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6654A - 우산비닐포장지용자동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우산비닐포장지용자동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6654A
KR19990046654A KR1019990012707A KR19990012707A KR19990046654A KR 19990046654 A KR19990046654 A KR 19990046654A KR 1019990012707 A KR1019990012707 A KR 1019990012707A KR 19990012707 A KR19990012707 A KR 19990012707A KR 19990046654 A KR19990046654 A KR 19990046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umbrella
clutch
plastic
rack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남섭
Original Assignee
박종철
강남섭
주식회사 엔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철, 강남섭, 주식회사 엔터테크 filed Critical 박종철
Priority to KR1019990012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6654A/ko
Publication of KR19990046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65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1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 B65B67/1266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dispensing sacks from a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1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 B65B2067/1294Holders for multiple s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Apparatuses For Manual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매의 비닐 포장지가 포장용 기기의 내면에 장착된 후 제일 앞쪽에서 대기중인 비닐 포장지에 우산의 수납이 이루어지고 이후 상기 포장된 우산이 외부로 인출됨과 동시에 레버가 작동되어 대기상태의 또다른 비닐 포장지가 순차적으로 자동 인출되면서 개구부가 개방되어짐으로 연속적으로 우산의 포장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이를 위하여 비닐 포장지의 전면 좌/우측에 입설되는 실린더 하우징; 이 하우징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위치되어 실린더 하우징에 끼움 처리되는 샤프트; 이 샤프트의 좌/우측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봉; 각 지지봉에 끼움처리되며, 일측으로 돌출면이 형성되도록 절곡된 채 스프링이 감착된 흘 틈구; 상기 하우징 내의 샤프트 선단 어느 한쪽에 연결되어 외부로 개방되어 있는수직의 랙 기어; 이 랙 기어 하단과 다른 쪽 샤프트 선단의 하단에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랙 기어의 인접부에 입설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입설된 제 1수직봉의 상/하단에 고정되어 랙 기어와 맞물린 복수개의 연동기어; 상기제 1수직봉에 인접한 제 2수직봉에 끼워져 연동기어와 맞물리도록 구동기어와 회전제어기능 및 단차진 가이드홈부를 갖는 클러치; 이 가이드홈부를 따라 승/하강됨으로 흘틈구의 돌출면을 밀어 탄력적인 전/후진 작동을 구현하는 캠; 및 상기 클러치의 일단에 돌출되어 스프링이 고정된 반원형상의 레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우산 비닐 포장지용 자동 인출장치 {DEVICE FOR AUTOMATICALLY DRAWING PACKING VINYL PAPER FOR UMBRELLA}
본 발명은 젖은 우산이 비닐 포장지에 수납되어 보관 및 이동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우산의 수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포장용 기기의 내면에서 비닐 포장지가 자동적으로 낱장씩 인출됨과 동시에 개구부가 개방된 채 대기될 수있도록 한 것인데, 특히 복수매의 비닐 포장지가 포장용 기기의 내면에 장착된 후제일 앞쪽에서 대기중인 비닐 포장지에 우산의 수납이 이루어지고 이후 상기 포장된 우산이 외부로 인출됨과 동시에 레버가 작동되어 대기상태의 또다른 비닐 포장지가 순차적으로 자동 인출되면서 개구부가 개방되어질 수 있는 일련의 연속 동작이 반복적으로 재현될 수 있도록 한 우산 비닐 포장지용 자동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빗물에 젖은 우산을 실내에 반입하기 위해서는 우산에 묻어있는 빗물을 충분히 털어주어야 깨끗하고도 단정한 실내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나, 각종 공공 장소의 건물을 출입할 경우에는 무의식적, 혹은 번거러움을 이유로 젖은 우산을 그대로 휴대한 채 출입하여 필요한 업무를 보게됨으로 실내 곳곳에 빗물이 떨어지게 되어 미끄럼을 유발하거나 혹은 이동하는 사람들에 의해 수시로 밟혀져 부상의 우려는 물론 바닥이 매우 불결해진다는 문제점을 수반하였다.
