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570A -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570A
KR19990038570A KR1019970058373A KR19970058373A KR19990038570A KR 19990038570 A KR19990038570 A KR 19990038570A KR 1019970058373 A KR1019970058373 A KR 1019970058373A KR 19970058373 A KR19970058373 A KR 19970058373A KR 19990038570 A KR19990038570 A KR 19990038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plate
microcomputer
parking management
management system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용
Original Assignee
김영준
주식회사 덕우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준, 주식회사 덕우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김영준
Priority to KR1019970058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8570A/ko
Publication of KR19990038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570A/ko

Links

Landscapes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용 주차공간에 타차량의 주차는 막아주면서 지정된 차량은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같은 본 발명은; 해당주차공간의 지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박스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외측상부에 겹쳐질 수 있는 단면형상을 가지며 그 일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 회전되어 세워지거나 눕혀지는 회전판(21)을 제공하되, 상기 회전판(21)을 원격조정으로 동작시키도록 키이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조정부(100)와; 상기 원격조정부(100)에서 송신하는 키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00)와; 주차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전판(21)의 회전각도에 따른 위치와 타차량의 근접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부(300)와; 수신부(200)에 의해 수신된 키이신호 및 상기 센서부(300)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주차관리를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시스템 각부를 제어하는 마이컴(400)과; 상기 마이컴(400)의 제어동작에 따라 회전판(21)의 상하 회전을 자동으로 조정시키도록 상하 회전동작에 따른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500)와; 마이컴(400)의 제어동작에 따라 타차량의 근접과 회전판(21)의 임의작동에 따른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부저(600)와; 상기 시스템 각부를 구동시키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700); 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
본 발명은 전용 주차공간에 타차량의 주차는 막아주면서 지정된 차량은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폭발적으로 증가되는 차량에 비하여 주차공간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에 처해 있으며, 실제적으로 공공건물·아파트 또는 이면도로등의 부지에 확보된 전용 주차공간내에 타차량이 주차함으로 인하여 오히려 지정된 차량이 주차하지 못하게 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상기한 주차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전에는 주차공간의 지면에 수평하게 놓여질 수 있는 바닥판과, 그 바닥판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세워져서 고정되어 받침대로서 지지되는 차단판으로서 구성된 주차방지판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주차방지판은 단순한 구조를 가지는 만큼, 제작이 용이하여 가격이 저렴한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주차방지판은 비고정식으로서 단순힌 해당 주차공간에 놓여져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전용주차공간내에 타차량의 주차를 완전히 해결하여 주기에는 역부족한 결점이 있었다.
또한, 주차관리장치와 관련하여 선출원된 것으로 1994년 국내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2776호에는 포스트와 그 하부에 받침대로 구성하여 지면에 고착시키되, 포스트의 외주연에는 야광도료층이 도색되고, 하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종으로 2개의 삽입공 및 그 중간에 결합공이 천공되어 있고 하단은 만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에는 중앙에 지지부가 입설되고, 그 주연부에 결착공이 천공되며, 상기 지지부에는 만곡부가 형성되고, 삽입공 및 그 중간에 결합공이 천공되어 상기 포스트와 지지부를 접지시켜 결합공을 통해 축핀을 끼우고 너트로 결착 유설되게 하고, 상기 삽입공을 통하여 일단이 상기 받침대에 고정된 줄을 통해 부착된 체결구를 삽입한 다음 체결구의 구멍을 통해 자물쇠로 체결하여서 된 주차방지용 포스트가 출원공개 되어 있다.
