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8248A - 선재의 자동정렬권취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선재의 자동정렬권취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8248A
KR19990058248A KR1019970078338A KR19970078338A KR19990058248A KR 19990058248 A KR19990058248 A KR 19990058248A KR 1019970078338 A KR1019970078338 A KR 1019970078338A KR 19970078338 A KR19970078338 A KR 19970078338A KR 19990058248 A KR19990058248 A KR 19990058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 rod
bobbin
wind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8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9341B1 (ko
Inventor
김명영
Original Assignee
김명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영 filed Critical 김명영
Priority to KR1019970078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9341B1/ko
Publication of KR19990058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8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9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93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 B65H54/2848Arrangements for aligned w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1Joints, e.g. riveted or magnetic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2Translation screw-thread mechanisms

Landscapes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재의 자동정렬권취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형 또는 원형의 선재를 보빈에 일정한 폭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자동으로 정렬권취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선재가 권취되는 보빈의 양사이드에서 선재의 정렬권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그 구성은 선재가 텐션을 유지하도록 일정한 장력으로 선재가 선재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선재를 선재가이드부로 안내하고, 이 선재가이드부를 통과한 선재를 보빈의 축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좌우이송부와, 이 좌우이송부의 상부에 보빈의 축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전후이송부와, 이 전후이송부의 상부에 고정되며, 선재의 폭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는 한 쌍의 간격조절부와, 이 간격조절부의 각각에 고정되며, 보빈으로 공급되는 선재를 안내하는 한 쌍의 선재리드부로 구성되는 권취기 및 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부에 의하여 선재권취부의 보빈에 정렬권취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선재의 자동정렬권취방법 및 그 장치(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rraying and winding automatically the wire rod)
본 발명은 선재의 자동정렬권취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각형, 원형의 선재(압연되어서 나오는 선재, 전선, 연선 및 신선 등)등을 보빈에 일정한 폭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자동으로 정렬권취할 수 있도록 한 선재의 자동정렬권취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선재의 권취장치는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되는 선재를 완성된 제품으로 출하하거나 보빈에 감긴 선재 등을 다른 보빈에 정렬권취하기 위한 권취기(200)는 보빈(211)이 회전되게 양프레임(212)(213)에 설치되고, 일측 프레임(213)에는 도시하지 않은 콘트롤러에 의하여 동작하는 트레버스용 모터(214)와 감속기(215)가 풀리(216)와 벨트(217)로 연동되며, 프레임(212)(213) 하단의 회전축(218)(219)상에 트레버스휠(220)이 설치된 권취기(200)가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는 레일(221)에서 좌,우로 이동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트래버스용 모터(214)의 회전력이 풀리(216), 벨트(217) 및 감속기(215)를 통해 트래버스휠(220)로 전달되면 상기 트래버스휠(220)이 회전하면서 레일(221)위에서 상기 권취기(200)가 좌,우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보빈(211)이 회전하면서 인취기(222)를 거쳐 공급되는 선재(C)를 권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권취기(200)는 선재를 끌어단기는 인취기와의 거리가 멀거나 선재의 외경이 작고 권취장력이 큰 경우에는 보빈에 권취시 선재가 일직선상으로 위치하지 못하여 유동이 심하고, 또한, 권취기를 좌,우로 이동시켜 주는 트래버스휠이 레일위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이 나타나 보빈에 선재의 정렬권취가 어렵게 되므로 선재의 외관에 손상을 주어 선재의 품질과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이러한 종류의 권취기는 고가품인 선재를 권취하는 경우 외상을 방지하거나 송출시 엉킴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작업인원을 배치하여 수동으로 권취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능률과 생산성이 저하되고, 인력의 낭비가 많으며, 작업공정을 자동화시킬 수 없었고, 선재의 정렬권취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각형 또는 원형의 선재를 보빈에 일정한 폭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자동으로 정렬권취할 수 있도록 한 선재의 자동정렬권취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선재가 권취되는 보빈의 양사이드에서 선재의 정렬권취가 이루어지도록 한 선재의 자동정렬권취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재가 텐션을 유지하도록 일정한 장력으로 선재가 선재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선재를 선재가이드부로 안내하고, 이 선재가이드부를 통과한 선재를 보빈의 축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좌우이송부와, 이 좌우이송부의 상부에 보빈의 축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전후이송부와, 이 전후이송부의 상부에 고정되며, 선재의 폭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는 한 쌍의 간격조절부와, 이 간격조절부의 각각에 고정되며, 보빈으로 공급되는 선재를 안내하는 한 쌍의 선재리드부로 구성되는 권취기 및 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부에 의하여 선재권취부의 보빈에 정렬권취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이다.
