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9917A - 냉장고용 도어 발포 금형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도어 발포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9917A
KR19990039917A KR1019970060168A KR19970060168A KR19990039917A KR 19990039917 A KR19990039917 A KR 19990039917A KR 1019970060168 A KR1019970060168 A KR 1019970060168A KR 19970060168 A KR19970060168 A KR 19970060168A KR 19990039917 A KR19990039917 A KR 19990039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let
refrigerator
mol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0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9557B1 (ko
Inventor
박성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0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9557B1/ko
Publication of KR19990039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5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4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62Household appliances
    • B29L2031/7622Refrigerators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 핸들이 형성되는 냉장고용도어의 발포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재의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냉장고의 도어 발포 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포 시 도어의 캡(53, 54) 위치인 상부금형(55)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재(60)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도어 발포 금형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재(60)를 유체의 압력을 가감시킴으로써 간헐 고정시키도록 상부 금형(55)에 구성된 고정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용 도어 발포 금형
본 발명은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 핸들이 형성되는 냉장고용도어의 발포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 냉동실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한 냉장, 냉동실을 개폐시키는 냉장, 냉동 도어로 외관이 구성되는 바, 상기한 케이스와 도어는 단열을 위해 우레탄 발포 성형하게 된다.
특히, 상기한 도어에는 발포 시 상하부 밀폐 및 손잡이 형성등을 위해 상, 하부 캡이 결합되는 바,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 도어(50)의 하부에 형성된 제1캡(51)과, 상기한 제1캡(51)과 대응되면서 일정 형상을 이루고 냉장 도어(52)의 상부에 결합된 제2캡(53)과, 상기한 냉장 도어(52)의 하부에 결합된 제3캡(54)으로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제1, 2, 3 캡(51, 53, 54)을 소정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냉장고의 전면 디자인을 다양하게 한다.
상기한 도어의 발포 성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되어 도어 형상을 이루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상, 하부 금형(55, 56)과, 상기한 상, 하부 금형(55, 56) 사이에 위치됨과 아울러 캡(53, 54)과 결합된 내, 외상(57, 58)과, 상기한 캡(53, 54) 위치에 나사(59)로 고정되이 교체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재(6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발포 작업은 작업자가 상, 하부 금형(55, 56)의 사이에 내, 외상(57, 58)을 삽입한 후 상기한 내, 외상(57, 58)과 결합되도록 캡(53, 54)을 결합시킨 후 그 사이에 우레탄(U)을 발포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캡(53, 54)의 형상이 변경되면 상기한 고정재(60)를 교체시키면서 발포 작업을 연속 실시하게 된다.
즉, 상기한 캡(53, 54)은 냉장고의 크기 및 디자인별로 각각 상이한 것을 사용하게되는 바, 상기한 캡(53, 54)의 형상등에 적합하도록 상기한 고정재(60)를 교체하면서 발포 작업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캡의 형상에 따라 각각 별도 형성됨과 아울러 교체되는고정재를 나사로 간헐 고정하게 되면 작업자가 이를 교체할 때 수작업으로 나사를 고정 및 취출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재의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냉장고의 도어 발포 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포 시 도어의 캡 위치인 상부 금형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재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도어 발포 