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1376U -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1376U
KR19990041376U KR2019980008200U KR19980008200U KR19990041376U KR 19990041376 U KR19990041376 U KR 19990041376U KR 2019980008200 U KR2019980008200 U KR 2019980008200U KR 19980008200 U KR19980008200 U KR 19980008200U KR 19990041376 U KR19990041376 U KR 199900413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eering
rear wheel
wheel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훈
Original Assignee
김남훈
주식회사 한성에코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훈, 주식회사 한성에코넷 filed Critical 김남훈
Priority to KR2019980008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1376U/ko
Publication of KR199900413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376U/ko

Links

Landscapes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륜과 후륜을 동시에 조향할 수 있는 4륜 조향장치로 이루어진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는, 프론트 액슬(10) 및 리어 액슬(1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전륜 및 후륜실린더(20)(22)와; 차량의 소정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전륜 및 후륜실린더(20)(22)의 연결되어 그 동작을 제어하는 로터리형 방향전환밸브(30)와; 로터리형 방향전환밸브(30)에 연결되는 유압 오일탱크(40) 및 펌프(50)와; 펌프(50)에 연결되며, 차량에 동력을 전달하는 엔진(60)으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는 전륜과 후륜을 동시에 조향함으로써 회전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회전반경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작업환경이 열악한 지형에서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어서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이로 인해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
본 고안은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륜과 후륜을 동시에 조향할 수 있는 4륜 조향장치로 이루어진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4륜차는 커브를 돌 때, 일반적으로 모든 바퀴가 동심원상으로 회전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이것은 어느 바퀴도 미끄러지지 않고 부드럽게 선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하여 조향 바퀴가 되는 2개의 앞바퀴 중, 안쪽 바퀴의 조향각은 바깥쪽 바퀴보다 항상 일정한 비율로 더 꺽여지지 않으면 안되게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인 4륜차는 전(前)2륜만을 핸들로 방향을 바꿈으로써 차체의 진로를 변화시켜 주지만 4륜조향차는 뒷바퀴도 함께 조향시키는 것이다. 이와같이 4륜조향을 하는 이유는 저속시에서의 선회반경을 작게 하려는 점과, 주차시에 비스듬하게 출입 가능하게 하는 점과, 고속시의 조향을 대단히 안정되게 하는 점 등이다.
그러나, 종래의 4륜 조향차는 전,후륜의 조향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이 없음으로 인하여 4륜 조향차의 조향을 정확하게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종래의 4륜 조향차의 경우 동위상을 단순히 제어수단만으로 제어하게 되므로 비용이 많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구조적 결함을 해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륜과 후륜을 동시에 조향하여 회전반경을 최소화시킨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지형이 열악하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농기계의 이동이 용이한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는, 프론트 액슬 및 리어 액슬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전륜 및 후륜실린더와; 차량의 소정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전륜 및 후륜실린더에 연결되어 그 동작을 제어하는 로터리형 방향전환밸브와; 로터리형 방향전환밸브에 연결되는 유압 오일탱크 및 펌프와; 펌프에 연결되며, 차량에 동력을 전달하는 엔진으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
도 1은 본고안의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농기계 차량의 우회전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농기계 차량의 좌회전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농기계 차량의 우회전시의 유압회로도,
도 5는 농기계 차량의 좌회전시의 유압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론트 액슬 12 : 리어 액슬
20 : 전륜실린더 22 : 후륜실린더
24 : 타이로드 26 : 서스펜션암
28 : 보조 너클암 30 : 로터리형 방향전환밸브
40 : 유압 오일탱크 50 : 펌프
60 : 엔진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가 우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가 좌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프론트 액슬(10) 및 리어 액슬(1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전륜 및 후륜실린더(20)(22)와, 차량의 소정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전륜 및 후륜실린더(20)(22)의 동작을 제어하는 로터리형 방향전환밸브(30)와, 상기 로터리형 방향전환밸브(30)에 연결되는 유압 오일탱크(40) 및 펌프(50)와, 상기 펌프(50)에 연결되며, 차량에 동력을 전달하는 엔진(6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액슬(10)(12)에는 각기 메인 샤프트(16)(18)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액슬(10)(1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기 전륜 및 후륜실린더(20)(22)의 양측에는 각기 타이로드(24) 및 보조 너클암(28)이 각기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서스펜션암(26)의 일측면에는 타이어(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륜 및 후륜실린더(20)(22)의 내측에는 각기 피스톤 로드(70)(72)가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70)(72)에는 각기 피스톤(74)(76)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륜 및 후륜실린더(20)(22)의 일측에는 각기 체크밸브(27)(29)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펌프(50)는 로터리형 방향전환밸브(30)의 펌프측에 유압호스(52)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펌프(50)의 양측에는 탱크(40)와 보조탱크(41)가 각기 설치된다. 상기 엔진(60)은 벨트에 의해 구동되는 방식을 채택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미설명 부호 33은 차대 프레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의 동작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는 엔진(60)이 구동하여 펌프(50)를 동작하게 되면 로터리형 방향전환밸브(30)가 전륜 및 후륜실린더(20)(22)를 소정의 방향으로 동작시키게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는 동위상 조향을 갖는 것으로 농기계 차량의 회전시, 전,후방 타이어(25)의 이동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농기계 차량이 우회전을 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엔진(60)이 구동하여 펌프(50)가 동작하게 되면 로터리형 방향전환밸브(3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전륜실린더(20)를 전방으로 전진시키게 되고, 후륜실린더(22)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농기계 차량이 우회전을 완료한 경우에는 로터리형 방향전환밸브(30)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후륜실린더(22)를 전방으로 이동하고, 전륜실린더(20)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농기계 차량이 좌회전을 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엔진(60)이 구동하여 펌프(50)가 동작하게 되면 로터리형 방향전환밸브(30)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후륜실린더(22)를 전방으로 전진시키게 되고, 전륜실린더(20)는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농기계 차량이 좌회전을 완료한 경우에는 로터리형 방향전환밸브(3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후륜실린더(22)를 후방으로 이동하고, 전륜실린더(20)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농기계 차량은 로터리형 방향전환밸브(30)를 이용하여 전륜 및 후륜실린더(20)(22)의 우회전 및 좌회전을 자유롭게 조향함에 의해 회전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동위상을 갖게되므로 고속 주행중일 때 전,후륜이 같은 방향으로 바뀌기 때문에 앞바퀴만의 조향으로 인한 뒷바퀴의 슬립이 없어지고, 젖은 노면등에서의 조향도 원만하게 된다. 게다가, 농기계 차량을 비스듬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주차가 용이하여 초보자도 쉽게 농기계 차량을 운전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는 전륜과 후륜을 동시에 조향함으로써 회전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회전반경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작업환경이 열악한 지형에서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어서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이로 인해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프론트 액슬(10) 및 리어 액슬(1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전륜 및 후륜실린더(20)(22)와;
    차량의 소정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전륜 및 후륜실린더(20)(22)의 연결되어 그 동작을 제어하는 로터리형 방향전환밸브(30)와;
    상기 로터리형 방향전환밸브(30)에 연결되는 유압 오일탱크(40) 및 펌프(50)와;
    상기 펌프(50)에 연결되며, 차량에 동력을 전달하는 엔진(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및 후륜실린더는 그 양측이 타이로드 및 보조 너클암에 각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
KR2019980008200U 1998-05-18 1998-05-18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 KR199900413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200U KR19990041376U (ko) 1998-05-18 1998-05-18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200U KR19990041376U (ko) 1998-05-18 1998-05-18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376U true KR19990041376U (ko) 1999-12-15

