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5014A - 휴대형 기기 및 송수신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형 기기 및 송수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5014A
KR19990045014A KR1019980047174A KR19980047174A KR19990045014A KR 19990045014 A KR19990045014 A KR 19990045014A KR 1019980047174 A KR1019980047174 A KR 1019980047174A KR 19980047174 A KR19980047174 A KR 19980047174A KR 19990045014 A KR19990045014 A KR 19990045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ch
signal
band
user
inco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노리 사토
가츠오 스즈키
오사무 이토
요시이치 도카이린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소리타 가츠히사
야마가타가시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317671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33168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7011488U external-priority patent/JP3049746U/ja
Priority claimed from JP362979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9502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소리타 가츠히사, 야마가타가시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ublication of KR19990045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01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0008Cases for pocket watches and wrist watch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휴대기기 및 송수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손목시계(10)는 시계케이스(12)내에 계시기구 등을 내장하고 개재부재(14)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개재부재(14)내에 착신검지통지장치(50)가 배치되어 있고, 또 휴대단말(1)에 대한 착신이 있으면 소정 패턴에 따라서 각 램프(101a∼101n)를 점멸제어하고, 또 부가기기(204)는 휴대단말(1)의 착신을 검지하여 통지하는 착신검지통지기를 내장하는 기기본체(205)와, 이 기기본체(205)에 양 단부가 걸어 고정된 벨트(20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형 기기 및 송수신시스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휴대기기 및 송수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기기로서는 일본출원에 관련되는 특허 공개공보84-31322호에 기재한 것이 알려져 있다.
즉 손목시계는 시계본체를 갖고, 이 시계본체에는 상대향하는 양 단부에 오목체결단부가 설치되어 있다. 각 오목체결단부에는 각각 스프링막대가 가교되어 있으며, 한쌍의 밴드의 단부는 이 스프링막대를 통하여 오목체결단부에 걸어 고정되어 있다. 한쪽의 밴드에는 케이스가 끼워통함고정되어 있으며, 이 케이스에는 휴대전화기용 진동호출기가 내장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기기에 있어서는 밴드에 케이스를 끼워통함고정시킨 구성인 것에서 케이스가 존재하는 부위에 있어서, 해당 케이스 자체의 두께에 밴드의 두께가 가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케이스가 배치되어 있는 부위에 있어서의 돌출량이 커져 버려서 일상동작에 있어서 케이스가 타인이나 물건 등과 간섭하여 동작의 방해로 될 뿐만 아니라 케이스가 손상하고, 또는 이것에 내장되어 있는 기기가 고장나는 한 원인으로 되어 버린다.
또 케이스가 끼워통함고정되어 있는 부위에 있어서는, 밴드의 이면측, 즉 밴드의 팔과 접촉하는 면측에 케이스에 설치된 밴드를 끼워통하게 하는 부분이 돌출하게 된다. 이 때문에 해당 부분이 양 밴드에 의한 조임에 의해 팔에 누름접합하고 손목시계의 장착에 동반하여 손목에 위화감이 발생해 버린다.
또한 밴드의 단부는 스프링막대를 끼워통하게 하기 위해 되꺾여서 부분적으로 두꺼워져 있는 것에서 케이스를 시계본체측에 근접하여 배치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시계본체와 케이스에 걸쳐서 일체감을 발생시키는 디자인으로 할 수 없어서 디자인상의 제약이 발생해 버린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돌출량을 억제하는 동시에 장착시의 위화감을 해소하여 디자인상의 자유도를 향상시킨 휴대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범용성 및 우수한 고정성능과 장착감을 얻을 수 있는 휴대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기기는 시계기능을 내장한 손목시계본체와, 이 손목시계본체를 사용자에게 구속하기 위한 구속수단과, 이 구속수단을 상기 손목시계본체에 걸어붙이는 개재부재와, 미리 정해져 있는 기능를 실현하기 위해 상기 개재부재에 설치된 기능실현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재부재는 구속수단을 시계체에 걸어 고정시키기 위해 개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자체의 두께가 돌출량으로서 발생하는 데 지나지 않고, 개재부재의 부분적 돌출에 기인하는 불합리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는 동시에 신체에 장착한 경우의 위화감의 발생도 회피할 수 있다. 또 아무런 제약도 없이 시계체와 개재부재를 근접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시계체와 기기수단을 갖는 개재부재에 걸쳐서 일체감을 발생시키는 디자인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다른 발명에 있어서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된 전자기기본체와, 이 전자기기본체를 사용자에게 장착시키는 장착부재와, 이 장착부재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외부신호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외부신호에 의거하여 사용자에게 외부신호가 있었던 것을 통지하는 수신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자기기본체와 상기 장착부재 중 사용자에게 장착되는 면측은 서로 면일치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체에 장착했을 때 전자기기본체로부터 장착부재에 걸쳐서 위화감이 없고 외부신호의 착신이 있었던 것을 통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가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적용한 무선전화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동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손목시계의 사시도.
도 2B는 동 손목시계의 정면도.
도 3은 상기 무선전화시스템의 TDMA방식에 의한 내려감기지국신호(CS) 및 올라감전화기신호(PS)의 수신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챠트.
도 4A는 착신검지통지장치의 전자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B는 시계측의 전자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착신검지통지장치에 의한 착신검지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적용한 무선전화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A는 동 전화시스템에서 이용한 착신검지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B는 동 전화시스템에서 이용한 착신통지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ID코드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ID메모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적용한 무선전화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네비게이션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손목시계의 사시도.
도 12B는 동 손목시계의 이면도.
도 13A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손목시계의 사시도.
도 13B는 동 손목시계의 이면도.
도 14A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손목시계의 사시도.
도 14B는 동 손목시계의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6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7A 및 도 17B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램프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착신검지기와 착신통지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0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2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치본체의 평면도.
도 23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4A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부가기기를 손목시계의 밴드에 장착한 상태의 정면도.
도 24B는 동 측면도.
도 25는 아래케이스의 저면도.
도 26은 아래케이스의 평면도.
도 27은 도 26의 A화살표시도.
도 28은 도 26의 B화살표시도.
도 29는 도 26의 X1-X1선화살표시단면도.
도 30은 도 26의 X2-X2선화살표시단면도.
도 31은 위케이스의 평면도.
도 32는 위케이스의 이면도.
도 33은 도 32의 C화살표시도.
도 34는 도 31의 D화살표시도.
도 35는 도 31의 X3-X3선화살표시단면도.
도 36은 도 32의 X4-X4선화살표시단면도.
도 37은 벨트의 평면도.
도 38은 도 37의 E화살표시도.
도 39는 도 38의 F화살표시도.
도 40은 벨트를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아래케이스의 평면도.
도 41은 아래케이스와 위케이스를 끼워맞춘 상태에 있어서의 도 26의 X1-X1선에 상당하는 단면도.
도 42는 아래케이스와 위케이스를 끼워맞춘 상태에 있어서의 도 26의 X2-X2선에 상당하는 단면도.
도 43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4는 도 43의 X5-X5선화살표시단면도.
도 45는 도 43의 X6-X6선화살표시단면도.
도 46은 도 43의 G화살표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퍼스널전화기 10, 70, 80: 손목시계
11: 시계본체 12, 82: 시계케이스
13, 15, 72, 85: 밴드 14, 71, 83, 84: 개재부재
25, 34: ID코드입력부 37: 통지부
39: ON·OFF스위치 40: 무선기지국
50: 착신검지통지장치 70: 손목시계
101A∼101n: 발광체 127: EL발광부
204: 기기본체 205: 케이스본체
206: 벨트 207: 아래케이스
208: 위케이스 210: 뒷가장자리부
211: 앞가장자리부 320: 시계측회로
321: EL 325: 키입력부
326: 시계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적용한 무선전화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1에 있어서, “1”은 퍼스널전화기, “10”은 손목시계, “50”은 이 손목시계(10)에 후술하는 구성에 의하여 구비된 착신검지통지장치이다. 또 “40”은 무선기지국이며, 상기 퍼스널전화기(1)에 대하여 내려감신호(CS)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퍼스널전화기(1)로부터 송신된 올라감신호(PS)를 수신하여 통화의 중계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손목시계(10)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본체(11)를 갖고, 이 시계본체(11)의 시계케이스(12)내에 계시기구 등의 시계측회로(320)를 내장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시계케이스(12)에는 그 상면에 표시용 창부(12a)가 형성되고 양 단부에는 이면 근처에 오목체결단부(12b, 12c)가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오목체결단부(12b)에는 한쪽의 밴드(13)가 걸어붙여져 있으며, 다른쪽의 오목체결단부(12c)에는 개재부재(14)가 걸어붙여져 있다.
이 개재부재(14)는 중공상이며 평면시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는 동시에 이면은 평활하며, 시계본체(11)와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있다. 또 상대향하는 측면(14a, 14b)의 하부에는 볼록체결단부(14c)와 다른쪽의 밴드(15)가 각각 일체적으로 연장설치되고 다른 측면에는 슬릿(14d)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다른쪽의 밴드(15)는 개재부재(14)에 설치된 볼록체결단부(14c)를 통하여 시계케이스(12)의 다른쪽의 오목체결단부(12c)에 걸어붙여져 있다. 또 이 개재부재(14)내에 상기 착신검지통지장치(50)가 수용배치되고, 이 착신검지통지장치(50)의 ON·OFF스위치(39)가 상기 슬릿(14d)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해 있다.
또한 이들 손목시계(10)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이면, 즉 한쪽의 밴드(13), 시계케이스(12), 개재부재(14) 및 다른쪽의 밴드(15)의 각 이면은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면일치한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손목에 장착했을 때의 손목과 각 부재의 이면과의 밀착성이 확보되어 있다.
또 동일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케이스(12)의 내부에는 상기 시계측회로(320)상에 EL(321) 및 LCD(322)가 재치되어 있다. 또한 시계케이스(12)의 단부에는 단자(시계측)(323)가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이 단자(시계측)(323)는 개재부재(14)측에 설치된 단자(착신측)(341)에 접촉해 있다.
상기 착신검지통지장치(50)는 무선기지국(40)으로부터의 전화기어드레스를 실은 일정시간간격(TDMA1프레임=5ms)의 내려감호출신호(CS)에 따른 퍼스널전화기(1)의 착신동작에 동반하는 일정시간간격(TDMA1프레임=5ms)의 올라감응답신호(PS)를 수신하여 검지동작하고, 내장되어 있는 바이브레이터(37A)를 구동하여 진동에 의해 전화기(1)의 착신을 통지하는 것이다.
도 3은 상기 무선전화시스템의 TDMA(Time Divition Multiple Access=시분할다원접속)방식에 의한 내려감기지신호(CS) 및 올라감전화기신호(PS)의 송수신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챠트이다.
TDMA방식에서는 1프레임(5ms)의 일정시간간격으로 무선기지국(40)과 복수의 퍼스널전화기(1…)와의 송수신처리가 실시되는 것으로, 복수의 퍼스널전화기(1…)에 대해서는 내려감기지국(CS)신호의 송신에 동반하여 시분할로 독립된 복수의 채널(CS1∼CS4)이 각각 1채널씩 할당된다.
각 퍼스널전화기(1)는 상기 내려감기지국신호(CS)를 수신하고나서 1/2프레임(2. 5ms) 후의 동일채널(PS1∼PS4)에 있어서 올라감응답신호(PS)를 송신하는 것으로 1개의 무선기지국(40)과 복수의 퍼스널전화기(1…)의 시분할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즉 어떤 1대의 퍼스널전화기(1)에 대하여 TDMA프레임의 CH1의 타이밍에서의 통신이 할당되고 무선기지국(40)으로부터 내려감기지국신호(CS)가 수신되었을 때에는 이 퍼스널전화기(1)는 그 1/2프레임 후의 CH1의 타이밍으로 올라감응답신호(PS)를 송신하는 것으로, 이 시분할통신상태에 있어서는 무선기지국(40)으로부터의 내려감신호(CS), 퍼스널전화기(1)로부터의 올라감응답신호(PS)는 함께 1/2프레임(2. 5ms) 어긋난 1프레임(5ms)간격으로 송출되는 상태로 되고, 이 프로토콜로 착신·통화 등을 실시한다.
