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766A - 분말정량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분말정량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766A
KR19990037766A KR1019990001153A KR19990001153A KR19990037766A KR 19990037766 A KR19990037766 A KR 19990037766A KR 1019990001153 A KR1019990001153 A KR 1019990001153A KR 19990001153 A KR19990001153 A KR 19990001153A KR 19990037766 A KR19990037766 A KR 19990037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hopper
stirring
spring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0336B1 (ko
Inventor
김한식
Original Assignee
김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식 filed Critical 김한식
Priority to KR1019990001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336B1/ko
Publication of KR19990037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3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4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 B29C31/06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in measured doses, e.g. by weigh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2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heating
    • B29B13/021Heat treatment of pow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02Constructions or methods for cleaning the mixing or knead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1Particles, powder or gran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정량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성형기로 전달되는 원재료에 자동적으로 분말을 일정량 씩 공급하여 혼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호퍼(20) 내부에 교반바아(22,22')와 공급플레이트(24)를 설치하고, 상기 공급플레이트(24)에는 다수개의 공급홀(25)을 천공하여 이송기(30)의 교반쳄버(31)로 분말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교반쳄버(31)로 분말이 전달되는 부분에서 상기 공급홀(25)에 호퍼(20) 내부의 분말의 압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압력차단판(26)을 설치한다. 교반쳄버(31)에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그리며 회전하는 교반날개(34,34')와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그리면 회전하는 교반스프링(35)을 설치하여 분말을 교반하면서 이송스프링(36)으로 분말을 일정량 씩 혼합관(40)으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이송스프링(36)의 내부에는 이송가이드축(37)을 설치하여 상기 이송스프링(36)에 의해 정확한 양의 분말이 이송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호퍼(20), 이송기(30) 및 혼합관(40)은 분리가능한 구조로 만들었다. 따라서 압출, 사출, 블로우 성형을 위한 원재료를 이송시키면서 정확하게 분말을 섞어 줄 수 있게 되어 작업에 필요한 인력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품목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분말정량공급장치{powder supply device}
본 발명은 분말정량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출, 사출 또는 블로우 성형에 사용되는 원재료에 안료와 같은 분말첨가물을 정확한 양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분말정량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지(resin)와 같은 원재료를 압출, 사출 그리고 블로우 성형하여 특정한 제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보다 다양한 색상을 착색하고자 안료를 섞기도하고, 만들어진 제품이 사용중에 태양열 등에 의해 외관이 변형되거나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정제를 섞기도 한다.
또한, 상기 착색용 안료가 잘 풀어지도록 하기 위해 분산제를 섞고 또 안료가 수지와 같은 원재료에 잘 묻게 하기 위해 오일첨가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착색용 안료, 안정제 및 분산제는 일반적으로 분말 형태이고, 상기 오일첨가제는 액상 형태의 오일이다.
이때, 상기 수지와 같은 원재료에 상기 착색용 안료, 안정제 및 분산제를 비율에 맞추어 배합하는 것을 특정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재료들은 덤불러 배합기에서 배합하게 된다. 즉, 펠리트(pellet) 형태의 수지, 분말형태의 착색용 안료, 분말형태의 안정제, 분말형태의 분산제 그리고 안료가 수지에 잘 묻게 하는 오일을 덤불러 배합기에 투입하여 혼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재료들의 배합비는 대략 상기 수지가 95%이고, 나머지가 5%를 차지한다. 그리고 한번에 배합하는 이들 재료의 양은 필요에 따라 달라지나 적게는 수십 킬로그램에서 많게는 수백킬로그램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덤불러 배합기에서 배합된 재료를 각각 압출성형기, 사출성형기나 블로우 성형기로 공급하여 원하는 제품을 만들어 내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에는 성형을 위한 재료를 미리 덤불러배합기에서 배합하여 각각 필요에 따라 적절한 성형기로 이동시켜 제품을 성형하게 되므로, 작업공정에서 상기 재료들을 이동시키는 것에 많은 인력이 투여되는 문제가 있다.
