를 이용하여 1개의 클럭 발생 회로에서 비동기로 제1, 제2 영상 디코더의 복호 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복호 처리 회로(1)는 2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각각으로부터 분리하여 얻어지는 2개의 영상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여 복호하기 위한 제1, 제2 영상 디코더로 구성되어 있다. 도 3과 동일 기능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도 3에 있어서의 클럭 발생 회로(17)를 삭제하고, 1개의 클럭 발생 회로(27)만으로 한 것이다.
제1 영상 디코더는 영상 비트 스트림의 입력 단자(11), 복호 수단인 MPEG 디코더(12), 영상 신호의 출력 단자(13),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인 PCR 검출 회로(14A), 카운터 수단인 STC 카운터(15), 동기 신호 발생 수단인 동기 신호 발생 회로(18), 동기 신호의 출력 단자(19)로 구성되어 있고, 제2 영상 디코더는 영상 비트 스트림의 입력 단자(21), 복호 수단인 MPEG 디코더(22), 영상 신호의 출력 단자(23),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인 PCR 검출 회로(24), 카운터 수단인 STC 카운터(25), 비교 회로(차분 회로)(26), 클럭 발생 수단인 클럭 발생 회로(27), 동기 신호 발생 수단인 동기 신호 발생 회로(28), 동기 신호의 출력 단자(29)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영상 비트 스트림은 단자(11, 21)에 부여된다. 단자(11)에 부여된 영상 비트 스트림에 포함되는 기준 시간 정보인 PCR은 PCR 검출 회로(14A)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단자(21)에 부여된 영상 비트 스트림에 포함되는 기준 시간 정보인 PCR는 PCR 검출 회로(24)에 의해 검출된다. STC 카운터(25)의 카운트치가 비교 회로(26)에서 PCR의 값과 비교되고, 그 차분치를 작게 하도록 클럭 발생 회로(27)의 발진 주파수가 제어된다. 클럭 발생 회로(27)에서 발생되는 클럭은 단자(21)에 부여되는 영상 비트 스트림의 송신측 클럭에 주파수가 일치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단자(11)에 부여되는 영상 비트 스트림의 송신측 클럭의 주파수와 일치하지 않는다. 입력 단자(11), PCR 검출 회로(14), STC 카운터(15), MPEG 디코더(12), 동기 신호 발생 회로(18), 출력 단자(13), 동기 신호 출력 단자(19)는 도 8에서 설명하는 기본 처리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MPEG 디코더(12)는 STC 카운터(15)의 카운트치(단자(11)에 더해지는 영상 비트 스트림의 기준 시간을 나타내는 값)에 기초하여 복호 처리를 행한다. 이렇게 해서, 단자(13, 23)에는 2개의 영상 신호가 출력되고, 그리고, 단자(19, 29)에는 단자(13, 23)에 출력되는 영상 신호에 동기한 동기 신호가 출력된다.
도 8은 도 7의 복호 처리 회로에 있어서의 기본 처리를 실현하는 블록도이고, 도 9는 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하는 기본 처리 회로는 도 7에 있어서의, 제1 영상 디코더(11, 12, 13, 14A, 15, 18, 19)와 제2 영상 디코더의 클럭 발생 회로(27)로 구성되어 있다.
도 8에 있어서, PCR은 27 MHz의 송신측 클럭을 송신측 카운터로 계수한 값을 소정의 주기(PCR은 예컨대 100 ms 주기로 도래하기 때문에, 1수직 주기를 16.7 ms로 하면, 거의 6수직 주기에 1회의 분할로 도래하게 됨)로 전송하는 것이다. 수신측에서는 27 MHz의 클럭 발생 회로(27)를 구비하고 있고, 도래하는 PCR을 참조하면서 27 MHz의 클럭을 발생한다. STC 카운터(15)는 클럭 발생 회로(27)로부터의 27 MHz의 클럭 출력을 카운트한다. 단자(11)로부터 영상 비트 스트림과 함께 PCR이 도래하면, PCR 검출 회로(14A)는 STC 카운터(15)의 값과 비교하여 그 차분 데이터를 기억한다. 그리고, PCR 검출 회로(14A)는 동기 신호 발생 회로(18)로부터의 수직 동기 신호 V를 발생하는 타이밍에서, 차분치와 STC 카운터(15)로부터의 출력을 가산(혹은 감산)함으로써 STC 카운터(15)가 취해야 되는 값(이하, 보정치)을 구하여, 그 보정치를 STC 카운터(15)에 로드한다. 도 8에서 동기 신호 발생 회로(18)로부터 PCR 검출 회로(14A)로 귀환하고 있는 신호 라인은 동기 신호 발생 회로(18)로부터의 수직 동기 신호 VD를 PCR 검출 회로(14A)로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이 수직 동기 신호 V의 타이밍이 부여된 후에 PCR 검출 회로(14A)는 PCR이 도래했을 때에 산출한 차분치에 기초한 보정치를 STC 카운터(15)에 로드한다. 이 보정치의 로드는 PCR치가 도래할 때마다 또한 수직 동기 신호 V의 발생 타이밍 후에 행해져, 이 로드에 의해 STC 카운터(15)의 값이 그 때마다 교정(보정)되게 된다. 따라서, STC 카운터(15)로의 보정치의 로드가 행해진 후에는 클럭 발생 회로(27)가 발생하는 클럭과 송신측의 클럭 주파수가 완전히 일치하고 있으면, 도래하는 PCR의 값과 STC 카운터(15)의 값은 항상 일치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클럭 발생 회로(27)의 클럭 주파수는 송신측의 클럭 주파수와 항상 일치하고 있지는 않기 때문에, 다음에 도래하는 PCR의 값과 카운터(15)의 값에서 차가 생긴다.