본 발명은, 선재권취부는 서보모터를 장치하여 보빈이 천천히 구동하고(SLOW-START) 및 천천히 정지(SLOW-STOP)하도록 조절함으로서 선재권취부의 보빈에 정렬권취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이다.
본 발명은, 좌우이송부의 서보모터는 컨트롤부에서 선재권취부의 보빈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작동하는 것을 특징이다.
본 발명은, 컨트롤부는 선재권취부의 보빈에 만권이 되기 전에 예령신호를 출력하여 보빈의 회전수를 설정속도보다 낮게 회전하도록 하고, 만권신호시 스타트지점과 동일한 지점에서 정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이다.
본 발명은, 선재가 텐션을 유지하도록 일정한 장력으로 선재를 선재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선재를 선재가이드부로 안내하고, 이 선재가이드부를 통과한 선재를 보빈의 축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좌우이송부와, 이 좌우이송부의 상부에 보빈의 축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전후이송부와, 이 전후이송부의 상부에 고정되며, 선재의 폭 또는 직경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는 한 쌍의 간격조절부와, 이 간격조절부의 각각에 고정되며, 보빈으로 공급되는 선재를 안내하는 한 쌍의 선재리드부로 구성되는 권취기 및 콘트롤부에 의하여 선재권취부의 보빈에 정렬권취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이다.
본 발명은, 좌우이송부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에 양측으로 가이드바가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서보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볼스크류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슬라이딩부 및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되는 이동체를 이동프레임에 고정하여 좌우이동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전후이송부는 이동프레임에 양측으로 가이드바가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서보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볼스크류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슬라이딩부 및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되는 이동체를 이동프레임에 고정하여 전후이동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이다.
본 발명은, 간격조절부는 상기 이동프레임의 양단에 양측으로 나사부를 가지는 가이드바가 너트로 고정하여 관통되는 수직프레임을 고정하고, 이 가이드바에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딩부를 고정시킨 한 쌍의 간격조절프레임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수직프레임을 관통한 가이드바의 나사부로 끼워져 한 쌍의 너트로서 간격조절판을 설치하고, 이 간격조절판에는 실린더를, 상기 간격조절프레임에는 실린더의 로드를 고정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이다.
본 발명은, 선재리드부는 각각의 간격조절프레임의 일단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브라케트를 근접하여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딩홈에서 슬라이드되는 작동바를 설치함과 동시에 작동바의 일단에는 선재의 가이드롤러 및 텐션롤러를, 타단에는 간격조절프레임에 고정된 수직프레임에 고정된 실린더에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이다.
본 발명은, 간격조절부은 선재의 폭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따른 자동정렬권취기를 나타낸 전체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정렬권취기를 나타낸 전체정면도.
도 3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정렬권취기를 나타낸 요부평면도.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정렬권취기를 나타낸 요부평면도.
도 5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정렬권취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
도 5a 는 선재리드부의 초기상태의 개략도.
도 5b 는 선재리드부의 동작중 개략도.
도 5c 는 선재리드부가 보빈의 우측사이드로 이동할 때의 개략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절부 및 선재리드부의 확대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절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확대도.
도 8 은 종래의 자동정렬권취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선재공급부. 11. : 파우다브레이크.