즉, 수십킬로그램 씩 포장되어 있는 상기 펠리트 형태의 수지와, 소량의 안료, 안정제 및 분산제를 각각 배합비에 맞게 덤불러 배합기에 투입하여 섞어주고, 이와 같이 하여 섞여진 원료를 다시 성형기로 소정량 씩 이동시켜 성형작업을 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수십킬로그램 이상되는 무게의 수지를 배합기로, 다시 배합기에서 성형기로 혼합된 재료를 이동시키는 작업은 매우 중노동이고 재료분말이날리는 등 작업환경이 나빠서 소위 말하는 3D업종으로 근로자 구하기가 매우 힘드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으나 상기 펠리트 형태의 수지에 착색용 안료와 안정제를 정확한 양만큼 골고루 섞어주면서 자동화된 공정으로 원재료를 이송시켜 주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한편, 종래와 같이 덤불러배합기에서 원료를 미리 배합하여 성형기로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다양한 색상의 제품을 만들어 내는 경우에는 원재료와 첨가제의 낭비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이미 수지와 첨가제를 섞어 놓은 경우에 사용되지 않은 잔량은 그 전체가 폐기물 처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의하면, 제조하려는 제품의 색상이 달라지게 되면, 덤불러배합기를 완전히 청소한 상태에서 배합작업을 하여야 하고, 성형기의 호퍼 또한 완전히 청소해 주어야 하므로 제품의 색상을 바꾸는 경우에는 작업준비를 위한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다.
특히 다품종 소량 생산을 하는 경우에는 원재료의 자동화된 공급이 더욱 어려워지게 된다. 즉, 펠리트 형태의 수지와 분말형태의 첨가제를 배합기에서 미리 배합하여 자동화된 공정을 통해 성형기로 전달하는 경우에, 만들고자 하는 제품이 바뀌거나 색상이 바뀌게 되면, 상기 배합기와 성형기로 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모든 구성을 청소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것으로, 펠리트 형태의 수지와 그에 첨가되는 첨가물의 배합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성형기로 직접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성형기에서 여러 종류의 제품생산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 생산에 필요한 양만큼의 재료만을 성형기로 공급하여 재료의 낭비를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분말정량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호퍼의 내부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급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기의 상세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기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모터12: 감속기
14: 동력전달기16: 동력분배기
20: 호퍼22,22': 교반바아
24: 공급플레이트25: 공급홀
26: 압력차단판28: 전달공
30: 이송기32: 회전축
34,34': 교반바아35: 교반스프링
36: 이송스프링37: 이송관
38: 이송가이드축39: 배출캡
40: 혼합관41: 청소창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구동원과, 분말을 상기 구동원의 동력으로 일정량씩 공급되게 하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로부터 전달된 분말을 상기 구동원의 동력으로 일정량씩 이송시키는 분말이송부와, 상기 분말이 혼합될 원재료가 공급되는 경로를 구성하여 상기 분말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분말이 원재료와 혼합되게 하는 혼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호퍼부와 분말이송부는 각각 분리가능하다.
상기 혼합부에는 그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창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동력으로 구동되면서 분말을 일정량씩 분리시켜 전달하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로부터 전달된 분말을 상기 구동원의 동력으로 교반시키면서 일정량씩 이송시키는 분말이송부와, 상기 분말이 혼합될 원재료가 공급되는 경로를 구성하여 상기 분말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분말이 원재료와 혼합되게 하는 혼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호퍼부는 분말이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구동원의 동력으로 상기 분말을 휘저어주는 다수개의 교반바아와, 상기 교반바아와 함께 회전되고 다수개의 공급홀을 구비하여 분말을 일정량씩 상기 분말이송부로 전달하는 공급플레이트와, 상기 공급플레이트의 공급홀을 통해 상기 분말이송부로 전달되는 분말에 호퍼부에 있는 분말의 압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압력차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말이송부는 상기 호퍼부로부터 전달된 분말을 교반시켜 일정양 씩 상기 혼합부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호퍼부로부터 전달된 분말이 위치되는 교반쳄버와, 상기 교반쳄버의 내부에서 상기 구동원의 동력으로 상기 분말을 교반시켜 주는 교반날개와, 상기 교반날개와 함께 회전되면서 교반된 분말을 일정양씩 이송시키는 이송스프링과, 상기 이송스프링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이송스프링 내부공간을 채워주는 이송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스프링의 회전중심과 동심으로 설치되고 상기 이송스프링과 교반날개 사이에서 분말을 휘저어주는 교반스프링이 더 구비된다.
