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0365U - 메모리 디바이스의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메모리 디바이스의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0365U
KR19990040365U KR2019980007001U KR19980007001U KR19990040365U KR 19990040365 U KR19990040365 U KR 19990040365U KR 2019980007001 U KR2019980007001 U KR 2019980007001U KR 19980007001 U KR19980007001 U KR 19980007001U KR 19990040365 U KR19990040365 U KR 199900403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ester
output
terminal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70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용주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199800070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0365U/ko
Publication of KR199900403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365U/ko

Links

Landscapes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모리 디바이스의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메모리 디바이스의 테스트 보드와 테스터에 있어서 서로의 어드레스단과 클럭단 및 입출력단에 각각 연결하여 테스트함으로써, 입출력단이 많은 메모리 디바이스의 경우 상기 테스터의 입출력단 수가 부족하여 테스트가 매우 어렵고, 또한 여러개의 메모리 디바이스를 동시에 테스트하는 병렬테스트시 상기 테스트되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수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테스터의 입출력단과 메모리 디바이스의 입출력단을 서로 호환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테스트 보드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테스터를 호환사용함에 따라 장비운용비를 절감하고, 장비가동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메모리 디바이스의 테스트 장치
본 고안은 메모리 디바이스의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리 디바이스의 테스트에 있어서 테스터의 입출력단과 메모리 디바이스의 입출력단을 서로 호환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테스터는 클럭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클럭 드라이버와 다수의 입출력 드라이버 및 비교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테스터 내부에서 발생되는 신호와 상기 테스터와 검사하고자 하는 장치의 단자간의 연결상태를 메인 프로그램(Main program)에 삽입하여 그에 따른 테스트 동작을 수행한다.
도 1은 종래 테스트 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디바이스(미도시)를 테스트하여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내 셀의 이상유무를 확인하는 테스터(100)와;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와 테스터(100)의 서로의 어드레스단과 클럭단 및 입출력단에 각각 연결하는 테스트 보드(200)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일실시예의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테스터(100)와 테스트 보드(200)를 이용하여 메모리 디바이스인 디램(DRAM)을 테스트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상기 테스터(100)에서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RAS : Row Address Strobe)신호, 칼럼 어드레스 스트로브(CAS : Column Address Strobe)신호, 쓰기 인에이블(WE : Write Enable)신호, 출력 인에이블(OE : Output Enable)신호, 어드레스(ADD)를 테스트 보드(200)에서 입력받은 후, 상기 테스터(100)의 복수의 입출력단(TIO0∼TIOk)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테스트 보드(200)의 복수의 입출력단(DIO0∼DIOk)을 통해 입력받는다.
상기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RAS)신호, 칼럼 어드레스 스트로브(CAS)신호, 쓰기 인에이(WE)신호 및 어드레스(ADD)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테스터(100)의 복수의 입출력단(TIO0∼TIOk)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테스트 보드(200)의 입출력단(DIO0∼DIOk)을 거쳐 메모리 디바이스(미도시)에 순차적 저장된다.
그 후, 출력 인에이블(OE)가 틀어오면, 이 신호에 의해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테스트 보드(200)의 입출력단(DIO0∼DIOk)을 통해 상기 테스터(100)로 출력되고, 상기 테스터(200)는 입출력단(TIO0∼TIOk)을 통해 들어오는 데이터와 처음 출력하였던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 내의 셀 이상유무를 검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 메모리 디바이스의 테스트 보드와 테스터에 있어서 서로의 어드레스단과 클럭단 및 입출력단에 각각 연결하여 테스트함으로써, 입출력단이 많은 메모리 디바이스의 경우 상기 테스터의 입출력단 수가 부족하여 테스트가 매우 어렵고, 또한 여러개의 메모리 디바이스를 동시에 테스트하는 병렬테스트시 상기 테스트되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수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테스터의 입출력단과 메모리 디바이스의 입출력단을 서로 호환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테스트 보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테스트 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 테스트 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도 2에서 입출력제어모듈 회로도.
