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955U - 조립식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조립식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955U
KR19990038955U KR2019980004991U KR19980004991U KR19990038955U KR 19990038955 U KR19990038955 U KR 19990038955U KR 2019980004991 U KR2019980004991 U KR 2019980004991U KR 19980004991 U KR19980004991 U KR 19980004991U KR 19990038955 U KR19990038955 U KR 199900389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eiling
container
prefabricated container
bottom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경
Original Assignee
김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경 filed Critical 김재경
Priority to KR2019980004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8955U/ko
Publication of KR199900389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955U/ko

Links

Landscapes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을 적재하여 운반하는데 사용하는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전후좌우패널 및 천정과 바닥패널을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보관 또는 빈 컨테이너로 운반시에 분해적층 할 수 있게 하여 그 부피를 최소화되게 한 조립식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바닥패널의 전후단에 전면패널과 도어패널이 그 프레임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축설하고, 전면패널과 도어패널의 사이에 바닥패널과 접합되게 측면패널을 착탈되게 하되, 그 상부에 천정패널을 부착하고, 전면패널과 도어패널 내부의 동일위치와, 바닥패널과 천정패널 내부의 동일 위치에 괘지공을 형성하여 이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긴체 조립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컨테이너
본 고안은 화물을 적재하여 운반하는데 사용하는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전후좌우패널 및 천정과 바닥패널을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보관 또는 빈 컨테이너로 운반시에 분해적층 할 수 있게 하여 그 부피를 최소화되게 한 조립식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는 일반적으로 해상, 육상 및 항공의 각 수송기관에 적재할 수 있을 정도의 일정한 용적을 가지며, 적당한 강도의 반복적 사용이 가능한 박스형 수송용기이다.
비바람에 견디고 단위화물, 소화물 등을 수송하고, 내용물을 파손으로부터 보호하며 1 단위로 하역이 가능하여 내용물을 두 번 되싣지 않고 수송이 가능하다.
이러한 컨테이너는 일반적으로 박스형으로 구성된 일반 컨테이너(드라이 컨테이너), 중량물 수송을 위한 오픈 탑 컨테이너(open top container), 플랫 랙(Flat Rack) 컨테이너가 있고, 냉동육이나 과일과 같이 온도조절을 필요로 하는 냉동 컨테이너가 있고, 이들 컨테이너는 기본적으로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컨테이너가 화물이 실려 있던 비었던 간에 불문하고 항상 일정한 용적을 가지고 있다.
전기한 컨테이너는 해상 교통등에 의해 주로 국제무역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즉 A국에서 수출품을 싣고, B국으로 운송되고, 화물을 비운 컨테이너는 B국(지역)에서 다시 화물을 채우고 다른 지역(국가)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그런데 국제무역의 특성상 일정지역(국가)의 수출입 물동량이 균형을 이루기 어렵다는 것이다.
즉 수출이나 수입물량 중 어느 한쪽이 많기 때문에 수출물량이 많은 지역에는 항상 컨테이너가 부족하고 수입물량이 많은 지역은 컨테이너가 남게 되는 것이다.
대표적인 곳이 미국이다. 미국은 97년도에 약 500만개의 컨테이너 물량만큼 수입되었고, 수출용 컨테이너는 300만개에 불과하여 약 200만개의 컨테이너가 미국에 빈 컨테이너 상태로 남아있다.
컨테니어는 반복 사용하는용기로서 사용중에는 계속하여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선박, 항공기 또는 트럭에 적재, 하역시에 크레인 사용료 운송비(선박, 항공기, 철도, 트럭 등을 이용한), 장치장 보관료등이다.
문제는 이러한 비용이 화물을 싣지 않은 빈 컨테이너에도 예외없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단순히 1개의 빈컨테이너를 미국에서 아시아 국가로 이동시 발생하는 비용은 약 400불 정도 소요된다. 이렇게 미국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빈컨테이너를 운송, 유지 보관하기 위해 발생하는 비용은 천문학적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이유로 해운사 및 트럭, 항공사 등 세계 물류기업은 빈컨테이너 이송 비용을 줄이기에 골몰하고 있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저, 컨테이너를 분해 조립되게 하여 빈 컨테이너로 이동시에 이를 분해 절첩시켜 컨테이너의 부피가 1/5 이하로 줄게 하여 그 운송비용 역시 1/5이하로 줄게한 컨테이너를 제공함에 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2 은 본 고안 조립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 바닥과 측벽 및 천정 패널의 결합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 측벽과 전면 패널의 결합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 기둥과 프레임의 결합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 분해 패널의 적층 설명도로서, a는 바닥 패널을 적층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b는 빈 조립식 컨테이너 내에 천정패널과 측면패널을 넣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고안 상부 코너 피팅(Fitting)의 설명도
도 8 은 본 고안 하부 코너 피팅(Fitting)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닥패널 2 : 전면패널
3 : 도어패널 3' : 도어
4 : 기둥 5, 5' : 측면패널
6 : 천정패널 7, 7' : 요철홈
8 : 고무패킹 9 : 프레임
9' : 축봉 10 : 코너피팅
10' : 코너피팅의 결합공 11 : 계지판
12,12' : 가이드판 13, 13' : 괘지공
14, 14' : 와이어
전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기술수단으로는 바닥판과 두 측면판과 전후판 및 천정판으로 구성된 컨테이너에 있어서 바닥판과 전후판을 절첩되게 하고, 두 측면판 및 천정판은 분해되게 구성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리상태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 는 조립상태의 사시도이다.
