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9000A -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9000A
KR19990039000A KR1019970058933A KR19970058933A KR19990039000A KR 19990039000 A KR19990039000 A KR 19990039000A KR 1019970058933 A KR1019970058933 A KR 1019970058933A KR 19970058933 A KR19970058933 A KR 19970058933A KR 19990039000 A KR19990039000 A KR 19990039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polyol
parts
weight
rigid poly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승주
황진택
장미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58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9000A/ko
Publication of KR19990039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000A/ko

Links

Landscapes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용 폴리올, 휘발성 발포제, 물, 이소시아네이트 3량화 촉매, 셀개방제, 셀개방용 정포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용 정포제 및 셀 조절제의 혼합물과 유기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면, 환경 문제를 야기하는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100 %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조된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평균 셀크기가 작고 단열 성능이 우수하므로, 이를 심재로 하여 진공 단열재를 제작할 경우 열전도도가 충분히 낮으면서도 장기간 경과후에도 변하지 않는다.

Description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용 폴리올에 하이드로카본과 같은 환경 친화성 휘발성 발포제, 및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용 정포제와 셀 조절제 등을 혼합하여 유기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키는 방법에 의해 환경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면서, 가정 및 산업용 냉장고, 조립 냉장실 등에 적용되어 우수한 단열 성능을 지속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환경 친화성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 수준이 향상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냉장고 업계에서도 지금까지의 소형 및 중형 냉장고 위주의 생산에서 대형 크기의 냉장고 생산으로 급격히 전환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처럼 대형 냉장고 생산으로 전환함에 따라 오존층 파괴 등 환경 문제를 가속화시키게 되었고,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단열재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에 봉착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단열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진공 단열재의 개발은, 에너지 절감 뿐 아니라 내용적 확대를 통하여 부피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본에서는 샤프사 및 산요사에서 일부 기종의 냉장고에 진공 단열재를 적용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내용적도 확대시킨 제품을 발매하고 있으며, 유럽에서도 보쉬사 등 몇몇 회사에서 진공 단열재를 적용한 냉장고를 출시중이다.
위와 같이 냉장고 단열재의 열절연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진공 단열재는 금속-라미네이트 필름의 진공 용기에 동봉된 심재로 구성되어 있는데, 충전된 심재에 따라 실리카 충전형, 유리솜 충전형 및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충전형으로 구분된다. 실리카 충전형은 제조시 발생되는 분진 문제와 무거운 중량 때문에 사용이 제한되고 있으며, 유리솜 충전형은 제조비용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충전형은 실리카 충전형에 비해 무게가 1/3 수준이고 대량 생산이 용이하기 때문에 점차 사용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ICI 폴리우레탄사에서 개발한 진공 단열재는 100 %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심재로 하고 외부에 고진공용 필름을 입히고 내부를 0.05 torr 까지 감압시켜, 기존의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열전도율인 약 0.015 kcal/mhr℃ 보다 월등히 개선된 약 0.0060 kcal/mhr℃의 열전도율을 보여주고 있다.
100 %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충전된 진공 단열재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셀 크기가 진공 단열재의 성능을 좌우한다. 셀 크기가 작은 100 %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폴리올, 경질용 정포제, 발포제 및 핵제 등의 혼합물에 유기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키게 되는데, 여기에서 발포제 및 핵제로 사용되는 퍼플루오로카본 류는 우수한 물성에도 불구하고 지구 온난화 지수가 높고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로 사용에 제한이 따르고 있다.
