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9531A -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급수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급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9531A
KR19990049531A KR1019970068489A KR19970068489A KR19990049531A KR 19990049531 A KR19990049531 A KR 19990049531A KR 1019970068489 A KR1019970068489 A KR 1019970068489A KR 19970068489 A KR19970068489 A KR 19970068489A KR 19990049531 A KR19990049531 A KR 19990049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ice
ice mak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8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선용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68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9531A/ko
Publication of KR19990049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9531A/ko

Links

Landscapes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실로의 물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급수방법을 제공한다.
그 자동제빙기 급수방법은, 모터(71)의 정역회전에 의해 회전운동장치(70)와 변환운동기구(60)를 개재하여 승강작동시킴으로써 급수공(52')을 개폐시켜 자동제빙기(10)의 제빙트레이(11)에 정량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밸브(53)를 지니는 정량저수용기(52); 급수모터(42) 및 급수펌프(43)에 의해 급수사발(41)로부터 상기 정량저수용기(52)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정량급수장치의 제빙트레이(11)에 급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급수모터(42)의 작동으로 급수사발(41)로부터 정량저수용기(52)에 정량의 물을 채우는 급수 1 단계(단계 S23)와, 그 제 1 급수단계후에 모터(71)를 정역 회전시켜 정량저수용기(52)로부터 정량의 물을 제빙트레이(11)에 급수하는 급수 2 단계(단계 S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급수방법
본 발명은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급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고의 본체의 높이조절로 인하여 경사지더라도 정량을 유지할 수 있는 정량급수장치를 지니는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급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에는 제빙실에 설치된 제빙트레이에 정량급수장치에 의하여 급수된 물을 얼리고 제빙한 후에 자동제빙구동장치에 의해 제빙 용기를 회전시켜 상하를 반전시킴으로써 이빙하여 얼음을 저장하고 다시 제빙 용기에 급수하여 제빙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자동제빙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에는 자동제빙기(10) 및 정량급수장치(20)가 설치된 냉장고의 내부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도 2에는 종래의 정량급수장치(20)가 구체적으로 도시된다.
도 1에서 자동제빙기(10)는 제빙실(13)에 설치되며, 제빙트레이(11)에 정량급수장치(20)로부터 공급된 정량의 물(예를 들면 105±15㏄)을 얼리고, 제빙완료시 자동제빙기(10)에 의해 제빙 용기를 회전시켜 상하를 반전시킴으로써 이빙하여 얼음을 얼음상자(12)에 저장하고 다시 제빙 용기에 급수하여 제빙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며, 도 2에서 탈착시켜 보충할 수 있는 구조의 급수탱크(20')로부터 급수사발(21)에 정량밸브(25)를 통해 정량의 물이 공급되게 된다.
급수모터(22)에 의해 급수펌프(23)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급수사발(21) 내의 정량의 물이 급수관(20")을 거쳐 도 1의 제빙트레이(11)로 공급되게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빙과정이 수행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빙트레이(11)에의 종래의 급수방법이 도 3에 흐름도로서 도시되며, 도시가 생략된 마이컴에 의해 수행된다.
먼저, 단계 S1에서 초기 전원이 온이면, 초기 작동상태로 보아 단계 S2에서 제빙트레이(11)의 수평잡기를 수행하고 단계 S3으로 가서 급수후 24시간이 경과한 지를 판단한다. 단계 S1에서 초기 전원이 온이 아니면 직접 위의 단계 S3로 가서 급수후 24시간의 경과여부를 판단하고, 24시간 경과전이면, 계속 24시간 경과를 감시하여 급수후 24시간이 경과하면 단계 S4에서 제빙트레이(11)상에 설치된 제빙센서(도시 생략됨)에 의한 온도가 섭씨 영하 12.5도이하인 가를 판단하여 아니면 계속 감시하고 그 이하이면, 제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 S5에서 이빙을 개시한다. 즉, 상기 제빙트레이(11)를 반전시키고 소정의 압축력 내지 비틂력을 가하여 얼음을 얼음상자(12)에 낙하시킨다.
그 뒤, 단계 S6에서 만빙감지센서(도시 생략됨)에 의해 제빙트레이(11)의 얼음의 만빙상태를 감지하여 만빙이면 이빙될 때까지 계속 감시하고 만빙이 아니면, 단계 S7에서 급수모터(22)와 급수펌프(23)(도 2에 도시됨)를 작동시켜 정량의 물을 제빙트레이(11)에 급수한다. 이때, 물을 감지하기 위한 물감지봉(도시 생략됨)에 의해 단계 S8에서 제빙트레이(11)에의 물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하여 감지가 되면 정상으로 급수가 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 S9에서 각종 에러표시를 삭제하며, 단계 S10에서 제빙에 들어간다.
