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172A -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통화중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통화중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172A
KR19990038172A KR1019970057815A KR19970057815A KR19990038172A KR 19990038172 A KR19990038172 A KR 19990038172A KR 1019970057815 A KR1019970057815 A KR 1019970057815A KR 19970057815 A KR19970057815 A KR 19970057815A KR 19990038172 A KR19990038172 A KR 19990038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essage
voice message
answering machine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7052B1 (ko
Inventor
박주승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57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7052B1/ko
Publication of KR19990038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0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8Means for redirecting recorded messages to other extensions or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8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non-voice services, e.g. email, internet access

Abstract

가.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자동응답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나.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자동응답 전화기에 수신된 음성메시지를 통화중인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통화중인 상대방에게 자동응답 전화기에 수신된 특정 음성메시지를 들려주고자 하는 경우 음성메시지 전송을 지시하는 지정된 키를 입력하고 특정 음성메시지를 선택하는 키를 입력하면 상기 선택된 특정 음성메시지가 전화라인을 통하여 상대방에게 전송되어 상대방이 들을 수 있도록 한다.
라.발명의 중요한 용도
자동응답 전화기에 수신된 음성메시지를 통화중인 상대방에게 전송하고자 할 때 이용한다.

Description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통화중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본 발명은 자동응답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응답 전화기에 수신된 음성메시지를 통화중인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응답 전화기는 사용자의 부재시에 걸려오는 통화요구에 대하여 자동으로 사용자의 응답메시지를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자동응답 전화기는 호 발생시에 링톤신호가 수신되는 횟수가 미리 지정된 횟수를 경과하면 자동으로 통화로를 형성하여 사용자에 의해 녹음되어 있는 전언메시지를 피호출자에게로 송출하며, 상기 피호출자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메시지를 자기 테이프나 음성메모리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나중에 집으로 돌아와서 자신이 부재시에 수신된 음성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그리고 때에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자동응답 전화기로 통화하는 중에 상대방에게 자동응답 전화기에 수신된 특정 음성메시지를 들려줘야 할 필요가 있을 때도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자동응답 전화기로는 통화중인 상대방에게 자동응답 전화기에 수신된 특정 음성메시지를 들려줄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통화하는 중에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자동응답 전화기에 수신된 특정 음성메시지를 들려줘야 할 경우 종래의 자동응답 전화기로는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상대방과 통화하는 중에도 필요에 따라서 상대방에게 자동응답 전화기에 수신된 특정 음성메시지를 들려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상적인 자동응답 전화기의 블록구성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처리흐름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통화중인 상대방에게 자동응답 전화기에 수신된 특정 음성메시지를 들려주고자 하는 경우 음성메시지 전송을 지시하는 지정된 키를 입력하고 상대방에게 들려주고자하는 특정 음성메시지를 선택하는 키를 입력하면 상기 선택된 특정 음성메시지가 전화라인을 통하여 상대방에게 전송되어 상대방이 들을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녹음 및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자동응답 전화기의 블록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11)는 자동응답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1)는 원칩 마이크로 프로세서(One Chip Microprocessor)로서, 내부에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는 롬과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을 구비한다. 메모리(112)는 정전시에도 유지되어야 할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112)는 EEPROM을 사용할 수 있다. 키입력부(113)는 각종 기능 및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키들과 다이알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숫자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키에 대응되는 키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11)로 출력한다. 표시부(114)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자동응답 전화기의 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1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링검출부(115)는 전화라인과 연결되며, 후크 온(Hook on) 상태에서 전화라인으로 입력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11)에 착신상태 임을 통보한다. 릴레이(116)는 후크 스위치(Hook switch)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전화라인과 자동응답 전화기의 통화로를 형성 및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화회로부(117)는 상기 릴레이(116)와 송화부(120) 및 수화부(121)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통화회로부(117)는 음성회로(Speech IC)로서 전화라인과 연결되어 송,수신되는 각종 톤신호 및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송화부(120) 및 수화부(121)는 마이크 및 스피커 또는 송,수화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자동응답 전화기인 경우, 상기 통화회로부(117)에 RF신호를 처리하는 무선부가 상기 송화부(120) 및 수화부(121)와 병렬 연결된다. DTMF 발생부(118)는 상기 제어부(111)와 통화회로부(117)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1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DTMF(Dual Tone Multi-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통화회로부(117)로 출력한다. DTMF 수신부(119)는 통화회로부(117)와 제어부(111)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통화회로부(117)에서 출력되는 DTMF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11)로 출력한다. 음성처리부(130)는 통화회로부(117)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통화회로부(117)에서 수신되는 음성메시지를 녹음하거나 녹음한 메시지를 음성신호로 재생하여 통화회로부(117)에 출력한다. 코덱(CODEC)(133)은 통화회로부(117)와 연결되며, 녹음모드시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재생모드시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화회로부(117)에 출력한다. 음성제어부(131)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녹음모드시 상기 코덱(133)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데이터를 녹음할 수 있도록 압축 부호화하여 출력하며, 재생모드시 출력할 음성데이터를 엑세스한 후 신장 복호화하여 상기 코덱(133)에 출력한다. 상기 음성제어부(131)는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를 사용할 수 있다. 음성메모리(132)는 녹음모드시 상기 음성제어부(131)의 제어하에 음성메시지를 지정된 영역에 녹음하고, 재생모드시 상기 음성제어부(131)의 제어하에 지정된 영역에 녹음된 음성메시지를 출력한다.