상기 호퍼부에는 호퍼내부로 열과 빛을 제공하는 적외선광원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분말정량공급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제품의 색상을 보다 균일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제품을 하나의 성형기에서 손쉽게 제조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분말정량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분말정량공급장치에서 사용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0)가 일측에 구비된다. 참고로 상기 모터(10)는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특허98-27354(98년 7월7일)와 관련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터(10)와 연결되게 감속기(12)가 설치된다. 상기 감속기(12)는 상기 모터(10)의 동력을 감속시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 부호 11은 엔코더이다.
그리고, 상기 동력을 아래에서 설명될 동력분배기(16)로 전달하는 동력전달기(14)가 구비된다. 상기 동력전달기(14)는 상기 감속기(12)의 출력측과 상기 동력분배기(16)의 입력측을 벨트로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물론 반드시 벨트를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동력분배기(16)는 상기 모터(10)에서 제공된 동력을 각각 제1출력축(S1)과 제2출력축(S2)으로 분리하여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10), 감속기(12), 동력전달기(14) 및 동력분배기(16)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18)가 상기 동력분배기(16)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더(18')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바(18)은 아래에서 설명될 혼합관(40)에 일측이 고정된다. 한편, 상기 동력분배기(16)는 가이더(18')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동력분배기(16)의 제1출력축(S1)이 중심이 되게 호퍼(20)가 설치된다. 상기 호퍼(20)는 분말을 임시로 저장하고 있다가 일정량 씩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호퍼(20)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하여 외부에서 분말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퍼(20)의 내부에는 상기 동력분배기(16)의 제1출력축(S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교반바아(22,22')와 공급플레이트(24)가 설치된다. 상기 교반바아(22,22')는 도 3에서 잘 알 수 있듯이 서로 90도로 교차되게 설치되고 일측 교반바아(22)에 비해 타측 교반바아(22')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다. 다라서, 각각의 교반바아(22,22')는 서로 다른 높이에 있는 분말을 휘저어주게 된다.
상기 공급플레이트(24)는 도 5 및 도 6에 그 형상이 잘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공급플레이트(24)의 둘레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공급홀(25)이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되어 있다. 상기 공급홀(25)은 호퍼(20) 내부의 분말을 일정량 씩 분리시켜 아래에서 설명될 교반쳄버(31)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급플레이트(24)의 상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차단판(2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압력차단판(26)의 폭은 상기 공급홀(25) 하나를 차폐할 수 있을 정도이다. 이와 같은 압력차단판(26)은 호퍼(20) 내부에 투입되어 있는 분말 자체의 무게에 의해 호퍼(20) 하부에 있는 분말이 압력을 받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호퍼(20) 하부에 천공되어 호퍼(20) 내부의 분말을 상기 교반쳄버(30)로 전달하는 전달공(28)에 호퍼(20) 내부의 분말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막아주는 것이다.
상기 호퍼(20)로부터 전달된 분말을 모터(10)의 동력으로 일정량씩 이송시키는 이송기(30)가 상기 호퍼(20)의 하단에 설치된다. 상기 이송기(30)로는 상기 동력분배기(16)의 제2출력축(S2)을 통해 동력이 전달된다. 상기 이송기(30)의 내부에는 교반쳄버(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교반쳄버(31)에서는 상기 호퍼(20)에서 전달공(28)을 통해 전달된 분말이 휘저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출력축(S2)과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32)이 이송기(30)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32)에는 교반날개(34,34')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교반날개(34,34')는 상기 전달공(28)을 통해 교반쳄버(31)로 낙하되는 분말을 휘저어 준다. 이와 같은 교반날개(34,34')의 구성은 도 8에 잘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교반스프링(35)이 상기 회전축(32)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교반스프링(35)은 상기 교반날개(34,34')가 회전하면서 그리는 원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교반날개(34,34')보다 내측에서 분말을 휘저어주게 된다. 이와 같은 교반스프링(35)은 코일스프링의 형상을 가진다.
