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0651A - 오픈 루프시 연료량 보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픈 루프시 연료량 보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0651A
KR19990050651A KR1019970069785A KR19970069785A KR19990050651A KR 19990050651 A KR19990050651 A KR 19990050651A KR 1019970069785 A KR1019970069785 A KR 1019970069785A KR 19970069785 A KR19970069785 A KR 19970069785A KR 19990050651 A KR19990050651 A KR 19990050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fuel
throttle valve
injection
fuel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69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0651A/ko
Publication of KR19990050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0651A/ko

Links

Landscapes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자동차의 연료량 보정에서 운행되는 자동차의 감가속으로 오픈 루프 제어 모드가 실행되면 분사되는 연료량을 일정한 기울기의 펙터로 조정하여 주도록 한 것으로, 스로틀 밸브의 위치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과, 스로틀 밸브의 위치 정보가 오픈 루프의 모드이면 스로틀 밸브의 변화량을 검출하는 과정과, 스로틀 밸브의 변화량이 감속의 조건이면 현재 분사되는 연료량에 설정된 감량 보정 상수의 연산을 통해 차기 분사 연료량으로 산출하여 엔진 회전수에 따라 설정된 연료량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시점까지 일정한 기울기로 감량 보정하는 과정과, 스로틀 밸브의 변화량이 가속의 조건이면 현재 분사되는 연료량에 설정된 증량 보정 상수의 연산을 통해 차기 분사 연료량으로 산출하여 엔진 회전수에 따라 설정된 연료량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시점까지 일정한 기울기로 증량 보정하는 과정 및, 엔진 회전수에 따라 설정된 연료량의 분사가 이루어지면 그 시점에서의 분사량을 유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운행되는 자동차의 감가속을 위한 스로틀 밸브의 개도율에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분사되는 연료량이 엔진의 회전수와 맵 데이터에 설정된 연료량에 도달하기까지 일정한 기울기로 점차적으로 조정하므로 연료의 분사가 안정되어 엔진의 쇼크 및 저크의 발생이 배제되어 운전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오픈 루프시 연료량 보정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량 보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행되는 자동차의 감가속으로 오픈 루프 제어 모드가 실행되면 분사되는 연료량을 일정한 기울기의 펙터로 조정하여 주도록 한 오픈 루프시 연료량 보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에서는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그니션 스위치의 시동 온 접점 선택으로(스텝201) 엔진의 시동이 유지되는 상태에서(스텝202) 제어수단은 스로틀 밸브의 위치가 최대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지를 판단한다(스텝203).
상기에서 스로틀 밸브의 위치가 최대 개방의 상태로 검출되는 경우 차량의 가속 조건으로 판단하여 오픈 루프로 진입한 다음(스텝204) 설정된 맵 데이터에 따라 연료량의 보정을 실행한 다음 그에 따른 보정 펙터를 "1"로 설정한다(스텝205).
상기에서 실행되는 연료량의 보정은 " "이다.
여기서, COROPL은 스로틀의 최대 개방 상태에서 엔진 회전수와 설정된 맵 데이터에 따른 연료량 값이고, 256은 연료량 보정에 대한 펙터의 값이다.
상기 스텝203에서 검출되는 스로틀 밸브의 위치 값이 감가속의 조건이 아니면 제어수단은 피드백 모드를 실행하여(스텝206) 연료량의 펙터를 "1"로 설정한 다음 피드백 영역별 연료 보정을 " "의 연산을 통해 실행한다(스텝207).
여기서, CORAFR은 피드백시 각 영역별 연료 보정량에 대한 맵 데이터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에서 실행하는 오픈 루프에서의 연료량 보정은 엔진의 파워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하여 스로틀을 가변하게 되면 이에 따라 흡입 공기량이 급작스럽게 변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연료량 역시 급격한 변동을 갖게 된다.
따라서,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료량의 변동에 따라 엔진의 토오크가 심하게 변동되어 쇼크(shock)나 저크(jerk)가 발생되어 승차감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급격한 연료의 공급으로 인한 불완전 연소로 인해 유해한 배기 가스를 방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적인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스로틀의 변위가 오픈 루프의 주행 모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면 스로틀의 변위에 따라 감가속의 조건을 판단한 다음 엔진의 회전수와 설정된 맵 데이터에 따른 연료량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시점까지 연료량의 분사를 일정한 기울기로 가변시켜 연료의 급격한 분사로 인한 엔진의 쇼크 및 저크의 발생을 배제시켜 운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 루프시 연료량 보정장치에 대한 구성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오픈 루프시 연료량 보정을 실행하기 위한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의 시동 유지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이그니션 검출수단과;
