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9170A -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9170A
KR19990039170A KR1019970059158A KR19970059158A KR19990039170A KR 19990039170 A KR19990039170 A KR 19990039170A KR 1019970059158 A KR1019970059158 A KR 1019970059158A KR 19970059158 A KR19970059158 A KR 19970059158A KR 19990039170 A KR19990039170 A KR 19990039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machine room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network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9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1376B1 (ko
Inventor
김충원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70059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1376B1/ko
Publication of KR19990039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제어 장치가 공개된다.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복수의 기계실 제어반과; 상기 복수의 기계실 제어반으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 및 고장 발생 등의 데이타를 수집하는 중앙 감시 센터를 구비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관련 정보를 원격 전송하기 위한 컴퓨터 통신망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복수의 기계실 제어반은 엘리베이터와 관련된 자료 내용과 도면 내용을 상기 중앙 감시 센터에 제공하고, 이 중앙 감시 센터는 기계실 제어반으로부터의 상기 자료 내용 및 도면 내용을 상기 수집된 데이타와 함께 상기 컴퓨터 통신망에 등록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제어 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세계적인 컴퓨터 통신망인 인터넷 등을 통해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 고장 내용 등을 보수원 등에 신속히 전달함으로써 엘리베이터를 원격 감시하는데 적합한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기계실 제어반(1-n)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는 복수의 기계실 제어반(1-n)이 존재하며, 이들 기계실 제어반(1-n)은 동일한 내부 구성 요소를 가지고 있다. 간단화를 위해, 도 1에는 하나의 기계실 제어반(1)의 내부 구성 요소만이 도시되어 있고, 나머지의 기계실 제어반의 내부 구성 요소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기계실 제어반(1)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중앙 연산 처리 장치(11)와, 상기 중앙 연산 처리 장치에 대해 데이타를 입출력하는 입출력부(12)와,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수행부(13)를 포함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 수행부(13)는 상기 중앙 연산 처리 장치(11)와 입출력부(1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 제어반(1)은 또한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 및 고장 내용 등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 주변 장치(14)와, 이 통신 주변 장치(14)에 접속되어 데이타를 원격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모뎀(15)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프로그램 수행부(13)로부터의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 및 고장 내용 등과 같은 엘리베이터 정보가 상기 통신 주변 장치(14)와 모뎀(15)을 통해 보수원(17)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계실 제어반(1-n)의 외부에는 중앙 감시 센터(16)가 설치되어 있다. 중앙 감시 센터(16)는 복수의 기계실 제어반(1-n)에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이들 기계실 제어반(1-n)으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 및 고장 내용 등과 같은 엘리베이터 정보를 수집한다.
종래에는, 엘리베이터에서 고장이 발생된 때에, 프로그램 수행부(13)에서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 및 고장 내용 등과 같은 엘리베이터 정보를 상기 통신 주변 장치(14)와 모뎀(15)을 통해 중앙 감시 센터(16)에 전송해 준다. 따라서, 상기 중앙 감시 센터(16)에 상주해 있는 관리원은 전화 등을 통해 엘리베이터의 고장을 수리하는 담당 보수원(17)에게 고장 사실을 통보할 수 있다. 이때, 보수원은 어느 지역의 엘리베이터가 고장으로 동작하지 않는다는 단순한 고장 발생 사실만을 중앙 감시 센터(16)의 관리원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인 고장 내용 등에 대해서는 제공받을 수 없다.
보수원은 여러 가지 기종의 엘리베이터를 담당하고 있을 수 있다. 보수원은 엘리베이터 고장 수리 등의 목적으로 엘리베이터에 관한 정보, 예컨대 각종 자료 및 도면이 필요한 경우에, 공장 또는 보수 센터 등에 예컨대 전화나 팩스를 통해 엘리베이터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공장이나 보수 센터의 담당자가 부재중인 경우와 같이, 고장 수리의 지연 원인이 다수 존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엘리베이터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된다.