도 9는 횡축을 시간 t로 하고, 종축을 STC 카운터(15)의 값으로 하여 시간 경과에 따르는 STC 카운터(15)의 값의 추이를 표시한 것이다. 시각 0에서 STC 카운터(15)의 값이 0이라 하여 설명한다. STC 카운터(15)는 시간과 함께 계수치가 상승한다. 동기 신호 발생 회로(18)는 STC 카운터(15)의 값에 따라서 수평 동기 신호 H, 수직 동기 신호 V를 발생하여 단자(19)에 입력시킨다. 도 9에서는 수평 동기 신호 H가 출력되는 타이밍과 수직 동기 신호 V가 발생되는 타이밍을 개념적으로 H와 V로 표현하였다. 동기 신호 발생 회로(18)는, 실제로는 NTSC 방식의 경우 525H(약 16.7 ms)로 수직 동기 신호 V를 발생하지만, 도 9에서는 간략화를 위한 4H에서 수직 동기 신호 V를 발생하도록 도시하고 있다. 실제로는 27 MHz를 카운트하는 STC 카운터(15)의 값이 858×2=1716 올라갈 때마다, 15.734 KHz의 수평 동기 신호 H를 만든다. 또한, 858×525=450450 올라갈 때마다 59.94 Hz의 수직 동기 신호 V를 출력한다. 도 9에서, 동기 신호 발생 회로(18)에 의한 두번째의 V의 위치를 지난 곳에서 STC 카운터(15)의 값의 상승에 불연속의 점이 있다. 이것은 PCR이 도래하여 이 PCR에 기초하여 산출한 차분치를 유지하고, V의 위치를 지난 Vp의 시점에서 차분치를 STC 카운터(15)의 값에 더하여 보정치 b로 한 것을 PCR 검출 회로(14A)가 STC 카운터(15)에 로드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는 STC 카운터(15)의 값이 도래하는 PCR의 값에 비하여 높다. 이것은 수신 장치의 동기 신호 발생 회로(27)의 클럭 주파수가 송신측의 클럭보다도 약간 높았던 것을 의미한다. STC 카운터(15)로의 보정치 b의 로드 타이밍 Vp가 동기 신호 발생 회로(18)로부터의 수직 동기 신호 V의 타이밍을 지난 시점이 되기 때문에, 다음 수평 동기 신호 H가 발생하는 타이밍은 약간 뒤로 벗어나 있다. 즉, 로드가 이루어지는 타이밍 Vp를 사이에 두는 수직 동기 신호 V의 타이밍과 다음 수평 동기 신호 H의 타이밍과의 시간 간격은 통상의 수평 주기(1H)보다 길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 후의 수평 동기 신호 H는 일정 간격(수평 주기(1H))으로 출력된다. 이렇게 해서, 클럭 발생 회로(27)의 클럭 신호 주파수는 단자(11)에 입력하는 송신측 스트림에 동기한 것으로는 되지 않지만, 수신 장치로서 재생되는 수평 동기 신호 H와, 수직 동기 신호 V의 평균 주파수는 송신측의 수평 및 수직 평균 주파수와 완전히 일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동화상은 프레임의 누락 없이 재생할 수 있다. 또, 전술한 로드 타이밍 Vp를 사이에 두는 수직 동기 신호 V의 타이밍과 다음 수평 동기 신호 H의 타이밍과의 사이의 기간은 화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상당하는 기간(즉 오버 스캔에 상당하는 기간)이기 때문에, 이 기간의 수평 주사 기간이 다소 길어졌다고 해도, 사용자가 실제로 시청하는 표시 화면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제2 실시예의 복호 처리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STC 카운터는 입력되는 2개의 영상 비트 스트림에 대응하는 제1, 제2 영상 디코더 각각에 대하여 설치되어 있던 것을 이 제2 실시예에서는 STC 카운터를 1개로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12에 있어서, 제1 영상 디코더는 영상 비트 스트림의 입력 단자(11), 복호 수단인 MPEG 디코더(12), 영상 신호의 출력 단자(13),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인 PCR 검출 회로(14), 동기 신호 발생 수단인 동기 신호 발생 회로(18), 동기 신호의 출력 단자(19), 비교 회로(차분 회로)(31), STC 차분치 레지스터(32), 가산기(33)로 구성되어 있고, 제2 영상 디코더는 영상 비트 스트림의 입력 단자(21), 복호 수단인 MPEG 디코더(22), 영상 신호의 출력 단자(23),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인 PCR 검출 회로(24), 카운터 수단인 STC 카운터(25), 비교 회로(차분 회로)(26), 클럭 발생 수단인 클럭 발생 회로(27), 동기 신호 발생 수단인 동기 신호 발생 회로(28), 동기 신호의 출력 단자(29)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1 영상 디코더에 있어서의 비교 회로(차분 회로)(31)와 STC 차분치 레지스터(32)와 가산기(33)는 MPEG 디코더(12)에 기준 시간을 공급하는 기준 시간 발생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단자(21)에 더해진 영상 비트 스트림중에서 기준 시간 정보인 PCR을 PCR 검출 회로(24)가 추출한다. STC 카운터(25)는 클럭 발생 회로(27)에서 발생된 클럭을 카운트한다. STC 카운터(25)의 출력치와 단자(21)에 도래한 PCR의 값(PCR 검출 회로(24)의 검출치)을 비교 회로(차분 회로)(26)에서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클럭 발생 회로(27)에서 발생되는 클럭의 주파수의 제어를 행한다. 클럭 발생 회로(27)에서 발생되는 클럭의 주파수는 단자(21)에 부여되는 영상 비트 스트림의 송신측의 클럭 주파수에 일치하게 된다. 단자(11)에 부여되는 영상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PCR 검출 회로(14)에서 PCR치를 검출하여, 이 PCR치와 STC 카운터(25)의 출력치와의 차분을 비교 회로(차분 회로)(31)에서 구하여, STC 차분치 레지스터(32)에 보관한다. STC 카운터(25)로부터의 출력치와 STC 차분치 레지스터(32)의 출력치를 가산기(33)에 가산하여 단자(11)에 가해지는 영상 비트 스트림의 기준 시간을 나타내는 값(카운트치)을 얻는다. 이 값에 기초하여 MPEG 디코더(12)는 복호 처리를 행하며, 동기 신호 발생 회로(18)는 단자(13)에 출력되는 영상 신호에 동기한 동기 신호를 발생한다.
