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9496A -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9496A
KR19990039496A KR1019970059620A KR19970059620A KR19990039496A KR 19990039496 A KR19990039496 A KR 19990039496A KR 1019970059620 A KR1019970059620 A KR 1019970059620A KR 19970059620 A KR19970059620 A KR 19970059620A KR 19990039496 A KR19990039496 A KR 19990039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data
shuttle
image
scan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0931B1 (ko
Inventor
류영익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59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0931B1/ko
Priority to US09/190,280 priority patent/US6295386B1/en
Priority to DE69817300T priority patent/DE69817300T2/de
Priority to EP98309290A priority patent/EP0917343B1/en
Priority to JP10323414A priority patent/JP3031618B2/ja
Publication of KR19990039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9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6Arrangements for the main scanning
    • H04N1/128Arrangements for the main scanning using a scanning head arranged for linear reciprocating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1/0473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in subscanning direction, e.g. picture start or line-to-lin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11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more than one main scanning line, e.g. scanning in sw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06Arrangements for positioning elements within a head
    • H04N2201/02439Positioning meth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3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using the scanning elements as detectors, e.g. by performing a pres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15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by detecting marks or the like, e.g. slits
    • H04N2201/04717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by detecting marks or the like, e.g. slits on the scanned sheet, e.g. a reference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34Detecting at frequent intervals, e.g. once per line for sub-sca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58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canned image area
    • H04N2201/04787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canned image area by changing or controlling the addresses or values of pixels, e.g. in an array, in a memory, by interpo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9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using stored control or compensation data, e.g. previously measur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94Varying the control or compensation during the scan, e.g. using continuous feedback or from line to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Character Input (AREA)
  • Facsimile Head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기 설정된 소정형태의 패턴을 기록지에 인쇄하고, 패턴이 인쇄된 기록지의 초기위치로 역피딩한 후 패턴을 스캐닝하며, 스캐닝된 패턴데이터를 저장하고, 패턴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화상편차량을 계산하며, 기 설정된 보정테이블로부터 화상편차량에 대응하는 보정량을 검출 및 저장하고, 원고를 스캐닝하여 스캐닝된 원고데이터를 보정량만큼 보정한다.
따라서,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를 보정하여 항상 안정된 스캐닝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셔틀방식 스캐너(Shuttle Type Scanner)의 화상편차 보정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정렬공차로 인한 화상편차 및 셔틀운동에서 발생되는 관성으로 인한 화상편차를 보정하도록 한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상적인 셔틀방식 스캐너에서는 이송되는 원고에 대하여 정확하게 직교하는 방향으로 스캐닝헤드가 이송되어야 한다. 이는 정렬공차가 '0'인 상태를 의미한다. 셔틀방식 스캐너는 스캐너헤드를 좌에서 우로 혹은 우에서 좌로 이동하면서 원고의 화상을 스캐닝한다. 이때, 기구적인 공차로 인하여 스캐닝된 화상에 편차가 발생한다.
또한, 스캐너헤드가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할 때 이를 가이드하도록 스캐너헤드와 가이드축(Shaft)이 상호 결합되어 있는데, 가이드축은 스캐너헤드의 일측에만 결합되어 있으므로, 스캐너헤드가 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가이드축에 결합된 스캐너헤드의 일측으로부터 반대되는 측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운동의 관성으로 인한 기울어짐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원고상에서 직선으로 표현된 데이터가 스캐닝과정을 거치게 되면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선으로 스캐닝되므로, 이에 대한 보정작업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화상편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스캐너의 유효스캐닝영역을 벗어난 스캐닝가능영역의 끝지점에 패턴이 기록된 기준스티커(Base Sticker)를 부착하고(도 1 참조), 스캐너가 기준스티커의 패턴을 1밴드단위로 스캐닝하여 1밴드의 최초 및 최종 데이터의 오차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차만큼 스캐닝된 화상정보를 보정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화상편차 보정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1) 스캐닝시에 발생하는 화상편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기준스티커를 부착한 경우, 기준스티커를 부착하는 작업공정상에서 발생한 오차를 보정할 방법이 없으므로, 기준스티커에 의해 오차가 계속 발생한다.
(2) 기준스티커를 부착하는 공정상의 오차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위치를 정밀하게 보정하여 부착하기 위한 작업방법과 그에 따른 장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생산성이 저하되고, 부가경비가 발생한다.