20. : 선재가이드부. 22. : 가이드롤러.
30. : 선재권취부. 35. : 보빈.
40. : 권취부. 50. : 컨트롤부.
410. : 좌우이송부. 420. : 전후이송부.
430. : 간격조절부. 440. : 선재리드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따른 자동정렬권취기를 나타낸 전체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정렬권취기를 나타낸 전체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정렬권취기를 나타낸 요부평면도를,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정렬권취기를 나타낸 요부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정렬권취기(100)는 프레임(110)과, 일정한 장력으로 선재(C)를 공급하는 선재공급부(10)와, 이 선재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선재(C)를 안내하는 선재가이드부(20)와, 이 선재가이드부(20)를 통과한 선재(C)를 보빈(35)에 권취시키는 선재권취부(30)와, 이 선재권취부(30)의 보빈(35)에 정렬권취시키는 권취기(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재공급부(10)는 압연되어서 나오는 선재, 전선, 연선 및 신선 등의 선재(C)를 일정한 장력을 가지면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파우다브레이크(11)가 설치되며, 이는 후술하는 선재권취부(30)의 보빈(35)에 선재(C)가 정확하고 신속하게 권취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선재가이드부(20)는 프레임(110)의 상부에, 즉 후술하는 선재권취부(3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110)에 지지프레임(21)을 고정하고, 그 선단에 축에 의하여 자유회전되는 가이드롤러(22)가 설치되며, 이 가이드롤러(22)는 선재의 단면 형상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재권취부(30)는 상기 선재가이드부(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서보모터(31)와, 이 서보모터(31)와 벨트(32)로 연결된 감속기(33)와, 이 감속기(33)의 회전축(34)에 끼워져 회전되는 보빈(35)이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36)에 의해서 고정되며, 상기 보빈(35)은 착탈가능하게 설치한다.
한편, 상기 서보모터(31)는 스타트시 천천히 구동하고(SLOW-START) 및 만권에 이를 시 천천히 정지(SLOW-STOP)하도록 조절함으로서 보빈(35)에 권취되는 선재(C)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권취기(40)는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보빈(35)의 축방향, 즉 좌.우로 이송되는 좌우이송부(410)와, 이 좌우이송부(410)의 상부에 보빈(35)의 축방향에 수직방향, 즉 전.후로 이송되는 전후이송부(420)와, 이 전후이송부(420)의 상부에 고정되며, 선재(C)의 폭 또는 직경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는 한 쌍의 간격조절부(430)와, 이 간격조절부(430)의 각각에 고정되며, 보빈(35)으로 공급되는 선재(C)를 안내하는 한 쌍의 선재리드부(4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이송부(410)는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411)과, 이 고정프레임(411)에 양측으로 가이드바(412)가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서보모터(413)에 의하여 회전하는 볼스크류(414)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바(412)를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슬라이딩부(415) 및 상기 볼스크류(414)의 회전에 의하여 좌,우이동되는 이동체(416)를 이동프레임(421)에 고정하여 구성한다.
상기 전후이송부(420)는 이동프레임(421)과, 이 이동프레임(421)에 양측으로 가이드바(422)가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서보모터(423)에 의하여 회전하는 볼스크류(424)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바(422)를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슬라이딩부(425) 및 상기 볼스크류(424)의 회전에 의하여 전,후이동되는 이동체(426)를 이동프레임(431)에 고정하여 구성한다.
상기 간격조절부(430)는 상기 이동프레임(431)의 양단에 양측으로 나사부(432)를 가지는 가이드바(433)가 너트(432a)로 고정하여 관통되는 수직프레임(434)을 고정하고, 이 가이드바(433)에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딩부(435)를 고정시킨 한 쌍의 간격조절프레임(436)(436a)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수직프레임(434)(434a)을 관통한 가이드바(433)의 나사부(432)로 끼워져 한 쌍의 너트(432b)(432c)로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간격조절판(437)(437a)을 설치하고, 이 간격조절판(437)(437a)에는 실린더(438)(438a)를, 상기 간격조절프레임(436)(436a)에는 실린더(438)(438a)의 로드(438c)를 고정하여 구성한다.