금형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재를 유체의 압력을 가감시킴으로써 간헐 고정시키도록 상금형에 구성된 고정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 발포 금형에서 상부 금형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에어 밸브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도 2a는 에어 차단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b는 에어 주입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노즐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일반적인 수평 핸들이 적용된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 발포 금형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구 2 : 유로
3 : 에어 밸브 4, 7 : 스프링
5 : 피스톤 6 : 하우징
8 : 밸브 9 : 압박봉
10 : 노즐 11 : 노즐 본체
53, 54 : 캡 55 : 상부 금형
도 1과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 발포 금형에서 상부 금형을 도시한 평단면도와 도 1에서 에어 밸브와 노즐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유체의압력을 가감시킴으로써 상부 금형(55)에 끼워지는 고정재(60)를 양측에서 가압 고정하도록 구성된 고정 수단이 상부 금형(55)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고정 수단은 고정재(60)의 일측면에 일단이 위치됨과 아울러 타단이 외부로 연통되도록 입구(1)가 형성되고 상부 금형(55)에 형성된 유로(2)와, 상기한 입구(1)를 간헐 차단하도록 설치된 에어 밸브(3)와, 상기한 유로(2)의 입구(1) 대항단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일면이 고정재(60)와 밀착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한 고정재(6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인가하도록 스프링(4)으로 지지된 피스톤(5)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에어 밸브(3)를 통해 유로(2)에 고압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한 공기압에의해 피스톤(5)이 고정재(60) 방항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한 피스톤(5)에 의해고정재(60)가 고정될 뿐만 아니라 상기한 고압 공기를 빼내게 되면 스프링(4)의 탄성에 의해 피스톤(5)이 고정재(60)와 이격됨으로써 캡(53, 54)이 자유 상태가 되어 교체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에어 밸브(3)는 고압 공기 주입 시 입구(1)를 개방시키고 주입 후 입구(1)를 차단하게 되는 바, 이는 입구(1)의 하면에 고정된 하우징(6)과, 상기한 하우징(6)에 삽입됨과 아울러 저면이 스프링(7)으로 지지되어 상항되면서 입구(1)를 간헐 차폐하는 밸브(8)로 구성되어 있다.
즉, 고압 공기 주입시에는 압박봉(9)이 형성된 노즐(10)로 입구(1)를 가압하게 되면 밸브(8)가 개방됨과 아울러 노즐 본체(11)가 외부를 차단하면서 주입 가능하게 되고, 취출시에는 상기한 압박봉(9)을 약간만 가압하면서 노즐 본체(11)와 입구(1)를 이격시키면 그 사이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냉장고 발포 시 소정 형상의 고정재(60)가 상부 금형(55)에 결합된 상태에서 발포하게 되는 바, 이때, 상기한 냉장고 도어에 결합되는 캡(53, 54)의 형상이 변경되면 작업자가 상부 금형(55)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재(60)를 교체해야 한다.
즉 고정재(60) 교체 시 작업자가 노즐(10)을 입구(1)에 위치시킨 후 상기한 밸브(8)를 압박하게 된다.
밸브(8)를 압박하게 되면 입구(1)가 개방되는 바, 상기한 노즐(10)의 본체(11)와 입구(1)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면 그 사이를 통해 유로(2)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고압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고압 공기가 배출되면 유로(2) 내부의 압력이 급격히 하향되고, 상기한 피스톤(5)을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4)의 탄성에 의해 피스톤(5)이 고정재(60)에서 이격되는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고정재(60)에서 피스톤(5)이 이격되면 상기한 고정재(60)가 자유 상태가 되고, 작업자가 용이하게 고정재(60)를 취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고정재(60)의 취출 후 다른 고정재(60)를 상부 금형(55)에 삽입한 후 작업자가 에어 밸브(3)의 입구(1)에 노즐(10)을 위치시키게 된다.
노즐(10)을 입구(1)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압박봉(9)으로 밸브(8)를 가압함과 동시에 노즐 본체(11)를 입구(1)에 밀착시기게 된다.
노즐 본체(11)가 입구(1)에 밀착되면 상기한 노즐(10)을 통해 유로(2) 내부에 고압공기를 충진하게 된다.
고압 공기가 유로(2)에 충진되면 상기한 피스톤(5)을 고정재(60) 방항으로 압박하게 되는 바, 상기한 고압 공기의 압력이 스프링(4)의 탄성을 극복하게 되면 피스톤(5)이 고정재(60)에 밀착된다.
고정재(60)에 피스톤(5)이 밀착되면 결과적으로 상기한 고압 공기의 압력으로 고정재(60)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가 되면서 상기한 고정재(6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된다.
