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4796A - 키토산 또는 키토산 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젖소의유방염 예방 및 치료제 - Google Patents

키토산 또는 키토산 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젖소의유방염 예방 및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4796A
KR19990044796A KR1019980033405A KR19980033405A KR19990044796A KR 19990044796 A KR19990044796 A KR 19990044796A KR 1019980033405 A KR1019980033405 A KR 1019980033405A KR 19980033405 A KR19980033405 A KR 19980033405A KR 19990044796 A KR19990044796 A KR 19990044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tosan
mastitis
cos
hours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3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1932B1 (ko
Inventor
김희경
강문일
김희선
김광윤
김종염
주이석
문진산
Original Assignee
김갑종
세원화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갑종, 세원화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갑종
Priority to KR1019980033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1932B1/ko
Publication of KR19990044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9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22Chitin, chitosa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목적) 신규한 젖소의 유방염 치료제를 개발하는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구성) 현재 면역세포 활성 및 항세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키토산유도체 제재를 보다 더 항균성을 높이기 위하여 키토산 올리고당의 항균성이 높은 분자량 분포도를 갖는 물성치를 선정하고 키토산 올리고당의 항균성에 미치는 키토산의 순도를 90%이상인 키토산 올리고당을 분리하고, 이를 이용하여 현재 낙농산업에서 가장 경제적 손실이 큰 유방염에 대한 치료효과를 조사하였다. 본원 발명에서는 우선 실험실 조건에서의 가출 유방염 유발 세균의 항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농도별, 시간별로 처리하여 본 결과 0.0001%이상의 키토산 올리고당을 첨가시 5분 이상의 시간이 경과시 사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18시간 이상이 경과시 생존하는 콜로니가 나타나지 않아 대부분 사멸되었다. 또한, 상기결과에 비추어 유방염등을 일으키는S. aureus를 동물에 인공감염 시킨 후, 키토산 올리고당을 생체투여하고 그 치료 효과를 조사한 결과, 키토산 올리고당을 처리하지 않은 동물의 경우에서는 생존률이 10%이내였던 것에 비교하여 키토산제제를 처리한 경우는 70-100%의 치료효과가 있었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유방염 생존율 감염된 젖소에 매일 15g의 키토산 올리고당을 7일 이상 경구 투여한 결과, 면역 반응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핵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세균을 사멸시키는 작용과 우유내 체세포수를 감소시켰다.

Description

키토산 또는 키토산 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젖소의 유방염 예방 및 치료제.
본 특허는 키토산 또는 키토산 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젖소의 유방염 예방 및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키틴, 키토산 제조 부분
키틴은 셀룰로오스의 글루코오스 잔기의 C-2의 수산기가 아세틸아미노기에서 치환된 것들의 화학식을 가지고 있으며, 키틴의 탈아세틸화물을 키토산이라고 부르지만, 실제적으로는 단백질등 생체물질과 결합점으로서의 글루코사민 잔기가 함유되어 있으며, 키틴 및 키토산의 화학 구조식은 셀룰로오스와 유사하다. 키틴은 자연계에 널리 풍부하게 존재하고, 특히 무척추동물과 균류 등에 단백질과 복합체를 형성하고 있고, 식물계에 존재하는 셀룰로오스와는 생물체의 외골격과 외피를 형성한다는 면에서 유사하다. 이러한 키토산은 무독성이며, 생물의 합성과 분해에 관여하나 환경오염을 초래하지 않는 천연 고분자 양이온이며, 최근에는 잠재적인 이용자원으로서의 그 이에 대한 연구가 환경 폐수 응집제, 중금속 흡착제, 생산량의 증대를 위한 씨앗 코팅제 및 단백질 회수제, 창상치료제등에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특수한 용매를 제외한 대부분의 용매에서의 용해성의 제한을 갖는 키틴에 대하여 이를 응용하고져 키틴을 키토산으로 제조하는 연구로서 탈아세틸화도의 조절에 대해서는 다각적으로 이루어져 오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키틴을 키토산으로 제조시, 순도와 분자량의 관계에는 반대적인 관계를 나타냄에 따라 이를 보완하여 자유롭게 조절하는 방법에는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유방염 치료제 부분
지속적인 국가경제 성장에 따른 국민소득의 증가는 식생활 수준의 양적, 질적 향상과 관련하여 우유 및 유제품의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는 등 축산 식품의 소비량에도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우리 나라 우유수급현황을 보면 1인당 우유 소비량이 1962년 0.1kg, 1970년 1.6kg, 1980년 11kg, 1990년 43kg으로 엄청난 증가폭을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높은 우유소비량의 증가로 식품중에 차지하는 우유의 비율이나 역할이 중요해 짐에 따라 위생적으로 안전하고, 보다 품질 좋은 우유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욕구가 증대되었다. 또한 낙농제품의 수입개방에 적극 대처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하기 위한 낙농가의 생산성 향상을 통한 가격경쟁력 제고가 필수적으로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원유의 질은 유지방, 단백질 등 영양 성분뿐만 아니라 우유내 총세균수, 체세포수 같은 젖소 유방의 건강상태와 관련된 요소들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유방염에 감염된 젖소의 우유에는 세균이 존재할 뿐 아니라 체세포수 증가 등 유성분에도 극적인 변화가 초래되므로서 유질이 현저히 저하된다. 따라서 영양적인 면에서나 위생적인 면에서도 유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젖소에서 가장 흔히 문제시되는 질병중의 하나인 유방염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젖소의 유방염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여러가지 미생물 감염에 의하여 유선조직에 염증이 생긴 것으로서 산유량 감소 및 유질 저하는 물론이고 건강우에 대한 감염원으로 작용하므로서 유방염을 전파시키는 역할을 하며, 심한경우에는 젖소로서의 기능상실 및 폐사에 이르는 등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 이외에도 젖소도태, 치료경비, 판매가치 감소, 노동력 경비 증가, 대체우 경비 등 유방염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낙농에서 년간 순이익을 결정하는 요인 중 유량이 37%, 유방염이 14%, 산자수와 수명이 5-9%라는 것을 고려했을 때, 낙농의 성공여부가 유방염 방제 여부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유우 30만두중 50%가 유방염에 감염되었을 때 년간 유량 감소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360억 정도이며 기타 경비 등을 모두 포함하면 년간 총 670억원의 손실을 가져오는데, 이것을 1회 유방염 감염시 두당 경제적 손실액으로 환산하면 45만원 정도이다. 그중에서 유량감소로 인한 손실은 유방염으로 인한 피해액의 70%를 차지하며 미국의 경우를 보면 그 피해액은 년간 젖소 1마리당 25만원 정도로 추정된다.
