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6930A -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6930A
KR19990046930A KR1019970065101A KR19970065101A KR19990046930A KR 19990046930 A KR19990046930 A KR 19990046930A KR 1019970065101 A KR1019970065101 A KR 1019970065101A KR 19970065101 A KR19970065101 A KR 19970065101A KR 19990046930 A KR19990046930 A KR 19990046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ayer insulating
contact hole
insulating film
contact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직
김정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5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6930A/ko
Publication of KR19990046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930A/ko

Links

Landscapes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택 저항을 최소화시키는 콘택 구조를 갖는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 기판 상에 서로 다른 물질로 다층 층간절연막을 형성한다. 상기 다층 층간절연막을 건식 식각 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콘택홀을 형성한다. 상기 다층 층간절연막을 습식 세정으로 식각 하되, 하부 층간절연막의 식각률이 상부 층간절연막의 식각률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용액을 사용하여 식각 함으로써 상기 콘택홀 하부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서로 다른 습식 식각률을 갖는 물질을 사용하여 다층 층간절연막을 형성함으로써, 콘택홀 하부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콘택홀 하부의 선택적인 크기 증가를 습식 세정으로 수행함으로써 콘택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콘택홀 상부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금속 라인의 피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저저항(low resistance) 금속 콘택(metal contact) 구조를 갖는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가 고집적화 됨에 따라, 피처 크기(feature size)가 감소되고 있다. 금속 콘택(metal contact)의 경우, 콘택의 크기는 줄어드는 반면, 깊이는 더욱 증가하여 콘택 에스팩트 비(contact aspect ratio)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금속 콘택 상의 금속 라인(metal line)의 피치(pitch)가 타이트(tight) 해지기 때문에, 금속 콘택의 상부와 오버랩(overlap) 되는 금속 라인의 디자인 룰(design rule)도 매우 타이트하게 된다.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의 금속 콘택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금속 콘택홀의 상부 오프닝(opening) 크기를 금속 콘택홀의 하부 오프닝 크기와 같거나 약간 큰 정도로 형성해야 한다.
즉,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콘택홀(vertical contact hole)(3)을 형성해야 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상기 수직 식각은 어렵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의 경사진 콘택홀(sloped contact hole)(4)이 형성된다.
참조 번호 1은 반도체 기판을 나타내고, 참조 번호 2는 층간절연막(Inter Layer Dielectric)을 나타낸다.
따라서, 깊고 작은 콘택(deep small contact)의 경우, 콘택홀 하부의 크기가 매우 작아지게 되어, 금속 콘택 저항의 증가 뿐아니라, 콘택의 크기 감소에 따른 전류 밀도(current density)의 증가, 그리고 줄(joule) 열 발생 등 금속 콘택을 열화 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콘택홀의 상부 크기는 줄임으로써 금속 라인의 피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고, 콘택홀의 하부 크기는 증가시킴으로써 콘택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의 금속 콘택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콘택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콘택 형성 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3c의 금속 콘택의 하부를 보여주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 반도체 기판 2 : 층간절연막
3, 4 : 콘택홀 12 : 하부 층간절연막
14 : 상부 층간절연막 16a : 하부 콘택홀
16b : 상부 콘택홀 18 : 콘택 필링 금속
20 : 금속 라인 24 : 콘택홀 하부 영역
(구성)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서로 다른 물질로 다층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층 층간절연막을 건식 식각 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층 층간절연막을 습식 세정으로 식각 하되, 하부 층간절연막의 식각률이 상부 층간절연막의 식각률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용액을 사용하여 식각 함으로써, 콘택홀 하부의 크기가 선택적으로 증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은, BPSG와 SOG 계열의 산화막 중 어느 하나이다.
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은, USG 및 HDP(High Density Plasma) 산화막 중 어느 하나이다.
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의 콘택 형성 방법은, 상기 콘택홀에 배리어막 및 콘택 금속막을 차례로 형성하되, CVD 방법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습식 세정 용액은, HF 용액을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장치는,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다층 층간절연막과; 상기 다층 층간절연막은,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된 하부 층간절연막과 상부 층간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다층 층간절연막을 식각 하여 형성된 콘택홀을 포함하고, 상기 다층 층간절연막의 하부 층간절연막을 식각 하여 형성된 콘택홀 하부의 크기가 상부 층간절연막을 식각 하여 형성된 콘택홀 하부의 크기 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은, BPSG와 SOG 계열의 산화막 중 어느 하나이다.
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은, USG 및 HDP(High Density Plasma) 산화막 중 어느 하나이다.
(작용)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은 금속 콘택 저항을 감소시킨다.