선재리드부(440)는 각각의 간격조절프레임(436)(436a)의 일단에 슬라이딩홈(441)(441a)이 형성된 브라케트(442)(442a)를 근접하여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딩홈(441)(441a)에서 슬라이드되는 작동바(443)(443a)를 설치함과 동시에 작동바(443)(443a)의 일단에는 선재(C)의 가이드롤러(444)(444a) 및 텐션롤러(445)(445a)를, 타단에는 간격조절프레임(436)(436a)에 고정된 수직프레임(446)(446a)에 고정된 실린더(447)(447a)에 연결하여 구성한다.
미설명부호 50 은 본 발명의 자동정렬권취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정렬권취기(100)는 제조공장등에서 압연되어서 나오는 선재, 전선, 연선 및 신선 등의 선재(C)가 텐션을 유지하도록 일정한 장력으로 선재(C)를 선재공급부(10)를 통하여 공급되는 선재(C)를 선재가이드부(20)로 안내하고, 이 선재가이드부(20)를 통과한 선재(C)를 보빈(35)의 축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좌우이송부(410)와, 이 좌우이송부(410)의 상부에 보빈(35)의 축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전후이송부(420)와, 이 전후이송부(420)의 상부에 고정되며, 선재(C)의 폭 또는 직경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는 한 쌍의 간격조절부(430)와, 이 간격조절부(430)의 각각에 고정되며, 보빈(35)으로 공급되는 선재(C)를 안내하는 한 쌍의 선재리드부(440)로 구성되는 권취기(40)에 의하여 선재권취부(30)의 보빈(35)에 정렬권취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선재권취부(30)의 보빈(35)에 자동정렬권취되도록 한 자동정렬권취기(100)의 콘트롤부(50)의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조공장등에서 압연되어서 나오는 선재, 전선, 연선 및 신선 등의 선재(C)가 텐션을 유지시키는 파우다브레이크(11)가 일정한 장력으로 선재(C)를 선재공급부(10)를 통하여 선재가이드부(20)로 공급되게 한다.
또한 상기 공급되는 선재(C)의 종류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콘트롤부에 그 작업명령을 입력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은 선재권취부(30)의 보빈(35)을 1 회전당 0.05 mm 이동, 좌우이송부(410)의 서보모터(413)는 상기 보빈(35)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작동하도록 하고, 상기 보빈(35)이 1 회전당 0.05 mm 이동시키려면 서보모터(413)는 1/100 회전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폭이 0.5 mm, 높이가 0.5 mm 인 선재(C)를 외경 355 mm, 동경 225 mm, 내폭 160 mm, 외폭 200 mm 인 보빈(35)에 권취할 경우, 보빈(35)의 1 회전에 서보모터(413)는 1/10 회전하며, 보빈(35)의 회전수가 500 일 경우 권취기(40)의 좌우이송부(410)는 보빈(35)의 회전수가 500 × 선재(c)의 폭 0.5 = 250 mm 움직이고, 서보모터(413)의 회전수는 50 회전하며, 좌(우)에서 우(좌)는 160 ÷ 0.5 = 320 회, 높이(전후이송부(420), 만권)는 62 ÷ 0.5 = 124회 로 상기 콘트롤부(50)에 셋팅되는 것이다.
또한, 보빈(35)의 양 사이드에 선재(C)가 터치할 때는 좌우이송부(410)의 서보모터(413)는 보빈(35)의 회전수에 의하여 터치시 좌우이송부(410)의 서보모터(413)는 정상구동하면서 역회전하여야 한다. 즉 좌우이송부(410)는 보빈(35)의 320 회에 역회전한다.