(3) 화상편차를 보정한 후에 제품의 커버를 조립하여야 하므로, 생산공정이 복잡하다.
(4) 잉크분산으로 인하여 기준스티커가 오염된 경우, 화상편차를 정확하게 보정할 수 없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준스티커를 정기적으로 청소하여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원고의 화상데이터를 스캐닝하기 이전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기록지에 소정형태의 패턴을 인쇄하고, 인쇄된 패턴을 스캐닝하여 스캐닝된 패턴데이터의 화상편차량을 저장하며, 원고의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화상편차량에 대응하는 화상보정량만큼 보정하도록 한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위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셔틀방식 스캐너의 동작상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적용된 셔틀방식 스캐너의 개략적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셔틀방식 스캐너모듈의 상세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장치의 개략적 블럭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고,
도 6a 및 도 6b은 본 발명에 적용된 패턴이 기록지에 인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a 및 도 7d는 본 발명에 적용된 보정테이블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된 래스터변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캐리지 리턴모터 2: 스캐너모듈
3: 프린터헤드 15: 제어부
16: 롬 17: 램
25: 래스터부 26: 프린터헤드 드라이버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기록지에 기 설정된 소정형태의 패턴을 인쇄하는 단계; 인쇄단계에서 인쇄된 패턴을 스캐닝하고, 스캐닝된 패턴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패턴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화상편차량을 계산하는 단계; 기 설정된 보정테이블로부터 화상편차량에 대응하는 보정량을 검출 및 저장하는 단계; 원고를 스캐닝하고, 스캐닝된 원고데이터를 보정량만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인쇄단계는, 프린터헤드를 소정위치에 고정한 상태에서 기록지를 프린터헤드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송시키면서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쇄작업이 종료된 후, 기록지를 인쇄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이송시켜 초기위치로 세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린터헤드를 프린터헤드의 이동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송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송단계 후, 하나의 스캐닝밴드내에 패턴이 모두 인쇄될 때까지 인쇄단계와 초기위치 세팅단계를 반복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패턴은, 한 라인의 직선형태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일반데이터와 구분되도록 정형화되고 다수개의 라인을 갖는 직선형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준데이터는, 패턴을 편차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스캐닝하였을 때의 데이터이다.
또한, 보정단계는, 스캐닝된 원고데이터를 래스터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래스터 변환된 원고데이터를 보정량만큼 일괄적으로 보정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래스터변환은, 부주사방향의 라인단위로 분할된 원고데이터를 주주사방향의 라인단위로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쇄단계로부터 저장단계까지를 수행하는 시점은, 스캐닝작업이 개시되는 시점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가 접수되는 시점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원고에 기록된 원고데이터와 기록지에 형성된 패턴을 스캐닝하는 셔틀방식 스캐너모듈; 기록지에 기 설정된 소정형태의 패턴을 인쇄하는 프린터헤드; 일련의 스캐닝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셔틀방식 스캐너모듈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인쇄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린터헤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가 정해진 순서에 따라 셔틀방식 스캐너모듈 및 프린터헤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일정한 흐름을 가진 프로그램이 저장됨과 동시에 스캐닝된 화상데이터의 편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테이블과 기 설정된 기준데이터가 저장된 롬; 및 셔틀방식 스캐너모듈을 통하여 스캐닝된 화상데이터가 저장되는 램을 포함하며; 제어부는, 프린터헤드를 통하여 기록지에 소정형태의 패턴을 형성하고, 기록지에 기록된 패턴을 스캐닝하며, 스캐닝된 패턴데이터와 롬에 저장된 기준데이터를 비교하여 화상편차량을 계산하고, 보정테이블로부터 화상편차량에 대응하는 보정량을 검출하여 램에 저장하며, 원고로부터 스캐닝된 원고데이터에 대하여 보정량만큼 보정하여 신호처리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장치에 있다.