아울러, 젖은 우산의 휴대로 인해 주변사람의 옷차림에도 영향을 주게되어 상호간 불쾌한 감정을 노출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젖은 우산을 효과적으로 수납하여 휴대 및 보관에 유용함을 부여할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종래에도 상기에서와 같은 요구사항에 부응하기 위하여 몇 가지 젖은 우산의 포장을 위한 방안이 제시되어 왔다.
그 일례로, 위 공공건물의 출입구에 복수매의 비닐 포장지를 보관시켜 놓은채 출입자로 하여금 이를 낱장씩 취부하여 우산을 포장하도록 하었으나, 사용자가 일일이 비닐 포장지를 씌워줌에 따른 작업상의 번거러움이 크고, 젖은 우산을 손으로 잡은 채 비닐 포장지를 씌워주어야 했음으로 빗물이 손이나 의복에 묻어나게 됨은 물론 신속한 처리가 곤란하였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국내 특허등록 제 141530호로 우산 비닐봉지 자동 개봉장치와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123087호 우산 자동 비닐 포장기가 개발되었다.
위 선등록 인용 특허는 양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전면일측에 일정폭의 수직개방부가 형성되며, 전면 타측에 도어를 구비한 박스형태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일측에 상기 수직개방부와 연결되어 개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브래킷과, 상기 상부브래킷의 개구부와 일치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상부 브래킷위에 씌워지는 캡과 다수의 비닐 봉지를 상기 개구부쪽으로 압박하여 공급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비닐 공급부와, 우산의 삽입력에 의해 상기 비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비닐 봉지의 입구를 개방시킴과 함께 우산을 비닐 봉지속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하단에 설치된 우산안내부로 이루어지는 구조상의 특징을 그 권리범위로 하고 있으며, 선등록 고안은 공급기 케이스 내부 고정판에 돌설시킨 장착봉에 비닐포대를 다수개 장착하여 밀판이 밀도록 하고, 발판에는 연결대와 작동축 및 연결봉이 연결되어 스프링으로 승강작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연결봉의 양 단부측에는 걸림안내홈과 끼움홈이 형성되고 회전보강캡을 삽설시킨 벌림대를 힌지부에 장착시키고 벌림대의 끼움편과 가이드 끼움편의 사이에는스프링을 장설하여 발판을 누르면 벌림대가 하강하다가 걸림편에 걸려 힌지 작용하면서 비닐포대의 입구를 벌릴 수 있도록 함으로 우산의 수납을 위한 연속 반복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그 권리범위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각 선등록된 기술적 사상은 젖은 우산을 포장하여 준다는 동일의 목적에도 불구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수단의 작용이 부정확하여 오동작을 발생시키는 것이고, 잦은 고장의 유발로인해 사용자의 번거러움을 야기하여 현실적으로 이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의한 포장용 기기는 제조업자 및 사용자의 외면을 받아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다.
또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123087호로 우산 자동 비닐 포장지가 제안된바도 있으나, 그 구성 및 작용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작동되는 좌/우양 제지간을 따라 협지핀에 의해 물려져 있는 비닐 포장지가 순차적으로 인출되는기구적 메카니즘을 채택하고 있고, 각각의 비닐 포장지는 그 선단이 접착제로 상호 연결되어 있어 제일 앞쪽의 비닐 포장지가 인출됨에 따라 당연 뒷장의 비닐 포장지역시 당겨지게되어 인출 대기되도록 한 것으로서, 접착제의 도포에 따른 별도의 공정 추가와 함께 개구부의 개방이 별도의 기구적 수단을 통해 개방되는 것이 아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력에 의한 당겨짐의 결과에 기인하여 그 개방상태가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 불완전하고, 협지핀의 후퇴작동에 따라 후속되는 비닐포장지의 인출여부가 결정됨으로 앞장의 인출 작동에 따라(그 세기에 따라) 잦칫 파손의 우려를 수반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우산 수납용 비닐 포장지를 낱장씩 인출하는 일련의 연속적인 동작이 차질없이 반복수행되도록 함으로 사용자의 신뢰도 향상과 만족감이 구현되도록 한 우산 비닐 포장지용 자동 인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젖은 우산을 포장하기 위해 복수 매의 비닐 포장지가 장착된 후 이를 적정의 