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1539A - 디지털 교환기의 국간 인터페이스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교환기의 국간 인터페이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1539A
KR19990051539A KR1019970070889A KR19970070889A KR19990051539A KR 19990051539 A KR19990051539 A KR 19990051539A KR 1019970070889 A KR1019970070889 A KR 1019970070889A KR 19970070889 A KR19970070889 A KR 19970070889A KR 19990051539 A KR19990051539 A KR 19990051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s3e
unit
optic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0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근직
김성동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70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1539A/ko
Publication of KR19990051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1539A/ko

Links

Landscapes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간 인터페이스장치를 광 인터페이스장치로 변경함으로써 E1/T1 중계선 인터페이스 규격을 DS3/DS3E로 변경할 경우 망간 인터페이스 규격 변경으로 인해 발생되는 교환 시스템의 변경으로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을 근원적으로 해결하고자 한 디지털 교환기의 국간 광 인터페이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타임 스위치에서 얻어지는 T1/E1데이터는 DS3/DS3E 광 데이터로 다중화 한 후 광 데이터로 변환하여 광 케이블을 통해 타국으로 전송해주고, 상기 광 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대국 광 데이터는 상기 T1/E1 데이터로 역다중화하여 스위칭 함으로써 국간 데이터 전송시 신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T1/E1 규격 인터페이스에서 별도로 교환기 시스템을 변경하지 않고도 DS3/DS3E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디지털 교환기의 국간 인터페이스장치
본 발명은 디지털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국간 인터페이스장치를 광 인터페이스장치로 변경함으로써 E1/T1 중계선 인터페이스 규격을 DS3/DS3E로 변경할 경우 망간 인터페이스 규격 변경으로 인해 발생되는 교환 시스템의 변경시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을 근원적으로 해결하고자 한 디지털 교환기의 국간 인터페이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킷 통신용 디지털 교환기의 트렁크 부분 또는 전송기 인터페이스 부분에서는 E1 트렁크 보드와 T1 트렁크 보드를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했다. 여기서 E1 포맷 방식의 트렁크 보드와 T1 포맷 방식의 트렁크 보드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전송라인으로 전송되는 E1,T1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처리한다.
상기와 같은 E1,T1 데이터를 처리하는 트렁크 보드중 종래 T1 트렁크 보드는,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참조번호 10은 주변 처리기 인터페이스부(16)의 제어에 따라 대국측의 전송 라인 에러와 자국의 경로 에러를 검출하고 전송 라인을 통해 들어오는 T1 데이터를 후단으로 전달하며, 후단에서 전달되어지는 T1 데이터를 전송라인으로 전달하는 원격 루프백부이고, 참조번호 11은 상기 원격 루프백부(10)가 전달한 T1 데이터를 전송 매체 종류와 길이에 준하여 감쇄 또는 보상해주는 수신 인터페이스부이며, 참조번호 12는 상기 수신 인터페이스부(11)가 전달한 데이터로부터 클럭을 추출하여 망동기부로 그 추출한 클럭을 송신하고 상기 클럭을 펄스부호변조 송수신부(13)의 쓰기(Writing)클럭으로 제공하는 클럭 복원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13은 상기 클럭복원부(1)가 전달해주는 클럭에 동기 되어 상기 수신 인터페이스부(11)에서 출력되는 왜곡이 보상된 데이터를 T1 리프레임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T1 프레임을 형성하는 펄스부호변조 송수신부이고, 참조번호 15는 상기 주변 처리기 인터페이스부(16)의 제어에 의해 상기 펄스부호변조 송수신부(3)가 형성한 T1 프레임에 시그널 데이터 또는 알람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상기 T1 프레임에서 시그널 데이터 또는 알람 데이터를 제거하는 시그널 및 알람 삽입/제거부이고, 참조번호 14는 상기 펄스부호변조 송수신부(13)의 리프레임 알고리즘 처리 과정중 다음 비트로 슬립된 비트나 추출한 시그널 데이터의 클럭 동기를 맞추기 위해 삽입한 더미(Dummy)비트를 상기 주변 처리기 인터페이스부(16)의 제어에 따라 제거하는 슬립 제거부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17은 상기 슬립 제어부(14)를 통한 정보 데이터를 채널 별로 분류하여 디지털 T1 인터페이스부(Digital T1 Interface ; 이하 DTI라 약칭함)를 통해 타임/공간 스위치부로 송신하고, 상기 타임/공간 스위치부가 상기 DTI부를 통해 전달해 주는 정보 데이터를 그룹 별로 분류하는 송수신 데이터 포맷부이며, 참조번호 18은 상기 송수신 데이터 포맷부(17)와 상기 주변 처리기 인터페이스부(16)를 제어하는 유지 보수 제어부이고, 참조번호 19는 상기 펄스부호변조 송수신부(13)가 전달해주는 데이터를 T1 라인 또는 PCM 라인으로 전송하기 위해 전송 매체의 종류 및 길이에 맞는 라인 드라이브 값을 설정해주는 송신 인터페이스부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 디지털 교환기의 국간 인터페이스장치는, 주변 처리기 인터페이스부(16)의 제어(t)를 받는 원격 루프백부(10)가 대국측으로부터 전송라인을 통해 전달되어지는 T1 데이터(a)를 수신 인터페이스부(11)로 전달해 주면, 상기 수신 인터페이스부(11)는 전송 매체의 종류와 길이에 준하여 원격 루프백부(10)가 전달해 준 데이터(b)의 신호를 감쇄 하거나 왜곡을 보상해준다.