따라서, 이는 해당 주차공간 지면에 고정된 받침대에 입설된 지지부에 포스트를 직립되게 세워서 체결구를 통하여 자물쇠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시에 자물쇠를 해지하고 지지부에 포스트를 수평하게 착설하여서 넓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용 주차공간에 타차량의 주차를 방지하여 주어서 지정차량만을 주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주차방지용 포스트는 첫째, 사람이 손으로 포스트를 직접 조작하여서 세우거나 눕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지정차량을 주차시키고자 할 때에 운전자가 차량에서 내려서 포스트를 조작하게 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동시에 수반하게 되었으며, 둘째, 지정된 차량의 주차시에 포스트 그 자체가 장애물이 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세심한 주의와 노력이 요구되어 주차가 용이하지 못하였으며, 심한 경우에는 포스트로 인하여 차량이 손상을 입거나 그 반대로 차량으로 인하여 포스트 자체가 파손될 염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컴팩트한 본체에 겹쳐지게 착설되어 상하로 회전되는 회전판을 제공하되, 센서를 통해 회전판의 상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한편, 부저를 통해 회전판의 임의작동과 타차량의 근접거리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원격조정으로 동작되는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첫째 기본적으로 전용 주차공간내에 타차량의 주차를 방지하여 줌은 물론이고, 둘째 주차공간내에 최소한의 부피와 점유면적으로 설치되도록 하여서 지정차량의 주차에 따른 안정성을 제고하여 주며, 셋째 원격조종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여 지정차량의 주차에 따른 편익을 도모하여 주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럭회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자동 주차관리 구조의 분리사시도.
도3은 도2의 일부절결 평면도.
도4는 도3의 일측 단면도.
도5는 도2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도2의 회전판 변형상태를 나타낸 부분발췌 단면도.
도7a,b는 본 발명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 제어과정의 일실시예를 보인 플로우챠트.
본 발명의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은 첨부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주차공간의 지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박스형상으로 길게 형성하여서 된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외측상부에 겹쳐질 수 있는 단면형상을 가지며 그 일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 회전되어 세워지거나 눕혀지는 회전판(21)을 제공하되, 상기 회전판(21)을 원격조정으로 동작시키도록 키이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조정부(100)와; 상기 원격조정부(100)에서 송신하는 키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00)와; 주차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전판(21)의 회전각도에 따른 위치와 타차량의 근접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부(300)와; 수신부(200)에 의해 수신된 키이신호 및 상기 센서부(300)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주차관리를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시스템 각부를 제어하는 마이컴(400)과; 상기 마이컴(400)의 제어동작에 따라 회전판(21)의 상하 회전을 자동으로 조정시키도록 상하 회전동작에 따른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500)와; 마이컴(400)의 제어동작에 따라 타차량의 근접과 회전판(21)의 임의작동에 따른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부저(600)와; 상기 시스템 각부를 구동시키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70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300)는, 회전판(21)의 최대상승위치를 감지하는 제1위치센서(301)와; 회전판(21)의 최대하강위치를 감지하는 제2위치센서(302)와; 주차관리 시스템으로의 타차량 근접거리상태를 감지하는 근접거리센서(303);를 포함하여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은, 형태적으로는 본체(10)를 컴팩트한 박스형상으로서 형성하고 그 본체(10)에 겹쳐질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판(21)을 가지도록 하여 최소한의 점유면적과 부피로 설치 가능하게 함으로써, 지정 차량의 주차시 운전 부주의로 인한 차량 또는 주차관리장치 자체가 손상을 입거나 파손됨이 없이 안전하게 주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구조적으로는 원격조정부(100)로서 본체(10) 내부의 센서부(300)와 마이컴(400)을 통해 구동부(500)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구동부(500)의 구동에 따라 회전판(21)이 상하로 회전작동하여 운전자가 차량에서 내려 손수 조작하게 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정차량을 편리하게 주차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기구적인 구성도를 보인 일실시예로서, 이의 각 기구적인 구성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는 전용 주차공간의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하게 되며, 자체 형태유지와 외적인 하중이나 충격으로부터 내장되는 각 구성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금속판을 소재로 하여 직사각형의 상판(11) 사방이 측벽(12)들로서 막아지는 컴팩트한 박스형으로서 형성하여서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그 내부의 길이방향 양측벽(12)의 하단에 각기 형성된 통공(13)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볼트로서 각기 착설되는 1쌍의 고정앵글(14)을 지면에 접지시키고, 그 고정앵글(14)을 통하여 앵커볼트로서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켜서 설치하게 된다.