압력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탄성판이 구비되는 포장용 기기에 있어서, 상기 비닐 포장지의 전면 좌/우측에 입설되는 실린더 하우징; 상기 양 실린더 하우징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위치되어 좌/우 각 선단이 절곡된 채 실린더 하우징에 끼움처리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절곡된 좌/우측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봉; 상기 각 지지봉에 회동 자재하게 끼움처리되며, 일측으로 돌출면이 형성되도록 절곡된 채 스프링이 감착된 복수의 흘틈구; 상기 하우징 내의 샤프트 선단 어느 한쪽에 연결되어 외부로 개방되어 있는 수직의랙 기어; 상기 랙 기어 하단과 다른 쪽 샤프트 선단의 하단을 당겨주기 위해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랙 기어의 인접부에 입설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입설 고정된 제 1수직봉의 상/하단에 고정되어 랙 기어를 작동키위한 복수개의 연동기어; 상기 제 1수직봉에 인접한 제 2수직봉에 끼움처리되어 상기 연동기어와 맞물리도록 구동기어를 형성하며, 회전 제어기능과 외주면에 단차진 가이드홈부를 갖는 클러치; 상기 클러치의 가이드홈부를 따라 승/하강됨으로 흘틈구의 돌출면을 밀어주어 흘틈구의 탄력적인 전/후진 작동을 구현하는 좌/우 복수의 캠; 및 상기 클러치의 일단에 돌출되어 스프링이 고정된 반원형상의 레버를 구비하여 양 흘틈구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흘틈구에 의해 개방된 비닐 포장지의 개방면이그 내면에 위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인출장치의 전체적인 내부 구성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인출장치가 설치된 우산 비닐 포장기의 평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인출장치의 일 구성요소인 흘틈구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기기의 외관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이드봉 12,12a : 실린더 하우징
13 : 샤프트 14 : 지지봉
15 : 흘틈구 15a : 돌출면
17,19,28 : 스프링 18 : 랙 기어
21 : 제 1수직봉 22 : 제 2수직봉
23 : 연동기어 24 : 구동기어
25 : 클러치 25a : 가이드홈부
26 : 캠 27 : 레버
29 : 지지랙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 인출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그평 단면도를 표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장용 기기(100)의 내면을 통해 젖은 우산을 포장하기 위한 복수매의 비닐 포장지(30)를 좌/우 양 가이드봉(10)에 장착시켜줌을시작으로 동작될 수 있는데, 상기 비닐 포상지(30)는 개구부(31)의 후면을 상측으로 연장시킨 후 여기에 복수의 구멍(32)을 천공하여 가이드봉(10)에 끼워지게 하고, 가이드봉(10)에서 낱장씩 뜯겨져 인출될 경우 뜯겨진 비닐 조각이 남아있지 아니하도록 구멍(32)에서 상측으로 절결부(32a)를 형성시켜줌이 바람직한바, 개구부의 전면은 후술하는 흘틈구(15)에 의해 당겨질 시 파손의 우려없이 충분한 보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겹처리를 함이 요망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비닐 포장지(30)복수매를 수평방향으로 위 가이드봉(10)에 끼움처리함에 있어서, 상기 비닐 포장지(30)의 후면에서 항상적으로 적정의 압력을 유지한 채 앞쪽을 향하여 밀어줄 수 있도록 탄성판(11)이 설치되는데, 예컨대 비닐 포장지(30)가 뜯겨져 나감에 따라 그 다음의 비닐 포장지(30)가 바로 전진됨으로 대기상태에 놓여질 수 있도록 배려된다.
이와 같은 상기 비닐 포장지(30)의 전면부 좌/우 양측으로는 수직 상태로 입설되는 원형관 형태의 실린더 하우징(12)(12a)이 설치고정되며, 이후 상기 양 실린더 하우징(12)(12a)의 상단으로는 수평방향으로 위치되어 전술한 비닐 포장지(30)의 전면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우수한 강도의 샤프트(13)가 마련되는데, 그 좌/우 각 선단을 전면으로 절곡시킨 후 다시 하향절곡시켜 실린더 하우징(12)(12a)의 내부에 긴밀히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샤프트(13)의 좌/우 각 방향에서 각각 내측을 향해 마주보도록 지지봉(14)을 일체로 돌출시키며, 이 각 지지봉(14)에 역시 복수의 흘틈구(15)를 회동 자재하게 끼움처리하는데, 상기 흘틈구(15)의 상단은 길게 연설된 하단과 약6O°정도의 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단계로 절곡시켜주고, 그 상단의 돌출면 (15a)으로는 별도의 캡(16)을 견고하게 씌워준다.
