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8724A - 자동차에서 헤드 램프 자동 소등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에서 헤드 램프 자동 소등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8724A
KR19990048724A KR1019970067494A KR19970067494A KR19990048724A KR 19990048724 A KR19990048724 A KR 19990048724A KR 1019970067494 A KR1019970067494 A KR 1019970067494A KR 19970067494 A KR19970067494 A KR 19970067494A KR 19990048724 A KR19990048724 A KR 19990048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lamp
turned
key
signal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7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진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1019970067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8724A/ko
Publication of KR19990048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8724A/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종래 헤드 램프를 켜둔채 자동차를 장시간 주차시킴에 따라 베터리가 방전되어 자동차를 운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키가 제거된 상태에서 헤드 램프가 켜져 있음을 감지하여 경보신호를 원격조정기로 송출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헤드 램프가 소등되지 않으면 강제로 헤드 램프를 소등하는 자동차에서 헤드 램프 자동 소등장치 및 방법을 구현함으로서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베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운전자의 편의를 보다 증대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에서 헤드 램프 자동 소등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의 베터리 방전 방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착된 양방향 원격시동기를 통해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헤드 램프가 켜져 있음을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원격시동기란 운전자가 원거리에서 자동차의 특정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며, 특히 양방향 원격시동기는 원격조정기와 원격제어수신기 간 양방향으로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여 자동차의 상태를 원거리에 위치한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원격시동기의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운전자가 원격조정기를 조작하여 자동차의 특정 기능을 제어하면 상기 제어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가 송신된다. 상기 송신된 신호는 자동차 내에 설치된 원격제어 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며, 상기 원격제어 수신기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통상적으로 자동차에서 헤드 램프를 포함한 램프, 라디오 등 베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장치를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장시간 동작 시키면 베터리가 방전되어 자동차를 운행하지 못하는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베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베터리 사용이 감지되면 베터리의 출력을 차단하는 베터리 방지장치가 요구되어 졌다.
통상적으로 대부분의 자동차에서 상기한 라디오 등과 같은 전원장치의 경우는 키가 제거되면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으나 비상등, 실내등, 헤드 램프 등은 키가 제거되어도 점등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함에 따라 베터리 방전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었다. 특히 새벽 무렵에 자동차를 운행하는 경우에는 헤드 램프를 켜고 운행하다가 날이 밝은 후 주차를 시킬때는 정확하게 확인하지 않으면 헤드 램프의 점등 여부를 확인할 수 가 없어 종종 헤드 램프를 켜둔 상태로 주차 시켜둠에 따라 베터리가 방전되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키가 빠진 후 헤드 램프가 켜져 있는 상태가 소정 시간 유지될 동안 원격조정기로부터 제어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헤드 램프를 소등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램프 자동 소등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램프를 자동으로 소등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램프 자동 소등장치의 블록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송수신부(이하 "RF부"라 칭함)(112)와 제어부(114)로 구성된 원격제어수신부(110), 원격조정부(100), 베터리(130), 릴레이(120), 헤드 램프(140)로 구성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각 구성의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격시동기는 원격조정기(100)와 원격제어수신기(110)로 구성된다. 상기 원격조정기(100)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원격지에서 자동차 시동, 도어-록(Door-Lock) 해제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원격제어수신기(110)는 상기 원격조정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자동차 시동, 도어-록 및 해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원격제어수신기(110)는 상기 원격조정기(10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RF부(112)와 수신된 신호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14)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4)는 자동차에 구비된 각종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키감지신호와 헤드램프 감지신호에 의해 키가 제거된 상태에서 헤드 램프(140)가 점등되어 있는 경우 상기 헤드 램프(140)를 소등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원격시동기가 양방향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원격조정기(100) 또한 원격제어수신기(110)의 제어에 의해 자동차의 경보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원격제어수신기(110)는 시동이 켜 있는 상태, 키가 제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헤드 램프(140)가 점등된 상태 등 자동차의 경보상태가 감지되면 경보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상기 원격조정기(100)는 자동차의 경보상태를 알리기 위해 상기 원격제어수신부(11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자동차가 경보상태에 있음을 알리기 위한 특정 램프(LED 등)를 점등하거나 경보음을 발생한다. 릴레이(120)는 키가 제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헤드 램프(140)가 점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14)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되어 베터리(130)로부터 상기 헤드 램프(14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므로 상기 헤드 램프(140)를 소등한다. 상기 헤드 램프(140)는 야간, 안개 등으로 인해 운전자의 시계가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차가 진행하는 전방을 비추는 램프를 의미한다.