감가속에 따라 가변되는 스로틀 밸브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스로틀 위치 검출수단과;
검출되는 운행정보에 따라 연료량의 증감을 통해 엔진 토오크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수단과;
흡입 공기량에 따른 피드백 영역별 연료량 보정 기준 맵 데이터와 엔진 회전수에 따른 연료 분사량 맵 데이터가 설정되는 메모리수단 및;
제어수단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각각의 연소실에 분사되는 연료량을 조정하는 인젝터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은 엔진의 시동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스로틀 밸브의 위치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되는 스로틀 밸브의 위치 정보가 오픈 루프의 모드이면 스로틀 밸브의 변화량을 검출하며, 검출되는 스로틀 밸브의 변화량이 감속의 조건이면 현재 분사되는 연료량에 설정된 감량 보정 상수의 연산을 통해 차기 분사 연료량으로 산출하여 엔진 회전수에 따라 설정된 연료량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시점까지 일정한 기울기로 감량 보정하고, 검출되는 스로틀 밸브의 변화량이 가속의 조건이면 현재 분사되는 연료량에 설정된 증량 보정 상수의 연산을 통해 차기 분사 연료량으로 산출하여 엔진 회전수에 따라 설정된 연료량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시점까지 일정한 기울기로 증량 보정하여, 엔진 회전수에 따라 설정된 연료량의 분사가 이루어지면 그 시점에서의 분사량을 유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픈 루프시 연료량 보정장치는 이그니션 검출부(10)와, 스로틀 위치 검출부(20), 제어부(30), 메모리부(40) 및 인젝터(50)로 이루어지는데, 이그니션 검출부(10)는 이그니션 키의 접점을 검출하여 엔진의 시동이 유지되는지의 여부에 대한 신호를 출력한다.
스로틀 위치 검출부(20)는 가속 페달의 구동에 따라 연동되어 가변되는 스로틀 밸브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그에 대한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30)는 검출되는 운행정보에 따라 연료량의 증감을 통해 엔진 토오크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부(40)는 검출되는 흡입 공기량에 따라 피드백 영역별로 분사되는 연료량의 보정을 위한 기준 맵 데이터와 엔진 회전수 기준 맵 데이터에 따른 연료 분사량에 대한 데이터가 설정된다.
인젝터(50)는 상기 제어부(3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개폐율이 조정되어 각각의 연소실에 분사되는 연료량을 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서 감가속에 의한 오픈 루프에서 분사되는 연료량의 조정에 대한 동작을 도 2와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그니션 키에 의한 접점의 선택으로 엔진 시동은 온하여(스텝101) 엔진의 동작이 유지되는 상태에서(스텝102) 제어부(30)는 스로틀 위치 검출부(20)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스로틀이 최대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스텝103).
상기에서 스로틀이 최대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아이들 상태를 유지하고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는 피드백 모드로 진입한 다음(스텝110) 분사 연료량의 펙터를 "1"로 설정한 상태에서 피드백 영역별 연료 보정을 " "의 연산을 통해 실행한다(스텝111).
상기에서 스로틀이 최대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는 현재의 운행 조건에 따라 오픈 루프 모드로 진입한다(스텝104).
이후, 제어부(30)는 스로틀 위치 검출부(20)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스로틀 밸브의 변화량이 "0" 이상인지를 판단한다(스텝105).
상기에서 스로틀 밸브의 변화량이 "0" 이상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는 운행되는 차량이 가속하려는 조건인 것으로 판단하여 현재의 분사 연료량[Kaf(i)]에 연료량 증량 보정 상수(x)를 연산하여 차기의 분사 연료량[Kaf(i+1)]을 결정한 다음 보정 펙터를 "1"로 설정하여 분사되는 연료량을 일정한 기울기로의 보정을 실행한다(스텝106).
이후, 제어부(30)는 현재의 분사되는 연료량이 스로틀 밸브의 개방에 따른 엔진의 회전수와 맵 데이터에 따라 설정된 연료량 분사량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107), 설정된 연료 분사량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의 스텝106을 실행하여 일정한 기울기로의 증량 보정을 반복적으로 실행하고, 설정된 연료 분사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는 메모리부(40)에 설정된 엔진의 회전수와 맵 데이터에 따른 연료 분사량을 " "을 유지하도록 인젝터(50)의 개방을 유지한다(스텝108).
상기 스텝105에서 스로틀 밸브의 개도율 변화가 "0"이 아닌 차량의 감속 조건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는 메모리부(40)에 설정된 맵 데이터에 따라 현재의 분사 연료량[Kaf(i)]에 감량 보정을 위해 설정한 임의의 상수값(y)을 연산하여 차기의 분사 연료량[Kaf(i+1)]으로 설정하여 인젝터(50)의 구동을 통해 분사되는 연료량을 일정한 기울기로 감소시킨 다음(스텝109) 상기 스텝103을 실행하여 스로틀 밸브의 개도율이 피드백 모드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연료량 보정을 실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운행되는 자동차의 감가속을 위한 스로틀 밸브의 개도율에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분사되는 연료량이 엔진의 회전수와 맵 데이터에 설정된 연료량에 도달하기까지 일정한 기울기로 점차적으로 조정하므로 연료의 분사가 안정되어 엔진의 쇼크 및 저크의 발생이 배제되어 운전성이 향상된다.