여기에, 상기 본체(10) 후방측의 측벽(12)은 별개의 평판으로서 분리 형성하고, 그 평판으로서 이루어진 측벽(12)이 상기 본체(10)의 양측벽(12) 후단부에 각기 내측을 향하여 직각으로 돌출 형성된 결착편(15)들의 외측에 체결볼트로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본체(10) 후방측의 착탈가능한 측벽(12)을 통하여 그 본체(10)에 내장되는 전원공급부(700), 즉 충전배터리(51)의 교환이나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배려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별도로서 구획된 공간을 이루는 내함(16)을 가지도록 하여서, 그 내함(16)내에 구동부(500)와 제1 및 제2위치센서(301)(302) 및 근접거리센서(303)가 포함된 센서부(300)와 마이컴(400)이 내장될 수 있도록 한다.
회전판(21)은 상기 본체(10) 상부측에 상하로 회전동작되면서 세워지거나 눕혀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용주차공간에 지정차량외에 타차량의 주차를 막아주는 직접적인 역할을 감당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판(21)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겹쳐질 수 있도록 대략 C형찬넬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회전판(21) 길이방향 양측의 끝단에 일측 및 타측 고정편(22)(23)들을 연장 형성하여서, 그 일측 고정편(22)은 상기 본체(10) 일측의 측벽(12)을 관통하여 결착되는 힌지(24)로서 고정하고, 타측 고정편(23)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내장되는 구동부(500)의 구동력으로서 상하로 회전작동될 수 있도록 연결 설치하여서 된다.
여기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21)은 그 일측 및 타측 고정편(22)(23)들을 포함한 길이방향 끝단 일부분을 금속판체(21a)로서 형성되도록 하고, 그 금속판체(21a)와 일체로 연결되어 연장된 내부의 금속박판 양면이 고무박판으로서 감싸져서 된 유연성의 탄성판체(21b)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21)은 그 길이방향 끝단의 금속판체(21a)를 제외한 대부분이 탄성판체로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회전판(21) 자체가 외적인 충격이나 강제적으로 작용되는 힘으로부터 유연하게 대응하여서 파손됨을 방지하여 주면서도, 지정된 차량의 주차시에 회전판(21)에 의하여 차량이 손상됨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회전판(21) 자체의 무게하중을 대폭적으로 감축시켜서 그 회전판(21)을 구동시켜 주는 구동부(500)의 기계적인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여 주는 잇점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
구동부(50)는 상기 본체(10)에 내장되어서 상기 회전판(21)을 상하 회전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부(50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에 별도의 내함(16)에 상기 회전판(21)의 타측 고정편(23)을 향하여 체결볼트로서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브라켓(32) 일측에, 상기 내함(16)에 착설되는 브라켓(32)에 구동기어(31a)를 가지는 정역모터(31)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32) 중간에 연동·피동·종단기어(33a)(33b)(33c)들로서 이루어지는 감속기(33)를 설치하여서 상기 정역모터(31)의 구동기어(31a)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감속기(33)의 종단기어(33c)와 치합되는 축기어(34a)와 일연체로서 형성된 회동축(34)이 상기 회전판(21)의 일측 고정편(22)과 연결 고정되도록 하여서, 상기 정역모터(31)의 구동력이 감속기(33)와 회동축(34)을 통하여 감속된 회전속도와 최대 토오크로서 상기 회전판(21)을 정속회전시켜 주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21)과 연결되는 회동축(34)의 일정위치의 외주면상에 돌출 형성되는 접점돌기(35)를 가지도록 하여서, 상기 센서부(300)에 포함된 제1 및 제2위치센서(301)(302)로서 상기 회전판(21)의 동작을 감지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및 제2위치센서(301)(302) 및 마이컴(40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의 내함(16)에 내장하여서 상기 회전판(21)을 상하 회전시켜 주는 구동부(500)의 작동을 전기적으로 제어 단속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원격조정부(100)로부터 송신된 키이신호를 수신부(200)로서 수신하여서 연결된 마이컴(400)을 통하여 전원공급부(700)로부터 구동부(500)로 전달되는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하여서 상기 회전판(21)이 상하로 회전동작될 수 있도록 제어 단속하여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위치센서(301)(302)는 상기 구동부(500)의 회동축(34)에 형성된 접점돌기(35)와 근접된 위치의 브라켓(32)상에 각기 착설하여서, 상기 구동부(500)의 정역모터(31)가 구동됨에 따라 감속 회전하게 되는 회동축(34)의 접점돌기(35)로서 상기 회전판(21)의 최대 상승점과 하강점을 감지하여, 상기 회전판(21)이 최대 상승점 또는 하강점에 도달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부(5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회전판(21)이 세워지거나 눕혀진 상태로서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 단속하여 주게 된다.