이때, 클럭 복원부(12)는 수신 인터페이스부(11)가 전달해 준 데이터(c)로부터 동기 클럭(f)을 추출하여 망동기부로 송신하며, 아울러 상기 추출한 동기 클럭(f)을 펄스부호변조 송수신부(13)에 쓰기 클럭(g)으로 제공해준다.
상기 펄스부호변조 송수신부(13)는 클럭 복원부(12)에서 제공된 클럭에 동기 되어 수신 인터페이스부(11)가 왜곡 보상한 데이터(d)를 T1 리프레임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CCITT G.700 시리즈를 만족하는 T1 프레임을 형성한다.
이때, 시그널 및 알람 데이터 삽입/제거부(15)는, 주변 처리기 인터페이스부(16)의 제어(j)에 따라 수신 인터페이스부(11)가 왜곡 보상한 데이터(d)에서 시그널 데이터 또는 알람 데이터(i)를 추출하게 되며, 슬립 제어부(14)는 주번 처리기 인터페이스부(16)의 제어(u)에 따라 펄스부호변조 송수신부(13)에서 출력된 T1 프레임 정보 데이터로부터 리프레임 알고리즘 과정중 프레임 비트를 탐색(Searching)할 때 다음 비트로 슬립된 비트나, 시그널 및 알람 데이터 삽입/제거부(15)가 추출한 시그널 데이터중 클럭 동기를 맞추기 위해 임의의 위치에 삽입한 더미 비트를 제거하게 된다.
한편, 송수신 데이터 포맷부(17)는 슬립 제어부(14)에 의해 전달되어지는 정보 데이터(k)를 유지보수 제어부(18)의 제어(M)에 따라 채널별로 구분하여 포맷팅하게 되고, 이렇게 채널별로 포맷된 정보 데이터는 교환기내의 DTI를 통해 인터페이스 되어 타임/공간 스위치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자국/타국 서비스부는 정보 데이터가 자국의 ASI부로 전달될 것인지 아니면 타국 트렁크로 전달될 것인지를 결정하며, 이 결정에 따라 타임/공간 스위치는 정보 데이터를 스위칭 하여 해당측으로 전달해 주게 된다.
한편, 상기 DTI를 통해 정보 데이터가 타국측으로 전달되어지는 경우를 살펴보면, 먼저 송수신 데이터 포맷부(17)는 상기 DTI로부터 전달되어지는 정보 데이터(o)를 그룹별로 구분하게 되고, 펄스부호변조 송수신부(13)는 그 그룹별로 구분된 데이터(p)를 T1 프레임으로 구성하며, 이때 시그널 및 알람 데이터 삽입/제거부(15)가 T1 프레임에 시그널 데이터 또는 알람 데이터를 삽입한다.
이렇게 하여 만들어진 T1 프레임은 송신 인터페이스부(19)에 전달되며, 송신 인터페이스부(19)는 펄스부호변조 송수신부(13)가 전달해 주는 T1 프레임(q)을 T1 라인 또는 PCM라인으로 전송하기 위해 전송매체의 종류 및 길이에 맞는 라인 드라이브 값을 설정해준다.