도 12에서는 STC 카운터(25)는 단자(21)에 입력되는 영상 비트 스트림의 기준 시간을 나타내는 값(카운트치)을 출력한다. 그리고, 단자(11)의 복호에 필요한 기준 시간은 STC 카운터(25)의 카운트치에 STC 차분치 레지스터(32)로부터의 차분치를 더하여 얻고 있다. 그러나, 만약, 단자(21)에 부여되는 영상 비트 스트림의 기준 시간 정보(PCR)가 변하면 STC 카운터(25)의 값이 변하고, STC 카운터(25)의 출력에 STC 차분치 레지스터(32)로부터의 차분치를 가산기(33)에 의해 더한 값은 단자(11)에 부여되는 영상 비트 스트림의 복호에 필요한 기준 시간을 나타내지만, 이것은 STC 카운터(25)의 값이 변화함과 동시에 변해 버린다. 즉, STC 카운터(25)의 값이 변화하면 MPEG 디코더(12)에 부여되는 기준 시간이 변해 버린다. 따라서, 비교 회로(31)에 있어서, 이 단자(21)의 PCR치 변화에 따라서 생기는 STC 카운터(25)의 변화치 분, STC 차분치 레지스터(32)의 출력 내용을 비켜 놓는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다음에 도시하는 도 13의 실시예는 STC 카운터(25)의 값이 단자(21)의 PCR치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제3 실시예의 복호 처리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13에 있어서, 제1 영상 디코더는 영상 비트 스트림의 입력 단자(11), 복호 수단인 MPEG 디코더(12), 영상 신호의 출력 단자(13),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인 PCR 검출 회로(14), 동기 신호 발생 수단인 동기 신호 발생 회로(18), 동기 신호의 출력 단자(19), 비교 회로(차분 회로)(31), STC 차분치 레지스터(32), 가산기(33)로 구성되어 있고, 제2 영상 디코더는 영상 비트 스트림의 입력 단자(21), 복호 수단인 MPEG 디코더(22), 영상 신호의 출력 단자(23),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인 PCR 검출 회로(24), 카운터 수단인 STC 카운터(25), 비교 회로(차분 회로)(26), 클럭 발생 수단인 클럭 발생 회로(27), 동기 신호 발생 수단인 동기 신호 발생 회로(28), 동기 신호의 출력 단자(29), 비교 회로(차분 회로)(41), STC 차분치 레지스터(42), 가산기(43)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영상 디코더에 있어서의 비교 회로(차분 회로)(31)와 STC 차분치 레지스터(32)와 가산기(33)는 제1 기준 시간 발생 수단을 구성하고 있고, 제2 영상 디코더에 있어서의, 비교 회로(차분 회로)(41)와 STC 차분치 레지스터(42)와 가산기(43)는 제2 기준 시간 발생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STC 카운터는 1개이다. 단자(21)에 가해진 영상 비트 스트림중에서 PCR 검출 회로(24)가 PCR을 추출한다. STC 카운터(25)는 클럭 발생 회로(27)에서 발생된 클럭을 카운트한다. STC 카운터(25)의 출력치와 단자(21)에 도래한 PCR의 값(PCR 검출 회로(24)의 검출치)을 비교 회로(차분 회로)(41)에서 비교하고, 차분치를 STC 차분치 레지스터(42)에 격납한다. STC 카운터(25)의 출력치에 STC 차분치 레지스터(42)의 출력치를 가산기(43)에 가산한 결과를 기준 시간으로서 MPEG 디코더(22)에 공급하여 단자(21)의 영상 비트 스트림을 복호한다. 가산기(43)의 출력치와 PCR 검출 회로(24)로부터의 PCR을 비교 회로(차분 회로)(26)에서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클럭 발생 회로(27)의 발진 주파수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클럭 발생 회로(27)의 클럭 발진 주파수는 단자(21)에 부여되는 영상 비트 스트림의 송신측의 클럭에 동기한다. 여기서, STC 카운터(25)에는 도 12와 같이 PCR 검출 회로(24)에서 검출되는 PCR이 로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STC 카운터(25)의 값은 단자(21)의 PCR치 변화의 영향을 쉽게 받지 않는다.
단자(11)에 가해지는 영상 비트 스트림중에서 PCR을 PCR 검출 회로(14)가 추출한다. STC 카운터(25)는 클럭 발생 회로(27)에서 발생된 클럭을 카운트한다. STC 카운터(25)의 출력치와 단자(11)에 도래한 PCR의 값을 비교 회로(차분 회로)(31)에서 비교하고, 차분치를 STC 차분치 레지스터(32)에 격납한다. STC 카운터(25)의 출력치에 STC 차분치 레지스터(32)의 출력치를 가산기(33)에 가산한 결과를 기준 시간으로서 MPEG 디코더(12)에 공급하여 단자(11)의 영상 비트 스트림을 복호한다.
여기서, 만약, 클럭 발생 회로(27)의 클럭 발진 주파수는 단자(21)에 부여되는 영상 비트 스트림의 송신측의 클럭에 동기시키고 싶은 경우는 가산기(33)의 출력치와 PCR 검출 회로(14)로부터의 PCR치를 비교기(26)로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클럭 발생 회로(27)의 발진 주파수를 제어하면 된다.
도 13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STC 카운터(25)는 영상 비트 스트림 입력에 포함되는 PCR에 의해 값이 급변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단자(11, 21)에 더해지는 영상 비트 스트림의 전환을 행하여도,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서 끝난다.
도 14는 이상의 도 7, 도 12, 또는 도 13의 실시예에 도시한 복호 처리 회로의 출력에 접속하여 1개의 화면에 2개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단자(11, 21)에는 각각 영상 비트 스트림이 부여된다. 단자(13)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는 단자(19)로부터 부여되는 동기 신호에 따라서, 기록 제어 회로(65)에 의해 메모리(61)에 기록된다. 단자(29)로부터 출력되는 동기 신호는 단자(19)로부터 출력되는 동기 신호와는 일반적으로는 비동기이다. 단자(29)로부터 출력되는 동기 신호에 따라서 독출 제어 회로(62)가 메모리(61)로부터 독출한 영상 데이터는 단자(23)로부터 얻어진 영상 신호와 동기화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독출 어드레스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확대 축소 등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 메모리(61)로부터 독출된 영상 데이터는 합성 회로(63)에 부여되고, 단자(23)로부터 얻어진 영상 신호와 합성되어, 단자(64)에 합성 영상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표시 장치(도 10의 참조 부호 241에 상당함)에 공급되어 표시가 행해진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제4 실시예의 복호 처리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동기 신호 발생 회로(18)는 이용하지 않고, MPEG 디코더(12, 22)에서는 1개의 동기 신호 발생 회로(28)에서 발생된 동기 신호가 사용된다.
도 15에 있어서, 제1 영상 디코더는 영상 비트 스트림의 입력 단자(11), 복호 수단인 MPEG 디코더(12), 영상 신호의 출력 단자(13),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인 PCR 검출 회로(14A), 카운터 수단인 STC 카운터(15)로 구성되어 있고, 제2 영상 디코더는 영상 비트 스트림의 입력 단자(21), 복호 수단인 MPEG 디코더(22), 영상 신호의 출력 단자(23),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인 PCR 검출 회로(24), 카운터 수단인 STC 카운터(25), 비교 회로(차분 회로)(26), 클럭 발생 수단인 클럭 발생 회로(27), 동기 신호 발생 수단인 동기 신호 발생 회로(28), 동기 신호의 출력 단자(29)로 구성되어 있다.
동기 신호 발생 회로(28)로부터 부여되는 수평 동기 신호 H 및 수직 동기 신호 V는, 일반적으로는 단자(11)로부터 부여된 영상 비트 스트림의 송신측 동기 신호와는 비동기이다. 따라서, 동기 신호 발생 회로(28)의 동기 신호는 단자(11)에 부여된 영상 비트 스트림에 포함되는 각 영상 프레임과도 비동기가 된다.
