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066Y1 - 미세 전류사용 도난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미세 전류사용 도난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066Y1
KR200255066Y1 KR2020010005210U KR20010005210U KR200255066Y1 KR 200255066 Y1 KR200255066 Y1 KR 200255066Y1 KR 2020010005210 U KR2020010005210 U KR 2020010005210U KR 20010005210 U KR20010005210 U KR 20010005210U KR 200255066 Y1 KR200255066 Y1 KR 2002550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glar alarm
alarm
motorcycle
shock
alarm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차랑
Original Assignee
윤차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차랑 filed Critical 윤차랑
Priority to KR2020010005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0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0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066Y1/ko
Priority to PCT/KR2002/000320 priority patent/WO2002070330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18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the general pow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ft warning signal, e.g. visual or audible signal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3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arm or disarm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08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preventing the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2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indicating unauthorised use, e.g. acting on signa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00Acoustic signal devices; Arrangement of such devices on cy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30Vehicles applying the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306Motor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의 차량에 장착되어 불법적인 잠금 장치의 해정이나 실물의 도난을 방지하는 도난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나 오토바이의 키박스 내에 설치되어져 차량의 시동을 끄고 시동키를 온(ON)위치에서 핸들잠금(LOCK) 위치로 회전이동시키면 자동으로 경보장치의 충격감지센서에 의한 감시기능이 개시되어지는 로컬방식의 에너지 절약형 도난 경보장치인 것이다.