또한 퍼스널전화기(1)와 무선기지국(40)의 사이에서는 에어리어변경에 동반하여 퍼스널전화기(1)의 위치를 등록하는 위치등록처리가 실시되고 있으며, 이 위치등록처리의 통신시간은 가장 길어도 3. 5s 이내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착신검지통지장치(50)는 상기 퍼스널전화기(1)로부터 1프레임(5ms)간격으로 송신되는 올라감응답신호(PS)를 동기하여 수신검지하는 동시에, 이 1프레임(5ms)간격에서의 올라감응답신호(PS)의 반복수신상태가 3. 5ms 이상 계속된 것을 검출함으로써 실시되고 있는 통신이 위치등록처리인지 호출신호에 대한 처리인지를 판단하고, 호출신호에 대한 처리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퍼스널전화기(1)의 착신동작으로서 검지한다.
도 4A는 상기 착신검지통지장치(50)의 전자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착신검지통지장치(50)는 CPU를 이용한 컴퓨터로서의 제어부(21)를 구비하고, 이 제어부(21)는 내장한 ROM(21a)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착신검지통보프로그램 또는 도시하지 않는 외부기록매체로부터 제어부(21)에 입력되어 내장된 RAM(21b)에 격납된 착신검지처리프로그램에 따라서 회로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착신검지통지장치(50)는 상기 제어부(21)를 중심으로 하여 접속된 올라감응답신호(PS)의 수신안테나(22r), 수신부(23), AM검파부(24), 상기 ON·OFF스위치(39), 발진기(26), 분주회로(27), 제 1 타이머(28a), 제 2 타이머(28b) 및 통지부(37)로 구성된다.
수신안테나(22r)를 통하여 수신부(23)에 수신된 상기 퍼스널전화기(1)의 사용주파수에 따른 일정주파수대역내의 수신신호는 AM검파부(24)를 통하여 직사각형상의 신호로 정형되어 제어부(21)에 공급된다.
또 발진부(26)에 의해 발신출력되는 일정주파수의 발진신호는 분주회로(27)를 통하여 분주되고, 제어부(21) 및 제 1 타이머(28a, (2)28b)에 대하여 기본클록으로서 공급된다.
여기에서 제 1 타이머(28a, (2)28b)는 각각 제어부(21)에 수신신호가 공급되었을 때에 제 1 타이머(28a)는 상기한 퍼스널전화기(1)∼무선기지국(40)간에서의 위치등록처리에 요하는 최장통신시간에 상당하는 3. 5s의 계측을 개시하고, 제 2 타이머(28b)는 상기한 퍼스널전화기(1)에 의한 올라감응답신호(PS)의 송신시간간격(TDMA1프레임)에 상당하는 5ms의 계측을 개시한다.
또 제어부(21)는 통지지령신호를 통지부(37)에 대하여 송출하고, 통지부(37)는 내장되어 있는 바이브레이터(37A)를 구동하고, 상기 퍼스널전화기(1)의 착신동작을 진동에 의해 통지한다. 또한 제어부(21)에는 상기 단자(착신측)(341)가 접속되어 있다.
도 4B는 상기 시계측회로(3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시계측회로(320)는 CPU(124)를 구비하고, 이 CPU(124)에는 키입력부(325), 시계부(326), EL발광부(127), 액정표시부(128), ROM(129), 음성출력부(130), RAM(131) 및 상기 단자(시계측)(323)가 접속되어 있다.
키입력부(325)는 시계케이스(12)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키의 키조작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고, 시계부(326)는 현재시각을 출력한다.
EL발광부(127) 및 액정표시부(128)는 상기 EL(321)과 LCD(322)를 각각 구동하는 구동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ROM(129)에는 프로그램과 함께 착신 및 그 시각을 통지하는 음성데이터 등이 격납되어 있으며, 음성출력부(130)는 이 음성데이터를 재생하는 스피이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RAM(131)에는 작업용으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퍼스널전화기(1)에 대한 착신시각, 상대방의 전화번호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에어리어를 갖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관련되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계케이스(12)의 오목체결단부(12c)에 개재부재(14)의 볼록체결단부(14c)를 걸어붙이면 양 단자(323, 341)가 접촉하여 시계측회로(320)와 착신검지통지장치(50)가 양 단자(323, 341)를 통하여 접속상태로 된다. 또 이 접속상태가 형성되면 CPU(124)는 EL(321)을 발광시키고, 이에 따라 양자가 적정하게 접속상태로 된 것을 통지한다.
또한 이 EL(321)의 발광은 소정 시간만이어도 좋고, 접속상태로 된 이후 계속적인 것이어도 좋으며, 또 개재부재(14)를 시계케이스(12)로부터 이탈시킨 경우에는 EL(321)을 소등시킨다.
이 시계케이스(12)와 개재부재(14)가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착신검지통지장치(50)는 개재부재(14)내에 수용배치되어 있으며, 이 개재부재(14)는 밴드(15)의 선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해당 밴드(15)와 시계본체(11)의 사이에 개재해 있다. 따라서 손목시계(10)의 밴드(15)에 착신검지통지장치(50)를 배치해도 이 착신검지통지장치(50)를 내장하고 있는 개재부재(14)가 존재하는 부위에 있어서의 두께의 대폭적인 증가를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일상동작에 있어서 개재부재(14)가 타인이나 물건 등과 간섭하여 동작의 방해로 되었거나 개재부재(14)가 손상되고, 또는 이것에 내장되어 있는 착신검지통지기(50)가 고장나는 불합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개재부재(14)의 이면은 평활한 것에서 손목시계(10)를 양 밴드(13, 15)에 의해 손목에 장착하고, 개재부재의 이면이 손목에 누름접합해도 위화감이 발생해 버리는 일은 없다.
또한 개재부재(14)는 볼록체결단부(14c)로 시계본체(11)의 오목체결단부(12c)에 직접 결합되어 있는 것에서 시계본체(11)와 개재부재(14)에 걸쳐서 일체감을 발생시키는 디자인으로 할 수 있어서 디자인상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들 퍼스널전화기(1)와 착신검지통지장치(50)를 구비한 손목시계(10)로 이루어지는 무선전화시스템을 사용할 때에는 밴드(13, 15)에 의해 시계(10)를 사용자의 손목에 장착하여 ON·OFF스위치(39)를 ON으로 한다. 또 퍼스널전화기(1)를 착신음을 명동시키지 않는 착신모드로 세트하여 사용자의 가방이나 백 속에 넣어 둔다.
이 상태에서 무선기지국(40)으로부터 송신된 퍼스널전화기(1) 고유의 어드레스를 실은 내려감호출신호(CS)가 해당 퍼스널전화기(1)에 수신되고, 이 착신에 동반하여 해당 퍼스널전화기(1)로부터 올라감응답신호(PS)가 일정시간간격(TDMA1프레임:5ms)으로 송신되면, 이 퍼스널전화기(1)의 착신에 동반하는 일정시간간격마다의 올라감응답신호(PS)는 착신검지통지장치(50)의 수신안테나(22r)를 통하여 수신부(23)에 수신되고 AM검파부(24)에 의해 AM검파되어 제어부(21)에 공급된다.
그러면 착신검지통지장치(50)는 도 5에 나타내는 착신검지처리흐름에 따라서 동작하고, 제어부(21)에서 입력신호 있음이라고 판단하여 제 1 타이머(28a)에 의한 3. 5s의 계측동작을 개시하는 동시에 제 2 타이머(28b)에 의한 5ms의 계측동작을 개시한다(스텝S1→S2, S3).
그리고 퍼스널전화기(1)로부터의 1주기의 올라감응답신호(PS)가 일단 수신되지 않게 되어 제어부(21)에서 입력신호 없음이라고 판단된 후에(스텝S4→), 또한 퍼스널전화기(1)로부터 일정시간간격(5ms) 후에 송신된 다음의 올라감응답신호(PS)가 반복착신검지통지장치(50)에 수신되고, 제어부(21)에서 다시 입력신호 있음이라고 판단되면(스텝S5→), 그 때에 상기 제 2 타이머(28b)에 의해 5ms가 계측되었는지 아닌지, 즉 제어부(21)에서 입력신호 있음으로서 판단된 착신검지통지장치(50)에 대한 수신신호는 퍼스널전화기(1)로부터 송신된 올라감응답신호(PS)에 틀림 없는지 아닌지 판단된다(스텝S4→S5→S6).
여기에서 상기 스텝S5에서 입력신호 있음이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제 2 타이머(28b)에 의한 5ms의 계측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되고 퍼스널전화기(1)로부터의 올라감응답신호(PS)가 틀림 없이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텝S1에 있어서의 최초의 올라감응답신호(PS)의 수신입력시점으로부터 계측개시된 제 1 타이머(28a)에 의한 3. 5s의 계측이 이루어졌는지 아닌지, 즉 퍼스널전화기(1)로부터 송신되는 올라감응답신호(PS)의 수신입력상태가 그 위치등록처리에 요하는 최장통신시간상당의 3. 5s 이상 계속되었는지 아닌지 판단된다(스텝S6→S7).
여기에서 상기 제 1 타이머(28a)는 3. 5s 계측중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스텝S3 이후의 처리가 반복되고 퍼스널전화기(1)로부터 송신되는 올라감응답신호(PS)의 수신입력확인처리가 반복된다.
상기 퍼스널전화기(1)로부터 송신되는 올라감응답신호(PS)의 수신입력상태가 3. 5s 이상 계속된 것에 의해 제 1 타이머(28a)에 의한 3. 5s의 계측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되고 퍼스널전화기(1)에 의한 응답신호(PS)의 송신동작이 위치등록에 동반하는 동작은 아니고 착신에 동반하는 동작인 것이 확인되면 제어부(21)로부터 통지부(37)에 제어신호가 출력된다(스텝S7→S8). 그러면 통지부(37)에 내장된 바이브레이터(37A)가 구동되고, 이 바이브레이터(37A)의 진동이 개재부재(14)로부터 사용자의 손목에 전달됨으로써 퍼스널전화기(1)가 착신상태에 있는 것이 사용자에게 알려진다.
이 후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40)으로부터의 내려감호출신호(CS)의 송신이 정지하는 것으로 퍼스널전화기(1)로부터의 올라감응답신호(PS)의 송신도 정지되고, 이것에 동반하여 착신검지통지장치(50)에서 상기 올라감응답신호(PS)의 수신입력이 정지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1)로부터 통지부(37)에 대한 제어신호의 입력이 정지되는 동시에 착신검지처리는 초기상태로 복귀하여 상기 퍼스널전화기(1)로부터의 새로운 올라감응답신호(PS)의 수신입력대기상태로 된다(스텝S9→S1). 그러면 통지부(37)는 바이브레이터(37A)의 구동을 정지하고 진동에 의한 착신통지사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무선전화시스템에 따르면, 착신검지통지장치(50)의 수신안테나(22r)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입력상태를 제 2 타이머(28b)에 의해 TDMA1프레임에 상당하는 5ms마다 입력되어 있는지 판단함으로써 수신신호가 퍼스널전화기(1)로부터의 올라감응답신호(PS)인 것을 확인한다. 또한 이 올라감응답신호(PS)의 수신입력상태를 제 1 타이머(28a)에 의해 위치등록처리에 요하는 최장통신시간상당의 3. 5s 이상 계속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올라감응답신호(PS)가 위치등록때문이 아니고 착신동작에 동반하여 송신된 것을 확인하고 통지부(37)에 의한 바이브레이터(37A)를 구동시켜서 착신통지를 실시한다. 따라서 퍼스널전화기(1)에 있어서의 착신조작을 확실하게 검지하여 통지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사용주파수가 근처에서 송신출력이 강력한 디지털휴대전화로부터의 전파가 간섭수신된 경우나 퍼스널전화기(1)와 무선기지국(40)의 사이의 위치등록에 동반하는 올라감응답신호(PS)가 수신된 경우에 잘못하여 착신검지해서 오통지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착신검지통지장치(50)의 수신부(23)는 상기 응답신호(PS)만이 아니라 무선기지국(40)으로부터의 내려감신호(CS)와 함께 송신된 착신상대의 전화번호, 또는 퍼스널전화기(1)를 통해서 송신되어 오는 착신상대의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 착신상대의 전화번호를 수신하면 제어부(21)는 상기 제어신호와 함께 착신상대의 전화번호를 양 단자(323, 341)를 통하여 시계측회로(320)에 보낸다.