번식장애와 더불어 젖소에 있어서 유방염은 거의 모든 농가에서 발생되고 있는 문제로서, 국내에서의 유방염 발생율('97년도 기준)은 24%(분방별 기준)이며 그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년간 600억 이상을 선회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국민보건과 직결되는 우유의 질적 향상과 가격경쟁력 제고 등에 의한 낙농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유방염의 효율적 치료 및 예방대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유방염을 일으키는 원인체의 다양함으로 인하여 지난 수십년 동안 유방염 예방과 치료를 위해 항생물질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항생제의 연용으로 인하여 내성균주가 증가하게 되어 치료율이 감소되고, 항생제가 인체에 잔류되면 나쁜 영향을 초래한다는 보고가 있은 후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휴약기간을 설정하여 항생제 사용시에는 최소 72시간 이내의 우유는 버리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유방염 등 질병방제를 위하여 항생제를 탈피하여 생리학적 및 면역학적 요법에 의한 숙주의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는 면역증강제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키토산은 버섯류 및 사상균의 세포벽과 게와 새우등의 갑각류의 골격과 각을 구성하는 키틴질을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처리로 아세틸기(acetyl)를 떼어낸 N-탈아세틸화물이다. 키틴은 보통의 용매에서 불용이기 때문에 그 용도는 한정되어 있어 대부분이 키토산의 원료로 사용된다. 키토산은 폴리카치온 성질(polycationic nature)을 갖고 있어 물처리용 응집제나 탈수제로서 옛날부터 사용되어 왔으나, 키틴 키토산의 장점과 특성이 밝혀지면서는 이온교환제, 효소고정화제, 화장품, 의료용품, 토량개량제 등 그 용도는 더욱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일본에서는 소의 피하조직에 키토산을 이식하여 상처치유 효과를 조사한 결과, 이식 7일후에 키토산 주위에 다형핵세포(PMN)의 유주를 유도하였고 섬유아세포의 활성이 관찰되었으며, 14일 후에는 다형핵세포는 사라지고 키토산 섬유주위에 맥관형성과 동시에 결합조직이 재생되었으며, 대식세포 유래의 다유핵세포(Polykaryocytes)가 키토산 섬유에 유착하여 상처치유에 탁월한 효과를 보였으며, 또한 부제병 등 화농성 질병을 보인 48두중 43두(89.6%)가 키토산에 대해서 항생요법의 병행없이 치료에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국내에서도 최근에 키토산 및 키토산 올리고당에 대한 제품 개발 및 연구결과에 대해서 매우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키틴, 키토산제조법
지금까지 공지되어온 키틴에서 키토산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1954년 Hackman(Study on chitin. I. Enzymatic degradation of chitin and chitin esters. Aust. J. Biol.Sci.7.pp168)에해서 키틴에서 키토산으로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졌으며, 이때의 제조법은 갑각을 세척하고 100℃에서 건조한 다음, 실온조건하에서 2N 염산용액하에서 5시간 처리하고, 세척 및 건조하여 분쇄하여 분말화하였으며, 획득된 분말을 다시 2N 염산조건하에서 0℃조건하에서 교반하여, 칼슘을 제거 후, 이를 100℃조건에서 1N NaOH 수용액에서 수회 반복 처리하여 키틴산을 얻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키토산은 탈아세틸화도는 65∼81.2%였으며, 분자량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그러나, 1992년의 Alimuniar등(An economical technique for producing chitosan. In Advances in chitin and chitosan,C.J. Brine, P.A. Stanford, and J.P. Zikakis(Ed), pp627. Elsevier Applied Science, Essex, UK.)에 의해 발표된 자료에 의하면, 새우껍질에서 제조한 키토산의 경우는 탈아세틸화도는 56∼68%로 제조시 분자량은 5,074cps로 나타나 키틴에서 키토산으로 전환되는 기점에서의 분자량은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 일반적인 방법으로서는 게나 새우 및 오징어를 탈육시킨 후, 반응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0.5∼3cm의 크기로 분쇄하는 공정, 다음으로는 칼슘등 미네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염산 1∼2N과 formic산 90%를 사용하여 교반 하는 공정, 그리고 KOH 또는 NaOH용액을 1∼5%조정하고 실온 또는 고온에서 수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단백질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키틴을 제조하고, 제조된 키틴을 39∼55%의 KOH 또는 NaOH용액하에서 30℃∼150℃온도 조건으로 0.5시간∼144시간까지 교반 반응을 실시하여 키토산을 제조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때의 키토산의 탈아세틸화도는 56∼68%를 나타낼 때 분자량인 점도는 60∼5,074cps범위를, 탈아세틸화도가 68∼78%부분의 경우에서의 점도 분자량은 117∼5,110cps였고, 80∼90%범위에서는 186∼780cps범위, 99%의 범위에서 키토산은 갈변화가 일어났다. 즉, 분자량과 탈아세틸화도의 관계는 고려되지 않은 제조범의 범위를 넘지 않았다. 