한편, 상기 회전축(32)에는 이송스프링(36)이 연결설치되어 상기 교반날개(34,34'), 교반스프링(35)과 함께 회전하면서, 분말을 일정량 씩 아래에서 설명될 혼합관(40)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이송스프링(36)은 상기 이송기(3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쳄버(31)와 혼합관(40)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이송관(37)의 내부에 까지 연장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스프링(36)의 선단에는 정확한 양의 분말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가이드축(3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송가이드축(38)은 배출캡(39)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배출캡(39)은 상기 이송관(37)의 선단에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캡(39)의 설치는 그 내부에 형성된 나사부와 상기 이송관(37) 선단부 외주에 형성된 나사부의 체결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배출캡(39)에는 상기 이송스프링(36)에 의해 이송된 분말을 혼합관(40) 내부로 배출하는 배출공(39')이 혼합관(40)의 하부를 향해 형성되어 있다.
혼합관(40)은 상기 분말이 혼합될 원재료가 공급되는 경로를 구성하는 것으로, 그 상부에는 원재료가 공급되는 공급부가 연결되고, 하부에는 상기 원재료와 분말이 혼합된 것을 사용하여 제품을 성형하는 성형기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혼합관(40)에는 혼합관 내부의 청소를 위한 청소창(41)이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긔ㄹ고, 상기 혼합관(40)는 상기 원재료 공급부와 성형기 사이에 교체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호퍼(20)의 상단에는 커버(50)가 설치되어 호퍼(20)를 외부와 차폐하고, 상기 커버(50)의 내부에는 분말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적외선광원인 적외선전구(52)가 설치된다. 상기 적외선전구(52)는 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호퍼(20) 내부를 소정의 온도로 유지하고 제습작용을 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0W는 상기 교반쳄버(31)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창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분말정량공급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호퍼(20)의 내부에 분말(예를 들면 제품에 특정한 색상을 내기 위한 안료)을 투입하고, 상기 모터(10)를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모터(10)가 동작되면, 그 구동력은 감속기(12), 동력전달기(14) 및 동력분배기(16)를 거쳐 상기 교반바아(22,22') 및 공급플레이트(24)로 전달된다.
상기 교반바아(22,22')와 공급플레이트(24)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호퍼(20) 내부의 분말이 상기 교반바아(22,22')에 의해 교반되어 그 밀도가 소정의 값으로 유지되고, 상기 공급플레이트(24)의 공급홀(25)을 통해 상기 교반쳄버(31)로 전달된다. 즉, 상기 공급홀(25)에 채워진 분말이 공급플레이트(24)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다가, 상기 전달공(28)을 만나게 되면, 상기 교반쳄버(31)로 낙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달공(28)의 상단에는 상기 압력차단판(26)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호퍼(20) 내부의 분말의 무게에 의한 압력이 상기 전달공(25) 측으로는 전달되지 않게 한다. 즉, 압력차단판(26)이 상기 공급플레이트(24)의 상단에 위치되어 있어, 상기 전달공(28)의 위치에 공급홀(25)이 오게 되어 공급홀(25) 내부의 분말이 교반쳄버(31)로 낙하되는 동안에 상기 공급홀(25)과 전달공(28)에 호퍼(20) 내부의 분말의 무게에 의한 압력이 전달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상기 교반쳄버(31)로 전달되는 분말의 양이 항상 일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교반쳄버(31)로 공급된 분말은 상기 교반날개(34,34')와 교반스프링(35)에 의해 휘저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교반날개(34,34')는 상기 교반스프링(35)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원을 그리면서 상대적으로 외측의 분말을 휘저어주게 되고, 상기 교반스프링(35)은 상대적으로 내측의 분말을 휘저어주게 된다.