그리고, 선재권취부(30)는 만권시 또는 스타트시에는 회전축(34)에 서보모터(31)를 장착하여 만권 또는 스타트시 보빈(35)에 선재(C)를 끼우는 스타트지점이 일정하도록 하며, 스타트버튼을 누르면 서보모터(31)가 구동을 시작하도록 한다. 또, 보빈(35)의 만권 카운트가 124 회 이므로 예령 카운트를 115 ~ 120 회로 셋팅하여 예령 신호시 보빈(35)의 회전수를 설정속도 보다 낮게 회전하도록 하면서 만권신호를 받으면 스타트지점과 동일한 지점에서 정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선재(C)를 좌우로 이송하는 것은 좌우이송부(410)의 서보모터(413)의 작동으로 만족하나 선재(C)를 정확하게 권취하기 위해서는 선재리드부(440)의 연결동작이 필요하다. 즉, 선재(C)가 보빈(35)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스타트할 때 선재리드부(440)의 실린더(447)가 전진하여 선재(C)를 잡고서 우측으로 전진한 다음 스타트를 시작하여 320회를 권취하는 동안 80 회가 진행되면 선재리드부(440)의 실린더(447a)가 전진하여 선재(C)를 끼고 전진하다가 240회가 되면 선재리드부(440)의 실린더(447)가 후진하고 선재리드부(440)의 실린더(447a)는 좌측으로 전진하다가 320회되는 지점에서 좌우이송부(410)의 서보모터(413)는 역회전한다. 이 때 지금까지의 카운트는 소멸되고, 다시 1 부터 시작하여 선재리드부(440)의 실린더(447a)가 전진하여 선재(C)를 끼고 전진한다. 다시 80 회의 신호를 받으면 선재리드부(440)의 실린더(447)가 전진하는 동작을 계속하여 반복한다.
또한, 전후이송부(420)의 서보모터(423)는 선재(C)가 보빈(35)에 권취되면 보빈(35)의 동경이 커지면서 선재(C)를 리드하는 선재리드부(440)가 후진하도록 하는 데 상기 좌우이송부(41)의 좌우 카운트가 320회를 터치할 때 즉, 우에서 좌로, 좌에서 우로 터치할 때마다 선재(C)의 두께 만큼 뒤로 후진하며, 보빈(35)이 만권이 되면 새로운 보빈으로 장착하고, 전진 버튼을 누르면 보빈(35)의 동경에 지정한 지점까지 전진하여 정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컨트롤부(50)에서 콘트롤되는 본 발명의 자동정렬권취기(100)를 도 1 내지 도 7 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조공장등에서 압연되어서 나오는 선재, 전선, 연선 및 신선 등의 선재(C)가 텐션을 유지시키는 파우다브레이크(11)가 일정한 장력으로 선재(C)를 선재공급부(10)를 통하여 선재가이드부(20)로 공급되게 한다.
상기 공급되는 선재(C)를 선재권취부(30)의 회전축(34)에 끼워진 보빈(35)의 일측인 스타트지점에 끼우고, 도 5a 에 도시한바와 같이 선재리드부(440)의 실린더(447)이 전진하면, 이 실린더(447)와 연결된 작동바(443)가 간격조절프레임(436)의 브라케트(442)의 슬라이딩홈(441)을 따라 전진함과 동시에 간결조절부(430)의 실린더(438)가 작동하여 상기 간격조절프레임(436)을 화살표방향으로 전진시킴으로서 상기 작동바(443)의 선단에 고정된 가이드롤러(444)는 선재(C)의 측면을, 가이드롤러(444)의 하부에 설치된 텐션롤러(445)는 정면에 밀착되어 선재(C)를 잡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콘트롤부(50)의 스타트 버튼을 누르게 되면 선재권취부(30)의 서보모터(31)이 작동함과 아울러 벨트(32) 및 감속기(33)를 거쳐 회전축(34)가 회전함으로 보빈(35)도 같이 회전하며, 이 보빈(35)은 천천히 스타트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빈(35)이 천천히 스타트함과 동시에 콘트롤부(50)는 상기 보빈(35)의 회전속도를 검출하여 좌우이송부(410)의 서보모터(413)를 회전시킴으로서 좌에서 우로 이송하기 시작하여 도 5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거리(본 발명에서는 보빈(35)의 회전수가 80 회)를 좌우이송부(410)가 이송되면 선재리드부(440)의 실린더(447a)이 전진하면, 이 실린더(447a)와 연결된 작동바(443a)가 간격조절프레임(436a)의 브라케트(442a)의 슬라이딩홈(441a)을 따라 전진함과 동시에 간결조절부(430a)의 실린더(438a)가 작동하여 상기 간격조절프레임(436a)을 화살표방향으로 전진시킴으로서 상기 작동바(443a)의 선단에 고정된 가이드롤러(444a)는 선재(C)의 측면을, 가이드롤러(444a)의 하부에 설치된 텐션롤러(445a)는 정면에 밀착됨으로서, 상기 타측의 가이드롤러(444)와 텐션롤러(445)와 협동하여 선재(C)를 끼고서 계속하여 이송되는 것이다.