상술한 기존의 키틴의 추출 및 키토산을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서는 키틴 및 키토산의 분자쇄의 절단이 발생하는 단점을 나타내고 특히, 키토산을 고온 및 고알카리용액에서 장시간 처리시는 탈아세틸화도는 높아지는 대신 키토산의 색깔이 갈변화가 발생함과 동시에 분자량은 급격히 감소하며, 고분자의 키토산을 제조시는 탈아세틸화도은 극히 낮게 나타나는 단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원 발명과 관련한 제조법에 대한 국내의 특허출원 사항으로서, 공보 제95-18054호 "새우갑각으로부터 생체 임상의학용 키틴 및 키토산의 제조법"에 의하면, 새우갑각으로부터 고순도 및 고분자량, 고아세틸화도 및 고백색도를 갖는 임상 의학용 키토산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출원되었으며, 또한 공보 제 95-18057호 "대롱수염 새우갑각으로부터 생체 임상의학용 키틴 및 키토산의 제조"방법이 출원되었는데 전반적으로, 새우 껍질을 대상으로하여 1∼6N 염산용액하에서 -40℃∼+30℃온도범위조건에서 1.5시간 처리하고, 10% NaOH용액으로 90∼100℃로 0.5시간 및 6시간 처리하여 생체 의학용 키틴을 제조으로서, 탈에세틸화도는 92%이상, 점도 분자량은 700∼3,270까지 나타났다고 알려져 있으나, 온도 부분을 제외하고는 기존 발표된 것을 답습하는 범위를 넘지 못하였였다. 또한 저온조건의 조성등의 번거로운 공정과 최초 갑각류 껍질의 투여량의 소량으로 인하여 자동적인 제조원가의 상승과 제조 과정시 수시로 사용하는 알코올등의 유기용매의 사용에 따라 자체의 원가 상승 부가요인의 발생 및 이의 회수등의 추가 부대시설등에 따른 생산단가가 추가되는등의 단점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고순도, 백색의 고분자 키토산의 제조를 위해 적합한 키토산을 획득하는 방법에 대해 검토한 결과, 키틴 제조시 분자쇄의 절단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게, 새우껍질을 2mm미세 분쇄하여 이를 질소가스를 첨가하면서 온도를 80∼100℃조건으로 조성하고, 희석한 0.5% NaOH 용액을 이용하여 1∼3시간 교반 반응하여 1차 전처리과정을 통하여 단백질을 제거하고 여과한 후 5% NaOH용액을 투여한 후 다시 1∼3시간동안 반응시켜 잔량의 단백질을 제거한 후 여과하고, 여기에 1N HCl용액으로 중성 조정 후 세척하는 단계를 실시하고, 이어서 상온 조건에서 0.5N HCl용액을 이용하여 0.5∼1시간동안 반응하여 1차 칼슘을 제거하는 전치리과정을 거쳐 1∼2NHCl용액을 새롭게 투여하여 1시간동안 반복 반응하여 잔량의 칼슘 및 미네랄을 제거함과 동시에 분자량의 감소가 억제되도록 한후 pH 중성으로 조절 및 세척과정을 실시하여 태양광을 이용한 일광조건하에서 건조를 실시를 통하여 태양유래의 우주선에 의해 게껍질이 가지고 있는 아스타크산틴색소를 산화 시켜 백색도가 뛰어난 고점도 키틴을 획득하였다. 이어서, 획득된 키틴을 질소분위하에서 교반하면서 40∼50% KOH용액하에서 90∼100℃조건으로 2회 반복함으로써 고분자 및 고순도의 키토산을 획득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를 완성하게 되었다. 그리고, 알카리 반응간에는 분자쇄의 절단을 야기할 수 있는 산소등의 유입을 차단하기위해 불활성가스를 주입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 색소가 제거된 고분자 키틴의 획득을 위하여, pH 조절수준의 소량농도의 NaOH와 HCl를 사용하여 1차 단백질 및 칼슘과 미네랄을 제거하는 전처리단계를 조입하여 1시간이내의 극히 짧은 시간의 사용으로 분자량감소를 확보한 단계 및 색소를 제거시 산화제 및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건조과정시 자연광의 자외선에 의해 게 껍질이 가지고 있는 색소를 자연 산화 및 분해 과정을 통하여 백색 및 분자량이 높은 고분자의 키틴을 획득할 수 있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라, 고분자 및 고순도의 키토산을 획득하기 위하여, 획득된 키틴에 대하여 40∼50% KOH용액을 가하고 키토산의 분자쇄의 절단을 일으킬 수 있는 산소등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불활성 가스인 질소를 사용하여 3∼12시간을 가열 및 교반을 통하여 분자량의 감소가 억제되도록 1차 반응을 실시하고, 여과된 중간체에 대하여 다시 동일한 농도의 KOH를 조제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2차 반응을 실시하여 분자량의 감소를 최대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탈아세틸화도의 증가를 확보하도록 반을 조건을 설정하였다. 이어서, 여과 과정과, 일반수로 세척하되 세척시 pH가 중성이 될 때까지 반복 세척하여, 이를 역시 자연광상태에서 잔존할 수 있는 잔여분의 색소를 자외선에 의해 산화분해시켜 제거 과정하는 동시에 및 건조하여 백색도를 높인 고순도 및 고점도가 확보된 키토산을 획득하였다.
키토산 올리고머 유도체의 항균성 및 가축응용
키토산의 항균성은 탈아세틸화도 및 분자량 등이 중요한 요인이라고 알려져 있다. 즉, 탈아세틸화도를 66%, 79%, 90% 및 99%까지 네가지로 만들어 Fusarium solini를 대상으로 최소발육 저지농도를 확인한 결과, 66%의 탈아세틸화 키토산은 0.11%, 79%의 경우 0.09%, 90%와 99%일 경우 0.07%의 항균 효과를 나타내어 탈아세틸화도가 높을수록, 즉 아미노기가 많을수록 항균력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90%이상의 탈아세틸화 키토산일 경우 가장 좋은 항균효과가 나타났으나, 그 이상의 탈아세틸화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2, 50, 160 및 200centipoise로 조절한 키토산의 경우 5 cps경우가 가장 좋은 결과가 나타나, 점도가 낮을수록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난다고 보고된 바 있다(內田 泰, 1988, 키틴, 키토산의 항균성, 푸드케미칼, pp22-29). 또한, 키토산올리고당의 당체 조성차에 의해서 대장균에 대한 항균성의 효과가 다르다고 발표한바 있는데, 보고에서 당체가 전체 당체의 구성이 2∼8당체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중 4-∼6당체의 구성이 80%를 점유하고 있는 물성의 경우에서는 0.3%이상의 농도에서만 항균효과가 나타났으며, 또다른 물성치로서 전체 2 ∼ 7당체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인 경우 70%이상이 3-4당체의 함유도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서는 항균효과가 미미하게 나타났다고 보도한바 있다(Uchida, Y., 1995,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hitosan and its applications, 海の台地誌, 1, pp51-58).