그러나, 단계 S8에서 물감지가 안되면, 단계 S11에서 급수후 5분 경과를 감시하고 경과전에는 단계 S15로 가서 제빙센서가 섭씨 영하9도이하인가를 판단하여 그 온도 이하이면, 급수후 5분이 경과되지도 아니하였는데 제빙트레이(11)에서 제빙센서의 온도가 너무 낮기 때문에 물감지에러인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 S16에서 물감지에러를 표시하고 단계 S10에서 제빙에 들어가며, 그 온도이하가 아니면, 상기 단계 S11로 가서 급수후 5분경과를 감지한다. 5분이 경과된 후에는 단계 S12에서 급수가 2회인가를 판단하여 2회 째이면, 단계 S14에서 시스템 에러를 표시하고 종료한다(제빙시스템을 정지시킨다).
그러나, 단계 S12에서 2회째가 아니면, 단계 S13에서 30분 경과여부를 판단하여 30분 경과후 단계 S7로 복귀하여 급수를 계속하며, 단계 S8에서 물 감지가 되면, 단계 S9를 거쳐 단계 S10에서 제빙에 들어가며, 제빙 개시 후 단계 S3으로 복귀하여 급수후 24시간 경과를 대기하고는 위와 같은 동작을 되풀이함으로써 제빙센서, 만빙감지센서 및 물감지봉에 의해 제빙온도와 만빙여부 및 물감지를 통해 자동으로 급수, 제빙 및 이빙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술한 구조의 급수사발(21)은 정량의 물이 그 급수사발(22)내의 수위에 의해 결정되게 되므로, 높이조절 등에 의해 냉장고 본체(1)를 기울인 때에는 급수량이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예를 들어 105±15㏄를 벗어나게 되면, 일매빙이 발생하거나, 부족한 상태로 제빙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과량이 제빙된 때에는 제빙트레이(11)로부터 쉽게 이빙되지 아니하게 되어 제빙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의 본체의 높이조절로 인하여 경사지더라도 정량을 유지하여 과부족됨이 없이 순조롭게 자동제빙이 일어날 수 있는 정량급수장치를 지니는 자동제빙기의 급수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부분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측 단면도,
도 2는 종래 냉장고에 설치된 자동제빙기 정량급수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급수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자동제빙기 정량급수장치가 설치된 냉장고의 측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정량급수장치의 상부 평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정량급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 5의 선 5-5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급수방법를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냉장고 본체 10: 자동제빙기
11: 제빙트레이 12: 얼음상자
13: 제빙실
20,50: 정량급수장치 20',40': 급수탱크
20": 공급관 21,41: 급수사발
22,42: 급수모터 23,43: 급수펌프
25: 정량밸브 40: 급수장치
40": 급수관 45: 개폐밸브
50': 회수관 50" 정량급수관
51: 오버플로우 용기 52: 정량저수용기
52': 급수공 52": 오버플로우공
53: 급수밸브
60: 변환운동기구 61: 회전링크
62: 중간링크 63: 왕복슬라이더
63': 안내수단 64: 와이어
65,66,67: 가이드 롤러 67': 롤러지지대
70: 회전운동장치 71: 모터
72: 감속기구 73: 출력기어
74: 출력축 74': 스위치작동부
81,82: 제 1 및 제 2 마이크로스위치(정역회전변환용)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급수방법은, 냉장고 본체의 내부의 제빙실에 설치되며, 제빙트레이와 얼음상자를 포함하는 자동제빙기의 제빙트레이에 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정량의 물을 유지하기 위해 측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오버플로우공과 상기 제빙트레이에 정량의 제빙용 물을 유출하기 위해 형성된 급수공과, 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해 회전운동장치와 변환운동기구를 개재하여 승강작동시킴으로써 급수공을 개폐시키기 위한 급수밸브를 지니며, 냉장고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정량저수용기;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급수탱크와 그 급수탱크의 장착시에 개폐밸브를 통해 물이 보충되는 급수사발과 그 급수사발로부터 상기 정량저수용기로 급수관을 통해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모터 및 급수펌프로 구성되어 상기 정량저수용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 및 상기 정량저수용기의 급수공으로부터 상기 제빙트레이로 그 정량저수용기의 물을 중력에 의해 공급하기 위한 정량급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정량급수장치의 제빙트레이에 급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급수모터의 작동으로 급수사발로부터 정량저수용기에 정량의 물을 채우는 급수 1 단계와, 그 제 1 급수단계후에 모터를 정역 회전시켜 정량저수용기로부터 정량의 물을 제빙트레이에 급수하는 급수 2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수공의 완전폐쇄상태와 