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8438A - 차량용 도어의 록킹 및 해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의 록킹 및 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8438A
KR19990048438A KR1019970067112A KR19970067112A KR19990048438A KR 19990048438 A KR19990048438 A KR 19990048438A KR 1019970067112 A KR1019970067112 A KR 1019970067112A KR 19970067112 A KR19970067112 A KR 19970067112A KR 19990048438 A KR19990048438 A KR 19990048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key
locking
actuator
lo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7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67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8438A/ko
Publication of KR19990048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8438A/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키 뭉치로부터 키를 탈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되게 되면, 도어를 록킹시키는 액추에이터를 록킹해제 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키 뭉치에 키가 삽입된 상태로 도어가 록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도어의 록킹 및 해제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입력되는 전원에 따라 도어를 록킹 및 해제시키는 액추에이터(60)와; 도어 키(SW1) 및 도어 록 핸들(SW2)의 작동에 따라 스위칭되어, 도어가 록킹/해제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60)에 전원을 인가하는 릴레이(50)와; 키 뭉치 내에 키가 삽입되어 있음을 감지하는 키 삽입 감지부(10)와;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개방 감지부(20)와; 그리고, 상기 키 삽입 감지부(10)에 의하여 삽입된 키가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개방 감지부(20)에 의하여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도어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60)에 전원을 인가하는 록킹 해제부(3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의 록킹 및 해제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휠 하부의 키 뭉치에 키가 삽입된 상태로 도어가 록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도어의 록킹 및 해제장치(Door Rocking and Release Device for Ca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도어 록킹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도어의 외측에 마련된 도어 키(SW1)에 키를 넣고 돌리거나, 차내에 부설된 도어 록 핸들(SW2)을 작동시키면, 릴레이(2)가 작동되며, 이에 따라, 도어 록킹용 액추에이터(4)에 전원(B)이 인가됨으로써, 차량의 각 도어가 록킹되도록 구성된다. 즉 종래의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는, 도어 키(SW1)나 도어 록 핸들(SW2) 중 어느 한가지라도 작동되면, 도어가 록킹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어 록킹장치는, 운전자가 키를 스티어링 휠 하부의 키 뭉치로부터 키를 인출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 록 핸들(SW2)을 작동시키고 차 밖으로 나와 도어를 닫게 되는 경우에도, 도어가 록킹됨으로써, 운전자가 낭패를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키 뭉치로부터 키를 탈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되게 되면, 도어를 록킹시키는 액추에이터를 록킹해제 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키 뭉치에 키가 삽입된 상태로 도어가 록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도어의 록킹 및 해제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 뭉치로부터 키를 탈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되게 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운전자에 이와 같은 상황을 경보하여 주는 차량용 도어의 록킹 및 해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도어의 록킹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키 삽입 감지부, 20:도어 개방 감지부, 30:록킹 해제부, 40:경보부, 50:릴레이, 60:액추에이터, SW1:도어 키, SW2:도어 록 핸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되는 전원에 따라 도어를 록킹 및 해제시키는 액추에이터와; 도어 키 및 도어 록 핸들의 작동에 따라 스위칭되어, 도어가 록킹/해제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릴레이와; 키 뭉치 내에 키가 삽입되어 있음을 감지하는 키 삽입 감지부와;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개방 감지부와; 그리고, 상기 키 삽입 감지부에 의하여 삽입된 키가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개방 감지부에 의하여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도어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록킹 해제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록킹 및 해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록킹 및 해제장치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키 삽입 감지부(10), 도어 개방 감지부(20), 록킹 해제부(30), 릴레이(50) 및 액추에이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액추에이터(60)는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차량의 도어를 록킹 또는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릴레이(50)는 도어 키(SW1)와 도어 록 핸들(SW2)중 어느 하나라도 록킹위치로 작동되면, 도어가 록킹되는 방향으로 상기 액추에이터(60)가 작동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60)에 정전압을 인가하도록 연결된다.
키 삽입 감지부(10)는 스티어링 휠 하부에 설치된 키 뭉치 내에 키가 삽입되었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일단이 전원에 연결되며, 키 뭉치 내에 키 삽입시 온으로 스위칭되는 접촉센서로 구성된다.