또한, 부주사방향의 라인단위로 분할된 원고데이터를 주주사방향의 라인단위로 분할하여 래스터 변환하는 래스터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래스터 변환된 원고데이터에 대하여 보정량만큼 원고데이터의 각 라인을 일괄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 및 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c에는 본 발명에 적용된 셔틀방식 스캐너의 개략적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평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 내지 도 2c를 보면, 캐리지 리턴모터(1)는 스캐닝영역 및 프린팅영역으로부터 인접된 지점에 설치되어 원고에 기록된 화상데이터를 스캐닝할 수 있도록 스캐너모듈(2)을 좌우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프린터헤드(3)가 기록지에 소정형태의 화상을 프린팅할 수 있도록 프린터헤드(3)를 좌우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이송벨트(4)는 캐리지 리턴모터(1)로부터 연장된 모터축(5)상에 설치되고, 프린터헤드(3)와 스캐너모듈(2)을 동시에 지지하는 지지체(6)에 고정 설치되어 캐리지 리턴모터(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함으로써, 프린터헤드(3)와 스캐너모듈(2)을 동시에 지지하는 지지체(6)를 좌우측으로 왕복 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가이드축(7)은 프린터헤드(3)와 스캐너모듈(2)을 동시에 지지하는 지지체(6)가 이송벨트(4)에 의해 좌우측으로 왕복 운동함에 있어, 이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원고와 기록지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지지체(6)는 가이드축(7)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홈(9)이 형성된 지지돌기(10)를 포함하며, 지지돌기(10)의 일측이 이송벨트(4)에 결합되어, 이송벨트(4)가 구동됨에 따라 지지체(6)가 가이드축(7)상을 왕복운동한다.
스캐너모듈(2)은 지지체(6)에 의해 프린터헤드(3)의 측부에 고정 설치되고, 이송벨트(4)가 구동됨에 따라 프린터헤드(3)와 연동되어 원고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좌우 왕복운동한다. 여기서, 스캐너모듈(2)과 프린터헤드(3)는 원고 및 기록지가 이송되는 트레이(8)의 상부에 설치되어 원고의 화상데이터가 기록된 면 혹은 기록지에 화상을 프린팅할 면이 상측방향으로 향한 상태(Face-Up)에서 이송되는 원고에 기록된 화상데이터를 하측방향으로 스캐닝하거나, 이송되는 기록지에 화상을 프린팅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셔틀방식 스캐너모듈(2)의 상세구조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셔틀방식 스캐너모듈(2)은 그 상단에 램프(11)가 설치되어, 램프(11)로부터 방사된 광이 원고의 화상데이터가 기록된 면에 조사되도록 하였다. 또한, 램프(11)의 하부에는 원고에 기록된 화상데이터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을 감지하여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12)가 장착되어 있고, 램프(11)와 이미지센서(12) 사이에는 원고에 기록된 화상데이터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이 이미지센서(12)에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반사광을 집적화하는 렌즈(13)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램프(11)와 이미지센서(12) 및 렌즈(13)는 스캐너모듈 케이스(14)에 의해 고정되고 일체화된다.
또한,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장치의 개략적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어부(15)는 일련의 스캐닝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셔틀방식 스캐너모듈(2)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프린터헤드(3)가 기 설정된 소정형태의 패턴을 인쇄하도록 프린터헤드(3)의 동작을 제어하고, 롬(16)은 제어부(15)가 정해진 순서에 따라 셔틀방식 스캐너모듈(2)과 프린터헤드(3)의 동작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일정한 흐름을 가진 프로그램이 저장됨과 동시에 스캐닝된 화상데이터의 편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테이블과 기 설정된 소정형태의 패턴에 대응하는 기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램(17)은 제어부(15)가 시스템을 제어하는 동안에 발생되는 임시데이터(특히, 스캐닝된 화상데이터)가 임시로 저장된다.
또한, 램프(11)는 원고의 화상데이터로부터 반사된 반사광량으로 원고의 화상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해 광을 출력하고, 램프 드라이버(18)는 제어부(15)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램프(11)의 점등 및 소등상태를 제어하며, 이미지센서(12)는 제어부(15)의 제어신호에 따라 원고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전기적인 아날로그신호로 광전변환한다.
캐리지 리턴모터(1)는 제어부(15)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캐너모듈(2)을 좌우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스텝모터(19)는 제어부(15)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캐너모듈(2)을 정해진 해상도에 따라 원고의 부주사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버퍼(20)는 이미지센서(12)에 의해 광전변환된 아날로그형태의 화상신호를 신호처리하는 과정에서 신호의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버퍼링하고, 아날로그 스위치(21)는 제어부(15)로부터 공급된 신호에 따라 버퍼(20)에 의해 버퍼링된 아날로그형태의 화상신호에 적합한 증폭도를 선택하며, 증폭부(22)는 버퍼(20)로부터 출력된 낮은 전압레벨의 아날로그 화상신호를 입력받아 후단의 회로에서 신호처리할 수 있도록 아날로그스위치가 선택한 증폭도로 아날로그형태의 화상신호를 증폭한다.