본원 발명과 관련한 S. aureus와 관련한 기존 발표된 결과로서 키토산 유도체에 대한 세균 발육억제 효과에서 수용성 키토산 유도체의 경우 0.6∼2.5% 농도에서Ps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sProteus vulgaris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나, 2.5% 농도에서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monia의 증식을 억제하지 못했다. 그러나 부분 탈아세틸화 키틴 즉 80% 탈아세틸화된 키틴에서는 0.13∼0.5%의 농도에서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s, Bacillus subtilis과 같은 그람양성균과Psudomonas aeruginosa, Proteus vulgaris,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monia의 그람음성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탈아세화틸화가 높은 키토산이 낮은 것에 비하여 더욱 높은 세균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탈아세틸화에 있어서 아미노그룹이 양이온 전하를 나타내므로, 세포벽 표면에서 N-아세틸뮤라믹크 애시드(N-acetylmuramic acid), 시알리크 애시드(sialic acid), 뉴라미크 애시드(neuraminic acid)와 같은 음이온 성분과 전기적인 상호작용에 의하여 세균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발명한 키토산 올리고당의 제조법은 기존의 일본 등에서 발표된 것과 특별한 차이는 없지만, 일반적인 제조방법인 산가수분해법(일본 특허 소61-21103, 1986)과 효소에 의한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전자는 산가수분해에 의해 잔존할 수 있는 산기에 의한 피해를 생각할 수 있어, 본 원 발명에서는 효소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러한 제조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본원 발명에서는 그 항균 효과에서 탁월하도록 당체범위를 설정하고 이를 분리하였으며, 이들 분자량 분포도의 GPC분석에서 1-16당체 부분이 전체를 차지하고 있었던 부분과 키토산 올리고당의 탈아세틸화도가 96%인 것이다. 즉, 이러한 성적을 토대로 본 발명자들은 이 실험에 탈아세틸화도가 96%이고 점도가 1에 가까운 키토산-올리고당(Chitosan-olidosaccharide, OCHT)을 제조하였다.
한편, Saito등(1994)은 오징어에서 추출하여 합성한 키토산을 이용한 연쇄상구균의 항균시험에서 균주에 따라 키토산의 유효 항균농도에 많은 차이가 있었다고 보고한 바 있는데, 이 실험에 사용한 대장균 분리주들간에도 아주 소수이긴 하나 키토산 올리고당에 의한 항균력의 차이가 다소 인정되는 경우가 있었다. 즉, 균종에 따른 항균력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제까지의 내용을 종합해 볼때,E. coli에 대한 키토산의 항균성 기전은 키토산의 아미노기가 특이적으로 병원균의 세포벽과 결합에 따른 균증식의 방해 때문이라는 주장과 더불어 일반 세균에 대한 키토산의 항균작용이 균체표면의 구조에 대한 영향이나 균의 대사과정중 DNA형성에 대한 저해작용이라는 추정도 대두되고 있으나 아직 확실히 규명되어 있지 못하다. 따라서, 향후 이에 대한 기전의 규명 역시 키토산의 응용범위을 확장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숙제라 여겨진다. 키틴과 키토산은 경구투여시 거의 무독성이며, 장내세균이 분비하는 키티나아제와 키토산나아제에 의하여 소화되어 소장벽에 올리고당으로 흡수되어 혈액과 조직으로 이행된다. 키틴올리고당과 키토산올리고당은 혈액중에서 대식세포에 작용하여 라이소자임을 유도하여 병원균의 세포벽을 분해하여 세균감염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조직중에서 가수분해되어 결합조직에 들어가 화상 등의 창상치유를 촉진한 것으로 조사되어, 최근 일본에서는 키토산을 이용하여 소, 고양이, 개 등에 발생하는 다양한 화농성 질병에 대하여 소염작용과 상처치유를 목적으로 수의 임상학에서 응용되고 있다.
가축농가에서 젖소의 유방염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키토산 올리고당의 제조 방법의 개요.
도2의 a∼d는 젖소 유방염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제조된 키토산 올리고당의 효소 처리 후 분자량 분포도를 시간별 GPC로 분석한 자료표이다.
도3은 병원성세균을 대상으로 하여 페이퍼 디스크법(감수성)에 의한 키토산 또는 키토산 올리고당의 당체 조성별 및 첨가농도별 항균효과를 확인한 것을 나타내는 사진 확대도 이다.
키토산 또는 키토산 올리고당의 당체수1∼16, 탈아세틸화도 약96, 점도가 1에 가까운 것을 사료나 음용수에 0.5∼0.0001wt% 혼합하거나 용해시켜 젖소에게 경구 투여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앞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실험실에서 매우 높은 항균효과를 보인 키토산 올리고당을 마우스에 투여한 후 면역세포 활성능력 및 병원성 세균에 대한 방어효과를 조사하였다.
키토사나제를 이용한 키토산 올리고당의 제조
본원 발명에 사용된 키토산 올리고당의 조제는 탈아세틸화도 75%, 85%, 96% 및 100%인 4종류, 전체 4종류의 평균 분자량 cps1.5±0.3이하의 분말상태 저분자 키토산 10g을 탈이온수 1ℓ에 충분히 분산시켰다. 여기에 각각 다른 약산인 0.5N 초산 또는 염산 또는 락틱산을 각각 다른 반응기에서 서서히 주가하여 용액화 시켜 우선 염산기가 도입된 키토산-산염을 제조하였으며, pH가 4∼5로되는 점을 종말점으로 희석 초산 또는 염산 또는 락틱산의 투여를 멈추고, 24시간 상온에서 교반하여 최종 pH가 5.5∼6.0이 되는 시점에서 온도를 50℃로 승온하고, 키토사나제(Bacillus pumilusBN-262, 曉津水産化學工業(주), 일본)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시간 사용한 키토사나제의 순도는 3,000-20,000U/g였으며,Bacillus pumilusBN-262이 생산하는 키토산 분해 조효소였다. 또한 분자량은 약 31,000(SDS-PAGE법)을 나타내는 물성을 보유하고 있는 효소를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즉, 키토산 1g에 대하여 효소 0.011g을 투입한 후 150rpm으로 교반하면서 동일한 온도에서 24시간 반응후 1시간동안 온도를 80℃에서 30분간씩 교반하여 효소의 활성을 제거한 후 조정하고, 12시간 정치시켜 침전된 효소를 원심분리(15,000rpm, 15분)하여 침전물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이를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수종의 키토산 올리고당을 제조하였다.
