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639B1 - 냉장고용 식수유출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식수유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639B1
KR0148639B1 KR1019950030493A KR19950030493A KR0148639B1 KR 0148639 B1 KR0148639 B1 KR 0148639B1 KR 1019950030493 A KR1019950030493 A KR 1019950030493A KR 19950030493 A KR19950030493 A KR 19950030493A KR 0148639 B1 KR0148639 B1 KR 0148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water
opening
push rod
refrigerato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0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490A (ko
Inventor
이용권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30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8639B1/ko
Publication of KR970016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6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3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34Modules
    • B67D2210/00036Modules for use with or in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문짝 내측에 물통을 장착하고 외부에서 문짝을 열지 않은 상태로 물통내의 식수를 유출시킬 수 있는 것으로 종래 장치는 급수전이 수평으로 장치 되어 식수가 정체되고, 누수가 발생되며, 개폐 조작 수단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어 이를 개선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출관(12)이 중앙에 형성된 지지체(P)와, 유출관(12) 내에서 상하로 승하강되는 개폐밸브(V)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하단부에 작동구가 고정된 지지봉을 유출관에 내설하여 하방의 작동구가 승하강되도록한 개폐밸브(V)와, 밀대 및 레버가 연동되게 설치된 개폐조작부재(L)로 조합구성하되, 작동구(17)의 저면이 밀대(22)의 상면에 접동되도록 설치함으로서 사용자의 의도나 자세에 따라 물유출수단을 선택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함은 물론, 물유출시 관로내에 정체되는 잔류물이 없도록한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용 식수유출장치
본 발명은 냉장고의 문짝 내측에 물통을 장착하고 외부에서 문짝을 열지 않은 상태로 물통내의 식수를 유출시킬 수 있는 냉장고용 식수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문짝을 여닫을시 상당치의 냉기 손실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문짝 내부에 물통을 장착하고 문짝 외부에 급수밸브를 장치하여 문짝을 열지 않은 상태에서 급수밸브를 통하여 식수를 유출할 수 있도록 된 장치가 다수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취지로서 안출되었던 종래의 냉장고용 급수장치로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의 내부에 장착된 물통(1)의 하방에 유출관(2)을 연결설치하고 문짝의 외부에 장착된 급수전(3)을 상기 유출관(2)과 연결하여 급수전(3)의 밸브꼭지(4)에 장치된 개폐밸브(5)를 조작하므로서, 물통(1)내의 식수가 급수전(3)을 통하여 외부로 공급되도록 된 것이 통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급수장치는 물통(1)내의 식수가 수평으로 설치된 유출관(2)과 급수전(3)사이에 정체되어 있다가 개폐밸브(5)의 조작시 개방된 밸브꼭지(4)를 통하여 유출되게 되므로 초기에 유출되는 식수는 적절히 냉각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외부에 노출되거나 외부에 근접된 위치에 설치되는 급수전(3)과 유출관(2)이 외부의 열전도 현상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되기 때문에 내부에 정체된 식수의 온도가 상승되어 차가운 냉수를 공급할 수 없게 되며, 더욱이 장시간 정체되어 있으면 수질이 변질되는 경우도 빈번하였다.