또한, 보수원(17)은 고장 수리 결과를 전화 등을 통해 중앙 감시 센터(16)에 전송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시간 손실도 커진다. 아울러, 보수원 이외에 엘리베이터에 관한 각종 정보를 필요로 하는 기타 다른 사람들은 엘리베이터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고장을 수리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보수원에게 신속하게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고장 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고장 수리 내용 등이 데이타화되어 제공되므로 여러 보수원들이 고장 수리 내용 등을 공유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제어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제어 장치의 동작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n : 기계실 제어반 11 : 중앙 연산 처리 장치
12 : 입출력부 13 : 프로그램 수행부
14 : 통신 주변 장치 15 : 모뎀
16 : 중앙 감시 센터 18 : 컴퓨터 통신망
20 : 보수 장치
본 발명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고장 등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제어 장치는 상용 언어를 사용하는 전세계적인 컴퓨터 통신망인 인터넷을 통해 원하는 엘리베이터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복수의 기계실 제어반과; 상기 복수의 기계실 제어반으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 및 고장 발생 등의 데이타를 수집하는 중앙 감시 센터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관련 정보를 원격 전송하기 위한 컴퓨터 통신망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복수의 기계실 제어반은 엘리베이터와 관련된 자료 내용과 도면 내용을 상기 중앙 감시 센터에 제공하고, 상기 중앙 감시 센터는 기계실 제어반으로부터의 상기 자료 내용 및 도면 내용을 상기 수집된 데이타와 함께 상기 컴퓨터 통신망에 등록한다.
상기 기계실 제어반은 보수 장치를 가지고 있고, 상기 자료 내용과 도면 내용은 상기 보수 장치에 의해 외부로부터 휴대형 컴퓨터나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다.
상기 컴퓨터 통신망에 등록된 엘리베이터 관련 정보는 사용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 의해 이용가능하다. 상기 사용 권한은 부서별, 보안 등급 별로 부여된다. 컴퓨터 통신망에 등록된 엘리베이터 관련 정보는 보수원이 엘리베이터의 고장 내용을 파악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제어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제어 장치에는 복수의 기계실 제어반(1-n)이 존재하며, 이들 기계실 제어반(1-n)은 동일한 내부 구성 요소를 가지고 있다. 간단화를 위해, 도 1에는 하나의 기계실 제어반(1)의 내부 구성 요소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 제어반(1)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중앙 연산 처리 장치(11)와, 상기 중앙 연산 처리 장치에 대해 데이타를 입출력하는 입출력부(12)와,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수행부(13)를 포함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 수행부(13)는 상기 중앙 연산 처리 장치(11)와 입출력부(1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 제어반(1)은 또한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 및 고장 내용 등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 주변 장치(14)와, 이 통신 주변 장치(14)에 접속되어 데이타를 원격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모뎀(15)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프로그램 수행부(13)로부터의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 및 고장 내용 등과 같은 엘리베이터 정보가 상기 통신 주변 장치(14)와 모뎀(15)을 통해 외부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계실 제어반(1-n)의 외부에는 중앙 감시 센터(16)가 설치되어 있다. 중앙 감시 센터(16)는 복수의 기계실 제어반(1-n)에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이들 기계실 제어반(1-n)으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 및 고장 내용 등과 같은 엘리베이터 정보를 수집한다.
기계실 제어반(1-n)은 또한 보수 장치(20)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보수원은 상기 보수 장치(20)를 이용하여 보수 내용 등을 입출력부(12)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 보수원은 ID를 입력한 후에, 상기 보수 내용 등을 입출력부(12)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장 코드에 대한 고장 수리 결과를 임의의 수치로 정하고(예컨대, 01≥완전해결, 02≥임시해결, 03≥미해결 등), 해당하는 값을 입출력부(12)에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고장 내용 등이 많은 경우에는 고장 코드별 고장 수리 결과를 입출력부(12)에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수 장치(20)에 의해 입출력부(12)에 입력되는 고장 수리 입력 내용은 예컨대 다음의 표 1과 같다.
No. 구 분 사 용 자
1 ID 입력 설치, 보수
2 고장 수리 시작 시간 입력 설치, 보수
3 고장 수리 종료 시간 입력 설치, 보수
4 고장 코드 입력 설치, 보수
고장 수리 결과 입력
5 고장 코드 입력 설치, 보수
고장 수리 결과 입력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ID 입력, 고장 수리 시작 시간 입력, 고장 수리 종료 시간 입력, 고장 코드 입력, 고장 수리 결과 입력 등의 고장 수리 입력 내용이 보수 장치(20)에 의해 입출력부(12)에 제공될 수 있다.