전원공급부(70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에 내장되는 충전배터리(51)로서 상기 마이컴(400)을 통하여 구동부(500)의 정역모터(31)에 D.C전원을 공급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700)의 충전배터리(51)는 대략 6-12V의 D.C전원을 정역모터(31)에 공급하여 주게 되며, 외부의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700)는 그 충전배터리(51)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마이컴(400)으로 향하는 전원선(51a)과 통전되도록 연결된 전환스위치(52)를 상기 본체(10)의 측벽(12)에 노출되게 설치하여서, 평상시에는 전환스위치(52)를 절환시켜서 상기 회전판(21)이 마이컴(400)을 통하여 구동부(500)로서 자동적으로 동작되도록 하고, 상기 마이컴(400) 또는 전원공급부(700)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와 같은 비상시에 상기 전환스위치(52)를 절환하여서 회전판(21)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마이콤(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10)내의 일정위치에 부가 설치되는 부저(600)를 가지도록 하여서, 원격조정부(100)의 조작없이 회전판(21)을 임의로 동작시키면 상기 부저(600)가 경보음을 발생시켜 줌으로써, 타인이 회전판(21)을 임의로 작동시키는 장난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타차량의 주차를 지정차량의 사용자에게 알려 주는 등의 잇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이컴(400)을 통하여 부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10)의 선단부 측벽(12)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센서부(300)에 포함된 근접거리센서(303)를 가지도록 하여서, 지정된 주차공간내에 타차량이 원격조정부(100)의 조작없이 일정한 거리(대략 30Cm)이상 접근할 때 상기 부저(600)가 경보음을 발하여서 타차량의 주차를 막아줄 수 있는 잇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A·B는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의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 제어과정의 일실시예를 보인 플로우챠트로서, 그 진행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 주차관리를 위한 송신주파수 및 어드레스코드(address code)를 발신하는 신호발신단계와; 상기 신호발신단계에 의해 발신되는 송신수파수 및 어드레스코드에 따라 주차관리 시스템이 정상/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가를 판단하는 시스템동작 판단단계와; 상기 시스템동작 판단결과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발신되는 송신주파수 및 어드레스코드를 확인한 후 사용자의 정상적인 주차상태를 제어하는 정상주차제어단계와; 상기 시스템상태 판단결과 비정상적인 동작, 즉 원격제어없이 주차관리 시스템이 강제적으로 작동하거나 또는 불법주차를 위해 타차량이 근접하고 있으면, 경고음을 발생시켜 비정상적인 주차를 제어하는 비정상주차제어단계; 로 진행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상주차제어단계는, 원격조정부(100)에서 발신하는 송신주파수 및 어드레스코드를 확인한 후 차량의 주차상태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판단결과 차량이 주차하지 않는 경우, 원격조정부(100)의 상부구동스위치를 입력하여 회전판(21)을 상승시키고 이의 동작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도록 부저(600)를 통해 약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 의해 상승하는 회전판(21)이 타차량의 주차를 제어하도록 최대 상승위치로 회전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의 판단결과 회전판(21)이 최대상승위치로 회전하지 않으면 상기 단계를 반복하고, 최대상승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판(21)을 최대상승위치에서 정지시킨 후 경보음의 발생을 중지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판단결과 차량주차시 원격조정부(100)의 하부구동스위치를 입력하여 회전판(21)을 하강시키고 이의 동작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도록 부저(600)를 통해 약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 의해 하강되는 회전판(21)이 차량이 주차할 수 있도록 최대하강위치로 회전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의 판단결과 회전판(21)이 최대하강위치로 회전하지 않으면 상기 단계를 반복하고, 최대하강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판(21)을 최대하강위치에서 정지시킨 후 경보음의 발생을 중지시키는 제7단계; 로 진행된다.
