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243A - 금속 광택을 갖는 유기물 - Google Patents

금속 광택을 갖는 유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243A
KR19990063243A KR1019980056405A KR19980056405A KR19990063243A KR 19990063243 A KR19990063243 A KR 19990063243A KR 1019980056405 A KR1019980056405 A KR 1019980056405A KR 19980056405 A KR19980056405 A KR 19980056405A KR 19990063243 A KR19990063243 A KR 19990063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acid
polymers
aromatic
choleste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6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스토흐르
악셀 쇼헨펠드
Original Assignee
카흐홀즈 트라우델, 귀틀라인 파울
클라리안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흐홀즈 트라우델, 귀틀라인 파울, 클라리안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카흐홀즈 트라우델, 귀틀라인 파울
Publication of KR19990063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24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6Pearl essence, e.g. coatings containing platelet-like pigments for pearl lust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Liquid Crystal Substa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콜레스테르성 헬릭스의 피치중에서 다른 2개이상의 비가교결합된 열가소성 콜레스테르성 액정 주쇄 중합체를 포함하고, 가시 스펙트럼의 모든 파장을 반사하고, 물질의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진행하는 주쇄 중합체의 혼합 구배를 갖는 평평한 물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속 광택을 갖는 유기물
본 발명은 금속 광택을 갖는 중합체, 이로부터 제조된 안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콜레스테르성 액정 중합체(cLCPs)가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선택적으로 나선형을 이루는 상부구조 및 빛의 가시각에 의존하는 반사를 형성한다. 특정 효과 안료를 제조하기 위해 반사 효과를 개발할 수 있다(DE 195 38 700A1). 특정 효과 안료는 매우 밝은 인지색 뿐만 아니라 특히 투시각에 의존하는 색상에 대해 주목할 만하고, 환언하면 콜레스테르성 안료로 도포된 제품은 직각으로 볼때 녹색을 띠지만 사각에서 볼때 청색을 띤다.
가교결합된 콜레스테르성 액정 중합체로부터 가시각에 의존하는 색의 안료의 종류를 또한 얻을 수 있다(DE 42 40 723 A1).
콜레스테르성 액정 중합체는 편광 소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R. Maurer et al., SID 90 Digest of Technical Papers, Las Vegas 1990, pages 110-113). 최종적으로, 3개의 주색(적색, 녹색 및 청색)에 해당하는 3개의 액정 중합체 필름의 반사 파장은 가시 스펙트럼의 큰 단면상에 입사광중의 하나의 편광 방향으로 반사하므로써 반대 편광방향을 갖는 광성분이 단지 투과된다. EP-A-0 606 940은 콜레스테르성 헬릭스의 연속적으로 변하는 꼬임을 나타내는 3차원적으로 가교결합된 액정 필름을 나타냄으로써 임의의 편광 방향의 반사는 가시 스펙트럼의 모든 파장에 대해 발생하고, 단지 대향 성분이 투과되는 것을 기술한다. UV 염료가 존재하여 콜레스테르성 단량체 혼합물중에 네마틱 아크릴레이트의 농도 구배를 이룸으로써 가교결합 반응동안에 헬릭스의 연속적으로 변하는 꼬임이 얻어진다. 다른 양태에서, 비액정 결정성 중합성 화합물을 콜레스테르성 중합체 망상조직으로 동시에 내부로 확산하는 것이 사용되고, 팽윤 구배를 생성하기 위해 조절된 확산은 콜레스테르성 헬릭스의 연속적으로 변하는 팽창을 유도한다. 두개의 필름 구조체는 광화학적으로 유도된 부가 중합에 의해 고정된다. 착색제로서의 용도성은 언급되고 있지 않다.
WO 97/16762는 광화학 중합동안에 콜레스테르성 물질로부터 저분자량의 중합 유도 확산에 의해 콜레스테릭 헬릭스의 연속적으로 변하는 꼬임을 생성하는 것을 기술한다. 이 경우에, 층 두께에 대한 헬릭스에 유도된 변화는 선형이 아니고 지수이다. 이것은 주어진 층 두께에 대한 편광자의 밴드폭을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중합성 콜레스테르성 액정 물질중의 비중합성 액정 물질의 저농도(예, 1/6)에서 생성된 밴드 폭은 매우 크게 감소되는 것이 또한 언급되어 있다. 단지 비교적 고농도(예, 1/2)에서 목적하는 밴드폭이 얻어진다. 중합에 의해 혼입될 수 없는, 즉 생성된 중합체 망상조직에 공유되지 않는 다량의 화합물은 콜레스테르성 망상조직이고, 이 종류의 물질은 착색 안료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결합제에 노출시, 일반적으로 유기 용매를 포함하고, 중합체 망상조직의 팽윤이 있고, 공유 결합되지 않는 구성원의 여과가 있다. 이들 구성원의 제거에 따라 콜레스테르성 중합체 망상조직중에 부피 수축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또한 문헌[A.Stohr, P.Strohriegl, J.Macromol.Sci.Pure Appl.Chem., A34(7),1125, (1997); R.A.M.Hikmet, B.H.Zwerver, Liquid Crystals 13,561(1993)]참조). 결과적으로, 헬릭스의 피치는 떨어지고, 반사 밴드는 낮은 반사 파장으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가시광선의 모든 파장은 반사되지 않고, 물질은 착색되어 나타낸다. 특징은 또한 WO 97/16762로부터의 물질에 의해 얻어지고, 금속 광택을 비롯한 안료 적용물에 대해서는 이롭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기술된 단점을 피하고 금속 광택을 갖는 유기물, 그의 간단한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에 대한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선행기술에 규정된 단점은 열가소성 콜레스테릭 액정 주쇄 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고, 동일한 방법으로 금속 광택을 갖는 온도 안정성, 내약품성 및 내용매성의 특정 효과 안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의 콜레스테르성 헬릭스의 피치중에서 다른 둘이상의 비가교결합된 열가소성 콜레스테르성 액정 주쇄 중합체를 포함하고, 또는 하나이상의 비가교결합된 열가소성 콜레스테르성 액정 주쇄 중합체 및 하나의 열가소성 네마틱 중합체(상기 물질은 가시 스펙트럼의 모든 파장을 반사한다)를 포함하고, 물질의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진행하는 주쇄 중합체의 혼합 구배를 갖는 평평한 물질을 제공한다.