도 2는 상기한 도 1의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램프를 자동으로 소등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는 키가 제거된 상태에서 헤드 램프가 켜져 있는 가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헤드 램프가 켜진 상태가 감지되면 경보신호를 원격조정기로 송출하고 타이머를 구동하는 과정과, 상기 타이머 구동에 의해 소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헤드 램프가 소등되지 않으면 강제로 헤드 램프를 소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도 1의 구성을 참조하여 도 2에 나타낸 제어 흐름도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14)는 키 삽입 감지센서(도 1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도 2의 210단계에서 운전자에 의해 키가 키뭉치(도 1에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빠지는 가를 감지한다. 상기 키뭉치는 도어, 트렁크 등에 구비되는 키뭉치를 모두 포괄할 수 있으나 상기에 기재된 키뭉치는 자동차의 전원장치(라디오, 전동밀러 등)를 이용하고자 하거나 운전자가 자동차의 운행을 위해 시동을 걸기 위해 점화 스위치의 조작이 가능한 키뭉치를 의미한다. 상기 키 삽입 감지센서로부터 키가 제거되었음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114)로 키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4)는 212단계로 진행하여 헤드 램프가 점등되어 있는 가를 감지한다. 상기 헤드 램프의 점등 여부는 상기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헤드 램프 점등 감지센서를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 램프 점등 감지센서는 포토 트랜지스터 등의 광감지 센서를 사용하여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212단계에서 헤드 램프의 점등 감지에 따른 헤드 램프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114)는 214단계로 진행하여 경보신호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발생하여 RF부(112)를 통해 원격조정기(100)로 송신한다. 상기 송신된 특정 주파수의 제어신호는 원격조정기(100)에 수신되며, 상기 원격조정기(100)는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해 경보등을 점등하거나 경보음을 발생하여 운전자에게 헤드 램프가 켜져 있는 상태임을 알린다.
상기 제어부(114)는 214단계에서 제어신호를 송신한 후 216단계로 진행하여 타이머(도 1에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한다. 상기 타이머는 제어부(114) 내에 구비된 시계 칩을 사용하거나 자동차에 구비된 시계 칩을 사용하여도 무관하다. 상기 제어부(114)는 타이머를 구동한 후 218단계와 220단계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운전자가 원격조정기(100) 또는 직접 자동차의 전면 패널부에 구비된 조작키를 이용하여 헤드 램프를 소등하였는 가를 판단한다. 상기 소정 시간은 베터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강제로 헤드 램프를 소등하기 위해 지연하는 시간을 의미하며, 대략 3∼5분 정도의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정 시간 내에 헤드 램프의 소등 여부는 상기한 헤드 램프 점등 감지센서를 통해서 감지가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 218단계와 220단계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 까지 헤드 램프가 소등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4)는 222단계로 진행하여 헤드 램프를 강제적으로 소등한다. 상기 헤드 램프이 소등은 상기 제어부(114)가 헤드 램프 소등 제어신호를 발생함으로 인해 릴레이(120)가 스위칭되어 베터리(130)로부터 헤드 램프(140)로 전원이 인가되는 경로를 차단함으로서 가능하다. 상기 릴레이(140)는 종래 운전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는 스위치와는 별도로 전기적 신호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비되어 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 램프 점등 감지센서는 베터리와 램프 사이의 전류의 흐름을 감지하는 장치(감지기)를 사용하여 구현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헤드 램프를 켜둔 채 자동차를 방치하는 경우에도 베터리의 방전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운전자의 편의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자동차에서 헤드 램프를 자동으로 소등하는 장치에 있어서,
    키의 제거를 감지하여 키감지신호를 발생하는 키삽입 감지센서와,
    헤드 램프의 점등 여부를 감지하여 헤드 램프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헤드 램프 점등 감지센서와,
    상기 키감지신호와 헤드 램프 감지신호가 모두 발생되는 경우 경보신호를 발생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 까지 헤드 램프가 소등되지 않으면 소등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원격제어수신부와,
    상기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경보음을 발생하고 경보등을 점등하는 원격조정기와,
    상기 소등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베터리로부터 상기 헤드 램프로 인가되는 전원의 경로를 차단하는 릴레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에서 헤드 램프 자동 소등장치.