도 16의 (a)∼(c)는 단자(11)로부터의 영상 프레임이 상기 동기 신호 발생 회로(28)의 동기 신호와 비동기로 복호되는 경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6의 (a)는 단자(11)에 부여되는 영상 비트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영상 프레임을 나타낸다. 화살표(→)는 각 영상 프레임의 STC 카운터(15)의 출력치에 기초한 복호 상태를 나타내고, 화살 머리의 선단은 영상 프레임의 복호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의 (b)는 동기 신호 발생 회로(28)로부터 MPEG 디코더(12, 22)에 부여되는 수직 동기 신호의 타이밍을 나타낸다. 도 16의 (c)는 표시되는 영상 프레임을 나타낸다. 참조 부호 71의 타이밍에서 MPEG 디코더(12)에 입력되어 복호되는 영상 프레임은 참조 부호 72의 타이밍까지 복호를 완료하고, 참조 부호 73의 수직 동기 신호의 타이밍을 기다려 출력 단자(13)에 출력하여 표시 동작을 개시한다.
단자(11)의 영상 프레임과 동기 신호 발생 회로(28)의 동기 신호와는 비동기이기 때문에, 참조 부호 74의 타이밍까지 도래한 영상 프레임과 참조 부호 76의 타이밍까지 도래한 영상 프레임 사이에는 수직 동기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기간이 생긴다. 참조 부호 74의 타이밍까지 도래하여 복호되고 영상 프레임은 표시 타이밍을 부여하는 수직 동기 신호가 없기 때문에 표시가 행해지지 않은 상태로, 다음에 도래한 영상 프레임을 참조 부호 76의 타이밍까지 복호 처리하여 그 직후에 오는 수직 동기 신호의 타이밍에서 표시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영상 비트 스트림이 갖는 영상 프레임의 주파수보다, 표시에 이용되는 수직 동기 신호의 주파수가 낮은 경우에는 전송되는 영상 프레임을 누락시킴으로써 동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비트 스트림이 갖는 영상 프레임의 주파수보다, 표시에 이용되는 수직 동기 신호의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는 전송되는 영상 프레임을 복수회 같은 영상 프레임을 표시시킴으로써 동기를 취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제5 실시예의 복호 처리 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에 있어서, 제1 영상 디코더는 영상 비트 스트림의 입력 단자(11), 복호 수단인 MPEG 디코더(12), 영상 신호의 출력 단자(13),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인 PCR 검출 회로(14), 비교 회로(차분 회로)(31), STC 차분치 레지스터(32), 가산기(33)로 구성되어 있고, 제2 영상 디코더는 영상 비트 스트림의 입력 단자(21), 복호 수단인 MPEG 디코더(22), 영상 신호의 출력 단자(23),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인 PCR 검출 회로(24), 카운터 수단인 STC 카운터(25), 비교 회로(차분 회로)(26), 클럭 발생 수단인 클럭 발생 회로(27), 동기 신호 발생 수단인 동기 신호 발생 회로(28), 동기 신호의 출력 단자(29)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영상 복호에 있어서의 비교 회로(차분 회로)(31)와 STC 차분치 레지스터(32)와 가산기(33)는 기준 시간 발생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도 17의 실시예는 도 15의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STC 카운터(15, 25)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도 12에서 나타낸 구성과 동일하게, STC 카운터(15)에 대해서는 이것을 도 17과 같이 비교 회로(차분 회로)(31), STC 차분치 레지스터(32), 가산기(33)와 바꿔 놓음으로써, 1개의 STC 카운터(25)로 실시하도록 한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제6 실시예의 복호 처리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8에 있어서, 제1 영상 디코더는 영상 비트 스트림의 입력 단자(11), MPEG 디코더(12), 영상 신호의 출력 단자(13), PCR 검출 회로(14), 비교 회로(차분 회로)(31), STC 차분치 레지스터(32), 가산기(33)로 구성되어 있고, 제2 영상 디코더는 영상 비트 스트림의 입력 단자(21), MPEG 디코더(22), 영상 신호의 출력 단자(23), PCR 검출 회로(24), STC 카운터(25), 비교 회로(차분 회로)(26), 클럭 발생 회로(27), 동기 신호 발생 회로(28), 동기 신호의 출력 단자(29), 비교 회로(차분 회로)(41), STC 차분치 레지스터(42), 가산기(43)로 구성되어 있다.
도 18의 실시예는 STC 카운터를 1개로 한 도 17의 실시예에서, PCR치에 기초하는 STC 카운터(25)의 출력치 변화(갱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구성은 전술한 도 12의 구성에서는 PCR치의 변화에 의한 STC 카운터(25)의 출력치 변화(갱신)의 문제가 있으며, 도 13에 그 문제를 해결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도 17에 있어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STC 카운터(25)에는 도 17과 같이 PCR 검출 회로(24)에서 검출되는 PCR이 로드되지 않기 때문에, STC 카운터(25)의 값은 단자(21)에 입력하는 영상 비트 스트림의 PCR치 변화의 영향을 쉽게 받지 않는다.
도 19는 이상의 도 15, 도 17 또는 도 18의 실시예에 도시한 복호 처리 회로의 출력에 접속하여 1개의 화면에 2개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2개의 영상 비트 스트림이 단자(11, 21)에 부여되고, MPEG 디코더 처리 회로(1)에 의해 복호된다. 단자(13)로부터는 단자(11)에 부여된 영상 비트 스트림을 복호된 영상 신호를 얻을 수 있고, 기록 제어 회로(65)는 단자(29)로부터 얻을 수 있는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메모리(61)에 기록을 행한다. 단자(29)에 얻어지는 동기 신호는 단자(21)에 부여되는 영상 비트 스트림의 영상 신호에 동기한 동기 신호이다. 독출 제어 회로(62)는 단자(29)로부터 얻어지는 동기 신호에 따라서 메모리(61)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독출한다. 이 경우, 독출 어드레스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확대 축소 등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합성 회로(63)는 독출 제어 회로(62)에 의해 메모리(61)로부터 독출된 영상 데이터와 단자(23)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를 합성하여 단자(64)로 합성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표시 장치(도 10의 참조 부호 241에 상당함)에 공급되어 표시가 행해진다.
또한, 이상 기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제2의 영상 디코더로 이루어지는 복호 처리 회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n개(n≥2, n은 정수)의 영상 디코더로 이루어지는 복호 처리 회로에 대해서도 응용할 수 있다.
즉, 기준 시간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n(n≥2, n은 정수)개의 영상 데이터를 MPEG 방식으로 부호화된 n개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복호하는 n개의 복호 수단을 구비한 복호 처리 회로에 있어서, n개의 복호 수단중 적어도 1개가 도 8에 도시한 기본 처리 회로(복호 처리 회로)이어도 좋다.