(실시예)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규한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10) 상에 서로 다른 물질로 다층 층간절연막(12, 14)을 형성한다. 상기 다층 층간절연막(12, 14)을 건식 식각 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1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콘택홀(16)을 형성한다. 상기 다층 층간절연막(12, 14)을 습식 세정으로 식각 하되, 하부 층간절연막(12)의 식각률이 상부 층간절연막(14)의 식각률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용액을 사용하여 식각 함으로써 상기 콘택홀(16) 하부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서로 다른 습식 식각률을 갖는 물질을 사용하여 다층 층간절연막(12, 14)을 형성함으로써, 건식 식각 후 콘택홀(16) 하부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콘택홀(16) 하부의 선택적인 크기 증가를 습식 세정으로 수행함으로써 콘택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콘택홀(16) 상부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금속 라인의 피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콘택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콘택 구조는, 반도체 기판(10)과, 다층 층간절연막(12, 14)과, 콘택홀(16)과, 콘택 필링 금속(contact filling metal)(18)과, 금속 라인(20)을 포함한다.
상기 층간절연막들(12, 14)은, 상기 반도체 기판(10) 상에 서로 다른 물질을 사용하여 차례로 형성된 하부 층간절연막(12) 및 상부 층간절연막(14)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12)은, BPSG(BoroPhosphoSilicate Glass)와 SOG(Spin On Glass) 계열의 산화막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14)은, USG(Undoped Silicate Glass)와 HDP(High Density Plasma) 산화막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콘택홀(16)은,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12)을 식각 하여 형성된 하부 콘택홀(16a)과,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14)을 식각 하여 형성된 상부 콘택홀(16b)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콘택홀(16b) 하부의 크기 보다 상기 하부 콘택홀(16a) 하부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미세한 금속 콘택의 저항을 감소시킨다.
상기 콘택 필링 금속(18)은, 상기 콘택홀(16)을 채우도록 순차적으로 형성된 배리어막(barrier layer) 및 콘택 금속막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 라인(20)은, 상기 콘택 필링 금속(18) 상에 상기 콘택 필링 금속(18)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반도체 장치의 금속 콘택의 제조 방법은 먼저, 반도체 기판(10) 상에 다층 층간절연막(12, 14)을 형성한다.
상기 다층 층간절연막(12, 14)은,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된 층간절연막들로서, 하부 층간절연막(12) 및 상부 층간절연막(14)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12)은, BPSG 및 SOG 계열의 산화막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14)은, USG 및 HDP 산화막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한다.
도 3b에 있어서, 상기 다층 층간절연막(12, 14)을 식각 하여 콘택홀(16)을 형성한다. 상기 식각은 건식 식각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면, 상기 콘택홀(16)은 약간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콘택홀 하부가 그 상부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상기 건식 식각에 의해 콘택홀(16) 하부가 미량 식각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다층 층간절연막(12, 14)의 일부를 습식 세정으로 식각 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콘택홀(16a)의 크기가 선택적으로 증가된 프로파일(profile)을 갖는 콘택홀(16)이 형성된다.
이것은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12)과 상부 층간절연막(14)의 식각률의 차이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습식 세정 용액은 HF를 포함한다.
즉,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12)은 상기 HF 용액에 대해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14) 보다 상대적으로 큰 식각률을 갖는다.
이로써, 상기 하부 콘택홀(16a)의 하부의 크기가 상기 상부 콘택홀(16b)의 하부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12)과 상부 층간절연막(14)의 경계 부분에서 콘택홀(16) 크기가 증가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콘택홀(16a)의 하부의 크기가 약 0.2 ㎛ 이고, 상기 습식 세정에 의해 상기 하부 콘택홀(16a)의 양측면의 하부 층간절연막(12)이 각각 0.03 ㎛ 정도 식각 되는 경우, 금속 콘택의 하부 면적은 약 70 % 정도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바와 같은 콘택 프로파일(contact profile)에 있어서, 후속 공정으로 형성되는 금속 콘택 배리어막의 스텝 카버리지(step coverage)가 문제가 될 수 있다. 실제로, 상기 배리어막을 스퍼터링 방법으로 형성하는 경우, 경사가 급변하는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12)과 상부 층간절연막(14)의 경계 부분에 배리어막이 형성되지 않아, 후속 콘택 금속막 형성시 어택(attack)을 받게 된다.
그러면, 콘택 금속막이 리프팅(lifting) 되는 이 분야에서 잘 알려진 볼케노 디펙트(volcano defect)가 발생된다.
그러나, 상기 배리어막을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방법으로 형성하게 되면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막은 Ti 및 TiN, 그리고 WN 등이 사용된다.
도 4는 도 3c의 금속 콘택의 하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 3c의 금속 콘택의 하부 영역은, 반도체 기판(10)의 정면에서 보게 되면 참조 번호 2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부에 상기 건식 식각 방법에 의한 손상 영역(24a)과, 상기 습식 세정에 의한 손상되지 않은 영역(24b)을 포함한다.
참조 번호 15는 상기 습식 세정 전의 하부 층간절연막(12)의 콘택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즉, 상기 건식 식각 방법에 의해 형성된 콘택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이로써, 상기 손상되지 않은 영역(24b)에 대해서는 반도체 기판(10)의 소모도 없기 때문에 매우 낮은 금속 콘택 저항을 얻게 된다.