상기 캡(16)의 일측면으로는 스프링(17)을 고정하여 지지봉(14)에 감착시켜준 후 샤프트(13)의 일단과 고정시켜 줌으로서 예컨대, 돌출면(15a)을 상측으로 밀어줄 경우에 지지봉(14)을 기준으로 하단의 흘틈구(15)가 전면으로 전진하게 되고,원상 복귀시에는 상기 스프링(17)에 의해 본래의 위치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흘틈구(15)의 연설된 하단의 단부는 비닐 포장지(10)의 개구부 전면을 협지하여 전면을 향해 당겨질 수 있도록 요홈부 (15b)가 형성되는데, 찍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요홈부(15b)의 선단 각도가 조절된다.
한편, 좌/우 복수로 제공되는 원형관 형태의 실린더 하우징(12)(l2a)내에 끼움처리된 샤프트(13)선단의 어느 한쪽에는 이와 일체로 연결되어 외부를 향해 노출되어 있는 형태로 수직의 랙 기어(1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랙 기어(18)의 하단과 다른 쪽 샤프트(13)의 하단은 각각 스프링(19)이 연결되어 일정하게 당겨질 수 있도록 포장용 기기(100)의 내하단면과 고정시켜주게 됨으로 결국 샤프트(13)의전체적인 수평 높이를 항상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포장용 기기(100)의 내면부, 즉 랙 기어(18)가 내설되어 있는 실린더 하우징(12)(12a)의 일측으로는 상기 포장용 기기(100)의 내면에 견고하게 설치되어 각종 구성 요소들의 설치 상태를 지지해줄 판 상의 지지 프레임(20)이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지지 프레임(20)에는 각각 제 1수직봉(21)과 제 2수직봉(22)이입설 고정되는데, 랙 기어(18)와 인접된 위치로 상기 제 1수직봉(21)의 상/하단에는 상기 랙 기어(18)와 맞물려 랙 기어(18)의 승/하강을 연동시켜주기 위한 복수개의 연동기어(23)가 제공되어 있고, 이러한 제 1수직봉(21)에 인접한 제 2수직봉 (22)에 끼움처리된 채 상기 어느 하나의 연동기어(23)와 맞물리도록 구동기어(24)를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클러치(25)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클러치(25)의 외주면으로는 다단계로 단차진 가이드홈부(25a)를 형성하고, 그 가이드홈부(25a)에끼워진 채 클러치(25)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됨으로 흘틈구(15)의 돌출면(15a)을 밀어주고, 따라서 흘틈구(15)의 탄력적인 전/후진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좌/우 복수의 캠(26)이 수직 상태로 연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클러치(25)의 일단으로 반원형상의 레버(27)를 일체로 연설함으로 좌/우 양 흘틈구(15)의 사이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흘틈구(15)에 의해 개방된 비닐 포장지(30)의 개방면이 그 내면에 위치되도록 하는데, 상기 레버(27)가 고정된 위치에서 대기된 채 탄력적으로 젖혀진 후 다시 본래의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상기 레버(27)의 일단과 지지 프레임(20)의 사이에 별도의 스프링(28)을 고정시킴이 요망된다.
한편,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포장용 기기(100)의 외관에 있어 우산의 삽입과 인출(전면을 향해 당겨주는 압력)에 따른 연속 반복적인 사용으로 잦칫 포장용 기기(100)가 넘어질 우려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기(100)의 하단에서 슬라이드식 출몰이 가능하도록 지지랙(29)을 내설치하여 필요시 전면을 향하여 돌출시켜 바닥면에 위치시켜 줌으로 충분한 지지력을 갖도록 하였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은 이하에서 설명되는바와 같다.