그러면 CPU(124)는 ROM(129)로부터 통지용 음성데이터와 시계부(326)가 나타내는 현재시각에 대응하는 시각음성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들 음성데이터에 의거하는 음성을 음성출력분(130)로부터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음성에 의해서도 착신 및 그 시각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음성의 발생은 시계본체(11)측에 설치되어 있는 키의 조작에 의해 통지음성과 착신시각을 발생, 통지음성만을 발생, 착신시각만을 발생, 양자 함께 발생하지 않는 상태의 어느쪽인가로 설정해 두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CPU(124)는 LCD(322)에 착신시각과 착신상대방의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동시에 이들 데이터를 RAM(131)에 기입한다. 따라서 바이브레이터(37A)의 진동에 의해 착신이 알려진 사용자는 시계본체(11)의 LCD(322)를 시인함으로써 착신상대를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소정의 키조작을 실시하면 CPU(124)는 RAM(131)에 기억된 착신시각과 착신상대방의 전화번호를 판독하여 LCD(322)에 표시한다. 따라서 해당 상대방에게 전화를 다시 걸 때 임의의 시점에서 착신시각과 착신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시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적용한 무선전화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6에 있어서, “1”은 퍼스널전화기, “20”은 이 퍼스널전화기(1)의 착신동작을 검지하는 착신검지장치, “10”은 손목시계, “30”은 착신검지장치(20)의 착신검지동작에 따라서 통지동작하기 위한 착신통지장치이며, 손목시계(10)의 상기한 개재부재(14)에 내장되어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한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착신검지통지장치(50)를 착신검지장치(20)와 착신통지장치(30)를 분리하여 구성하고, 착신검지장치(20)는 하나의 유닛으로 하는 동시에 착신통지장치(30)를 손목시계(10)의 상기 개재부재(14)에 내장한 것이다.
도 7A는 착신검지장치(20)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동일 도면 B는 착신통지장치(30)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A에 나타내는 착신검지장치(20)에 있어서, 상기 도 4A에 있어서의 착신검지통지장치(50)와 똑같은 구성의 블록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즉 이 착신검지장치(20)에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착신검지통지장치(50)의 ON·OFF스위치(39) 및 통지부(37)에 대신하여 ID코드입력부(25)와 송신부(29)가 제어부(21)에 접속되고, 송신부(29)에는 통지제어신호(RS)의 송신안테나(22t)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ID코드입력부(25)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SW1∼SW4)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임의의 4비트의 ID코드를 입력할 수 있는 것으로, 이 ID코드를 입력부(25)에 의해 입력된 ID코드데이터는 제어부(21)에 내장된 도 9에 나타내는 RAM(21b)내의 ID메모리(IDm)에 기억되고, 착신통지장치(30)와의 사이의 통신ID로서 설정된다.
한편 도 7B에 있어서의 착신통지장치(30)는 CPU를 이용한 컴퓨터로서의 제어부(31)를구비하고, 이 제어부(31)는 내장한 ROM(31a)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통지처리프로그램에 따라서 회로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착신통지장치(30)는 상기 제어부(31)를 중심으로 하여 접속된 통지제어신호(RS)의 수신안테나(32), 수신부(33), ID코드입력부(34), 발진기(35), 분주회로(36), 통지부(37) 및 ON·OFF스위치(39)로 구성된다.
상기 수신안테나(32)를 통하여 수신부(33)에 수신된 상기 착신검지장치(20)로부터의 통지제어신호(RS)는 제어부(31)에 공급된다. 또 발진기(35)에 의해 발신출력되는 일정주파수의 발신신호는 분주회로(36)를 통하여 분주되고, 제어부(31)에 대하여 기본클록으로서 공급된다.
ID코드입력부(34)는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착신검지장치(20)의 ID코드입력부(25)와 똑같이 스위치(SW1∼SW4)를 구비하고, 상기 착신검지장치(20)의 ID코드입력부(25)에 의해 설정한 ID코드에 맞춘 임의의 4비트의 ID코드를 입력할 수 있는 것으로, 이 ID코드입력부(34)에 의해 입력된 ID코드데이터는 제어부(31)에 내장된 RAM(31b)내의 ID메모리(IDm(도 9 참조))에 기억되고 착신검지장치(20)와의 사이의 통신ID로서 설정된다.
제어부(31)는 상기 착신검지장치(20)로부터 그 착신검지동작에 따라서 송신된 통지제어신호(RS)가 수신공급되었을 때에, 이 수신된 통지제어신호(RS)에 실려 있는 ID코드와 RAM(31b)내의 ID메모리(IDm)에 기억되어 있는 ID코드와의 일치를 판단하고 통지지령신호를 통지부(37)에 대하여 송출한다. 이에 동반하여 통지부(37)는 내장되어 있는 바이브레이터(37A)를 구동하고 상기 퍼스널전화기(1)의 착신동작을 진동에 의해 통지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7B에 나타낸 착신통지장치(30)가 상기 개재부재(14)에 내장되어 있으며, 동일도면에 나타낸 ON·OFF스위치(39)는 상기 슬릿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해 있다.
이상의 구성에 관련되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 퍼스널전화기(1), 착신검지장치(20) 및 착신통지장치(30)를 내부에 구비한 손목시계(10)의 3개로 이루어지는 무선전화시스템을 사용할 때에는 밴드(13, 15)에 의해 시계(10)를 사용자의 손목에 장착하여 ON·OFF스위치(39)를 ON한다. 한편 퍼스널전화기(1)를 착신음을 명동시키지 않는 착신모드로 세트하고 착신검지장치(20)와 함께 사용자의 가방이나 백 속에 넣어 둔다.
이 상태에서 무선기지국(40)으로부터 송신된 퍼스널전화기(1) 고유의 어드레스를 실은 내려감호출신호(CS)가 해당 퍼스널전화기(1)에 수신되고, 이 착신에 동반하여 해당 퍼스널전화기(1)로부터 올라감응답신호(PS)가 일정시간간격(TDMA1프레임: 5ms)으로 송신되면, 이 퍼스널전화기(1)의 착신에 동반하는 일정시간간격마다의 올라감응답신호(PS)는 착신검지장치(20)의 수신안테나(22r)를 통하여 수신부(23)에 수신되고 AM검파부(24)에 의해 AM검파되어 제어부(21)에 공급된다.
그러면 착신검지장치(20)는 상기한 도 5에 나타내는 착신검지처리흐름에 따라서 동작하고, 이 때에 스텝S8에 있어서는 송신부(29)로부터 안테나(22t)를 통하여 착신통지장치(30)에 대한 통지제어신호(SR)를 RAM(21)내의 ID메모리(IDm)에 기억되어 있는 ID코드와 함께 송신한다.
이에 따라 착신통지장치(30)에서는 이 착신검지장치(20)로부터 송신된 통지제어신호(SR)가 수신안테나(32)를 통하여 수신부(33)에 수신되고 제어부(31)에 공급된다. 그리고 이 제어부(31)에 있어서, 수신입력된 착신검지장치(20)로부터의 통지제어신호(SR)에 실려 있는 ID코드와 RAM(31b)내의 ID메모리(IDm)에 기억되어 있는 ID코드의 일치가 판단되면 통지부(37)에 내장된 바이브레이터(37A)가 구동되고 퍼스널전화기(1)가 착신상태에 있는 것이 진동에 의해 사용자에게 알려진다.
이 후 상기와 똑같이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40)으로부터의 내려감호출신호(CS)의 송신이 정지하는 것으로 퍼스널전화기(1)로부터의 올라감응답신호(PS)의 송신도 정지되고, 이에 동반하여 착신검지장치(20)에 있어서 상기 올라감응답신호(PS)의 수신입력이 정지했다고 판단되면 송신부(29)로부터의 통지제어신호(RS)의 송신이 정지되는 동시에 착신검지처리는 초기상태로 복귀하여 상기 퍼스널전화기(1)로부터의 새로운 올라감응답신호(PS)의 수신입력대기상태로 된다(스텝S9→S1). 그러면 착신통지장치(30)에서는 통지제어신호(RS)가 수신되지 않게 되고 통지부(7)에 있어서의 바이브레이터(37A)의 구동이 정지되어 진동에 의한 착신통지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착신검지장치(20)를 하나의 유닛으로 하고 손목시계(10)의 개재부재(14)측에 착신통지장치(30)를 내장하도록 했지만, 도 10에 나타내는 제 3 실시형태와 같이 이것과는 반대로 착신통지장치(30)를 하나의 유닛으로 하고 손목시계(10)의 개재부재(14)측에 착신검지장치(20)를 내장하도록 해도 좋다.
또 개재부재(14)내에 내장되는 기기는 이상의 각 실시형태에 나타낸 착신검지통지장치(50), 착신검지장치(20), 착신통지장치(30) 등의 퍼스널전화기(1)에 관련된 기기에 한정되지 않고 도 11에 나타내는 제 4 실시형태와 같이 네비게이션장치(51) 등의 다른 전자기기이어도 좋다.
즉 이 네비게이션장치(51)는 지도기억장치(52), 방위센서(53), 거리센서(54), 스위치(55), 터치패널(56), 입력인터페이스(57), 내부버스(58), 출력인터페이스(59), ROM(60), RAM(61), CPU(62), LCD(63)로 구성된다.
그리고 지도기억장치(52)로부터는 필요에 따라서 특정지구의 지도데이터가 판독되어 LCD(63)상에 표시된다. 방위센서(53)는 지자기를 검출하여 방위데이터를 발생하고, 거리센서(54)는 단위거리마다 거리데이터를 발생한다. 스위치(55), 터치패널(56)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목적지의 입력, 지도의 확대입력 등의 데이터입력을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라 네비게이션개시시에 목적지 및 현재지 등을 RAM(61)에 입력한다.
터치패널(56)은 LCD(63)상에 적층되고, 분할된 터치에어리어 중 특정한 에어리어를 조작함으로써 그에 따른 신호가 발생된다.
입력인터페이스(57)는 각 센서, 기억장치, 스위치 등으로부터의 입력을 내부버스(58)에 보내기 위한 신호변환장치이다.
ROM(60)은 입력인터페이스(57), 출력인터페이스(58), 내부버스(59)를 통해서의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 및 데이터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으며, 이 프로그램은 CPU(62)에 의해 실행된다. 이에 따라 출발점으로부터의 이동거리와 이동방향 및 현재지를 산출하여 LCD(63)에서 지도상에 겹쳐서 표시된다.
또한 LCD(63) 및 이것에 적층된 터치패널(56)은 개재부재(14)의 표면에 배치해도 좋고, 시계본체(11)의 표시용 창부(12a)에 배치하여 시계본체(11)에 의한 시계표시 등과 공용하도록 해도 좋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손목시계(70)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손목시계(70)에 있어서, 시계본체(11) 및 한쪽의 밴드(13)의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즉 시계본체(11)는 시계케이스(12)내에 계시기구 등을 내장하여 구성되고, 이 시계케이스(12)에는 그 상면에 표시용 창부(12a)가 형성되며, 양 단부에는 하면측에 오목체결단부(12b, 12c)가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오목체결단부(12b)에는 한쪽의 밴드(13)가 그 일단부에 형성된 볼록체결단부(13a)로 걸어붙여져 있으며, 다른쪽의 오목체결단부(12c)에는 개재부재(71)가 걸어붙여져 있다.
이 개재부재(71)는 중공상이며 평면시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는 동시에 시계본체(11)와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있다. 또 상대향하는 한쪽의 측면의 하부에는 다른쪽의 밴드(72)의 볼록체결단부(72a)와 동일구성의 볼록체결단부(71a)가 형성되고, 상대향하는 다른쪽의 단면의 하부에는 상기 시계케이스(12)의 오목체결단부(12c)와 동일구성의 오목체결단부(71b)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다른쪽의 측면에는 슬릿(71c)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쪽의 밴드(72)는 개재부재(71)의 오목체결단부(12c)를 통하여 시계케이스(12)의 다른쪽의 오목체결단부(12c)에 걸어붙여져 있다. 이 개재부재(71)내에는 상기한 착신검지통지장치(50) 또는 착신통지장치(30) 등의 소정의 전자장치(100)가 내장되어 있으며, 그 ON·OFF스위치(39)가 슬릿(71c)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해 있다.