도 14 및 도 19에 관련하여 상기 n개의 복호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n개의 영상 신호중 적어도 1개의 영상 신호를 그 1개의 영상 신호의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메모리에 기억하고, 상기 n개의 영상 신호중 적어도 1개의 영상 신호의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독출함으로써, 상기 n개의 영상 신호중 적어도 2개의 영상 신호를 동기화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실시예에 관련해서는 기준 시간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n(n≥2, n은 정수)개의 영상 데이터를 MPEG 방식으로 부호화된 n개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복호하는 복호 처리 회로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기준 시간 정보를 검출하는 n개의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과, 상기 n개의 스트림중 적어도 1개의 스트림의 송신측 클럭에 동기하지 않는 주파수의 클럭을 발생하는 많아도 n-1개의 클럭 발생 수단과, 상기 클럭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클럭을 카운트하는 것으로, 그 출력치가 상기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수정되는 많아도 n-1개의 카운터 수단과, 상기 클럭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클럭을 카운트하는 것으로, 그 출력치를 상기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중 적어도 1개의 출력치와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클럭 발생 수단의 클럭 주파수를 보정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카운터 수단과, 상기 n개의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n개의 동기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n개의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따라서 상기 n개의 스트림을 복호 처리하는 n개의 복호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12의 실시예에 관련해서는 기준 시간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n(n≥2, n은 정수)개의 영상 데이터를 MPEG 방식으로 부호화된 n개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복호하는 복호 처리 회로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기준 시간 정보를 검출하는 n개의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과, 상기 n개의 스트림중 적어도 1개의 스트림의 송신측 클럭에 동기하지 않는 주파수의 클럭을 발생하는 많아도 n-1개의 클럭 발생 수단과, 상기 클럭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클럭을 카운트하는 것으로, 그 출력치를 상기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중 적어도 1개의 출력치와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클럭 발생 수단의 클럭 주파수를 보정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카운터 수단과, 상기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의 출력치와 상기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기초하여 기준 시간을 발생하는 많아도 n-1개의 기준 시간 발생 수단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 또는 상기 많아도 n-1개의 기준 시간 발생 수단의 출력치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n개의 동기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기준 시간 발생 수단의 출력치 또는 상기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따라서 상기 n개의 스트림을 복호 처리하는 n개의 복호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13의 실시예에 관련해서는 기준 시간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n(n≥2, n은 정수)개의 영상 데이터를 MPEG 방식으로 부호화된 n개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복호하는 복호 처리 회로로서, 상기 n개의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기준 시간 정보를 검출하는 n개의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과, 상기 n개의 스트림중 n-1개의 스트림의 송신측 클럭에 동기하지 않는 주파수의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 발생 수단과, 상기 클럭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클럭을 카운트하는 카운터 수단과, 상기 n개의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의 출력치와 상기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기초하여 기준 시간을 발생하는 n개의 기준 시간 발생 수단과, 상기 n개의 기준 시간 발생 수단의 출력치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n개의 동기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n개의 기준 시간 발생 수단의 출력치에 따라서 상기 n개의 스트림을 복호 처리하는 n개의 복호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더욱이, 도 15의 실시예에 관련해서는 기준 시간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n(n≥2, n은 정수)개의 영상 데이터를 MPEG 방식으로 부호화된 n개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복호하는 복호 처리 회로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기준 시간 정보를 검출하는 n개의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과, 상기 n개의 스트림중 적어도 1개의 스트림의 송신측 클럭에 동기하지 않는 주파수의 클럭을 발생하는 많아도 n-1개의 클럭 발생 수단과, 상기 클럭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클럭을 카운트하는 것으로, 그 출력치가 상기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수정되는 많아도 n-1개의 카운터 수단과, 상기 클럭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클럭을 카운트하는 것으로, 그 출력치를 상기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중 적어도 1개의 출력치와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클럭 발생 수단의 클럭 주파수를 보정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카운터 수단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1개의 동기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n개의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따라서 상기 n개의 스트림을 복호 처리하는 n개의 복호 수단으로서, 상기 n개의 복호 수단은 상기 카운터 수단의 출력과 표시 타이밍을 부여하는 상기 동기 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동기 신호와의 타이밍이 부정합인 경우에, 영상 프레임을 솎아냄으로써 혹은 같은 영상 프레임을 복수회 출력함으로써, 동기 신호의 타이밍과 동기화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n개의 복호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17의 실시예에 관련해서는 기준 시간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n(n≥2, n은 정수)개의 영상 데이터를 MPEG 방식으로 부호화된 n개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복호하는 복호 처리 회로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기준 시간 정보를 검출하는 n개의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과, 상기 n개의 스트림중 적어도 1개의 스트림의 송신측 클럭에 동기하지 않는 주파수의 클럭을 발생하는 많아도 n-1개의 클럭 발생 수단과, 상기 클럭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클럭을 카운트하는 것으로, 그 출력치를 상기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중 적어도 1개의 출력치와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클럭 발생 수단의 클럭 주파수를 보정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카운터 수단과, 상기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의 출력치와 상기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기초하여 기준 시간을 발생하는 많아도 n-1개의 기준 시간 발생 수단과, 상기 n개의 카운터 수단중 적어도 1개의 출력치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1개의 동기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기준 시간 발생 수단의 출력치 또는 상기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따라서 상기 n개의 스트림을 복호 처리하는 n개의 복호 수단으로서, 상기 n개의 복호 수단중 적어도 1개의 복호 수단은 상기 기준 시간 발생 수단의 출력과 표시 타이밍을 부여하는 상기 동기 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동기 신호와의 타이밍이 부정합인 경우에, 영상 프레임을 솎아냄으로써 혹은 같은 영상 프레임을 복수회 출력함으로써, 동기 신호의 타이밍과 동기화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n개의 복호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18의 실시예에 관련해서는 기준 시간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n(n≥2, n은 정수)개의 영상 데이터를 MPEG 방식으로 부호화된 n개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복호하는 복호 처리 회로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기준 시간 정보를 검출하는 n개의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과, 상기 n개의 스트림중 n-1개의 스트림의 송신측 클럭에 동기하지 않는 주파수의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 발생 수단과, 상기 클럭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클럭을 카운트하는 카운터 수단과, 상기 n개의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의 출력치와 상기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기초하여 기준 시간을 발생하는 n개의 기준 시간 발생 수단과, 상기 n개의 기준 시간 발생 수단중 1개의 출력치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동기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n개의 기준 시간 발생 수단의 출력치에 따라서 상기 n개의 스트림을 복호 처리하는 n개의 복호 수단으로서, 상기 n개의 복호 수단중 n-1개의 복호 수단은 상기 기준 시간 발생 수단의 출력과 표시 타이밍을 부여하는 상기 동기 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동기 신호와의 타이밍이 부정합인 경우에, 영상 프레임을 솎아냄으로써 혹은 같은 영상 프레임을 복수회 출력함으로써, 동기 신호의 타이밍과 동기화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n개의 복호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마스터 스트림으로부터 재생한 시스템 클럭을 이용하여 각 부호화 화상 데이터에 공통의 복호 개시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동시에 복호하여 멀티 윈도우 표시하고 있을 때에, 마스터 스트림으로서 선택되는 채널을 전환하여도 동기 신호의 위상이 흐트러지지 않기 때문에, 표시 화면이 흐트러지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선행 기술의 복호 장치가 구비하고 있던 입력 버퍼 메모리와 출력 버퍼 메모리중, 출력 화상의 시각 일치를 위한 출력 버퍼 메모리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입력 버퍼 메모리와 출력 버퍼 메모리와의 용량합에 있어서도 버퍼 용량을 삭감할 수 있게 되고, 복호 장치의 하드웨어량을 삭감하여 그 소형화, 고신뢰화, 저전력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2개 이상의 클럭을 이용하지 않고, 1개의 클럭으로 복수의 복호 처리가 가능하고, 또 복호 출력에 필요한 동기 신호도 1개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시스템 설계를 간이화하여 시스템의 적응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1)

  1.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고, 이 비트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기준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시각과 시스템 클럭을 재생하며, 상기 화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트 스트림이 복수개 다중화된 다중화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고, 이 다중화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복호된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1개 이상분리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다중화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마스터가 되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마스터 스트림으로서 1개 선택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마스터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기준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마스터가 되는 화상을 복호할 때에 이용하는 기준 시각과 시스템 클럭을 재생하는 제3 단계와;
    상기 분리된 복호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기준 시각 정보와 상기 재생된 시스템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된 화상을 복호할 때에 이용하는 기준 시각을 재생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재생된 시스템 클럭을 이용하여 복호 개시 신호를 생성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2 단계 내지 제5 단계의 처리와 병행하여 상기 분리된 비트 스트림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를 입력 버퍼 메모리에 축적하는 제6 단계와;
    상기 복호 개시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 버퍼 메모리에 축적된 화상 데이터의 복호를 개시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상 복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 개시 신호는 마스터가 되는 화상 신호중에 포함되는 복호 개시 시각 정보에 의존하지 않는 표시계의 동기 신호에 동기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상 복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버퍼 메모리로서 확보되는 용량은 데이터중에 포함되는 복호 개시 시각 정보를 기준으로 복호를 개시할 때에 요구되는 데이터량보다도, 마스터가 되는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 시간분에 입력되는 최대의 데이터량분 이상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상 복호 방법.
