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8794A - 통화 자동재개음 발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 자동재개음 발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8794A
KR19990058794A KR1019970078968A KR19970078968A KR19990058794A KR 19990058794 A KR19990058794 A KR 19990058794A KR 1019970078968 A KR1019970078968 A KR 1019970078968A KR 19970078968 A KR19970078968 A KR 19970078968A KR 19990058794 A KR19990058794 A KR 19990058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all
resume
switch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8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계흥석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78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8794A/ko
Publication of KR19990058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879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82Line monitoring circuits for call progress or status discri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4Delay circuits; Ti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쪽 통화자가 수화기를 놓더라도 일정시간 대기하고 있다가 신호가 오면 다시 통화를 재개할 수 있는 통화 자동재개음 발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후크부; 통화신호의 발송 및 차단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의 온동작에 따라 통화완료신호를 인가받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통화완료신호를 수수하며, 소정시간동안 통화재개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감시하는 통화신호감시부; 소정시간내에 통화재개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감시하는 통화신호감시부; 통화재개 표시음을 발생하는 신호발생음 출력부; 상대방과 통화재개할 수 있도록 온-오프되는 제2 스위치; 및 설정된 시간을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통화자동 재개음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자가 수화기를 내려놓음에 따라 제1 스위치가 온동작하고; 상기 제1 스위치가 온상태이면 신호감시부로 통화재개 여부제어신호 송출하는 단계; 상기 신호감시부에서 제어부로 통화재개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신호감지부에서 신호가 제어부로 입력될 때까지 대기하고,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제2 스위치를 오프하고 종료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로 통화재개신호가 입력되면 신호발생음 출력부로 통화재개 신호를 출력하여 표시음을 발생하고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자동 재개음 발생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통화 자동재개음 발생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통화도중에 상대방이 전화를 끊었을 경우 재차 전화를 걸지 않아도 다시 통화를 재개할 수 있는 통화 자동재개음 발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쪽 통화자가 수화기를 놓더라도 일정시간 대기하고 있다가 신호가 오면 다시 통화를 재개할 수 있는 통화 자동재개음 발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는 단순히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는 기능 뿐만 아니라, 통화중에도 제3자와 통화할 수 있는 기능, 부재시 자동응답기능등 여러 가지 편리한 기능이 발달되어 있다.
또한, 전화기의 일반구조는 크게 전화기 본체와, 송수화기, 후크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후크스위치는 통화가능한 신호음이나 통화중인 신호음을 통화자에게 알려주며, 통화를 절체해주는 스위치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은 전화기의 구조에서, 종래에는 상대방과 통화를 하고 있다가 주위에서 어린이의 장난이나 부주의한 실수로 인하여 후크스위치가 눌려지는 경우, 통화가 끊어지는 사례가 다발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전화를 끊었다가 재차 다이얼을 돌려 상대방과 통화를 재개해야만 한다. 이에따라 전화를 다시 걸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며, 용건이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가 끊어졌기 때문에 통화요금이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화통화를 하고 있다가 상대방이나 당사자중 어느 한 쪽이 전화를 일방적으로 끊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어느 한쪽의 통화자가 용건이 남아 있어 계속 통화를 재개하고 싶을 때에는 전화를 끊었다가 다시 전화를 걸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때에는 상대방에서 전화를 완전히 끊어놓은 상태에서만이 통화재개가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한쪽 통화자가 수화기를 놓더라도 일정시간이 지나서 통화요구신호를 인가하면 전화가 끊어지지 않은 대기상태에서 다시 통화를 재개할 수 있는 통화 자동재개음 발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자동재개음 발생장치의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자동재개음 발생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후크부 2 : 제1 스위치
3 : 제2 스위치 4 : 제어부
5 : 통화신호 감시부 6 : 신호발생음 출력부