또한, 급수전(3)의 밸브꼭지(4)내에는 개폐밸브(5)에 의하여 유출관(4a)을 개폐시키는 패킹(6)이 장치되어 있으며 식수의 수압이 급수전(3)과 유출관(2)을 통해 패킹(6)의 측방에 가해지게 되므로 장시간 사용으로 패킹(6)이 마모되면 틈새로 식수가 누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식수를 유출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급수전의 하방에 장치되어 사용자가 컵으로 밀면 식수가 유출되는 전후 레버식이나, 급수전의 상부에 장치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하방으로 재끼면 식수가 유출되는 상하 레버식이 통용되고 있으나, 각각의 유출 수단은 사용자의 조건이나 자세에 따라 전후 레버식이 편리한 경우가 있고, 상하 레버식이 편리한 경우가 있으나, 종래의 식수유출장치는 한가지 수단만이 선택적으로 장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임의로 사용할 수 없어 불편한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급수장치는, 첫째, 유출관과 급수관내에 정체되어 있는 식수가 차가운 상태가 되지 못한 뿐 아니라 수질이 변질될 우려가 있으며, 둘째, 유출공을 개폐하는 패킹이 마모되면 틈새로 누수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 들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통의 하방에 수직으로 장치된 급수장치에 의하여 물통내의 식수를 유출시키면 급수장치에 잔류되는 일없이 외부로 완전히 유출되면서 항시 물통내의 차갑고 신선한 식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로 승하강 되게 장치된 패킹에 의하여 유출공이 개페되므로 패킹이 상면에 수압이 가하여지고 유출공이 패킹에 의하여 긴밀하게 밀착되어 장기간 사용으로 패킹 마모되어도 누수가 방지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식수를 유출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부와 하방에 각각의 밀대와 레버를 장착하여 사용자의 조건이나 자세에 따라 식수 유출 수단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물통의 하방에 결합되도록 되고 유출관이 중앙부 상하로 연장형성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유출관내에 장치되면서 상하로 승하강 되는 개폐밸브와, 개폐밸브 하단부에 고정되는 작동구의 하단부에 상면이 밀착설치되는 밀대를 레버와 연동되게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의 냉장고용 식수유출장치를 보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상태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 지지체 V : 개폐밸브
L : 개폐 조작 부재 12 : 유출관
12a : 상부유출관 12b : 하부유출관
14 : 공간부 15 : 지지봉
17 : 작동구 17a : 유출공
18 : 스프링 19 : 개구부
20 : 접동면 21 : 승강면
22: 밀대 23 : 지축
24: 레버 25,26 : 스프링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지체(P)는, 상부가 개방된 낮은 높이의 원통형 통체(11) 중앙부에 원통형의 유출관(12)을 일체로 연장형성하여 통체(11)의 저면(11a)을 기준으로 상부로 돌출되는 상부 유출관(12a)과 하부로 돌출된 하부 유출관(13b)을 이루도록 하되 각각의 상부유출관(12a)과 하부 유출관(12b)이 통공(13)에 의해 관통되도록 하고, 하부 유출관(12b)의 벽체에는 공간부(14)를 형성하여 이룬다.
개폐밸브(V)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지지봉(15)의 상단부에 원추형 또는 원판형의 패킹(16)을 고정하고 유출공(17a)이 형성된 작동구(17)를 지지봉(15)의 하단부에 고정함과 통체(1)의 유출관(12) 중앙을 관통하는 상태로서 지지봉(15)을 매입설치하되, 패킹(16)의 저면은 상부 유출관(12a)의 상단부에 위치되게 하고, 작동구(17)는 하부유출관(12b)의 하방으로 노출되게 장치하며, 하부 유출관(12b)의 공간부(14)에는 스프링(18)을 설치하고 스프링(18) 하방의 공간부(14)에는 작동구(17)의 상단부를 결합하여서 작동구(17)의 상단부가 공간부(14)내에서 상하로 탄발유동되게 설치하여 이룬다.
개폐조작부재(L)는,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개구부(9)가 형성됨과 동시에 평면상의 접동면(20)의 전후에 소정각도로 경사지는 승강면(21)이 형성된 밀대(22)와, 지축(23)에 의하여 전후로 작동되는 레버(24)로 구성하되 상기 밀대(22)의 후단부에 레버(24) 상단부를 유동가능상태로 조립하고 밀대(22)의 후단부와 레버(24)의 일측에는 각각 스프링(25),(26)을 설치하며, 밀대(22)의 접동면(20)은 개폐밸브(V)의 작동구(17)의 저면에 밀착되게 설치하면서 밀대(22)는 작동구(17)의 하방에 수평상태로 상기 레버(24)는 작동구(17) 하방 후단부에 수직상태로 각각 설치되도록 구성하여 이룬다.