평평한 물질이란 바람직하게 지지체 물질상의 피복물, 필름 또는 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평평한 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이는 그의 콜레스테르성 헬릭스의 피치중에 다른 둘이상의 열가소성 콜레스테르성 액정 주쇄 중합체 또는 지지체 기재상에 서로 하나이상의 열가소성 콜레스테르성 중합체 및 열가소성 네마틱 중합체를 도포한다음 금속 효과가 나타날때까지 조립체를 열 처리시키고, 바람직하다면 지지체 기재로부터 생성된 중합체 필름을 분리하고, 바람직하다면 판으로 처리한다.
본 발명의 효과를 얻기 위해, 콜레스테르성 액정 중합체가 서로 상부피복되어 콜레스테르성 헬릭스의 다른 피치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개별층의 중합체 분자를 열 조건 공정동안에 주변층으로 확산할 수 있고, 이들 다른 피치를 기준으로, 전체층 두께에 대해 연속적으로 변하는 나선 피치를 형성할 수 있다. 불연속 나선형 피치를 각각 갖는 둘이상의 중합체를 사용할때 전체 조립체내에 나선형 피치가 중합체층으로부터 중합체층까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방법으로 중합체는 서로 상부피복된 것으로 확신되어야 한다. 서로 상부피복된 액정 중합체의 수는 임의적이지만, 현명하게 2 내지 7, 바람직하게 2 내지 5이다.
열 처리 공정후에 얻어진 연속적으로 변하는 나선형 피치는 단지 콜레스테르성 액정 중합체층의 최하부 및 최상부의 피치사이의 값을 채택할 수 있다.
물질중에 금속 광택을 유도하기 위해, 가시 스펙트럼의 모든 파장이 반사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적색 또는 IR 스펙트럼 범위중에 선택적인 반사를 갖는 콜레스테르성 액정 중합체는 본 발명의 물질의 하나의 외면, 즉 상부 또는 기부에 위치하고, 청색 또는 UV 스펙트럼 범위중에 선택적인 반사를 갖는 cLCPs는 다른 외면, 즉 기부 또는 상부상에 위치한다. 적색 반사 또는 IR 반사층 대신에 네마틱 즉, 꼬임이 없는 중합체층, 특히 주쇄 중합체로 구성된 층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된 네마틱 주쇄 중합체(LCP)는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모든 LCP일 수 있고, 이는 문헌[G.W.Becker,D.Braun:KunststoffHandbuch[Plastics Handbook]Volume 3/3, pages 219-258, Carl Hanser Verlag,Munich 1994]에 기술되어 있다. 바람직한 LCP는 방향족 하이드록시카복실산 및/또는 방향족 디카복실산 및 방향족 디올의 그룹으로부터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들 그룹의 내용중에서, 방향족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은 지환족 하이드록시카복실산 또는 방향족 아미노카복실산, 지환족 디카복실산에 의한 방향족 디카복실산 및 방향족 디아민, 아미노페놀 및/또는 지환족 디올에 의한 방향족 디올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이들 단량체 서로에 대한 화학양론 비율에 대해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는 작용기의 화학양론은 에스테르 및/또는 아미드 결합의 형성과 중축합을 허용한다.
게다가, 상기 중합체는 또한 둘이상의 작용기(예, 디하이드록시벤조산, 트리하이드록시벤젠 또는 트리멜리트산)을 갖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성분은 중합체중에 분지 위치로서 작용하고, 물질의 가교결합을 피하기 위해 단지 작은 농도, 예컨대 0 내지 5몰%로 가해져야 한다. 특히 바람직한 LCP는 개별적인 단량체 그룹의 하기 단위로 구성되는 네마틱 주쇄 중합체이다:
방향족 하이드록시카복실산, 아미노카복실산:
방향족 디카복실산, 지방족 디카복실산:
방향족 디올, 아미노페놀, 방향족 디아민:
매우 특히 바람직한 LCP는 방향족 하이드록시카복실산으로서 p-하이드록시벤조산 및/또는 2-하이드록시-6-나프토산, 방향족 디카복실산으로서 2,6-나프탈렌디카복실산, 테레프탈산 및/또는 이소프탈산, 및 방향족 디올로서 하이드로퀴논, 레조르시놀 및/또는 4,4'-디하이드록시비페놀을 포함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에서, 상부 또는 기부에 각각 사용된 하나이상의 콜레스테르성 액정 중합체는 가시 스펙트럼 범위내에 있는 반사 색상을 갖는다. 이 수단에 의해 청색 또는 적색을 갖는 금속 효과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물질의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혼합 구배는 바람직하게 선형이지만 지수 구배가 또한 가능하다. 수행되는 혼합 구배는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변하는 피치와 연관되어 있고; 환언하면, 혼합 구배는 피치 구배에 해당한다. 개별적인 피치는 교대로 반사광의 개별적인 파장에 해당하고, 특히 주쇄 중합체중에 꼬인 키랄 성분의 선택 및/또는 농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콜레스테르성 액정 주쇄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키랄 성분, 하이드록시카복실산 및/또는 디카복실산 및 디올의 조합으로부터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중합체는 필수적으로 방향족 구성원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지방족 및 지환족 성분(예, 시클로헥산디카복실산)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주쇄 중합체는 바람직하게 방향족 및/또는 지환족 하이드록시카복실산, 방향족 아미노카복실산; 방향족 및/또는 지환족 디카복실산, 및 방향족 및/또는 지환족 디올 및/또는 디아민; 및 또한 키랄, 이작용성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액정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바람직한 콜레스테르성 중합체는
a) 방향족 하이드록시카복실산, 지환족 하이드록시카복실산 및 방향족 아미노카복실산의 그룹으로부터 하나이상의 화합물 0 내지 99.8몰%;
b) 방향족 디카복실산 및 지환족 디카복실산의 그룹으로부터 하나이상의 화합물 0 내지 50몰%;
c) 방향족 디올, 지환족 디올 및 디아민의 그룹으로부터 하나이상의 화합물 0 내지 50몰%;
d) 키랄, 이작용성 공단량체 0.1 내지 40몰%, 바람직하게 1 내지 25몰%; 전체 합계는 100몰%이고, 성분 a), b) 및 c)의 합계가 필수적으로 60 내지 99.9몰%로 이루어지는 콜레스테르성 액정 주쇄 중합체이다.