또 다른쪽의 밴드(72)는 볼록체결단부(72a)에 개재부재(71)의 오목체결단부(71b)에 걸어붙여져 있다. 이에 따라 다른쪽의 밴드(72)는 개재부재(71)를 통하여 시계본체(11)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개재부재(71)에 다른쪽의 밴드(72)의 볼록체결단부(72a)와 동일구성의 볼록체결단부(71a)과 시계케이스(12)의 오목체결단부(12c)와 동일구성의 오목체결단부(71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한쌍의 밴드(13, 72)와 시계본체(11)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손목시계로부터 다른쪽의 밴드(72)만을 떼어내고, 개재부재(71)를 시계본체(11)에 걸어붙이며, 또한 이 개재부재(71)에 상기 다른쪽의 밴드(72)를 걸어붙일 수 있다. 따라서 시계본체(11)와 한쌍의 밴드(13, 72)를 설계변경하는 일 없이 기존의 손목시계에 개재부재(71)에 내장된 전자장치(100)의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손목시계(70)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개재부재(71)의 이면에 단차부(71d)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단차부(71d)의 기단에 상기 오목체결단부(71b)가 설치되어 있다. 또 다른 구성은 도 12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똑같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른쪽의 밴드(72)의 선단결합점을 단차부(71d)의 길이(L)분 시계본체(11)측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한쌍의 밴드(13, 72)와 시계본체(11)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손목시계에 개재부재(71)를 끼워넣은 경우 다른쪽의 밴드(72)측이 불필요하게 길어져 버리는 불합리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손목시계(80)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손목시계(80)에 있어서 시계본체(11)의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양 단부의 오목체결단부(12b, 12c)에는 개재부재(83) 및 (84)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한쪽의 개재부재(83)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83a)와, 이 수평연장부(83a)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아래쪽을 향하는 수직설치부(83b)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수직설치부(83b)에는 그 하면측으로부터 선단면에 걸치는 관통상이며 밴드(85)를 끼워통함 가능한 관통구멍(83c)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쪽의 개재부재(84)는 중공상이며 평면시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루어 필요두께를 갖는 주요부(84a)와, 이 주요부(84a)의 일단면에 연장설치된 볼록체결단부(84b)를 일체적으로 갖고, 주요부(84a)에는 그 하면측으로부터 선단면에 걸치는 관통상이며 밴드(85)를 끼워통함 가능한 관통구멍(84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요부(84a)에는 상기한 착신검지통지장치(50) 또는 착신통지장치(30) 등의 소정의 전자장치(100)가 내장되어 있으며, 그 ON·OFF스위치(39)가 측면에 형성된 슬릿(84d)로부터 외부로 돌출해 있다.
또 밴드(85)는 시계케이스(82)의 배면을 따라서 배치되고, 각 개재부재(83, 84)의 관통구멍(83c, 84c)에 끼워통해져서 유지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개재부재(83, 84)에 대한 밴드(85)의 결합구조가 간단하게 되고 구조의 간단화를 꾀하면서 손목시계의 다기능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한쪽의 개재부재(84)만에 소정의 전자장치(100)를 내장하도록 했지만, 다른쪽의 개재부재(83)도 기기내장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양쪽의 개재부재(83, 84)에 전자장치(100)를 내장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휴대기기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도 1, 도 2A, 도 2B, 도 6, 도 10, 도 12A, 도 12B, 도 14A,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목시계(10, 70, 80)는 시계기능을 내장한 손목시계본체(11)와, 이 손목시계본체를 사용자에게 구속하기 위한 구속수단(밴드(13, 15, 72))와, 이 구속수단을 상기 손목시계본체에 걸어붙이는 개재부재(14, 71)와, 미리 정해져 있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상기 개재부재에 설치된 기능실현수단(착신통지장치(50, 30), 전자장치(1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 12A,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기기(손목시계(70))는 개재부재(71)와, 미리 정해져 있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상기 개재부재에 설치된 기능실현수단(착신통지장치(50, 30), 전자장치(100))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개재부재는 일단측에 손목시계본체(11)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수단(볼록체결단부(13a))이 서치되어 있는 동시에 타단측에 상기 손목시계본체를 사용자에게 구속하기 위한 구속수단(밴드(72))과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수단(볼록체결단부(72a))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기능실현수단은 자기위치를 검출하는 자기위치검출수단(네비게이션장치(5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개재부재에 상기 기능실현수단에 의한 기능실현을 위해 요하는 표시수단(LCD(63))을 또한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 12A,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손목시계본체(11)를 손목에 구속하기 위한 밴드(13, 72)이며, 일단부에 상기 손목시계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12b)를 구비하고, 상기 개재부재(71)는 일단부에 상기 손목시계본체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14c)를 구비하고, 타단부에 상기 밴드의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 가능한 피걸어맞춤부(72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 13A,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시계본체를 사용자의 손목에 구속하기 위한 밴드(13, 72)이며, 상기 개재부재(71)는 일단부에 상기 시계본체와의 걸어맞춤부(71a)를 구비하고, 타단부보다도 상기 일단부 근처에 상기 밴드(72)와의 걸어맞춤부(71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 14A,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시계본체(11)를 사용자의 손목에 구속하기 위한 밴드(85)이며, 상기 시계본체의 양 단부에 상기 개재부재(83, 84)를 각각 설치하고, 적어도 한쪽의 개재부재에 상기 기능실현수단(100)을 내장시키는 동시에 양 개재부재에 상기 밴드를 끼워통하여 유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 14A,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개재부재는 한쌍의 개재부재(83, 84)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일단측에는 상기 시계본체(11)와의 걸어맞춤수단(12b, 12c)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각각 타단측에는 상기 시계본체(11)를 손목에 구속하기 위한 밴드(85)를 끼워통하게 하기 위한 관통부(83c, 84c)를 구비하고, 이 한쌍의 개재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개재부재(84)에 상기 기능실현수단(100)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2A,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기기(손목시계(10))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LCD(322))가 구비된 휴대기기본체(시계본체(11))와, 이 휴대기기본체를 사용자에게 장착시키는 장착부재(밴드(13, 15))와, 이 장착부재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외부신호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외부신호에 의거하여 사용자에게 외부신호가 있었던 것을 통지하는 수신장치(착신통지장치(5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휴대기기본체와 상기 장착부재 중 사용자에게 장착되는 면측은 서로 면일치(도 2B 참조)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도 2A, 도 2B,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휴대기기본체는 계시된 시간데이터를 상기 표시부(322)에 표시시키는 시계기능부(320) 또는 검출된 자기의 위치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자기위치검출부(도 11의 52) 중 적어도 한쪽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 2A,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재(15)의 일단은 상기 수신장치(50)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부(14c)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수신장치(5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 4A, 도 2A,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신장치(50)는 또한 시계기능부(26, 27)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장착부재는 시계밴드(13, 15)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개재부재가 존재하는 부위에 있어서의 돌출량의 증대를 회피할 수 있고, 일상동작에 있어서 개재부재가 타인이나 물건 등과 간섭하여 동작의 방해가 되거나, 이에 내장되어 있는 기기가 고정나는 불합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신체에 장착한 경우의 위화감의 발생도 회피할 수 있는 동시에 시계본체로부터 개재부재에 걸쳐서 일체감을 생기게 하는 디자인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며, 개재부재에 설치된 각종 기기수단에 의한 기능을 시계기능에 부가하면서 디자인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자기위치를 검출하는 자기위치검출수단을 신체에 장착할 수 있는 것에서 휴대성이 우수한 자기위치검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개재부재에 설치된 표시수단에 의해 자기위치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것에서 손목시계로 시각을 확인하면 똑같은 동작에 의해 용이하게 자기위치 등을 시인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시계체와 밴드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손목시계의 시계체와 밴드의 사이에 개재부재를 개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손목시계를 설계변경하는 일 없이 기존의 손목시계를 이용하여 저비용으로 개재부재에 설치된 기기수단에 의한 기능부가가 가능하게 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존의 손목시계를 이용해도 개재부재가 끼워넣어진 밴드측의 늘어남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손목시계를 이용하여 저비용화를 도모하면서 밴드의 늘어남에 기인하는 사용하기 편리함의 악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밴드는 개재부재에 설치된 관통부에 끼워통하게 하는 구성인 것에서 밴드와 개재부재의 결합구조가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돌출량이 적으며, 신체에 장착한 경우의 위화감도 없어 디자인상의 자유도의 확보도 가능하게 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신체에 장착했을 때 전자기기본체로부터 장착부재에 걸쳐서 위화감이 없고, 외부신호의 착신이 있었던 것을 통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 10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똑같이 신체에 장착했을 때 전자기기본체로부터 장착부재에 걸쳐서 위화감이 없고, 또한 외부신호의 착신이 있었던 것을 통지하는 기능뿐만이 아니라 시간데이터나 자기위치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까지도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장착부재와 수신장치가 일체화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콤팩트화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신체에 장착했을 때 전자기기본체로부터 장착부재에 걸쳐서 위화감이 없고, 외부신호의 착신이 있었던 것을 통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손목시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착신통지기의 블록구성도이다.
이 블록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착신통지기는 휴대단말(휴대전화)(1)이 해당 휴대단말(1)에 대한 착신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110)를 구비하고, 이 안테나(110)는 전파검파부(111)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전파검파부(111)는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착신전파를 검파하여 소정의 착신패턴신호를 발생하고, 증폭기(112)는 이 착신패턴신호를 CPU로 이루어지는 제어부(113)가 인식 가능한 레벨까지 증폭한다.
제어부(113)는 입력신호의 유무 또는 입력된 신호패턴에 의해 착신의 유무를 판정하고, 이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드라이브회로(114)와 방음회로(115)를 제어한다. 드라이브회로(114)에는 제 1 램프(101a)로부터 제 n 램프(101n)까지의 n개의 LED 등으로 이루어지는 램프가 접속되어 있으며, 제어부(113)에는 이 램프(101a∼101n)의 점등패턴과 방음회로(114)의 방음패턴이 기억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원 ON상태에 있으면 제어부(113)는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도 16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동작하고, 증폭기(112)로부터 입력신호 또는 착신패턴신호의 입력이 있었는지 없었는지 판별한다(스텝SA1). 그리고 대응하는 휴대단말(1)에 대한 착신에 동반하여 해당 휴대단말(1)이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이것이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되어 전파검파부(111)가 착신패턴신호를 발생한다. 이 착신패턴신호가 증폭기(112)를 통하여 입력되면 스텝SA1으로부터 스텝SA2로 진행하고, 상기 미리 기억되어 있는 소정의 패턴에 따라서 램프(101a∼101n)를 점멸제어한다(스텝SA2).
여기에서 소정의 패턴이란 예를 들면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4)의 모퉁이부에 각각 램프(101a, 101b, 101c, 101d)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101a→101b→101c→101d→101a→…의 순서로 점멸점등시킴으로써, 빛이 회전하고 있는 것같이 표시하고, 또는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4)에 램프(101a, 101b, 101c, 101d)가 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101a→101b→101c→101d→101a→…의 순서로 점멸점등시킴으로써 빛이 흐르는 것과 같이 표시하는 등이다.
그리고 스텝SA2에 계속되는 스텝SA3에서는 동일패턴에 따라서 방음회로(115)를 제어하고(스텝SA3), 예를 들면 램프(101a, 101b, 101c, 101d)에 동기시켜서 다른 높이의 음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이 착신통지기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는 상기 패턴으로 점멸점등하는 램프(101a∼101d)에 의해 주위 사람의 시각을 충분히 자극하고, 나아가서는 방음회로(115)로부터의 음에 의해 주위 사람의 청각을 충분히 자극하여 확실하게 주목을 모을 수 있고 해당 사용자에 있어서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13)는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SA5∼SA9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동작한다.
즉 스텝SA3에 계속되는 스텝SA5에서는 기지국과 교신중인지 아닌지, 즉 통화중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교신중이라면 교신이 종료하기까지 대기한다. 또는 동일도면 중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신중인 한 각 램프(101a∼101n)의 점멸제어(SA2), 방음제어(SA3)를 반복한다.