도 5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이송부(410)이 일정거리(본 발명에서는 보빈(35)의 회전수가 240 회)를 이송하게 되면, 간결조절부(430)의 실린더(438)가 작동하여 상기 간격조절프레임(436)을 화살표방향으로 후진시킴으로서 상기 작동바(443)의 선단에 고정된 가이드롤러(444)는 선재(C)의 측면에서, 가이드롤러(444)의 하부에 설치된 텐션롤러(445)는 정면에서 이탈됨과 아울러 선재리드부(440)의 실린더(447)가 후진하면, 이 실린더(447)와 연결된 작동바(443)가 간격조절프레임(436)의 브라케트(442)의 슬라이딩홈(441)을 따라 후진한 후 좌우이송부(410)는 계속하여 전진하다가 선재(C)가 보빈(35)의 사이드에 맞닿음(본 발명에서는 보빈(35)의 회전수가 320 회)과 동시에 좌우이송부(410)의 서보모터(413)이 역회전하여 우에서 좌로 이송하게 되며, 이 때 전후이송부(420)의 서보모터(423)가 동작하여 선재(C)를 리드하는 선재리드부(440) 및 간격조절부(430)가 선재(C)의 두께만큼 후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선재리드부(440)의 가이드롤러(444) 및 텐션롤러(445)가 후진하는 것은 보빈(35)에 권취되는 선재(C)가 보빈(35)의 사이드에서 정확하게 정렬권취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좌우이송부(410)이 우에서 좌로 이송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좌에서 우로도 상기와 같은 동일한 동작을 계속하여 반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선재권취부(30)의 보빈(35)에 선재(C)가 정렬권취되며, 만권이 이르기 전에, 즉 콘트롤부(50)에서 예령신호(본 발명에서는 전후이송부(420)가 115 ~ 120 회 후진하였을 때)를 출력하여 상기 선재권취부(30)의 보빈(35)의 회전수를 설정속도 보다 낮아지게 회전하도록 하면서 만권신호를 받으면 스타트지점과 동일한 지점에서 정지하도록 함으로서 보빈(35)에 선재(C)의 정렬권취가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보빈(35)에 정렬권취가 완료되면 선재권취기(30)의 회전축(34)의 체결수단(36)을 풀고서 보빈(35)을 교체하여 새로운 보빈에 정렬권취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선재(C)의 폭에 따라 선재리드부(440)의 폭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 6 및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조절부(430)의 가이드바(433)의 양단에 한 쌍의 너트(436b)(436c)로 고정된 간격조절판(437)의 내측 너트(436b)를 풀어 선재(C)의 폭만큼 위치이동시킨 후 다시 상기 간격조절판(437)을 밀착시키어 외측 너트(436c)로 고정하므로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형 또는 원형의 선재를 보빈에 일정한 폭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자동으로 정렬권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재가 권취되는 보빈의 양사이드에서 선재의 정렬권취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작업능률과 생산성의 향상을 가져오고, 작업공정을 자동화시킬 수 있으며, 보빈에 선재의 정렬권취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선재가 텐션을 유지하도록 일정한 장력으로 선재가 선재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선재를 선재가이드부로 안내하고, 이 선재가이드부를 통과한 선재를 보빈의 축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좌우이송부와, 이 좌우이송부의 상부에 보빈의 축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전후이송부와, 이 전후이송부의 상부에 고정되며, 선재의 폭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는 한 쌍의 간격조절부와, 이 간격조절부의 각각에 고정되며, 보빈으로 공급되는 선재를 안내하는 한 쌍의 선재리드부로 구성되는 권취기 및 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부에 의하여 선재권취부의 보빈에 정렬권취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자동정렬권취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권취부는 서보모터를 장치하여 보빈이 천천히 구동하고(SLOW-START) 및 천천히 정지(SLOW-STOP)하도록 조절함으로서 선재권취부의 보빈에 정렬권취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자동정렬권취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송부의 서보모터는 컨트롤부에서 선재권취부의 보빈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작동하는 것을 특징하는 선재의 자동정렬권취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선재권취부의 보빈에 만권이 되기 전에 예령신호를 출력하여 보빈의 회전수를 설정속도보다 낮게 회전하도록 하고, 만권신호시 스타트지점과 동일한 지점에서 정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자동정렬권취방법.