백분율로 나타낸 것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중축합에 대한 작용기의 화학양론을 관측하기 위한 것이다. 게다가, 중합체는 또한 단지 하나의 작용기 또는 둘이상의 작용기(예, 디하이드록시벤조산, 트리하이드록시벤젠 또는 트리멜리트산)을 갖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중합체의 분자량상에 영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성분은 중합체중에 분지 위치로서 작용하고, 단지 작은 농도(예, 0 내지 5몰%)로 가해져야 하고, 바람직하다면 축합동안에 물질의 가교결합을 피하는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개별적인 단량체 그룹의 하기 단위로 구성되는 콜레스테르성 주쇄 중합체로 주어진다:
a) 방향족 하이드록시카복실산, 아미노카복실산: 하이드록시벤조산, 하이드록시나프탈렌카복실산, 하이드록시비페닐카복실산, 아미노벤조산, 하이드록시신남산;
b) 방향족 디카복실산, 지방족 디카복실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비페닐디카복실산, 나프탈렌디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복실산, 피리딘디카복실산, 디페닐 에테르 디카복실산, 카복시신남산; 및
c) 방향족 디올, 아미노페놀, 디아민: 하이드로퀴논, 디하이드록시비페닐, 테트라메틸디하이드록시비페닐, 나프탈렌디올, 디하이드록시디페닐 설폰, 디하이드록시디페닐 에테르, 디하이드록시테르페닐, 디하이드록시디페닐 케톤, 페닐렌디아민, 디아미노안스라퀴논, 디하이드록시안스라퀴논; 및 또한
d) 키랄, 이작용성 단량체: 이소소르비드, 이소만나이드, 이소이다이드, 캄포르산, (D)- 또는 (L)-메틸피페라진, (D)- 또는 (L)-3-메틸아디프산, 부탄-2,3-디올 및 또한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이다:
상기식에서,
R 및 R'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6알킬 또는 페닐, 바람직하게 H 또는 CH3이다.
꼬인 키랄 성분 d)의 비율이 커질 수록 꼬임은 커지고, 피치는 작아지고, 결과적으로 반사광의 파장은 짧아진다.
설폰산 그룹이 축합을 위한 작용기로서 사용될때 그들을 활성화 형태(예, 설포클로라이드 또는 설폰산 에스테르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기술된 물질 대신에 다른 구조 이성체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N-(4-하이드록시페닐)트리멜리트이미드 대신에 아미노페놀 및 트리멜리트산 무수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술된 중합체 단위는 또한 예컨대 메틸, 메톡시, 시아노 또는 할로겐과 같은 추가의 치환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매우 특히 바람직한 것은 p-하이드록시벤조산, 2-하이드록시-6-나프토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2,6-나프탈렌디카복실산, 하이드로퀴논, 레조르시놀 및 4,4'-디하이드록시비페닐 및 또한 키랄 성분으로서 캄포르산, 이소소르비드, 이소만나이드로부터 하나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주쇄 중합체로 주어진다.
중축합은 모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적합한 방법의 실례는 예컨대 EP-A-0 391 368에 기술된 바와 같이, 아세트산 무수물로 용융 축합하는 것이다. 아세트산 무수물의 축합은 또한 용액, 분산상 또는 유화상중에서 가능하다.
단량체는 바람직하게 에스테르 결합(폴리에스테르), 아미드 결합(폴리에스테르아미드/폴리아미드) 및/또는 이미드 결합(폴리에스테르이미드/폴리이미드)를 통해 결합되지만 또한 다른 공지된 결합형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단량체 단위를 선택할때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작용기 화학양론은 확신되고, 즉 중축합 반응중에서 서로 반응하는 작용기는 적합한 몰비율로 사용된다. 디카복실산 및 디올을 사용할때 예컨대 존재하는 하이드록실기의 수는 카복실기의 수에 해당해야 한다. 그러나, 예컨대 이런 방법으로 분자량을 얻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작용기의 계산된 초과량, 예컨대 하이드록실기보다 많은 카복실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카복실산은 또한 카복실산 유도체, 예컨대 산 염화물 또는 카복실산 에스테르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하이드록실 성분은 또한 예컨대 아세틸화 하이드록시 화합물과 같은 상응하는 하이드록시 유도체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평평한 물질을 안정화하기 위해, 콜레스테르성 액정 중합체는 또한 가교결합을 포함함으로써 예컨대 광가교결합에 의해 배향된 액정 중합체를 고정시킬 수 있고, 바람직하게 후에 압출 작동이 발생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cLCPs는 매우 낮은 용해도이고, 분자량은 상업적으로 통상적인 방법(GPC, 광산란)에 의해 측정할 수 없다. 분자량의 측정으로서, 펜타플루오로페놀/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 용액으로 중합체의 고유 점도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적합한 중합체는 25℃의 온도에서 측정된 0.1dl/g 내지 10dl/g의 고유 점도를 갖는 것이다.
전술한 콜레스테르성 액정 중합체는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직접 사용될 수 있다. 한편으로, 콜레스테르성 액정 중합체의 블렌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블렌드는 다른 콜레스테르성 액정 중합체로 이루어지지만, 다른 한편으로, 네마틱 중합체와 콜레스테르성 액정 중합체를 혼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액정 중합체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유동 조절 첨가제(예, 분말 피복 시스템중에 사용된 바와 같이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 안정화제(예, UV 또는 열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및 광학 광택제의 그룹으로부터 통상적인 보조제 및 첨가제 0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 0 내지 5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보조제 및/또는 첨가제는 분포가 균일할때까지 콜레스테르성 액정 중합체와 혼합된다. 혼합은 콜레스테르성 액정 중합체의 용융으로 가장 우수하게 발생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적합한 모든 혼합 장비, 예컨대 분산 반죽 장치, 상표명 밴버리(Banbury) 반죽기 또는 나선 혼합기 또는 예컨대 단일 나선 또는 쌍 나선 압출기로 압출시켜 혼합시킬 수 있다. 압출의 경우에, 특히 콜레스테르성 액정 중합체와 첨가제의 분말 혼합물로부터 시작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지지체 기재에 콜레스테르성 헬릭스의 피치중에 다른 2개의 콜레스테르성 액정 중합체를 다른 층상에 한층을 가하고, 조립체를 열처리시킨다음 바람직하다면 지지체 기재로부터 액정 중합체 필름을 분리시키고, 바람직하다면 액정 중합체 필름을 특정 효과 안료를 위해 적합한 판 크기 및 판 형태로 처리함으로써 금속 광택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는 평평한 물질을 제조할 수 있다.