미설명부호 22a는 밀대(22)의 가압부, 24a는 레버(24)의 가압부, 27은 물통, 28은 냉장고의 문짝, 29는 급수 공간부, 30은 컵이다.
이와같은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식수유출장치는 냉장고의 문짝(28) 내측에 장치하는 것이나, 밀대(22)와 레버(24)는 급수공간부(29)로 노출되게 장착하며, 식수가 담겨진 물통(27)은 지지체(P)에 결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식수를 유출시키고자 할 경우,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작동구(17)하방에 컵(30)을 놓아두고 사용자는 밀대(22)와 레버(24)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밀대(22)의 가압부(22a)를 후방으로 밀면 작동구(17)의 저면에 지지되어 있던 접동면(20)이 후퇴하고 전방측 승강면(21)이 작동구(17)의 저면에 도달되면 경사면을 따라 작동구(17)의 상부가 공간부(14)내로 상승되므로 지지봉(15)이 상승되며, 이때 상부유출관(12a)의 상단부를 차단하고 있던 패킹(16)이 상승되므로 상부유출관(12a)을 통하여 물통(27)내의 식수가 유입된다.
상부유출관(12a)으로 유입된 식수는 통공(13)을 통하여 하부유입관(12b)으로 유입된 후 작동구(17)의 유출공(17a)을 통하여 하방으로 유출되며, 접동면(20)과 승강면(21)의 중앙부위에는 개구부(19)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출공(17a)을 통하여 하방에 위치된 컵(30)에 식수를 단정하게 담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밀대(20)의 가압과 동시에 식수의 유출이 개시되고 밀대(20)를 가압하고 있는 동안 계속하여 식수가 유출된다.
식수의유출을 중단시키고자 밀대(22)에 가하고 있던 가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압축되었던 스프링(25)의 복원력에 의하여 밀대(22)가 원위치 되면서 승강면(21)이 후퇴되고 접동면(20)이 작동구(17)의 하방에 지지되므로 상승되어 있던 작동구(17)는 스프링(18)의 복원력에 의하여 하강되고 지지봉(15) 상단부의 패킹(16)이 하강되어 상부유출관(12a)의 상단부를 차단한다. 이때 패킹(16)의 상단면에 수압이 가하여지므로 패킹(16)의 저면이 상부유출관(12a)의 상단부에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패킹(16)이 장기간 사용으로 마모된다 하여도 누수될 염려가 없다.
이때 밀대(22)에 가하여졌던 가압력을 제거함과 동시에 패킹(16)이 하강되어 식수의 유출이 중단되며, 유출관(12)내의 식수는 잔존되는 일 없이 모두 유출된다.
또한, 레버(24)를 작동시켜 식수를 유출시키고자 할 경우, 컵(30)으로 가압부(24a)를 밀면 지축(23)을 기점으로 레버(24)의 상단부가 밀대(22)를 전방측으로 이동시켜 주게 되므로 접동면(20)에 지지되어 있던 작동구(17)가 후방측 승강면(21)에 지지되면서 상승됨과 동시에 지지봉(15)이 상승되어 패킹(16)이 개방되고 식수가 유출된다.