  5. 선재(C)가 텐션을 유지하도록 일정한 장력으로 선재(C)를 선재공급부(10)를 통하여 공급되는 선재(C)를 선재가이드부(20)로 안내하고, 이 선재가이드부(20)를 통과한 선재(C)를 보빈(35)의 축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좌우이송부(410)와, 이 좌우이송부(410)의 상부에 보빈(35)의 축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전후이송부(420)와, 이 전후이송부(420)의 상부에 고정되며, 선재(C)의 폭 또는 직경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는 한 쌍의 간격조절부(430)와, 이 간격조절부(430)의 각각에 고정되며, 보빈(35)으로 공급되는 선재(C)를 안내하는 한 쌍의 선재리드부(440)로 구성되는 권취기(40) 및 콘트롤부(50)에 의하여 선재권취부(30)의 보빈(35)에 정렬권취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자동정렬권취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송부(410)는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411)에 양측으로 가이드바(412)가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서보모터(413)에 의하여 회전하는 볼스크류(414)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바(412)를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슬라이딩부(415) 및 상기 볼스크류(414)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되는 이동체(416)를 이동프레임(421)에 고정하여 좌우이동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자동정렬권취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송부(420)는 이동프레임(421)에 양측으로 가이드바(422)가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서보모터(423)에 의하여 회전하는 볼스크류(424)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바(422)를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슬라이딩부(425) 및 상기 볼스크류(424)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되는 이동체(426)를 이동프레임(431)에 고정하여 전후이동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자동정렬권취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430)는 상기 이동프레임(431)의 양단에 양측으로 나사부(432)를 가지는 가이드바(433)가 너트(432a)로 고정하여 관통되는 수직프레임(434)(434a)을 고정하고, 이 가이드바(433)에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딩부(435)를 고정시킨 한 쌍의 간격조절프레임(436)(436a)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수직프레임(434)(434a)을 관통한 가이드바(433)의 나사부(432)로 끼워져 한 쌍의 너트(432b)(432c)로서 간격조절판(437)(437a)을 설치하고, 이 간격조절판(437)(437a)에는 실린더(438)(438a)를, 상기 간격조절프레임(436)(436a)에는 실린더(438)(438a)의 로드(438c)를 고정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자동정렬권취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리드부(440)는 각각의 간격조절프레임(436)(436a)의 일단에 슬라이딩홈(441)(441a)이 형성된 브라케트(442)(442a)를 근접하여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딩홈(441)(441a)에서 슬라이드되는 작동바(443)(443a)를 설치함과 동시에 작동바(443)(443a)의 일단에는 선재(C)의 가이드롤러(444)(444a) 및 텐션롤러(445)(445a)를, 타단에는 간격조절프레임(436)(436a)에 고정된 수직프레임(446)(446a)에 고정된 실린더(447)(447a)에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자동정렬권취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430)은 선재(C)의 폭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의 자동정렬권취장치.