도 4는 본 고안 테스트 장치의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테스터 300 : 테스트 보드
310 : 입출력선택부 320∼337 : 입출력제어모듈
350 : 래치부 360,361 : 전송게이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메모리 디바이스의 테스트 장치의 구성은 메모리 디바이스를 테스트하여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의 이상유무를 확인하는 테스터와; 상기 테스터와 메모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단과 클럭단 및 입출력단을 서로 호환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테스트 보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에 대한 동작과 작용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을 테스트 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 디바이스(미도시)를 테스트하여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의 이상유무를 확인하는 테스터(100)와; 상기 테스터(100)의 입출력단(TIO0∼TIO17)과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의 입출력단(DIO0∼DIO35)을 서로 호환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테스트 보드(300)로 구성하며, 상기 테스트 보드(300)는 상기 테스터(100)의 n번째 클럭단(TCn)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테스트 보드(300)의 복수의 입출력단(DIO0∼DIO35)을 선택하여 상기 테스터(100)의 복수의 입출력단(TIO0∼TIO17)과 연결하는 입출력선택부(310)로 구성하며, 상기 입출력선택부(310)는 상기 테스트 보드(300)의 복수의 입출력단(DIO0∼DIO35)을 선택하여 그에 해당되는 테스터(100)의 복수의 입출력단(TIO0∼TIO17)과 각기 연결하는 복수의 입출력제어모듈(320∼337)로 구성한다.
도 3은 도 2에서 입출력제어모듈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신호(CTR)를 반전하여 출력 및 유지하는 래치부(350)와; 상기 제어신호(CTR)를 반전단자로 입력받고 상기 래치부(350)의 신호를 비반전단자로 입력받아 테스터(100)의 입출력단(TIO0)과 테스트 보드(300)의 제1 입출력단(DIO0)을 연결하는 제1 전송게이트(360)와; 상기 제어신호(CTL)를 비반전단자로 입력받고 상기 래치부(350)의 신호를 반전단자로 입력받아 상기 테스터(100)의 입출력단(TIO0)과 상기 테스트 보드(300)의 제2 입출력단(DIO18)을 연결하는 제2 전송게이트(361)로 구성하며,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테스터(100)와 테스트 보드(300)를 이용하여 메모리 디바이스를 테스트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상기 테스터(100)에서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RAS : Row Address Strobe)신호, 칼럼 어드레스 스트로브(CAS : Column Address Strobe)신호, 쓰기 인에이블(WE : Write Enable)신호, 출력 인에이블(OE : Output Enable)신호, 어드레스(ADD)를 테스트 보드(300)에서 입력받은 후, 상기 테스터(100)의 복수의 입출력단(TIO0∼TIOk)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테스트 보드(300)의 복수의 입출력단(DIO0∼DIOk)을 통해 입력받는다.
우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T1구간에서 상기 테스터(100)가 n번째 클럭단(TCn)에서 저전위인 제어신호(CTL)가 입출력선택부(310)로 출력되면, 그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입출력선택부(310)는 복수 개의 입출력제어모듈(321∼337) 각각에 저전위의 제어신호(CTL)를 출력한다.
여기서, 각각 상기 저전위 제어신호(CTL)를 입력받은 복수의 입출력제어모듈(321∼337)에서 반전단자로 상기 저전위 제어신호(CTL)를 입력받고 래치부(350)에서 고전위로 반전된 신호를 비반전단자로 입력받은 각각의 제1 전송게이트(360)는 온되나, 비반전단자로 상기 저전위 제어신호(CTL)를 입력받고 반전단자로 상기 래치부(350)의 고전위 신호를 입력받은 각각의 제2 전송게이트(361)는 오프된다.
그러므로, 상기 입출력선택부(310)는 상기 테스트 보드(300)의 제1 입출력단(DIO0)부터 제18 입출력단(DIO17)까지 선택하여 상기 테스터(100)의 복수의 입출력단(TIO0∼TIO17)과 각기 연결되어 도 1에 도시한 종래 테스트 장치와 동일하게 테스트를 수행한다.
그 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T2구간에서 상기 테스터(100)가 n번째 클럭단(TCn)으로 고전위인 제어신호(CTR)가 입출력선택부(310)로 출력되면, 그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입출력선택부(310)는 복수 개의 입출력제어모듈(321∼337) 각각에 고전위의 제어신호(CTL)를 출력한다.