기계실 제어반의 프로그램 수행부(13)는 중앙 연산 처리 장치(11)와 입출력부(12)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 및 고장 발생 등을 편집한다. 또한, 프로그램 수행부(13)는 상기 표 1과 같은 고장 수리 입력 내용을 상기 입출력부(12)로부터 입력받고, 그 고장 수리 입력 내용을 수집된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 및 고장 발생 등의 정보와 함께, 통신 주변 장치(14)와 모뎀(15)을 통해 외부의 중앙 감시 센터(16)에 제공한다.
중앙 감시 센터(16)는 기계실 제어반(1-n)으로부터의 상기 고장 수리 입력 내용과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 및 고장 발생 등의 정보를 인터넷 등과 같은 컴퓨터 통신망(18)에 등록한다.
No. 구 분 사 용 자
1 에러 검출 코드 설치, 보수, 설계
2 에러 분석 및 해결 내용 설치, 보수, 설계
3 하드웨어 회로도 설치, 보수, 설계
4 소프트웨어 회로도 설치, 보수, 설계
5 PCB 회로 설명 내용 설치, 보수, 설계
6 최근에 수정된 내용 설치, 보수, 설계
7 엘리베이터 관련 정보 전부서
8 단가 설계, 영업, 구매
9 공지 사항 전부서
10 영업 자료 설계, 영업
컴퓨터 통신망(18)에 등록되는 엘리베이터 관련 자료 내용은 다음의 표 2와 같다.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에러 검출 코드, 에러 분석 및 해결 내용, 하드웨어 회로도, 소프트웨어 회로도, PCB 회로 설명 내용, 최근에 수정된 내용, 엘리베이터 관련 정보, 단가, 공지 사항, 영업 자료 등의 자료 내용이 컴퓨터 통신망(18)에 등록된다.
또한, 컴퓨터 통신망(18)에 등록되는 엘리베이터 관련 도면 내용은 다음의 표 3과 같다.
No. 구 분 사 용 자
1 설치 도면(승강로) 설치, 보수, 설계
2 설치 도면(기계실 제어반) 설치, 보수, 설계
3 전장품 도면 설치, 보수, 설계
4 부품 도면 설치, 보수, 설계
5 PCB 회로 도면 설치, 보수, 설계
6 시방 일람표 설치, 보수, 설계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승강로 및 기계실 제어반의 설치 도면, 전장품 도면, 부품 도면, PCB 회로 도면, 시방 일람표 등의 도면 내용이 컴퓨터 통신망(18)에 등록된다.
이와 같이, 자료 내용 및 도면 내용이 컴퓨터 통신망(18)에 등록되면, 네트워크(19)를 통해 설치, 보수, 설계 및 기타 관련 부서에서는 상기 자료 내용 및 도면 내용을 열람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라, 컴퓨터 통신망(18)을 통해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컴퓨터 통신망에 접속이 형성되면, 사용자에 의해 ID가 입력된다(ST1). 다음에, 상기 입력된 ID를 기초로 사용 권한 유무가 판정되며, 사용 권한이 있는 경우에만 컴퓨터 통신망(18)에 등록된 자료 내용 및 도면 내용이 검색될 수 있다(ST2). 세부적으로는 부서별, 보안 등급 별로 사용 권한이 재부여되어 있다(ST3). 또한, 열람을 쉽게 하기 위해, 속도 또는 제어 방식 등으로 기종별 분류가 행해지고 자료 및 내용 등으로 내용별 분류가 행해져서 용도에 따라 원하는 모든 정보가 검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ST4,ST5). 또한, 엘리베이터 보수원에 의해 고장 내용 및 고장 수리 내용 등이 검색될 수 있다(ST6).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인터넷 등과 같은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컴퓨터 통신망이 구축되어 있는 장소라면 어디에서라도 그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엘리베이터 관련 정보를 손쉽게 획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고장 수리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고장 수리 결과가 휴대형 컴퓨터나 키패드를 이용하여 보수 장치에 전송되므로 고장을 진단 및 수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종래보다 절약되고, 보수 관리 시스템의 효율성이 개선된다. 엘리베이터의 고장 수리 내용 등은 데이타화되어 제공되므로 여러 보수원들이 고장 수리 내용 등을 공유할 수 있다.