고정재(60)가 고정되면 상기한 노즐(10)을 입구에서 분리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분리 시 밸브(8)가 스프링(7)의 탄성으로 상향되면서 입구(1)를 차단하게 되고, 입구(1)가 차단되면 유로(2) 내부의 압력이 유지됨으로써 고정재(60)의 고정이 계속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한 유로(2) 내부에 고압 공기를 충진시키거나 취출시켜 피스톤(5)으로 고정재를 가압 및 해제시킴으로써 고정재(60)의 고정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부 금형에 유로를 형성한 후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고정재를 간헐 고정시킴으로써 작업자의 고정재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발포 시 도어의 캡 위치인 상부 금형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재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도어 발포 금형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재를 유체의 압력을 가감시킴으로써 간헐 고정시키도록 상금형에 구성된 고정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발포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 수단은 고정재의 일측면에 일단이 위치됨과 아울러 타단이 외부로 연통되도록 입구가 형성되고 상금형에 형성된 유로와, 상기한 입구를 노즐을 통한 에어 공급 시 개방하고 공급 후 차단하도록 설치된 에어 밸브와, 상기한 유로의 입구 대향단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일면이 고정재와 밀착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한 고정재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인가하도록 스프링으로 지지된 피스톤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발포 금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에어 밸브는 입구의 하면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한 하우징에 삽입됨과 아울러 저면이 스프링으로 지지되어 상향되면서 입구를 간헐 차폐하도록 형성된 밸브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발포 금형.
KR1019970060168A 1997-11-14 1997-11-14 냉장고용 도어 발포 금형 KR100239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168A KR100239557B1 (ko) 1997-11-14 1997-11-14 냉장고용 도어 발포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168A KR100239557B1 (ko) 1997-11-14 1997-11-14 냉장고용 도어 발포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917A true KR19990039917A (ko) 1999-06-05
KR100239557B1 KR100239557B1 (ko) 2000-01-15

Family

ID=19524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0168A KR100239557B1 (ko) 1997-11-14 1997-11-14 냉장고용 도어 발포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95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8539A2 (ko) * 2009-12-24 2011-06-30 Sun Doo Hoon 발포수지재 스티어링 휠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8539A2 (ko) * 2009-12-24 2011-06-30 Sun Doo Hoon 발포수지재 스티어링 휠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WO2011078539A3 (ko) * 2009-12-24 2011-11-17 Sun Doo Hoon 발포수지재 스티어링 휠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9557B1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612B1 (ko) 압력구동식 분배 컨테이너를 위한 탄성 폐쇄장치
AU635235B2 (en) Injection mold method and apparatus
CA2584959A1 (en) An improved valve gate for a hot runner injection molding machine
KR960700144A (ko) 가압성형장치 및 가압성형방법
EP1114708A1 (en) Material bead charging method, synthetic resin mold foam forming method using this method, and mold foam formed product obtained by this method
KR100239557B1 (ko) 냉장고용 도어 발포 금형
KR101081470B1 (ko) 공기 압축력을 이용한 내용물 분사식 용기
KR20080004089A (ko)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고체 냉매 제조장치
KR970000406Y1 (ko) 스티로폴 성형용 형틀
JP6807107B2 (ja) ノズル用液切れバルブ
KR19990016491U (ko) 사출 성형시 공기압이 배출되는 금형 구조
JPH04267124A (ja) 樹脂中空成形品の製造方法
KR100239558B1 (ko) 냉장고용 도어 발포 금형
KR20130119278A (ko) 워터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JPH10296781A (ja) トランスファ成形型装置におけるプランジャー構造
KR200295323Y1 (ko) 찬바트의 바트함체
RU206705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й из вспенивающихся материалов
KR19990039386A (ko) 냉장고용 도어 발포 금형
KR100365825B1 (ko) 프린터 카트리지용 잉크 주입장치
KR100445937B1 (ko) 다용도 케이스
KR0148639B1 (ko) 냉장고용 식수유출장치
JPH0361014A (ja) 射出成形金型
CN114888283A (zh) 一种送料盒
KR200210828Y1 (ko) 세액투출장치
KR20010107286A (ko) 냉장고의 워터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