그리고, 전처리부(23)는 증폭부(22)에서 증폭된 아날로그형태의 화상신호를 입력받아 흑백 보정처리를 수행함과 동시에 아날로그형태의 증폭신호를 디지털형태의 화상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메모리버퍼(24)는 전처리부(23)의 출력을 버퍼링하여 램(17)과 프린터 및 컴퓨터 등과 같은 주변기기로 출력한다.
래스터부(25)는 스캐닝된 후 부주사방향으로 분할된 데이터를 주주사방향으로 재분할하여 해당 도트위치의 데이터를 보정량만큼 일괄 보정할 수 있도록 한다.
프린터헤드(3)는 기 설정된 기준데이터에 대응하는 소정형태의 패턴을 인쇄하고, 프린터헤드 드라이버(26)는 프린터헤드(3)의 동작상태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캐닝작업이 개시되면(S1), 제어부(15)는 프린터헤드(3)를 구동하여 롬(16)에 저장된 기준데이터에 대응하는 패턴을 인쇄한다(S2). 여기서, 패턴을 인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프린터헤드(3)를 소정위치에 위치시킨 후, 다수개의 노즐 중 어느 하나의 노즐만 동작시킨다. 어느 하나의 노즐이 동작되면, 스텝모터(19)를 동작시켜 기록지를 소정거리만큼 이송시킨다. 이에 따라, 프린터헤드(3)와 스캐너모듈(2)에 정렬공차가 발생하였더라도 정확한 직선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한 라인의 패턴이 완성되면 기록지를 역피딩하여 최초 위치로 세팅한 후, 프린터헤드(3)의 위치를 이동하여 다음 라인의 패턴을 인쇄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형태의 패턴을 인쇄할 수 있으며, 이 패턴은 모두 정확한 직선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패턴을 인쇄하는 방식을 한 라인만 인쇄하는 방식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즉, 프린터헤드(3)를 구동시켜 하나의 라인만을 인쇄하게 되면, 이 라인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확한 직선을 유지하게 된다.
패턴의 인쇄가 완료되면(S3), 패턴(이하, '한 라인의 직선'을 포함한 것으로 가정함)이 인쇄된 기록지를 초기위치로 역피딩하고(S4), 스캐너모듈(2)을 구동하여 기록지에 인쇄된 패턴을 스캐닝한다(S5).
즉, 제어부(15)가 램프 드라이버(18)를 제어하여 램프(11)를 구동시킴에 따라 램프(11)에서 소정의 광이 기준시트에 주사되면, 기록지에 형성된 패턴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이 렌즈(13)를 통하여 이미지센서(12)에 입력된다. 이미지센서(12)는 입력된 반사광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버퍼(20)에 출력한다. 버퍼(20)는 이미지센서(12)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버퍼링하고, 아날로그 스위치(21)는 버퍼(20)로부터 전달된 전기적 신호에 적합한 증폭도를 선택하여 증폭부(22)를 제어하고, 증폭부(22)는 아날로그 스위치(21)에서 선택된 증폭도에 따라 전기적신호를 증폭한다. 증폭된 신호는 전처리부(23)에 의해 보정처리된 후 디지털형태의 패턴데이터로 변환되고, 변환된 패턴데이터는 메모리버퍼(24)를 거쳐 램(17)에 저장된다.