앞서의 구성 설명에서와 같이 복수매의 비닐 포장지(30)가 가이드봉(10)에 끼워진 후 최초 레버(27)를 젖혀주게되면, 이와 일체로된 클러치(25)가 스프링(28)의 탄발력을 극복하면서 일정하게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구동기어(24)와 맞물린 연동기어(23)가 회전함으로 역시 이와 맞물린 랙 기어(18)를 상승시키게 되는데, 이와 함께 클러치(25)에 끼워진 채 그 외주면의 경사진 가이드홈부(25a)를 따라 점차적으로 상승하는 좌/우 복수의 캠(26)이 그 직상단에 위치하는 흘틈구(15)의 돌출면(15a)을 쳐서 밀어주게되는데, 이때 흘틈구(15)는 후면에 치우쳐져 대기되어 있는 상태(즉, 비닐 포장지(30)의 개구부 직 상단에 밀착된 상태)로서 위치되어 있다가 결국 샤프트(13)와 흘틈구(15)가 각각 스프링(19)(17)의 탄발력을 극복하고서 높이 상승과 동시에 흘틈구(15)가 전면을 향해 만곡지면서 전진되는 관계로 요홈부(15b)가 겹처리된 개구부에 걸리게 되고, 따라서 이 개구부가 흘틈구(15)의전진에 따라 벌려지게 됨으로 반원형의 레버(27)내에서 개방상태를 유지한 채 고정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클러치(25)의 회전력이 제어되는 관계로 달성된다.
이후 포장용 기기(100)의 상단을 통해 삽입되는 우산(도시하지 아니함)이 개방된 비닐 포장지(30)에 정확하게 삽입된 후 레버(27)를 완전하게 젖히면서 앞으로 당기게 되면 샤프트(13)의 상승에 따라 별도의 간섭이 없는 상태에서 비닐 포장지 (30)의 절결부(32a)가 뜯겨져 포장된 우산은 최종적으로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레버(27)의 최대 개방 각도는 90°인데, 약 45°의 벌려짐 상태에서 샤프트(13)의 상승 동작을 완료하고, 나머지 45°는 공회전되게 함으로서 힘의 부하를 없애고 부드러운 동작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젖혀진 레버(27)는 다시 탄력적인 복원력에 의해 제자리로 돌아가면서 동시에 연동기어(23)의 작동에 따라 상승된 샤프트(13)가 하향되고, 전면으로 돌출된 흘틈구(15)가 다시 후면으로 되돌아가 또다른 비닐 포장지(30)의 개구부를 협지한 후 전면을 향해 벌려진 상태로 대기하게 되는데, 이 역시 반발력에 의해 회전하는 클러치(25)의 회전력 제어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일련의 동작이 연속 반복적으로 작동되어 젖은 우산의 포장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기계적인 연동 구조를 유지하여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레버 및 클러치에 의해 정확하게 비닐 포장지를 낱장씩 인출하는일련의 연속적인 동작이 차질없이 반복수행될 수 있어 고장 발생의 우려를 저감시킴은 물론 별도의 유지 보수비용을 부담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신뢰도 향상과 만족감이 구현되는 우수한 우산 포장용 기기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그에 관한 최선의 실시예를 예거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 범위에 국한되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면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의 변경을 고려해 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

  1. 젖은 우산을 포장하기 위해 복수매의 비닐 포장지가 장착된 후 이를 적정의압력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탄성판이 구비되는 포장용 기기에 있어서, 상기 비닐 포장지의 전면 좌/우측에 입설되는 실린더 하우징; 상기 양 실린더 하우징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위치되어 좌/우 각 선단이 절곡된 채 실린더 하우징에 끼움처리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절곡된 좌/우측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봉; 상기 각 지지봉에 회동 자재하게 끼움처리되며, 일측으로 돌출면이 형성되도록 절곡된 채 스프링이 감착된 복수의 흘틈구; 상기 하우징 내의 샤프트 선단 어느 한쪽에 연결되어 외부로 개방되어 있는 수직의 랙 기어; 상기 랙 기어 하단과 다른 쪽 샤프트 선단의 하단을 당겨주기 위해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랙 기어의 인접부에 입설고정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입설 고정된 제 1수직봉의 상/하단에 고정되어 랙 기어를 작동키위한 복수개의 연동기어; 상기 제 1수직봉에 인접한 제 2수직봉에 끼움처리되어 상기 연동기어와 맞물리도록 구동기어를 형성하며, 회전 제어기능과 외주면에 단차진 가이드홈부를 갖는 클러치; 상기 클러치의 가이드홈부를 따라 승/하강됨으로 흘틈구의 돌출면을 밀어주어 흘틈구의 탄력적인 전/후진 작동을 구현하는 좌/우 복수의 캠; 및 상기 클러치의 일단에 돌출되어 스프링이 고정된 반원형상의 레버를 구비하여 양 흘틈구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흘틈구에 의해 개방된 비닐 포장지의 개방면이 그 내면에 위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비닐 포장지용 자동 인출장치.