도 2a와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응답 전화기의 음성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처리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2a와 도 2b의 흐름도에 따른 동작은 상기 도 1의 제어부(111)에 의해 수행되도록 메모리(112)에 프로그램한다. 이제 상기 도 1과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자동응답 전화기로 상대방과 통화를 하는중에 자동응답 전화기에 녹음된 특정 음성메시지를 상대방에 들려주고자 하는 경우 상대방을 잠깐 대기시킨 상태에서 메시지 전송 키를 입력시키게 된다. 상기 메시지 전송 키라 함은 통화중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키를 의미한다. 그러면 제어부(111)는 이에 응답하여 도 2a의 (202)단계에서 (204)단계로 진행하여 전화라인을 뮤트(Mute)시키고, (206)단계로 진행하여 전송할 음성메시지를 선택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시키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송하고자 하는 음성메시지를 선택하기 위해서 메시지 선택 키를 입력시켜게 된다. 상기 메시지 선택 키라 함은 전화라인이 뮤트된 상태에서 자동응답 전화기에 수신된 음성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키를 의미한다. 그러면 제어부(111)는 이에 응답하여 (210)단계로 진행하여 음성메모리(132)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음성메시지의 데이터를 독출한다. 이어 제어부(111)는 (212)단계로 진행하여 음성처리부(130)를 제어하여 상기 (210)단계에서 독출한 데이터를 음성처리부(130)를 통해 음성신호로 변환시키고, (21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214)단계에서 외부로 출력되는 음성메시지를 듣고 자신이 전송하고자 하는 음성메시지인 경우에는 메시지 선택 확인 키를 입력시켜서 음성메시지를 선택하게 된다. 상기 메시지 선택 확인 키라 함은 상대방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음성메시지를 최종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미리 설정된 키를 의미한다. 이와 달리 전송하고자 하는 음성메시지가 아닌 경우에는 이전메시지 키 또는 다음메시지 키를 입력시켜서 녹음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전메시지 키는 현재 출력되고 있는 음성메시지 이전에 녹음된 음성메시지를 출력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를 의미하고, 다음메시지 키는 현재 출력되고 있는 음성메시지 다음에 녹음된 음성메시지를 출력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키를 의미한다. 이때 만일 사용자가 이전메시지 키를 입력시킨다면 제어부(111)는 이에 응답하여 (216)단계에서 (218)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출력되는 음성메시지 이전에 녹음된 음성메시지의 데이터를 독출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만일 사용자가 다음메시지 키를 입력시킨다면 제어부(111)는 이에 응답하여 (220)단계에서 (222)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출력되는 음성메시지 다음에 녹음된 음성메시지의 데이터를 음성메모리(132)로부터 독출하고 음성신호로 변환한 후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214)단계에서 출력되는 여러 가지 음성메시지를 듣고 자신이 전송하고자 하는 음성메시지가 맞으면 메시지 선택 확인 키를 입력시켜서 전송하고자 하는 음성메시지를 최종 선택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11)는 이에 응답하여 (225)단계로 진행하여 전화라인의 뮤트를 해제시키고, (22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224)단계에서 선택된 음성메시지의 데이터를 음성메모리(132)로부터 독출한다. 이어 제어부(111)는 (228)단계에서 음성처리부(130)를 통해 음성신호로 변환시킨 후 (23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음성신호를 전화라인을 통해 통화중인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와 통화중인 상대방이 동시에 음성메시지를 들을 수 있게 되고 사용자는 때에 따라 음성메시지를 듣는 중에 전송중지를 요청하는 키를 입력해서 음성메시지를 도중에 중지시킬 수 도 있게된다. 이때 사용자가 전송중지를 요청하는 키를 입력시킨다면 제어부(111)는 (232)단계에서 상기 전송중지를 요청하는 키의 입력을 감지하고 곧 바로 음성메시지의 전송을 중지 시킨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전송중지를 요청하는 키를 입력하지 않았다면 제어부(111)는 (232)단계에서 (234)단계로 진행하여 음성메시지 전송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전송이 완료되면 수행을 종료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자동응답 전화기에 녹음된 음성메시지를 통화중인 상대방에 전송할 수 있음으로 해서 통화중인 상대방도 상기 자동응답 전화기에 녹음된 음성메시지를 들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자동응답 전화기에 녹음된 음성메시지를 통화중인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음으로 해서 통화중인 상대방도 자동응답 전화기에 녹음된 음성메시지를 들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자동응답 전화기에 수신된 음성메시지를 전화라인을 통해 통화중인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자동응답 전화기로 상대방과 통화중인 경우 메시지 전송 키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라인을 뮤트시키고 전송할 음성메시지를 선택할 것을 요구하는 제1과정과,
    상기 자동응답 전화기에 녹음된 음성메시지를 음성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한 후 스피커를 통해서 외부로 출력하는 제2과정과,
    상기 음성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는 상태에서 메시지 선택 확인 키가 입력되면 이를 인식하여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전화라인을 통해 상기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제3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통화중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메시지 선택을 요구하는 과정이,
    상기 자동응답 전화기의 표시부에 상기 전송할 음성메시지 선택을 요구하는 문자메시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통화중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메시지 선택을 요구하는 과정이,
    상기 스피커를 통해서 상기 전송할 음성메시지 선택을 요구하는 음성메시지를 출력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통화중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이,
    상기 사용자에 의한 메시지 선택 키의 입력을 인식하면 상기 음성메모리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음성메시지의 데이터를 상기 음성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스피커를 통해서 외부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선택 키가 입력된 상태에서 이전메시지 키가 입력되면 현재 출력되는 음성메시지 이전에 녹음된 음성메시지의 데이터를 상기 음성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스피커를 통해서 외부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선택 키가 입력된 상태에서 다음메시지 키가 입력되면 현재 출력되는 음성메시지 다음에 녹음된 음성메시지의 데이터를 상기 음성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스피커를 통해서 외부로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통화중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KR1019970057815A 1997-11-03 1997-11-03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통화중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KR100247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815A KR100247052B1 (ko) 1997-11-03 1997-11-03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통화중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815A KR100247052B1 (ko) 1997-11-03 1997-11-03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통화중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172A true KR19990038172A (ko) 1999-06-05
KR100247052B1 KR100247052B1 (ko) 2000-03-15