그러면 원격 루프백부(10)는 송신 인터페이스부(19)가 전달해 주는 데이터(r)를 T1 라인으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디지털 교환기 망에서 국선 전송(교환기와 교환기간 전송)은 T1과 E1 인터페이스 규격에 의해서만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므로, 이를 DS3/DS3E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변경하여 전송하는 경우에는 교환시스템의 많은 부분을 변경 및 보완해야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T1/E1인 경우 각각의 전송 케이블 및 보상 모듈이 소요되어 인터페이스 장치에 많은 보드를 필요로 하는 제반 문제점도 발생 하였으며, 전송 라인에 의한 데이터 전송이므로 그 신뢰성에도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국간 인터페이스장치를 광 인터페이스장치로 변경함으로써 E1/T1 중계선 인터페이스 규격을 DS3/DS3E로 변경할 경우 망간 인터페이스 규격 변경으로 인해 발생되는 교환 시스템의 변경시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을 근원적으로 해결하고자 한 디지털 교환기의 국간 데이터 인터페이스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타임 스위치에서 스위칭된 T1/E1 전송 데이터는 DS3/DS3E 데이터로 다중화 하여 송신단으로 전달해주고, 수신단으로부터 얻어지는 DS3/DS3E 대국 데이터는 상기 T1/E1 데이터로 역다중화하여 상기 타임 스위치로 전달해주는 DS3/DS3E 다중/역다중화수단과;
상기 DS3/DS3E 다중/역다중화수단에서 다중화된 DS3/DS3E 데이터는 디코딩 하여 광 케이블로 전송하고, 그 광 케이블에서 입력되는 다중화된 DS3/DS3E 데이터는 디코딩한 후 상기 DS3/DS3E 다중/역다중화수단에 전달해주는 광 송/수신 인터페이스수단과;
상기 광 송/수신 인터페이스 수단의 데이터 송, 수신을 제어하며, 상기 DS3/DS3E 다중/역다중화수단의 다중화 및 역다중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 디지털 교환기의 국간 인터페이스장치 블록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교환기의 국간 인터페이스장치 블록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국간 인터페이스장치가 실장 되는 교환기 시스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DS3/DS3E 다중/역다중화부 30:광 송/수신 인터페이스부
40:제어부 50:클럭 복원부
첨부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교환기의 국간 인터페이스장치 블록 구성도이다.
여기서, 참조번호 20은 타임 스위치에서 스위칭된 T1/E1 전송 데이터는 DS3/DS3E 데이터로 다중화 하여 송신단으로 전달해주고, 수신단으로부터 얻어지는 DS3/DS3E 대국 데이터는 상기 T1/E1 데이터로 역다중화하여 상기 타임 스위치로 전달해주는 DS3/DS3E 다중/역다중화부이고, 참조번호 30은 상기 DS3/DS3E 다중/역다중화부(20)에서 다중화된 DS3/DS3E 데이터는 디코딩하여 광 케이블로 전송하고, 그 광 케이블에서 입력되는 다중화된 DS3/DS3E 데이터는 디코딩한 후 상기 DS3/DS3E 다중/역다중화부(20)에 전달해주는 광 송/수신 인터페이스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40은 상기 광 송/수신 인터페이스부(30)의 데이터 송, 수신을 제어하며, 상기 DS3/DS3E 다중/역다중화부(20)의 다중화 및 역다중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이고, 참조번호 50은 상기 광 송/수신 인터페이스부(30)에서 얻어지는 데이터(c)로부터 클럭을 복원하고, 그 복원한 클럭을 망 동기부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DS3/DS3E 다중/역다중화부(20)에 동기 클럭으로 제공해주는 클럭 복원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교환기의 국간 인터페이스장치의 작용을 첨부한 도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국간 인터페이스장치는 도 3의 광 트렁크(Optic Trunk)부에 장착되며, 타임 스위치(TSW)로부터 전송되는 T1 또는 E1 데이터는 DS3/DS3E 다중/역다중화부(20)에 전달되며, 상기 DS3/DS3E 다중/역다중화부(20)는 상기 제어부(40)의 다중/역다중 제어에 따라 망 동기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동기 클럭에 동기 되어 상기 T1 또는 E1 데이터를 DS3(T1*4*7) 또는 DS3E(E1*3*5) 데이터로 다중화 되어 광 송/수신 인터페이스부(30)로 전달해준다.
상기 광 송/수신 인터페이스부(30)는 그 전달되는 타국 송신 데이터(DS3 또는 DS3E)를 전송 라인에 맞게 코딩하고 광 신호로 변환하여 광 케이블을 통해 다른 교환기로 전송해준다.
한편, 상기 광 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다중화된 광 데이터(DS3/DS3E)는 상기 광 송/수신 인터페이스부(30)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후 디코딩 되어 상기 DS3/DS3E 다중/역다중화부(20)에 전달되며, 상기 DS3/DS3E 다중/역다중화부(20)는 그 전달되는 다중화된 광 데이터(DS3/DS3E)를 역다중화하여 T1 또는 E1 데이터로 만들어 상기 타임 스위치측으로 전달해주게 된다.