이상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단열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킨 진공 단열재의 심재로 사용되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환경 문제를 야기하지 않을 뿐 아니라 우수한 단열 성능을 장기간 지속시킬 수 있는 100 %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심재로 하는 열절연성이 우수한 진공 단열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용 폴리올, 휘발성 발포제, 물, 이소시아네이트 3량화 촉매, 셀개방제, 셀개방용 정포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용 정포제 및 셀 조절제의 혼합물과 유기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공 단열재의 제조방법은,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가스 흡착제를 고진공용 금속-라미네이트 필름으로 감싸고 진공 배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환경 문제를 야기하는 종래의 발포제 및 핵제 대신 환경 친화성이 높은 휘발성 하이드로카본 발포제와 함께,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시 사용하는 정포제와 신발 밑창용 마이크로셀룰라 발포체 제조시 사용하는 셀 조절제를 사용함으로써, 평균 셀 크기가 작고 우수한 단열 성능이 지속될 수 있는 환경 친화성 100 %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지방족계 모노올의 반응에서 생성된 프레폴리머와,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3 량화 촉매 및 휘발성 발포제를 원료 물질로 사용하고, 여기에 셀 개방제와 함께 고탄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에 사용되는 셀 개방용 실리콘 정포제를 사용하여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셀 개방을 조절하였으며; 또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에 사용하는 정포제와, 신발 밑창용 마이크로셀룰라 발포체 제조시 사용하는 셀 조절제를 사용함으로써, 셀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킨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평균 셀 크기가 100 ㎛ 미만이고 셀의 창들은 발포 과정중 쉽게 파괴되어 개방셀 함량이 100 %가 되는 환경 친화성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원료로 사용하는 폴리올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시 사용되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글리세린에 알킬렌 옥사이드를 부가시켜 얻어지는 폴리올로서, 기능기가 3 개이고 수산기 값이 200 내지 350 mg KOH/g인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채용되는 휘발성 발포제는 CFC, HCFC와 같은 종래의 퍼플루오로카본 발포제의 대체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환경 친화성의 하이드로카본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는 특히 탄소수 2 내지 4의 알칸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n-펜탄, iso-펜탄 및 시클로펜탄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휘발성 발포제는 유기 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에 의하여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화학적 발포제인 소량의 물과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발포제의 사용량은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휘발성 발포제는 3 내지 20 중량부, 물은 0.5 내지 5 중량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개방화시킬 때 발생되는 압축 강도 저하 문제는 디이소시아네이트의 3량화 반응을 통하여 해결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이소시아네이트-3량화 촉매가 사용된다. 이소시아네이트-3량화 촉매로는 유기카르본산의 금속염, 3급 아민 화합물 및 4급 암모늄염이 포함되며, DABCO K-15, DABCO T-45, DABCO TMR-30. POLYCAT-46(Air Product Co., 상품명)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3량화 촉매는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시 사용되는 통상의 촉매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1 종 내지 그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100 % 개방셀을 얻기 위하여 고탄성용 연질 및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에 사용되는 정포제로서 셀 개방성이 매우 뛰어난 정포제를 셀 개방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셀 개방용 정포제로는 실리콘 정포제인 TEGOSTAB B-8926, 8960 및 8961 등( T. H. 골드쉬미트사, 상품명)을 예로 들 수 있다. 셀 개방용 정포제는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2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셀 개방제는 셀 개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폴리올과 발포제에 대하여 혼화성이 우수한 오르테골(Ortegol)-501(T. H. 골드쉬미트사, 상품명)을 예로 들 수 있다. 셀 개방제는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셀 크기를 작게 유지하면서 100 % 개방셀로 얻기 위하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에 사용하는 정포제와, 신발 밑창용 마이크로셀룰라 발포체 제조시 사용하는 셀 조절제를 적절히 양을 조절하여 사용하였다.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에 사용되는 정포제로서는 실리콘 정포제인 TEGOSTAB B-8460, 8462 및 8466 등(T. H. 골드쉬미트사, 상품명)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정포제는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셀 크기를 미세하게 해 주는 셀 조절제로서는 신발 밑창용 마이크로셀룰라 발포체 제조시 사용하는 정포제인 TEGOSTAB B-8905(T. H. 