소기의 목적달성 후 레버(24)에 가하여지던 가압력을 제거하면 스프링(26)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위치되고 밀대(22)도 레버(24)와 함께 원위치 된다. 즉, 밀대(22)와 레버(24) 중에서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눌러 가압하여도 동시에 작동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어느 하나의 유출수단을 선택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은 물통의 하방에 수직으로 식수유출장치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식수가 중간에 정체되는 일없이 항시 차갑고 신선한 식수를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패킹의 상부로 수압이 가하여지므로 유출관을 긴밀하게 차단하여 누수를 방지하며 밀대와 레버가 장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냉장고 뿐만 아니라 저장된 물을 유출시키는 모든 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 개소가 적은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9)

  1. 유출관(12)이 중앙에 형성된 지지체(P)와, 유출관(12)내에서 상하로 승하강되게 장치된 개폐밸브(V)로 구성된 유출장치에 있어서, 하단부에 작동구(17)가 고정설치된 지지봉(15)을 상,하부유출관(12a,12b)에 설치하여 작동구(17)가 승하강 되도록한 개폐밸브(V)와, 상기 작동구를 직접 밀어서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작동구 하방에 위치된 밀대(22)와, 상기 밀대를 간접적으로 밀도록 밀대의 후단부에 회동되기 고정된 레버(24)가 연동되게 장치된 개폐 조작 부재(L)로 조합구성하되 상기 작동구(17)의 저면이 밀대(22)의 상면에 접동되게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식수유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작동구(17)는 하부유출관(12b)의 공간부(14)에 위치시키고 작동구(17)의 상부에는 스프링(18)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식수유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작동구(17)의 저면에 유출공(17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식수유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개폐 조작 부재(L)는, 밀대(22)를 작동구(17)의 하방에 수평상태로 설치함과 동시에 레버(24)는 작동구(17)의 하방 후단부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식수유출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밀대(22)의 상면에 평면상의 접동면(20)을 형성하고 접동면(20)의 전후에 경사진 승강면(2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식수유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밀대(2)는 길이 방향으로 개구부(19)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식수유출장치.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지축(23)에 의하여 전후로 유동되는 레버(24)의 상단부를 밀대(22)의 후단부에 유동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식수유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밀대(22)와 레버(24)는 밀대(22)의 후단부에 설치된 스프링(25)과, 레버(24)의 일측에 설치된 스프링(26)에 의해 각각 탄발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식수유출장치.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밀대(22)와 레버(24)의 작동에 따라 작동구(17)의 저면이 접동면(20)이나 승강면(21)에 접동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식수유출장치.
KR1019950030493A 1995-09-18 1995-09-18 냉장고용 식수유출장치 KR0148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0493A KR0148639B1 (ko) 1995-09-18 1995-09-18 냉장고용 식수유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0493A KR0148639B1 (ko) 1995-09-18 1995-09-18 냉장고용 식수유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490A KR970016490A (ko) 1997-04-28
KR0148639B1 true KR0148639B1 (ko) 1999-01-15

Family

ID=19427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0493A KR0148639B1 (ko) 1995-09-18 1995-09-18 냉장고용 식수유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86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490A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2292C2 (ru) Способ наполнения жидкостью пакетов из фольги, снабженных штуцером,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4178956A (en) Self-draining sill cock assembly
DK165519B (da) Lukkeventil med laekagehulrum
US2673005A (en) Fountain dispenser
CA2541692C (en) Yard hydrant with drain port check valve
KR970032964A (ko)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
US10132067B2 (en) Major water leak prevention apparatus for water inlet valve
EP3325730B1 (en) Sanitary-ware
KR0148639B1 (ko) 냉장고용 식수유출장치
JP2612539B2 (ja) 蛇口装置の中の飲料導管を清掃及び空にするための装置
KR20100078571A (ko)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
CN101395419A (zh) 液压驱动装置
JP4008316B2 (ja) 液体充填方法
US4194524A (en) Valve chamber flushing system
JP3897619B2 (ja) 自動給水装置
KR20060122478A (ko)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
KR100390934B1 (ko) 다기능 절수기기
KR0148638B1 (ko) 냉장고용 식수유출장치
US20070145070A1 (en) Flow control device for dispenser of refrigerator
US1271840A (en) Measuring-faucet.
JP3594451B2 (ja) 給水制御装置の水抜機構
KR0148637B1 (ko) 냉장고용 식수유출장치
KR100475248B1 (ko) 유체를 차단하는 밸브의 응용 방법
RU2212351C1 (ru) Раздаточная колонка, переключатель
JP3440397B2 (ja) 給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