완전개방상태를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마이크로스위치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급수 2 단계는, 모터를 정회전시켜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시킴으로써 급수공과 정량급수관을 통해 정량저수용기의 물울 제빙트레이에 공급하는 정회전단계와, 상기 제 2 마이크로스위치를 감시하여 온상태를 감지하는 반전단계와, 그 반전단계에서 제 2 마이크로스위치의 온을 감지한 때에 모터를 역회전시키는 역회전단계와, 제 1 마이크로스위치를 감시하여 온상태를 감시하는 종료단계와, 그 종료단계에서 온을 감지한 때에 모터를 정지시키는 정지단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정량급수장치에 의하여 종래와 같이 마이컴을 개재하여 제빙센서, 만빙감지센서 및 물감지봉에 의해 제빙온도와 만빙여부 및 물감지를 통해 자동으로 급수, 제빙 및 이빙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정량저수용기로의 급수 및 그 정량저수용기로부터 제빙트레이로의 급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자동제빙기 정량급수장치가 설치된 냉장고가 측단면도로서 도시되며, 도 5에는 도 4의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정량급수장치의 상부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6a 내지 도 6c에는 그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정량급수장치의 구성이 도 5의 선 5-5 단면도로서 도시된다.
도 4에서 그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정량급수장치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1)의 내부의 제빙실(13)에 자동제빙기(10)가 설치되며, 그 자동제빙기(10)의 제빙트레이(11)에 본 발명에 따른 정량급수장치(50)로부터 정량의 물이 공급된다. 그 정량급수장치는 종래와 달리 냉장고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 정량급수장치는 기본적으로는 정량저수용기(52), 급수장치(40), 정량급수관(50")을 포함하며, 급수장치(40)로부터 물을 정량저수용기(52)에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40")이 설치된다. 급수장치는 종래와 같은 구조일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량저수용기(52)에는 반드시 정량의 물을 공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급수탱크(40')에 단순히 탈착시에 폐쇄되고 장착시에 개방되는 개폐밸브(45)를 설치하고 급수사발(41)로부터 물을 일정시간 상부의 정량저수용기(52)로 급수모터(42) 및 급수펌프(43)에 의해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a에서 상기 정량저수용기(52)는 상기 제빙트레이(11)에 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정량의 물을 유지하기 위해 측벽에 두개의 대향하는 오버플로우공(52")이 형성되며, 상기 제빙트레이(11)에 정량의 제빙용 물을 유출하기 위해 급수공(52')이 바닥에 형성되고, 그 급수공(52')을 개폐시키기 위한 급수밸브(53)가 그 급수공(52')의 상부에 설치된다. 높이조절에 의해 냉장고 본체(1)의 전후경사각이 변화하는 때에 정량의 물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오버플로우공(52")이 냉장고의 전면에서 보아 정량저수용기(52)의 측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측면에 형성됨으로써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인 상태의 수위를 나타내는 일점쇄선 "A" 아래의 물의 양과 경사진 상태의 수위를 나타내는 이점쇄선 "B"와 "C"로 형성되는 경사면 아래의 부피가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경사지더라도 항상 동일한 양의 물이 정량저수용기(52)에 저수되게 된다.
상기 정량급수관(50")은 상기 정량저수용기(52)의 급수공(5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빙트레이(11)로 개방됨으로써 급수밸브(53)가 개방된 때에 그 정량저수용기(52)의 물이 중력에 의해 제빙트레이(11)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도 5 및 도 6a에는 상기 정량저수용기(52)로부터 오버플로우공(52")을 통해 넘치는 물을 회수하도록 상기 정량저수용기(52)를 둘러싸는 오버플로우 용기(51)가 설치되며, 그 오버플로우 용기(51)로부터 급수장치(40)의 급수사발(41)로 물을 회수하는 회수관(50')이 설치된다. 상기 급수공(52')이 정량저수용기(52)의 바닥 중앙에 형성되고, 급수밸브(53)의 하강으로 폐쇄되고 상승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그 급수밸브(53)가 와이어(64)의 일단이 고정되어 회전운동장치(70)와 변환운동장치(60)를 개재하여 모터(71)의 정회전으로 하강하고 역회전으로 상승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5 및 도 6a에서 모터(71)의 회전력은 감속기구(72)에 의해 감속된 채, 출력기어(73)의 회전축인 출력축(74)에 변환운동기구(60)가 연결되어 모터(71)의 회전운동이 왕복직선운동으로 변환되고, 그 직선왕복운동이 변환운동기구(60)의 출력측에 연결된 와이어(64)에 전달되어 급수밸브(53)가 승강하게 된다.