시이트, 유리판, 페이퍼 또는 고온 안정성 플라스틱 필름 또는 스트립 또는 금속 호일 또는 스트립과 같은 평면 기재상에 나이프 피복을 하여 용매중에 용해된 콜레스테르성 액정 중합체를 계속하여 처리할 수 있고, 제 1 층을 건조시킨다음 제 2 층을 처리하고, 바람직하다면 제 2 층을 건조시킨후에 제 3 층 및 임의의 부가층을 처리한다. 한편으로, 적용 기법으로서 나이프 피복은 분무 또는 롤을 포함한다. 개별적인 중합체 층을 처리할때, 얻어진 전체 층 두께는 1 내지 100㎛, 바람직하게 1 내지 25㎛, 특히 3 내지 15㎛이다. 게다가, 개별층의 두께는 서로 상부에 적용된 중합체층의 수에 맞추어져야 한다.
마지막 층을 건조시킨후에, 중합체 필름을 배향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가능한 많은 헬릭스는 기재면에 수직으로 배열한다. 배향온도에서, 거대분자는 상부층 및 하부층에 단일 중합체 층의 거대분자의 확산방법에 대해 충분히 유동적이다. 열처리에 대한 적합한 시간동안, 전체로서 층상에 연속적으로 변하는 나선형 피치의 진전을 야기한다.
열처리시간은 정확하게 관측되는 것이 본원에서 확신되어야 한다. 금속 효과가 이루어지는대로 열처리가 종결되어야 한다. 너무 긴 열처리시간은 거대분자의 과도한 확산 및 전체로서의 층에 대해 균일한 피치의 형성을 초래할 수 있다. 이것의 결과는 우세한 평균 피치에 해당하는 파장과 빛의 광역 대역 반사보다 선택적일 수 있고, 금속 효과는 실종될 것이다. 열처리시간은 일반적으로 0.1초 내지 10분, 바람직하게 1초 내지 5분, 특히 3초 내지 2분이다. 열처리는 일반적으로 100 내지 400℃, 바람직하게 150 내지 300℃, 특히 180 내지 250℃의 온도에서 일어난다.
특히 양태에서, 액정 중합체의 유기 또는 수성 분산액은 개별적인 중합체층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금속 외관을 갖는 본 발명의 중합체 물질을 제조하기 위해 특히 바람직한 방법은 금속 효과가 가시 스펙트럼 범위에서 반사하지 않는 2개의 콜레스테르성 액정 중합체의 사용을 통하여 유도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 하나의 콜레스테르성 액정 중합체는 IR 범위의 반사를 갖고, UV 범위중에 나머지 반사를 갖는다. 2개의 콜레스테르성 액정 중합체의 헬릭스사이의 피치중에 큰 차이 때문에 비교적 긴 열 처리 시간은 연속 피치 차이를 유도하기 위해 이 경우에 요구된다. 열처리 윈도우를 증대시키고, 조절하기에 쉬운 방법을 만들기 때문에 이로울 수 있다. 금속 외관을 갖는 본 발명의 중합체의 제조에서, IR 및 UV 영역에 각각 반사하는 각각의 콜레스테르성 액정 중합체는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서로 상부상에 가해지고, 규정된 기간동안 배향 온도에서 열처리된다. 이 배열에서, IR 및 UV 반사층은 서로 직접 상부 피복될 수 있다.
특히 양태에서, UV 범위에서 반사하는 콜레스테르성 액정 중합체는 또한 네마틱 액정 중합체와 혼합될 수 있다. 콜레스테르성 상은 키랄 화합물의 첨가를 통해 네마틱 상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고, 네마틱 및 콜레스테르성 상이 혼합될 수 있다. 네마틱 화합물은 또한 무한 피치의 화합물로서 고려될 수 있다. 금속 광택을 갖는 본 발명의 물질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콜레스테르성 액정 중합체 및 추가의 네마틱 액정 중합체는 공압출에 의해 서로 상부에 생성된다. 적합하다면, 추가의 중합체는 지지체 층으로서 공압출된다. 계속하여, 공압출물은 금속 효과를 발생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열 처리된다.
금속 광택을 갖는 본 발명의 유기물은 특정 효과 안료의 제조를 위한 출발 물질로서 적합하게하는 밝은 금속 효과를 갖는다. 이 목적을 위해, 개별적인 액정 중합체는 온도 안정성 지지체 물질, 예컨대 고온 안정성 플라스틱 스트립 또는 필름 또는 금속 스트립 또는 호일을 다른것 상에 하나를 처리하고, 금속 효과가 진전될때까지 열처리시킨다. 그런다음, 중합체층을 지지체 물질로부터 분리하고, 크기 감소 장치를 사용하여 목적하는 판 크기로 분쇄한다. 항상 판상 기하학이고, 판 직경은 판 두께만큼 큰 2 내지 3배 이상이어야 한다. 판 두께는 1 내지 100㎛, 바람직하게 1 내지 25㎛, 특히 3 내지 15㎛의 범위이어야 한다. 판 직경은 10 내지 250㎛, 바람직하게 20 내지 90㎛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의 특정 효과 안료를 포함하는 도료는 목재, 금속 또는 유리, 특히 자동차의 차체 또는 차체부와 같은 도료 천연 및 합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피복물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짙은 기재이다. 본 원에서 기재는 기재의 표면이 짙은 피복뿐만 아니라 고유의 짙은 색 기재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짙은 산화층과 피복될 수 있는 플라스틱 기재 또는 금속 기재. 짙은 피복의 실례는 전기영동적으로 처리되거나, 분무 처리되거나, 분말 처리된 프라이머, 플라스틱 프라이머, 표면 피복물 및 안티스톤칩 피복물 또는 다른 고형색 기본피복물 및 상부피복물이다. 짙은 기재의 실례는 진적색, 진청색, 진녹색, 진갈색, 진회색 및 특히 흑색이다. 화장품 분야의 특정 효과 안료의 용도는 추가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물질을 중합체 라미네이트, 즉 본 발명의 물질의 둘이상의 층이 하나이상의 광흡수층에 의해 분리되는 평평한 구조로 처리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불투명 안료를 생성하기 위해, 광흡수층이 (적어도)3개층 구조의 중심층을 생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심층은 금속 광택을 갖는 본 발명의 물질의 하나의 층에 의해 양 측상에 덮혀진다. 흡수성 중심층때문에, 이 종류의 라미네이트는 양면으로부터 불투명하게 나타난다. 라미네이트가 주로 금속 광택을 갖는 물질의 2개이상의 투명한 층을 함유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게다가, 액정일 필요가 없는 투명피복물로 하나 또는 양면상에 라미네이트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적합한 투명피복물은 원칙적으로 모든 공지된 투명피복물 또는 투명한 안료의 피복 조성물이다. 본원에서, 두개의 용매를 함유하는 일성분 또는 이성분 피복물 및 또한 바람직하게 수연화성 상부피복물 및 분말 피복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몇가지 경우에, 어느정도 증점제 투명피복물을 선택하고, 같거나 다른 액체 투명 피복물 또는 투명한 분말 피복물을 포함하는 두개의 투명피복물을 처리하는 것이 현명할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투명피복물은 추가로 피복제품의 표면특성을 향상시키는 보조제를 함유한다. 예컨대, UV 및 광안정화제는 분해반응에 대한 하부층 피복물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의 전체층 두께는 1 내지 100㎛, 바람직하게 2 내지 50㎛ 및 특히 3 내지 15㎛의 범위이다. 그러나, 목적하는 용도에 따라, 이로부터 벗어나는 층 두께가 또한 현명할 수 있다. 금속 광택을 갖는 투명층이 필적할만한 두께이면 유리하다. 판 직경은 10 내지 250㎛, 바람직하게 20 내지 90㎛내에 있다.