  2. 양방향 원격시동기를 구비한 자동차에서 헤드 램프를 자동으로 소등하는 방법에 있어서,
    키가 제거된 상태에서 헤드 램프가 켜져 있음을 감지하여 경보신호를 원격조정기로 송출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헤드 램프가 소등되지 않으면 강제로 헤드 램프를 소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에서 헤드 램프 자동 소등방법.
  3. 양방향 원격시동기를 구비한 자동차에서 헤드 램프를 자동으로 소등하는 방법에 있어서,
    키가 제거된 상태에서 헤드 램프가 켜져 있는 가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헤드 램프가 켜진 상태가 감지되면 경보신호를 원격조정기로 송출하고 타이머를 구동하는 과정과,
    상기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경보음을 발생하고 경보등을 점등하는 과정과,
    상기 타이머 구동에 의해 소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상기 헤드 램프가 소등되지 않으면 상기 헤드 램프로 인가되는 전원의 경로를 차단하여 강제적으로 상기 헤드 램프를 소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에서 헤드 램프 자동 소등방법.
KR1019970067494A 1997-12-10 1997-12-10 자동차에서 헤드 램프 자동 소등장치 및 방법 KR199900487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494A KR19990048724A (ko) 1997-12-10 1997-12-10 자동차에서 헤드 램프 자동 소등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494A KR19990048724A (ko) 1997-12-10 1997-12-10 자동차에서 헤드 램프 자동 소등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724A true KR19990048724A (ko) 1999-07-05

Family

ID=6608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7494A KR19990048724A (ko) 1997-12-10 1997-12-10 자동차에서 헤드 램프 자동 소등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87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24213A (zh) * 2023-06-13 2023-07-14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车辆室内灯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24213A (zh) * 2023-06-13 2023-07-14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车辆室内灯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6424213B (zh) * 2023-06-13 2023-08-15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车辆室内灯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1550A (en) Two channel remote control system for an automobile and method therefor
EP2072354A1 (en) Keyless alert system and method of automobiles
KR19990048724A (ko) 자동차에서 헤드 램프 자동 소등장치 및 방법
KR100499692B1 (ko) 리모콘을 이용한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
KR0178919B1 (ko) 계기판 미등램프 자동소등장치
KR200255066Y1 (ko) 미세 전류사용 도난 경보장치
KR100827730B1 (ko) 차량용 전원 자동제어 시스템
KR20100059115A (ko) 이륜자동차의 시동장치 및 그 방법
JP2585238Y2 (ja) 車両用エンジンの始動装置
JPS63255152A (ja) 車両の電気負荷制御装置
KR100372450B1 (ko) 차량 조명 시스템
KR19990019584U (ko)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KR0177466B1 (ko) 차량의실내등을자동으로점/소등하는제어장치
JPH056213Y2 (ko)
JP2006058218A (ja) 車載用表示装置
KR20000005259U (ko) 자동차용 조명 시스템
JP2002002374A (ja) 車両用照明装置
JPH0891113A (ja) オートライト駆動制御装置
KR19980024250U (ko) 차량 시동 오프시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KR19990000512U (ko) 펄스 타이머에 의해 자동으로 오프되는 전원 차단 장치
KR19990000748U (ko) 차량의 미등 점등 경보장치
KR19980061313U (ko) 차량용 원격제어 시동장치
KR20020074855A (ko) 차량 식별용 안테나 구동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90105297A (ko) 자기차량 위치 확인장치 및 방법
JPH06264662A (ja) 車両用遠隔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