한편, 변환운동기구(60)가 도 5 및 도 6a에 일예로서 도시되는데, 그 변환운동기구(60)는 상기 출력축(74)에 편심되게 회전하도록 연결된 회전링크(61)와, 그 회전링크(61)에 연결되어 요동운동을 하는 중간링크(62)와, 그 중간링크(62)에 일단에서 연결되고 안내수단(63')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왕복슬라이더(63)로 구성되며, 그 왕복슬라이더(63)의 타단에 와이어(64)가 연결되어 가이드 롤러(65,66,67)를 개재하여 와이어(64)에 연결된 급수밸브(53)가 승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감속기구(72)의 출력축(74)에는 함께 회전하는 스위치작동부(74')가 형성되고 그 스위치작동부(74')에 의해 90도 회전의 초기와 종기에 작동되는 제 1 및 제 2 마이크로스위치(81,82)를 구비함으로써 그 제 1 및 제 2 마이크로스위치(81,82)의 온/오프에 의해 상기 급수공(52')의 완전폐쇄상태와 완전개방상태를 감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시가 생략된 마이컴 등에 의해 상기 모터(71)의 회전방향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냉장고의 자동제빙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트레이(11)에의 급수방법이, 구체적으로 도 7에 흐름도로서 도시되며, 도시가 생략된 마이컴에 의해 수행된다.
도 6a 내지 도 6c에는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정량급수장치의 초기상태가 도시된다. 이 초기상태에서 먼저, 단계 S21에서 초기 전원이 온이면, 초기 작동상태로 보아 단계 S22에서 제빙트레이(11)의 수평잡기를 수행하고, 단계 S23에서 상기 급수모터(42)의 작동으로 급수사발(41)로부터 정량저수용기(52)에 정량의 물을 채우는 급수 1 단계를 실시한다. 그 제 1 급수단계후에 모터(71)를 정역 회전시켜 정량저수용기(52)로부터 정량의 물을 제빙트레이(11)에 급수하는 급수 2 단계(단계 S24)가 실시된다.
그 급수 2 단계(단계 S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급수공(52')의 완전폐쇄상태와 완전개방상태를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마이크로스위치(81,82)를 구비한 경우, 도 8에서 일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71)를 정회전시켜 상기 급수밸브(53)를 개방시킴으로써 급수공(52')과 정량급수관(50")을 통해 정량저수용기(52)의 물울 제빙트레이(11)에 공급하는 정회전단계(단계 S241)와, 상기 제 2 마이크로스위치(82)를 감시하여 온상태를 감지하는 반전단계(단계 S242)와, 그 반전단계에서 제 2 마이크로스위치(82)의 온을 감지한 때에 모터(71)를 역회전시키는 역회전단계(단계 S243)와, 제 1 마이크로스위치(81)를 감시하여 온상태를 감시하는 종료단계(S244)와, 그 종료단계에서 온을 감지한 때에 모터(71)를 정지시키는 정지단계(단계 S245)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정량저수용기(52)로부터 제빙트레이(11)에 급수가 되면, 단계 S25에서 급수후 24시간이 경과한 지를 판단한다. 단계 S21에서 초기 전원이 온이 아니면 직접 위의 단계 S25로 가서 급수후 24시간의 경과여부를 판단하고, 24시간 경과전이면, 계속 24시간 경과를 감시하여 급수후 24시간이 경과하면 단계 S26에서 제빙트레이(11)상에 설치된 제빙센서(도시 생략됨)에 의한 온도가 섭씨 영하 12.5도이하인가를 판단하여 아니면 계속 감시하고 그 이하이면, 제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 S27에서 자동제빙기(10)를 작동시켜 이빙을 개시한다. 즉, 상기 제빙트레이(11)를 반전시키고 소정의 압축력 내지 비틂력을 가하여 얼음을 얼음상자(12)에 낙하시킨다.