7 : 타이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화기 몸체에 장착되어 송수화기의 탈착에 따라 통화신호를 송수신하는 후크부; 상기 후크부에서 송출되는 통화신호 여부에 따라 통화신호의 발송 및 차단하도록 온-오프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의 온동작에 따라 통화완료신호를 인가받으며, 전반적인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통화완료신호를 수수하며, 소정시간동안 통화재개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감시하는 통화신호감시부; 상기 제어부와 통화완료신호를 수수하며, 소정시간동안 통화재개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감시하는 통화신호감시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통화재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통화재개 표시음을 발생하는 신호발생음 출력부; 상기 제1 스위치와 상호 신호를 수수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통화재개 제어신호의 입력여부에 따라 상대방과 통화재개할 수있도록 온-오프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신호감시부로부터 통화재개신호가 제어부로 인가되는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설정된 시간을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통화자동 재개음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자가 수화기를 내려놓음에 따라 제1 스위치가 온동작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스위치가 오프상태이면 피드백하고, 온상태이면 신호감시부로 통화재개 여부 제어신호 송출하는 단계; 상기 신호감시부에서 제어부로 통화재개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로 통화재개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신호감지부에서 신호가 제어부로 입력될 때까지 대기하고,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제2 스위치를 오프하고 종료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로 통화재개신호가 입력되면 신호발생음 출력부로 통화재개 신호를 출력하여 표시음을 발생하고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자동 재개음 발생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1 및 도2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자동 재개음 발생장치 및 방법은 상대방이 수화기를 내려놓은 상태에서 전화를 끊지 않고도 다시 통화를 재개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기 몸체에 내장되며 송수화기의 탈착에 따라 통화신호를 송수신하는 후크부(1)가 구비된다. 상기 후크부(1)에는 그로부터 송출되는 통화신호 여부에 따라 통화신호를 발송 및 차단하도록 온-오프(on-off)되는 제1 스위치(2)와, 상기 제1 스위치(2)와 상호 신호를 수신하며, 상대방 전화와 통화가 가능하도록 온(on) 구동을 하는 제2 스위치(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스위치(2)의 온 동작에 따라 통화완료신호를 인가받아 제어신호를 상기 제2 스위치(3)에 전달하며 전반적인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와, 상기 제어부(4)와 통화완료신호를 수수하며 소정시간동안 통화재개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감시하는 통화신호감시부(5)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통화신호 감시부(5)는 상대방의 전화로부터 다시 통화를 재개하고 싶다는 표시음이 입력되는지 않되는지를 감시하는 것이다. 이때 상대방 전화에서는 약속된 신호 즉 후크를 소정횟수만큼 누름에 따라 상기 신호감시부(5)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4)에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감시신호부(5)로부터 통화재개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4)로부터 출력되는 통화재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통화재개 표시음을 발생하는 신호발생음 출력부(6)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신호발생음 출력부(6)에서 출력되는 통화재개 표시음은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즉, 예를들면 평상시에는 새소리로 신호음을 출력하다가 통화재개신호일 때는 기차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4)에는 타이머(7)가 연결되어 통화신호감시부(5)로부터 통화재개신호가 제어부(4)로 인가되는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설정된 시간을 상기 제어부에 인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대방과 통화를 끝낸 뒤, 상대방측에서 수화기를 내려놓게 되면, 통화완료신호를 후크부(1)가 감지하여 제1 스위치(2)에 송출하므로써 상기 제1 스위치(2)는 온(on)되어 상대방과의 통화를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스위치(2)의 오프신호가 제어부(4)에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4)는 신호감시부(5)에 통화재개신호가 상대방으로부터 입력되는지를 감시하도록 제어명령을 송출하며, 반대로 상기 상대방 전화로부터 약속된 신호를 송출하게되면, 즉 후크를 소정횟수만큼 누르게되면, 상기 누름동작은 제2 스위치에 전달되고, 또한 통화재개신호가 신호감시부(5)에 전달되어 제어부(4)로 송출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는 신호감시부(5)로부터 입력되는 통화재개신호를 신호발생음 출력부(6)에 송출하므로써 소정의 표시음을 발생하고, 제2 스위치(3)를 통화가능신호가 상대방측에 인가되도록 온(on)구동을 시킨다. 이에따라 상기 상대방이 수화기를 든 경우에 통화가 재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통화신호감시부(5)와 제어부(4)가 통화재개신호를 수수하는 과정에서, 상기 타이머(7)로부터 제어부(4)로 설정된 소정시간이 입력되며, 상기 설정시간동안 통화신호감시부(5)로부터 통화재개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통화가 완전히 끊어지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상대방이 전화를 그대로 내려놓은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의 제어흐름을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통화자가 수화기를 내려놓음에 따라 제1 스위치(2)가 온동작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1).
상기 제1 스위치(2)가 오프(off)상태이면 피드백하고, 온(on)상태이면 제어부(4)에서는 통화차단신호를 입력받고, 신호감시부(5)에 통화재개 여부명령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S22).