또한, 상기 비정상주차제어단계는, 원격조정부(100)의 원격제어없이 회전판(21)이 강제적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외부차량이 근접되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8단계와; 상기 제8단계의 판단결과 강제적으로 회전판(21)이 회전하면 그 위치가 최대상승위치에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제9단계와; 상기 제9단계의 판단결과 회전판(21)이 최대상승위치에 존재하지 않으면 타이머의 딜레이(deley)에 따라 알람을 발생시킨 후 회전판(21)을 최대상승위치로 상승시키고 이의 동작상태를 부저(600)의 경보음을 통해 인식시키는 제10단계와; 상기 제10단계에 의해 상승하는 회전판(21)이 최대상승위치로 회전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제11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최대상승위치로 회전되었으면 회전판(21)을 최대상승위치에서 정지시킨 후 경보음의 발생을 중지시키는 제12단계와; 상기 제8단계의 판단결과 외부차량이 근접하고 있으면, 외부차량이 근접거리범위내에 존재하는 동안 타이머의 딜레이에 따라 경고음을 강하게 발생시키는 제13단계와; 상기 제13단계에 의해 외부차량이 근접거리 범위내에서 벗어났는가를 판단하는 제14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외부차량이 근접거리 범위내에서 벗어났으면 회전판(21)을 최대상승위치에서 고정적으로 정지시킨 후 경고음 발생을 중지시키는 제15단계; 로 진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의 정상적인 작동에 따라 지정차량이 주차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격조정부(100)를 조작하면, 상기 원격조정부(100)의 조작에 따라 송신되는 키이신호, 즉 송신주파수 및 어드레스코드가 수신부(200)에 의해 수신된 후 마이컴(400)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마이컴(400)에서는 입력되는 송신주파수 및 어드레스코드에 따라 주차관리 시스템이 정상 또는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든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상기 마이컴(400)의 판단결과에 의해 주차관리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사용자가 차량을 주차시키고자 하는 경우, 원격조정부(100)의 상부구동스위칭동작에 따라 마이컴(400)에서는 구동부(500)의 정역모터(31)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제어동작을 하게 됨으로써, 상기 정역모터(31)의 구동력이 감속기(33)를 통하여 회동축(34)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회동축(34)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판(21)이 하강되어 눕혀진 상태가 된 후 본체(10)에 밀착되면, 상기 구동부(500)의 회동축(34)에 형성된 접점돌기(35)와 근접된 위치의 브라켓(32)상에 착설된 센서부(300)의 제2위치센서(302)가 회동축(34)의 접점돌기(35)로서 상기 회전판(21)의 최대 하강점을 감지한 후 이를 마이컴(400)에 전달하게 된다.