셀룰라제를 이용한 키토산 올리고당의 제조
본원에서는 셀룰라제(Cellulase)(ZEANZYME, Jeans care LTD., England)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즉, 본원 발명에 사용된 키토산 올리고당의 탈아세틸화도 75%, 85%, 96% 및 100%인 4종류, 전체 4종류의 평균 분자량 cps1.5±0.3이하의 분말상태 저분자 키토산 10g을 탈이온수 1ℓ에 충분히 분산시켰다. 여기에 각각 다른 약산인 0.5N 초산 또는 염산 또는 락틱산을 각각 다른 반응기에서 서서히 낙하 첨가하여 용액화 시켜 우선 염산기가 도입된 키토산-산염을 제조하였으며, pH가 4∼5로되는 점을 종말점으로 희석 초산 또는 염산 또는 락틱산의 투여를 멈추고, 24시간 상온에서 교반하여 최종 pH가 5.5∼6.0이 되는 시점에서 온도를 50℃로 승온하고, 키토산 100g당 셀룰라제 40ml를 투여한 후 150rpm, 24시간동안 반응을 진행하였으며, 24시간 교반을 멈추고, 5% NaOH용액을 이용하여 pH를 7∼8로 조정하여 잔존하는 초산 또는 락틱산 또는 염산기를 제거하고, 이를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표준물질과 박판그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분석을 하여 올리고당의 출현을 확인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의 키토산 올리고당을 획득하였다.
키토산 올리고당 당체별 분리
항균성이 높은 분자량의 분포도를 갖는 키토산 올리고 유도체의 획득을 위하여 키토산 올리고당 혼합체를 메탄올 또는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필알콜 또는 아세톤등으로 용매가 갖는 용해도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즉 일반수에 녹인 키토산 올리고당 용액을 교반하면서 0.5배부터 6배의 메탄올 또는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필알코올 또는 아세톤의 유기용매를 각각 다른 비이커에서 점차적으로 투여하면서, 이때 형성되는 침전물을 분리하여 이를 각각 분리하였다. 분리된 분자량이 각각 다른 키토산 올리고당은 표준물질과 박판그로마토그래피분석을 하여 정성적인 물성 분석을 하고, 분자량 분포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GPC(gel permeatation chromatography) 분석시스템(JASCO, 일본)을 사용하여 분포도를 정량하였으며, 잔존하는 염산기의 잔존량은 AgNO3적정법을 이용하여 적정하였다. 최종 획득된 키토산 올리고당 함유 용액을 농축, 동결건조하여 키토산 올리고당 분말을 얻었다. 당체별로 분리된 키토산 올리고당의 종류별 분자량 분포도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즉 전체 키토산 올리고당의 평균분자량은 2,000이하였으며, 탈아세틸화도는 96%로 정하고, 키토산 올리고당 당체가 1-16개 당체가 66.3%∼97.5%가 혼합된 물성치를 보유하고 있는 3 종류의 키토산 올리고당을 분리하였다.
표1. 본원 발명에 사용된 키토산 올리고당(Chitosan-oligosaccharide)(이하 COS라 칭함)
조성표
COS의 구분 분자량의 범위 평균분자량 키토산(*키토산올리고당체)의 함유량(wt%)
COS -1 104 ∼ 6,803 330 2.5(97.5)
COS -2 268 ∼ 9,787 1,533 14.1(85.9)
COS -3 1,436 ∼ 2,310 1,814 33.7(66.3)
주) * : 키토산 올리고당체의 구성이 1-16개 당체 함유량으로 정하였음.항균성 검정을 위한 유방염 유발 균주의 선택
항균성 검정을 위한 가축질병 병원체 분리주는 젖소의 유방염 발생시, 가축 사육환경에서 가장 빈번히 분리되는 대표적인 병원세균을 선발하였다. 유방염 유발균주는 전남대학교 수의과대학 질병진단실험실에 부검이 의뢰된 가축의 소장 내용물, 분변, 병변조직등에서 분리하였다. 기본적인 분리주 확보방법은 가검재료를 영양한천배지에 도말하여 분리한 다음 생화학적 검사를 통해 균을 동정하였으며, 혈청형 검사도 수행하였다. 본원 발명의 키토산·키토산 올리고당으로 치료할 수 있는 병원성 분리주명으로 표준균주 1종, 가축 분변등에서 분리한 분리균 9종으로 총 10종을 본원 발명의 재료로 사용하였다(표 2).
표2. 본원 발명의 키토산 또는 키토산 올리고당으로 치료할 수 있는 가축 유방염 유발 병원성
세균의 목록
본원에서 사용한 균주 대 상 동 물 비 고
Staphylococcus. aureusATCC 29213 표준 균주
야외분리Staphylococcus. aureus( 9종) 소, 닭의 가검물에서 분리 분리균사용
항균성 검정을 위한 유방염 균배지의 조제 및 배양
영양육즙배지(NB)를 121℃에서 15분 동안 가압 살균한 후 세균 배양을 위한 기본 배지로 사용하였다. 본 배양을 위한 배지조제는 121℃에서 15분 동안 가압살균한 2배 농도의 NB 배지(pH6.5)에 pH6.5로 조정 후, 키토산 올리고당 분리 당체를 첨가한 1% 용액과 살균증류수를 첨가하여 키토산 올리고당의 최종농도 0.5%(w/v), 0.1%(w/v), 0.01%(w/v), 0.001% 및 0.0001%(w/v)로 되게 하였으며, 비교 실험용 배지는 무첨가 NB 배지를 사용하였다. 본 배양은 하룻밤 배양한 종배양액을 0.1%(v/v)접종하고 24시간동안 회전 진탕 배양하였다.