후속 공정은 상기 금속 콘택의 경우, 콘택홀이 CVD 방법에 의한 배리어막 및 콘택 금속막으로 채워지고, 메모리 셀 콘택의 경우, 콘택홀이 CVD 방법에 의한 도핑된 폴리실리콘막 등으로 채워진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습식 식각률을 갖는 물질을 사용하여 다층 층간절연막을 형성함으로써, 콘택홀 하부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콘택홀 하부의 선택적인 크기 증가를 습식 세정으로 수행함으로써 콘택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콘택홀 상부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금속 라인의 피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반도체 기판(10) 상에 서로 다른 물질로 다층 층간절연막(12, 14)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층 층간절연막(12, 14)을 건식 식각 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1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콘택홀(16)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층 층간절연막(12, 14)을 습식 세정으로 식각 하되, 하부 층간절연막(12)의 식각률이 상부 층간절연막(14)의 식각률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용액을 사용하여 식각 함으로써, 콘택홀 하부의 크기가 선택적으로 증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콘택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12)은, BPSG와 SOG 계열의 산화막 중 어느 하나인 반도체 장치의 콘택 형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14)은, USG 및 HDP(High Density Plasma) 산화막 중 어느 하나인 반도체 장치의 콘택 형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의 콘택 형성 방법은, 상기 콘택홀(16)에 배리어막 및 콘택 금속막을 차례로 형성하되, CVD 방법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콘택 형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세정 용액은, HF 용액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콘택 형성 방법.
  6. 반도체 기판(10) 상에 형성된 다층 층간절연막(12, 14)과;
    상기 다층 층간절연막(12, 14)은,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된 하부 층간절연막(12)과 상부 층간절연막(14)을 포함하고,
    상기 다층 층간절연막(12, 14)을 식각 하여 형성된 콘택홀(16)을 포함하고,
    상기 다층 층간절연막(12, 14)의 하부 층간절연막(12)을 식각 하여 형성된 콘택홀(16a) 하부의 크기가 상부 층간절연막(14)을 식각 하여 형성된 콘택홀(16b)의 하부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 장치의 콘택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12)은, BPSG와 SOG 계열의 산화막 중 어느 하나인 반도체 장치의 콘택 구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14)은, USG 및 HDP(High Density Plasma) 산화막 중 어느 하나인 반도체 장치의 콘택 구조.
KR1019970065101A 1997-12-01 1997-12-01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99900469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101A KR19990046930A (ko) 1997-12-01 1997-12-01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101A KR19990046930A (ko) 1997-12-01 1997-12-01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930A true KR19990046930A (ko) 1999-07-05

Family

ID=66095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101A KR19990046930A (ko) 1997-12-01 1997-12-01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693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4955B2 (en) 2000-10-30 2004-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contact window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0637096B1 (ko) * 2004-06-30 2006-10-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100672165B1 (ko) * 2005-12-23 2007-01-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753711B1 (ko) * 2005-03-31 2007-08-30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개구부를 갖는 구조부를 형성하는 방법, 캐패시터 형성 방법 및 중간 유전체 형성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4955B2 (en) 2000-10-30 2004-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contact window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6919640B2 (en) 2000-10-30 2005-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contact window including a lower region with a wider width to provide a lower contact resistance
US7172971B2 (en) 2000-10-30 2007-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contact window including a lower with a wider to provide a lower contact resistance
KR100637096B1 (ko) * 2004-06-30 2006-10-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100753711B1 (ko) * 2005-03-31 2007-08-30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개구부를 갖는 구조부를 형성하는 방법, 캐패시터 형성 방법 및 중간 유전체 형성 방법
KR100672165B1 (ko) * 2005-12-23 2007-01-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0652B2 (en) Metal-insulator-metal capacitor and interconnecting structure
US7417319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connecting via and dummy vi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554992B1 (ko)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US5843837A (en) Method of contact hole burying
US7074712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multilevel interconnec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806188B2 (en) Semiconductor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ring defe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30058853A (ko)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형성 방법
KR19990046930A (ko)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246100B1 (ko) 반도체 장치의 다층 배선 및 그 형성 방법
US7112537B2 (en) Method of fabricating interconnection stru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CN108428691B (zh) 接触插塞及半导体器件的形成方法
KR0154190B1 (ko) 반도체 소자의 텅스텐-플러그 형성방법
KR100271660B1 (ko) 반도체소자의 층간절연막 형성방법
CN1979838A (zh) 内连线结构及其制造方法
KR100256058B1 (ko) 반도체 장치의 콘택 형성 방법
KR100450244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408683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형성방법
KR100630568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방법
KR100265828B1 (ko) 반도체소자 제조방법
KR100683486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CN114628318A (zh) 一种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CN112652625A (zh) 半导体存储器件及其制作方法
KR19980038845A (ko) 반도체 장치의 금속 콘택방법
KR19980057017A (ko) 반도체 장치의 금속 콘택 방법
JPH0831940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