중합체 라미네이트의 흡수 중간층은 필수적으로 중합체로 이루어질 필요가 없고, 액정으로 이루어지거나 포함할 필요가 또한 없다. 예컨대, 중간층에 있어서, 착색제, 카본 블랙, 흑연의 판형 입자 또는 착색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중합체 라미네이트중에 흡수 중간층을 형성하는 물질의 함량은 현명하게 1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 3 내지 90중량%이다.
라미네이트의 색은 또한 청색, 적색 또는 녹색과 같은 흡수 중간층에 대해 흑색 이외의 색조를 선택함으로써 영향받을 수 있다.
라미네이트 분리를 피하기 위해 주변 액정 중합체 층에 흡수 중간층의 양호한 접착성을 확신하기 위해 주의하여야 한다. 접착성이 적절하지 않으면, 고접착성 중간층의 추가 삽입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층 또는 기타의 접착성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현명할 수 있다.
라미네이트 제조방법은 하기에 기술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금속 광택 및 10㎛의 최대층 두께를 갖는 본 발명의 물질의 경우에, 2개층은 광흡수층에 결합된다. 예컨대, 광흡수층은 광흡수 입자가 혼입되는 중합체 접착제 물질이다.
추가의 양태에서, 금속 광택을 갖는 본 발명의 물질의 제조를 위한 지지물은 광흡수층 자체이다. 다시, 라미네이트는 2겹 피복물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라미네이트 제조에서, 특히 우선적인 것은 제 2층과 제 3층사이에 놓이는 4개이상의 중합체층 및 광흡수층중의 열가소성 콜레스테르성 액정 중합체가 공압출되는 방법이다. 이 경우에, ABCBA와 같은 대칭성 층 구조가 바람직하고, 여기서 A는 UV 범위에서 반사하는 콜레스테르성 주쇄 중합체이고, B는 IR 범위에서 반사하는 콜레스테르성 주쇄 중합체이고, C는 광흡수층이다.
바람직하다면, 추가의 중합체는 또한 지지체층으로서 공압출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용액 또는 분산액으로부터 금속 광택을 갖는 물질을 얻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콜레스테르성 피치를 변화시키는 둘이상의 콜레스테르성 액정 주쇄 중합체는 서로 상부 피복된다. 계속하여, 광흡수층은 최종층에 가해지고, 교대로 콜레스테르성 액정 주쇄 중합체는 광흡수층에 가역순서로 가해지고, 제 1 층이 건조된후 제 2 층이 가해지고, 제 2 층이 건조된 후에 바람직하다면 제 3 층 및 임의의 추가층이 가해진다. 광흡수층의 양면상에 콜레스테르성 피치중의 연속 변화를 진전시키기 위해, 금속 광택에 대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이 조립체는 특정 기간동안 승온에서 열처리시킨다.
금속 광택과 유기물로 구성된 본 발명의 불투명 라미네이트는 특정 효과 안료의 제조를 위한 출발물질로서 적합한 밝은 금속 효과를 갖는다. 그의 제조에 따라, 라미네이트는 통상적인 크기 감소 장치를 사용하여 목적하는 판 크기로 분쇄된다. 판형 기하학을 항상 확신하여야 하고, 판 직경은 판 두께만큼 큰, 적어도 2 내지 3배이어야 한다. 판 두께는 1 내지 100㎛, 바람직하게 1 내지 25㎛ 및 특히 3 내지 15㎛의 범위여야 한다. 판 직경은 10 내지 250㎛, 바람직하게 20 내지 90㎛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의 특정 효과 안료를 포함하는 도료는 목재, 금속 또는 유리, 특히 자동차의 차체 또는 차체부와 같은 도료 천연 및 합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화장품 분야에 이러한 특정 효과 안료의 용도가 또한 이용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특정 효과 안료 및 전자사진 토너 및 현상제, 정전기 분무 및 착색 필터에 대한 분말 피복물로서 금속 효과를 갖는 평평한 물질의 용도를 위해 제공한다.
실시예 A
반응기중에서 103mol의 아세트산 무수물을 30mol의 2-하이드록시-6-나프토산, 50mol의 4-하이드록시벤조산, 10몰의 테레프탈산, 3.5mol의 4,4'-디하이드록시비페닐 및 5.5mol의 1,4:3,6-이무수물-D-소비톨(이소소르비드)를 가하고, 질소의 스트림을 혼합물로 통과시킨다. 혼합물을 15분동안 140℃로 교반하면서 가열하고, 이 온도를 30분동안 유지시킨다. 이어서 온도를 165분동안 325℃로 상승시키고, 이 온도에서 30분동안 더 용융물을 교반한다. 아세트산은 약 220℃에서 증류하기 시작한다. 질소 플러싱을 종결하고, 진공을 천천히 가한다. 진공중에서(약 5mbar) 추가의 30분동안 용융물을 교반한다. 이어서 혼합물을 질소로 통기시키고, 압출기를 사용하여 중합체를 배출시키고, 펠리트화시킨다. 중합체는 경사지게 보았을때 적색을 나타내는 연 청동색을 갖는다. 상기 색은 진공중에서 축합하는 동안 빨리 나타나고, 냉각후에 유지된다.