바닥패널(1)의 전후단에 전면패널(2)과 도어패널(3)이 그 기둥(4)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축설되어 있다.
여기서 바닥패널(1)의 프레임(9)에서 돌출된 축봉(9')이 기둥(4)을 지지한다.
전면패널(2)과 도어패널(3)의 사이에는 바닥패널(1)에 대하여 측면패널(5)(5')이 착탈되게 한다.
바닥패널(1)의 양측에는 가이드판(12)(12')을 설치하여 측면패널(5)(5')의 좌우이탈을 방지한다.
전면패널(2)과 도어패널(3) 및 측면패널(5)(5')로 이루어진 박스체의 상부에 천정패널(6)을 부착되게 하되, 바닥패널(1)과 천정패널(6)은 그 좌우 단부에 돌출턱(1')(6')을 갖게 형성한다.
각 패널(1)(2)(3)(5)(5')(6)의 접합면에는 요철홈(7)(7')을 형성하고, 고무패킹(8)을 삽입하여 밀폐 접합되게 하고, 측면패널(5)(5')이 바닥패널(1)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결합한다.
각 패널이 모두 접합된 후 볼트등의 체결구로서 서로 체결하거나, 전면 패널(2)과 도어패널(3) 내측의 동일위치와, 바닥패널(1)과 천정패널(6)내측의 동일 위치에 괘지공(13)(13')를 형성하고 이에 와이어(14)(14')를 결합하여 긴체조립한다.
또 기둥(9)의 코너피팅(10)에 도 7 의 도시와 같이 수평회전가능한 계지판(11)을 축설하여 그 회전에 의해 천정패널(6)을 지지할 수 있으며, 도 8의 도시와 같이 기둥(9) 하부의 코너피팅(10)의 측면부의 결합공(10')을 장공으로 그 절첩시 장공이 상부를 향하게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전기와 같은 구성으로 조립된 본 고안의 조립식 컨테이너는 조립 후 형태가 국제 규격의 일반 컨테이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어패널(3)에 구성된 도어(3')를 열고 운송코저 하는 화물을 내입한 후 도어(3')를 다시 닫고 이를 크레인에 의해 트레일러 또는 선박에 싣고 운송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화물의 내입 또는 인출이 용이하고, 측면패널(50(5')과 전후패널(2)(3)이 바닥패널(1)보다 외측에 형성되어 우천시 빗물 등이 쉽게 낙수 될수 있으면서도 각 패널(1)(2)(3)(5)(5')(6)의 접합면이 요철홈(7)(7')과 고무패킹(8)으로 되어 있어 우천시에도 완전 방수가 이루어져 내부 화물을 보호할 수 있다.
또 측면패널(5)(5')이 가이드판(12)(12')에 의해 바닥패널(1)의 외측으로 탈락됨을 방지하는 동시에 와이어(14)(14') 또는 계지판(11)에 의해 견고한 조립으로 반복 사용에도 패널이 서로 분리될 우려가 없으며, 특히 지지기둥(4) 및 바닥프레임(9)이 축봉(9')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컨테이너를 들어올릴시에 화물의 하중이 실린 바닥패널이 기둥에 직접 지지되어 분리의 우려가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컨테이너를 화물의 운송에 사용한 후 다시 출발지로 되돌아 올 때 빈 컨테이너 상태로 되돌아오게 되는 경우에는 이를 조립된 박스 상태로 적재하지 않고 각 패널을 분리하여 분해하므로서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조립상태의 컨테이너를 먼저 내측면의 와이어(14)(14')를 분리하여 해체되고, 그 다음 천정패널(6)을 들어낸 후 측면패널(5)(5')을 들어내고 전면패널(2)과 도어패널(3)을 그 힌지브라켓(15)을 중심으로 바닥패널(1)로 절첩시킨다.