골드쉬미트사, 상품명)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셀 조절제는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에서 폴리올 용액과 혼합되는 유기 이소시아네이트는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지방족계 모노올과의 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프레폴리머를 단독으로, 또는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프레폴리머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수 8 개 이하인 지방족계 모노올과 에틸렌글리콜의 모노알킬에테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에틸렌글리콜로서는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분자량 500 이하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이 사용될 수 있고, 알킬기로서는 메틸, 에틸기가 사용될 수 있다. 프레폴리머의 NCO %는 25 내지 28 % 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폴리머의 사용량은 물을 포함한 폴리올 혼합물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가 130 내지 300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 170 내지 250 으로 조절하면 셀 크기가 더욱 작은 것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발포체 제조후 수축이 일어나지 않아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언급한 원료 중에서 프레폴리머를 제외한 원료를 미리 혼합한 폴리올 용액과 프레폴리머를 고압 발포기를 이용하여 반응시키면, 셀 크기가 작고 균일하며, 폴리우레탄 발포시 세포창이 쉽게 파괴되어 개방율이 100 % 이고, 셀 골격의 고체 열전도율이 낮은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제조된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폐쇄셀을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장기적으로는 발포체 셀벽 내부에 함유된 가스들이 서서히 방출되며 열융착된 틈과 필름을 통하여 미량의 가스가 투과되어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진공 단열재의 단열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스를 흡착하여 내부의 진공 상태를 15 년 이상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무기물과 금속 합금으로 구성된 가스 흡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이와 같은 내부 압력 상승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 사이즈게터스사 제조의 무기물 가스 흡착제인 콤보 IIIR을 진공 단열재 내부에 부착시켜 초기의 열절연 특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에서 얻은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심재로 하여 가스 흡착제와 함께 고진공용 금속-라미네이트 필름으로 감싸고 내부의 진공을 0.05 torr 까지 감압시킨 후 열융착시켜 제작된 진공 단열재는, 산업 공정상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으며 약 0.01 내지 0.1 torr의 압력에서도 우수한 열절연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사용하여 진공 단열재를 제조하는 방법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심재를 가스 흡착제와 함께 고진공용 금속-라미네이트 필름으로 형성된 용기에 삽입하고 진공 배기시켜 용기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의해서도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재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6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의 폴리올 용액과 프레폴리머를 혼합하고 20 ℃에서 고압 발포기를 이용하여 나무 몰딩(800 X 650 X 120 mm)에서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작하였다.
24 시간이 지난 후 발포체를 자르고 SEM(Scaning Electron Microscope)를 이용하여 셀 크기를 측정하였다. 셀 개방율은 에어 피크노메터(Air Pycnometer)를 이용하여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까지 측정하였다(오차율 ±0.02 % 이내). 이와 같이 측정한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프레폴리머의 점도는 25 ℃에서 브룩필드(Brookfield) 점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이다.
잘려진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150 ℃의 열풍 건조기에서 10 분 동안 방치하여 수분 및 휘발성 미반응물을 제거한 후, 건조된 발포체와 가스 흡착제를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100 ㎛ 두께의 금속-라미네이트 필름에 넣고 0.05 torr의 진공을 걸고 밀봉하여 진공 단열재를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진공 단열재의 열전도도를 측정하고, 이후 30 일이 지나 다시 측정하여 열전도율의 변화 여부를 평가하였다. 이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폴리올용액의조성(중량부) 폴리올1발포제2물촉매3셀개방제4정포제A5정포제B6정포제C7정포제D8셀조절제9 1005.01.51.03.03.0--1.03.0 1005.01.51.03.0-3.0-1.03.0 1005.01.51.03.0--3.01.03.0 1005.01.51.03.03.0--1.03.0 1005.01.51.03.0-3.0-1.03.0 1005.01.51.03.0--3.01.03.0
프레폴리머 폴리이소시아네이트10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 200.0170 200.0170 200.0170 247.0210 247.0210 247.0210
발포체물성 밀도(kg/m3)평균 셀 크기(㎛)개방셀율(%) 5592100 5691100 5593100 5894100 5893100 5993100
진공단열재단열성능 초기 열전도도30 일후의 열전도도(10-4kcal/mhr℃) 4747 4646 4848 4949 4747 4747