그 뒤, 단계 S28에서 만빙감지센서(도시 생략됨)에 의해 제빙트레이(11)의 얼음의 만빙상태를 감지하여 만빙이면 이빙될 때까지 계속 감시하고 만빙이 아니면, 단계 S29에서 제빙트레이(11)를 회동, 복귀시키고, 급수모터(42)와 급수펌프(43)(도 4에 도시됨)를 소정의 시간 작동시켜 정량저수용기(52)에 급수하는 급수 1 단계를 실시한다. 그 뒤, 단계 S30에서 정량저수용기(52)에의 급수완료를 위해 5분간 대기한 후, 단계 S3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급수 2 단계(도 8)를 실시한다.
그 급수 2 단계완료시, 물을 감지하기 위한 물감지봉(도시 생략됨)에 의해 단계 S32에서 제빙트레이(11)에의 물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하여 감지가 되면 정상으로 급수가 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 S33에서 각종 에러표시를 삭제하며, 단계 S34에서 제빙에 들어간다.
그러나, 단계 S32에서 물감지가 안되면, 단계 S35에서 급수후 5분 경과를 감시하고 경과전에는 단계 S39로 가서 제빙센서가 섭씨 영하9도이하인가를 판단하여 그 온도 이하이면, 급수후 5분이 경과되지도 아니하였는데 제빙트레이(11)에서 제빙센서의 온도가 너무 낮기 때문에 물감지에러인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 S40에서 물감지에러를 표시하고 단계 S34에서 제빙에 들어가며, 그 온도이하가 아니면, 상기 단계 S35으로 가서 급수후 5분경과를 감지한다. 5분이 경과된 후에는 단계 S36에서 급수가 2회인가를 판단하여 2회 째이면, 물감지뿐만 아니라 급수시스템 자체의 고장으로 2회의 급수가 실시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 S38에서 시스템 에러를 표시하고 종료한다(제빙시스템을 정지시킨다).
그러나, 단계 S36에서 2회째가 아니면, 단계 S37에서 30분 경과여부를 감시, 판단하여 30분 경과후 단계 S29로 복귀하여 급수를 계속하며, 단계 S32에서 물 감지가 되면, 정상적으로 급수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 S33을 거쳐 단계 S34에서 제빙에 들어가며, 제빙 개시 후 단계 S25로 복귀하여 급수후 24시간 경과를 대기하고는 위와 같은 동작을 되풀이함으로써 제빙센서, 만빙감지센서, 물감지봉, 제 1 및 제 2 마이크로스위치(81,82)에 의해 제빙온도와 만빙여부 및 물감지를 통해 자동으로 정량저수용기(52) 및 제빙트레이(11)에의 급수, 제빙 및 이빙을 되풀이 수행한다.
또, 자동으로 소정의 양의 물을 정량저수용기(52)에 재급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마이크로스위치(82)의 오프후 제 1 마이크로스위치(81)가 온으로 된 때에 정량저수용기(52)에 재급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초기 상태에서는 상술한 급수 1 단계(단계 S23)과 급수 2 단계(단계 S24)를 실시하고 급수 2 단계(단계 S24)후에 다시 급수 1 단계를 실시하며, 단계 S29를 급수 2 단계(단계 S31)뒤에 실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냉장고의 본체의 높이조절로 인하여 경사지더라도 정량을 유지하여 과부족됨이 없이 순조롭게 자동제빙이 일어날 수 있는 정량급수장치를 지니는 자동제빙기에 있어서 그 안전한 제빙 운전과 성능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급수방법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간단한 방법으로 높이조절에 의해 냉장고 본체(1)가 경사지더라도 정량의 물을 제빙트레이(11)에 공급할 수 있는 정량저수용기(52)를 지니는 자동제빙기에 있어 마이컴에 의해 급수 1 단계와 급수 2 단계에 의해 일매빙을 방지하고 자동제빙기(10)의 성능을 계속적으로 보장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변경,응용 및 변화될 수 있다.