당체별 제조된 키토산 올리고당의 페이퍼 디스크법에 의한 항균 효과의 측정
본 발명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가축질병 유발 세균 종류별 COS의 첨가농도별 항균성을 알아보기 위해 250㎖ 플라스크내 영양 육즙배지를 만들어, 세균(대장균)을 접종하여 37℃에 배양시키었다. 이들 균 배양액은 2 x 107CFU/㎖로 조정한 다음, 이중 0.5ml를 분취하여 영양 한천 아가 배지에 도말 후, 페이퍼 디스크법에 준하여 제조된 키토산 올리고당 당체별 농도별( 0% : 무첨가군, 0.5%, 0.1%, 0.05%, 0.01%, 0.001%, 0.00004% )로 첨가하여, 인큐베이터내어서 37℃, 24시간 배양하여 형성되는 성장저지환을 측정하여 당체별 농도별 항균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그림 3도>에 나타내었다. 즉, 1∼6 당체의 키토산 올리고당 혼합체는 농도에 상관없이 항균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7∼14 당체 및 1∼16 당체의 키토산 올리고당 혼합체는 0.0004%이상 첨가시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키토산 올리고 유도체에 대한 유방염 유발균에 대한 항균효과의 측정
본 발명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유방염 유발세균 종류별로 COS의 첨가농도별 항균성을 알아보기 위해 배양한 세균을 영양육즙배지 37℃에 배양시키었다. 이들 균 배양용액은 2 x 107CFU/㎖로 조정한 다음, 실시예로서는 실시예 20-3에서 준비된 COS-1은 표준균주와 야외분리균주(표 3-1 ∼ 3-4)에 대하여, COS-2은 야외분리균주(표 3-5 ∼ 표 3-8) 및 COS-3은 야외분리균주(표 3-9 ∼ 3-11)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실험실조건에서 실시하였다. 즉, COS를 농도별(0.5%, 0.1%, 0.01%, 0.001%, 0.0001%)로 첨가한 5개 처리군으로 설정하였고, 비교예로서는 COS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을 두었다. COS를 첨가한 후 5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8시간, 18시간 및 24시간에 각 처리군별로 10㎕씩 채취하여 990㎕의 인산완충액을 넣은 캡시험관에 잘 섞은 다음 이중 50㎕를 영양 한천배지에 도말하여 하루동안 배양시켜 나타난 집락수를 세었다. 또한 동시에 균수의 차이를 부여하였을때의 COS를 첨가시의 시간별 항균효과를 더불어 비교하였다<표 3도, 3-1∼3-11>. 그 결과로서 키토산 올리고당(COS)을 첨가한 경우에서는 최초 투여시의 균수에 비하여 5분이 경과한 이후부터 급격한 사멸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균의 종별 차이에 의해 다소 차이는 있었으며, 12시간 이상이 경과시에는 생존하는 콜로니는 나타나지 않아 완전히 사멸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3. 키토산 올리고당을 첨가한 후 Staphylococcus. aureus 균들의 시간별, 농도별 사멸 효과 측정결과 (최초 투여균수: 2x10 7 CFU/ml)
표3-1. 표준균주 Staphylococcus aureus ATCC 29213에 대한 항균효과
시험군 시험조건(캡튜브, 10ml기준, 37도,150rpm)
사멸효과(생존콜로니수)
키토산 올리고당의 투여 후 경과시간
0분 5분 10분 30분 1시간 2시간 36시간
비교예 COS무투여군 788 - - - - - 1,092
실시예 COS 0.5%투여군 260 71 28 38 1
COS 0.1%투여군 296 - - 75 38 14 0
COS 0.01%투여군 500 - - 92 54 168 1
COS 0.001%투여군 600 216 198 10 56 63 1
COS 0.0001%투여군 432 - - 8 2 2 1
표3-2. 야외 분리(젖소 소장분리) Staphylococcus. aureus 에 대한 항균효과
시험군 시험조건(캡튜브, 10ml기준, 37도,150rpm)
사멸효과(생존콜로니수)
키토산 올리고당의 투여 후 경과시간
무첨가 5분 10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12시간
비교예 COS무투여군 252 - - 392 - - - - 376
실시예 COS 0.5%투여군 372 - - 284 - - - - 1
COS 0.1%투여군 408 - - 324 268 - 272 - 0
COS 0.01%투여군 288 - - 372 - - - - 0
COS 0.001%투여군 268 212 116 204 27 12 7 - 0
COS 0.0001%투여군 152 - - 68 - - - - 0
표3-3. 야외 분리(젖소 대장 분리) Staphylococcus. aureus 에 대한 항균효과
시험군 시험조건(캡튜브, 10ml기준, 37도,150rpm)
사멸효과(생존콜로니수)
키토산 올리고당의 투여 후 경과시간
무첨가 5분 10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12시간
비교예 COS무투여군 168 - - 492 - - - - 1,200
실시예 COS 0.5%투여군 412 - - - 40 4 - - 0
COS 0.1%투여군 208 - - 120 104 128 - - 0
COS 0.01%투여군 124 - - 48 53 21 - - 0
COS 0.001%투여군 364 124 84 50 28 12 7 8 0
COS 0.0001%투여군 236 - - 5 2 0 0 0 0
표3-4. 야외분리(젖소 분변에서 분리) Staphylococcus. aureus 에 대한 항균효과
시험군 시험조건(캡튜브, 10ml기준, 37도,150rpm)
사멸효과(생존콜로니수)
키토산 올리고당의 투여 후 경과시간
무첨가 5분 10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12시간
비교예 COS무투여군 484 - - - 416 - - - 508
실시예 COS 0.5%투여군 872 - - 60 0 0 0 0 0
COS 0.1%투여군 300 - - 11 0 0 0 0 0
COS 0.01%투여군 276 - - 25 0 0 0 0 0
COS 0.001%투여군 464 12 14 0 0 0 0 0 0
COS 0.0001%투여군 716 - - 33 0 0 0 0 0
표3-5. 야외 분리(젖소 분변에서 분리) Staphylococcus. aureus 에 대한 항균효과
시험군 시험조건(캡튜브, 10ml기준, 37도,150rpm)
사멸효과(생존콜로니수)
키토산 올리고당의 투여 후 경과시간
무첨가 5분 10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12시간
비교예 COS무투여군 168 - - 492 - - - - 1,200