폴리올1: 폴리에테르 폴리올, 수산기 300 mg KOH/g (금호유화제)
발포제2: 시클로펜탄
촉매3: POLYCAT 46 (Air Products Co.제)
셀개방제4: 오르테골-501 (T. H. 골드쉬미트사제)
정포제A5: B-8926 (T. H. 골드쉬미트사제)
정포제B6: B-8960 (T. H. 골드쉬미트사제)
정포제C7: B-8961 (T. H. 골드쉬미트사제)
정포제D8: B-8462 (T. H. 골드쉬미트사제)
셀조절제9: B-8905 (T. H. 골드쉬미트사제)
프레폴리머10: P-MDI(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의 프레폴리머, NCO %는 25 %.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작된 100 %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평균 셀크기가 94 ㎛ 이하이고, 진공 단열재의 심재로 사용하였을 때 열전도도는 0.0046 내지 0.0049 kcal/mhr℃ 로 우수하였으며 30 일 경과 후에도 열전도도의 변화가 없었다.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의 폴리올 용액과 프레폴리머를 가지고 실시예 1 내지 6의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여 물성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진공 단열재를 제작하여 열전도도 특성을 측정하여 각각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의 조성에서 보듯이, 비교예 1 내지 3에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셀 조절제를 사용하지 않고, 발포제 HCFC 141b 및 핵제 퍼플루오로헥산을 사용하고, 셀개방제로서 스테아린산 칼슘을 사용하여 100 %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작한 것이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폴리올용액의조성(중량부) 폴리올1발포제2물촉매3셀개방제4정포제A5정포제B6정포제C7핵제8 1009.01.51.01.01.0-1.04.0 1009.01.51.01.0-1.0-4.0 1009.01.51.01.0--1.04
프레폴리머 폴리이소시아네이트9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 200.0170 200.0170 200.0170
발포체물성 밀도(kg/m3)평균 셀 크기(㎛)개방셀율(%) 55150100 56145100 55155100
진공단열재단열성능 초기 열전도도30 일후의 열전도도(10-4kcal/mhr℃) 6570 6065 7075
폴리올1: 폴리에테르 폴리올, 수산기 300 mg KOH/g (금호유화제)
발포제2: HCFC-141b
촉매3: POLYCAT 46 (Air Products Co.제)
셀개방제4: 스테아린산 칼슘 (삼전화학제)
정포제A5: B-8926 (T. H. 골드쉬미트사제)
정포제B6: B-8960 (T. H. 골드쉬미트사제)
정포제C7: B-8961 (T. H. 골드쉬미트사제)
핵제8: 퍼플루오로헥산 (쓰리엠사제)
프레폴리머9: P-MDI(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의 프레폴리머, NCO %는 25 %.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비교예에서 제작한 100 %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평균 셀크기가 100 ㎛ 가 넘으며, 진공 단열재의 심재로 사용하였을 때 열전도도는 0.0060 kcal/mhr℃ 보다 클 뿐 아니라 30 일 경과후 열전도도가 더욱 커지는 문제를 보였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환경 문제를 야기하는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100 %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조된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평균 셀크기가 100 ㎛ 미만으로 작고 단열 성능이 우수하다. 따라서, 이를 심재로 하여 진공 단열재를 제작할 경우, 열전도도가 0.0060 kcal/mhr℃ 이하로 우수하며 장기간 경과후에도 변화되는 일이 없어 대형 냉장고 등의 단열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Claims (15)

  1.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용 폴리올, 휘발성 발포제, 물, 이소시아네이트 3량화 촉매, 셀 개방제, 셀 개방용 정포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용 정포제 및 셀 조절제의 혼합물과 유기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올이 글리세린에 알킬렌 옥사이드를 부가시켜 얻어지는, 기능기가 3 개이고 수산기 값이 200 내지 350 mg KOH/g인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발포제가 하이드로카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카본이 n-펜탄, iso-펜탄 및 시클로펜탄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고,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20 중량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물이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 3량화 촉매가 유기카르본산의 금속염, 3급 아민 화합물 및 4급 암모늄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고,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셀 개방제가, 폴리올과 발포제에 대하여 혼화성이 우수한 오르테골(Ortegol)-501(T. H. 골드쉬미트사, 상품명)이고,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셀 개방용 정포제가 실리콘 정포제인 TEGOSTAB B-8926, 8960 및 8961( T. H. 골드쉬미트사, 상품명)의 적어도 하나이고,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용 정포제가 실리콘 정포제인 TEGOSTAB B-8460, 8462 및 8466(T. H. 골드쉬미트사, 상품명)의 적어도 하나이고,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셀 조절제가 신발 밑창용 마이크로셀룰라 발포체 제조시 사용하는 정포제인 TEGOSTAB B-8905(T. H. 골드쉬미트사, 상품명)이고,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 이소시아네이트가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지방족계 모노올과의 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프레폴리머 단독 또는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프레폴리머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물을 포함한 폴리올 혼합물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가 130 내지 300이 되도록 유기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평균 셀 크기 100 ㎛ 미만의 100 %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14. 제 13 항의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가스 흡착제를 고진공용 금속-라미네이트 필름으로 감싸고 진공 배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재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열전도도 0.0060 kcal/mhr℃ 미만의 진공 단열재.