KR1019990012707A 1999-04-10 1999-04-10 우산비닐포장지용자동인출장치 KR199900466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707A KR19990046654A (ko) 1999-04-10 1999-04-10 우산비닐포장지용자동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707A KR19990046654A (ko) 1999-04-10 1999-04-10 우산비닐포장지용자동인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654A true KR19990046654A (ko) 1999-07-05

Family

ID=5477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707A KR19990046654A (ko) 1999-04-10 1999-04-10 우산비닐포장지용자동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6654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759U (ko) * 1994-07-29 1996-02-14 현 윤 우산의 비닐포장기
KR960026643U (ko) * 1995-01-12 1996-08-17 김순길 우산 커버 자동 포장기
KR970050720U (ko) * 1996-02-22 1997-09-08 김태웅 우산포장기
JPH09286420A (ja) * 1996-04-17 1997-11-04 Kansei Corp 傘包装機
JPH10155630A (ja) * 1996-11-28 1998-06-16 Kokuyo Co Ltd 傘袋収納スタンド
KR0123087Y1 (ko) * 1995-01-09 1998-08-17 여진숙 우산 자동 비닐 포장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759U (ko) * 1994-07-29 1996-02-14 현 윤 우산의 비닐포장기
KR0123087Y1 (ko) * 1995-01-09 1998-08-17 여진숙 우산 자동 비닐 포장기
KR960026643U (ko) * 1995-01-12 1996-08-17 김순길 우산 커버 자동 포장기
KR970050720U (ko) * 1996-02-22 1997-09-08 김태웅 우산포장기
JPH09286420A (ja) * 1996-04-17 1997-11-04 Kansei Corp 傘包装機
JPH10155630A (ja) * 1996-11-28 1998-06-16 Kokuyo Co Ltd 傘袋収納スタン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58258C (fi) Handduksutmatningsanordning
JP4487444B2 (ja) 食器洗浄機
KR19990046654A (ko) 우산비닐포장지용자동인출장치
CN215016847U (zh) 滚布机构及清洁机器人
CN113928761B (zh) 一种带有自动打包功能的垃圾桶
KR200190293Y1 (ko) 자동 우산 포장기
JPH03264016A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自動供給装置
CN108209226A (zh) 家用电器的控制面板安装结构和组合式厨房电器
CN208590678U (zh) 家用电器的控制面板安装结构和组合式厨房电器
KR200216647Y1 (ko) 먹통
KR100201546B1 (ko) 물수건 인출장치
CN217959258U (zh) 一种带烫衣板的柜子
CN112075898A (zh) 一种铰架式自动升降进出一体洗碗柜
CN215464876U (zh) 一种防爆型砂磨机
CN215495257U (zh) 一种智能存衣柜
CN110344216B (zh) 一种洗衣机洗涤剂投放装置及洗衣机
CN221606533U (zh) 一种纸巾取料装置
KR940000341Y1 (ko) 예비화장지 보관함이 병설된 화장지케이스
CN217101448U (zh) 垃圾桶
CN109386708A (zh) 一种便于移动的纺纱支架
CN215906417U (zh) 衣物承接装置和衣物处理设备
CN213621578U (zh) 一种自动套袋垃圾桶
CN219962749U (zh) 家居融合机器人
CN112320142B (zh) 一种垃圾袋自动换袋的方法
CN212424198U (zh) 一种垃圾袋组件及具有其的垃圾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