실시예 COS 0.5%투여군 412 - - - 40 4 - - 0
COS 0.1%투여군 208 - - 120 104 128 - - 0
COS 0.01%투여군 124 - - 48 53 21 - - 0
COS 0.001%투여군 364 124 84 50 28 12 7 8 0
COS 0.0001%투여군 236 - - 5 2 0 0 0 0
표3-6. 야외분리(닭 피하 조직에서 분리) Staphylococcus. aureus 에 대한 항균효과
시험군 시험조건(캡튜브, 10ml기준, 37도,150rpm)
사멸효과(생존콜로니수)
키토산 올리고당의 투여 후 경과시간
무첨가 5분 10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12시간
비교예 COS 무투여군 578 - - - - - - 1,066 2,000<
실시예 COS 0.5%투여군 1,008 672 896 896 328 112 - - 3
COS 0.1%투여군 1,280 992 1,400 2,032 358 51 - - 1,552
COS 0.01%투여군 1,200 1,168 1,280 1,232 1,104 280 - - 2,000<
COS 0.001%투여군 984 1,088 1,128 1,472 704 272 - - 2,000<
COS 0.0001%투여군 1,312 1,108 960 1,408 1,088 472 - - 2,000<
표 3-7. 야외분리(닭 소장에서 분리)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효과
시험군 시험조건(캡튜브, 10ml기준, 37도,150rpm)
사멸효과(생존콜로니수)
키토산 올리고당의 투여 후 경과시간
무첨가 5분 10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18시간
비교예 COS무투여군 22 - - - - - - - 93
실시예 COS 0.5%투여군 33 - - 1 0 0 - 0
COS 0.1%투여군 14 - - 4 8 2 0 - 0
COS 0.01%투여군 24 - - 12 9 3 2 0 0
COS 0.001%투여군 23 21 12 13 20 2 - - 4
COS 0.0001%투여군 30 - - 22 15 15 8 4 5
표3-8. 야외분리(닭 대장 분리) Staphylococcus. aureus 에 대한 항균효과
시험군 시험조건(캡튜브, 10ml기준, 37도,150rpm)
사멸효과(생존콜로니수)
키토산 올리고당의 투여 후 경과시간
무첨가 1분 3분 4분 5분 10분 30분 1시간 4시간 18시간
비교예 COS무투여군 1,632 - - - - - - - - 1,680
실시예 COS 0.5%투여군 960 - - - 888 368 512 248 1
COS 0.1%투여군 420 - - - 404 242 272 - 344 1
COS 0.01%투여군 984 - - - 178 - - - - 0
COS 0.001%투여군 1,216 992 1,080 856 720 880 568 552 304 84
COS 0.0001%투여군 652 - - - 482 1,088 888 - 45 0
표3-9. 야외분리(닭 대장에서 분리) Staphylococcus. aureus 에 대한 항균효과
시험군 시험조건(캡튜브, 10ml기준, 37도,150rpm)
사멸효과(생존콜로니수)
키토산 올리고당의 투여 후 경과시간
무첨가 5분 10분 30분 1시간 4시간 18시간
비교예 COS 무투여군 1,704 - - - - - 2,528
실시예 COS 0.5%투여군 1,720 21 2 19 10 11 0
COS 0.1%투여군 2,000< 12 7 6 2 3 0
COS 0.01%투여군 2,000< 15 1 2 0 94 0
COS 0.001%투여군 1,192 1 3 0 6 0 0
COS 0.0001%투여군 1,824 1 1 0 0 0 0
표3-10. 야외분리(닭 분변에서 분리) Staphylococcus. aureus 에 대한 항균효과
시험군 시험조건(캡튜브, 10ml기준, 37도,150rpm)
사멸효과(생존콜로니수)
키토산 올리고당의 투여 후 경과시간
무첨가 5분 10분 30분 1시간 4시간 18시간
비교예 COS 무투여군 24 - - - - - 55
실시예 COS 0.5%투여군 16 3 1 2 0 0 0
COS 0.1%투여군 33 14 5 0 0 0 0
COS 0.01%투여군 31 8 6 2 3 5 0
COS 0.001%투여군 42 16 9 1 0 0 1
COS 0.0001%투여군 34 28 18 26 - 6 0
표3-11. 야외분리(닭 분변에서 분리) Staphylococcus aureus 에 대한 항균효과
시험군 시험조건(캡튜브, 10ml기준, 37도,150rpm)
사멸효과(생존콜로니수)
키토산 올리고당의 투여 후 경과시간
무첨가 5분 10분 30분 1시간 4시간 18시간
비교예 COS 무투여군 24 - - - - - 55
실시예 COS 0.5%투여군 16 3 1 2 0 0 0
COS 0.1%투여군 15 0 0 0 0 0 0
COS 0.01%투여군 23 0 0 0 0 0 0
COS 0.001%투여군 7 0 0 0 0 1 4
COS 0.0001%투여군 12 0 0 0 0 0 1
<키토산올리고당의 유방염 치료효과 검정( In vivo )>
키토산 올리고당을 복강투여한 후 S. aureus 에 대한 방어효과 조사
본 발명과 관련한 병원균인S. aureus에 대한 키토산 및 키토산 올리고당을 이용한 기존 발표사항을 살펴보면, 상기의 Uchida등에 의해서 실험실적 항균성 효과를 확인하여 기 보고된바 있는데, 일반 키토산을 사용할 때S. aureus는 0.05%이상의 농도가 첨가될 때 항균효과가 나타났으며, 역시 본 발명과 유사하게 효소로 분해하여 제조한 키토산 올리고당체로서 분포는 3-8당체가 대부분인 물성치를 가진 제제를 가지고 역시 실험실적 조건에서 항균성을 검증한 바,S. aureus에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농도는 0.6%이상이었다고 하였으나, 이러한 실험결과는 실험실적 조건에서만 한정되었고, 실제적으로 동물실험에서의 효과는 검증된바 없다. 그러나, 본원의 발명에 사용된 키토산 올리고당 제제는 실시예 20-3에서 제조된 COS-3을 사용하여 실험실적 항균효과를 비교하고, 이를 동물실험에 적용하여 생존수를 확인함으로써 그 치료효과를 검정하여 발표된 예는 없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는, 유방염 원인균중 가장 발생율이 높고, 전염성이며, 치료율도 낮아 낙농가에게 가장 큰 경제적 손실을 주는S. aureus에 대한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에 두당 일일 0.5∼2mg를 복강내 7일간 주사한 후 최종 8일째에 ml당 5×108CFU의 균주를 복강내에 공격접종하였다. 그 결과 키토산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은 10두중 9두가 폐사되었으나, 키토산 올리고당 투여그룹에서는 농도별 차이에 따라 70∼100%의 생존율을 나타내어S. aureus에 대한 방어효과가 인정되었다(표 4).