회화의 종료에 동반하여 기지국과의 교신이 종료하면 미리 정해져 있는 설정값(예를 들면 교신시간의 길이에 대응한 값) 또는 불규칙한 수치인 난수값이 제어부(113)로부터 출력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출력된 설정값 또는 난수값에 대응하는 수의 램프의 개수분을 점멸시킨 후(스텝SA6) 최후의 램프를 계속 점등시킨다(스텝SA7).
이와 같이 회화가 종료하면 상기한 설정값 또는 난수값에 대응한 수의 램프가 차례로 점멸한 후는 최후의 램프(예를 들면 도 17A에 나타내는 램프(101b))를 계속하여 점등시킨다.
따라서 이 최후에 계속해서 점등한 램프(101a∼101c)에 대응하여 미리 접착되어 있는 시일(도시하지 않음)에 인쇄되어 있는 문자(예를 들면 「운수가 매우 좋음」, 「운수가 좋음」, 「운수가 조금 좋음」, 「불행」 등)로부터 그 시점의 운세를 점칠 수 있다. 그리고 이 최후의 램프의 점등을 소정 시간 계속했다면(스텝SA8) 해당 램프를 OFF(스텝SA9)로 하고, 이 흐름에 따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소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최후의 램프를 자동적으로 OFF로 하도록 했지만 스위치조작에 의해 OFF로 하도록 해도 좋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비를 실시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룰렛, 주사위게임 등의 다른 놀이를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 램프의 배치형태나 점멸패턴도 상기한 실시형태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는 일 없이 여러 가지의 배치형태나 패턴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방음회로(115)를 ON·OFF하기 위한 스위치를 설치하여 방음을 정지 가능하게 해도 좋고, 또는 방음회로(115)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착신검지기(105)와 착신통지기(106)로 구성되어 있다.
착신검지기(105)는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단말(1)이 착신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검지안테나(116)를 구비하고, 이 검지안테나(116)는 전파검파부(111)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전파검파부(111)는 검지안테나(116)에 의해 수신된 착신전파를 검파하여 소정의 착신패턴신호를 발생하고, 증폭기(112)는 착신패턴신호를 CPU로 이루어지는 제어부(113)가 인식 가능한 레벨까지 증폭한다.
또 제어부(113)의 출력단에는 변조기(117) 및 이 변조기(117)에 의해 변조된 신호송신안테나(119)를 통하여 송신하는 송신기(118)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착신통지기(106)는 상기 송신안테나(119)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안테나(120)를 통하여 수신하는 수신회로(121), 이 수신회로(121)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122)를 갖고 있다. 또한 이 복조기(122)로부터의 입력에 의거하여 드라이브회로(114) 및 방음회로(115)를 제어하는 제어부(CPU)(123)를 갖고 드라이브회로(114)에 복수의 램프(101a∼101n)가 접속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관련되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착신검지기(105)의 검지안테나(116)가 휴대단말(1)로부터의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전파검파부(111)가 착신패턴신호를 발생하고, 이 착신패턴신호는 증폭기(112)에 의해 증폭되어 제어부(113)에 입력된다. 그러면 제어부(113)는 변조기(117)를 제어하고, 이 변조기(117)에서 생성된 변조신호가 송신기(118) 및 송신안테나(119)를 통하여 송신된다.
이 송신안테나(119)로부터의 신호는 착신통지기(106)의 수신안테나(120)에 의해 수신되어 수신회로(121)에 의해 입력되고 복조기(122)에 의해 복조된 후 제어부(123)에 입력된다. 그러면 제어부(123)는 상기한 도 2의 흐름도에 따라서 동작하고, 이에 따라 램프(101a∼101n)가 소정의 패턴으로 점멸제어되는 동시에 방음회로(115)가 동일패턴으로 제어된다.
즉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착신검지기(105)에서 형태단말로부터의 응답신호를 검지하고, 이 착신검지기(105)로부터의 전파를 착신통지기(106)에서 수신하여 램프제어 및 방음제어를 실시한다. 따라서 착신검지기(105)의 출력 등에 따라서 착신통지기(106)의 검지거리를 40∼50㎝ 정도의 짧은 범위로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위에 똑같은 착신검지기(105) 및 착신통지기(106)를 소지하고 있는 타인이 있는 경우이어도 타인이 소지하는 착신통지기(106)가 오동작하는 불합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안테나(110), 전파검파부(111), 증폭기(112), 제어부(113), 복수의 램프(101a∼101n)가 접속된 드라이브회로(114) 및 방음회로(115)를 갖는 구성은 도 15에 나타낸 제 8 실시형태와 똑같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적분회로(124)와 비교기(1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파검파부(111)의 출력은 적분회로(124) 및 비교기(125)를 통해서도 제어부(113)에 주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대응하는 휴대단말(1)로부터의 응답신호를 수신했을 때 전파검파부(111)는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전파가 강해짐에 따라서 파고가 높아지는 파형1으로 이루어지는 착신패턴신호를 발생하고, 이 파형1으로 이루어지는 착신패턴신호는 증폭기(112)와 적분회로(124)에 각각 입력된다. 그러면 적분회로(124)는 파형1의 착신패턴신호를 적분처리하여 대략 삼각형상의 파형2로 변환하고, 비교기(125)는 파고값이 소정의 비교기식별레벨 L 이상인 파형2만을 일정레벨의 전압으로 파형정형하고 수신전파의 강도가 파형폭에 반영되는 파형3로 이루어지는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3)에 출력한다.
한편 제어부(113)는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도 20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동작한다.
우선 증폭기(112)로부터 입력신호 또는 착신패턴신호의 입력이 있었는지 없었는지 판별한다(스텝SB1). 그리고 전파검파부(111)가 착신패턴신호를 발생하고, 이 착신패턴신호가 증폭기(112)를 통하여 입력되면 비교기(125)로부터의 입력이 있었는지 없었는지를 판별한다(스텝SB2).
이 때 비교기(125)는 상기와 같이 파형2의 파고값이 소정의 비교기식별레벨 L 이상인 경우에만 파형3의 출력을 실시하는 것에서, 예를 들면 타인의 휴대단말(1)로부터의 응답신호를 방수(傍受)해버린 경우와 같이 수신전파가 약하고 파형2의 파고값이 비교기식별레벨 L 미만이면 비교기(125)로부터 제어부(113)로의 출력은 없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스텝SB2로부터 SB3로 진행하고 전파최약(最弱)에 대응하는 패턴에 따라서 램프(101a∼101n)를 제어하고 예를 들면 1개의 램프만을 점멸시킨다.
그러나 스텝SB2에서의 판별 결과 비교기(125)로부터의 입력이 있었던 경우에는 그 파형폭을 검출하고(스텝SB4), 이 검출한 파형폭에 대응하는 패턴(상기 전파가 약할 때와는 다른 패턴)으로 램프(101a∼101n)를 점멸제어하고(스텝SB5) 파형폭에 따른 수의 램프를 점등시키는 등을 실시한다. 그리고 스텝SB3 또는 스텝SB5에 계속되는 스텝SB6에서는 램프(101a∼101n)의 점멸패턴과 동일패턴으로 방음회로(115)를 제어한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신한 전파의 강도가 램프(101a∼101n)의 점멸에 의해 표시되게 되고, 이 램프(101a∼101n)의 점등표시를 시인함으로써 타인의 휴대단말(1)로부터의 응답신호를 방수해버린 경우와 적정하게 자기의 휴대단말(1)로부터의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를 식별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램프의 점등상태에 의해 전파의 강약을 알 수도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한 도 19의 실시형태에 카운터(116)를 더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카운터(116)는 휴대단말(1)의 통화시, 즉 기지국과의 교신 중에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되어 증폭기(112)를 통해서 전파검파부(111)로부터 입력되는 파형1의 파수를 0으로부터 99의 사이에서 카운트하는 것이다.
이 기지국과의 교신 중에 있어서의 파형1의 주기는 20ms 또는 40ms이며, 따라서 카운터(116)는 통화 중은 매초 25회 또는 50회, 매분 1500 또는 3000회의 속도로 0∼99의 값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4)에는 램프(101a∼101d)가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각 램프(101a∼101d)의 근처에 시일(107a∼107d)가 부착되어 있으며, 각 시일(107a∼107d)에는 제비에 있어서의 점결과를 나타내는 「운수가 매우 좋음」, 「운수가 좋음」, 「불행」, 「운수가 조금 좋음」의 문자가 인쇄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 1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부(113)는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도 23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동작한다.
이 흐름도에 있어서 스텝SC1∼SC6의 처리는 상기한 도 20의 흐름도에 있어서의 스텝SB1∼SB6의 처리와 동일하다.
그리고 스텝SC6에 계속되는 스텝SC7에서는 기지국과 교신 중인지 아닌지, 즉 통화 중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교신 중이라면 교신이 종료하기까지 대기한다(스텝SC7). 또는 동일도면 중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신 중인 한 각 램프(101a∼101n)의 점멸제어(SA2), 방음제어(SA3)를 반복한다.
이 사이 상기한 바와 같이 카운터(116)는 매초 25회 또는 50회, 매분 1500 또는 3000회의 속도로 0∼99의 값을 변화시키고 있다. 그리고 회화의 종료에 동반하여 기지국과의 교신이 종료하면 카운터(116)는 0∼99의 어느 쪽인가의 값에서 정지하고, 제어부(113)는 이 카운터(116)의 값을 판독하여 카운터값에 대응하는 수의 램프를 점멸시킨 후(스텝SC9) 최후의 램프를 계속 점등시킨다(스텝SC10).
즉 회화가 종료하면 카운터(116)에는 회화의 계속시간에 따른 값의 0∼99의 어느 쪽인가의 값이 설정되고, 이 카운터(116)의 설정된 수의 램프가 차례로 점멸한 후 최후의 수의 램프(예를 들면 도 22에 나타내는 램프(101b))가 계속하여 점등한다.