여기서, 클럭 복원부(50)는 상기 광 송/수신 인터페이스부(30)에서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클럭을 복원하게 되고, 그 복원된 클럭을 망동기 유니트에 전달해줌과 동시에 상기 DS3/DS3E 다중/역다중화부(20)에 동기 클럭으로 제공해주어 데이터 역다중에 사용되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40)는 상기 광 송/수신 인터페이스부(30) 및 DS3/DS3E 다중/역다중화부(2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게 되는데, 특히 상기 DS3/DS3E 다중/역다중화부(20)를 콘트롤하여 시그널이나 알람 데이터의 삽입 및 제거를 콘트롤하게 되고, 리프레임 과정시 슬립된 비트의 삽입이나 제거를 제어하게 되며, 유지 보수에 관한 전반적인 제어를 총괄하게 된다.
여기서, 시그널 데이터나 알람 데이터의 삽입 및 제거 동작이나, 슬립 비트의 삽입 및 제거 동작은 기존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그 동작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T1/E1데이터를 DS3/DS3E 광 데이터로 다중화하고, 상기 다중화된 광 데이터(DS3/DS3E)를 역다중화하여 T1/E1 데이터로 복원함으로써 T1/E1 규격에 의해 인터페이스 되는 교환기에서 별도로 교환 시스템을 변경하지 않고도 DS3/DS3E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국간 데이터를 광 케이블을 이용한 광 데이터로 전송함으로써 신호의 손실도 보상할 수 있어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교환기와 교환기간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는 디지털 교환기의 국간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타임 스위치에서 스위칭된 T1/E1 전송 데이터는 DS3/DS3E 데이터로 다중화 하여 송신단으로 전달해주고, 수신단으로부터 얻어지는 DS3/DS3E 대국 데이터는 상기 T1/E1 데이터로 역다중화하여 상기 타임 스위치로 전달해주는 DS3/DS3E 다중/역다중화수단과;
    상기 DS3/DS3E 다중/역다중화수단에서 다중화된 DS3/DS3E 데이터는 디코딩 하여 광 케이블로 전송하고, 그 광 케이블에서 입력되는 다중화된 DS3/DS3E 광 데이터는 디코딩한 후 상기 DS3/DS3E 다중/역다중화수단에 전달해주는 광 송/수신 인터페이스수단과;
    상기 광 송/수신 인터페이스 수단의 데이터 송, 수신을 제어하며, 상기 DS3/DS3E 다중/역다중화수단의 다중화 및 역다중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환기의 국간 인터페이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송/수신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수신 데이터로부터 클럭을 추출하여 망 동기부 및 상기 DS3/DS3E 다중/역다중화수단에 제공해주는 클럭 복원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교환기의 국간 인터페이스장치.
KR1019970070889A 1997-12-19 1997-12-19 디지털 교환기의 국간 인터페이스장치 KR199900515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889A KR19990051539A (ko) 1997-12-19 1997-12-19 디지털 교환기의 국간 인터페이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889A KR19990051539A (ko) 1997-12-19 1997-12-19 디지털 교환기의 국간 인터페이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539A true KR19990051539A (ko) 1999-07-05

Family

ID=6609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0889A KR19990051539A (ko) 1997-12-19 1997-12-19 디지털 교환기의 국간 인터페이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15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26045A (ja) デジタル ブロツク マルチプレクサ
JP3011128B2 (ja) Aalタイプ1伝送におけるクロック情報転送方式
JP2564375B2 (ja) 分岐挿入型多重変換装置
EP1043856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communication system
KR19990051539A (ko) 디지털 교환기의 국간 인터페이스장치
GB2143405A (en) Time division multiplex system
US5719874A (en) Time-division-multiplexing method and apparatus
JP3246423B2 (ja) 網同期装置
JP3367520B2 (ja) 多重伝送装置、多重伝送方法及び多重伝送制御用ソフトウェアを記録した記憶媒体
JP3102976B2 (ja) タイムスロット信号位相アライナー装置
JP3102163B2 (ja) Sdh信号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f1バイト転送方式
JP2727709B2 (ja) Pcmチャネルタンデム接続方式
JP2871904B2 (ja) オクテット多重化装置
KR19990005957A (ko) 디지탈 이동통신 교환기의 e1/t1 트렁크 보드 원-칩(one-chip)화 장치
KR950010915B1 (ko) 디지탈 전송장치의 서비스 채널용 클럭 선택 장치
KR0174697B1 (ko) 교환시스템의 광트렁크 인터페이스 회로
JPH0521454B2 (ko)
JP2885577B2 (ja) Adpcmトランスコーダーのアラーム・シグナリング転送方式
JPH08237196A (ja) 光中継器監視システム
JP2001119362A (ja) コントロールタイムスロット中継回路
JP2581266B2 (ja) 多重化装置
JPH01264426A (ja) 伝送路切替方式
JPH0520011B2 (ko)
JPH06253349A (ja) 遠隔加入者多重化制御システム
JPH01188041A (ja) 副信号通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