제어부(15)는 램(17)에 저장된 패턴데이터와 롬(16)에 저장된 기준데이터를 비교하여 기준데이터에 대한 패턴데이터의 화상편차량을 계산하고(S6), 계산된 화상편차량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정테이블에 대입하여 화상편차량에 대응하는 보정량을 검출한 후, 검출된 보정량을 램(17)에 저장한다(S7).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주사방향으로 최대 7도트(Dot)의 편차가 발생하였을 경우를 표시한다. 예컨대, 스캐닝밴드의 각 라인이 160도트라 가정하고, 주주사방향으로 4도트의 편차가 발생한 경우, 이를 보정테이블에 대입하면 스캐닝밴드의 한 라인에 배열된 도트는 도 7의 편차량 중 4번째 편차량에 대응하는 1부터 160까지의 도트순서에 따라 오차를 보정하면 된다. 즉, 주주사방향으로 4도트의 편차가 발생한 경우, 부주사방향으로 156번째 도트는 4도트의 보정량을 얻을 수 있으며, 부주사방향으로 125번째 도트는 3도트의 보정량을 얻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세팅한 일반원고를 스캐닝하여(S8), 스캐닝된 원고데이터에 대하여 램(17)에 저장된 보정량을 대입하여 보정한 후, 신호처리한다(S9). 즉, 원고로부터 원고데이터를 스캐닝할 때 스캐닝밴드의 각 라인당 도트수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5도트라 가정하면, 부주사방향의 각 라인당 원고데이터(1, 2, 3, 4, 5)는 래스터부(25)에 의해 부주사방향의 각 라인당 원고데이터(1, 6, 11, 16, 21, 26……)로 래스터화(Rasterizie)된다. 이렇게 변환된 원고데이터는 위의 보정량에 대응하여 일괄적으로 보정된다. 예컨대, 부주사방향으로 4번째 도트를 주주사방향으로 3도트만큼 보정하여야 하는 경우, 래스터화된 부주사방향으로 4번째 라인의 각 원고데이터를 모두 일괄적으로 주주사방향으로 3도트만큼 보정한다.
이후, 제어부(15)는 스캐닝작업이 종료되었는가를 체크하여(S10), 스캐닝작업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위의 단계 8(S8)로 귀환하여 단계 8(S8) 이후의 모든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스캐닝작업이 종료되었으면 모든 진행을 끝낸다.
따라서, 스캐너모듈의 기구적인 공차 혹은 관성오차로 인하여 화상편차량을 설정된 보정테이블에 대입하여 보정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보정량에 따라 래스터화된 원고데이터를 라인단위로 일괄 보정함으로써, 항상 안정된 스캐닝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스캐닝작업이 개시될 때마다 패턴을 인쇄하고 인쇄된 패턴을 스캐닝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임의로 패턴의 인쇄시점과 인쇄된 패턴의 스캐닝시점을 선택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보정테이블에 제시된 보정량은 셔틀방식 스캐너모듈의 형태 및 동작원리에 따라 미세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변화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용이하게 변형 가능하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1) 스캐닝시에 발생하는 화상편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기록지에 소정길이를 갖는 소정형태의 패턴('한 라인의 직선'을 포함)을 인쇄하고, 인쇄된 패턴을 스캐닝하도록 하여 화상편차량을 계산한 후, 화상편차량에 대응하는 보정량을 검출하고, 일반원고를 스캐닝한 원고데이터에 보정량을 대입하여 보정함으로써, 기준스티커를 부착함에 따른 작업공정상의 오차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2) 화상편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소정길이를 갖는 소정형태의 패턴을 인쇄한 후, 인쇄된 패턴을 스캐닝하면 되므로, 스캐너의 생산공정이 간소화되고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이로 인하여 생산성이 향상된다.