이후, 일정시간(약 3초) 경과후에도 상기 제2위치센서(302)에서 감지한 회전판(21)의 위치신호가 마이컴(400)에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마이컴(400)에서는 회전판(21)이 최대하강점으로 회전되었음을 인식한 후 충전배터리(51)로 이루어진 전원공급부(700)의 전원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부저(600)를 제어하게 됨으로써, 상기 부저(600)에서는 사용자가 회전판(21)이 최대하강점으로 회전하여 본체(10)와 밀착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경보음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마이컴(400)에서는 부저(600)의 경보음이 약 10초간 발생할 수 있도록 제어동작을 한 후 다시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을 재작동시키게 되고, 만약 재작동시 상기 제2위치센서(302)에서 감지된 신호가 없을 경우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의 재작동을 중지시키게 됨으로써, 지정차량이 주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의 정상적인 작동에 따라 주차된 지정차량이 빠져나가는 경우, 사용자가 원격조정부(100)를 조작하면, 상기 원격조정부(100)의 조작에 따라 송신되는 키이신호, 즉 송신주파수 및 어드레스코드가 수신부(200)에 의해 수신된 후 마이컴(400)에 전달되고, 상기 마이컴(400)에서는 전원공급부(700)의 전원을 공급시킴과 더불어 구동부(500)의 정역모터(31)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제어동작을 하게 됨으로써, 상기 정역모터(31)의 구동력이 감속기(33)를 통하여 회동축(34)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회동축(34)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판(21)이 상승되어서 세워진 상태가 되면, 상기 구동부(500)의 회동축(34)에 형성된 접점돌기(35)와 근접된 위치의 브라켓(32)상에 착설된 센서부(300)의 제1위치센서(301)가 회동축(34)의 접점돌기(35)로서 상기 회전판(21)의 최대상승점을 감지한 후 이를 마이컴(400)에 전달하게 됨으로써, 상기 회전판(21)은 타차량이 주차하지 못하도록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마이컴(400)은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부저(600)를 제어하게 됨으로써, 상기 부저(600)은 회전판(21)이 최대 상승점까지 도달하는 시간동안 약한 경보음을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본체(10)로부터 회전판(21)을 원격으로 동작시켜서 세워지거나 눕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정차량은 간편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타차량 주차는 방지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고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즉 타차량이 불법 주차하기 위해 접근하거나 또는 원격조정부(100)의 조작없이 접근(약 30cm이내)하는 경우, 부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10)의 선단부 측벽(12)을 관통하여 설치된 센서부(300)의 근접거리센서(303)에서는 근접하는 타차량의 근접거리를 감지한 후 이를 마이컴(400)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400)에서는 근접한 타차량이 근접거리범위에서 벗어날 때까지 타이머의 딜레이에 따라 부저(600)를 제어하여 강한 경보음을 발생시키게 되고, 타차량이 근접거리범위내에서 벗어나면 상기 마이컴(400)에서는 회전판(21)을 최대상승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키면서 부저(600)의 강한 경보음 발생을 중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타차량 접근이 아닌 사람 또는 기타의 방법(예 : 어린이의 장난등)으로 세워진 회전판(21)을 강제적으로 눕히는 경우, 상기 구동부(500)의 회동축(34)에 형성된 접점돌기(35)와 근접된 위치의 브라켓(32)상에 착설된 제2위치센서(302)가 회동축(34)의 접점돌기(35)로서 상기 회전판(21)의 눕힘 상태를 감지한 후 이를 마이컴(400)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400)에서는 일정시간(약 10초)동안, 즉 타이머의 딜레이에 따라 부저(600)를 제어하여 알람형태의 경보음을 발생시킨 후 눕혀진 회전판(21)을 다시 원상태, 즉 세워진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구동부(500)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부(500)의 구동에 따라 회전판(21)이 최대상승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마이컴(400)에서는 회전판(21)을 최대상승위치에서 정지시킨 후 상기 부저(600)의 알람 경보음 발생을 중지시키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긴급상황 발생, 즉 상기 마이컴(400) 또는 전원공급부(700)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사용자가 상기 전원공급부(700)와 연결되어 마이컴(400)으로 향하는 전원선(51a)과 통전되도록 본체(10)의 측벽(12)에 노출되게 설치된 전환스위치(52)를 절환스위칭동작시키면, 상기 전환스위치(52)의 절환스위치동작에 따라 마이컴(400)으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면서 회전판(21)은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전환스위치(52)를 절환시켜 상기 회전판(21)이 마이컴(400)을 통하여 구동부(500)로서 자동적으로 동작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컴팩트한 본체에 겹쳐지게 착설되어 상하로 회전되는 회전판을 제공하되, 센서를 통해 회전판의 상하회전각도를 감지하는 한편, 부저를 통해 회전판의 임의작동과 타차량의 근접거리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원격조정으로 동작되는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전용 주차공간내에 타차량의 주차를 방지하여 주며, 지정차량은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실사용적인 효과를 가지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해당주차공간의 지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박스형상으로 길게 형성하여서 된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외측상부에 겹쳐질 수 있는 단면형상을 가지며 그 일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 회전되어 세워지거나 눕혀지는 회전판(21)을 제공하되, 상기 회전판(21)을 원격조정으로 동작시키도록 키이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조정부(100)와;