  4.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비트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기준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시각과 시스템 클럭을 재생하며, 상기 화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트 스트림이 복수개 다중화된 다중화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다중화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복호된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1개 이상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다중화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마스터가 되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을 마스터 스트림으로서 1개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분리된 비트 스트림마다 이 비트 스트림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1개 이상의 입력 버퍼 메모리와;
    상기 마스터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기준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마스터가 되는 화상을 복호할 때에 이용하는 기준 시각과 시스템 클럭을 재생하는 클럭 재생 수단과;
    상기 복호된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기준 시각 정보와 상기 재생된 시스템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된 화상을 복호할 때에 이용하는 기준 시각을 재생하는 기준 시각 재생 수단과;
    상기 재생된 시스템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된 각 비트 스트림에 공통인 복호 개시 신호를 생성하는 복호 개시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복호 개시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 버퍼 메모리에 축적된 화상 데이터의 복호를 개시하는 1개 이상의 복호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상 복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 개시 신호 생성 수단이 생성하는 복호 개시 신호는 마스터가 되는 화상 신호중에 포함되는 복호 개시 시각 정보에 의존하지 않는 표시계의 동기 신호에 동기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상 복호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버퍼 메모리의 용량은 데이터중에 포함되는 복호 개시 시각 정보를 기준으로 복호를 개시하는 경우에 요구되는 용량보다도, 마스터가 되는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 시간분에 입력되는 최대의 데이터량분 이상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상 복호 장치.
  7. 기준 시간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MPEG 방식으로 부호화된 스트림을 수신하여 복호하는 복호 처리 회로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기준 시간 정보를 검출하는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과;
    상기 스트림의 송신측 클럭에 동기하지 않는 주파수의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 발생 수단과;
    상기 클럭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클럭을 카운트하며, 그 출력치가 상기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수정되는 카운터 수단과;
    상기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동기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따라서 상기 스트림을 복호 처리하는 복호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 처리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가 상기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수정되는 타이밍은 상기 동기 신호 발생 수단이 발생하는 동기 신호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 처리 회로.
  9. 기준 시간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n(n≥2, n은 정수)개의 영상 데이터를 MPEG 방식으로 부호화된 n개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복호하는 복호 처리 회로로서, 상기 복호 처리 회로는 n개의 스트림을 복호하는 n개의 복호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n개의 복호 수단중 적어도 1개가 제7항 또는 제8항에 기재하는 복호 처리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 처리 회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복호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n개의 영상 신호중 적어도 1개의 영상 신호를 그 1개의 영상 신호의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메모리에 기억하고, 상기 n개의 영상 신호중 적어도 1개의 영상 신호의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독출함으로써, 상기 n개의 영상 신호중 적어도 2개의 영상 신호를 동기화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 처리 회로.
  11. 기준 시간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n(n≥2, n은 정수)개의 영상 데이터를 MPEG 방식으로 부호화된 n개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복호하는 복호 처리 회로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기준 시간 정보를 검출하는 n개의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과;
    상기 n개의 스트림중 적어도 1개의 스트림의 송신측 클럭에 동기하지 않는 주파수의 클럭을 발생하는 많아도 n-1개의 클럭 발생 수단과;
    상기 클럭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클럭을 카운트하며, 그 출력치가 상기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수정되는 많아도 n-1개의 카운터 수단과;
    상기 클럭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클럭을 카운트하며, 그 출력치를 상기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중 적어도 1개의 출력치와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클럭 발생 수단의 클럭 주파수를 보정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카운터 수단과;
    상기 n개의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n개의 동기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n개의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따라서 상기 n개의 스트림을 복호 처리하는 n개의 복호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 처리 회로.
  12. 기준 시간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n(n≥2, n은 정수)개의 영상 데이터를 MPEG 방식으로 부호화된 n개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복호하는 복호 처리 회로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기준 시간 정보를 검출하는 n개의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과;
    상기 n개의 스트림중 적어도 1개의 스트림의 송신측 클럭에 동기하지 않는 주파수의 클럭을 발생하는 많아도 n-1개의 클럭 발생 수단과;
    상기 클럭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클럭을 카운트하며, 그 출력치를 상기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중 적어도 1개의 출력치와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클럭 발생 수단의 클럭 주파수를 보정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카운터 수단과;
    상기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의 출력치와 상기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기초하여 기준 시간을 발생하는 많아도 n-1개의 기준 시간 발생 수단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 또는 상기 많아도 n-1개의 기준 시간 발생 수단의 출력치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n개의 동기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기준 시간 발생 수단의 출력치 또는 상기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따라서 상기 n개의 스트림을 복호 처리하는 n개의 복호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 처리 회로.