Family

ID=69511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200U KR19990041376U (ko) 1998-05-18 1998-05-18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137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189B1 (ko) * 2018-10-25 2020-04-16 장진만 자동 정렬기능을 갖는 농업용 운반차량의 조향장치
KR20200046668A (ko) * 2018-10-25 2020-05-07 장진만 농업용 운반차량의 조향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189B1 (ko) * 2018-10-25 2020-04-16 장진만 자동 정렬기능을 갖는 농업용 운반차량의 조향장치
KR20200046668A (ko) * 2018-10-25 2020-05-07 장진만 농업용 운반차량의 조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125952A (ja) 全輪独立操舵装置
US20110224872A1 (en)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Vehicle Steering
US6675927B1 (en) Fork lift with laterally travelling system
JP3464325B2 (ja) 作業車の転舵装置
KR102116015B1 (ko) 농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
KR19990041376U (ko) 농기계 차량용 조향장치
JP3891744B2 (ja) トラクタの操向装置
JPS61200064A (ja) 4輪操舵装置
CN210235087U (zh) 用于四轮湿喷机的转向控制系统
US6840345B2 (en) Steering system for vehicle with four drive wheels
JP4109361B2 (ja) 走行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CN219056372U (zh) 一种转弯半径小的汽车底盘agv
JPH0249108Y2 (ko)
JPS60261779A (ja) 全油圧式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
CN220147418U (zh) 一种通用多向底盘机构
JPH01190587A (ja) 車輪のトー角制御装置
JPS63149219A (ja) 産業車両における駆動装置の支持装置
JP3821613B2 (ja) 後2軸車両の後前輪操舵制御装置
JPH0222389Y2 (ko)
JP3077288B2 (ja) 動力車輌における四輪操舵装置
KR200331849Y1 (ko) 링크식 후륜 강제조향장치
Zadafiya et al. Developing a System for Reducing the Turning Radius of a Car
JPH0730419Y2 (ja) 移動農機の回向装置
JPS62187653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H02136379A (ja) トラクタ等の操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