상기 신호감시부(5)에서는 상대방전화로부터 통화재개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통화재개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제어부(4)에 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4)는 신호발생음 출력부(6)로 통화재개신호를 출력하므로써 통화재개표시음을 발생하고 종료한다(S23, S24).
그러나, 상기 제어부(4)로 통화재개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5). 이는 타이머(7)에서 설정된 시간동안 통화신호감시부(5)에 상대방 전화로부터 통화재개음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통화신호감지부(5)로부터 통화재개신호가 제어부(4)로 입력될 때까지 대기하고,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제2 스위치(3)를 오프하고 종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한쪽 통화자가 수화기를 놓아 통화가 끊어진 상태에서도 일정시간동안 통화가 끊어지지 않도록 하므로써, 즉 통화재개가 가능하도록 일정시간동안 대기하므로써 통화재개신호가 다시 입력되면 재다이얼을 돌리지 않고도 통화를 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용건이 끊나지 않은 상태에서 재다이얼을 돌릴 필요가 없으며, 통화요금을 절약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전화기 몸체에 장착되어 송수화기의 탈착에 따라 통화신호를 송수신하는 후크부;
    상기 후크부에서 송출되는 통화신호 여부에 따라 통화신호의 발송 및 차단하도록 온-오프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의 온동작에 따라 통화완료신호를 인가받으며, 전반적인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통화완료신호를 수수하며, 소정시간동안 통화재개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감시하는 통화신호감시부;
    상기 제어부와 통화완료신호를 수수하며, 소정시간동안 통화재개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감시하는 통화신호감시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통화재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통화재개 표시음을 발생하는 신호발생음 출력부;
    상기 제1 스위치와 상호 신호를 수수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통화재개 제어신호의 입력여부에 따라 상대방과 통화재개할 수있도록 온-오프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신호감시부로부터 통화재개신호가 제어부로 인가되는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설정된 시간을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타이머
    를 포함하는 통화자동 재개음 발생장치.
  2. 통화자가 수화기를 내려놓음에 따라 제1 스위치가 온동작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스위치가 오프상태이면 피드백하고, 온상태이면 신호감시부로 통화재개 여부제어신호 송출하는 단계;
    상기 신호감시부에서 제어부로 통화재개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로 통화재개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신호감지부에서 신호가 제어부로 입력될 때까지 대기하고,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제2 스위치를 오프하고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로 통화재개신호가 입력되면 신호발생음 출력부로 통화재개 신호를 출력하여 표시음을 발생하고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자동 재개음 발생방법.
KR1019970078968A 1997-12-30 1997-12-30 통화 자동재개음 발생장치 및 방법 KR199900587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968A KR19990058794A (ko) 1997-12-30 1997-12-30 통화 자동재개음 발생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968A KR19990058794A (ko) 1997-12-30 1997-12-30 통화 자동재개음 발생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794A true KR19990058794A (ko) 1999-07-15

Family

ID=66180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8968A KR19990058794A (ko) 1997-12-30 1997-12-30 통화 자동재개음 발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87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1343A (e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JPH0278348A (ja) 無線電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578106B2 (ja) 電話・フアクシミリ切換方式
KR19990058794A (ko) 통화 자동재개음 발생장치 및 방법
JPS61150452A (ja) 電話端末装置
KR970011415B1 (ko) 보류 음악을 이용한 전화기의 링소리 발생 방법
JP3070413B2 (ja) 電話機を外付けしたファクシミリ装置
JP2563767B2 (ja) ファクシミリ通信における電話呼出装置
JP2662724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716263B2 (ja) 無線電話装置における保留方式
KR950010480B1 (ko) 키폰 시스팀과 전화기와의 접속 장치 및 방법
KR0173320B1 (ko) 무선전화기에서 통화전환시 라인 제어 방법
KR950003728B1 (ko) 전화선을 이용하는 원격 제어회로 및 그 방법
JP2809653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620231B2 (ja) フアクシミリ通信における電話呼出方法及びその装置
JPH06132883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S63302691A (ja) ボタン電話システム
JPH02104057A (ja) Pbxシステム
JP2001292198A (ja) 省エネ機能付き通信端末装置
JPS60226233A (ja) 着呼報知機
JPH02216961A (ja) 電話機
JPH04144455A (ja) 電話機
JPH02237253A (ja) 電話機
JPH07221877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993417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