  13. 기준 시간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n(n≥2, n은 정수)개의 영상 데이터를 MPEG 방식으로 부호화된 n개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복호하는 복호 처리 회로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기준 시간 정보를 검출하는 n개의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과;
    상기 n개의 스트림중 n-1개의 스트림의 송신측 클럭에 동기하지 않는 주파수의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 발생 수단과;
    상기 클럭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클럭을 카운트하는 카운터 수단과;
    상기 n개의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의 출력치와 상기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기초하여 기준 시간을 발생하는 n개의 기준 시간 발생 수단과;
    상기 n개의 기준 시간 발생 수단의 출력치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n개의 동기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n개의 기준 시간 발생 수단의 출력치에 따라서 상기 n개의 스트림을 복호 처리하는 n개의 복호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 처리 회로.
  14. 기준 시간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n(n≥2, n은 정수)개의 영상 데이터를 MPEG 방식으로 부호화된 n개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복호하는 복호 처리 회로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기준 시간 정보를 검출하는 n개의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과;
    상기 n개의 스트림중 적어도 1개의 스트림의 송신측 클럭에 동기하지 않는 주파수의 클럭을 발생하는 많아도 n-1개의 클럭 발생 수단과;
    상기 클럭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클럭을 카운트하며, 그 출력치가 상기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수정되는 많아도 n-1개의 카운터 수단과;
    상기 클럭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클럭을 카운트하며, 그 출력치를 상기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중 적어도 1개의 출력치와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클럭 발생 수단의 클럭 주파수를 보정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카운터 수단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1개의 동기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n개의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따라서 상기 n개의 스트림을 복호 처리하는 n개의 복호 수단으로서, 상기 n개의 복호 수단은 상기 카운터 수단의 출력과 표시 타이밍을 부여하는 상기 동기 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동기 신호와의 타이밍이 부정합인 경우에, 영상 프레임을 솎아냄으로써 혹은 같은 영상 프레임을 복수회 출력함으로써, 동기 신호의 타이밍과 동기화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n개의 복호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 처리 회로.
  15. 기준 시간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n(n≥2, n은 정수)개의 영상 데이터를 MPEG 방식으로 부호화된 n개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복호하는 복호 처리 회로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기준 시간 정보를 검출하는 n개의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과;
    상기 n개의 스트림중 적어도 1개의 스트림의 송신측 클럭에 동기하지 않는 주파수의 클럭을 발생하는 많아도 n-1개의 클럭 발생 수단과;
    상기 클럭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클럭을 카운트하며, 그 출력치를 상기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중 적어도 1개의 출력치와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클럭 발생 수단의 클럭 주파수를 보정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카운터 수단과;
    상기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의 출력치와 상기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기초하여 기준 시간을 발생하는 많아도 n-1개의 기준 시간 발생 수단과;
    상기 n개의 카운터 수단중 적어도 1개의 출력치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1개의 동기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기준 시간 발생 수단의 출력치 또는 상기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따라서 상기 n개의 스트림을 복호 처리하는 n개의 복호 수단으로서, 상기 n개의 복호 수단중 적어도 1개의 복호 수단은 상기 기준 시간 발생 수단의 출력과 표시 타이밍을 부여하는 상기 동기 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동기 신호와의 타이밍이 부정합인 경우에, 영상 프레임을 솎아냄으로써 또는 같은 영상 프레임을 복수회 출력함으로써, 동기 신호의 타이밍과 동기화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n개의 복호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 처리 회로.
  16. 기준 시간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n(n≥2, n은 정수)개의 영상 데이터를 MPEG 방식으로 부호화된 n개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복호하는 복호 처리 회로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스트림중에 포함되는 기준 시간 정보를 검출하는 n개의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과;
    상기 n개의 스트림중 n-1개의 스트림의 송신측 클럭에 동기하지 않는 주파수의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 발생 수단과;
    상기 클럭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클럭을 카운트하는 카운터 수단과;
    상기 n개의 기준 시간 정보 검출 수단의 출력치와 상기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기초하여 기준 시간을 발생하는 n개의 기준 시간 발생 수단과;
    상기 n개의 기준 시간 발생 수단중 1개의 출력치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동기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n개의 기준 시간 발생 수단의 출력치에 따라서 상기 n개의 스트림을 복호 처리하는 n개의 복호 수단으로서, 상기 n개의 복호 수단중 n-1개의 복호 수단은 상기 기준 시간 발생 수단의 출력과 표시 타이밍을 부여하는 상기 동기 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동기 신호와의 타이밍이 부정합인 경우에, 영상 프레임을 솎아냄으로써 또는 같은 영상 프레임을 복수회 출력함으로써, 동기 신호의 타이밍과 동기화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n개의 복호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 처리 회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복호 수단중 적어도 1개는 상기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오프셋치를 더한 값을 기준 시간으로서 이용하여 복호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 처리 회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복호 수단중 적어도 1개는 상기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오프셋치를 더한 값을 기준 시간으로서 이용하여 복호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 처리 회로.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복호 수단중 적어도 1개는 상기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오프셋치를 더한 값을 기준 시간으로서 이용하여 복호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 처리 회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복호 수단중 적어도 1개는 상기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오프셋치를 더한 값을 기준 시간으로서 이용하여 복호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 처리 회로.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복호 수단중 적어도 1개는 상기 카운터 수단의 출력치에 오프셋치를 더한 값을 기준 시간으로서 이용하여 복호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 처리 회로.