도어 개방 감지부(20)는 도어가 개방되었음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도어 개방 감지부(20)는, 차량의 도어 개방시에 온으로 스위칭되는 접촉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키 삽입 감지부(10)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키 삽입 감지부(10)를 통하여 전원을 인가받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도어 개방 감지부(20)는, 운전석 측의 도어에만 장착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나, 필요에 따라 선택된 도어에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록킹 해제부(30)는, 상기 키 삽입 감지부(10)에 의하여 키 뭉치 내에 삽입된 키가 감지됨과 동시에, 상기 도어 개방 감지부(20)에 의하여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도어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60)에 역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도어 개방 감지부(20)와 상기 액추에이터(60) 사이에 연결된다. 이러한 록킹 해제부(30)는 솔레노이드(31)와 스위칭 핀(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31)는 상기 키 삽입 감지부(10) 및 도어 개방 감지부(20)에 직렬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키 삽입 감지부(10)와 도어 개방 감지부(20)가 모두 온 으로 스위칭되었을 때 전원(B)이 인가되어 작동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 핀(32)은 상기 솔레노이드(31)의 작동시, 상기 액추에이터(60)에 역전압을 인가하여 도어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록킹 해제부(30)의 출력측에는 경보부(40)가 상기 액추에이터(60)와 병렬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록킹 해제부(3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액추에이터(60)의 록킹 해제작동시, 상기 경보부(40)가 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키 뭉치 내에 키가 삽입된 상태로, 도어가 개방되었음을 운전자에게 알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어 키(SW1)와 도어 록 핸들(SW2)의 작동에 따라 액추에이터(60)에 정전압 또는 역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차량의 도어가 록킹 및 해제되는 기능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키 뭉치 내에 키가 삽입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상기 도어 록 핸들(SW2)을 록킹위치로 작동시키면 도어가 록킹되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도어를 개방시키면, 온 으로 스위칭된 상기 키 삽입 감지부(10)와 도어 개방 감지부(20)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B)에 의하여, 상기 록킹 해제부(30)가 온 으로 스위칭됨으로써, 상기 액추에이터(60)에 역전압이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경보부(4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어의 록킹상태가 해제됨으로써, 키 뭉치에 키가 삽입된 상태로 도어가 록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부(40)의 작동에 의하여 운전자가 키 뭉치 내에 키가 삽입되어 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따른 차량용 도어의 록킹 및 해제장치에 의하여, 키 뭉치로부터 키를 탈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되게 되면, 도어를 록킹시키는 액추에이터를 록킹해제 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키 뭉치에 키가 삽입된 상태로 도어가 록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이때 경보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이와 같은 상황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록킹 및 해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로 그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입력되는 전원에 따라 도어를 록킹 및 해제시키는 액추에이터와;
    도어 키 및 도어 록 핸들의 작동에 따라 스위칭되어, 도어가 록킹/해제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릴레이와;
    키 뭉치 내에 키가 삽입되어 있음을 감지하는 키 삽입 감지부와;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개방 감지부와; 그리고,
    상기 키 삽입 감지부에 의하여 삽입된 키가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개방 감지부에 의하여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도어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록킹 해제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록킹 및 해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감지부에는 경보부가 연결되되, 상기 키 삽입 감지부에 의하여 삽입된 키가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개방 감지부에 의하여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경보부가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록킹 및 해제장치.
KR1019970067112A 1997-12-09 1997-12-09 차량용 도어의 록킹 및 해제장치 KR199900484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112A KR19990048438A (ko) 1997-12-09 1997-12-09 차량용 도어의 록킹 및 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112A KR19990048438A (ko) 1997-12-09 1997-12-09 차량용 도어의 록킹 및 해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438A true KR19990048438A (ko) 1999-07-05

Family

ID=66088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7112A KR19990048438A (ko) 1997-12-09 1997-12-09 차량용 도어의 록킹 및 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84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138B1 (ko) * 2001-11-20 2005-03-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어린이보호용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138B1 (ko) * 2001-11-20 2005-03-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어린이보호용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7353B1 (ko) 자동차 도어용 잠금 장치
KR19990048438A (ko) 차량용 도어의 록킹 및 해제장치
KR100288760B1 (ko) 슬라이딩 도어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잠금장치
JPH075173Y2 (ja) 車両用電磁ロック制御装置
KR0171789B1 (ko) 자동차 열쇠 장치
KR0180357B1 (ko) 자동차의 트렁크 적재물 도난방지장치
JP2902428B2 (ja) 車両の盗難防止装置
KR100456678B1 (ko) 차량의 도어 잠금 장치의 오작동 방지 방법
KR19980050750U (ko) 자동차의 도어 자동 잠금장치
KR100205581B1 (ko) 자동차 도어의 중앙 잠금 장치
KR200148902Y1 (ko) 차량의 도난방지장치
KR100472138B1 (ko) 차량의 어린이보호용 잠금장치
KR200156243Y1 (ko) 시동키 오프시 도어잠금 해제장치
KR19980050702A (ko) 차량의 지문인식 도어록 해제장치
KR19990031116A (ko) 버스의 출입문 잠금 장치
KR19990019596U (ko) 도어의 보조 록킹 장치
JPH02292479A (ja) 自動車のドアロック制御装置
KR970043766A (ko) 자동차 도어 잠금 안전 장치
KR19980061822U (ko) 자동차의 트렁크 개폐장치
KR980009725A (ko) 자동차 도어의 잠금 경고장치
KR19990000749U (ko) 자동차의 도어잠금 해제장치
KR19980060164A (ko) 사이드 도어 잠금 해제장치
KR19990035017A (ko) 차량용 도난방지 시스템
KR970010226A (ko) 자동차에서의 도어 잠김방지장치
KR19980031135U (ko) 키삽입하차시 도어잠금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