Family

ID=19524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815A KR100247052B1 (ko) 1997-11-03 1997-11-03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통화중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70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910B1 (ko) * 2001-11-28 2004-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안내멘트 송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910B1 (ko) * 2001-11-28 2004-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안내멘트 송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7052B1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5241A (ko) 무선호출 시스템
KR100557619B1 (ko) 이동 전화기의 상대방 수신 경보 방법
KR100247052B1 (ko)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통화중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KR19990011394A (ko) 특정인에게 특정 메시지 송출 자동응답전화기 및 그 방법
JPH08195802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930009849B1 (ko) 부재시 수신 다이얼 디지트를 저장하는 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321811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0128239B1 (ko) 발신자 정보를 기록하는 자동 응답 시스템 및 그 방법
KR940007907B1 (ko) 원터치에 의한 자동다이얼링 및 음성메세지 자동전송 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643346B2 (ja) 留守番電話装置
KR20000001188A (ko) 모닝콜 원격 제어방법
JP2000059491A (ja) 電話装置
JPH09205483A (ja) 留守番電話装置
KR100247197B1 (ko) 자동응답 시스템에서 메모녹음 확인방법
KR970011424B1 (ko) 자동응답장치의 호출 자동 전환 방법
KR100232787B1 (ko) 자동응답시스템에서 메모 확인 정보 전송 방법
KR970005264B1 (ko) 자동 응답 전화기의 주변음 청취/녹음 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16019A (ko) 음성 메시지 예약 송신 방법
JP3321810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20000021019U (ko) 전화기의 무음성 통화장치
JPH1127380A (ja) 携帯電話機
JPH0234076A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738639A (ja) 留守番電話装置
KR19990051169A (ko) 자동응답전화기에서 배경음악 발생 방법
JPS62230145A (ja) 留守番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