이와 같이 교반쳄버(31) 내에서 휘저어지는 분말은 상기 이송스프링(36)에 의해 일정량 씩 이송된다. 즉, 코일스프링 형상의 상기 이송스프링(36)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송관(37)의 내부로 분말이 이송된다. 이와 같이 이송관(37)의 내부로 이송된 분말은 상기 이송스프링(36)과 이송가이드축(38)의 작용에 의해 일정량 씩 상기 배출캡(39)의 배출공(39')을 통해 혼합관(40)의 내부로 전달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송스프링(36)의 내부에이송가이드축(38)이 삽입되어 있어 상기 이송스프링(36)의 산과 산(여기서 산이란 코일형상의 이송스프링의 하나의 턴(turn)을 나사에 비유하여 표현한 것이다)사이의 영역(A)에만 분말이 채워져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스프링(36)의 제원(예를 들면, 직경, 굵기, 턴사이의 간격 등)을 조절하게 되면 상기 이송스프링(36)의 회전에 의해 전달되는 분말의 양이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송스프링(36)에 의해 혼합관(40)의 내부로 전달된 분말은 원재료와 섞여서 성형기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호퍼(20)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적외선전구(52)는 상기 호퍼(20) 내부의 분말이 일정한 온도와 습도조건을 유지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습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상기 분말이 덩어리지게 되어 이송스프링(36)에 의해 일정량 씩 공급될 수 없는데, 상기 적외선적구(52)는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다른 색상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상기 분말을 교환하는 것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상기 호퍼(20)를 분리하고 난 후, 상기 이송기(30)를 혼합관(40)으로부터 분리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기(30)와 혼합관(40)의 체결상태를 해제하고, 가이드바(18)를 따라 상기 동력분배기(16)를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모터(10), 감속기(12), 동력전달기(14), 동력분배기(16), 호퍼(20) 및 이송기(30)가 함께 이동된다. 물론, 상기 호퍼(20)는 미리 분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동력분배기(16)를 상기 가이더(18')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이송기(30)를 분리한다. 그리고는 상기 호퍼(20)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고, 상기 이송기(30) 역시 새로운 것으로 교체한다. 물론, 상기 이송기(30)를청소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청소창(41)을 열어 상기 혼합관(40)의 내부 역시 청소해준 상태에서 다시 원래의 상태로 조립하게 된다.
즉, 상기 이송기(30)와 동력분배기(16) 등을 가이더(18)를 따라 이동시켜, 상기 혼합관(40)에 상기 이송기(30)를 체결시킨다. 이와 같이 되면 새로운 분말을 상기 혼합관(40)으로 소정량 씩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분말정량공급장치는 원재료가 자동으로 공급되는 라인의 일측에 설치되어, 원재료에 직접 분말을 혼합하여 주는 것이므로, 별도의 덤불러배합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원재료와 분말을 정확하게 섞어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분말과 혼합된 원재료를 성형기로 자동화된 공정에 의해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분말과 원재료를 작업자가 직접 운반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장치는 호퍼, 이송기, 혼합관 등이 분해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 생산품목을 변경하기 위해 분말을 교체할 때, 단지 상기 호퍼, 이송기, 혼합관 등을 교체하거나 간단히 청소하여 주면 되므로 작업준비시간이 대폭 줄어 들게 되고, 특히 다품종 소량 생산의 생산성을 크게 높여주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7)

  1. 구동원과,
    분말을 상기 구동원의 동력으로 일정량씩 공급되게 하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로부터 전달된 분말을 상기 구동원의 동력으로 일정량씩 이송시키는 분말이송부와,
    상기 분말이 혼합될 원재료가 공급되는 경로를 구성하여 상기 분말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분말이 원재료와 혼합되게 하는 혼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호퍼부와 분말이송부는 각각 분리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정량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에는 그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창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정량공급장치.