이렇게 분리된 각 패널들을 적층시키면 그 부피가 박스상태의 결합시보다 1/5로 축소되는 것이며, 바닥패널(1)을 도6a의 도시와 같이 코너피팅끼리를 로킹시키므로서 분해상태에서도 서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전면패널(2)과 도어패널(3)을 지지하고 있는 기둥(4)의 하단에 형성된 코너피팅(1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공(10')을 장공으로 형성하므로서 그 절첩시에 장공이 상부를 향하므로서 그 로킹 및 크레인에 의한 양중이 용이하다.
또한 측면패널(5)(5')과 천정패널(6)은 도6b의 도시와 같이 분해하지 않은 빈 컨테이너의 내부에 내입 적재할 수 있는 것인데, 천정패널(6)과 바닥패널(1)에는 돌출턱(1')(6')이 돌출구성되어 있어 그만큼 조립된 컨테이너의 내부공간이 확대되는 결과가 되어 비교적 이보다 작은 치수의 분해된 패널을 용이하게 내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빈 컨테이너를 운송하거나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 전기와 같은 분해에 의해 이에 소요되는 운송료, 하역비, 보관료 등을 1/5이하로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박스형 컨테이너를 전후 좌우 패널 및 천정과 바닥패널을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구성하므로서 빈컨테이너로 운반 또는 보관하게 될 경우에 그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이에 소용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바닥패널(1)의 전후단에 전면패널(2)과 도어패널(3)이 그 프레임(4)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축설하고, 전면패널(2)과 도어패널(3)의 사이에 바닥패널(1)과 접합되게 측면패널(5)(5')을 착탈되게 하되, 그 상부에 천정패널(6)을 부착하여 체결구로 체결 조립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컨테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전면패널(2)과 도어패널(3) 내부의 동일위치와, 바닥패널(1)과 천정패널(6) 내부의 동일 위치에 괘지공(13)(13')을 형성하여 이에 와이어(14)(14')를 연결하여 긴체 조립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컨테이너.
  3. 제1항에 있어서, 바닥패널(1)의 양측면에 가이드판(12)(12')을 돌출 형성하여 그 사이에 측면패널(5)(5')이 삽탈되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컨테이너.
  4. 제1항에 있어서, 각 패널(1)(2)(3)(5)(5')(6)의 접합면에 요철홈(7)(7')을 형성하고, 고무패킹(8)을 삽입하여 접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컨테이너.
  5. 제1항에 있어서, 코너피팅(10)의 측부에 수평회전이 가능한 계지판(11)을 축설하여 그 회전에 의해 천정패널(6)을 지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컨테이너.
  6. 제1항에 있어서, 기둥(9) 하부의 코너피팅(10)의 측면부의 결합공(10')을 장공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컨테이너.
  7. 제1항에 있어서, 바닥패널(1) 및 천정패널(6)의 내측 방향에 돌출턱(1')(6')을 돌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컨테이너.
KR2019980004991U 1998-04-01 1998-04-01 조립식 컨테이너 KR1999003895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991U KR19990038955U (ko) 1998-04-01 1998-04-01 조립식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991U KR19990038955U (ko) 1998-04-01 1998-04-01 조립식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955U true KR19990038955U (ko) 1999-11-05

Family

ID=69513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991U KR19990038955U (ko) 1998-04-01 1998-04-01 조립식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895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082B1 (ko) * 2001-04-26 2004-02-19 박해원 조립식 트럭용 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082B1 (ko) * 2001-04-26 2004-02-19 박해원 조립식 트럭용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3489B2 (en)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EP0191737B1 (fr) Emballage intermodal non réutilisable et de grande capacité
US5265748A (en) Multi-purpose container
KR0148345B1 (ko) 절첩식 컨테이너
US7984819B1 (en)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US4546896A (en)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US9045280B2 (en)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CN209921829U (zh) 可折叠容器
CN104554990A (zh) 装载式托盘箱
JP5243591B2 (ja) 組立式コンテナ及び組立式コンテナの輸送方法
US8251237B2 (en) Ready-to-mount, modular container or same-type equipment
KR100632343B1 (ko) 겸용 컨테이너
CN113544066A (zh) 运输集装箱
KR19990038955U (ko) 조립식 컨테이너
JPH01153480A (ja) 多目的コンテナ
US20120181268A1 (en) Refrigerated freight container
US4860911A (en) Cargo container
CN204056584U (zh) 一种盛装液体的中型散装容器
JPH09188188A (ja) コンテナーバッグを搭載したコンテナー車両
CN112938193A (zh) 一种折叠顶门两侧开门的自卸自称重多用途集装箱
Wiśnicki et al. Flexible logistic processes with the use of modular loading units
EP1500610A2 (en) Modified shipping container
JPH037354Y2 (ko)
US20240034552A1 (en) Interoperable prefabricated mobile structure
CN214877169U (zh) 一种折叠顶门两侧开门的自卸自称重多用途集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