따라서 이 최후에 계속하여 점등한 램프에 대응해서 부착되어 있는 시일(107a∼107d)에 인쇄되어 있는 문자(도 8의 경우「운수가 좋음」)로부터 그 시점의 운세를 점칠 수 있다. 그리고 이 최후의 램프의 점등을 소정 시간 계속했다면(스텝SC11) 해당 램프를 OFF로 하여 이 흐름에 따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최후의 램프를 자동적으로 OFF로 하도록 했지만, 스위치조작에 의해 OFF로 하도록 해도 좋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비를 실시하도록 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룰렛, 주사위게임 등의 다른 놀이를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 램프의 배치형태나 점멸패턴도 상기한 실시형태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는 일 없이 여러 가지의 배치형태나 패턴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방음회로(115)를 ON·OFF하기 위한 스위치를 설치하여 방음을 정지 가능하게 해도 좋고, 또는 방음회로(115)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도 15, 도 16, 도 17A,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휴대기기(50)는 휴대단말(1)에 대한 착신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전파검파부(111)∼CPU(113))과, 점멸 가능한 복수개의 발광체(램프(101a∼101d))와, 상기 검지수단에 의한 상기 착신의 검지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발광체를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점멸제어시켜서 사용자에 대하여 착신을 통지시키는 제어수단(CPU(113); SA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 18A,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기기(106)는 휴대단말(1)에 대한 착신을 검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송신안테나(119))으로부터의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수신안테나(120))과, 점멸 가능한 복수개의 발광체(램프(101a∼101d))와,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개의 발광체를 미리 정해져 있는 패턴에 따라 점멸제어시켜서 사용자에 대하여 착신을 통지시키는 제어수단(CPU(12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 19,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기기는 휴대단말(1)의 응답신호를 검지하는 검지수단(전파검파부(111))와, 이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상기 응답신호의 강약을 판별하는 판별수단(CPU(113); 비교기(125))과, 점멸 가능한 복수개의 발광체(램프(101a∼101d))와, 상기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결과에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발광체를 서로 다른 패턴에 따라 점멸제어시켜서 사용자에 대하여 착신을 통지시키는 제어수단(CPU(113); SB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판별수단은 상기 응답신호의 강약에 따른 파형의 폭으로 이루어지는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수단(125)과, 이 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신호의 파형의 폭에 의거하여 상기 응답신호의 강약을 판단하는 판단수단(11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판별수단은 상기 응답신호의 파형을 적분하는 적분수단(124)과, 이 적분수단에 의해 적분된 파형을 정형하는 파형정형수단(125)과, 이 파형정형수단에 의해 정형된 파형의 폭에 의거하여 상기 강약을 판단하는 판단수단(11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은 또한 상기 휴대단말의 교신종료(SC8)에 응답하여 상기 발광체를 점멸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점멸제어하는 복수개의 발광체 중 최후에 제어하는 발광체를 랜덤으로 결정하는(SC9, SC10)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최후에 제어하는 발광체를 상기 패턴에서의 발광형태와는 다른 발광형태로 되도록 제어하는(SC10; 계속 점등)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각 발광체(101a∼101d)에 소정의 놀이적 의미를 갖는 표시를 부가한(7a∼7d)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18A,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수신시스템은 휴대단말(1)의 응답신호를 검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송신기18; 착신검지장치(105))와, 이 송신기로부터의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수신회로(121); 수신통지장치(106))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신기는 점멸 가능한 복수개의 발광체(램프(101a∼101d))와, 상기 수신한 상기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개의 발광체를 미리 정해져 있는 패턴에 따라 점멸제어시켜서 사용자에 대하여 착신을 통지시키는 제어수단(CPU(12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휴대단말(1)에 대한 착신의 검지에 응답하며 복수개의 발광체(101a∼101n)를 소정의 패턴으로 점멸제어하도록 한 것에서 이를 본 주위 사람들의 시각을 충분히 자극하여 확실하게 주목을 모을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휴대단말(1)에 대한 착신을 검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수단(118)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똑같이 복수개의 발광체(101a∼101n)를 점멸제어하도록 한 것에서 수신하는 신호의 검지거리를 짧은 범위로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위에 똑같은 착신통지기를 소지하고 있는 타인이 있는 경우이어도 타인이 소지하는 착신통지기가 오동작하는 불합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착신에 대한 휴대단말(1)의 응답신호의 강약을 판별하고, 이 판별결과에 따라서 다른 패턴으로 복수개의 발광체(101a∼101n)를 점멸제어하도록 한 것에서 타인의 휴대단말(1)의 응답신호를 방수해버린 경우와 적정히 자기의 휴대단말(1)로부터의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를 명료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휴대단말(1)의 응답신호의 강약에 따른 파형폭으로 이루어지는 신호에 의거하여 응답신호의 강약을 판단하도록 한 것에서, 응답신호의 강약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발광체를 정밀도 좋게 휴대단말(1)의 응답신호의 강약에 따른 형태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휴대단말(1)의 교신종료에 응답하여 발광체(101a∼101n)를 점멸제어하도록 한 것에서, 착신시만이 아니라 통화종료에 동반하는 교신종료시에도 발광체의 발광에 의해 시각을 자극할 수 있고 주위 사람들의 시각을 한층 자극할 수 있어서 보다 확실하게 주목을 모을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면 교신시간의 길이에 따라서 복수개의 발광체 중 최후에 점등제어되는 발광체를 결정하도록 한 것에서, 최후에 점등되는 발광체와의 관계에 있어서 점 등의 게임성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최후에 제어하는 발광체를 상기 패턴에서의 발광형태와는 다른 발광형태로 되도록 제어하도록 한 것에서, 최후에 제어된 발광체가 명료하게 되고 게임성을 부가한 경우의 게임결과를 명료히 나타낼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복수개의 각 발광체에 대하여 소정의 놀이적 의미를 갖는 표시(예를 들면 제비표시)를 대응지우도록 한 것에서, 이 소정의 놀이적 의미를 갖는 표시와, 최후에 점등제어되는 발광체가 제어됨으로써 해당 놀이의 실행이 가능하게 되어 상품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4A 및 도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시계밴드부가기기가 장착되는 손목시계(10)는 시계본체(202)와 이 시계본체(202)의 양 단부에 걸어붙여진 밴드(203a, 203b)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쪽의 밴드(203b)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시계밴드부가기기(이하 단순히 부가기기라 한다)(204)가 장착된다.
이 부가기기(204)는 휴대전화기(1)의 착신을 검지하여 통지하는 착신검지통지기(100)를 내장하는 케이스본체(205)와, 이 케이스본체(205)에 양 단부가 걸어 고정된 밸트(206)로 구성되고, 케이스본체(205)는 하부의 아래케이스(207)와 이 아래케이스(207) 상부에 끼워붙여진 위케이스(20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아래케이스(207)는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저면부(209)를 갖고 이 저면부(209)의 상대향하는 긴 변측에는 뒷가장자리부(210)와 앞가장자리부(211)가 상대향하는 짧은 변측에는 왼쪽가장자리부(212)와 오른쪽가장자리부(213)가 각각 세워 설치되고, 이들 각 가장자리부(210∼213)는 동일 높이를 갖고 있다.
바닥면부(209)의 상면에는 각각 뒷가장자리부(210)와 앞가장자리부(211)에 근접하여 연장되는 가로리브(214, 2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로리브(214, 215)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뒷가장자리부(210) 및 앞가장자리부(211)보다도 윗쪽으로 돌출해 있다. 또한 저면부(209)의 상면에는 원궤적상에 배치된 복수의 전지지지리브(216)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전지지지리브(216)내에 착신검지통지기(100)를 구동하기 위한 전지(250)(도 41, 42 참조)가 끼워맞춤배치된다.
상기 왼쪽가장자리부(212)와 오른쪽가장자리부(213)에는 그 중앙부분을 동일 소정범위에 걸쳐서 절개된 절개부(212a, 213a)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절개부(212a, 213a)의 양 단부에는 각각 한쌍의 왼쪽스토퍼편(217, 217)과 오른쪽스토퍼편(218, 218)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양 스토퍼편(217, 217, 218, 218)은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왼쪽가장자리부(212) 및 오른쪽가장자리부(213)보다도 더욱 옆쪽으로 돌출해 있는 동시에, 상기 가로리브(214, 215)와 동등 높이로서 윗쪽으로 돌출해 있다.
상기 왼쪽가장자리부(212)측에는 한쌍의 왼쪽훅(219, 219)이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왼쪽훅(219, 219)은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각상으로 절개된 걸림고정오목부(219a)를 갖고 있다.
상기 오른쪽가장자리부(213)측에는 한쌍의 오른쪽훅(220, 220)이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오른쪽훅(220, 220)의 상단부에는 단면이 대략 반원형이며 옆쪽으로 팽창돌출하는 걸림고정볼록부(220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위케이스(208)는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아래케이스(207)의 저면부(209)와 동일 형상인 직사각형상의 상면부(221)를 갖고 있다.
이 상면부(221)의 상대향하는 긴 변측에는 뒷가장자리부(222)와 앞가장자리부(223)가, 상대향하는 짧은 변측에는 왼쪽가장자리부(224)와 오른쪽가장자리부(225)가 각각 수직설치되고 이들 각 가장자리부(222∼225)도 동일 높이를 갖고 있다.
상면부(221)의 하면에는 복수의 기기지지리브(226)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기기지지리브(226)에 의해 상기 전지로부터의 전력에 따라 동작하는 착신검지통지기(251)(도 41, 42 참조)가 지지된다.
상기 왼쪽가장자리부(224)와 오른쪽가장자리부(225)에는 상기 아래케이스(207)의 왼쪽스토퍼편(217, 217)과 오른쪽스토퍼편(218, 218)을 수용 가능한 범위에 걸쳐서 각각 절개된 절개부(224a, 225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절개부(224a, 225a)의 상면부(221)측에는 도 33 및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왼쪽눌러내림편(227)과 오른쪽눌러내림편(22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양 눌러내림편(227, 228))은 상기한 아래케이스(7)의 각 스토퍼편(217, 217, 218, 218)간에 개재할 수 있는 폭을 갖고,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왼쪽가장자리부 및 오른쪽가장자리부(225)보다도 더욱 옆쪽으로 돌출해 있는 동시에,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의 내측편(227a, 228a)과 외측의 외측편(227b, 228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왼쪽가장자리부(224)에는 상기 아래케이스(207)에 설치된 왼쪽훅(219, 219)과 대응하는 부위에 한쌍의 왼쪽훅(229, 229)이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왼쪽훅(229, 229)은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각상으로 돌출하는 걸림고정오목부(229a)를 갖고 있다.
또 상기 오른쪽가장자리부(225)측에는 상기 아래케이스(207)에 설치된 오른쪽훅(220, 220)과 대응하는 부위에 한쌍의 오른쪽훅(230, 230)이 형성되어 있다. 해당 오른쪽훅(230, 230)에는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상부에 반구상으로 오목설치된 걸림고정오목부(230a)가 형성되고, 외측하단부에 열림조작부(230b)가 절개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벨트(206)는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대칭형상이고 실리콘고무 등의 인성이 높고 마찰계수가 큰 신축 자유로운 소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에는 직사각형상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0. 5㎜ 정도의 두께를 갖는 몸체부(2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몸체부(231)의 양 단부에는 선단부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폭이 좁아지고, 또한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서히 두꺼워지는 어깨부(232, 23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어깨부(232, 232)의 선단부에는 상기 몸체부(231)의 상면(231a)측에 돌출하는 머리부(233)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머리부(233)는 상기한 아래케이스(207)의 각 스토퍼편(217, 217, 218, 218)간에 눌러넣을 수 있는 폭을 갖고 있다.
또 이 목부(233)의 선단부에는 머리부(234)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머리부(234)는 벨트(206)의 일반부인 몸체부(231)보다도 훨씬 두꺼우며, 도 38 및 도 39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방향 및 선단방향에 있어서 상기 목부(233)보다도 주위로 돌출해 있다.
이상의 구성에 관련되는 본 실시형태의 구성부재에 있어서, 벨트(206)를 케이스본체(205)에 부착할 때에는 벨트(206)를 아래케이스(207) 하면측에 위치시킨다.
그런 후에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206)의 머리부(234, 234)를 아래케이스(207)의 좌우 각 스토퍼편(217, 217, 218, 218)의 내측에 배치하고, 목부(233, 233)를 좌우 각 스토퍼편(217, 217, 218, 218)간에 눌러넣는다.
여기에서 벨트(206)의 전체 길이는 이 아래케이스(207)에 부착한 상태에서, 알맞게 텐션이 걸리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 부착상태에 있어서 벨트(206)가 느슨해져서 취급조작의 방해가 되는 일은 없다.
또 이와 같이 하여 벨트(206)를 아래케이스(207)에 맞붙였다면 아래케이스(207)에 설치되어 있는 왼쪽훅(219)의 걸림고정오목부(219a)에 위케이스(208)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왼쪽훅(229)의 걸림고정볼록부(229a)를 걸어맞추게 한다(도 41 참조).
다음으로 위케이스(208)의 타단부를 아래쪽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위케이스(208)에 설치되어 있는 오른쪽훅(230)이 아래케이스(207)에 설치되어 있는 오른쪽훅(220)의 외측에 누름접합한 후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오른쪽훅(220, 230)의 걸림고정볼록부(220a)와 걸림고정오목부(230a)가 걸어맞춘다.
이에 따라 양 케이스(207, 208)가 끼워맞추어지고 해당 양 케이스(207, 208)의 뒷가장자리부(210, 222), 앞가장자리부(211, 223), 왼쪽가장자리부(212, 224), 오른쪽가장자리부(213, 225)의 각 단가장자리부가 맞닿는다.
또 이 양케이스(207, 208)의 끼워맞춤에 동반하여 위케이스(208)의 좌우눌러내림편(227, 228)의 선단이 벨트(206)의 목부(233)에 누름접합한다. 따라서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206)의 목부(233)는 양 케이스(207, 208)의 절개부(212a와 224a 및 213a와 225a)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에 의해 구속되어 케이스본체(205)와 벨트(206)가 일체화한다.
또 벨트(206)의 목부(233)가 절개부(212a와 224a 및 213a와 225a)의 사이에서 끼워눌러져서 수축변형하고, 이에 따라 이 절개부(212a와 224a 및 213a와 225a)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로부터의 물방울의 침입이 방지된다.