실시예 B
동일한 합성조건하에서, 이소소르비드의 비율을 6%로 증가시키면 비스듬히 보았을때 청색조를 띤 녹색을 나타내는 황금색의 중합체를 생성한다.
실시예 C
동일한 합성조건하에서, 이소소르비드의 비율을 6.5%로 증가시키면 비스듬히 보았을때 녹색조를 띤 청색을 나타내는 황색조 녹색의 중합체를 생성한다.
실시예 D
동일한 합성조건하에서, 이소소르비드의 비율을 7%로 증가시키면 비스듬히 보았을때 청색을 나타내는 청색조 녹색의 중합체를 생성한다.
실시예 E
동일한 합성조건하에서, 이소소르비드의 비율을 7.5%로 증가시키면 비스듬히 보았을때 녹색조를 띤 보라색을 나타내는 청색의 중합체를 생성한다.
실시예 F
동일한 합성조건하에서, 이소소르비드의 비율을 8.5%로 증가시키면 UV 범위에서 반사 파장을 갖는 중합체를 생성한다.
실시예 G
동일한 합성조건하에서, 이소소르비드의 비율을 5%로 사용하면 IR 범위에서 반사 파장을 갖는 중합체를 생성한다.
실시예 H
반응기중에서 103mol의 아세트산 무수물을 5mol의 2-하이드록시-6-나프토산, 50mol의 4-하이드록시벤조산, 15몰의 4,4'-디하이드록시비페닐 및 10mol의 캄포르산을 가하고, 질소의 스트림을 혼합물로 통과시킨다. 혼합물을 15분동안 140℃로 교반하면서 가열하고, 이 온도를 30분동안 유지시킨다. 이어서 온도를 165분동안 325℃로 상승시키고, 이 온도에서 30분동안 더 용융물을 교반한다. 아세트산은 약 220℃에서 증류하기 시작한다. 질소 플러싱을 종결하고, 진공을 천천히 가한다. 진공중에서(약 5mbar) 추가의 30분동안 용융물을 교반한다. 이어서 혼합물을 질소로 통기시키고, 압출기를 사용하여 중합체를 배출시키고, 펠리트화시킨다.
실시예 I
반응기중에서 103mol의 아세트산 무수물을 15mol의 2-하이드록시-6-나프토산, 40mol의 4-하이드록시벤조산, 20몰의 4,4'-디하이드록시비페닐 및 25mol의 캄포르산을 가하고, 질소의 스트림을 혼합물로 통과시킨다. 혼합물을 15분동안 140℃로 교반하면서 가열하고, 이 온도를 30분동안 유지시킨다. 이어서 온도를 165분동안 325℃로 상승시키고, 이 온도에서 30분동안 더 용융물을 교반한다. 아세트산은 약 220℃에서 증류하기 시작한다. 질소 플러싱을 종결하고, 진공을 천천히 가한다. 진공중에서(약 5mbar) 추가의 30분동안 용융물을 교반한다. 이어서 혼합물을 질소로 통기시키고, 압출기를 사용하여 중합체를 배출시키고, 펠리트화시킨다. 중합체는 UV 범위에서 반사를 나타낸다.
실시예 1
이소부탄올중에 실시예 A 내지 E로부터 각각의 중합체의 10중량% 분산액을 24㎛ 핸드피복기를 사용하여 폴리이미드 필름상에 순서 A 내지 E로 서로의 상부상에 피복한다. 이 절차에서, 각각의 개별적인 층은 나이프 피복후에 건조되고, 분말 적용물은 200℃에서 고온표면상에 필름을 연신시켜 고정시킨다. 최종 중합체가 고정된 후에, 필름을 220℃에서 1분동안 대류 오븐에서 열처리시킨다. 열처리후에, 중합체 필름은 은색조 회색 금속 효과를 나타낸다. 전체 층 두께는 11㎛이다.
실시예 2
이소부탄올중에 실시예 F 내지 G로부터 각각의 중합체의 20중량% 분산액을 24㎛ 핸드피복기를 사용하여 폴리이미드 필름상에 처리하고, 건조시키고, 200℃에서 고온 표면상에 연신시켜 고정한다. 이어서 2개의 필름을 서로 상부 위치시켜 2개의 콜레스테르성 액정 중합체가 서로 접촉한다. 계속하여, 중합체는 300℃에서 용융 프레스 및 3초동안 100바아에서 서로에 대해 프레스한다. 프레스후에, 중합체 필름은 은색조 회색 금속 효과를 나타낸다. 전체 층 두께는 10㎛이다.
실시예 3
이소부탄올중에 실시예 F로부터의 각각의 중합체 및 상표명(벡트라) A950과 같은 시판가능한 네마틱 액정 중합체의 20중량%의 분산액을 하나의 폴리이미드 필름 각각에 24㎛ 핸드피복기를 사용하여 처리하고, 건조시키고, 200℃에서 고온표면상에 연신시켜 고정시킨다. 이어서 2개의 필름을 서로 상부 위치시켜 실시예 F로부터 콜레스테르성 액정 중합체 및 네마틱 액정 중합체는 서로 접촉한다. 계속하여, 중합체는 300℃에서 용융 프레스 및 3초동안 100바아에서 서로에 대해 프레스한다. 프레스후에, 중합체 필름은 은색조 회색 금속 효과를 나타낸다. 전체 층 두께는 12㎛이다.
실시예 4
이소부탄올중에 실시예 A 내지 E로부터 각각의 중합체의 10중량% 분산액을 24㎛ 핸드피복기를 사용하여 폴리이미드 필름상에 순서 A 내지 E로 서로의 상부상에 피복한다. 이 절차에서, 각각의 개별적인 층은 나이프 피복후에 건조되고, 분말 적용물은 200℃에서 고온표면상에 호일을 연신시켜 고정시킨다. 최종 중합체가 고정된 후에, 호일을 220℃에서 1분동안 대류 오븐에서 열처리시킨다. 열처리후에, 중합체 필름은 은색조 회색 금속 효과를 나타낸다. 전체 층 두께는 11㎛이다.