(3) 사용자가 사용중에 발생한 화상편차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편차보정이 가능하므로, 항상 안정된 스캐닝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Claims (18)

  1. 기록지에 기 설정된 소정형태의 패턴을 인쇄하는 단계;
    상기 인쇄단계에서 인쇄된 상기 패턴을 스캐닝하고, 스캐닝된 패턴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패턴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화상편차량을 계산하는 단계;
    기 설정된 보정테이블로부터 상기 화상편차량에 대응하는 보정량을 검출 및 저장하는 단계;
    원고를 스캐닝하고, 스캐닝된 원고데이터를 상기 보정량만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단계는,
    프린터헤드를 소정위치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기록지를 상기 프린터헤드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송시키면서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작업이 종료된 후, 상기 기록지를 인쇄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이송시켜 초기위치로 세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헤드를 상기 프린터헤드의 이동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송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단계 후, 하나의 스캐닝밴드내에 상기 패턴이 모두 인쇄될 때까지 상기 인쇄단계와 상기 초기위치 세팅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한 라인의 직선형태를 포함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일반데이터와 구분되도록 정형화되고 다수개의 라인을 갖는 직선형태를 포함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데이터는,
    상기 패턴을 편차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스캐닝하였을 때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단계는,
    스캐닝된 상기 원고데이터를 래스터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래스터 변환된 원고데이터를 상기 보정량만큼 일괄적으로 보정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래스터변환은,
    부주사방향의 라인단위로 분할된 상기 원고데이터를 주주사방향의 라인단위로 분할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단계로부터 상기 저장단계까지를 수행하는 시점은,
    스캐닝작업이 개시되는 시점을 포함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단계로부터 상기 저장단계까지를 수행하는 시점은,
    사용자의 요구가 접수되는 시점을 포함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
  12. 원고에 기록된 원고데이터와 기록지에 형성된 패턴을 스캐닝하는 셔틀방식 스캐너모듈;
    상기 기록지에 기 설정된 소정형태의 패턴을 인쇄하는 프린터헤드;
    일련의 스캐닝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셔틀방식 스캐너모듈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인쇄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프린터헤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가 정해진 순서에 따라 상기 셔틀방식 스캐너모듈 및 프린터헤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일정한 흐름을 가진 프로그램이 저장됨과 동시에 스캐닝된 화상데이터의 편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테이블과 기 설정된 기준데이터가 저장된 롬; 및
    상기 셔틀방식 스캐너모듈을 통하여 스캐닝된 화상데이터가 저장되는 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린터헤드를 통하여 상기 기록지에 소정형태의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기록지에 기록된 상기 패턴을 스캐닝하며, 상기 스캐닝된 패턴데이터와 상기 롬에 저장된 기준데이터를 비교하여 화상편차량을 계산하고, 상기 보정테이블로부터 상기 화상편차량에 대응하는 보정량을 검출하여 상기 램에 저장하며, 원고로부터 스캐닝된 원고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보정량만큼 보정하여 신호처리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한 라인의 직선형태를 포함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일반데이터와 구분되도록 정형화되고 다수개의 라인을 갖는 직선형태를 포함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데이터는,
    상기 기록지에 형성된 패턴을 편차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스캐닝하였을 때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부주사방향의 라인단위로 분할된 상기 원고데이터를 주주사방향의 라인단위로 분할하여 래스터 변환하는 래스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래스터 변환된 원고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보정량만큼 상기 원고데이터의 각 라인을 일괄 보정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량 검출시점은,
    스캐닝작업이 개시되는 시점을 포함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량 검출시점은,
    사용자의 요구가 접수되는 시점을 포함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장치.
KR1019970059620A 1997-11-13 1997-11-13 셔틀방식스캐너의화상편차보정방법및그장치 KR100260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620A KR100260931B1 (ko) 1997-11-13 1997-11-13 셔틀방식스캐너의화상편차보정방법및그장치
US09/190,280 US6295386B1 (en) 1997-11-13 1998-11-13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rrecting image errors in a shuttle type of a scanner
DE69817300T DE69817300T2 (de) 1997-11-13 1998-11-13 Bildfehlerkorrektur in Pendelabtaster
EP98309290A EP0917343B1 (en) 1997-11-13 1998-11-13 Correcting image errors in a shuttle scanner
JP10323414A JP3031618B2 (ja) 1997-11-13 1998-11-13 画像偏差の補正方法及び補正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620A KR100260931B1 (ko) 1997-11-13 1997-11-13 셔틀방식스캐너의화상편차보정방법및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496A true KR19990039496A (ko) 1999-06-05
KR100260931B1 KR100260931B1 (ko) 2000-07-01

Family

ID=19524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9620A KR100260931B1 (ko) 1997-11-13 1997-11-13 셔틀방식스캐너의화상편차보정방법및그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95386B1 (ko)
EP (1) EP0917343B1 (ko)
JP (1) JP3031618B2 (ko)
KR (1) KR100260931B1 (ko)
DE (1) DE69817300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436B1 (ko) * 2009-01-23 2012-01-31 미루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음영판독식 스캐닝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4453A (ko) * 1997-12-26 1999-07-15 윤종용 잉크 카트리지의 정렬방법
US6327047B1 (en) * 1999-01-22 2001-12-04 Electronics For Imaging, Inc. Automatic scanner calibration
US6606421B1 (en) * 2000-05-25 2003-08-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Geometric deformation correction method and system for dot pattern images
US7492488B2 (en) * 2001-04-11 2009-02-17 Cathy Liu Image scanning system and method for scanner
US7006262B2 (en) * 2001-09-28 2006-02-28 Canon Kabushiki Kaisha Reading of information by bidirectional scanning using image reading/printing apparatus
JP4181483B2 (ja) * 2002-11-28 2008-11-12 オセ−テクノロジーズ ビーブイ トランスポートスキャナーを較正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並びに該方法を利用するためのテスト原稿
US6869237B2 (en) * 2003-02-11 2005-03-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ensating mechanical image stretch in a printing device
JP5020894B2 (ja) * 2008-06-10 2012-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2621A (en) * 1978-08-14 1981-09-29 Paul Fuller Character reader
EP0257570A3 (de) * 1986-08-25 1988-11-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bgleich der Schreibdüsen eines Tintendruckkopfes in Tintenschreibeinrichtung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Durchührung des Verfahrens
US4724330A (en) * 1986-09-24 1988-02-09 Xerox Corporation Self aligning raster input scanner
NL8603173A (nl) * 1986-12-12 1988-07-01 Daisy Syst Holland Tekstverwerkingssysteem, alsmede afdrukeenheid voor een dergelijk tekstverwerkingssysteem.