KR1019970058933A 1997-11-08 1997-11-08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KR199900390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933A KR19990039000A (ko) 1997-11-08 1997-11-08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933A KR19990039000A (ko) 1997-11-08 1997-11-08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000A true KR19990039000A (ko) 1999-06-05

Family

ID=66087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933A KR19990039000A (ko) 1997-11-08 1997-11-08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90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671B1 (ko) 2016-03-02 2016-12-20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냉동 컨테이너 단열재용 우레탄 발포체 제조 방법
KR101687670B1 (ko) 2016-02-26 2016-12-20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냉동 컨테이너 단열재용 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670B1 (ko) 2016-02-26 2016-12-20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냉동 컨테이너 단열재용 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
KR101687671B1 (ko) 2016-03-02 2016-12-20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냉동 컨테이너 단열재용 우레탄 발포체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9067A (en) Open cell rigid polyurethane foa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king vacuum insulation panel using same
US4997706A (en) Foaming system for closed-cell rigid polymer foam
US5169873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foams with the aid of blowing agents containing fluoroalkanes and fluorinated ethers, and foams obtained by this process
US4668555A (en) Heat insulating body
US5350777A (en) Production and use of open cell rigid polyurethane foam
US5690855A (en) Polyol blend, cellular polyurethane foam product made therefrom, and halogenated hydrocarbon-free process therefor
US5575871A (en)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U740991B2 (en) Process for rigid polyurethane foams
AU722500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rigid polyurethane foams having low thermal conductivity
JP2002510723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製造方法
US20080280120A1 (en) Thermally Insulating Molded Element
JPH0616859A (ja) オープンセル構造を有する硬質イソシアヌレートフォ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5614566A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rigid foams having urethane and/or isocyanurate groups and being extensively open celled
US5252625A (en) Method for producing rigid foams and products produced therefrom
JP3072560B2 (ja) 超低温保冷用ポリウレタンフォ―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11001665B1 (en) Open-cell rigid polyurethane foam and the use thereof
KR19990039000A (ko)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EP0742237B1 (en) Foamed thermal insulating material and insulated structure
CN111454419B (zh) 一种全水发泡半硬质pu泡沫
JPH11310619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断熱材並びに断熱箱体
KR0185151B1 (ko)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진공단열 판넬
KR19990042337A (ko) 개방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KR900005028B1 (ko) 열 절연체(熱絶緣體)
JP3587563B2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KR102548562B1 (ko) 메타-톨루엔디아민으로 개시된 폴리올을 이용하여 제조된 경질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냉동 시스템용 단열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