KR1019970078338A 1997-12-30 1997-12-30 선재의 자동정렬권취방법 및 그 장치 KR100249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338A KR100249341B1 (ko) 1997-12-30 1997-12-30 선재의 자동정렬권취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338A KR100249341B1 (ko) 1997-12-30 1997-12-30 선재의 자동정렬권취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248A true KR19990058248A (ko) 1999-07-15
KR100249341B1 KR100249341B1 (ko) 2000-04-01

Family

ID=19529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8338A KR100249341B1 (ko) 1997-12-30 1997-12-30 선재의 자동정렬권취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934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150B1 (ko) * 2001-12-13 2002-08-03 유병섭 압연기의 이형선재 권취장치
KR101058074B1 (ko) * 2008-11-05 2011-08-2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토핑와이어 권취장치
KR101109575B1 (ko) * 2011-06-27 2012-01-31 한철호 정경기의 간격 조정장치
CN109162018A (zh) * 2018-09-17 2019-01-08 长兴鸿运织造有限公司 一种高速编织机卷绕机构
CN112893493A (zh) * 2021-02-05 2021-06-04 安徽众恒复合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式自动拉线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923B1 (ko) 2010-09-17 2012-06-25 안건희 선재 권취기용 안내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150B1 (ko) * 2001-12-13 2002-08-03 유병섭 압연기의 이형선재 권취장치
KR101058074B1 (ko) * 2008-11-05 2011-08-2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토핑와이어 권취장치
KR101109575B1 (ko) * 2011-06-27 2012-01-31 한철호 정경기의 간격 조정장치
CN109162018A (zh) * 2018-09-17 2019-01-08 长兴鸿运织造有限公司 一种高速编织机卷绕机构
CN112893493A (zh) * 2021-02-05 2021-06-04 安徽众恒复合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式自动拉线机
CN112893493B (zh) * 2021-02-05 2024-04-26 安徽众恒复合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式自动拉线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9341B1 (ko) 200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9414A (en) Apparatus for precisely winding a coil of wire
UA46789C2 (uk) Спосіб спрямовування на заправку розірваного волокна для намотування на котушку
JPH0353221B2 (ko)
US4951892A (en) Server system for rubberized sheets
KR100249341B1 (ko) 선재의 자동정렬권취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05742A (ko) 권취장치
CN110980429B (zh) Pe、pert管材通用全自动卷管、卸料机
CN114148799A (zh) 一种带钢丝胶料的自动续料装置
CN108336876B (zh) 一种电机转子绕线设备
KR100339710B1 (ko) 와이어 연속 권취장치
JPH0424171B2 (ko)
US6308908B1 (en) Machine for coiling a flat continuous element to form rolls
JP4195187B2 (ja) ロールを形成するためのシート状連続製品の巻き取り装置
CN112837927A (zh) 自动上料绞线绕线装置
CN111788648B (zh) 使用绕线装置的制造设备、以及完成品的制造方法
CN113955565A (zh) 一种分切机
KR102025690B1 (ko) 스트립 권취 장치
CN218144749U (zh) 一种基带有序缠绕导向机构
CN211578575U (zh) 一种云母绕线机
CN112897247B (zh) 一种全自动换盘收线设备
CN214279797U (zh) 自动上料绞线绕线装置
JPH0438507Y2 (ko)
CN214279806U (zh) S形拉线组件和绞线绕线装置
JP4001769B2 (ja) スピンドル旋回巻線機
JP3677130B2 (ja) 異形断面線材の整列巻き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