그리고 이 케이스본체(205)와 벨트(206)로 이루어지는 부가기기(204)를 손목시계(10)의 밴드(203b)에 장착할 때에는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케이스(208)의 오른쪽훅(230)에 설치되어 있는 열림조작부(230b)에 마이너스드라이버(d)를 삽입하여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걸림고정볼록부(220a)와 걸림고정오목부(230a)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양 케이스(207, 208)의 일단부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개방한 양 케이스(207, 208)의 일단부측으로부터 벨트(206)의 한쪽의 머리부(234)를 뽑아내고, 이 벨트(206)를 손목시계(10)의 밴드(203b)의 이면측에 돌려넣어서 아래케이스(207)와 벨트(206)의 사이에 밴드(203b)를 끼워넣는다.
그런 후에 상기와 똑같이 하여 벨트(206)의 한쪽의 머리부(234)를 아래케이스(207)의 오른쪽스토퍼편(218, 218)의 내측에 배치하여 목부(233)를 오른쪽스토퍼편(218, 218)간에 눌러넣는다.
다음으로 위케이스(208)의 타단부를 아래쪽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위케이스(208)에 설치되어 있는 오른쪽훅(230)이 아래케이스(207)에 설치되어 있는 오른쪽훅(220)의 외측에 누름접합한 후 양 오른쪽훅(220, 230)의 걸림고정볼록부(220a)와 걸림고정오목부(230a)가 걸어맞추어진다. 이에 따라 양 케이스(207, 208)가 다시 끼워맞추어지고, 벨트(207)는 아래케이스(207)와의 사이에 밴드(203b)를 끼워넣으면서 그 타단부가 케이스본체(205)에 걸어붙여지고 부가기기(204)가 밴드(203b)에 장착된 상태로 된다.
이 부가기기(204)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벨트(206)는 상기와 같이 실리콘고무 등의 마찰계수가 큰 신축 자유로운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서 부가기기(204)가 밴드(203b)로부터 벗어나기 어렵게 안정된 부착상태가 얻어지고, 해당 부가기기(204)가 벗어나거나 변위하는 것에 기인하는 장착감의 악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벨트(206)가 신축 자유로운 것에 의해 밴드(203b)가 케이스본체(205)보다도 폭넓거나, 부착대상으로 되는 밴드(203b)의 두께가 여러 가지 달라도 부착 가능하게 되어 우수한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손목시계(10)를 손목에 장착한 상태에서 손목의 피부에 접촉하는 몸체부(231)는 폭이 넓고 탄성이나 유연성을 갖고 있는 것에서 피부와 간섭하는 일은 없고 위화감이 없는 양호한 장착감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벨트(206)는 실리콘고무 등의 인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서 금형을 이용하여 자유도가 높은 작은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양 케이스(207, 208)의 성형에 사용되는 수지의 조형상의 자유도와 함께 극소형으로 손목시계(10)에 부가하여 사용하는 데 최적인 부가기기로 할 수 있다.
덧붙여서 벨트(206)의 어깨부(232)는 선단부가 폭좁게 되어 있는 것에서 목부(233)를 잡기 쉬워 부착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231)는 폭넓은 모양인 것에서 상기와 같이 안정된 부착상태가 얻어지고, 따라서 안정된 부착상태와 부착작업의 용이화를 양립시킬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벨트(206)에 폭넓은 부분과 폭좁은 부분을 병존시키면 신장했을 때에 특정부분에 응력이 집중하여 부착 가능한 적용범위가 좁아질 뿐만 아니라 특정부분에 균열이 발생할 염려도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폭이 변화하는 어깨부(232)를 폭의 넓이에 역비례시켜서 두께를 변화시킨 것에서, 이 부분에 있어서도 벨트가 일정하게 신축한다. 따라서 벨트(206)에 폭넓은 부분과 폭좁은 부분을 병존시켜도 부착 가능한 적용범위가 좁아지거나 특정부분에 균열이 발생할 염려가 없고 지장 없이 안정된 부착상태와 부착작업의 용이화를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양 케이스(207, 208)의 절개부(212a, 213a)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에 벨트(206)의 다른 부분과 똑같은 탄성을 갖는 머리부(234)나 목부(233)의 밀착에 의해 폐쇄되는 것에서 방적(防滴)성도 확보할 수 있다.
도 43∼46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래케이스(207)와 위케이스(208)의 끼워맞춤구조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똑같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양 케이스(207, 208)에는 상기 실시형태와 달리 절개부(212a, 213a)가 설처되어 있지 않고 양 케이스(207, 208)는 밀폐상태로 끼워맞추어져 있다.
또 위케이스(208)의 짧은 변측의 외측면에는 대응하는 부위에 홀더(240, 240)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홀더(240, 240)는 상대향하여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수평단면 대략 J자모양의 대향벽(240a, 240a)과, 이 대향벽(240a, 240a)의 하단부에 설치된 대략 수평상의 지지벽(240b, 240b)을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또 벨트(206)는 상기 실시형태와 똑같은 소재에 의해 성형되어 있으며, 양 단부에는 상기 홀더(240)의 대향벽(240a, 240a)간에 수용 가능하게 되고, 양 단부가 지지벽(240b, 240b)에 맞닿을 수 있는 돌기부(206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손목시계(10)의 밴드(203a)에 장착할 때에는 어느 쪽인가 한쪽의 돌기부(206a)를 홀더(240)로부터 떼어내고 벨트(206)를 손목시계(10)의 밴드(203b)의 이면측에 돌려넣은 후 다시 돌기부(106a)를 홀더(240)내에 메워넣는다. 이에 따라 손목시계(10)의 밴드(203b)가 벨트(206)와 아래케이스(207)의 하면간에서 끼워눌리고 부가기기(200)는 손목시계(10)의 밴드(203b)에 고정된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손목시계(10)의 밴드(203b)에 대한 장착할 때에는 양 케이스(207, 208)를 분리시킬 필요가 없어서 장착시의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방적성의 확보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케이스본체의 내부에 휴대단말의 착신검지통지기를 수용배치하도록 했는데, 이에 한정되는 일 없이 다른 전자기기 등을 수용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이 다른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도 24A, 도 24B, 도 37∼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휴대기기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휴대기기본체(부가기기(204)), 소정 부재(203b) 및 상기 휴대기기본체를 상기 소정 부재(밴드(203b))에 고정시키기 위한 띠상 부재(벨트(206))를 구비한 휴대기기(손목시계(10))이다.
상기 띠상 부재(벨트(206))는 상기 기기본체를 따라서 그 기기본체의 일측부로부터 타측부에 걸치는 소정길이를 갖고, 또한 상기 띠상 부재의 양 단부(234, 234)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는 상기 기기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도 24A, 도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휴대기기의 경우 상기 소정 부재(203b)는 손목시계본체(10)의 밴드(203b)이다.
또 도 24A, 도 24B, 도 27, 도 37∼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기능을 실현하는 기능실현수단(100)을 내장하는 기기본체(204)와, 이 기기본체를 따라서 그 기기본체의 일측부로부터 타측부에 걸치는 소정 길이를 갖는 띠상 부재(206)와, 이 띠상 부재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를 상기 기기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띠상 부재의 양 단부를 상기 기기본체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217, 218, 23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 24A, 도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기기본체(204)는 손목시계본체의 밴드(203b)에 장착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 25∼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기기본체는 서로 착탈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지는 아래케이스(도 25∼도 30의 207)와 위케이스(도 31∼도 36의 208)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띠상 부재(도 37∼도 39의 206)의 양 단부에 형성된 걸림고정부(234)와, 상기 상하의 양 케이스(207, 208)의 끼워맞춤에 의해 상기 걸림고정부를 해당 양 케이스내부에 구속하는 구속수단(217, 22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띠상 부재(206)는 상기 양 케이스(207, 208)의 끼워맞춤에 동반하여 해당 양 케이스간에 끼워눌려서 압축변형하는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고정부(234)는 상기 띠상 부재(206)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다른 부분보다도 두꺼운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 37,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띠상 부재(206)는 그 중앙부에 설치된 폭넓은 모양의 제 1 부분(231)과, 이 제 1 부분의 양측에 연장설치되어 점차 선단부방향으로 폭좁은 모양, 또한 두꺼운 모양의 제 2 부분(232)과, 이 제 2 부분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기본체에 걸어 고정되는 제 3 부분(234)을 일체적으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 43,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기기본체의 외부에 설치된 걸림고정부(240; 240a, 240b)와, 상기 띠상 부재(206)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고정부와 걸어맞추는 피걸림고정부(206a)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기기수단은 휴대단말의 착신을 검지하여 이를 통지하는 착신검지통지기(2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띠상 부재가 신축 자유로운 것에서 부착대상이나 손목시계의 밴드가 케이스본체보다도 폭넓거나 두께가 여러 가지 달라도 부착 가능하게 되어 우수한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띠상 부재는 인성을 갖고 있는 것에서, 손목시계를 손목에 장착한 상태에서 손목의 피부에 띠상 부재가 접촉해도 피부와 간섭하는 일은 없이 위화감이 없는 장착감을 얻을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케이스본체를 착탈 자유롭게 서로 끼워맞추는 아래케이스와 위케이스로 구성하고 띠상 부재의 양 단부에 형성된 걸림고정부를 양 케이스의 끼워맞춤에 의해 해당 양 케이스내부에 구속하도록 한 것에서 아래케이스와 위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본체의 외부에 띠상 부재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고, 따라서 케이스본체의 외부표면을 돌기가 없는 부드러운 형태로 하여 의복 등과의 간섭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띠상 부재의 상기 양 케이스의 끼워맞춤에 동반하여 끼워눌러지는 부위에 해당 끼워누름에 동반하여 압축변형하는 부분을 설치하도록 한 것에서, 이 띠상 부재의 끼워누름에 동반하는 압축변형에 의해 방적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걸림고정부를 띠상 부재에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다른 부분보다도 두꺼운 모양으로 한 것에서,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용이하고, 또한 저비용으로 걸림고정부를 갖는 띠상 부재를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걸림고정부가 두꺼운 모양인 것에 의해 부착시의 인장력에 대해서 변형에 의한 지장이 없는 걸림고정부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중앙부에 설치된 폭넓은 모양의 제 1 부분과, 이 제 1 부분의 양측에 연장설치되어 점차 선단부방향으로 폭좁은 모양, 또한 두꺼운 모양의 제 2 부분과, 이 제 2 부분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본체에 걸어 고정되는 제 3 부분을 띠상 부재에 일체적으로 형성하도록 했다. 따라서 폭넓은 모양의 제 1 부분이 손목시계의 밴드에 밀접함으로써 안정된 장착성능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제 2 부분이 선단부방향에 폭좁은 모양인 것에 의해 제 3 부분을 걸어 고정시킬 때에 잡기 쉬워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띠상 부재에 폭넓은 부분과 폭좁은 부분을 병존시키면 신장했을 때에 특정부분에 응력이 집중할 뿐만 아니라 특정부분에 균열이 발생할 염려도 생긴다. 그러나 제 2 부분은 폭의 넓이에 역비례하여 두께가 증가하고 있는 것에서, 이 부분에 있어서도 띠상 부재가 일정하게 신축한다. 따라서 띠상 부재에 폭넓은 부분과 폭좁은 부분을 병존시켜도 부착 가능한 적용범위가 좁아지거나 특정부분에 균열이 발생할 염려가 없고 지장 없이 안정된 부착상태와 부착작업의 용이화를 양립시킬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걸림고정수단을 상기 케이스본체의 외부에 설치된 걸림고정부와, 상기 띠상 부재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고정부와 걸어맞추는 피걸림고정부로 구성하도록 한 것에서, 케이스본체가 아래케이스와 위케이스로 구성되는 경우이어도 양 케이스를 분리하지 않고 손목시계의 밴드에 대한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휴대단말의 착신을 검지하여 이것을 통지하는 착신검지통지기를 케이스본체에 내장하도록 한 것에서 손목시계의 밴드가 케이스본체보다도 폭넓거나 손목시계의 밴드의 두께가 여러 가지 달라도 부착 가능하며, 또한 위화감이 없는 장착감을 얻을 수 있는 착신검지통지기를 달성할 수 있다.