Claims (3)

  1. 냉장고 본체(1)의 내부의 제빙실(13)에 설치되며, 제빙트레이(11)와 얼음상자(12)를 포함하는 자동제빙기(10)의 제빙트레이(11)에 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정량의 물을 유지하기 위해 측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오버플로우공(52")과 상기 제빙트레이(11)에 정량의 제빙용 물을 유출하기 위해 형성된 급수공(52')과, 모터(71)의 정역회전에 의해 회전운동장치(70)와 변환운동기구(60)를 개재하여 승강작동시킴으로써 급수공(52')을 개폐시키기 위한 급수밸브(53)를 지니며, 냉장고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되는 정량저수용기(52);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급수탱크(40')와 그 급수탱크(40')의 장착시에 개폐밸브(45)를 통해 물이 보충되는 급수사발(41)과 그 급수사발(41)로부터 상기 정량저수용기(52)로 급수관(40")을 통해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모터(42) 및 급수펌프(43)로 구성되어 상기 정량저수용기(52)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40); 및
    상기 정량저수용기(52)의 급수공(52')으로부터 상기 제빙트레이(11)로 그 정량저수용기(52)의 물을 중력에 의해 공급하기 위한 정량급수관(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정량급수장치의 제빙트레이(11)에 급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급수모터(42)의 작동으로 급수사발(41)로부터 정량저수용기(52)에 정량의 물을 채우는 급수 1 단계(단계 S23, 단계 S29)와, 그 제 1 급수단계후에 모터(71)를 정역 회전시켜 정량저수용기(52)로부터 정량의 물을 제빙트레이(11)에 급수하는 급수 2 단계(단계 S24, 단계 S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자동제빙기 급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1 단계(단계 S29)후 급수 2 단계(단계 S31)를 수행하기 전에 급수 1 단계의 완료를 기다리기 위해 5분의 경과를 판단하는 대기단계(단계 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자동제빙기 급수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공(52')의 완전폐쇄상태와 완전개방상태를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마이크로스위치(81,82)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급수 2 단계(단계 S24)가, 모터(71)를 정회전시켜 상기 급수밸브(53)를 개방시킴으로써 급수공(52')과 정량급수관(50")을 통해 정량저수용기(52)의 물울 제빙트레이(11)에 공급하는 정회전단계(단계 S241)와, 상기 제 2 마이크로스위치(82)를 감시하여 온상태를 감지하는 반전단계(단계 S242)와, 그 반전단계에서 제 2 마이크로스위치(82)의 온을 감지한 때에 모터(71)를 역회전시키는 역회전단계(단계 S243)와, 제 1 마이크로스위치(81)를 감시하여 온상태를 감시하는 종료단계(S244)와, 그 종료단계에서 온을 감지한 때에 모터(71)를 정지시키는 정지단계(단계 S24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자동제빙기 급수방법.
KR1019970068489A 1997-12-13 1997-12-13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급수방법 KR199900495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489A KR19990049531A (ko) 1997-12-13 1997-12-13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급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489A KR19990049531A (ko) 1997-12-13 1997-12-13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급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531A true KR19990049531A (ko) 1999-07-05

Family

ID=6608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8489A KR19990049531A (ko) 1997-12-13 1997-12-13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급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95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442B1 (ko) * 2013-11-21 2015-07-1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442B1 (ko) * 2013-11-21 2015-07-1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4654718B (zh) * 2013-11-21 2017-08-29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冰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2125B1 (ko) 자동제빙기 및 자동제빙기의 얼음트레이 위치제어방법
US20070227164A1 (en) Automatic icemaker
KR20080094352A (ko) 냉장고의 제빙 장치
JP2000346506A (ja) 自動製氷装置
KR19990049531A (ko)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급수방법
KR19990029776A (ko) 자동제빙장치
KR100346401B1 (ko) 냉장고의 얼음저장량 조절구조 및 조절방법
KR100373070B1 (ko) 냉장고의 얼음잔량 표시장치 및 제어방법
KR100820148B1 (ko) 자동 제빙기의 이빙제어방법
KR19990049530A (ko)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정량급수장치
KR100347022B1 (ko) 냉장고용제빙기의구조및제어방법
KR0115196Y1 (ko) 냉장고의 얼음량감지장치
KR0139318Y1 (ko) 냉장고용 제빙기
KR100816091B1 (ko) 제빙기의 제어방법
KR100339534B1 (ko) 냉장고용제빙기의물공급장치및그의제어방법
JPH07225070A (ja) 製氷機及びその運転方法
KR101255875B1 (ko) 냉장고의 제빙 제어 방법
KR100661831B1 (ko) 제빙기의 급수감지방법
JP3038312B2 (ja) 冷蔵庫
KR20060029864A (ko) 만빙감지장치를 가지는 냉장고용 제빙기
KR100566404B1 (ko) 냉장고의 절수 장치
KR100531302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JPH0420769A (ja) 自動製氷装置
JPH09269166A (ja) 製氷機
KR100609920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