따라서, 반전단자로 상기 고전위 제어신호(CTL)를 입력받고 비반전단자로 상기 래치부(350)에서 저전위로 반전된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제1 전송게이트(360)가 오프되나, 비반전단자로 상기 고전위 제어신호(CTL)를 입력받고 반전단자로 상기 래치부(350)의 저전위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제2 전송게이트(361)는 온된다.
그러므로, 상기 입출력선택부(310)는 상기 테스트 보드(300)의 제19 입출력단(DIO18)부터 제36 입출력단(DIO35)까지 선택하여 상기 테스터(100)의 복수의 입출력단(TIO0∼TIO17)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도 1에 도시한 테스트 장치와 동일하게 테스트를 수행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테스터의 입출력단과 메모리 디바이스의 입출력단을 서로 호환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테스트 보드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테스터를 호환사용함에 따라 장비운용비를 절감하고, 장비가동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메모리 디바이스를 테스트하여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의 이상유무를 확인하는 테스터와; 상기 테스터와 메모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단과 클럭단 및 입출력단을 서로 호환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테스트 보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테스트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보드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테스트 보드의 입출력단을 선택하여 테스터의 입출력단과 연결하는 입출력선택부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테스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선택부는 테스트 보드의 입출력단을 선택하여 그에 해당되는 테스터의 입출력단과 각기 연결되는 복수의 입출력제어모듈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테스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제어모듈은 제어신호를 반전하여 출력 및 유지하는 래치부와; 상기 제어신호를 반전단자로 입력받고 상기 래치부의 신호를 비반전단자로 입력받아 테스터의 제1 입출력단과 테스트 보드의 제1 입출력단을 연결하는 제1 전송게이트와; 상기 제어신호를 비반전단자로 입력받고 상기 래치부의 신호를 반전단자로 입력받아 상기 테스터의 제1 입출력단과 상기 테스트 보드의 제2 입출력단을 연결하는 제2 전송게이트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테스트 장치.
KR2019980007001U 1998-04-30 1998-04-30 메모리 디바이스의 테스트 장치 KR199900403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001U KR19990040365U (ko) 1998-04-30 1998-04-30 메모리 디바이스의 테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001U KR19990040365U (ko) 1998-04-30 1998-04-30 메모리 디바이스의 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365U true KR19990040365U (ko) 1999-11-25

Family

ID=6951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7001U KR19990040365U (ko) 1998-04-30 1998-04-30 메모리 디바이스의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036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0469B2 (en) Electronic element comprising an electronic circuit which is to be tested and test system arrangement which is used to test the electronic element
US6404250B1 (en) On-chip circuits for high speed memory testing with a slow memory tester
US5514975A (en) Data output impedance control
US7325182B2 (en) Method and circuit arrangement for testing electrical modules
US6708295B2 (en) Circuit and method, for storing data prior to and after determining failure
US7227810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testing method for semiconductor device
KR100560616B1 (ko) 메모리 자동 테스트 장치에서 고속 테스트를 위한 분기방법
US5978945A (en) Tester arrangement comprising a connection module for testing, by way of the boundary scan test method, a carrier provided with a first number of digital ICS with BST logic and a second number of digital ICS without BST logic
KR19990040365U (ko) 메모리 디바이스의 테스트 장치
KR19990029201A (ko) 테스트 회로
KR100574479B1 (ko) 램버스 디램의 테스트장치
US6292008B1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burn-in systems for testing modules by using a board
KR200287948Y1 (ko) 메모리모듈의테스트보드
KR20100027276A (ko) 테스트 보드
KR20080026226A (ko) 멀티 포트 메모리 장치 및 그 테스트 방법
JP3165131B2 (ja) 半導体集積回路のテスト方法及びテスト回路
KR100258871B1 (ko) 반도체 메모리소자 테스트장치
KR200280380Y1 (ko) 메모리테스트장치
KR100247173B1 (ko) 검사기판에 장착된 소자의 임의 선택이 가능한 검사 시스템
KR10050561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번인 테스트용 인쇄회로기판
JP2000090700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2008090989A (ja) 半導体記憶装置
KR20000023332A (ko) 번-인-테스트 장치
KR20010097188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970077413A (ko) 주문형 반도체에서의 테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