Claims (32)

  1.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손목시계본체(11)를 구비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손목시계본체를 사용자에게 구속하기 위한 구속수단(밴드(13, 15, 72),
    이 구속수단을 상기 손목시계본체에 걸어붙이게 하는 개재부재(14, 71)와,
    미리 정해져 있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상기 개재부재에 설치된 기능실현수단(착신통지장치(50, 30), 전자장치(1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손목시계(10, 70, 80)).
  2.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손목시계본체(11)를 구비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개재부재(71)와,
    미리 정해져 있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상기 개재부재에 설치된 기능실현수단(착신통지장치(50, 30), 전자장치(100))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개재부재는 일단측에 상기 손목시계본체(11)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수단(볼록체결단부(13a))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타단측에 상기 손목시계본체를 사용자에게 구속하기 위한 구속수단(밴드(72))과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수단(볼록체결단부(72a))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손목시계(7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실현수단은 자기위치를 검출하는 자기위치검출수단(네비게이션장치(5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부재에 상기 기능실현수단에 의한 기능실현을 위해 요하는 표시수단(LCD(63))을 또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손목시계본체(11)를 손목에 구속하기 위한 밴드(13, 72)이며, 일단부에 상기 손목시계본체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12b)를 구비하고,
    상기 개재부재(71)는 일단부에 상기 손목시계본체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14c)를 구비하고, 타단부에 상기 밴드의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 가능한 피걸어맞춤부(72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시계본체를 사용자의 손목에 구속하기 위한 밴드(13, 72)이고,
    상기 개재부재(71)는 일단부에 상기 시계본체와의 걸어맞춤부(71a)를 구비하고, 타단부보다도 상기 일단부근처에 상기 밴드(72)와의 걸어맞춤부(71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시계본체(11)를 사용자의 손목에 구속하기 위한 밴드(85)이고,
    상기 시계본체의 양 단부에 상기 개재부재(83, 84)를 각각 설치하고, 적어도 한쪽의 개재부재에 상기 기능실현수단(100)을 내장시키는 동시에, 양 개재부재에 상기 밴드를 끼워통하여 유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부재는 한쌍의 개지부재(83, 84)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일단측에는 상기 시계본체(11)와의 걸어맞춤수단(12b, 12c)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각각 타단측에는 상기 시계본체(11)를 손목에 구속하기 위한 밴드(85)를 끼워통하게 하기 위한 관통부(83c, 84c)를 구비하고,
    이 한쌍의 개재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개재부재(840에 상기 기능실현수단(100)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9.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LCD(322))가 구비된 휴대기기본체(시계본체(11))를 구비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본체를 사용자에게 장착시키는 장착부재(밴드(13, 15))와,
    이 장착부재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외부신호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외부신호에 의거하여 사용자에게 외부신호가 있었던 것을 통지하는 수신장치(착신통지장치(50))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휴대기기본체와 상기 장착부재 중 사용자에게 장착되는 면측은 서로 면일치(도 2B 참조)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손목시계(10)).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본체는 계시된 시간데이터를 상기 표시부(322)에 표시시키는 시계기능부(120) 또는 검출된 자기의 위치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자기위치검출부(도 11의 52) 중 적어도 한쪽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15)의 일단에는 상기 휴대기기본체(11)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부(14c)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수신장치(5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장치(50)는 또한 시계기능부(26, 27)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장착부재는 시계밴드(13, 15)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13. 휴대단말(1)에 대한 착신을 검지하기 위한 검지수단(전파검파부(111)∼CPU(113))을 구비한 휴대기기(50)에 있어서,
    점멸 가능한 복수개의 발광체(램프(101a∼101n),
    상기 검지수단에 의한 상기 착신의 검지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발광체를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점멸제어시켜서 사용자에 대하여 착신을 통지시키는 제어수단(CPU(113); SA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50).
  14. 휴대단말(1)에 대한 착신을 검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송신안테나(119))로부터의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수신안테나(120))을 구비한 휴대기기(106)에 있어서,
    점멸 가능한 복수개의 발광체(램프(101a∼101d))와,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개의 발광체를 미리 정해져 있는 패턴에 따라 점멸제어시켜서 사용자에 대하여 착신을 통지시키는 제어수단(CPU(12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106).
  15. 휴대단말(1)의 응답신호를 검지하는 검지수단(전파검파부(111))을 구비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상기 응답신호의 강약을 판별하는 판별수단(CPU(113); 비교기(125))과,
    점멸 가능한 복수개의 발광체(램프(101a∼101n))와,
    상기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결과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발광체를 점멸제어시키고, 사용자에 대하여 착신을 통지시키는 제어수단(CPU(113); SB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상기 응답신호의 강약에 따라서 파형의 폭으로 이루어지는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수단(125)과,
    이 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신호의 파형의 폭에 의거하여 상기 응답신호의 강약을 판단하는 판단수단(11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상기 응답신호의 파형을 적분하는 적분수단(124)과,
    이 적분수단에 의해 적분된 파형을 정형하는 파형정형수단(125)과,
    이 파형정형수단에 의해 정형된 파형의 폭에 의거하여 상기 응답신호의 강약을 판단하는 판단수단(11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또한 상기 휴대단말의 교신종료(SA5; SC8)에 응답하여 상기 발광체를 점멸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발광체 중 최후에 점등제어하는 발광체를 결정하는(SA6, SA7; SC9, SC10)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최후에 제어하는 발광체를 상기 패턴에서의 발광형태와는 다른 발광형태로 되도록 제어하는(SA7; SC10; 계속 점등)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각 발광체(101a∼101d)에 소정의 놀이적 의미를 갖는 표시를 부가한(107a∼107d)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22. 휴대단말(1)의 응답신호를 검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송신기(118); 착신검지장치(105))와, 이 송신기로부터의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수신회로(121); 수신통지장치(106))로 구성된 송수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점멸 가능한 복수개의 발광체(램프(101a∼101d))와,
    상기 수신한 상기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개의 발광체를 미리 정해져 있는 패턴에 따라 점멸제어시켜서 사용자에 대하여 착신을 통지시키는 제어수단(CPU(12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시스템.
  23.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휴대기기본체(부가기기(204)), 소정 부재(203b) 및 상기 휴대기기본체를 상기 소정부재(밴드(203b))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부재(밸트(206))를 구비한 휴대기기(손목시계(10))이고,
    상기 띠상 부재(벨트(206))는 상기 기기본체를 따라서 그 기기본체의 일측부로부터 타측부에 걸치는 소정 길이를 갖고,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양 단부(234, 234)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는 상기 기기본체에 대해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24. 상기 소정부재는 손목시계본체(10)의 밴드(203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25. 소정의 기능을 실현하는 기능실현수단(100)을 내장히는 기기본체(204)와,
    이 기기본체를 따라서 그 기기본체의 일측부로부터 타측부에 걸치는 소정 길이를 갖는 연결부재(206)와,
    이 연결부재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를 상기 기기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217, 218, 23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본체(204)는 손목시계본체의 밴드(203b)에 장착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본체는 서로 착탈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지는 아래케이스(도 25∼도 30의 207)와 위케이스(도 31∼도 36의 208)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띠상 부재(도 37∼도 39의 206)의 양 단부에 형성된 걸림고정부(234)와, 상기 상하의 양 케이스(207, 208)의 끼워맞춤에 의해 상기 걸림고정부를 해당 양 케이스내부에 구속하는 구속수단(217, 21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띠상 부재(206)는 상기 양 케이스(207, 208)의 끼워맞춤에 동반하여 해당 양 케이스간에 끼워눌려 압축변형하는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정부(234)는 상기 띠상 부재(206)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띠상 부재의 다른 부분보다도 두꺼운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30.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띠상 부재(206)는,
    그것의 중앙부에 설치된 폭넓은 모양의 제 1 부분(231)과, 이 제 1 부분의 양측에 연장설치되어 점차 선단부방향으로 폭좁은 모양, 또한 두꺼운 모양의 제 2 부분(232)과, 이 제 2 부분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기본체에 걸어 고정되는 제 3 부분(234)을 일체적으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31.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기기본체의 외부에 설치된 걸림고정부(240; 240a, 240b)와, 상기 띠상 부재(206)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고정부와 걸어맞추는 피걸림고정부(206a)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32.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수단은 휴대단말의 착신을 검지하여 이를 통지하는 착신검지통지기(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KR1019980047174A 1997-11-04 1998-11-04 휴대형 기기 및 송수신시스템 KR199900450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317671 1997-11-04
JP9317671A JPH11133168A (ja) 1997-11-04 1997-11-04 電子機器
JP97-11488 1997-12-12
JP97-362979 1997-12-12
JP1997011488U JP3049746U (ja) 1997-12-12 1997-12-12 着信報知器及び送受信システム
JP36297997A JP3895027B2 (ja) 1997-12-12 1997-12-12 付加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014A true KR19990045014A (ko) 1999-06-25

Family

ID=27279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174A KR19990045014A (ko) 1997-11-04 1998-11-04 휴대형 기기 및 송수신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31965B1 (ko)
KR (1) KR19990045014A (ko)
CN (1) CN1126281C (ko)
HK (1) HK1020123A1 (ko)
TW (1) TW3966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3711B2 (en) * 2001-09-24 2003-08-05 Michael A. Calace Remote timekeeping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sports clock
US6948712B1 (en) 2002-08-06 2005-09-27 Buztronics, Inc. Contest button
US20050014534A1 (en) * 2003-07-15 2005-01-20 Hareng Michael D. Wireless accessory unit for notification of incoming calls and method of alerting a user to an incoming call
US7607243B2 (en) 2006-05-03 2009-10-27 Nike, Inc. Athletic or other performance sensing systems
WO2009033034A1 (en) 2007-09-07 2009-03-12 Nike, Inc. Wearable device assembly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EP2265341A1 (en) 2008-04-02 2010-12-29 Nike International Ltd. Wearable device assembly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EP2789254A1 (fr) * 2013-04-12 2014-10-15 Montres Jaquet Droz SA Bracelet ergonomique pour montre ou bijou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0B2 (ja) 1985-08-08 1994-01-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リヤワイパ−カバ−
JPH09224074A (ja) 1996-02-14 1997-08-26 Sony Corp 着信指示装置
JPH1013960A (ja) 1996-06-26 1998-01-16 Kyushu Hitachi Maxell Ltd 携帯電話用の着呼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96681B (en) 2000-07-01
US6331965B1 (en) 2001-12-18
CN1126281C (zh) 2003-10-29
CN1219038A (zh) 1999-06-09
HK1020123A1 (en) 200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72991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343870B1 (ko) 긴급 상황 통보 장치
KR19990045014A (ko) 휴대형 기기 및 송수신시스템
JPH07322350A (ja) 親機と子機から成る携帯用移動電話機
WO2005015803A3 (en) Wireless accessory unit for notification of incoming calls and method of alerting a user to an incoming call
GB2284128A (en) Portable telephone with silent paging announcement function
KR19990007744A (ko) 핸드폰 착신 감지장치 및 그 방법
JPH11133168A (ja) 電子機器
JPH09224074A (ja) 着信指示装置
JP2629630B2 (ja) 携帯用通信機
JP3053031U (ja) 着信報知装置及び着信検知装置、並びに送受信システム
KR200241000Y1 (ko) 휴대폰의 착신신호 알림장치
JP2000036985A (ja) 無線携帯端末装置
JPH11341120A (ja) 移動無線端末
KR100205910B1 (ko) 휴대용 통신기기의 호출음향 및 진동모드 스위칭방법 및 그 장치
KR100414665B1 (ko) 압력 경보 신호 발생 장치
JPH11298566A (ja) 着信報知装置及び携帯端末、並びに着信報知システム
KR200278636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수신 감지장치
JPH1117783A (ja) 振動呼出装置
EP0337693B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generating an audible tone controlled by a count of reception of a call signal
KR200320647Y1 (ko) 핸드폰 수신확인 기능을 갖는 탁상시계
JP3535719B2 (ja) 携帯電話用の表示装置
KR200193130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신호 수신장치
JP2601203B2 (ja) 携帯電話機
KR200323771Y1 (ko) 이동통신 휴대폰의 무선 착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714

Effective date: 2003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