US4985930A (en) * 1987-09-24 1991-01-15 Hitachi, Ltd. Image data filing system and image data correcting method
US5267056A (en) * 1991-01-03 1993-11-30 Xerox Corporation Right reading image for read/write components co-mounted on a single X-Y carriage
US5297017A (en) 1991-10-31 1994-03-22 Hewlett-Packard Company Print cartridge alignment in paper axis
US5289208A (en) 1991-10-31 1994-02-22 Hewlett-Packard Company Automatic print cartridge alignment sensor system
JP3332478B2 (ja) * 1993-06-22 2002-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US5732162A (en) * 1993-10-28 1998-03-24 Xerox Corporation Two dimensional linearity and registration error correction in a hyperacuity printer
US5642202A (en) * 1994-12-01 1997-06-24 Xerox Corporation Scan image target locator system for calibrating a printing system
US5648801A (en) * 1994-12-16 1997-07-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ayscale printing system
JP3461402B2 (ja) * 1995-02-28 2003-10-27 株式会社リコー ファクシミリ装置
EP0735738B1 (en) * 1995-03-30 2006-07-26 Hewlett-Packard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Facsimile scan position calibration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436B1 (ko) * 2009-01-23 2012-01-31 미루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음영판독식 스캐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95386B1 (en) 2001-09-25
JP3031618B2 (ja) 2000-04-10
KR100260931B1 (ko) 2000-07-01
EP0917343A3 (en) 2000-11-15
JPH11225268A (ja) 1999-08-17
DE69817300T2 (de) 2004-06-09
DE69817300D1 (de) 2003-09-25
EP0917343A2 (en) 1999-05-19
EP0917343B1 (en) 200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3327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調整値取得方法
US7552984B2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jet recording method
JP4770258B2 (ja) 補正値の設定方法、及び、補正値の設定装置
JP6061550B2 (ja)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1840079B2 (en)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260931B1 (ko) 셔틀방식스캐너의화상편차보정방법및그장치
US62431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alignment error of scanning head of a shuttle type scanner
US20090237689A1 (en) Concentration correcting method
US10625526B2 (en) Print device, control method for print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KR100260932B1 (ko) 셔틀방식스캐너의화상편차보정방법및그장치
US64114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scanning errors in a shuttle type scanner
KR100251122B1 (ko) 복합기기의 화상 보정 장치 및 방법
US6658170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10962915B2 (en) Image printing apparatus, reading apparatus, image printing method, and printing medium conveyance method
US6603572B1 (en) Image reading apparatus, method and memory medium therefor
US7006262B2 (en) Reading of information by bidirectional scanning using image reading/printing apparatus
EP1524123A1 (en) Printer, printing method, program, computer system
US776644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media feed in an imaging apparatus
EP1211085B1 (en) Printer
JP2023080961A (ja) システムおよび記録装置
JP2000244709A (ja) 原稿読み取り装置
JP2008030234A (ja) 媒体上のパターンの印刷位置の算出方法
JP2004090327A (ja) 画像入出力装置
JP2006341382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H10173918A (ja) 画像読取手段のシェーディング補正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