Claims (6)

  1.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복수의 기계실 제어반과;
    상기 복수의 기계실 제어반으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 및 고장 발생 등의 데이타를 수집하는 중앙 감시 센터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관련 정보를 원격 전송하기 위한 컴퓨터 통신망을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기계실 제어반은 엘리베이터와 관련된 자료 내용과 도면 내용을 상기 중앙 감시 센터에 제공하고, 중앙 감시 센터는 기계실 제어반으로부터의 상기 자료 내용 및 도면 내용을 상기 수집된 데이타와 함께 상기 컴퓨터 통신망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통신망은 인터넷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 제어반은 보수 장치를 가지고 있고, 상기 자료 내용과 도면 내용은 상기 보수 장치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통신망에 등록된 데이타는 사용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 의해 이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권한은 부서별, 보안 등급 별로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컴퓨터 통신망에 등록된 정보는 보수원이 엘리베이터의 고장 내용을 파악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제어 장치.
KR1019970059158A 1997-11-11 1997-11-11 엘리베이터원격감시제어장치 KR100451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158A KR100451376B1 (ko) 1997-11-11 1997-11-11 엘리베이터원격감시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158A KR100451376B1 (ko) 1997-11-11 1997-11-11 엘리베이터원격감시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170A true KR19990039170A (ko) 1999-06-05
KR100451376B1 KR100451376B1 (ko) 2004-12-04

Family

ID=37366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9158A KR100451376B1 (ko) 1997-11-11 1997-11-11 엘리베이터원격감시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13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078B1 (ko) * 2001-12-12 2004-07-21 주식회사 동양 인트라넷을 응용한 승강기 관리방법
KR100495014B1 (ko) * 2001-02-01 2005-06-14 나정식 인터넷 제어가 가능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2320A (ko) 2022-06-29 2024-01-05 이원석 승강기의 실제 운행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8081A (ja) * 1988-11-19 1990-05-28 Hitachi Ltd 昇降装置システム
KR940013057A (ko) * 1992-11-27 1994-06-25 정용문 원격 정보처리를 위한 다단계 탄뎀 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의 유지보수 관리장치
TWI249760B (en) * 1996-07-31 2006-02-21 Canon Kk Remote maintenance system
KR100202712B1 (ko) * 1996-11-20 1999-06-1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장치
KR100240957B1 (ko) * 1997-07-19 2000-01-15 이종수 분산구조를 갖는 지능형 엘리베이터 원격감시 방법 및 장치
KR100211937B1 (ko) * 1997-08-04 1999-08-02 주일성 원격제어관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014B1 (ko) * 2001-02-01 2005-06-14 나정식 인터넷 제어가 가능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41078B1 (ko) * 2001-12-12 2004-07-21 주식회사 동양 인트라넷을 응용한 승강기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1376B1 (ko) 200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12472B2 (ja) 遠隔監視診断システム、及び遠隔監視診断方法
JP3785451B2 (ja) 家電製品保守修理サービスシステム
CN100512371C (zh) 用于远程诊断的方法和系统
US82862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arrying out maintenance or service operations on machines
JP2014016062A (ja) 空調管理システム
KR101044061B1 (ko) 원격 감시 시스템
KR100451376B1 (ko) 엘리베이터원격감시제어장치
JPS62222795A (ja) 電気機械的設備の保守援助装置
JP2006050651A (ja) 家電製品保守修理サービスシステム
US71034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ervising manufacturing tools
JP2018180801A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情報端末装置
KR20010003296A (ko) 반도체 라인관리용 통합 자동화시스템의 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2006276992A (ja) 設備環境データ分析システムおよび設備環境データ分析方法
JP4539094B2 (ja) 修理結果管理装置および遠隔管理システム
CN114730443B (zh) 楼宇信息处理装置
JP3867868B2 (ja) 障害統合管理装置
JP4681901B2 (ja) 防災装置の故障診断システム
JP2004227104A (ja) 遠隔監視システム、遠隔監視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5071200A (ja) 製造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2004252764A (ja) 監視支援システム及び監視支援方法
JP2023132122A (ja) ビル設備の故障復旧支援システム、ビル設備の故障復旧支援方法
JP2021149883A (ja) デバイス管理サービス
KR200418200Y1 (ko) 빌딩 군관리 구축시스템
JP2000166127A (ja) 電気設備監視システムおよび電気設備の監視方法
JP2002231595A (ja) 半導体製造装置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