Description

미세 전류사용 도난 경보장치{USING OF MINUTE AMPERE TO BURGLAR ALARM}
본 고안은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에 설치되어지는 도난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의 시동장치 계통 중 키박스 내에 꽂여있는 시동키를 키박스 내에서 회전이동시켜 핸들 잠금(LOCK)위치로 변환시에 키박스 내의 역전류 스위치에 의해 배터리로부터 도난 경보장치 본체로 전원이 공급되어 도난 경보장치의 감시기능이 개시되는 역전류 스위칭 방식의 도난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종래의 도난 경보장치는 대부분 리모트 컨트롤에 의한 원격 경보장치가 주로 사용되어져 왔고 이는 원격 송신부와 이로부터 원격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도어 잠금부, 도난 경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비상등을 점등시키는 스위칭소자, 사이렌을 구동시키는 릴레이 등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차체에 소정치 이상의 충격을 가하면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제작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의 도난 경보장치는 운전자가 시동을 끄고 난 후, 리모콘에 의해 도난 경보장치를 작동시켜 주어야 하며 이와같은 이유로 리모콘에 의한 신호를 상시 수신하기 위해 도난 경보기가 필요이상의 전원을 사용하게 되고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 하기위한 별도의 절전모드를 구비하지 않음으로, 경보음이 송출되지않고 감시 기능만 작동시에도 5 ~ 5.94 미리 암페어(㎃) 정도가 사용되어지며 도난 경보음이 송출되어지는 경우에는 6미리 암페어(㎃) 이상의 전류가 소요되어 장기간 주차시에 저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오토바이의 경우, 배터리 자체의 방전과 소모에 의해 동작이 불능되는 경우가 있게되어 도난 방지장치가 무용하게 되거나 배터리의 잦은 충전 내지 교환을 해주어야 하는 필요가 있게되어 번거로움과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써, 본 출원인은 원출원 20-2000-0012949에서 모터 싸이클 도난방지용 시건 장치를 출원한바 있으며 번거로운 동작과 과도한 전력소모를 요하는 기존의 도난 경보장치의 작동을 자동차나 오토바이의 키박스 내에 작동단자를 연결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키박스 내에 꽂여있는 시동키를 돌려 시동을 끄고 시동키를 키박스의 핸들 잠금(LOCK) 위치로 돌림으로써, 키박스 내부의 역전류 스위치에 의해, 일정시간의 인터벌을 갖고 동작하도록 설계되어진 본체의 집적회로(IC)와 배터리의 전원공급 배선이 연결되어지며, 이와같은 이유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도난 경보장치의 감시기능이 자동으로 작동함으로써, 도난 경보장치의 작동을 손쉽게 할 수 있는 기능상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특히 오토바이 도난 경보장치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인 저용량 배터리의 전력소모를 줄이는 방법으로 도난 경보장치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진 충격감지센서에 일정시간 충격이 감지되지 않으면 집적회로(IC)가 절전모드 기능으로 전환되어 질 수 있도록 하여, 절전모드시 0.82 미리 암페어 이하로 전력소모가 감소되며, 충격감지센서에 충격이 감지되어 경보음 송출시 4.2 미리 암페어(소정의 계수되는 시간동안만 작동) 정도가 소요되어 일반적인 도난 경보장치에 비해 1/10 정도에 해당하며 이와같은 도난 경보장치의 감시기능이 장시간 작동시에도 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하는데 적합하도록 고안된 도난 경보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회로도.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도난경보장치 2. 본체 3. 증폭장치
4. 바테리 5. 센서 6. 집적 회로
7. 역전류스위치 8. 키박스 9. 송출장치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미세 전류사용 도난 경보장치(1)에 있어, 자동차나 오토바이에 구비되어진 키박스(8)에 삽입되어진 시동키의 위치가 온(ON) 위치에서 핸들 잠금(LOCK) 위치로 돌려지면 키박스(8) 내부의 역전류 스위치(7)에 의한 도난 경보장치(1)로 연결된 배선에 배터리(4)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키박스(8)의 핸들 잠금(LOCK) 위치 내부에 역전류 스위치(7)를 설치하고, 상기 스위치(7)로부터 배선을 통하여 전원 공급이 이루어진 본체는 소정계수의 인터벌(INTERVAL)을 갖도록 설계된 집적회로(6)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자동차나 오토바이 시동부의 키박스(8)로부터 시동키를 온(ON) 위치에서 핸들 잠금(LOCK)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도난 경보장치(1)로 전류가 공급되고 일정시간을 계수하여 자동으로 도난 경보장치(1)의 감시기능이 동작되어지는 것을 특징을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미세 전류사용 도난 경보장치(1)는 본체(2)의 장착위치를 특정공간으로 한정하지 않고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의 차량 외관에서 드러나지 아니하는 장소에 설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미세 전류사용 도난 경보장치(1)는 불법적으로 키박스(8) 내부의 배선이 절단되어질 경우에도 차량 내부에 위치한 도난 경보장치(1) 본체(2)의 배선이 엔진 점화계통과 이중으로 어스되어 있어 오토바이의 킥스타트(킥패달) 등으로도 엔진의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회로도로써, 키박스(8)의 온(ON) 위치로부터 핸들 잠금(LOCK) 위치로 시동키를 회전이동시키면 시동키의 인출여부에 관계없이 도난 경보장치(1) 본체(2)에 전원이 공급되어 충격감지센서(5)에 의한 도난 경보장치(1)의 감시기능이 개시되고 이에 따라 일정치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면 일정주기로 경보음이 송출장치(9)로부터 송출되어지며, 도난 경보장치(1)의 기능이 해제되는 것은 인가된 시동키에 의해 키박스(8)의 핸들 잠금(LOCK)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이동되어짐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도난 경보장치(1)에 사용되는 소모전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키박스(8)로부터 시동키가 핸들 잠금(LOCK)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소정의 시간을 계수하도록 설계된 집적회로(6)에서 신호를 받고 일정 시간의 간격을 둔 후에 도난 경보장치(1)의 감시기능이 작동하게 되며, 또한 충격감지센서부(5)에 별도의 충격이 일정시간 전달되지 않으면 도난 경보장치(1)의 전류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본 경보장치(1)의 집적회로(6)는 평상시의 3.5 ~ 4.2 미리 암페어(㎃) 정도에서 0.5 ~ 0.82 미리 암페어(㎃) 정도의 전류가 소모되는 절전모드로 전환되며 이는 충격감지센서(5)의 충격감지에 의한 경보음 송출시에 비해 1/5 ~ 1/7 정도의 소비전류를 갖도록 고안된 것으로 개선되는 부품의 사용으로 더 낮은 전류가 소요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불법적인 키박스(8) 내부 배선이 절단되어 어스라인이 끊어질 경우에도 엔진 점화계통의 배선부와 상기 본체(2)가 이중으로 어스되어 있어 오토바이의 경우, 킥스타트(킥패달) 등에 의해서도 엔진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미세 전류사용 도난 경보장치는 전류 소모를 최소화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도난 경보작동 제어장치(리모콘, 외부 스위치)의 분실 및 파손에 대한 우려가 없고 작동이 용이하며 내구성이 뛰어나 고장이 없을 뿐만 아니라 무선으로 작동되는 원격시동장치에 비해 원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오토바이 및 차량용 도난 경보장치로 효과적인 것이다.
또한, 시중에 유통되어져 거의 모든 도난 경보장치에 사용되어지는 리모콘 방식의 원격 송수신부에서 사용되는 전력 소모가 전혀 필요치 않으며, 일정 시간이상 충격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소비전력을 최소화하는 절전모드로 전환되므로 타 경보장치의 일반적인 전류소비에 비해 현저히 낮은 전류를 사용하게 되며, 이는 장시간 도난 경보장치의 각종 기능이 작동함에 따라 초래되는 동작불능 또는 배터리의 재충전이나 교환 등의 문제를 완전히 해소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로컬로 이루어진 도난 경보장치에 대해서만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도난 경보장치의 감시기능 작동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절전모드를 갖게되는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리모콘 기능을 배가하는 등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이건 고안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의 차량용 경보장치에 있어서;
    키박스내에 삽입되어진 시동키를 온(ON) 위치에서 핸들 잠금(LOCK) 위치로 회전이동 시킴에 의해 시동키의 인출유무에 관계없이 도난 경보장치의 감시기능이 작동하도록 핸들 잠금위치에 내장 되어있는 역전류 스위치와; 도난 경보장치의 감시기능 작동 후 본체의 충격감지센서에 일정시간 비 충격시 저전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절전모드로 설계된 집적회로(IC)와; 충격감지센서에 충격 감지시 일정 주기의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집적회로(IC)에 의해 제어되는 증폭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전류사용 경보장치.
KR2020010005210U 2001-02-27 2001-02-27 미세 전류사용 도난 경보장치 KR2002550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210U KR200255066Y1 (ko) 2001-02-27 2001-02-27 미세 전류사용 도난 경보장치
PCT/KR2002/000320 WO2002070330A1 (en) 2001-02-27 2002-02-26 Using of minute ampere to burglar ala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210U KR200255066Y1 (ko) 2001-02-27 2001-02-27 미세 전류사용 도난 경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5966A Division KR20010106343A (ko) 2001-10-25 2001-10-25 미세 전류사용 도난 경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066Y1 true KR200255066Y1 (ko) 2001-11-28