  3.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동력으로 구동되면서 분말을 일정량씩 분리시켜 전달하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로부터 전달된 분말을 상기 구동원의 동력으로 교반시키면서 일정량씩 이송시키는 분말이송부와,
    상기 분말이 혼합될 원재료가 공급되는 경로를 구성하여 상기 분말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분말이 원재료와 혼합되게 하는 혼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분말정량공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는 분말이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원의 동력으로 상기 분말을 휘저어주는 다수개의 교반바아와, 상기 교반바아와 함께 회전되고 다수개의 공급홀을 구비하여 분말을 일정량씩 상기 분말이송부로 전달하는 공급플레이트와, 상기 공급플레이트의 공급홀을 통해 상기 분말이송부로 전달되는 분말에 호퍼부에 있는 분말의 압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압력차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정량공급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이송부는 상기 호퍼부로부터 전달된 분말을 교반시켜 일정양 씩 상기 혼합부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호퍼부로부터 전달된 분말이 위치되는 교반쳄버와, 상기 교반쳄버의 내부에서 상기 구동원의 동력으로 상기 분말을 교반시켜 주는 교반날개와, 상기 교반날개와 함께 회전되면서 교반된 분말을 일정양씩 이송시키는 이송스프링과, 상기 이송스프링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이송스프링 내부공간을 채워주는 이송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정량공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프링의 회전중심과 동심으로 설치되고 상기 이송스프링과 교반날개 사이에서 분말을 휘저어주는 교반스프링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정량공급장치.
  7. 제 3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에는 호퍼내부로 열과 빛을 제공하는 적외선광원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정량공급장치.
KR1019990001153A 1999-01-16 1999-01-16 분말정량공급장치 KR100320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153A KR100320336B1 (ko) 1999-01-16 1999-01-16 분말정량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153A KR100320336B1 (ko) 1999-01-16 1999-01-16 분말정량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766A true KR19990037766A (ko) 1999-05-25
KR100320336B1 KR100320336B1 (ko) 2002-01-10

Family

ID=54780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153A KR100320336B1 (ko) 1999-01-16 1999-01-16 분말정량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3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484B1 (ko) * 2001-04-16 2003-08-27 주식회사 폴리플러스 합성수지 생산용 원료의 자동 이송 및 계량 시스템
KR101315147B1 (ko) * 2012-03-22 2013-10-07 한국기계연구원 분말 연속공급장치
KR20190100691A (ko) * 2018-02-21 2019-08-29 코리아엔텍 주식회사 더스트 피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256B1 (ko) * 2000-10-05 2002-12-12 배종윤 분말혼합 공급장치
KR102035834B1 (ko) 2018-03-21 2019-10-23 최정환 라면자판기의 스프 및 온수공급장치
KR102164664B1 (ko) 2019-01-15 2020-10-12 최정환 라면자판기의 스프공급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484B1 (ko) * 2001-04-16 2003-08-27 주식회사 폴리플러스 합성수지 생산용 원료의 자동 이송 및 계량 시스템
KR101315147B1 (ko) * 2012-03-22 2013-10-07 한국기계연구원 분말 연속공급장치
KR20190100691A (ko) * 2018-02-21 2019-08-29 코리아엔텍 주식회사 더스트 피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0336B1 (ko) 200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31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feeding, mixing and blending
EP3094463B1 (en) Weighing and mixing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a mixture of granular components, and related method
CN106999882A (zh) 多通道计重批次混合机
KR100320336B1 (ko) 분말정량공급장치
CN214915622U (zh) 猪用预混料生产系统
KR100827251B1 (ko) 사출성형기의 사출스크류
CN104542772B (zh) 一种连续和面机
KR100342181B1 (ko) 분말정량공급장치
US20030168758A1 (en) Plastic color blender and method
CN217670364U (zh) 一种电缆管加工用配料预混挤出装置
CN113083059B (zh) 一种高速、连续和料设备
CN114055632B (zh) 环保低辐射混凝土生产系统及生产工艺
US3591145A (en) Method for continuously mixing powders and oils
CN214915594U (zh) 一种高速、连续和料设备
US3979107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he admixing of a pigment color in a dosaged manner into a plastics material granulate
CN211467039U (zh) 一种塑胶颗粒微量自动配料生产装置
CN209406118U (zh) 一种可扩展的有机肥混料机
CN220734352U (zh) 复合式饲料挤出设备
CN216440497U (zh) 一种饲料生产加工用配料装置
CN220576352U (zh) 一种塑料颗粒进料混料斗
CN219540211U (zh) 一种应用于饲料加工的定量配料机
KR101212416B1 (ko) 안료 착색 및 배합 자동공급장치
CN212603283U (zh) 一种上料装置
KR20060116356A (ko) 분말 미세분쇄장치
KR200372456Y1 (ko) 안료 착색 및 배합 자동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