특정 효과 안료를 제조하기 위해, 피복된 알루미늄 호일을 절반이 농축된 염산에 넣고, 알루미늄 지지체 호일을 용해하고, 중합체 필름이 남는다. 중합체 입자는 유니버샬 밀에서 분쇄한다. 입자 크기 분포를 좁게하기 위해, 연마된 물질을 63㎛의 메쉬 체를 갖는 체로 통과시킨다. 생성된 특정 효과 안료는 2 성분 투명 피복으로 혼입시키고, 흑색의 금속 패널상에 분무하고, 투명 피복으로 피복한다. 스토브한 후에, 피복물은 금속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5
3차-부탄올/물중에 실시예 H 내지 I로부터 각각의 중합체의 20중량% 분산액을 24㎛의 핸드 피복기를 사용하여 알루미늄 호일상에 서로 상부상에 피복한다. 이 절차에서, 각각의 중합체층은 나이프 피복후에 건조시키고, 분말 적용물은 200℃에서 고온표면상에 호일을 연신시켜 고정시킨다. 제 2 중합체가 고정된 후에, 호일을 220℃에서 1분동안 대류 오븐에서 열처리시킨다. 열처리후에, 중합체 필름은 은색조 회색 금속 효과를 나타낸다. 전체 층 두께는 10㎛이다.
특정 효과 안료를 제조하기 위해, 피복된 알루미늄 호일을 절반이 농축된 염산에 넣고, 알루미늄 지지체 호일을 용해하고, 중합체 필름이 남는다. 중합체 입자는 유니버샬 밀에서 분쇄한다. 입자 크기 분포를 좁게하기 위해, 연마된 물질을 63㎛의 메쉬 체를 갖는 체로 통과시킨다. 생성된 특정 효과 안료는 2 성분 투명 피복으로 혼입시키고, 흑색의 금속 패널상에 분무하고, 투명 피복으로 피복한다. 스토브한 후에, 피복물은 금속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6
이소부탄올중에 실시예 A 내지 E로부터 각각의 중합체의 10중량% 분산액을 24㎛의 핸드 피복기를 사용하여 알루미늄 호일상에 서로 상부상에 피복한다. 이 절차에서, 각각의 중합체층은 나이프 피복후에 건조시키고, 분말 적용물은 200℃에서 고온표면상에 호일을 연신시켜 고정시킨다. 최종 중합체가 고정된 후에, 호일을 열처리를 위해 고온 금속 표면상에서 연신시킨다. 금속 표면의 온도는 300℃이고, 금속 표면과 호일의 접촉시간은 약 3 내지 10초이다. 열처리후에, 중합체 필름은 은색조 회색 금속 효과를 나타낸다. 전체 층 두께는 11㎛이다.
특정 효과 안료를 제조하기 위해, 피복된 알루미늄 호일을 절반이 농축된 염산에 넣고, 알루미늄 지지체 호일을 용해하고, 중합체 필름이 남는다. 중합체 입자는 유니버샬 밀에서 분쇄한다. 입자 크기 분포를 좁게하기 위해, 연마된 물질을 63㎛의 메쉬 체를 갖는 체로 통과시킨다. 생성된 특정 효과 안료는 2 성분 투명 피복으로 혼입시키고, 흑색의 금속 패널상에 분무하고, 투명 피복으로 피복한다. 스토브한 후에, 피복물은 금속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7
공압출 공정은 3개의 단일 나선 압출기로 이루어지고, 용융 펌프가 접속된다. 용융 펌프는 용융물의 균일한 펄스가 없는 유동을 확신한다. 용융 스트림은 배출 다이에서 서로 상부에서 야기된다. 슬롯 다이를 통해 배출된다. 압출기(1)에서, 폴리스티렌을 압출시키고, 2개의 외부층에 지지체 층으로서 작용한다. 2개의 액정 주쇄 중합체 F 및 G는 압출기(2) 및 (3)중에서 280℃에서 압출된다. 용융 스트림은 동일한 용적 비율로 이동한다. 폭 20cm의 스트립을 취한다. 스트립은 금속 색상을 갖는다. 액정층이 매우 잘 형성되고, 12 내지 15㎛의 두께를 갖는다. 금속 광택을 갖는 특정 효과 안료를 제조하기 위해, 스트립을 절삭 밀에서 연마한다. 연마중에, 폴리스티렌을 액정층으로부터 떼고, 밀도의 차이에 의해 계속하여 분리시킬 수 있다. 액정 입자는 유니버샬 밀에서 연마한다. 입자크기 분포를 좁게하기 위해, 연마 물질은 63㎛의 메쉬 체를 갖는 체로 통과시킨다. 얻어진 특정 효과 안료는 2 성분 투명 피복으로 혼입시키고, 흑색의 금속 패널상에 분무하고, 투명 피복으로 피복한다. 스토브한 후에, 피복물은 금속 효과를 나타낸다.
열가소성 콜레스테릭 액정 주쇄 중합체를 사용하여 금속 광택을 갖는 온도 안정성, 내약품성 및 내용매성의 특정 효과 안료를 제공할 수 있는 중합체를 생성할 수 있다.

Claims (12)

  1. 콜레스테르성 헬릭스의 피치중에서 다른 2개이상의 비가교결합된 열가소성 콜레스테르성 액정성 주쇄 중합체를 포함하고, 하나이상의 비가교결합된 열가소성 콜레스테르성 액정성 주쇄 중합체 및 하나의 열가소성 네마틱 중합체를 포함하고, 가시 스펙트럼의 모든 파장을 반사하고, 물질의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진행하는 주쇄 중합체의 혼합 구배를 갖는 평평한 물질.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체 물질상의 층 또는 라미네이트, 필름 또는 판인 물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색 또는 IR 스펙트럼 범위중에 선택적 반사를 갖는 콜레스테르성 액정 주쇄 중합체가 물질의 외면상에 배치되고, 청색 또는 UV 스펙트럼 범위중에 선택적 반사를 갖는 콜레스테르성 액정 주쇄 중합체가 물질의 나머지 외면상에 배치된 물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네마틱 중합체가 물질의 한 외면상에 배열되고, 청색 또는 UV 스펙트럼 범위중에 선택적 반사를 갖는 콜레스테르성 액정 주쇄 중합체가 물질의 다른 외면상에 배열된 물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쇄 중합체가 방향족 및/또는 지환족 하이드록시카복실산, 방향족 아미노카복실산; 방향족 및/또는 지환족 디카복실산 및 방향족 및/또는 지환족 디올 및/또는 디아민; 및 또한 키랄, 이작용성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인 물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쇄 중합체가
    a) 방향족 하이드록시카복실산,지환족 하이드록시카복실산 및 방향족 아미노카복실산의 그룹으로부터 하나이상의 화합물 0 내지 99.8몰%;
    b) 방향족 디카복실산 및 지환족 디카복실산의 그룹으로부터 하나이상의 화합물 0 내지 50몰%;
    c) 방향족 디올, 지환족 디올 및 디아민의 그룹으로부터 하나이상의 화합물 0 내지 50몰%;
    d) 키랄, 이작용성 공단량체 0.1 내지 40몰%, 바람직하게 1 내지 25몰%; 전체 합계가 100몰%이고, 성분 a), b) 및 c)의 합계가 필수적으로 60 내지 99.9몰%로 이루어지는 물질.