    상기 원격조정부(100)에서 송신하는 키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00)와;
    주차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전판(21)의 회전각도에 따른 위치와 타차량의 근접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부(300)와;
    수신부(200)에 의해 수신된 키이신호 및 상기 센서부(300)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주차관리를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시스템 각부를 제어하는 마이컴(400)과;
    상기 마이컴(400)의 제어동작에 따라 회전판(21)의 상하 회전을 자동으로 조정시키도록 상하 회전동작에 따른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500)와;
    마이컴(400)의 제어동작에 따라 타차량의 근접과 회전판(21)의 임의작동에 따른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부저(600)와;
    상기 시스템 각부를 구동시키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70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300)는 회전판(21)의 최대상승위치를 감지하는 제1위치센서(301)와; 회전판(21)의 최대하강위치를 감지하는 제2위치센서(302)와; 주차관리 시스템으로의 타차량 근접거리상태를 감지하는 근접거리센서(303);를 포함하여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21)은 원격조정부(100)의 원격조정없이 강제작동시 마이컴(400)의 제어동작에 따라 일정시간후 자동 복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평상시에는 전환스위치(52)를 절환시켜 상기 회전판(21)이 마이컴(400)을 통하여 구동부(500)로서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하고, 상기 마이컴(400) 또는 전원공급부(700)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와 같은 비상시에는 상기 전환스위치(52)를 절환하여 회전판(21)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저(600)는 마이컴(400)의 제어동작에 따라 이중 경보음으로 발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저(600)는 타차량의 근접 또는 원격조정부(100)의 원격조정없이 회전판(21)이 강제작동시 마이컴(400)의 제어동작에 따라 일정시간동안 경고용의 강한 경보음으로 발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저(600)는 회전판(21)의 정상작동시 마이컴(400)의 제어에 따라 일정시간동안 작용상태를 인식하기 위한 평상시의 경보음으로 발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
KR1019970058373A 1997-11-06 1997-11-06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 KR19990038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373A KR19990038570A (ko) 1997-11-06 1997-11-06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373A KR19990038570A (ko) 1997-11-06 1997-11-06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570A true KR19990038570A (ko) 1999-06-05

Family

ID=66086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373A KR19990038570A (ko) 1997-11-06 1997-11-06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85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504B1 (ko) * 2001-12-05 2009-09-24 알스톰 콘크리트 포장부를 형성하고, 콘크리트 포장부에 선로 고정요소를 삽입하는 철로 건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504B1 (ko) * 2001-12-05 2009-09-24 알스톰 콘크리트 포장부를 형성하고, 콘크리트 포장부에 선로 고정요소를 삽입하는 철로 건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2669B1 (en) Security device and method for transport devices
US4879554A (en) Barrier assembly for a parking space
US20120044046A1 (en) Remote Control Parking Barrier
CN110792306B (zh) 一种便于车辆管理的定点停车指示牌
US20030102836A1 (en) Safety garage door retrofit system
JP3152050U (ja) 駐車スペースゲートシステム
KR19990038570A (ko)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
US7797881B2 (en) Garage door control system
CN210606106U (zh) 自动识别车牌的车位锁
CN212317605U (zh) 一种智能化车位引导装置
KR19990032493A (ko) 자동 주차관리장치
WO2005077102A2 (en) Capacitance threshold sensor for a wheelchair lift or ramp
CN114032813A (zh) 一种机动车停车位智能地锁
KR200291853Y1 (ko) 일체형 개인차고를 갖는 고층아파트 구조
JPH063956Y2 (ja) 電動ガレ−ジ扉
WO1995027640A1 (en) Parking space monitor
GB2319873A (en) Parking space monitor
CN214883199U (zh) 一种车位锁装置
CN212796572U (zh) 一种带有车位锁结构的充电桩
JP4592607B2 (ja) 駐車車両の退出阻止装置
EP0894166A1 (en) Access control device
KR20060077357A (ko) 주차제한장치
WO2000079056A1 (en) Access control
KR20020087021A (ko) 주차관리장치
CN217298721U (zh) 机动车停车位智能地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