표4. 마우스에 키토산 올리고당 7일간 복강투여한 후 S. aureus 에 대한 방어효과 조사
구 분 COS투여용량(두당) 실험두수 폐 사 두수 생존율
공격접종*1일째 3일째 4일째 5일째 6일째 7일째
실 험 군 2 mg 10 1 0 0 0 0 0 90%
1 mg 10 3 0 0 0 0 0 70%
0.5 mg 10 0 0 0 0 0 0 100%
대 조 군 10 9마리 0 0 0 0 0 10%
* 5×108CFU/ml
유방염 젖소에 대한 키토산 올리고당의 치료효과( in vivo ) 검정
본원 발명에서는 상술한 사실에 기초하여 유방염 치료제로서 키토산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위의 선인들의 보고와 반추류의 경우 키틴 키토산의 높은 소화율과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실시예 20-3에서 준비된 COS-3을 제재를 두당 15g의 비율로 급여하였다. 즉, 유방염에 감염된 젖소에 일일 1회씩 총 7일간 사료에 혼합하여 경구 투여한 후 유방염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최초 투여후 7일째와 14일째에 유즙을 채취한 후 원인균 검사와 체세포수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표 5>에서와 같이 키토산 올리고당 투여전에 체세포수가 278만 이었으나 최초 투여후 7일째에는 197만으로 29.0%의 감소효과를 보였으며, 투여후 14일째에는 156만으로 43.6%의 높은 체세포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표 5. 키토산 제재 급여에 따른 체세포수 감소효과 조사
개체번호 체세포수 ( ×1,000 )
투여전 최초 투여후 7일째 최초 투여후 14일째
1 370 430 403
2 695 396 481
3 447 470 450
4 5,682 3,866 2,662
5 6,663 5,157 4,053
6 4,452 2,179 1,138
7 1,829 1,061 555
8 437 458 432
9 532 1,216 1,802
10 5,820 3,972 2,747
11 1,578 733 906
12 1,841 878 435
13 1,401 2,017 2,152
14 7,030 5,221 4,331
15 1,035 822 726
16 6,935 4,282 3,050
17 550 422 358
평균 2,782 1,975(29.0%) 1,569(43.6%)
* 투여후 체세포수 - 투여전 체세포수/투여전 체세포수 × 100
유방염에 대한 키토산 올리고당의 치료효과는 유방염의 원인이 되는 세균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사멸시키는 항균작용과 혈액과 조직에서 키토산 올리고당이 간접적으로 PMN 세포이주 강화와 대식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켜 세균을 제거하고 상처난 유방조직에 대한 치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키토산 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젖소의 유방염 예방 및 치료제.
  2. 제1항에 있어서, 키토산 올리고당이 우유체세포수 감소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젖소의 유방염 예방 및 치료제.
  3. 제1항에 있어서, 키토산 올리고당을 사료에 혼합하거나 또는 음용수에 넣어 경구투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젖소의 유방염 예방 및 치료제.
  4. 제1항에 있어서, 키토산 올리고당은 키토사나제로 분해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젖소의 유방염 예방 및 치료제.
  5. 제1항에 있어서, 키토산 올리고당은 셀룰라제로 분해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젖소의 유방염 예방 및 치료제.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키토산 올리고당을 사료에 0.5∼0.0001wt% 혼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젖소의 유방염 예방 및 치료제.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키토산 올리고당을 음용수에 0.5%∼0.0001% 용해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젖소의 유방염 예방 및 치료제.
KR1019980033405A 1998-08-18 1998-08-18 키토산 또는 키토산 올리고당을유효성분으로 하는 젖소의 유방염 치료제 KR100321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3405A KR100321932B1 (ko) 1998-08-18 1998-08-18 키토산 또는 키토산 올리고당을유효성분으로 하는 젖소의 유방염 치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3405A KR100321932B1 (ko) 1998-08-18 1998-08-18 키토산 또는 키토산 올리고당을유효성분으로 하는 젖소의 유방염 치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796A true KR19990044796A (ko) 1999-06-25
KR100321932B1 KR100321932B1 (ko) 2002-09-05

Family

ID=37460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3405A KR100321932B1 (ko) 1998-08-18 1998-08-18 키토산 또는 키토산 올리고당을유효성분으로 하는 젖소의 유방염 치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19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092B1 (ko) * 1999-12-09 2003-02-05 주식회사대성미생물연구소 동물용 복합항균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6675A (ja) * 1992-08-07 1994-03-01 Nippon Soda Co Ltd 家畜の乳房炎予防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092B1 (ko) * 1999-12-09 2003-02-05 주식회사대성미생물연구소 동물용 복합항균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1932B1 (ko) 200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del‐Ghany et al. Effects of dietary chitosan supplementation on farmed fish; a review
KR101536901B1 (ko)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및 파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KR101228993B1 (ko) 발효 및 배양 방법, 식물발효 엑기스, 식물발효 엑기스분말 및 이 식물발효 엑기스 배합물
KR19990028736A (ko) 일정한 페하, 온도, 시간 조건하에 세포를 자가분해하여 β-글루칸-만난제를 제조하는 방법
Hindu et al. Effect of microencapsulated probiotic Bacillus vireti 01-polysaccharide extract of Gracilaria folifera with alginate-chitosan on immunity, antioxidant activity and disease resistance of Macrobrachium rosenbergii against Aeromonas hydrophila infection
JP2009203160A (ja) 抗ウィルス及び抗菌剤
KR101663570B1 (ko) 평위산 부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사료
Thanigaivel et al. Seaweed polysaccharide mediated 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and its enhanced disease resistance in Oreochromis mossambicus
KR20080050506A (ko) 동물용 사료 첨가제
WO2005087241A1 (ja) 家畜・家禽類又は魚介類の感染防除剤
KR101120161B1 (ko) 키토산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0351754B1 (ko) 가축사료 첨가제용 조성물
KR100321932B1 (ko) 키토산 또는 키토산 올리고당을유효성분으로 하는 젖소의 유방염 치료제
Chellapandian et al. Nanochitosan for the production of more effective fish feed for aquaculture
WO2018112361A1 (en) Antimicrobial yeast preparation and methods for preparation and use thereof
JP2002507123A (ja) プロバイオティックの有効性を改良する方法、栄養添加物の調製、およびそれを含む動物飼料
KR19990015681A (ko) 양어의 항병성 사료
KR100371090B1 (ko) 동물용 복합항균제 조성물
KR20200058353A (ko) 왕귀뚜라미 추출물의 헥센 분획물 또는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JPH08157377A (ja) 家畜等の下痢予防・治療剤
Mulyani A mini-review: the role of chitosan in aquaculture fish health management
KR20010068226A (ko) 키토산 올리고당 및 타우린이 함유된 사료 및 음수첨가용영양제 조성물
KR100371092B1 (ko) 동물용 복합항균제 조성물
KR20000050331A (ko) 미네럴염 키토산올리고당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가축 질병 예방 및/또는 치료제
CN102433314A (zh) 一种重组墨吉明对虾溶菌酶及其制备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