  7. 제 6 항에 있어서,
    키랄 이작용성 단량체가 이소소르비드, 이소만나이드, 이소이다이드, 캄포르산, (D)- 또는 (L)-메틸피페라진, (D)- 또는 (L)-3-메틸아디프산, 부탄-2,3-디올 및 또한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인 물질: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식에서,
    R 및 R'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6알킬 또는 페닐, 바람직하게 H 또는 CH3이다.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쇄 중합체가 그룹 p-하이드록시벤조산, 2-하이드록시-6-나프토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2,6-나프탈렌디카복실산, 하이드로퀴논, 레조르시놀 및 4,4'-디하이드록시비페닐 및 또한 캄포르산, 이소소르비드 또는 이소만나이드로부터의 하나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물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콜레스테르성 헬릭스의 피치중에서 다른 2개 이상의 열가소성 콜레스테르성 액정 주쇄 중합체 또는 하나이상의 열가소성 콜레스테르성 중합체 및 지지체 기재상에 서로 상부에 열가소성 네마틱 중합체를 처리한다음 금속 효과가 나타날때까지 조립체를 열처리시키고, 바람직하다면 지지체 기재로부터 생성된 중합체를 분리하고, 바람직하다면 판으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물질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콜레스테르성 헬릭스의 다른 피치와 2개이상의 주쇄 중합체를 서로 상부에 처리하여 피치가 중합체층으로부터 중합체층까지 증가 또는 감소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정 효과 안료의 용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천연물질 및 합성물질, 특히 자동차의 차체 또는 차체부의 도포 또는 화장품을 위한 특정 효과 안료로서의 용도.
KR1019980056405A 1997-12-20 1998-12-19 금속 광택을 갖는 유기물 KR199900632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56974.9 1997-12-20
DE1997156974 DE19756974C2 (de) 1997-12-20 1997-12-20 Organisches Material mit metallischem Glanz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243A true KR19990063243A (ko) 1999-07-26

Family

ID=7852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6405A KR19990063243A (ko) 1997-12-20 1998-12-19 금속 광택을 갖는 유기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924283A1 (ko)
JP (1) JPH11241004A (ko)
KR (1) KR19990063243A (ko)
CA (1) CA2256990A1 (ko)
DE (1) DE19756974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811B1 (ko) * 2003-04-17 2012-02-1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액정성 폴리에스테르 용액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55542A1 (de) * 2001-11-12 2003-05-22 Bas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Lichtschutzmittelzubereitung
JP2009280831A (ja) * 2009-08-31 2009-12-03 Sumitomo Chemical Co Ltd 液晶性ポリエステル溶液組成物
CN104379632B (zh) 2012-06-13 2016-08-24 三菱丽阳株式会社 调色剂用聚酯树脂及其制造方法、以及调色剂
WO2014088097A1 (ja) 2012-12-07 2014-06-12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トナー用ポリエステル樹脂、その製造方法、およびトナー
FR3044665A1 (fr) * 2015-12-02 2017-06-09 Roquette Freres Copolyesters thermoplastiques aromatiques comprenant du 1,4 : 3,6-dianhydrohexitol et divers diols cycliques
JP7174640B2 (ja) * 2019-01-31 2022-11-17 上野製薬株式会社 液晶ポリマ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2145A (en) * 1993-09-22 1995-03-29 Central Research Lab Ltd Coloured material comprising aligned liquid crystal laminae
DE4418075C2 (de) * 1994-05-24 2000-06-29 Daimler Chrysler Ag Effektlack bzw. Effektlackierung, insbesondere für Fahrzeugkarosserien, unter Verwendung von flüssigkristallinen Interferenzpigmenten
DE19612974A1 (de) * 1996-04-01 1997-10-02 Hoechst Ag Pulverbeschichtungen mit vom Betrachtungswinkel abhängigem Farbeindruck
DE19612975A1 (de) * 1996-04-01 1997-10-02 Hoechst Ag Effektbeschichtungen mit vom Betrachtungswinkel abhängigem Farbeindruck
DE19612973A1 (de) * 1996-04-01 1997-10-02 Hoechst Ag LCP-Blends
DE19715993A1 (de) * 1997-04-17 1998-10-22 Clariant Gmbh Polymerlaminate mit erhöhtem Deckvermög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811B1 (ko) * 2003-04-17 2012-02-1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액정성 폴리에스테르 용액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56990A1 (en) 1999-06-20
DE19756974C2 (de) 2001-04-19
DE19756974A1 (de) 1999-07-01
EP0924283A1 (de) 1999-06-23
JPH11241004A (ja) 1999-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4111B1 (ko) 액정 간섭 안료를 사용하는 차체용 배합 코팅 재료 및 코팅 시스템과 그 제조방법
US5747175A (en) LCP blends
US5834064A (en) Effect coatings whose perceived color depends on the viewing angle
KR19990083244A (ko) 적외선-반사성착색제
JP2000080180A (ja) 効果被膜のレ―ザ―マ―キング
JP2001515094A (ja) コレステリック効果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153722A (en) Cholesteric liquid-crystal polymers with increased weather stability
CN101296995A (zh) 高清晰度的胆甾型液晶薄膜
US6143379A (en) Polymer laminates having increased hiding power
US5837160A (en) Chiral CLCPs containing colored monomers
KR19990063243A (ko) 금속 광택을 갖는 유기물
KR20000052665A (ko) 광학 가변 특성을 갖는 착색된 콜레스테릭 액정 중합체
EP0872534B1 (de) Effektbeschichtungen mit vom Betrachtungswinkel abhängigem Farbeindruck
KR19980081469A (ko) 중합체 적층물의 제조방법
MXPA98008069A (en) Effect coatings whose color perceived depends on the angle of observac
KR0184110B1 (ko) 액정 간섭 안료를 사용하는 차체용 배합 코팅재료 및 코팅 시스템과 그 제조방법
MXPA98008066A (en) Mixes of liqui crystal poly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