KR1019980056995A 1997-12-19 1998-12-19 디지털 화상 복호 방법 및 장치 KR199900632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351442 1997-12-19
JP35144297A JP3830645B2 (ja) 1997-12-19 1997-12-19 画像復号化方法及び装置
JP4961998A JPH11252543A (ja) 1998-03-02 1998-03-02 デコード処理回路
JP98-049619 1998-03-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287A true KR19990063287A (ko) 1999-07-26

Family

ID=26390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6995A KR19990063287A (ko) 1997-12-19 1998-12-19 디지털 화상 복호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77204B1 (ko)
EP (1) EP0924935A2 (ko)
KR (1) KR19990063287A (ko)
TW (1) TW376629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782B1 (ko) * 2000-11-27 2002-11-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엠펙 디코더의 시스템 타임 클럭 조정 장치 및 방법
WO2005029844A1 (en) * 2003-09-20 200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analog video signal receiver
WO2005029845A1 (en) * 2003-09-22 200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apparatus i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decoder
KR100713497B1 (ko) * 2005-09-16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임 동기에 따른 복호화기 작동 장치 및 방법
US7450178B2 (en) 2003-09-17 2008-1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 in digital broadcast receiv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800520D0 (sv) 1998-02-23 1998-02-23 Pacesetter Ab Electrode for tissue stimulation
US7236531B1 (en) 1999-10-15 2007-06-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certain data without a program clock reference
JP2001203988A (ja) * 2000-01-21 2001-07-27 Nec Corp 画像復号装置、半導体装置、及び画像復号方法
FR2804274B1 (fr) * 2000-01-25 2002-04-12 St Microelectronics Sa Decodeur mpeg d'images de sequences multiples
WO2001082603A1 (fr) * 2000-04-24 2001-11-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ysteme de services de diffusion de donnees du type a stockage
JP2001333339A (ja) * 2000-05-19 2001-11-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
JP3485075B2 (ja) 2000-07-19 2004-01-13 日本電気株式会社 復号回路及びその復号方法
US6975363B1 (en) * 2000-08-31 2005-12-1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independently controlling the presentation speed of digital video frames and digital audio samples
JP3917363B2 (ja) * 2000-12-12 2007-05-23 株式会社東芝 画像復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化方法
US7366194B2 (en) 2001-04-18 2008-04-29 Brocade Communications Systems, Inc. Fibre channel zoning by logical unit number in hardware
US7151778B2 (en) * 2001-04-18 2006-12-19 Brocade Communications Systems, Inc. Frame filtering of fibre channel packets
WO2003026177A1 (en) * 2001-09-18 2003-03-27 Scientific-Atlanta, Inc. Mpeg program clock reference (pcr) delivery for support of accurate network clocks
JP4062425B2 (ja) * 2002-07-04 2008-03-1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4062504B2 (ja) * 2002-09-09 2008-03-19 ソニー株式会社 同期化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受信装置
AU2003296527A1 (en) * 2002-12-30 2004-07-29 Ulrich Hofker Synchronization methods for digital multi-projection systems
US7283591B2 (en) * 2003-03-28 2007-10-16 Tarari, Inc. Parallelized dynamic Huffman decoder
US7352740B2 (en) * 2003-04-29 2008-04-01 Brocade Communciations Systems, Inc. Extent-based fibre channel zoning in hardware
US7430203B2 (en) * 2004-01-29 2008-09-30 Brocade Communications Systems, Inc. Fibre channel zoning hardware for directing a data packet to an external processing device
WO2005088982A1 (en) * 2004-03-03 2005-09-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ideo processing circuit and method of video processing
EP1786209B1 (en) * 2004-09-02 2019-11-20 Sony Corporation Content receiver, video-audio output timing control method, and content providing system
US7865021B2 (en) * 2004-12-06 2011-01-04 Nec Electronics Corporation Compressed stream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WO2006115388A1 (en) * 2005-04-28 2006-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JP4380598B2 (ja) * 2005-06-16 2009-12-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TWI294085B (en) * 2005-07-12 2008-03-01 Realtek Semiconductor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multimedia data stream
JP5194564B2 (ja) * 2007-05-29 2013-05-0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7733805B2 (en) * 2007-07-25 2010-06-08 Brocade Communications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bandwidth-consuming frame flows in a network
JP5283914B2 (ja) * 2008-01-29 2013-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5094478B2 (ja) * 2008-03-06 2012-1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受信装置
TWI411294B (zh) * 2008-05-26 2013-10-01 Realtek Semiconductor Corp 視訊系統及縮放器
JP5366186B2 (ja) * 2008-09-18 2013-12-11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データ転送方式、フレーム同期装置及びデータ転送方法
US8351768B2 (en) * 2009-07-23 2013-01-08 Microsoft Corporation Media processing comparison system and techniques
US8327029B1 (en) * 2010-03-12 2012-12-04 The Mathworks, Inc. Unified software construct representing multiple synchronized hardware systems
CZ2010226A3 (cs) 2010-03-26 2011-05-11 CESNET, zájmové sdružení právnických osob Zarízení pro príjem obrazového signálu s vysokým rozlišením prenášeného s malým zpoždením asynchronní paketovou pocítacovou sítí
JP6275326B2 (ja) * 2015-03-26 2018-02-07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情報再生システム及び映像情報再生装置
JP2017005611A (ja) * 2015-06-15 2017-01-05 富士通株式会社 動画像復号装置及び動画像復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4958B2 (ja) 1994-10-14 1999-05-24 株式会社グラフィック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ラボラトリーズ 画像復号化方式および装置
US5703877A (en) * 1995-11-22 1997-12-30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Of Delaware Acquisition and error recovery of audio data carried in a packetized data stream
US5828414A (en) * 1996-02-23 1998-10-27 Divicom, Inc. Reduction of timing jitter in audio-video transport streams
JP2970558B2 (ja) * 1996-10-25 1999-11-02 日本電気株式会社 オーディオ/ビデオ/コンピュータグラフィクス同期再生合成方式及び方法
JP3418966B2 (ja) * 1997-10-09 2003-06-23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同期化方法及びデコーダ
US6195392B1 (en) * 1998-06-30 2001-02-27 U.S. Philips Corporation Method and arrangement for generating program clock reference values (PCRS) in MPEG bitstream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782B1 (ko) * 2000-11-27 2002-11-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엠펙 디코더의 시스템 타임 클럭 조정 장치 및 방법
US7450178B2 (en) 2003-09-17 2008-1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 in digital broadcast receiver
WO2005029844A1 (en) * 2003-09-20 200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analog video signal receiver
US7327401B2 (en) 2003-09-20 2008-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analog video signal receiver
WO2005029845A1 (en) * 2003-09-22 200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apparatus i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decoder
US7365797B2 (en) 2003-09-22 2008-04-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apparatus i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decoder
KR100713497B1 (ko) * 2005-09-16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임 동기에 따른 복호화기 작동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24935A2 (en) 1999-06-23
TW376629B (en) 1999-12-11
US6477204B1 (en) 2002-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3287A (ko) 디지털 화상 복호 방법 및 장치
JP6559298B2 (ja) 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ビデオ送信方法
US5907366A (en) Vertical blanking insertion device
KR100226528B1 (ko) 다중화 압축화상/음성데이타의 복호장치
US7375761B2 (en) Receiver having motion picture data decoder
EP0743791B1 (en) Image scanning format converter suitable for a high definition television system
EP0743788B1 (en) Automatic image scanning format converter with seamless switching
KR20010032145A (ko) 압축 디지털 데이터의 연결 흔적이 없는 비디오 스위칭시스템
JP2009105902A (ja) 圧縮された情報信号を接続する方法及び装置
JP2003528550A (ja) 2つの異なるビデオプログラムを同時に記録及び表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A2276767C (en) Hdtv video frame synchronizer that provides clean digital video without variable delay
JPH11252543A (ja) デコード処理回路
JP3969083B2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4609449B2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H11187396A (ja) 画像復号化方法及び装置
JP4660377B2 (ja) 無線映像送信装置、映像送信装置、無線映像受信装置、映像受信装置、無線映像送受信システム及び映像送受信システム
JP2004104518A (ja) 復号装置及び復号方法
US20070110166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point of reflection of an obstacle
KR100267238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아날로그 방송 수신방법및 장치.
EP1411731A1 (en) Process for controlling an audio/video digital decoder
JPH0385976A (ja) テレビジョン方式変換装置
JP2004208100A (ja)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
JP2003110876A (ja) デジタル放送番組中継送出システムとその放送局及びデジタル放送信号同期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