Claims (5)

  1. 연료 분사 제어장치에 있어서, 엔진의 시동 유지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이그니션 검출수단과;
    감가속에 따라 가변되는 스로틀 밸브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스로틀 위치 검출수단과;
    검출되는 운행정보에 따라 연료량의 증감을 통해 엔진 토오크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수단과;
    흡입 공기량에 따른 피드백 영역별 연료량 보정 기준 맵 데이터와 엔진 회전수에 따른 연료 분사량 맵 데이터가 설정되는 메모리수단 및;
    제어수단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각각의 연소실에 분사되는 연료량을 조정하는 인젝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루프시 연료량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검출되는 스로틀 밸브의 위치 정보가 가속의 조건이면 현재 분사되는 연료량에 증량 보정을 위한 임의의 상수를 연산하여 차기 분사량으로 설정한 다음 엔진 회전수에 따라 설정된 연료량에 도달하기까지 일정한 기울기로 분사되는 연료량을 증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루프시 연료량 제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검출되는 스로틀 밸브의 위치 정보가 감속의 조건이면 현재 분사되는 연료량에 감량 보정을 위한 임의의 상수를 연산하여 차기 분사량으로 설정한 다음 엔진 회전수에 따라 설정된 연료량에 도달하기까지 일정한 기울기로 분사되는 연료량을 감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루프시 연료량 제어장치.
  4. 연료량 보정방법에 있어서, 엔진의 시동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스로틀 밸브의 위치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판단되는 스로틀 밸브의 위치 정보가 오픈 루프의 모드이면 스로틀 밸브의 변화량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검출되는 스로틀 밸브의 변화량이 감속의 조건이면 현재 분사되는 연료량에 설정된 감량 보정 상수의 연산을 통해 차기 분사 연료량으로 산출하여 엔진 회전수에 따라 설정된 연료량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시점까지 일정한 기울기로 감량 보정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검출되는 스로틀 밸브의 변화량이 가속의 조건이면 현재 분사되는 연료량에 설정된 증량 보정 상수의 연산을 통해 차기 분사 연료량으로 산출하여 엔진 회전수에 따라 설정된 연료량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시점까지 일정한 기울기로 증량 보정하는 과정 및;
    엔진 회전수에 따라 설정된 연료량의 분사가 이루어지면 그 시점에서의 분사량을 유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루프시 연료량 보정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검출되는 스로틀 밸브의 정보가 아이들 조건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면 연료 분사량의 펙터를 "1"로 설정한 다음 통상의 방법으로 분사되는 연료량의 보상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 루프시 연료량 보정방법.
KR1019970069785A 1997-12-17 1997-12-17 오픈 루프시 연료량 보정장치 및 방법 KR19990050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785A KR19990050651A (ko) 1997-12-17 1997-12-17 오픈 루프시 연료량 보정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785A KR19990050651A (ko) 1997-12-17 1997-12-17 오픈 루프시 연료량 보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651A true KR19990050651A (ko) 1999-07-05

Family

ID=6609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785A KR19990050651A (ko) 1997-12-17 1997-12-17 오픈 루프시 연료량 보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065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697B1 (ko) * 2000-12-30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가속 연료량 제어방법
KR100405695B1 (ko) * 2000-12-30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량 제어방법
KR100456875B1 (ko) * 2001-12-14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자 스로틀 개도 보정 제어 방법
KR100489069B1 (ko) * 2002-08-13 2005-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697B1 (ko) * 2000-12-30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가속 연료량 제어방법
KR100405695B1 (ko) * 2000-12-30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량 제어방법
KR100456875B1 (ko) * 2001-12-14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자 스로틀 개도 보정 제어 방법
KR100489069B1 (ko) * 2002-08-13 2005-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엔진의 시동 오프시 진동 저감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8906A (en) Fuel/air ratio contro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9256897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EP0924420B1 (en) Torque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275676B2 (ja) 空燃比センサのヒータ制御装置
US4884547A (en) Air/fuel ratio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variable control characteristics depending upon precision level of control parameter data
JP2000120478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920006787B1 (ko) 자동차엔진 제어방법 및 장치
US20090157282A1 (en) Air-Fuel Ratio Control Apparatus by Sliding Mode Control of Engine
KR19990050651A (ko) 오픈 루프시 연료량 보정장치 및 방법
JP3644416B2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および制御法
KR100422619B1 (ko) 연료 분사 제어방법
US651351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fuel supply of a vehicle on acceleration and a system thereof
EP0332962B1 (en) Engin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2001193534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KR100302704B1 (ko) 산소량감지신호에의한연료분사량피드백보정장치및그방법
KR100398219B1 (ko) 차량용 디젤 엔진의 배출가스 제어 방법
KR0174010B1 (ko) 운전자의 가속습관에 따른 엔진동작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930256B2 (ja) エンジンのスロットル弁制御装置
KR100373001B1 (ko) 터보 챠저 엔진 차량의 가감속 공연비 보정 방법
KR100298709B1 (ko) 자동차의가감속시맵출력값보정방법
KR100298749B1 (ko) 연료량학습에따른연료량한계치제어방법
KR100461398B1 (ko) 차량용 엔진의 가속 연료량 보정 방법
KR20020046747A (ko) 차량용 엔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881968B2 (ja) 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装置
KR100401626B1 (ko) 오프 아이들시 노킹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