Family

ID=19705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210U KR200255066Y1 (ko) 2001-02-27 2001-02-27 미세 전류사용 도난 경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55066Y1 (ko)
WO (1) WO20020703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998B1 (ko) 2007-04-05 2009-04-10 에스앤티대우(주) 오토바이용 도난방지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3228A (zh) * 2015-03-24 2015-07-15 蚌埠市唐人机械科技有限公司 带有自动双撑电动车的遥控锁定防盗装置
GB2582005B (en) * 2019-03-08 2023-03-22 Jaguar Land Rover Ltd Detection and signalling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6371A (ko) * 1985-02-09 1986-09-09 김순태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
JPH11278332A (ja) * 1998-03-27 1999-10-12 Bridgestone Cycle Co 盗難防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998B1 (ko) 2007-04-05 2009-04-10 에스앤티대우(주) 오토바이용 도난방지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70330A1 (en) 200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2971A (en) Anti-theft tire disabling device
JP3699208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CN101734312A (zh) 一种新型智能小型机动车防盗报警装置
JP2003530265A (ja) 自動車両用盗難防止セキュリティ装置の動作の管理方法および前記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US8538601B2 (en) Security system
KR200255066Y1 (ko) 미세 전류사용 도난 경보장치
US5892433A (en) Timing circuit for air bag disable switch
JP3981025B2 (ja) 車両の盗難防止システム
KR20010106343A (ko) 미세 전류사용 도난 경보 장치 및 그 방법
KR100499692B1 (ko) 리모콘을 이용한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
US20020196133A1 (en) Anti-vehicle theft and anti-hijacking unit combined
JP3836350B2 (ja) 車両盗難防止装置
JP2001322514A (ja) 車両用リモコンの電源装置
KR100210605B1 (ko) 차량의 배터리 소모절약형 도난 방지장치
KR100440278B1 (ko) 차량용 오디오 도난 방지장치
JP2000344054A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JP3854094B2 (ja) 車両のリモコンロック装置
JP2005001422A (ja) 車両盗難防止装置
KR200247530Y1 (ko)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
JPH042100Y2 (ko)
KR20030017855A (ko) 차량 도난 방지장치
KR19980043109U (ko) 도난차량의 기능정지장치
JPH07198461A (ja) 荷重変化情報送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盗難防止装置
JPH10169269A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KR200366757Y1 (ko)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321

Effective date: 2004031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310000054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321

Effective date: 2004031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200002079;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300001806;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130000162;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419

Effective date: 2005060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200002079;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419

Effective date: 20050609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628

Effective date: 2006101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300001806;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628

Effective date: 2006101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1030

Effective date: 2007011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13000016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1030

Effective date: 20070119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